KR20030029375A -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375A
KR20030029375A KR1020010061857A KR20010061857A KR20030029375A KR 20030029375 A KR20030029375 A KR 20030029375A KR 1020010061857 A KR1020010061857 A KR 1020010061857A KR 20010061857 A KR20010061857 A KR 20010061857A KR 20030029375 A KR20030029375 A KR 20030029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s
coil
misconvergence
diode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환
이청문
신상호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9375A/ko
Publication of KR2003002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3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 요크(Deflection yoke)의 미스 컨버전스(Miss Convergence)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을 적용하여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는 회로에서 2중 중간 탭의 턴(TURN)수에 따라 여기에 구성되어 있는 다이오드의 캐패시턴스성분과의 시정수 변화로 인하여 공진이 발생하게 되고 공진으로 인해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공진억제 수단을 부가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개선 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Noise correction circuit for mis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of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 요크(Deflection yoke)의 미스 컨버전스(Miss Convergence)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을 적용하여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는 회로에서 2중 중간 탭의 턴(TURN)수에 따라 여기에 구성되어 있는 다이오드의 캐패시턴스성분과의 시정수 변화로 인하여 공진이 발생하게 되고 공진으로 인해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공진억제 수단을 부가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개선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하는 장치이다. 코마프리(Coma Free)는 편향요크의 VCR(Ver. Center Raster) 특성, 즉 음극선관의 수직축 상의 측정점에 있어서의 적색(R)/청색(B)의 중심과 녹색(G)의 수직방향의 미스컨버전스 감도가 양호하도록 만들어준다.
그리고 편향요크에서의 미스컨버전스는 랜딩(landing) 오차, 디스토션(distortion) 오차 및 VCR 왜곡 등에 의해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랜딩 오차는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된 전자빔(R, G, B)이 스크린상의 각 화소에 정확하게 주사되지 못하고, 각 화소로부터 화면의 중앙부위 또는 화면의 가장자리로 치우쳐 주사되는 미스컨버전스를 말하는 것으로, 네로우(narrow)화 또는 와이드(wide)화된 상태의 미스컨버전스를 의미한다.
또한 디스토션 오차는 전자빔(B, G, R)이 스크린에 주사되는 형태가 스크린의 상하 측에서 벗어난 상태이거나 또는 스크린의 중앙부위로 몰려 주사되어 가장자리에는 빔이 주사되지 못하는 상태의 미스컨버전스로써, 바렐(barrel)화 또는 핀(pin)화된 상태의 미스컨버전스를 의미한다.
더불어 VCR 왜곡은 적색빔(R)과 청색빔(B)은 스크린에 정확하게 주사되는 반면에 녹색빔(G)은 스크린의 각 화소에 정확하게 주사되지 못하고 수직방향으로 오차가 발생하는 미스컨버전스를 말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편향요크에서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코일 메인부(10)에 대하여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51 ~ 56)이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51 ~ 54)에 대하여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20)가 병렬 접속되어 있는데, 이러한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20)는 제 1 및 제 2 코마프리 코일(51)(52) 측과 제 3 및 제 4 코마프리 코일(53)(54) 측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상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대하여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가 병렬 접속되어 있는데, 이러한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는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YV)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보정코일(61)(62)은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 제 6 코마프리 코일(56) 및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의 접점에 직렬 연결되고,제 3 및 제 4 보정코일(63)(64)은 제 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와 제 6 코마프리 코일(56) 및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의 접점에 직렬 연결된다.
