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561U -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561U
KR20000013561U KR2019980026767U KR19980026767U KR20000013561U KR 20000013561 U KR20000013561 U KR 20000013561U KR 2019980026767 U KR2019980026767 U KR 2019980026767U KR 19980026767 U KR19980026767 U KR 19980026767U KR 20000013561 U KR20000013561 U KR 200000135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cathode ray
convergence
ray tub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26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561U/ko
Publication of KR20000013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561U/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열음극을 채용한 음극선관에서 히트 런 시간동안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가 상쇄·보상되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은, 네크의 중심축을 수직 통과하여 전자빔의 배치선에 수직하는 수직선상 및 배치선상에 위치하는 원주상의 4개소에서 4개의 페라이트가 배치선상에는 S극이 대향되며 수직선상에는 N극이 대향되도록 1개씩 위치한 상태에서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된 상태로 네크의 외면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히트 런 시간동안 발생되던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이 방지되어 색순도 및 색일치가 이루어지므로 음극선관의 화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본 고안은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음극을 채용한 음극선관에서 히트 런(Heat Run) 시간동안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Static Convergence Drift)가 상쇄·보상되도록 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음극선관은 텔레비전 수상기를 비롯하여 오실로스코우프나 레이다의 관측용 등 다방면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음극선관은 기본적으로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형광막에 랜딩(Randing)시켜 정보표시를 수행하며, 통상적으로 전자빔을 1열로 배치하여 컨버전스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 인라인 방식이 적용된다.
이와 같은 인라인 방식의 전자총을 내장한 컬러 음극선관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수상관을 종래 기술의 한 예로, 설명한다.
컬러 수상관은 진공 외관용기를 갖고, 이 진공 외관용기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제 패널(1), 이 패널(1)에 연이어 설치된 깔대기 형상의 유리제 펀넬(2) 및 이 펀넬(2)의 직경이 작은 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원통 형상의 유리제 네크(3)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패널(1)의 내면에는 적,녹,청으로 발광하는 도트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3색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스크린(4)이 설치되며, 이 스크린(4)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색선별을 위한 다수의 슬롯 또는 도트가 형성되어 있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섀도우마스크(5)가 설치된다.
네크(3)내에는 인라인 방식으로 전자총(6)이 설치되며, 이 전자총(6)은 삼극부와 주렌즈부로 구성된다. 상기 삼극부는 적,녹,청의 3색 전자빔(7)을 방출하는 음극(6a), 이 음극(6a)에서 소정 거리로 떨어져 순차 배치되어 전자빔(7)을 제어·가속시키는 제어전극(6b)과 가속전극(6c)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렌즈부는 삼극부에서 생성된 전자빔(7)을 집속시키는 포커스전극(6d)과 전자빔(7)을 최종 가속시키는 양극(6e)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삼극부 및 주렌즈부의 전극들은 비드글라스(도시 생략됨)에 의하여 고정되어 소정 거리로 이격된다.
또한, 펀넬(2)의 네크(3)측 근방의 외측에 편향요크(8)가 장착되어 핀쿠션형 수평 편향자계와 배럴형 수직 편향자계를 발생한다.
한편, 네크(3)의 전자총(6) 주위의 외측에는 3색 전자빔(7)의 색순도 및 색일치를 위한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Convergence Purity Magnet: 9)가 네크 테이프(10)로 고정되어 장착되며, 이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는 2극 환형 마그네트(9a)와 4극 환형 마그네트(9b) 및 6극 환형 마그네트(9c)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음극(6a)에서 방출되어 제어전극(6b), 가속전극(6c), 포커스전극(6d) 및 양극(6e)을 통과하며 제어·가속·집속되는 일렬 배치된 3색 전자빔(7)은 편향요크(8)가 발생하는 수평 편향자계 및 수직 편향자계에 의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된다. 이것에 의해 3색 전자빔(7)이 섀도우마스크(5)를 통하여 스크린(4)에 도달했을 때에 일렬 배치된 3색 전자빔(7)이 스크린(4)의 전체, 즉 화면 전체에 집중되며, 또 수평주사 및 수직주사하는 것에 의해 컬러화상이 표시된다.
이때,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는 자장의 상호 효과에 의해 3색 전자빔(7)을 이동시켜 색순도를 조정하며 색일치를 위해 컨버전스를 조정한다.
