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310B1 -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310B1
KR0152310B1 KR1019940028885A KR19940028885A KR0152310B1 KR 0152310 B1 KR0152310 B1 KR 0152310B1 KR 1019940028885 A KR1019940028885 A KR 1019940028885A KR 19940028885 A KR19940028885 A KR 19940028885A KR 0152310 B1 KR0152310 B1 KR 0152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s
general formula
following general
organopolysiloxane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185A (ko
Inventor
게크 미카엘
다우트 요헨
도이브제르 베른바르트
오스발트바우에르 헬무트
프레드 쉬미트 만
바우만 프랑크
Original Assignee
에리히 프랑크, 칼-하인즈 림뵉
와커-헤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히 프랑크, 칼-하인즈 림뵉, 와커-헤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리히 프랑크, 칼-하인즈 림뵉
Publication of KR95001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54Nitrogen-containing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4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프리래디컬 형성기를 포함하며 다음 일반식(1)의 단위와 또다른 오르가노실록산단위로부터 구성되는 가교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관한 것이다.
이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에틸렌기 불포화 모노머의 그라프팅 중합용 프리래디컬 메크로개시제로서 사용된다.
RaSi(O(3-a)/2)-R1-X-(R1-Si(O(3-a)/2))bRa] (1),
위 식에서, X는 -N=N-, -O-O-, -S-S- 및 -C(C6H5)2-C(C5H2)2-로 구성되는 그룹의 래디컬이며 R, R1, R2, a 및 청구범위 제1항의 의미를 가진다.

Description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방법.
이 발명은 프리래리컬(free radicals)을 형성하는기를 포함하는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그 제조방법, 프리래디컬 매크로 개시제(free radical macroinitiaators)로서 이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그라프트코폴리머 및 프리래디컬에 의해 충합시킬 수 있는 유기모노머, 그 그라프트코폴리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α,ω -아미노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과, 4, 4'-아조비스(4-시아노펜타 노일 클로라이드)를 반응시킨다음 비닐모노머와 블록중합을 시켜 얻어지는 선상 폴리실록산(아조비스시아노펜탄아미드)매크로 개시제로부터 출발하여 실리콘/비닐블록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은 참고문헌(Journal of polymer science Volume 26, 1077-92,1988)에서 기재되어있다.
그라프트코폴리머를 제조하는 하나의 방법은 또다른폴리머에 반응시킬 수 있는 작용말단기를 가진 하나의 폴리머를 그라프팅(grafting)시켜 구성한다.
이 제조방법은 그라프팅(graftingonto)방법으로, 한예로서 미국특허출원 제5,223,586에 기재된바와같이 오르가노실리콘폴리머(코어:core)성분과 유기폴리머(셀:shell)성분에서 그라프트코폴리머를 제조하는 종래의 기술이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비닐모노머등 프리래디컬에 의해 중합시킬수있는(모노)올레핀의 불포화모노머를, 외측프리래디컬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에멀젼중합방법에 의해 유화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그라프팅시킨다(grafting).
그 유기모너머의 단독중합(homopolymerization)은 외부 레독스개시제계(external redox initiator system)에 의해 이 그라프팅방법에 따라 개시되어, 성장 유기폴리머 사술이 이공정에서(실콘)그라프팅기재에 결합되어있다.
이 방법의 결점은 그 폴리실록산에 유기폴리머의 결합이 발생하지 않아 그유기폴리머의 상당부분이 그 폴리실록산에 그라프팅 되지않으나 결합되지 않는 호모폴리머로서 존재하는데 있다 : 이것은 예로서 그라프팅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유기폴리머와 오르가노실리콘에서 불용성그라프트코폴리머를 추출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 그라프팅방법의 또다른 결점은 분자내 결합(intra㏖ecular linkages), 특히 그 오르가노실리콘폴리머코어상에서 유기폴리머사슬의 다중결합에 의한 루핑(loopings)으로 인하여 조절함이 없이 형성된 그라프트코폴리머가 생성되는데 있으며, 이것은 예로서 정적 및 동적 광산란(static and dynamic light scattering)에 의해 이와같은 그라프트코폴리머의 구조적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가교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유기폴리머로부터, 공지의 그라프트코폴리머에 대한 위결점, 즉 유기폴리머(호모폴리머)의 고함량과 조절이 없는 생성을 구비하지않은 그라프트코폴리머를 제조할 수 있는 프리래디컬 매크로 개시제로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은 프리래디컬을 형성하는기를 포함하며,
다음 일반식(1)의 단위 0.2 ∼ 50.owt%,
다음 일반식(2)의 단위 0 ∼ 80.0wt%,
다음 일반식(3)의 단위 0 ∼ 99.5wt%,
다음 일반식(4)의 단위 0 ∼ 98.8wt% 및
다음 일반식(5)의 단위 0. ∼80.0wt%로 구성되고 다만 일반식(4)와(5)의 단위의 합이 적어도 o.5wt%이며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 5wt%이하를 톨루엔 에 의해 추출시킬 수 있는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관한 것이다.
[RaSi(O(3-A)/2)R1-x-(R1-Si(O(3-a)))bRa] (1)
[R3SiO1/2] (2)
[R2SiO2/2] (3)
[RSiO3/2] (4)
[SiO4/2] (5)
위 식에서,
R은 같거나 다른 1가의 SiC-결합되고, 선택치환되는 C1- ∼C18-탄화수소래디컬이고,
R¹은
-O-, -COO-, -OOC-, CONR²-, NR²CO- 및 -CO-의 그룹에서 2가래디컬에의해 절단시킬 수 있고 양측탄소원자에 결합시킬 수 있는 같거나 다른 2가의 SiC-결합되고 선택치환되는 C1- ∼ C18- 탄화수소래디컬이고,
a는 0, 1 또는 래디컬 K이며,
X는 -N=N-, -O-O-, -S-S- 및 -C(C6H5)2-C(C6H5)2-로 구성되는 그룹의 하나의 래디컬이고,
a는 0, 1또는 2이며,
b는 0또는 1이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그 가교구조 때문에 소량이외에 모든용매에 불용성이다.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wt% 이하는 톨루엔으로 추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치환 탄화수소래디컬 R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및 t-펜틸래디컬, n-헥실래디컬등 헥실래디컬, n-헵틸래디컬등 헵틸래디컬, n-옥틸래디컬 및 2,2,4-트리메틸펜틸래디컬등 이소-옥틸래디컬등의 옥틸래디컬, n-노닐래디컬등 노닐래디컬, n-데실래디컬등 데실래디컬, n-도데실래디컬등 도데실래디컬, n-옥타데실래디컬등 옥타데실래디컬등의 알킬래디컬;, 비닐, 알릴, n-5-헥세닐, 4-비닐시클로헥실 및 3-노르보르네닐래디컬등 알케닐래디컬;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4-에틸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헵틸래디컬, 노르보르닐래디컬 및 메틸시클로헥실래디컬등 시클로알킬래디컬; 페닐, 비페닐, 나프틸, 안트릴 및 펜안트릴래디컬등 아릴래디컬; O- m- 및 p-톨릴래디컬, 키시릴래디컬 및 에틸페닐래디컬등 알카닐래디컬; 벤질래디컬 및 알파-및-베타-페닐에틸래디컬등 아랄킬래디컬이 있다.
