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168B1 - 칼라옴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옴극선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168B1
KR0145168B1 KR1019940023114A KR19940023114A KR0145168B1 KR 0145168 B1 KR0145168 B1 KR 0145168B1 KR 1019940023114 A KR1019940023114 A KR 1019940023114A KR 19940023114 A KR19940023114 A KR 19940023114A KR 0145168 B1 KR0145168 B1 KR 0145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field
cathode ray
ray tub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카즈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4Magnetic materials, e.g. soft iron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버전스특성을 개량한 인라인형 칼라음극석관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용기의 패널(10내면에 적, 녹, 청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충으로 이루어지는 형광면(7)이 형성되며, 네크(3)내에 동일축(일반적으로는 수평축x)상에 배열된 세 개의 전자빔(5R)(5G)(5B)을 방출하는 인라인형 전자총 어셈블리(6)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6)는 일령 배치의 3개의 음극을 구비하고 이 음극에서 형광면에 차례로 각 음극으로부터의 전자빔을 형광면을 향해서 집속, 가속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외관용기의 네크외벽에는 외부자계를 조정하는 자성부재로서 한쌍의 띠형상의 자성조각(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자성조각(20)은 판두께 0.35mm, 폭 4mm, 관축방향길이 40mm의 온간압연 규소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전자빔배열면상에서 긴쪽방향중심이 음극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음극을 중심으로 전후에 각 200mm관측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 자성조각(20)에 의해 외부자계의 영향에 의해 컨버전스변화가 억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음극선관
제1도는 종래의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전자총 어셈블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2A도는 음극 및 근방의 전극을 나타내는 모식사시도,
제2B도는 음극부분을 관축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칼라음극선관의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의 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태내는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네크부분을 나타내는 모식사도로서 자성부재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6A도는 본원 발명의 자성부재를 배치한 칼라음극선관의 경우
제5도에 나타낸 자성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자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제6B도는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의 경우 제5도에 나타낸 자성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자계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제7A도 및 제7B도는 네크로의 자성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이와 같은 배치에 있어서의 자성부재의 길이에 의한 컨버전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특시 자성부재의 폭을 변화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특성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네크로의 자성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이와 같은 배치에 있어서의 자성부재의 길이에 의한 컨버전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특히 자성부재의 관축방향길이를 변화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특성도,
제9A도 및 제9B도는 네크로의 자성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이와 같은 배치에 있어서의 자성부재의 배치위치를 변화시켰을 때의 컨버전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제5도에 나타내는 자성부재가 다극자계발생 수단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모식도,
제11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네크부분은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제13도는 제11도의 네크부분은 나타내고 모식도이고, 자성부재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사시도,
제14도는 제11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한 제2자성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제2자성부재의 길이와 작용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특성도이고, 중앙빔의 이동량으로 평가한 것,
제16도는 본 발명의 칼라음극선관의 네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에 나타내는 다극자계 발생수단의 구성을 분해햐여 나타내는 도면,
제18도는 제17도에 나타내는 다극자계 발생수단에 있어서 제1자성부재의 배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제19A도 및 19B도는 제14도에 나타낸 다극자계 발생수단에 있어서 제2자성부재의 배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패널2:퍼넬
3:네크4:편향장치
5B,5G,5R:3전자빔6:전자총어셈블리
7:형광면10B,10G,10R:3개의 음극
11:전극12:전연지지체
13:음극슬리브14:음극실린더
15:음극 스트라이프610,620:자성조각
41,42,521,522:4극 마그네트플레이트대
43,44,523,524:6극 마그네트플레이트대
500:다극자계 발생수단510:원통형상 홀더
550:고정링551:나사홈
513:나사산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버전스특성을 개량한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은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1)과 이 패널(1)에 연이어 접하는 퍼넬(2)로 이루어지는 외관용기를 가지고 있다. 패널(1)내면에는 적, 녹, 청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지는 형광면, 측 스크린(7)이 형성되고 이 형광면(7)에 근접대향하여 새도우마스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퍼낼(2)의 네크(3)내에 동일축(일반적으로는 수평축X)상에 배열돤 3전자빔(5B,5G,5R)을 방출하는 인라인형 전자총 어셈블리(6)가 내장되어 있다. 또 퍼넬(2)에서 네크(3)에 걸친 영역의 외측에는 편향장치(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네트(3)외부 둘레에는 다극자계를 발생하는 다극자계 발생수단(PM)이 장착되고, 이 다극자계 발생수단(PM)에 의해 스크린 중앙에서 양호한 색순도 및 컨버전스를 얻을 수 있도록 전자총어셈블리(6)에서 방출된 세개의 전자빔(5B,5G,5R)이 조정된다. 그리고 이 세 개의 전자빔(5B,5G,5R)이 편향장치(4)에 의해 편향되어 스크린이 주사됨으로써 형광면(7)상에 칼라화상이 재현된다.
