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347B1 -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347B1
KR960000347B1 KR1019920005995A KR920005995A KR960000347B1 KR 960000347 B1 KR960000347 B1 KR 960000347B1 KR 1019920005995 A KR1019920005995 A KR 1019920005995A KR 920005995 A KR920005995 A KR 920005995A KR 960000347 B1 KR960000347 B1 KR 960000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electromagnet
deflection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933A (ko
Inventor
히데노리 다끼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4Arrangements for centr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2극 전자석의 설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톱니파 전류 공급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톱니파 전류의 진폭 제어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5a도 및 5b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랜딩(landing) 변화의 설명도.
제6a도 및 6b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석 코일과 2극 전계에 의한 전자비임의 이동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7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랜딩 변화의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2극 전자석을 도시하는 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2극 전자석을 설명하기 위한 CP-ASSY의 측면도.
제10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석 코일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톱니파 전류의 진폭 제어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톱니파 전류의 진폭 제어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13도는 종래의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CRT의 일예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제14도는 그 발광의 원리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5도는 새도우 마스크의 도밍(Doming)을 설명하기 위한 CRT의 부분단면도.
제16도는 그 주요부의 확대도.
제17a도 및 17b도는 그랜딩 변화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8도는 보상코일에 의한 누설자계의 저감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9a도 및 19b도는 보상코일의 보상자계에 의한 랜딩 변화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0a도 내지 20c도는 미스랜딩 보정을 위한 편향요크의 위치조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21a도 내지 21c도는 편향요크의 위치 조정에 의한 랜딩 변화를 도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극선관(CRT) 7 : 전자비임
8 : 편향요크 12 : 2극 전자석
12h,12v : 전자석 코일 13,15 : 전류 공급회로
14,16 : 전류 제어회로
본 발명은, 양호한 색순서도가 얻어지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3도는 예를들면 ˝텔레비젼 기술˝ 1990년 6월호 43쪽~50쪽에 기술된 종래의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새도우 마스크형의 컬러 음극선관(이하, CRT라고 한다)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면에서, (1)은 CRT이다. (2)는 접시형상을 한 패널, (3)은 깔때기 형상의 펀넬(funnel)이고, 이들 패널(2) 및 펀넬(3)은 유리로서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CRT(1)의 둘레기기부를 구성하고 있다.
(4)는 둘레기기부 내의 펀넬(3)의 넥부에 배치된 전자총이고, (5)는 둘레기기부 내에 패널(2)에 따라 배치된 새도우 마스크이다. (6)은 패널(2)의 내면에 도포되어, 청색, 녹색 또는 적색중 어느 하나를 발광하는 3색 형광체이다.
(7)은 전자총(4)에서 발사되어 3색의 형광체(6)중에 대응하는 것을 발광시키는 전자비임이고, 전자총(4)은 상기 3색의 각색에 대응한 전자비임(7)을 발사하기 위하여 3개의 비임 발사구를 갖추고 있다. 8은 전자비임(7)을 형광체(6)상에 주사시키기 위한 편향요크이다.
다음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새도우 마스크(5)는 일반적으로 색선택 전압이라고 하여 다수의 투과구멍이 있으며,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총(4)에서 발사된 각색의 전자비임(7)이 대응하는 색의 형광체(6)에만 도달하고, 다른색에 대응하는 형광체(6)에는 닿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서, 이 새도우 마스크(5)의 재질로서는, 투과구멍을 설치하는 수단으로서 에칭 방식을 사용한 것,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성이 좋은 것, 양극 전극으로 되는 것 등에서, 철등의 금속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술하듯이, 새도우 마스크(5)는 전자비임(7)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므로, 전자비임(7)의 충돌 에너지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한다. 온도가 상승한 경우, 새도우 마스크(5)는 상기와 같은 재질로서 금속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열팽창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새도우 마스크(5)는 일반적으로 구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비임이 조사된 경우는 제15a, b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비임량시의 마스크 형상(5a)에서 고전자 비임량시의 마스크 형상(5b)으로 열변형한다.
이와 같이 전자비임(7)의 충돌에 의해 새도우 마스크(5)가 패널(2)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도밍(Doming)이라고 한다. 여기서, 제16도는 제15도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 도밍이 생기는 전후의 형광체(6)와 전자비임(7)의 위치관계를 제17도로서 설명한다.