그 래디컬 R로서 치환탄화수소래디컬의 예로는 클로로메틸, 3-클로로프로필, 3-브로모프로필,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및 5,5,4,4,3,3-헵타플루오로펜틸래디컬 및 클로로페닐, 디클로로페닐 및 트리플루오로톨릴래디컬등 할로겐화탄화수소래디컬; 2-메르캅토에틸 및 3-메르캅토프로필래디컬등메르카보알킬래디컬; 2-시아노에틸 및 3-시아노프로필래디컬등 시아노알킬래디컬; 3-아미노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및 N-(2-아미노에틸)-3-아미노-(2-메틸)프로필래디컬등 아미노알킬래디컬;아미노페닐래디컬등 아미노아릴래디컬;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및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래디컬등 아실옥시알킬래디컬; 히드록시 프로필래디컬등 히드록시알킬래디컬이 있다.
2가 탄화수소래디컬 R의 예로는 메틸렌 및 에틸렌래디컬, 그리고 프로필렌, 부틸렌, 펜틸렌, 헥실렌, 시클로헥실렌 및 옥타데실렌래디컬등 포화알킬렌, 또는 헥세닐렌래디컬 및 페닐렌래디컬, 또는 헥세닐렌 래디컬 및 페닐렌래디컬, 특히 다음식(6)과(7)의 래디컬등 불포화알킬렌 또는 아릴렌랜디컬이 있다.
-(CH2)3N(R³)-(CO)-(CH2)2-C(CN)(CH2)-(6)
(R³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 또는 시크로헥실 래디컬)
-(CH2)3-O-C(O)-(CH2)2-C(O)-(7)
바람직한 래디컬 X예는 -N=N- 및 -O-O-가 있다.
일반식(1)의 특히 바람직한 단위는 다음 일반식(8)이다.
[(CH3)aSi(O(3-a)/2)-(CH2)3-N(R3)-C(O)-(CH2)2-C(N)(CH3)-N=]2(8)
위식에서, a 및 R³는 위의 정의와같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일반식(1)의 단위 0.5 ∼20.0wt%, 일반식(2)의 단위 0~50.0wt%, 일반식(3)의 단위 0~99.0wt%, 일반식(4)의 단위 0-99.5wt%, 일반식(5)의 단위 0∼ 50wt%로 구성되는것이 바람직하며, 단 일반식(4) 및 (5)의 단위의 합은 적어도 1wt%이다.
특히, 이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일반식(1)의 단위 0.5 ∼10.0wt%, 일반식(2)의 일반식(3)의 단위 0 wt%, 일반식(3)의 단위 0-98.5wt% 일반식(4)의 단위 1-99.5및 일반식(5의 단위 0-20.0wt%로 구성한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수용매질중에서 입자직경이 5 ∼ 200㎚인 구상 미크로겔(spherical microgels)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프리래디컬 매크로개시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분자량은 105∼1010, 특히 5 × 105∼ 109g/㏖이 바람직하다.
또 이 발명은 다음 일반식(9)의 실란과, 다음 일반식(10)의 오르가노폴리실리콘화합물과, 적합할 경우 다음 일반식(11)의 단위의 오르가노실리콘화합물을 유화제 및 물의 교반혼합액에 혼합시켜, 프리래디컬 생성기를 포함하는 이발명에 의한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RaSi((OR4)(3-a))-R1-X-(R1-Si(OR4)3-a))bRa(9)
RaSi((OR4)4-c(10)
Rd(R4O)eSiO4-d-e/2(11)
위식에서, R⁴는 R의 의미를 가지며,
C는 0, 1, 2,또는 3이고,
d 및 e는 각각의 경우 각각 0, 1, 2, 3,또는 4를 가지며 R, R⁴, X,a 및 b는 위에서 설명한 의미를 가진다.
위 제조방법은 유화중합/중축합 제조방법이다.
사용이 바람직한 일반식(11)의 단위의 오르가노실리콘화합물에는 다음일반식(12)단위의 오르가노실록산 또는 다음 일반식(13)의 오르가노실록산이 있다.
R2SiO2/2(12)
R2SiOSiR3(13)
사용한 일반식(9), (10)및 (11)의 화합물의 양을 선택하여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얻어진다.
그 사용량은 오르가노실리콘 출발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하여 각각의 경우 각각 일반식(9)의 화합물 0.2 ∼ 50wt%, 일만식(10)의 화합물 0.0 ∼ 99.8wt%, 일반식(12)의 화합물 0.0∼99.0wt%, 일반식(13)의 화합물 0.0 ∼ 70.0wt%가 바람직하다.
래대컬 R⁴는 불치환 C1- ∼C6-알킬래디컬 또는 페닐래디컬이며, 메틸, 에틸프로필래디컬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10)의 오르가노실리콘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및 트리메틸에톡시실란이 있다.
일반식(12)의 단위의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은 3 ∼8개의, 특히 4 또는 5개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바람직한 예로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이 있다.
일반식(13)의 오르가노실리콘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헥사메틸디실록산이 있다.
특히 적합한 유화제로는 탄소원자 8-18의 사슬길이를 가진 알킬설페이트, 소수성래디컬에서 탄소원자 8-18과 에틸렌옥사이드(EO)또는 프로피렌옥사이드(PO)단위 1-40개를 가진 아릴 및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설포네이트, 예로서 탄소원자 8-18을 가진 알킬설포네이트, 탄소원자 8-18을 가진 알킬아릴설포네이트, 모노하이드릭 알코올 또는 탄소원자 4-15개를 가진 알킬페놀과 설포석신산의 에스테트 및 반-에스테르; 적합할경우 이들의 알코올 또는 알킬페놀은 1-40개의 EO단위와 에톡시화할수도 있다;
알킬, 아릴, 알카릴 또는 아랄킬래디컬에서 탄소원자 8-20개를 가진 카르복실산의 알칼리금속염 및 암모늄염;
인산부분에스테르 및 알칼리금속 및 그암모늄염, 예로서 유기래디컬에서 탄소원자 8-20개를 가진 알킬 및 알카릴포스페이트, 알킬 또는 알카릴래디컬에서 탄소원자 8-20개와 EO단위 1-40개를 가진 알킬 에테르-또는 알카릴에테르-포스페이트; EO단위 2-40개를 가지며 탄소원자 4-20의 알킬래디컬을 가진 알킬폴리글라이콜에테르; 2-40 EO단위와 알킬 및 아릴래디컬에서 탄소원자 8-30개를 가진 알킬아릴폴리글리콜에테르;
8-40의 EO또는 PO단위를 가진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EO/PO)블록코폴리머;
6-24개의 탄소원자와 2-40개의 EO단위를 가진 지방산 폴리글라이콜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그 천연물질 및 유도체 예로서, 레시틴, 라놀린, 사포닌 및 셀룰로오스 알키에테르 및 카르복시알킬셀룰로오스, 그 알킬기는 각각의 경우 탄소원자 4이상을 가짐; 극성기를 포함하며 탄소원자 24개이내 및/또는 EO및 / 또는 PO기 40이내를 가진 알콕시기를 가진 선상으로가노(폴리)시록산;
탄소원자 8-24개를 가진 1급, 2급 및 3급지상산아민과 아세트산, 황상 염산 및 인산의염; 할라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또는 히드록사이드 등 4급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알킬리미드아졸리늄염 및 알킬옥사졸리늄염(그 알킬사슬은 그 알리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아세테이트 형태에서 탄소원자 18개이내를 가짐)이 있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지방족치환체 및 그염을 가진 벤젠설폰산과, 4급암모늄할라이드 및 히드록사이드가 있다.