통상 상기 인라인형 전자총 어셈블리(6)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가 내부에 삽입된 일렬배치의 3개의 음극(10B,10G,10R)을 구비하고, 이 음극(10B,10G,10R)에서 형광면방향으로 차례로 각 음극(10B,10G,10R)에서 이 전자빔을 제어, 집속, 가속하는 복수의 전극(11)을 가지며, 각 전극(11)이 3개의 음극(10B,10G,10R)과 함께 절연지지체(12)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각 음극(10B,10G,10R)은 한 단부에 전자방출부가 설치된 음극소자를 가지는 음극슬리브(13)와 이 음극슬리브(13)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로서, 음극실린더(14) 및 이 음극실린더(14)를 약 반둘레 둘러싸도록 그 외부둘레면에 설치된 음극스트라이프(15)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으며, 음극스트라이프(15)의 양단이 다른 전극과 함께 절연지지체(12)에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 전자총어셈블리의 전극(11)은 비자성재료로 형성되지만 음극 실린더(14) 및 음극스트라이프(15)에는 자성재료가 이용되는 일이 많다.
또한 편향장치(4)는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과, 한쌍의 새들형 수직 편향코일을 가지며, 수평편향코일에 의해 픽션형 편향자계를, 수직편향코일에 의해 배럴형 편향자계를 각각 발생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인라인형 전자총 어셈블리와 비제일자계를 발행하는 편향자치를 조합시킴으로써 전자총 어셈블리에서 방출되는 세 개의 전자빔(5B,5G,5R)을 패널(1)내면에 형성된 형광면(7)상에 수렴시킨다. 즉 셀프컨버전스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에 의하면 세 개의 전자빔의 컨버전스를 스크린전역에 걸쳐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칼라음극선관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이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전자총 어셈블리의 음극부분에 자성재료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외부자계의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제2A도 및 제2B도에 자타내는 인라인형 전자총어셈블리의 경우 중앙빔을 방출하는 음극(10G)에서는 음극스트라이프(15)가 중심축에 관해서 대칭이 아니고, 또한 사이드빔을 방출하는 음극(10B,10R)에서는 중심측 음극(10G)과 반대의 외측에는 음극실린더(14)의 반둘레 및 음극스트라이프(15)의 일부밖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비해 중앙음극(10G)측에는 음극실린더(14)의 반둘레 및 음극스트라이프(15)의 대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양측에 위치하는 음극(10B,10R)에서는 중심선의 좌우에서 자성재료의 배치량이 다른 경우가 맣다. 이와 같은 음극의 배열축상에서의 자성부재배치량의 비균일성 때문에 관축방향의 지자기성분이 인가된 경우에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과 청의 표시화상이 상하 역방향으로 벗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컨버전스변화는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의 조정공정을 실시했을 때와 다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배치한 경우나, 지자기조건이 다른 지역에서 사용한 경우에 현저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디스플레이용의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의 경우는 화상품위로서 0.3mm이하의 미스컨비전스량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미스컨버전스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네크부의 외측에 통상의 자성체를 배치하는 것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2-315737호 공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2-24250호 공보에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와 같은 수단을 이용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미스컨버전스를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자기의 영향에 의한 미스컨버스를 억제할 수 있는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용기의 패널내면에 형성된 형광면과, 이 형광면에 대향하여 일렬비치된 복수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총 어셈블리에 있어서, 적어도 전자빔 배열면상에서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 외측이 되는 위치에 관축방향으로 긴 한쌍의 자성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이 제공된다.
또한 외관용기의 패널니면에 형성된 형광면과, 이 형광면에 대향하여 일렬 비치된 3개의 음극와, 이 음극의 형광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세 개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인라인형 전자총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칼라음 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음극근방에서 상기 세개의 전자빔 가운데 사이드빔에 작용하는 외부자계의 음극배열축방향성분을 조정하는 한쌍의 자성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이 제공된다.