전자비임(7)량이 적어 화면휘도가 낮을때에는 새도우 마스크(5)는 제16도의 5a로서 나타낸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전자비임(7)의 중심은 형광체(6)의 중심에 바르게 충돌하고 있다. 그 상태를 제17a도에 나타낸다. 제14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새도우 마스크(5)의 위치(5a)는, 전자총(4)의 적색에 대응한 비임 발사구에서 방출된 전자비임(7)의 중심이 발광하는 형광체(6)의 중심에 충돌하는 위치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화면휘도를 높이면, 전자비임(7)량이 증대하여, 새도우 마스크(5)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도밍현상이 나타나고, 새도우 마스크(5)는 제16도에 5b로서 도시한 위치까지 이동하고, 따라서 전자비임(7)의 중심이 형광체(6)의 중심에서 벗어나 버린다. 그 상태를 제17(b)에 나타낸다. 제17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새도우 마스크(5)의 위치가 5a에서 5b로 편위함으로서 전자비임(7)의 궤도가 내측에 평행 이동하여 확실히 형광체(6)에 충돌하지 않게되고, 현미경적으로 보아 내부홈 상태로 된다.
제17도는 현미경적으로 본 위치관계(바깥벗어남)를 도시하고 있으며, 실제의 위치관계는 도밍이 발생하면, 형광체(6)에 대하여 전자비임(7)이 내측이 시프트(이동)한다.
이와 같이 도밍에 의하여 주변부의 휘도가 저하하고, 화면의 균일성이 열화함으로, 패널(2)의 내면에 카본 그라파이트 막을 도포하거나, 새도우 마스크 내면에 산화 비스무트(bismuth)막을 도포함으로서 새도우 마스크의 온도 상승을 저감시키거나, 새도우 마스크(5)의 열변형을 작게 억제하기 위하여, 그 재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철(열팽창 계수가 약 12×10-6/℃)에 대하여, 저열팽창(동 1.2×10-6/℃)의 인바재(니켈, 철/합금)등을 사용한다.
한편, 최근 CRT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누설자계, 특히 1㎑~400㎑의 자계를 낮게 억제하는 시장요구가 강하고, 그 때문에, 제18도에 도시한 보상코일(9)을 편향요크(8)의 상/하부에 장착하게 되었다.
이들 1쌍의 보상코일(9)에는 수평 편향 전류, 또는 일부가 흐르게 되는 것이고, 이들 전류에 의하여 생긴 자계(보상자계)에 의해 전자비임(7)의 궤도가 구브러지고, 제1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미경적으로 보아 형광체(6)에 대하여 전자비임(7)이 외측으로 시프트하여 충돌하게 된다. 이것은 수평 편향 전류가 흐른 보상코일(9)에 의하여 만들어진 보상자계에 의하여, 수평방향만 전자비임(7)의 궤도가 편위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CRT(1)에 대한 편향요크(8)의 관축방향 부착 위치를 제20b도에 도시하는 기준 위치(10)에 설정한 경우에는 제2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위치(10) 보다도 패널측으로 시프트되면, 제2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체(6)에 대하여 전자비임(7)이 내측으로 시프트하여, 현미경으로 보아 외부결함 상태로 된다.
역으로 제20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8)를 전자총(4)측으로 시프트하면, 제2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미경적으로 보아 내부결함 상태로 된다. 또한, 이러한 편향요크(8)의 부착 위치 조정 작업을 일반적으로는 YPB 조정 작업이라고 부르고 있다.
따라서, 도밍 대책의 일예로서는, 제17b도에 도시한 증상이 나타났을때에는, 이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제20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8)의 부착 위치를 약간 패널(2)측으로 시프트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CRT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누설자계의 저감을 위하여 편향요크(8)의 상/하에 1쌍의 보상코일(9)을 부착한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랜딩상태가 변화함으로 제20b도 및 제2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져스트 랜딩을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보상 코일이 없는 경우에 제20b도의 상태로 편향요크(8)의 위치를 설정하면, 보상 코일(9)을 설치한 경우에는 제19a도의 상태로 된다.