사용되는 유화제의 양은 사용되는 오르가노실리콘출발화합물전량을 기준으로하여 각각의 경우 0.5 ∼ 20wt%, 바람직하게는 1.0-10wt%이다.
일반식(9)∼(13)의 오르가노실리콘출발화합물은 혼합에 의해 첨가한다.
모든출발화합물성분은 바람직한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질혼합액을 얻기위하여, 그 출발화합물성분을 기준으로하여 식 R4OH의 알카놀 0.1-30wt%를 안정제로서 추가하며, 적합할경우 그 알카놀에는 메타놀, 에타놀 및 프로파놀기 특히 바랄직하다.
그 출발화합물, 특히 일반식(10)의 실란은 혼합액으로 첨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하지 않더라도 연속적인 혼합에 의해 첨가할수 있다.
그 제조결과,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는 소량의 히드로카로볼옥시래디컬 OR⁴및/또는 히드록시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에멀젼중합/중축합은 온도 5-95℃, 바람직하게는 10-85℃, 특히 10-40℃에서 실시한다.
그 에멀젼중합/중축합혼합액의 PH는 1-12, 바람직하게는 7-11이다.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제조할 때 그 에밀젼의 안정성을 위하여 그 혼합완료후에 0.5 ∼ 15시간동안더 그 혼합액을 교반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가수분해를 할 때 유지되는 알카놀은 중류에 의해, 적합할 경우 감압하에 제거할 수 있다.
이와같이하여 제조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분산액의 고형분함량은 25wt%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점도증가가 높아저 그 그라프팅기재로서의 분산액의 처리가 더 어렵게되기 때문이다.
특히 바람직한예에서, 각각의 경우 오르가노실리콘출발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하여 일반식(10)(C는 0,1또는 2이고,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페닐래디컬이고, R⁴는 메틸 또는 에킬래디컬임)의 실란 또는 실란혼합액 90-99.5wt%와, 다음일반식(14)의 실란 0.5-10wt%를 적합할 경우 오르가노실리콘출발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하여 메타놀, 에타놀 및/또는 프로파놀 0.1 ∼ 30wt%와 혼합시켜, 그 혼합액을 사용한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의 양을 기준으로하여 수중에서 메틸알킬벤질암모늄염 1-10wt%를 용해한 교반혼합액에 실온에서 바람직하게는 1-8시간에 걸쳐 혼합한다.
그 혼합액을 실온에서 1-15시간더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물/유화제 혼합액의 PH는 7-10이며, 염기특히 알칼리금속히드록사이드와 사전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래디컬개시제함유실란은 이 방법에 의해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프리래디컬 매크로개시제에 양적으로 결합된다.
이것은 염의 부가에 의해 수용성분산액을 파괴하고 그 프리래디컬 매크로개시제를 대량으로 분리시켜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실온으로 건조하여 시차주사열량측정법(diffe-rential scanning colorimetry: DSC)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나타낸다.
이 분야 기술자에게 공지된바와 같이 DSC에의해 등온 처리공정중에 한샘플이 그 주위에서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량을 측정한다.
예로서 아조기함유화합물의 열분해시켜 측정샘플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발열분해피크하의 총영역은 그 분해 엔탈피 J/g을 나타내며, 그 화합물에서 아조기의 함량에 정비례한다.
아조기함유실리콘망상(silione network)의 분해 엔탈피가 아조기함유출발실란의 분해엔탈피에 관련될 경우, 그 실리콘망상의 아조기의 실제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에틸렌기 불포화유기모노머의 그라프팅 중합용으로 프리래디컬 매크로 개시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또 이 발명에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95 ∼5wt%를 에틸렌기 불포화모노머 5-95wt%와 수용성분산액중에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하는 그라프트코폴리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그라프팅을 시키는 그 폴리머는 그라프팅용으로 부가되는 모노머와 반응하는 반응성기를 가진다.
이 방법은 그라프팅(grafting from)방법이다.
중합을 개시할 때, 그 그라프트분기(branches)는 그 그라프팅기재상에서 직접성장하여, 형성구조를 가진 그라프트코폴리머를 목표에 맞게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리래디컬로 분리시킨다음 그라프팅중합을 개시시킬 수 있는 개시제를 그라프팅하는 폴리머에 공유결합을 함으로써 그 그라프팅모노머의 단독중합은 극히 낮은 중합도에서 이동반응(transfer reaction)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이 발명에 의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대한 위 분산액은 프리래디컬 배크로개시제로서 반응용기에 초기에 도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시에 발생되지않을 경우 그 분산액은 그 출발실란을 가수분해할 때 생성된 알코올에서 감압하에 20-40℃에서 적합할 경우 증류에 대한 유뢰시키며, 적합할 경우 물로 희석시킨다.
적합할 경우 포함되어있는 유리래디컬 매크로개시제의 양을 기준으로하여 그 유화제 1-15wt%를 그 분산액에 더 추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프리래디컬 매크로개시제분산액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유화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그 분산액은 10-90분간 질소가스로 포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분산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7-9로할 필요가 있다.
에틸렌기 불포화유기모노머를 그 혼합액에 각각의 경우 그라프트코폴리머 총량을 기준으로하여 9-95wt%, 바람직하게는 20-80wt%의 양으로 혼합한다.
그 유리폴림의 함량으로 사용한 모노머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알코올과 탄소원자 1-10의 디올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P-메틸스티렌,α-메틸스티렌,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로네이트,말레이미드, 비닐클로라이드,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프렌이 바람직하다.
스티렌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탄소원자 1-4의 지방족알코올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에예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리이트 또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와 코폴리머는 유기폴리머성분으로 적합하다.
프리래디컬매크로개시제인 오르가노폴리실록산성에서의 그라프팅은 그 온도를 30 - 90℃M 바람직하게는 60-85℃로 증가시켜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합을 완료시키기위해서는 그 개시온도를 30분∼8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유지시킨다.
미반응 유기모노머의 잔류양은 증류에 의해 제거할수있으며, 이것이 바람직하다.
이발명에 의한 그라프트코폴리머는 공지의 방법, 예로서 염의 부가또는 극성요매부가에 의한 격자의 응집(coagulation of the latices)또는 분무건조(spray drying)에 의해 그 분산액에서 분리시킬수 있다.