또한 관축방향으로 긴 제1자성부재와, 다극자계 발생수단의 다극자계 발생플레이트근방에 배치된 제2자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자성부재는 칼라음극선관의 네크에 배치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자성부재가 칼라음극선관에 장착된는 다극자계 발생수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제1자성부재는 다극자계 발생수단의 원통형상 홀더에 설치되며, 제2자성부재는 다극자계 발생수단의 분할스페이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전자빔 배열면상에서 사이드빔의 축에 대해 중앙빔과는 반대외측에 한쌍의 제1자성부재를 배치하고 있다. 이 제1자성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외부자계의 음극배열축방향성분의 크기·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외관용기의 패널측(또는 네크측)에서 진입한 지자기로 대표되는 외부자계에서, 동시에 음극배열축방향 외측, 즉 양측 음극간의 간격분 영역의 외측을 통과하는 자계는 제1자성부재쪽으로 수속되게 된다. 또한 중앙에 위치하는 음극과 양측에 위치하는 음극사이를 통과하여 중앙음극측에 수속된 자계가 제1자성부재에 수속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음극근방에서 전자빔궤도에 직각으로 쇄교(鎖交)하는 자계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한쌍의 사이드빔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움직이는 전자력(로렌츠힘)의 발생을 억제하여 컨버전스의 벗어남을 억제한다.
또한 칼라음극선관의 네크에 장착되는 다극자계 발생수단의 다극자계발생 플레이트의 근방에 배치되는 제2자성부재는 다극자계 발생 마그네트 플레이트 근방에 있어서의 자성체의 배치량을 균형 맞추어서 다극자계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자계가 제1자성부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칼라음극선관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1)
제4도 및 제5도에 본원 발명에 의한 칼르음극선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원실시예에 의한 칼라음극선관은 패널(1)과 이 패널(1)에 연이어 접하는 퍼넬(2)로 이루어지는 외관용기를 가지며, 패널(1) 내면에 적, 녹, 청으로 발광하는 3색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지는 형광면(7)이 형성되며, 이 형광면(7)에 근접대향하여 새도우마스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퍼넬(2)의 네크(3)내에 동일축(일반적으로는 수평축X) 상에 배열된 세개의 전자빔(5B,5G,5R)을 방출하는 인라인형 전자총어셈블리(6)가 내장되어 있다. 또 퍼넬(2)에서 네크(3)에 걸친 영역의 외측에는 편향장치(4)가 장착되어 있다. 편향장치(4)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한쌍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과, 한쌍의 새들형 수직편향코일로 이루어지고, 수평편향 코일은 픽션형 평향자계를 발생하고 수직편향코일은 배럴형 편향자계를 발생한다.
전자총어셈블리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히터가 내부에 삽인된 일렬배치의 3개의 음극(10)을 구비하고, 이 음극(10)에서 형광면방향으로 자례로 각 음극으로 부터의 젖자빔을 제어, 집속, 가속하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며, 각 전극이 상기 3개의 음극(10)과 함께 절연지지체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또 각 음극은 일단부에 전자방출부가 설치된 음극소자인 음극 슬리브와 이 음극슬리브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로서 음극 실린더 및 이 음극 실린더를 약 반둘레 둘러싸도록 그 외관용기에 설치된 음극스트라이프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으며, 음극스트라이프의 양단이 전극과 함께 절연지지체에 일체로 고정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총어셈블리의 전극은 비자성 재료로 형성되지만 음극의 음극스트라이프에는 자성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외관용기의 네크(3)외벽에는 외부자계를 조정하는 자성부재로서 한쌍의 띠형상의 자성조각(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자성조각(20)은 판두께 0.35mm, 폭 4mm, 관축방향길이 40mm의 온간압연 규소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전자빔배열면인 XZ평면상에서 긴쪽방향이 관축에 따르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자성조각(20)의 긴쪽방향중심이 음극(10)을 통과하도록 자성조각(20)이 배치되며, 음극(10)을 중심으로 전후로 각 20mm관축방향으로 이어지게 된다.