여기서, 2극 환형 마그네트(9a)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빔(7a: 녹색)의 위치를 통과하여 3색 전자빔(7)의 배치선(L1)에 수직하는 수직선(L2)상에 1쌍의 자극이 상호 대향하게 착자(180°간격)된 2장의 환형 마그네트로 구성되며, 배치선(L1)과 직교하는 자계가 형성되어 자장의 상호 효과로 3색 전자빔(7)을 동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색순도를 조정한다.
그리고, 4극 환형 마그네트(9b)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선(L1)상 및 수직선(L2)상에 2쌍의 자극이 다른 극성끼리 인접하며 동일 극성끼리 대향하게 착자(90°간격)된 2장의 환형 마그네트로 구성되며, 배치선(L1) 및 수직선(L2)으로 구분된 2사분면과 4사분면을 중앙빔(7a)을 통과하며 가로지르는 제1 사선(L3)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역방향으로 대칭하는 자계가 형성되어 자장의 상호 효과로 3색 전자빔(7) 중에서 외곽빔(7b,7c: 청색,적색)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컨버전스를 조정한다.
또한, 6극 환형 마그네트(9c)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L1)상과 제1 사선(L3)상 및 제1 사선(L3)에 중앙빔(7a)을 통과하여 수직하는 제2 사선(L4)상에 3쌍의 자극이 다른 극성끼리 인접 및 대향하게 착자(60°간격)된 2장의 환형 마그네트로 구성되며, 수직선(L1)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정방향으로 대칭하는 자계가 형성되어 자장의 상호 효과로 3색 전자빔(7) 중에서 외곽빔(7b,7c)을 동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컨버전스를 조정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수상관에서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는, 자장의 상호 효과에 의해 전자빔을 소정방향으로 이동시켜 색순도를 조정하며 색일치를 위해 컨버전스를 조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자빔을 방출하는 음극은 온도가 약 800도(℃)에 도달되면 열전자가 방출되는 열음극이 채용되며, 이러한 음극의 열은 전자총의 전극들은 물론이고 네크에 전도 및 복사된다.
그리고, 열을 전달받은 전자총 및 네크의 각 부분들은 온도가 상승되며, 이러한 온도 변화는 약 30분 내지 1시간동안 지속된 후 열적으로 안정화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열적 평형 상태를 이룰 때까지의 소요 시간은 히트 런 시간으로 통칭되며, 이 소요 시간동안은 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양이 변화됨은 물론이고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컨버전스가 서서히 변화되는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 즉 적색빔 및 청색빔이 초기 조정상태와는 다르게 일정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컬러 음극선관의 제조 공정에서는 구동 초기에 발생되는 상기한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을 감수하면서도 전자총 및 네크가 열적으로 안정화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의 위치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켜 색순도 및 컨버전스를 조정한 후에 유동되지 않도록 네크 테이프를 이용하여 네크에 고정·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컬러 음극선관의 구동 초기에서 열적 평형 상태를 이룰 때까지, 즉 히트 런 시간동안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국에는 상기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으로 인하여 색순도가 저하됨과 아울러 색일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음극선관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컬러 음극선관의 구동 초기에 발생되는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를 보상하는 별도의 보상장치를 구비하면서도 종래의 것과 비교할 때에 동등 이상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컬러 음극선관에 별도로 부가 설치할 수 있는 컨버전스 보상장치로서, 음극선관의 히트 런 시간동안에 발생하는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를 열감자 특성, 즉 온도 변화에 따라 자속 밀도가 감소하는 특성을 갖는 페라이트를 이용해 네크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가변적으로 보상하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섀도우마스크형 음극선관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총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컨버전스 조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빔의 이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컨버전스 보상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네크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전스 보상장치가 설치되는 네크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컨버전스 보상장치의 컨버전스 조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빔의 이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버전스 보상장치가 설치되는 네크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네크 7 : 전자빔
9 :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10 : 네크 테이프
101 : 페라이트 L1 : 배치선
L2 : 수직선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는, 음극이 소정 온도로 가열되면 다수의 전자빔을 1열로 배치하여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을 진공상태로 봉입하는 유리제 네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에 있어서:
(1) 상기 네크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의 원주상에 복수 쌍의 페라이트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동일 자극끼리 대향하여 착자되도록 상기 네크에 열전도 가능하게 장착되며;