이 발명은 또 이발명에 의한 방법에의해 얻을 수 있는 그라프트 코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한 그라프트코폴리머는 수용성 매질중에서 입자직경이 바람직하게는 10-250㎚인 구형입자이다.
이 발명에 의한 그라프트 코폴리며의 분자량은 106∼ 1010,특히 5 x 105∼ 109g/㏖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그 유기폴리머사슬을 실리콘 그라프팅기재와 (실리콘)코어/(오르가노폴리머)셀구조에의 결합을 조절시킴으로써 형성된 구성체를 가진다.
별(star)- ∼브러시(bruch)-형상의 그라프트 코폴리머구조는 일반식I1)의 단위의 함량과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그라프팅지점의 별도에 따라 형성한다.
가교가 낮은 연질실리콘 엘라스토머코어를 가지며 예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과 그라프팅을 하는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분무조건을 시킬 수 있다.
별문제없이 열가소성으로 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또 그유기폴리머를 실리콘 그라프팅기재상에서의 결합을 크게 향상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그라프팅(grafting on)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던 그라프트 코폴리머에서 보다 상당히 낮은 함량의 프리유기폴리머의 호모폴리머를 나타낸다; 이것은 추출실험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한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개질열가소성 수지로서 또는 폴리머 개질용 첨가제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이 방법에 의한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개질열가소성수지로서 또는 풀리머 개질용 첨가제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정적 및 동적 광산란은 그 그라프트 코폴리머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프리래디컬 매크로 개시제의 구조적 특성에 특히 적합하다. 정적 및 동적광산란은 분산입자 특성에 있어서 이 분야기술자에게 공지되어있는 고분자 화학 및 콜로이드화학에서의 방법이 설정되어있다.
정적광산란에 있어서, 그 평균은 충분한 장시간에 걸친 각종 각도에서 산란강도를 얻으며, 정보는 분자량 Mw의 중량평균, 관선반경 평방의 Z-평균 R2gz 및 그 분산입자와 용매의 분자간 및 분자내 열열학적 상호작용에 대하여 기재한 제2비리알계수(Second virial eoefficient)A2등 고분자의 정적특성에서 얻어진다.
정적광산란과 대비하여, 동적광산란의 경우 그 산란광의 강도변동은 시간함수로서 관찰된다.
이것은 조사(investigation)한 분자의 동적특성에서 정보를 얻는다.
그 확산계수 Dz의 Z-평균, 따라서, 유체역학적 반경 Rh및 그 농도에 따르는 확산계수의 종속을 나타낸 계수 Kd를 스톡스-아인스타인 법측(stokes-Einstein law)에 의해 측정한다.
그 각도에서의 산란광의 종속으로부터 그 입자형상은 결정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그 용액에 존재한 구조를 명백하게 할 수 있다.
간단한 방법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에 의해 위에서 설명한 정보가 정적 및 동적광산란 동시 측정으로 얻어진다.
이것은 예로서 참고문헌(S. Bantle, M.Schmidt 및 W. Burchard, Macro㏖ecules 15, 1604, (1982))에 기재되어있다.
관성반경과 유체역학적반경의 비, 즉 ρ-비는 경질구(hard spheres)또는 중공구 또는 별형상등 입자형상 폴리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인덱스-매칭(index-matching)등 특정기술에 의해 예로서 실리콘코어의 굴절 인덱스(refractive index)를 그분산매질의 굴절인덱스와 매칭(matching)시킬 수 있으며, 예로서 실리콘코어/유기폴리머셀 그라프트폴리머의 폴리머셀은 그 자체 검출할 수 있다. 그 수용성 매질에서 유기분산재로 그 그라프트코폴리머의 이동에 의해, 예로서 입자크기등 구조적정보를 비수용성 분산매질에서 계면활성이 없는 형태의 이들 시스템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다음 실시예에서, 각각 경우 특별한 설명이 없으며,
a) 모든 처리양의 데이터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b) 모든 압력은 0.1㎫(절대)이고,
c) 모든 온도는 20℃이다.
[실 시 예]
-광산란 :
그 정적 및 동적광산란을, 스태비라이트(stabiliteR)2060-11s Kr 레이저(k)(Spectra-physics 사제품)와, sp-86 고니오미터(goniometer)(ALV사제품) 및 ALV-3000디지탈 스트럭튜레이터(Digital Stractutator)/코릴레이터(correlator)로 구성되어있는 장치로 측정하였다.
그 크립톤(kr) 이온레이저를 파장 647.1㎚에서 작동시켰다.
샘플 제조 : 실리콘 프리래디컬 매크로개시제 수용성분산액과 다른 실리콘망상분산액을 10⁴몰의 포타슘브로마이드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그 그라프트 코폴리머 수용성분산액을 비전도로 0.056㎲/㎝를 가진 순수로 희석하였다. 그 샘플을 밀렉스(MillexR)-GS필터(0.22μm의 미세공 크기)(Millipore 사제품)에 의해 3회 여과하였다.
디메틸코름아미드중의 그라프트 코폴리머분산액을 밀렉스(MillexR)-FGS필터(0.2μm의 미세공크기)에 의해 3회 여과하였다.
그 광산란실험에서의 측정온도는 20℃이었다.
그 동적 광산란측정은 20℃스텝의 각에서 20℃∼130℃로 실시하였으며, 정적 광산란실험에서 2각의 산란망의 종속은 10℃스템에서 30℃∼140℃로 측정하였다.
-시차 주사열량측정법(DSC)에 의한 측정:
물질을 DSC7(PerkinElmer 사제품)에서 측정하였다.
인듐을 검정물질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경우 프리래디컬 개시제함유 출발실란 2-3㎎과, 각각의 경우 실리콘 프리래디컬 매크로개시제 10-12㎎을 평량하였다. 그 가열율(heating rate)을 10K/분 이었다.
1) 프리래디컬 개시제함유 출력실란의 제조(실시예 1 및 2);
[실시예 1]
4, 4'-아조비스-[4-시아노 펜타노산(N-(메틸)-N-((3-트리에톡시시릴)-프로필)) 아미드], I
4, 4-아조비스(4-시아노펜타노일 클로라이드)7.5g(23.6m ㏖)을 디클로로메탄 2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여과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무수디에틸에테르 500ml에 메틸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11.06g(47.2m mlo)과 트리에틸아민 5.26g(52m㏖)을 용해한 혼합액에 -10℃에서 적가하였다.
그 얻어진 반응혼합액을 -1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생성한 백색 침전물을 여과시켜 제거하고, 투명한 여액을 높은 진공상태하에서 25℃로 일정한 중량으로 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담황색의 결정 I 15.0g (이론치의 89%)을 얻었다.
[실시예 2]
4, 4'-아조비스-[4-시아노 펜타노산(N-(메틸)-N-((3-트리메톡시시릴)-프로필))아미드], II
메틸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11.06g(47.2m㏖)대신 메틸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9.08g(47.2m㏖)을 사용하여 실시예 1 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13.4g(이론치의 90%)의 생성물 II를 얻었다.