다음에 제6A도 및 제6B도를 참조하여 자성부재를 가지는 본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에 있어서의 자성부재의 작용에 대해서 자성부재를 가지지 않는 종래의 칼라음극선관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제6A도는 본 실시예를, 제6B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동시에 무자계환경으로 조정된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에 패널측에서 네크를 향해서 통과하는 직류자계(0.3가우스)를 인가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것은 일본에 있어서 칼라음극선관의 패널을 남쪽을 향해서 배치한 경우의 지자기상태에 상당한다. 도면중 실선 화살표(IB,IG,IR)는 전자빔(5B,5G,5R)을 전류의 방향으로 나타내는 것이고, 파선(22)은 외부자계로서의 지자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라인형 칼라음극선관의 전자총 어셈블리의 음극 부분을 패널측에서 보았을 때 양측에 위치하는 음극(10B,10R)의 중심선의 죄우에서 자성재료의 배치량이 다른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양측 전자빔(5B,5R)의 중심의 외측에는 음극실린더의 반둘레 및 음극스트라이프의 일부밖에 없는 것에 대해서 중앙빔(5G)측에는 중앙음극(10G)의 음극실린더의 반둘레 및 음극 스트라이프의 대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이 경우 제6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라음극선관의 패널측에서 침입한 지자기(22)는 중앙음극(10G)를 향해서 수속되는 형태가 된다. 이때 중앙음극(10G)으로 향하는 지자기 성분이 전자빔에 부여하는 로렌츠의 힘은, 적전자빔(5R)에 대해서는 위방향(도면중 FR로 나타낸다), 적전자빔(5B)에 대해서는 아래방향(도면중 FB로 나타낸다)이 되고, 적, 청으로 비대칭이 된다. 이 결과 녹색화상을 중심으로 적색화상이 위로, 청색화상이 아래로 벗어나는 컨버전스 변화가 발생하여 화상품위를 악화시킨다.
이것에 대해서 제6A도에 나타내는 자성부재를 갖는 본 실시예의 칼라 음극 선관에 의하면 제6B도에 나타내는 자성부재를 가지지 않는 종래의 칼라 음극 선관의 경우와 비교해서 전자빔배열면상에서는 음극과 자성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측에서 진입한 지자기는 자성조각(20)에 의해 수속되어 음극 후방까지 유도되며, 또한 양측음극(10B,10R)과 중앙음극(10G)간을 통과하여 중앙음극(10G)측에 수속된 자계가 자성조각(20)에 수속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전자빔궤도에 직각으로 쇄교하는 지자기성분이 대폭 감소된다. 그 결과 전자빔이 받는 불필요한 전자력(로렌츠힘)의 발생은 대부분 없어진다.
상기 실시예와 종래예를 비교한 데이터를 표1에 나타낸다. 표1은 무자계중에서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전스조정을 실시한 후에 패널측보다 0.3가우스의 자계를 첨가했을 때의 컨버전스의 변화를 나타낸다. 표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컨버전스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자성부재에 의한 컨버전스변화의 억제효과는 그 형상, 배치위치 등에도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형상에 의한 영향에 관한 검토결과를 제7A도와 제7B도 및 제8A도와 제8B도에, 비치위치의 영향에 대해서 제9A도 및 제9B도에 나타낸다. 제7A도 및 제7B도는 네크외부 둘레길이의 1/2둘레에 대해서 자성부재의 폭(WL)이 차지하는 비율을 변화 시켰을 때의 컨버전스 변화량을 측정한 것이다. 이 때 자성부재의 관축방향 길이는 30mm로 고정되어 있다. 제7A도 및 제7B도에서 5%∼20%의 범위에 있어서 컨버전스변화의 억제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폭을 너무 크게 해도 효과가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성부재의 폭(WL)(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네크원둘레방향의 길이)이 너무 큰 경우에는 반대로 보정효과가 작아지는 것은 음극배열축에 대해서 상하부분까지 자성부재가 도달하게 되면 자성부재의 상하부분에서도 지자기가 끌어당겨서 상대적으로 지자기의 음극배열축방향성분을 클어당기는 힘을 약하게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제8A도 및 제8B도는 자성부재의 관축방향길이(L)를 변화시켰을 때의 컨버전스변화량을 측정한 것이다. 이 때 자성부재의 폭은 4mm로 고정되고 음극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자성부재의 길이는 균등하게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제8A도 및 제8A도에서 자성부재의 관축방향길이(L)는 긴쪽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9A도 및 제9B도는 음극에 대한 자성부재의 배치위치를 변화시켰을 경우의 컨버전스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이때 자성부재의 길이는 폭 5mm, 길이 25mm, 두께 0.35mm로 고정하고, 음극중심에서 자성부재중심의 거리(a)를 횡축으로 하고 있다. 