이러한 X축단의 순도 불량(내부결함)을 구하기 위하여, 편향요크(8)를 제20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2)측으로 시프트하면 X축단의 순도는 양호하게 되지만, Y축단의 순도는 제19b도에 나타나듯이 외부결함 상태로 되고, 실상으로서, 편향요크(8)의 부착은 제19a도와 b도의 중간 상태로 되도록 타협적인 것으로 되고, 그 위치 설정의 작업에는 노고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X축단의 순도를 져스트 피트 시켰을때에 Y축단의 순도가 져스트 랜딩으로 되지 않는 것을 H/V차라고 부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새도우 마스크 변형방지와 관련있는 기술의 기재된 문헌으로는 예를들면 ˝텔레비젼 기술˝ 1990년 6월호의 제17~29쪽에 게재된 미쓰비시 대화면, 고화질 브라운관의 기술동향 등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누설자계 저감에 관한 문헌으로서는 일본특허 공개 평2-46085호 공보등이 있다.
종래의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밍을 경감하기 위하여, 패널(2)이나 새도우 마스크(5)의 내면을 카본 그라파이트 막이나 산화 비스무트막을 도포하거나, 새도우 마스크(5)의 재질을 열팽창율이 낮은 인바재로 변경한 경우,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가격으로 되고, 도밍 또는 H/V차에 의한 미스랜딩을, 편향요크(8)의 부착 위치의 조정에 의하여 타협적으로 개선하도록 하는 경우, 그 조정작업은 숙련을 요하는 매우 복잡한 것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된 것이고, 도밍을 경감시키기 위해 고가격을 수반하지 않고, 복잡한 편향요크의 부착 위치 조정도 행하지 않고, 미스랜딩을 보정할 수 있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류 공급회로에서 편향 전류에 동기하여 정부로 교번하는 톱니파 전류의 공급을 받아, 편향요크에 의하여 편향되는 전자 비임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2극 자계를 발생하는 전자석 코일을 가진 2극 전자석을, 음극선관의 넥부에 배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2극 전자석은 그 전자석 코일에 공급되는 편향 전류에 동기한 정부로 교번하는 톱니파 전류에 의거하여 2극 자계를 발생시키고, 청색, 녹색 및 적색에 대응한 각 전자비임에 대하여 동등의 작용을 미치는 상기 2극 자계로서 랜딩을 변화하는 것으로 도밍이나 H/V차에 의한 미스랜딩의 보정을 행할 수 있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를 실현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제2도는 2극 전자석의 부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1)은 CRT, (4)는 그 전자총, (7)은 전자비임, (8)은 편향요크이고, (11)은 CRT(1)의 편향요크(8)보다도 전자총(4)측에 설치된 컨버젼스 퓨리티 마그네트 어셈블리(이하, CP-ASSY라고 한다)이다.
(12)는 CP-ASSY(11)와 후부에 설치된 2극 전자석이고, (12v)는 편향요크(8)로서 편향되는 전자비임(7)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편향을 주는 2극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석 코일, (12h)는 같은 수평방향의 편향을 부여하는 2극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석 코일이다.
(13)은 수평편향 전류에 동기하여 정부로 교번하는 톱니파 전류를, 상기 전자석 코일(12h)에 공급하는 전류 공급회로이고, (14)는 이 전류 공급회로(13)가 출력하는 톱니파 전류의 진폭으로 제어하는 전류 제어회로이다. (15)는 동일하며, 수직 편향 전류에 동기하여 정부로 교번하는 톱니파 전류를, 전자석 코일(12v)에 공급하는 전류 공급회로이고, (16)은 전류 공급회로(15)가 출력하는 톱니파 전류의 진폭을 제어하는 전류 제어회로이다.
상기 전류 공급회로(13) 및 (15)는 예를들면 제3도에 나타나듯이, 동기 펄스 발생신호(17)로서 발생된 펄스 신호에 의거하여 수평 또는 수직편향 전류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를 생성하고 있다. 전류 제어회로(14) 및 (16)는, 예를들면, 제4도에 나타나듯이, 센서(18)로 도밍에 의한 새도우 마스크(5)의 위치변화를 검출하고, 마스크 위치 검출회로(19)에서의 편위량 정보에 따라 전류 공급회로(13) (15)를 제어하고, 톱니파 전류의 진폭을 가변하는 것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2극 전자석(12)의 전자석 코일(12h)에는 전류 공급회로(13)에서 수평 편향 전류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가 공급된다. 이 전류파 전류는 정부 사이를 교번하고 있는 것이고, 전류 공급회로(13)는 전류 제어회로(14)의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는 톱니파 전류의 진폭, 또는 그 극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 전자석 코일(12h)에 수평 편향 전류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가 흐르면,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단의 랜딩이 변화한다. 제5a도의 경우, 화면의 좌반부에서는 형광체(6)에 대하여 전자비임은 현미경적으로 보아 내측에 시프트하여 랜딩하고 있다.