2) 종래기술에 의한 가교실리콘 그라프팅기재의 제조(대비실실예 1~3)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프리래디컬 매크로개시제(실시예3~7)의 제조:
[실시예 3]
반응용기에, 물 500g, 상품 DodigenR226(Hoectst AG, 코코넛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중에서 50%농도) 6g과 소듐히드록사이드용액 0.5g(수중에서 10% 농도)를 초기에 넣었다.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9.0g(0.73몰)과 실시예 1 의 화합물 I 1.0g(1.4m㏖)의 혼합액을 20℃에서 2시간에 걸처 적가하면서 교반하였다. 그 혼합액을 20℃에서 2시간에 걸처 적가하면서 교반하였다. 그 혼합액을 20℃에서 8시간 더 교반시킨 다음, 고형분함량 8.6%를 가진 안정하고 투명하게 약간 유백색을 띤 분산액을 얻었다.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해, 9.5㎚의 단분산구상입자(monodisperse, spherical particles)의 유체역학적 반경 Rh과 1.1 X 106의 반자량 Mw를 측정하였다.
실리콘망상에 화합물 I의 다량결합을 시차 주사열량측정법(DSC)에 의해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9.0g과 실시예 1 의 화합물 I 1.0g의 혼합물 대신,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7.0g(0,71몰)과 실시예 1 의 화합물 I 3.0(4.2m㏖)의 혼합물을 초기혼합액에 혼합시켜 실시예 3 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안정성있고, 투명하게, 약각 유백색을 띤 분산액을 고형분함량이 8.7%이었다.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해 11.0㎚의 단분산 구상입자의 유체역학적 반경 Rh와 1.5 X 106의 분자량 Mw이 측정되었다. 그 실리콘망상에 그 화합물 I의 다량결합을 시차 주사열량측정법(DSC)에 의해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9.0g과 실시예 1 의 화합물 I 1.0g의 혼합물대신,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5.0g(0.70㏖)과 실시예 1 의 화합물i 5.0g(7.0m㏖)의 혼합물을 초기 혼합액에 혼합시켜 실시예 3 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안정성있고, 투명하며, 약간 유백색을 띤 분산액은 고형분함량이 8.7%이었다.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해 11.0㎚의 단분산 구상입자의 유체역학적 반경 Rh와 1.5 X 106의 분자량 Mw이 측정되었다. 그 실리콘망상에 그 화합물 I의 다량결합을 시차 주사열량측정법(DSC)에 의해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9.0g과 실시예 1 의 화합물도 1.0g의 혼합물대신,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5.0g(0.70㏖)과 실시예 1 의 화합물 I 5.0g(7.0m㏖)의 혼합물을 초기 혼합액에 혼합시켜 실시예 3 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안정성있고 투명하며 약간 유백색의 분산액은 고형분함량이 8.8%이었다.
13.3㎚의 단분산 구형입자의 유체역학적 반경 Rh와 2.7 X 106의 분자량 Mw의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실리콘망상에 화합물 I의 다량결합을 시차 주사열량측정법(DSC)에 의해 나타내었다.
[대비실시예 1]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9.0g과 실시예 1 의 화합물 I 1.0g의 혼합물대신,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7.0g(0.7㏖)과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0g(12.lm ㏖)의 혼합물을 초기 혼합액에 혼합시켜 실시예 3 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그 얻어진 안정성있고 투명하며 약간 유백색을 띤 분산액을 고형분 함량이 8.5%이었다.
9.3㎚의 단분산 구상입자의 유체역학적 반경 Rh와 1.0p- X 106의 분자량 Mw을 정적및 동적광산란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실리콘망상에 그 화합물 I 의 다량결합은 시차 주사열량측정법(DSC)에 의해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디메틸디에톡시실란 100,0g(0.67㏖), 메틸트리메톡시실란 97.4g(0.72㏖), 실시예 2 의 화합물 II 2.6g(4.1m㏖) 및 메타놀 20g의 혼합액을 물 2000g, 제품 DodigenR226(수중에서 50%농도)(실시예 3 의 제품 ) 12g 및 소듐히드록사이드용액(수중에서 10% 농도)10g의 초기혼합액에 20℃에서 6시간에 걸쳐 적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 혼합액을 20℃에서 2시간 더 교반시킨 다음 고형분함량 5.3%를 가진 안정성있고 유백색인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7]
디메틸디에톡시실란 160.0g(1.08㏖), 메틸트리메톡시실란 36.7(0.27㏖), 실시예 2 의 화합물 II 2.6g(4.1m㏖)및 메타놀 20g의 혼합액을 물 2000g, 위 제품 DodigenR226(수중에서 50%농도) 12g및 소듐히드록사이드용액(수중에서 10%농도)10g의 초기혼합액에 20℃에서 6시간에 걸쳐 적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 혼합액을 20℃에서 2시간 더 교반시킨다음, 고형분함량 5.4%를 가진 안정성있고 미세한 백색의 분산액을 얻었다.
[대비실시예 2]
디메틸디에톡시실란 160.0g, 메틸트리메톡시실란 36.7g, 실시예 2 의 화합물II 2.6g 및 메타놀 20g의 혼합액 대신 디메틸디에톡시실란 160.0g(1.08㏖), 메틸트리메톡시실란 37.9g(0.28㏖) 및 메타크릴로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2.02g(8.1m㏖)의 혼합액을 적가하여 실시예 7 에서와같은 공정으로 처리하였다.
고형분함량 5.2%를 가진 안정성있고 미세한 백색의 분산액을 얻었다.
[대비실시예 3]
디메틸디에톡시실란 160.0g과, 메틸트리메톡시실란 36.7g과, 실시예 2 의 화합물 II 2.6g 및 메타놀 20g의 혼합액 대시에, 디메틸디에톡시실란 160.0g(1.08㏖),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8g(0.30㏖)의 혼합액을 적가시켜 실시예 7 에서와 같이 처리하였다.
고형분함량 5.1%를 가진 안정서있고 미세한 백색의 분산액을 얻었다.
3)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제조:
[실시예 8]
위 제품 DodigenR226(수중에서 50% 농도) 0.5g 및 물 50g을 고형분함량 8.6%를 가진 실시예 3 의 분산액 50g에 적가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을 8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20분간 질소가스로 포화시켰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g을 첨가시켜 10분간 교반시킨 후 그 혼합액을 80℃로 가열하였다. 1시간에 걸쳐 80℃로 처리하여 중합을 완료하였다. 물 100g을 첨가시킨 후 유출액 100g을 40℃에서 50mbar의 압력하에 제거하였다.