이 제9A도 및 제9B도에서, 음극에 대해서 자성부재가 패널측에 많이 위치하고 있는 쪽이 컨버전스변화는 작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양측 음극의 외측에 위치하는 자성부재는 외부자계가 인가되었을 때에 음극배열축방향의 성분을 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용하는 전자총 어셈블리마다 양측 전자빔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자성재료의 작용이 균형이 맞도록 자성부재의 길이·배치위치를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네크외벽에 자성조각을 배치하고 있는데 네크외벽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음극배열측상에서 음극의 외측에 위치하면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아타내는 자성부재는 인라인형 전자총 어셈블리를 가지는 칼라음극선관이면 적용가능하고, 칼라음극선관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에서는 지자기에 의한 미스컨버전스억제효과를 유효하게 하면 자성부재(20)의 관축방향 길이가 길어지고, 자성부재(20)가 네크부에 장착되는 다극자계발생수단(PM)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제10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극자계를 발생하는 컨버전스 조정장치로서의 다극자계 발생수단을 이용하여 전자빔(5B,5G,5R)의 집중상태를 조정하려고 하면, 제10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부재(20)가 다극자계 발생수단에 의해 착자(着 )되고, 그 걸과 다극자계 발생수단에 의한 스크린중앙에서의 전자빔의 색순도 및 컨버전스의 조정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지자기에 의한 미스컨버전스를 대책하기 위한 자성부재를 배치한 경우에도 다극자계 발생수단의 보정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일이 없이 칼라음극선관의 한가지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본실시예에 의한 칼라음극선관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11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칼라음극선관의 단면도, 제12도는 네크부분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및 제13도는 자성부재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칼라음극선관의 전체구성은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크(3)의 최측에는 다극자계 발생수단(40)이 배치되어 있다. 이 다극 자게발 생수단(40)은 4극 마그테트플레이트대(41,42)와 6극 마그테트플레이트대(43,44)가조립되어 있다. 또 퍼넬(2)에서 네크(3)에 걸친 영역의 최측에는 편향장치(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편향장치(4) 및 정자총(6)도 실시예1과 동일의 구성이다.
또한 외관용기의 네크(3)외벽에는 상기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외부자계를 조정하는 제1자성부재로서 한쌍의 띠형상의 자성조각(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성조각(20)은 판두께 0.35mm, 폭 4mm, 관축방향길이 40mm의 온간압연 규소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전자빔의 배열면인 XZ평면상에서 긴쪽방향이 관축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또 자성조각(20)의 긴쪽방향중심위치가 음극(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음극(10)을 중심으로 전후에 각 20mm관축방향으로 이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네크외면과 다극자계 발생수단(40)의 6극 마그네트플레이트대(43,44)와의 사이에는 제2자성부재로서 원환상의 자성조각(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원환상의 자성조각(30)은 판두께 0.35mm, 폭 4mm, 의 온간압연규소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네크외부둘레를 일주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의한 자성부재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자성부재(20)의 작용은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고, 제6A도 및 제6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제2자성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4도에 본 실시예에 의한 칼라음극선관에 이용되는 6극 마그네트플레이트대(43,44)의 배치위치에 있어서의 X-Y단면 및 발생자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자속을 발생하는 마그네트 플레이트부의 네크측에제2자성부재로서 원환상의 자성조각(30)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을 위한 네크외부둘레와 마그네트플레이트대 근방에서 제10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자성부재의 배치량의 불규칙함은 없어지고, 국부적인 착자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 걸과,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소정의 6극 자계형상을 얻을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자성부재를 배치하지 않은 경우는 제10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극 마그네트 플레이트의 발생자계에 의해 제1자성부재가 착자하기 때문에 6극 자계형상이 흐트러진다.
중앙빔의 이동량에서 6극자계의 균일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표2에서는 사이드빔의 이동량을 100(%)로 하여 중앙빔의 이동량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 나타냈다. 표2에서 중앙빔의 이동량을 5%정도까지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중앙빔의 이동량의 개선효과는 네크외부둘레길이에 대한 원환상의 제2자성부재가 네크외부둘레를 덮고 있는 길이의 쉴드비율에 좌우된다.