(2) 상기 페라이트는 온도가 1℃ 상승될 때에 자속 밀도가 0.15 ∼ 0.25 퍼센트(%)씩 감소되는 열감자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중심축을 수직 통과하여 상기 전자빔의 배치선에 수직하는 수직선상 및 상기 배치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원주상의 4개소에 4개의 상기 페라이트가 동일 자극끼리 대향하도록 1개씩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45°회전된 상태로 상기 네크의 외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라이트는 네크 테이프로 외측이 감싸져 상기 네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페라이트는 상기 네크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13∼17 밀리미터(㎜)의 거리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네크로부터 열을 전도받는 페라이트에 의해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변화되는 자계가 형성되며, 이 자계에 의한 자장의 상호 효과로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가 상쇄·보상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으로 인하여 색순도가 저하되거나 색일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방지되어 음극선관의 화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컬러 음극선관용 컨버전스 보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의 기술은 텔레비전 수상기를 비롯하여 오실로스코우프나 레이다의 관측용 등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들은 특정한 컬러 음극선관이 아니고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음극선관과 트리니트론 컬러 음극선관 등과 같이 열음극이 채용된 전자총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의 음극선관에 착안한 도면이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수상관에 적용한 예를 고려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컨버전스 보상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네크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전스 보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네크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컨버전스 보상장치의 컨버전스 조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빔의 이동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전스 보상장치는, 네크(3)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의 원주상에 4개의 페라이트(101)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동일 자극끼리 대향하여 착자되도록 네크(3)의 외면에 열전도 가능하게 장착됨에 있어서, 페라이트(101)는 중심축을 수직 통과하여 전자빔(7)의 배치선(L1)에 수직하는 수직선(L2)상 및 배치선(L1)상에 위치하는 원주상의 4개소에서 배치선(L1)상에는 S극이 대향되며 수직선(L2)상에는 N극이 대향되도록 1개씩 위치한 상태에서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45°회전된 상태로 네크(3)의 외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페라이트(101)까지의 거리는 13∼17 밀리미터(㎜)이내이며, 온도가 1℃ 상승될 때에 자속 밀도가 0.15 ∼ 0.25 퍼센트(%)씩 감소되는 열감자 특성을 갖는 페라이트(101)의 외측은 네크 테이프(10)로 감싸져 네크(3)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열감자 특성은 온도가 1℃ 상승될 때에 자속 밀도가 0.19 퍼센트씩 감소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네크 테이프(10)의 외측으로는 2극 환형 마그네트(9a)와 4극 환형 마그네트(9b) 및 6극 환형 마그네트(9c)로 이루어진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가 네크 테이프(10)로 고정되어 네크(3)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컨버전스 보상장치는, 음극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전자총(6) 및 네크(3)가 열적으로 안정화될 때까지 페라이트(101)의 자계에 의한 자장의 상호 효과로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를 상쇄·보상하게 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컨버전스 보상장치가 구비된 컬러 수상관의 컨버전스 조정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수상관에 전원이 공급되어 히터(도시 생략됨)에 전류가 흐르면 온도가 상승되어 열은 복사에 의해 음극(6a)에 전달되며, 온도가 약 800도(℃)에 도달되면 음극(6a)에서 열전자가 방출된다.
이러한, 열전자의 연속적인 방출에 의한 전자빔(7)은 제어전극(6b), 가속전극(6c), 포커스전극(6d) 및 양극(6e)을 통과하면서 제어·가속·집속되며,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는 자장의 상호 효과에 의해 3색 전자빔(7)을 이동시켜 색순도를 조정하며 색일치를 위해 컨버전스를 조정한다.
이때, 음극(6a)의 열은 전자총(6)의 전극들은 물론이고 네크(3)에 전도 및 복사되어 열을 전달받은 전자총(6) 및 네크(3)의 각 부분들의 온도가 상승되며, 이러한 온도 변화는 약 30분 내지 1시간동안의 히트 런 시간동안 지속된 후에 열적으로 안정화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에 의한 컨버전스 조정상태는 전자총(6) 및 네크(3)의 열적 안정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히티 런 시간동안 도 7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곽빔(7b,7c)이 중앙빔(7a)쪽으로 집중되지 않고 외곽쪽으로 벌어지려 하는 현상이 유발되며, 특히 수상관의 구동 초기에는 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다가 전자총(6) 및 네크(3)가 열적으로 안정화되어 갈수록 차츰 감소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네크(3)의 외면에 장착된 4개의 페라이트(101)는 수상관의 구동 초기부터 열적 안정화 상태까지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초기 조정상태와는 다르게 외곽빔(7b,7c)이 외곽쪽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드리프트를 상쇄·보상하게 된다.