고형분함량 8.0%와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함량 50%을 가진 유백색의 분산액을 얻었다. 16㎚의 단분산구상입자의 유체역학적 반경 Rh와 3, 4 X 106의 분자량 Mw를 정적및 동작광산란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3 및 8 의 광산란데이타로부터, 그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중공의 구상구조를 가졌으며, 이와같은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실리콘)코어/(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셀 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졸에 수용성분사액의 전화(conversion) 및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한 디메틸 포름아미드에서 그라프트코폴리머의 관성반경 및 유체역학적 반경의 측정에 의해 실시예 8 에 의해 얻어진 그라프트코폴리머가 가교실리콘 코어와 비수용성매질에서 선상으로 발생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그라프트 브랜치(branches)를 가진 별(star)형상 폴리머 구조를 가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3 의 분산액 대신 실시예 4 의 분산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8 에서와같이 그 처리공정을 실시하였다. 고형분함량 8.0%와 그라프트 코폴리머중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함량 50%를 가진 유백색의 분산액을 얻었다. 16㎚의 단분산 구상 입자의 유체역학적 반경 Rh와 40 X 106의 분자량을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4 및 9 의 광산란데이타로부터, 그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공의 구상구조를 가지며, 이와같은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실리콘)코어/(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셀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에 그 수용성분산액의 전화(conversion)와,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한 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관성반경과 유체역학적 반경의 측정에의해, 실시예 9 에 의해 얻어진 그라프트코폴리머는 가교실리콘코어와, 비수용성매질에서 선상으로 발생하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그라프트 브랜치를 가진 별형상 폴리머구조를 가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3 의 분산액 디신 실시예 5 의 분산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8 에서와 같이 공정을 밟아 처리하였다. 고형분함량 8.1%와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함량 50%를 가진 유백색의 분산액을 얻었다.
18㎚의 단분산구상입자의 유체역학적 반경 Rh와 5.1 X 106의 분자량 Mw는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5 및 10의 광산란데이타로부터,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공의 구상구조를 가지며, 이와같은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실리콘)코어/(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셀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디메틸포름 아미드졸에 수용성분산액의 전화와,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한 디메틸 포름아미드에서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관상반경과 유체역학적 반경의 측정에 의해, 실시예 10 에 따라 얻어진 그라프트 코폴리머가 가교실리콘코어와, 비수용성매질에서 선상으로 발생하는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 그라프트 브랜치를 가진 별(star)형상 폴리머구조를 가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3 의 분산액대신에, 실시예 4 의 분산액을 사용하고, 메틸메타크릴 레이트 4.5g대신 스티렌 4.5g을 첨가시켜 실시에 8 에서와같이 처리공정을 실시하였다.
고형분 함량 8.2%와, 그라프트 코폴리머중 폴리스티엔의 함량 50%를 가진 유백색의 분산액을 얻었다.
16㎚의 단분산구상입자의 유체역학적 반경 Rh와, 3.2 X 106의 분자량을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4 및 11 의 광산란데이타로부터, 그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폴리스티렌은 중공의 구상구조를 가지며 이와같은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실리콘)코어/(폴리스티렌)셀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에 그 수용성분산액의 전화와,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한 디메티포름아미드에서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관성반경과 유체역학적반경의 측정에 의해, 실시예 11 에의해 얻어진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가교실리콘코어와 비수용성매질에서 선상으로 발생하는 폴리스티렌 그라프트 브랜치를 가진 별형상 폴리머구조를 가짐을 나타내었다.
[대비실시예 4]
위 제품 DodigenR226(수중에서 50%농도) 0.5g과 물 50g을, 고형분함량 8.5%을 가진 대비실시예 1 의 분산액 50g에 첨가하였다. 그 얻어진 혼합액을 8시간 교반시킨 다음, 20분간 질소가스로 포화시켰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0.5g과 쿠멘히드로 퍼옥사이드(쿠멘중에서 80%농도) 25㎎을 첨가시켜 10분간 교반시킨 다음, 소듐히드로겐설피트(수중에서 37%농도) 70㎎과 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0g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을 한시간 더 교반하였다. 그다음 80℃이내로 가열시키고, 2시간에 걸쳐 80℃에서 중합을 완료하였다.
물 100g을 첨가시킨 후, 유출액 100g을 40℃에서 50mbar와 압력하에 제거하였다.
고형분함량 8.1%와 그라프트 코폴리머중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함량 50%를 가진 투명한 백색의 분산액을 얻었다. 정적 및 동적 광산란에 의해, 20㎚의 단분산 구상입자의 유체역학적 반경 Rh와 5.1 X 106의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대비실시예 1 및 4의 광산란데이타로부터,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중공의 구상구조를 가지며, 이와같은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실리콘)코어/(유기폴리머)셀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디메틸 포름아미드졸에 그 수용성 분산액의 전화와, 정적 및 동적광산란에 의한, 디메틸 포름아미드중의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관성반경 및 유체역학적 반경의 측정에 의해, 대비실시예 4 에 의해 얻어진 그라프트 코폴리머는 연질구상구조, 즉 비수용성 매질에서 다중결합에 의해 실리콘코어를 중심으로하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사슬의 루프형상배열과 그라프트 브랜치의 루우스 루핑(loose loopings)을 가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6 의 분산액 540g을 초기에 반응용기에 넣은 다음 물/알코올 혼합액 85g을 물펌프 진공하에 30℃에서 중류시켜 제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고형분함량 5.4%를 가진 분산액 455g을 물 45g과 처리하여 고형분함량 5.0%되게 한 다음 위 제품 DodigenR226(수중에서 50%농도) 1.5g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을 1시간 더 교반시킨 다음 질소가스로 30분간 포화시켰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g을 첨가시켜 30분간 교반시킨 후 이 혼합액을 80℃에서 2시간에 걸쳐 중합을 완료하였다. 물 200g을 첨가시킨 후 유출액 300g을 90℃ 400mbar의 압력에서 제거하였다.
고형분함량 11.3%와 그라프트코폴리머중 폴리메틸 메타크릴 레이트함량 50%를 가진 미세하고 백색이며 안정성이 있는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7 의 분산액 5.80g을 그 반응용기에 초기에 넣고 물/알코올 혼합액 90g을 30℃, 물펌프 진공하에 증발제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고형분 함량 5.1%를 가진 분산액 490g을 물 10g과 처리하여 고형분함량 5.0%를 되게 하였다. 그 다음, 메틸메타크릴 레이트 25g대신 스티렌 12.5g을 첨가시켜 실시예 12 에서와 같이 처리공정을 밟았다. 고형분함량 8.8%와 그라프트 코폴리머중 폴리스티렌함량 33%를 가진 미세한 백색의 안정성있는 분산액을 얻었다.
이 실시예로서부터 분사-건조되는 (연구용 분사건조가 190, Buchi사제품) 미분말상의 그라프트 코폴리머 9.60g을 16시간 동안 속스렛(soxhlet)장치내에서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할 수 있는 폴리스티렌 함량은 사용은 그라프트 코폴리머에 포함된 유기폴리머의 16wt%(0.50g)미만이었다(즉, 3.20g).