여기서 제2자성부재가 네크외부둘레를 일주하여 전부 덮도록 감았을 때를 쉴드율 100%로 하고, 쉴드비율을 횡축으로 하여 중앙빔의 이동량의 비율을 종축으로 한 여러 가지의 폭(WO)에 대한 그래프가 제15도에 나타나 있다. 제15도에서 쉴드비율은 높은 쪽이 효과가 높지만 완전하게 쉴드하지 않아도 70%정도에서도 충분히 효과를 인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양측전자빔의 축에 대해서 중앙 전자빔과는 반대의 외측에 제1자성부재를 배치하고 있다. 이 제1자성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외관용기의 패널측에서 진입한 지자기로 대표되는 외부자계에서, 음극배열축방향 외측을 통과하는 자계는 자성부재쪽으로 수속되게 된다. 또한 중앙에 위치하는 음극과 양측에 위치하는 음극간을 통과하고, 중앙음극측에 수속되어 있는 자계가 제1자성부재에 수속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음극근방에서 전자빔궤도에 직각으로 쇄교하는 자계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한쌍의 사이드빔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위해 음직이는 전자력의 발생을 억제하여 컨버전스의 벗어남을 억제한다. 또 제2자성부재가 네크외부둘레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극자계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자계가 국부적으로 제1자성부재에 끌어당겨지는 일이 없도록 네크외부 둘레에서 자성체량 균형을 맞춘다.
(실시예3)
상기한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나타내는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위치는 자성부재의 지자기 차폐효과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으며, 배치위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지자기 차폐효과가 저하하고 컨버전스품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하는 효과가 작아진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자성부재는 네크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주로 설명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자성부재를 설치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작업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작업 시간은 칼라음극선관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작업시간의 단축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하 이와 같은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 설치정밀도가 우수한 수단의 한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6도 내지 제19A도 및 제19B도는 본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칼라음극선관은 네크부에 다극자계 발생수단을 갖는 구조이며 다극자계 발생수단이외는 제11도와 동일의 구성이다. 제16도는 네크부를 확대하여 다극자계 발생수단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7도는 다극자계발생수단의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네크(3)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극자계 발생수단(500)은 네크의 외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상 홀더(510)와, 이 원통형상 홀더(510)에 설치되는 복수의 원환상 부재와, 이 복수의 원환상 부재를 원통형상 홀더(5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5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형상 홀더(510)의 외부둘레면에는 홈(511), 고정링(550)의 나사홈(551)에 끼워 및 추는 나사산(513)이 설치되며, 내부둘레면에는 제1자성부재(610)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원환상 부재는 제1다극자계로서 4극자계를 발생하는 4극 마그네트 플레이트대(521,522), 제2다극자계로서 6극자계를 발생하는 6극 마그네트플레이트대(523,524), 4극과 6극 마그네트플레이트대(522,523) 사이에 배치되는 제1분한 스페이서(530), 6극 마그네트 플레이트 대 중 안쪽(524)과 고정링(55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분한 스페이서(540)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분할 스페이서(530)는 마그네트플레이트(521,522,523,524)의 판두께와 거의 동일의 판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둘레면측에는 돌기(531)가 설치되어 있다. 제2분할 스페이서(540)는 제1분할 스페이서(530)와 비교하여 두껍게 내부둘레면측에 제2자성부재(620)가 배치되며, 또 제1분할 스페이서(530)와 마찬가지로 내부둘레면측에 돌기(541)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돌기(531,541)는 원통형상 홀더(510)의 외부 둘레면에 설치된 홈(511)에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으며, 복수의 링형상 부재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고정링(550)의 회전이 다극자계 발생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극자계발생 플레이트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다극자계 발생장치는 원통형상 홀더(510)의 단부를 죄는 밴드(560)와 죄는 나사(561)를 이용하여 네크(3)에 고정된다.
다음에 제1 및 제2자성부재의 배치상태에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통형상 홀더(510)의 내부둘레면에는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대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홈(5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홈(512)에 제1자성부재(610)가 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위치결정되어 있다. 또한 홈(512)이 닿는 근방은 홈폭이 좁아지고 있어서 제1자성부재(610)를 맞물림으로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2분할 스페이서(540)는 제19A도 및 제19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에 제2자성부재(620)의 판두께분의 단차(542)와 그곳의 돌기(541)가 설치되었다. 그리고 띠 형상의 자성체에 소정의 곡률을 갖는 제2자성부재(620)가 제19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부분(542)에 장착된다.