상술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라이트(101)에 의하여 수직선(L2)을 기준으로 상호 역방향인 전계가 형성되며, 이 전계에 의한 자장의 자속 밀도는 수상관의 구동 초기에는 소정의 가우스(Gauss)량을 갖다가 온도 변화에 수반하는 열감자 특성으로 인하여 온도가 1℃ 상승될 때마다 가우스량이 0.19 퍼센트씩 감소된다.
여기서, 페라이트(101)에 의해 형성된 자계에서 자장의 상호 효과로 도 7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곽빔(7b,7c)을 중앙빔(7a)쪽으로 이동시키려 하는 작용력이 발생되며, 이 작용력은 페라이트(101)의 온도가 상승할수록 차츰 감소되면서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를 상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전자총(6) 및 네크(3)가 열적으로 안정화되면 페라이트(101)의 감자 특성 또한 정지되며, 이후에는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에 의하여 색순도 및 색일치를 위한 컨버전스가 초기 조정상태로 유지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버전스 보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네크의 횡단면도로서, 네크(3)의 중심축을 수직 통과하여 전자빔(7)의 배치선(L1)에 수직하는 수직선(L2)상 및 배치선(L1)상에 위치하는 원주상의 4개소에서 4개의 페라이트(101)가 배치선(L1)상에는 S극이 대향되며 수직선(L2)상에는 N극이 대향되도록 1개씩 위치한 상태에서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된 상태로 네크(3)의 외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버전스 보상장치는,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에 의한 외곽빔(7b,7c)의 이동방향이 도 7 (가)에 나타낸 방향과 반대방향일 때에 적용되며,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작용된다.
즉, 수상관의 구동 초기부터 열적 안정화 상태까지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초기 조정상태와는 다르게 외곽빔(7b,7c)이 중앙빔(7a)쪽으로 집중되려고 하는 드리프트를 상쇄·보상하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히트 런 시간동안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이 유발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가 상쇄·보상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으로 인하여 색순도가 저하되거나 색일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배제된다.
이 적용례에 의하면, 음극선관의 화질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열음극을 채용한 음극선관에서 히트 런 시간동안 발생되던 스태틱 컨버전스 드리프트 현상이 방지되어 색순도 및 색일치가 이루어지므로 음극선관의 화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음극이 소정 온도로 가열되면 다수의 전자빔을 1열로 배치하여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을 진공상태로 봉입하는 유리제 네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에 있어서:
    (1) 상기 네크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의 원주상에 복수 쌍의 페라이트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동일 자극끼리 대향하여 착자되도록 상기 네크에 열전도 가능하게 장착되며;
    (2) 상기 페라이트는 온도가 1℃ 상승될 때에 자속 밀도가 0.15 ∼ 0.25 퍼센트(%)씩 감소되는 열감자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수직 통과하여 상기 전자빔의 배치선에 수직하는 수직선상 및 상기 배치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원주상의 4개소에 4개의 상기 페라이트가 동일 자극끼리 대향하도록 1개씩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45°회전된 상태로 상기 네크의 외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는 네크 테이프로 외측이 감싸져 상기 네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는 상기 네크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13∼17 밀리미터(㎜)의 거리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KR2019980026767U 1998-12-28 1998-12-28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KR200000135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67U KR20000013561U (ko) 1998-12-28 1998-12-28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67U KR20000013561U (ko) 1998-12-28 1998-12-28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561U true KR20000013561U (ko) 2000-07-15

Family

ID=6950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767U KR20000013561U (ko) 1998-12-28 1998-12-28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56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494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0145168B1 (ko) 칼라옴극선관
US6160343A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convergence in a color cathode ray tube
KR960000347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13561U (ko)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US60608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pecific placement of magnetic plate
KR200298473Y1 (ko) 칼라음극선관용컨버젼스퓨리티마그네트고정구조
KR100305607B1 (ko) 컬러음극선관용컨버전스장치
US6239560B1 (en) System for correcting electron beam from single cathode in color CRT
KR10039137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KR100311203B1 (ko)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KR100301324B1 (ko) 컬러수상관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JPH09245672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US20070109217A1 (en) Hdtv crt display having optimized tube geometry, yoke field and gun orientation
JPH05198274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JPH0461588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9990065074A (ko) 칼라음극선관용 마그네트
KR20010002475A (ko) 포커스 언밸런스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
JPH06139954A (ja)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JPH11339687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10068566A (ko)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JPS62296345A (ja) インライン型カラ−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