[대비실시예 5]
대비실시예 2 의 분산액 1110g을 반응용기에 초기에 넣고 물/알코올 혼합액 235g을 30℃, 물펌프진공하에 증류제거하였다. 그결과 얻어진 고형분함량 5.7%를 가진 분산액 875을 물 125g과 처리하여 고형분함량 5.0%를 되게 하였다. 그리고 위 제품 DodigenR226 3.0g(수중에서 50%농도)을 첨가하였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g대신, 스티렌 25g; 포타슘포옥소디설페이트 용액 1g(수중에서 5%농도) 및 소듐히드로겐 설피트 용액 1g(수중에서 10% 농도)를 첨가하며, 80℃대신 중합온도 65℃를 선택하여 실시예 12에서와 같은 공정으로 처리하였다.
고형분함량 8.0%와 그라프트 코폴리머중 폴리스티렌함량 33%를 가진 미세한 백색의 안정성있는 분산액을 얻었다.
이 대비실시예 5에서 분무-건조되는(연구용 분무건조기 190, B chi사제품) 미분말상의 그라프트 코폴리머 18.60g을 16시간동안 속스렛 장치내에서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그 추출할 수 있는 폴리스티렌 함량은 사용한 그라프트 코폴리머에 포함된 유기폴리머함량 30wt%(1.85g)이었다(즉, 6.20g).
[대비실시예 6]
대비실시예 3 의 분산액 1110g을 반응용기에 초기에 넣고, 물/알코올 혼합액 210g
30℃, 물펌프진공하에 증류제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고형분함량 5.6%를 가진 분산액 890g을 물 110g과 처리하여 고형분함량 5.0%로 되게하고, 위 제품 DodigenR226 3.0g(수중에서 50%농도)을 첨가하였다.
그다음, 메틸메타크릴 레이트 25g 대신, 스티렌 25g, 포타슘 히드로겐 설피트용액 1g(수중에서 10%농도)를 사용하며, 80℃대신 중합온도 65℃를 선택하여 실시예 12 에서와같은 공정을 밟아 처리하였다.
고형분함량 8.1%와 그라프트 코폴리머중 폴리스티렌 함량 33%를 가진 미세한 백색의 안정성있는 분산액을 얻었다.
이 대비실시예 6 에서 분무건조되는 (연구용 분무건조기 190, Bu chi사제품) 미분말상의 그라프트 코폴리머 18.90g을 16시간동안 속스렛 장치내에서 톨루엔으로 추출시켰다. 추출할 수 있는 폴리스티렌 함량은 사용한 그라프트 코폴리머에 포함된 유기폴리머함량 80wt%(5.1g)이상이었다(즉, 6.30g).

Claims (7)

  1. 프리래디컬 형성기를 포함하며, 다음일반식(1)의 단위 0.2∼50.0wt%와, 다음일반식(2)의 단위 0∼80.0wt%와, 다음일반식(3)의 단위 0∼99.5wt%와 다음일반식(4)의 단위 0-∼99.8wt% 및 다음일반식(5)의 단위 0∼80.0wt%로 구성되며, 다만 일반식(4) 및 (5)의 단위합이 최소한 0.5wt%이고 오르가노폴리실록산 5wt%미만을 톨루엔으로 추출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RaSi(O(3-A)/2)R1-x-(R1-Si(O(3-a)))bRa] (1)
    [R3SiO1/2] (2)
    [ R2SiO2/2] (3)
    [RSiO3/2] (4)
    [SiO4/2] (5)
    위식세어, R은 같거나 다른 1가의 SiC-결합되고 선택치환된 C1∼C18- 탄화수소래디컬이고, R1은 -O-, -COO-, -OOC-, -CONR2, -NR2CO- 및 -CO-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양측상의 탄소원자에 결합되고 2가의 래디컬에 의해 절단시킬 수 있는 같거나 다른 2가의 SiC-결합되고 선택치환되는 포화 또는 불포화 C1∼C18-알킬렌래디컬이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래디컬 R이고, X는 -N=N-, -O-O-, -S-S- 및 -C(C6H5)2-C(C6H5)2-로 구성되는 그룹의 래디컬이며, a는 0, 1 또는 2이고, b는 0 또는 1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그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은 다음일반식(8)의 단위 0.2∼50.0wt%를 가짐을 특징으로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CH3)aSi(O(3-a)/2)-(CH2)3-N(R3)-C(O)-(CH2)2-C(N)(CH3)-N=]2(8)
    위 식에서, a는 0, 1 또는 2이고,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 또는 시클로헥실래디컬이다.
  3. 제1항에 프리래디컬형성기를 포함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음일반식(9)의 실란과, 다음 일반식(10)의 오르가노실리콘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다음일반식(11)의 단위의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을 유화제와 물의 교반호합액에 혼합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RaSi((OR4)(3-a))-R1-X-(R1-Si(OR4)3-a))bRa(9)
    RaSi((OR4)4-c(10)
    Rd(R4O)eSiO4-d-e/2(11)
    위식에서, R은 같거나 다름 1가의 SiC-결합되고 선택치환된 C1- ∼C18-탄화수소래디컬이고, R1은 -O-, -COO-, CONR2-, NR2CO- 및 -CO-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양측상의 탄소원자에 결합하고, 2가의 래디컬에 의해 절단시킬 수 있는 같거나 다른 2가의 SiC- 결합되고 선택치환되는 포화 또는 불포화 C1- ∼C18-알킬렌래디컬이며, R4는 R의 정의를 가지며, X는 -N=N-, -O-O-, -S-S- 및 -C(C6H5)2-C(C6H5)2-로 구성되는 그룹의 래디컬이며, a는 0, 1 또는 2이고, b는 0 또는 1이며, c는 0, 1, 2 또는 3이고, d와 e는 각각의 경우 서로 각각 0, 1, 2, 3 또는 4이다.
  4. 제1항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95∼5wt%를 에틸렌불포화모노머 5∼95wt%와 수용성 분산액에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하는 그라프트 코폴리머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분산액을 반응용기내에 초기에 넣어 그 모노머를 혼합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6. 제4항에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그 모노머로서 스티렌과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탄소원자 1-4개를 가진 지방족 알코올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사용함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7. 제4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그라프트 코폴리머.
KR1019940028885A 1993-11-10 1994-11-04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방법 KR0152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94-P4338421.8 1993-11-10
DE4338421A DE4338421A1 (de) 1993-11-10 1993-11-10 Pfropfcopolymerisate aus Organopolysiloxanen als Radikalmakroinitiato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185A KR950014185A (ko) 1995-06-15
KR0152310B1 true KR0152310B1 (ko) 1998-10-15

Family

ID=650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885A KR0152310B1 (ko) 1993-11-10 1994-11-04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23365A (ko)
EP (1) EP0659838B1 (ko)
JP (1) JP2693391B2 (ko)
KR (1) KR0152310B1 (ko)
AT (1) ATE136322T1 (ko)
CA (1) CA2118173C (ko)
DE (2) DE4338421A1 (ko)
ES (1) ES2085817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74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어-쉘 공중합체 제조방법,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220027085A (ko) 2019-06-28 2022-03-07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유리상 탄소 성형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1206A1 (fr) * 1994-06-17 1995-12-22 Oreal Composition capillaire comprenant une dispersion aqueuse de polymères.