이때 띠형상의 자성체의 길이를 분할 스페이서의 내부둘레에 맞추어, 곡률을 분할 스페이서의 내부둘레보다 작게 해서 형성한 후, 직경을 축소하도록 하고 나서 분할 스페이서 내부에 장착하면,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돌기(54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운통형상 홀더(510)의 외부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홈(511)에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으며, 고정링(550)의 회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임과 동시에 자성부재(620)의 탈락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자성부재를 다극자계발생수단에 일체로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작업은 각별히 용이하게 되어 다른 지자기조건하에 있어서도 안정된 컨버전스품위를 달성할 수 있는 칼라음극선관의 제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자성부재는 제2분할 스페이서에 배치되어 있지만 당연히 다른 분할 스페이서 또는 다극자계발생플레이트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다극자계발생플레이트는 판두께가 작아서 분할 스페이서에 배치하는 편이 용이하다.
또한 제1 및 제2자성부재의 배치방법은 홈에 끼워맞춤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접착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당연하고 또 가능하다.
또 다극자계발생마그네트 플레이트가 발생하는 자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소망하는 다극자계를 발생하는 것이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전자총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자성재료의 영향을 완화하고, 다른 지자기 조건하에 있어서도 안정된 컨버전스 품위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2)

  1. 패널을 갖는 외관용기.
    상기 외관용기의 패널내면에 형성된 형광면.
    상기 형광면에 대향하고, 일렬 배치된 복수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어셈블리, 및 전자빔배열면상에서 상기 전자총어셈블리의 외측에 배치되어 관축방향으로 연이어 나온 한쌍의 자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축을 갖는 칼라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용기는 전자총어셈블리가 수용된 네크를 가지고, 자성부재가 이 네크 외부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축을 갖는 칼라음극선관.
  3. 패널을 갖는 외관용기, 상기 외관용기의 패널내면에 형성된 형광면, 형광면에 대향하여 일렬배치된 제1, 제2, 및 제3 전자빔을 방출하는 제1, 제2, 제3음극 및 전자빔을 제어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인라인형의 전자총 어셈블리, 및 음극근방에서 상기3전자빔 가운데 전자빔에 작용하는 외부자계의 축방향 성분을 조정하는 한쌍의 자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축을 갖는 칼라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는 관축방향을 따르는 긴쪽방향을 가지며, 전자빔배열 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축을 갖는 칼라음극선관.
  5. 패널 및 패널에 연이어 접해진 네크를 갖는 외관용기, 상기 외관용기의 패널내면에 형성된 형광면, 상기 형광면에 대향하여 일렬 배치된 복수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네크내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총 어셈블리, 상기 네크외부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전자총어셈블리의 근방에 다극 자게를 발생하는 다극자계 발생 마그네트 플레이트를 갖는 다극자계 발생수단, 전자빔의 배열면상에서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의 외측에 배치된 관축 방향으로 긴 제1자성부재, 및 상기 다극자계발생마그네트 플레이트근방에 배치된 제2자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갖는 칼라음극선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가 상기 네크외부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갖는 칼라음극선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성부재가 다극자계 발생수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갖는 칼라음극선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극자계발생수단은 원형통상 홀더, 복수의 원환상의 다극자계 발생마그네트 플레이트, 및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간의 스페이서로 구성되며, 상기 제1자성부재가 상기 원통형사 홀더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갖는 칼라음극선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극자계 발생수단은 원통형상 홀더, 복수의 링 형상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간의 스페이서로 구성되며, 상기 제2자성부재가 상기 스페이서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갖는 칼라음극선관.
  10. 제1항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의 폭은 상기 네크 외부둘레길이의 1/2둘레에 대해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갖는 칼라음극선관.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의 폭은 상기 네크 외부둘레길이의 1/2둘레에 대해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갖는 칼라음극선관.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의 폭은 상기 네크 외부둘레길이의 1/2둘레에 대해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갖는 칼라음극선관.