더불어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1)(D2)는 상호 역극성으로 병렬 연결되어 있고, YH 가변저항(YH VR)(40)은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3 및 제 4 저항(R3)(R4)은 직렬 연결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YH 가변저항(YH VR)(40)에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코일(71)(72)은 제 3 및 제 4 저항(R7) 사이의 연결점과 제 1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수직코일 메인부(10)를 통해 수직편향 자계량이 조정되어 입력된 톱니파 전압은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51 ~ 56)에 입력된다. 그러면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20)는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51 ~ 54)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상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게 되고,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는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CRT에 부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켜주는 DY에 있어서 컨버젼스 보정을 위해 참조번호 71과 72로 지칭되는 수직 코일의 2중 중간TAP를 적용하여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턴(TURN)수를 변화시켜 특성 조정하여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지만 최근 CRT가 완전 평면화 되면서 미스 컨버젼스량이 크게 됨에 따라 2중중간 탭의 턴수 증가시켜 컨버젼스를 매칭(MATCHING)해야만 하는 경향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2중 중간탭의 턴수 증가에 따라 여기에 구성되어 있는 다이오드(D1,D2)의 캐패시터 성분과의 시정수 변화로 인하여 공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되는 공진으로 인해 화면에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노이즈 제거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을 적용하여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는 회로에서 2중 중간 탭의 턴(TURN)수에 따라 여기에 구성되어 있는 다이오드의 캐패시턴스 성분과의 시정수 변화로 인하여 공진이 발생하게 되고 공진으로 인해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공진 억제 수단을 부가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개선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2는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을 적용하여 보정하는 미스 컨버전스의 예시도,
도 3은 평면화에 따른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의 턴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노이즈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직코일 메인부 20 :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
30 :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 40 : YH 가변저항
51 ~ 56 : 코마프리 코일 61 ~ 64 : 보정코일
71, 72 : 코일 Rnc : 공진억제저항부
D : 다이오드 R : 저항
VR : 가변저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특징은, 수직코일 메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연결된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사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에 연결되어 있는 보정코일(61~64)에 전체적으로 상호 역극성으로 병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다이오드와,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된 YH 가변저항과,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YH 가변저항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저항, 상기 제 3 및 제 4 저항 사이의 연결점과 제 1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코일; 및 상기 제 1코일 혹은 제 2코일에 병렬로 연결되어 2중 중간 탭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과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터 성분에 의해 시정수 생성에 따라 LC공진 주파수가 발생됨을 억제하기 위한 노이즈 억제 저항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노이즈 억제 저항의 저항값은 56Ω을 갖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다른 특징은, 수직코일 메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연결된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사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에 연결되어 있는 보정코일(61~64)에 전체적으로 상호 역극성으로 병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다이오드와,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된 YH 가변저항과,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YH 가변저항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저항, 상기 제 3 및 제 4 저항 사이의 연결점과 제 1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코일; 및 직렬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코일과 제 2코일에 전체적으로 병렬로 연결되어 2중 중간 탭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과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터 성분에 의해 시정수 생성에 따라 LC공진 주파수가 발생됨을 억제하기 위한 노이즈 억제 저항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노이즈 억제 저항의 저항값은 56Ω을 갖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또 다른 특징은, 수직코일 메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연결된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사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에 연결되어 있는 보정코일(61~64)에 전체적으로 상호 역극성으로 병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다이오드와,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된 YH 가변저항과,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YH 가변저항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저항, 상기 제 3 및 제 4 저항 사이의 연결점과 제 1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코일; 및 상기 제 1코일과 제 2코일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2중 중간 탭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과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터 성분에 의해 시정수 생성에 따라 LC공진 주파수가 발생됨을 억제하기 위한 노이즈 억제 저항들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노이즈 억제 저항의 저항값은 56Ω을 갖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술적 사상을 간략히 살펴보면, 노이즈의 발생원인이 화면의 평면화에 따라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의 턴수를 증가시켜주어야 하는 데 이때,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턴스 성분과의 시정수 변화로 인한공진이 주원인이다.
즉, 수직코일(V COIL) 2중 중간 탭에 흐르는 전류는 2중 중간 탭의 리액턴스 성분과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터 성분에 의한 공진 및 시정수에 의해 수직 편향시 속도변조 발생에 따라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오드 동작 포인트에서 상하단에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만약 공진에 필요한 수직코일(V COIL) 2중 중간 탭의 리액턴스 성분의 감쇄 혹은 공진 억제 수단을 간단히 부가시킬 수 있다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착안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우선,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코일 메인부(10)에 대해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연결된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51 ~ 56)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51 ~ 54)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51 ~ 54)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사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20)와;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YV)를 조정하는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보정코일(61)(62)은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 제 6 코마프리 코일(56) 및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의 접점에 직렬 연결되고, 제 3 및 제 4 보정코일(63)(64)은 제 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와 제 6 코마프리 코일(56) 및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의 접점에 직렬 연결된다.