화면의 우반부에서는 톱니 상파 전류의 극성이 정부로 반전하므로, 결과로서, 전자비임(7)은 형광체(6)에 대하여 역시 내측으로 스프트하여 fosseld하고, 외부결함 랜딩으로 된다. 제6a도는 화면 우반부에서, 전자비임(7)이 전자석 코일(12h)로서 생성되는 2극 자계에 의하여 F로서 표시되는 힘을 받고, 내측으로 시프트랜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수직 편향 전류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가 잔류 공급회로(15)에서 전류 제어회로(16)의 제어에 의하여 전자석 코일(12v)에 공급된 경우, 그 톱니파 전류에 의한 랜딩변화는 제5b도 및 제6b도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2극 전자석(12)의 각 전자석 코일(12h, 12v)에, 수평 편향 전류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와 수직 편향 전류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가 동시에 흐르면, 제5a도 및 5b도에 도시한 랜딩의 합성에 의하여 제7도에 나타난 랜딩 변화가 구성된다.
즉, 제17b도에 도시한 도밍 현상은 제1~제7도로 설명한 바와 같이 2극 전자석(12)의 각 전자석 코일(12h, 12v)에 수평 및 수직 편향 전류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써 쉽게 색순도가 보정된다.
전자석 코일(12h)만으로 수평 편향 전류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제5a도의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9a도의 보상코일(9)의 부가에 따른 미스랜딩을 보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에서는 2극 전자석(12)의 설치 위치가 CP-ASSY(11)의 후부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8도는 편향요크(8)의 전자총측 세퍼레이터 단면에, 4극의 돌출극부(12t, 12b, 12l,12r) 및 코어백(12c)을 배치하고, 각 돌출극부(12t, 12b, 12l, 12r)에 전자석 코일(12h) 또는 (12v)을 감은 2극 전자석(12)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하에 설치된 돌출극부(12t)와 (12b)에는 전자석 코일(12h)이 감겨져, 그것에 전류 공급회로(13)가 접속되고, 좌/우에 설치된 돌출극부(12l)와 (12r)에는 전자석 코일(12v)이 감겨져 그것에 전류 공급회로(15)가 접속되어, 제1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수평/수직의 2극 자계가 각각 생성된다.
[실시예 3]
다음에 2극 전자석의 또다른 설치예를 제9도 및 제10도로서 설명한다.
제9도는 CP-ASSY(11)의 외관도이고, 제9도의 화살표(Ⅷ)에서 본 전자석 코일의 사시도를 제10도에 도시한다. 제8도의 것과 같은 작용을 하는 전자석 코일(1h, 12v)이 CP-ASSY(11)내에 조립되어 있는 구조이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새도우 마스크의 변형을 센서로서 직접 검출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새도우 마스크의 변형은 애노드 전류에 비례함으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류 검출회로(21)에서 애노드 전류에 비례한 전압을 검출하고, 전류 제어회로(14) (16)는 그것에 의하여 전류 공급회로(13) (15)의 제어를 행하고, 톱니파 전류의 진폭을 가변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새도우 마스크의 변형을 직접/간접으로 검출하여, 톱니파 전류의 진폭을 자동 조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론트 또는 사이드에 사용자에게 개방된 사용자 볼륨(22)을 설치하고, 상기 사용자 볼륨(22)의 조작에 의하여 톱니파 전류의 진폭을 수동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CRT의 넥부에 배치한 2극 전자석의 전자석 코일에 공급된다. 편향 전류에 동기한 정부로 교번하는 톱니파에 의거하여 2극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2극 자계가 청색, 녹색 및 적색에 대응한 각 전자비임에 대하여 동등의 작용을 미치게하여 그랜딩을 변화하는 것이고, 도밍이나 H/V차에 따른 미스랜딩이 보정되고, 색순도의 열화를 값싸게 해소할 수 있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음극선관(1)의 넥부에 설치되고, 그의 편향요크(8)에 의해 편향되는 전자비임(7)에 수직방향의 편향을 부여하기 위하여 2극 자계를 발생시키는 1쌍의 전자석 코일(12h) 및 수평 방향의 편향을 부여하기 위하여 자계를 발생시키는 1쌍의 전자석 코일(12v)의 적어도 한쪽을 가지는 2극 전자석(12)과, 상기 전자석 코일(12h, 12v)에, 편향전류에 동기하여 정부로 교번하는 톱니파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회로(13 ; 15)와, 상기 전류 공급회로(13)가 출력하는 톱니파 전류의 진폭을 제어하는 전류 제어회로(14 ; 16)를 갖춘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20005995A 1991-10-17 1992-04-10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 KR960000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96613A JP2965769B2 (ja) 1991-10-17 1991-10-17 陰極線管ディスプレイ装置
JP91-296613 1991-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933A KR930008933A (ko) 1993-05-22
KR960000347B1 true KR960000347B1 (ko) 1996-01-05

Family