KR1019940023114A 1993-09-14 1994-09-14 칼라옴극선관 KR0145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28739 1993-09-14
JP22873993 1993-09-14
JP385194 1994-01-19
JP94-003851 1994-01-19
JP94-162574 1994-07-15
JP16257494A JP3638311B2 (ja) 1993-09-14 1994-07-15 カラー受像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5168B1 true KR0145168B1 (ko) 1998-07-01

Family

ID=2727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114A KR0145168B1 (ko) 1993-09-14 1994-09-14 칼라옴극선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08323A (ko)
EP (1) EP0643413B1 (ko)
JP (1) JP3638311B2 (ko)
KR (1) KR0145168B1 (ko)
CN (1) CN1062677C (ko)
DE (1) DE69429563T2 (ko)
MY (1) MY113282A (ko)
TW (1) TW3265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6378A (ja) * 1996-05-15 1997-11-28 Hitachi Ltd 陰極線管
TW556954U (en) * 1997-06-09 2003-10-01 Toshiba Co Ltd Color image tube
JPH1167123A (ja) * 1997-06-10 1999-03-09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TW382725B (en) * 1997-09-04 2000-02-21 Toshiba Corp Color cathode ray tube
KR100496272B1 (ko) * 1998-05-06 2005-09-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EP1162642A1 (de) 2000-06-07 2001-12-12 Matsushita Display Devices (Germany) GmbH Multipoleinheit für eine Farbbildröhre
US7385341B2 (en) * 2004-03-05 2008-06-10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ray tube apparatus with magnetic spacers between magnetic rings
US7126292B2 (en) * 2004-03-16 2006-10-24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ray tub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9637A (en) * 1978-10-30 1980-05-06 Hitachi Ltd Magnetic focus cathode ray tube
NL7812540A (nl) * 1978-12-27 1980-07-01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JPS5840749A (ja) * 1981-09-02 1983-03-09 Toshiba Corp 磁気集束型陰極線管
JPS58145045A (ja) * 1982-02-24 1983-08-29 Hitachi Ltd 陰極線管
JPH01255136A (ja) * 1988-04-04 1989-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の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NL8901589A (nl) * 1989-06-23 1991-01-16 Philips Nv Kleurenbeeldbuis met twist correctiemiddelen.
US5206559A (en) * 1989-08-04 1993-04-27 Kabushiki Kaisha Toshiba Cathode ray tube which improves deflection aberration
JP2886616B2 (ja) * 1990-05-14 1999-04-26 鈴権毛織株式会社 織機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4315737A (ja) * 1991-04-16 1992-11-06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FR2683386B1 (fr) * 1991-11-05 1993-12-31 Thomson Tubes Displays Sa Dispositif de focalisation magnetique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US5227753A (en) * 1991-12-05 1993-07-13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 beam adjusting device
KR940005496B1 (ko) * 1991-12-30 1994-06-20 삼성전관 주식회사 음극선관
JP3135421B2 (ja) * 1993-07-06 2001-02-13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13282A (en) 2002-01-31
JPH07250335A (ja) 1995-09-26
EP0643413B1 (en) 2002-01-02
DE69429563D1 (de) 2002-02-07
EP0643413A3 (en) 1997-01-15
CN1105480A (zh) 1995-07-19
CN1062677C (zh) 2001-02-28
US5708323A (en) 1998-01-13
EP0643413A2 (en) 1995-03-15
TW326545B (en) 1998-02-11
JP3638311B2 (ja) 2005-04-13
DE69429563T2 (de)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168B1 (ko) 칼라옴극선관
JPH03141540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EP0168047B1 (en) Color picture device
EP088475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5225736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920000940B1 (ko) 칼라 수상관 및 편향 장치
US60608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pecific placement of magnetic plate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EP0173940B1 (en) Color picture device
JP3403004B2 (ja) カラー受像管
JP2859900B2 (ja) カラー受像管
EP1577924A1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50022338A (ko) 컬러 수상관 장치
JPH11135035A (ja) カラー受像管
KR20000009617A (ko) 칼라음극선관용 쉴드시편
JPH11339687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H021337B2 (ko)
KR20000013561U (ko)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JPH05198274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40009232A (ko) 칼라 음극선관의 빔 얼라인먼트 장치
JPH11329295A (ja) カラー陰極線管の集束マグネット組立体
JPH08265785A (ja) カラー受像管
JPH11176351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