더불어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1)(D2)는 상호 역극성으로 병렬 연결되어 있고, YH 가변저항(YH VR)(40)은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3 및 제 4 저항(R3)(R4)은 직렬 연결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YH 가변저항(YH VR)(40)에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코일(71)(72)은 제 3 및 제 4 저항(R7) 사이의 연결점과 제 1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수직코일 메인부(10)를 통해 수직편향 자계량이 조정되어 입력된 톱니파 전압은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51 ~ 56)에 입력된다. 그러면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20)는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51 ~ 54)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상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게 되고,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는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CRT에 부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켜주는 DY에 있어서 컨버젼스 보정을위해 참조번호 71과 72로 지칭되는 수직 코일의 2중 중간TAP를 적용하여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게 되는데, 평면화에 따라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의 턴수를 증가시켜주어야 하는 데 이때,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턴스 성분과의 시정수 변화로 인한 공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참조번호 72에 병렬로 연결되는 소정 저항치를 갖는 공진방지용저항(Rnc)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소자변형 방지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 수직코일 메인부(10)에 대하여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51 ~ 56)이 직렬 연결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51 ~ 56)은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E자형 철편을 매개로하여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외부면의 좌상측, 우상측, 좌하측, 우하측, 좌중측 및 우중측에 차례로 전기적 연결되도록 권선 설치되어, 코마 수차보정용의 6극 자계를 얻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51 ~ 56)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함이 바람직하지만, 상측 코마프리 코일들인 제 1 및 제 2 코마프리 코일(51)(52)과 하측 코마프리 코일들인 제 3 및 제 4 코마프리 코일(53)(54)의 권선 방향은 동일하게 하고 중측 코마프리 코일들인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의 권선 방향은 반대로 권선할 수도 있다. 전자(前者)의 권선 방법은 중측 코마프리코일(55 또는 56)의 자계가 강해지면 상측 코마프리코일들(51 또는 52) 및 하측 코마프리코일들(53 또는 54)의 자계를 상쇄하여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중측 코마프리코일(55)의 자계를 강화하면 좌상측 및 좌하측 코마프리코일(51)(53)의 자계가 약화되어 상대적으로 우상측 및 우하측(52)(54)의 자계가 강화되는 효과를 얻게된다. 후자(後者)의 권선 방법은 전자의 권선 방법에 의한 자계 형성과 반대가 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51 ~ 54)에 대하여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20)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20)는 제 1 및 제 2 코마프리 코일(51)(52) 측과 제 3 및 제 4 코마프리 코일(53)(54) 측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상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20)는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51 ~ 54)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YHC 가변저항(YHC VR)과, 제 2 코마프리 코일(52)과 제 3 코마프리 코일(53)과의 공통 접점 및 YHC 가변저항(YHC VR)의 가동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1 고정저항(R1)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대하여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는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YV)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는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YV 가변저항(YV VR)과,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의 공통 접점 및 YV 가변저항(YV VR)의 가동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2 고정저항(R2)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는 제 6 코마프리 코일(56)과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의 접점에 직렬 연결된 제 1 내지 제 4 보정코일(61 ~ 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상호 역극성으로 병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1)(D2)와,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된 YH 가변저항(YH VR)(40)과,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YH 가변저항(YH VR)(40)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저항(R3)(R4)과, 제 3 및 제 4 저항(R7) 사이의 연결점과 제 1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코일(71)(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보정코일(61)(62)은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 제 6 코마프리 코일(56) 및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의 접점에 직렬 연결되고, 제 3 및 제 4 보정코일(63)(64)은 제 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와 제 6 코마프리 코일(56) 및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30)의 접점에 직렬 연결된다.
그래서 수직코일 메인부(10)를 통해 수직편향 자계량이 조정되어 입력된 톱니파 전압은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51 ~ 56)에 입력된다. 그러면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20)는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51 ~ 54)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상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한다. 또한 YV 미스 컨버전스 조정부(30)는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55)(56)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YV)를 조정한다.
이때, 수직코일 메인부에 매칭되어 있는 2중 중간 탭(TAP)을 형성하는 보정코일 참조번호 71, 72중 참조번호 72에 병렬로 공진 억제용 저항(Rnc)을 형성하게된다.
이에 따라 참조번호 D1과 D2로 지칭되는 다이오드의 내부 캐패시터 성분과 참조번호 71과 72로 지칭되는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에 의한 공진 시정수를 참조번호 Rnc로 지칭되는 저항의 임피던스 성분으로 감쇠시켜 공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서는 2중 중간 탭(TAP)을 형성하는 보정코일 참조번호 71, 72중 어느 한쪽의 보정코일에 공진 억제용 저항(Rnc)을 병렬 연결하는 것이 구성상의 특징인데 반하여 첨부한 도 5는 다른 실시 예로써 2중 중간 탭(TAP)을 형성하는 보정코일 참조번호 71, 72의 전체 리액턴스 성분에 임피던스 성분을 병렬로 연결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역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2중 중간 탭(TAP)을 형성하는 보정코일 참조번호 71, 72에 각각 일정한 임피던스 성분을 갖는 저항을 동시에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개선 회로를 제공하면 2중 중간 탭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과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터 성분에 의해 LC공진주파수가 발생됨에 따라 유도되는 노이즈를 개선하여 세트 매칭 품질 확보로 인해 신뢰성 품질 경쟁력 확보할 수 있다.