EP0766957B1 (en) * 1995-10-05 2002-03-13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A base material for hair cosmetics
US6113883A (en) * 1997-04-25 2000-09-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styling compositions comprising silicone-containing copolymers
US6074628A (en) * 1997-04-25 2000-06-13 Procter & Gamble Hairspray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 block copolymers
US6136296A (en) * 1997-04-25 2000-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5965115A (en) * 1997-11-05 1999-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5968495A (en) * 1997-11-05 1999-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5985295A (en) * 1997-11-05 1999-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5997886A (en) * 1997-11-05 1999-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6093410A (en) * 1997-11-05 2000-07-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5985294A (en) * 1997-11-05 1999-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JP3876946B2 (ja) * 1998-01-20 2007-02-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帯電付与部材用コーティング剤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用キャリア
US6149898A (en) * 1998-06-22 2000-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styling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microemulsions and cationic non-polymeric liquids
DE19958042A1 (de) * 1999-12-03 2001-06-21 Invitek Gmbh Oberflächenmodifizierte Trägermaterialien zur Bindung biologischer Materiali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1192454A (ja) * 2000-01-14 2001-07-17 Shin Etsu Chem Co Ltd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ゴム用配合剤及びそれを用いたゴム組成物並びにタイヤ
DE10232993A1 (de) * 2002-07-19 2004-02-05 Wacker Polymer Systems Gmbh & Co. Kg Silicon-haltige Polymerisate von ehtylenisch ungesättigten Monomeren
US7585922B2 (en) 2005-02-15 2009-09-08 L'oreal, S.A. Polymer particle dispersio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it and cosmetic process using it
US8277788B2 (en) * 2005-08-03 2012-10-02 Conopco, Inc. Quick dispersing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7862886B2 (en) * 2005-08-12 2011-01-04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antireflection film,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employing the same
US20100204355A1 (en) * 2007-09-07 2010-08-12 Nicholas Leventis Polymer nanoencapsulated acid-catalyzed sol-gel silica monoliths
US8501319B2 (en) * 2007-09-07 2013-08-06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University of Missouri System, Office of Technology and Special Projects Pre-formed assemblies of solgel-derived nanoparticles as 3D scaffolds for composites and aerogels
EP2571911A1 (de) 2010-05-19 2013-03-27 Evonik Goldschmidt GmbH Polysiloxan blockcopolymere und deren verwendung in kosmetischen formulierungen
CN102858828A (zh) 2010-05-19 2013-01-02 赢创高施米特有限公司 聚硅氧烷嵌段共聚物及其在化妆品配制物中的用途
KR102093964B1 (ko) * 2016-08-09 2020-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9650A (en) * 1970-10-21 1973-03-06 Union Carbide Corp Hydrolyzable functional sylyl alkyl alkyl peroxides
US3775386A (en) * 1971-05-25 1973-11-27 Du Pont Polymers having silicon containing end group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DE3226091C2 (de) * 1982-07-13 1986-11-20 Degussa Ag, 6000 Frankfurt Polymere Di-, Tri- oder Tetrasulf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H0233053B2 (ja) * 1985-04-30 1990-07-25 Osaka City Azokiganjuhorishirokisanamido
JPS6317291A (ja) * 1986-07-09 1988-01-25 Seiji Kumakawa 結晶成長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47620B2 (ja) * 1987-02-02 1994-06-22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ジ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アゾベンゼン交互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97735A (ja) * 1989-08-14 1991-04-23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シロキサンイニファーター化合物
FR2652582B1 (fr) * 1989-10-02 1992-01-24 Rhone Poulenc Chimie Disulfure de thiurame greffe polydiorganosiloxane et son utilisation lors de la polymerisation radicalaire de monomeres vinyliques.
DE4040986A1 (de) * 1990-12-20 1992-06-25 Wacker Chemie Gmbh Elastomere pfropfcopolymerisate mit kern-huelle-struktur
JP3126772B2 (ja) * 1991-10-29 2001-01-22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JP3271376B2 (ja) * 1992-06-09 2002-04-02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アゾ基含有ポリシロキサンアミドの製造法
JPH069716A (ja) * 1992-06-26 1994-01-18 C I Kasei Co Ltd アゾ基含有ポリシロキサンエステル系重合開始剤
DE4225978C1 (de) * 1992-08-06 1994-04-07 Degussa Geformte Organosiloxan-Polykondens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74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어-쉘 공중합체 제조방법,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220027085A (ko) 2019-06-28 2022-03-07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유리상 탄소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93391B2 (ja) 1997-12-24
ES2085817T3 (es) 1996-06-01
DE4338421A1 (de) 1995-05-11
JPH07188414A (ja) 1995-07-25
EP0659838B1 (de) 1996-04-03
US5523365A (en) 1996-06-04
EP0659838A1 (de) 1995-06-28
CA2118173A1 (en) 1995-05-11
KR950014185A (ko) 1995-06-15
CA2118173C (en) 1998-04-07
DE59400185D1 (de) 1996-05-09
ATE136322T1 (de)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2310B1 (ko) 가교시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방법
KR920010084B1 (ko) 실리카-핵 실리콘-쉘 입자, 상기 입자가 분산된 유화액 및 상기 유화액의 제조방법
CA1258933A (en) Polyorganosiloxane-base graft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544766B2 (ja) 微粒状多相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30334B2 (ja) 高い切欠き衝撃強度を有するグラフト重合体類
US5223586A (en) Elastomeric graft copolymers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KR100197343B1 (ko) 단분산성의 가용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입자
CN108137763A (zh) 接枝共聚物、交联颗粒、接枝交联颗粒、橡胶质聚合物、以及使用其的热塑性树脂组合物
KR101747592B1 (ko)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함유 그래프트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TW208698B (ko)
US6433077B1 (en) Emulsion polymerized silicone rubber-based impact modifiers, method of making, and blends thereof
CN106519144A (zh) 乙烯基系接枝共聚物和含有其的树脂组合物、及乙烯基系接枝共聚物的制备方法
WO1997010283A1 (fr) Caoutchouc acrylique modifie par une silicone particulaire, copolymere greffe particulaire a base de celui-ci et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CA2138934C (en) Soluble organopolysiloxane free-radical macroinitiators for graft copolymerization
EP0485771A1 (en) Method and organopolysiloxane/organic polymeric compositions obtained therefrom
CN105566558B (zh) 无皂纳米级核壳型硅丙乳液的制备方法
JP2004502808A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を単離する方法
JP3701768B2 (ja) 架橋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粒子およびその製造法
JPS6363710A (ja) ノツチ付き衝撃強さをもつたシリコ−ン・ゴム・グラフト重合体
JPS61106614A (ja) 耐衝撃性樹脂の製造法
US20020147271A1 (en) Emulsion polymerized silicone rubber-based impact modifiers, method for making, and blends thereof
EP1167405A2 (en) Dendrimer-based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JP2764412B2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531367A (ja) 二元シリコーン−アクリルポリマー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