ID=1783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995A KR960000347B1 (ko) 1991-10-17 1992-04-10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81162A (ko)
JP (1) JP2965769B2 (ko)
KR (1) KR960000347B1 (ko)
DE (1) DE423172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9706B2 (ja) * 1995-08-09 2003-04-21 エヌイーシー三菱電機ビジュア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色純度調整方法
JP3634476B2 (ja) * 1995-12-25 2005-03-30 エヌイーシー三菱電機ビジュア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補償方法
US6285812B1 (en) * 1998-07-17 2001-09-04 Lucent Technologies Inc. Switchable and reconfigurable optical grating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KR100786834B1 (ko) * 2002-04-03 2007-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형광 스크린을 구비한 음극선관
US11747054B2 (en) 2020-05-14 2023-09-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gnetic refrigerator
KR102630536B1 (ko) * 2022-05-16 202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4942A (en) * 1965-12-14 1969-01-28 Rca Corp Auxiliary beam deflection yoke
US3398320A (en) * 1965-12-14 1968-08-20 Rca Corp Dynamic color purity apparatus
GB1249798A (en) * 1969-02-20 1971-10-13 Sony Corp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
US3631296A (en) * 1969-12-10 1971-12-28 Motorola Inc Television deflection system
JPS5019108B2 (ko) * 1971-09-23 1975-07-04
US3930185A (en) * 1974-05-20 1975-12-30 Rca Corp Display system with simplified convergence
JPS63105250A (ja) * 1986-10-17 1988-05-10 Kobe Steel Ltd 掘削作業機械の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
EP0348571A1 (en) * 1988-06-30 1990-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display monitor with stray magnetic field compensation
US5086259A (en) * 1989-03-17 1992-02-04 Hitachi, Ltd. System for converging a plurality of electron beams in cathode ray tube
US5070280A (en) * 1989-08-25 1991-12-03 Hitachi, Ltd. Deflection yoke
JPH0348842U (ko) * 1989-09-19 1991-05-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31720C2 (de) 1998-10-22
US5581162A (en) 1996-12-03
DE4231720A1 (de) 1993-04-22
KR930008933A (ko) 1993-05-22
JPH05111042A (ja) 1993-04-30
JP2965769B2 (ja) 199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4888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960000347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
EP042494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5719542A (en) Convergence yoke for improving focus characteristics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JPH05252525A (ja) 偏向ヨーク装置
US60608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pecific placement of magnetic plate
US5343113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with reduced beam spot size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KR10025355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US6686688B2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20000013561U (ko) 컬러 음극선관의 컨버전스 보상장치
JPH01260746A (ja) カラー陰極線管
JPH0576018A (ja) ビームランデイング補正装置
JPH0461588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9980072246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20000041356A (ko) 음극선관용 마그네트 결합체
KR20040082192A (ko) 편향 요크의 편향 코일
KR20060094197A (ko) 편향요크
JPH06176716A (ja) 偏向ヨーク
KR19990065074A (ko) 칼라음극선관용 마그네트
JPH03147234A (ja) インライン形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JPH1196940A (ja) カラー受像管装置およびそのコンバーゼンス補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