Claims (6)

  1. 수직코일 메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연결된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사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에 연결되어 있는 보정코일(61~64)에 전체적으로 상호 역극성으로 병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다이오드와,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된 YH 가변저항과,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YH 가변저항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저항, 상기 제 3 및 제 4 저항 사이의 연결점과 제 1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코일; 및
    상기 제 1코일 혹은 제 2코일에 병렬로 연결되어 2중 중간 탭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과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터 성분에 의해 시정수 생성에 따라 LC공진 주파수가 발생됨을 억제하기 위한 노이즈 억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억제 저항의 저항값은 56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3. 수직코일 메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연결된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사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에 연결되어 있는 보정코일(61~64)에 전체적으로 상호 역극성으로 병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다이오드와,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된 YH 가변저항과,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YH 가변저항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저항, 상기 제 3 및 제 4 저항 사이의 연결점과 제 1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탭(TAP)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코일; 및
    직렬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코일과 제 2코일에 전체적으로 병렬로 연결되어 2중 중간 탭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과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터 성분에 의해 시정수 생성에 따라 LC공진 주파수가 발생됨을 억제하기 위한 노이즈 억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억제 저항의 저항값은 56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5. 수직코일 메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연결된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 코일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사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대해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 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는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와;
    상기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에 연결되어 있는 보정코일(61~64)에 전체적으로 상호 역극성으로 병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다이오드와,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된 YH 가변저항과,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YH 가변저항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저항, 상기 제 3 및 제 4 저항 사이의 연결점과 제 1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수직코일(V COIL)의 2중 중간 탭(TAP)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코일; 및
    상기 제 1코일과 제 2코일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2중 중간 탭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과 다이오드 내부의 캐패시터 성분에 의해 시정수 생성에 따라 LC공진 주파수가 발생됨을 억제하기 위한 노이즈 억제 저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억제 저항의 저항값은 56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KR1020010061857A 2001-10-08 2001-10-08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KR20030029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857A KR20030029375A (ko) 2001-10-08 2001-10-08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857A KR20030029375A (ko) 2001-10-08 2001-10-08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375A true KR20030029375A (ko) 2003-04-14

Family

ID=2956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857A KR20030029375A (ko) 2001-10-08 2001-10-08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93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46B1 (ko) * 2001-12-27 2004-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WO2023219202A1 (ko) * 2022-05-13 2023-11-16 주식회사 웨이브피아 반도체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193A (ja) * 1994-09-22 1996-04-12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KR19990030607A (ko) * 1997-10-02 1999-05-06 구자홍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요크
KR100193574B1 (ko) * 1995-08-28 1999-06-15 이형도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193575B1 (ko) * 1995-08-28 1999-06-15 이형도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JP2000041264A (ja) * 1998-07-21 2000-02-08 Toshiba Corp 偏向ヨーク装置
KR20010001332A (ko) * 1999-06-03 2001-01-05 구자홍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
JP2001250492A (ja) * 2000-03-03 2001-09-14 Sony Corp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受像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193A (ja) * 1994-09-22 1996-04-12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193574B1 (ko) * 1995-08-28 1999-06-15 이형도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193575B1 (ko) * 1995-08-28 1999-06-15 이형도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9990030607A (ko) * 1997-10-02 1999-05-06 구자홍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요크
JP2000041264A (ja) * 1998-07-21 2000-02-08 Toshiba Corp 偏向ヨーク装置
KR20010001332A (ko) * 1999-06-03 2001-01-05 구자홍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요크
JP2001250492A (ja) * 2000-03-03 2001-09-14 Sony Corp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受像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46B1 (ko) * 2001-12-27 2004-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WO2023219202A1 (ko) * 2022-05-13 2023-11-16 주식회사 웨이브피아 반도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25462A (ja) カラ−受像管
KR100284483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US5260627A (en) Apparatus for deflecting electron beams and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incorporating this deflecting apparatus
KR20030029375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US4933596A (en) Deflection yoke with compensation for misconvergence by the horizontal center raster
KR20010086319A (ko)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KR100405209B1 (ko) 편향요크의 소자변형 방지장치
KR100377692B1 (ko) 컬러 수상관 장치
US6501238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and geometric distortion in deflection yoke using variable resistance
KR100443744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KR100422046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KR100443743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KR100238511B1 (ko)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KR960015318B1 (ko) 칼라수상관용 편향장치 및 칼라수상관장치
KR100451947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JP4248763B2 (ja) カラーtv受像管装置およびモニタ用カラーディスプレイ管装置
KR960006080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0180663B1 (ko) 미스컨버젼스보정장치
JPH0746615A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KR20040093828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JP2000173505A (ja) 偏向ヨーク
KR20040013723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JP2005285747A (ja) 投写管用偏向装置および投写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