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272B1 -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272B1
KR100496272B1 KR1019980016127A KR19980016127A KR100496272B1 KR 100496272 B1 KR100496272 B1 KR 100496272B1 KR 1019980016127 A KR1019980016127 A KR 1019980016127A KR 19980016127 A KR19980016127 A KR 19980016127A KR 100496272 B1 KR100496272 B1 KR 100496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magnetized
cathode ray
ray tube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4400A (ko
Inventor
정장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272B1/ko
Priority to JP10351200A priority patent/JPH11329295A/ja
Priority to US09/210,376 priority patent/US6268689B1/en
Priority to CN99101329A priority patent/CN1234599A/zh
Publication of KR1999008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2Permanently magnetised materials,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는,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착자된 착자부를 가지며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인라인 상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을 정적 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마그네트 링과, 상기 한쌍의 마그네트 링의 전자빔의 변위량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세 전자빔중 양측의 전자빔과 인접된 적어도 일측에 1극을 제외한 홀수극으로 착자된 보정링을 가지는 보정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Convergence magnet assembly of 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전자빔의 스테틱 콘버어젼스를 조정하기 위한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총을 갖는 인라인 방식의 컬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3개의 전자총의 축은 수상관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위에 배열되고 바깥쪽의 두 전자빔의 경로는 중앙의 전자빔 경로에 대해 대칭이 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빔이 편향 수단에 의해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자총 조립체 전면에 위치한 형광면 중앙에 모이도록 하여 깨끗한 화상을 만드는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컬러 음극선관의 부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 또는 부품 크기의 허용 오차로 인하여 컬러 음극선관은 상기와 같은 이상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하기에는 실제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로, 컬러 음극선관은 전자빔 경로에 근소한 산포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전자총의 특성 산포를 보상하기 위해 전자빔의 궤도를 수정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상기 전자빔의 궤도는 자기장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자기장은 전자빔의 스테틱 콘버어젼스 조정뿐만 아니라 색상 조정에 이용되어 왔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 순도 조정은 전자빔의 진행경로를 둘러싸도록 음극선관(100)의 네크부(101)에 나란하게 설치된 링형상의 두 개의 2극 영구자석(11)(11')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졌다. 또한, 스테틱 콘버어젼스는 전자빔의 진행경로를 둘러싸도록 음극선관의 네크부(101)에 나란하게 설치된 링형상의 두개의 4극 영구자석(12)(12')과 두 개의 링형상 6극 영구자석(13)(13')에 의해 조정된다. 상기 마그네트 조립체(10)는 한줄로 정열될 때 자석 조립체의 자기장의 세기는 최대가 된다. 반면에, 두개의 영구자석이 소정의 각, 예를 들어, 180°, 90°, 또는 60°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때 자석 조립체의 자기장의 세기는 최소가 된다.
상기 음극선관이 설계치대로 이상적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정적 집속오차가 발생되지 않거나 미세한 오차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마그네트 조립체(10)의 설치는 불필요하게 되는데,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된 마그네트 조립체의 최소 자계의 영향으로 스테틱 콘버어젼스가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는 전자빔의 최소 변위량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자빔의 최소 변위량을 갖는 마그네트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라인상의로 배열된 세 전자빔중 양측의 전자빔 사이의 직선 거리(이하 OCV라 함)와 양측 전자빔 사이의 직선거리 중앙과 중앙의 전자빔 사이의 직선 거리(이하 CCV라 함)가 상기 최소 변위량 이내의 범위(A)에서 어긋난 경우 스테틱 콘버어젼스의 조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자빔의 스테틱 콘버어젼스의 조정의 범위를 확장시켜 최소 조정량을 0에 수렴시킬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퓨리티 조정과 콘버어젼스 조정에 따른 특성을 향상시켜 화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는,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착자된 착자부를 가지며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인라인 상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을 정적 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마그네트 링과, 상기 한쌍의 마그네트 링의 전자빔의 변위량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세 전자빔중 양측의 전자빔과 인접된 적어도 일측에 1극을 제외한 홀수극으로 착자된 보정링을 가지는 보정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는,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소정간격으로 착자된 착자부를 가지는 한 쌍의 2극 마그네트 링으로 이루어진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 동일한 자력으로 4극 또는 6극으로 착자된 착자부를 가지는 적어도 한쌍의 마그네트 링으로 이루어진 스태틱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상기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와 스태틱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사이에 개재된 비자성 스페이서;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빔중 적어도 일측의 전자빔을 변위시키기 위해 그 전자빔에 인접한 부위에 1극을 제외한 홀수극으로 착자된 보정링을 가지는 보정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도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 조립체는 인라인형 전자총이 장착된 컬러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의 이동경로를 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 조립체(20)는 소정간격 상호 이격된 적어도 한쌍의 마그네트 링(21)(22)과, 상기 한쌍의 마그네트 링(21)(22)에 의한 전자빔의 최소 변위량 이상으로 정적 집속 상태를 어긋나게 하는 보정수단(30)을 가진다.
상기 한쌍의 링(21)(22)은 페라이트 코어, 바륨 훼라이트, Al, Ni, Co의 합금인 알니코(alnico)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자부(21a)(22a)는 N극과 S극이 상호 교번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 링(21,22)은 2극, 4극 또는 6극의 착자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정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라인 상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중 외측에 위치되는 전자빔을 변위시키기 위해 적어도 3극(31a,31b,31c)을 갖도록 착자된 제1보정링(31)를 포함한다. 상기 3극(31a,31b,31c)은 청, 녹, 적색의 형광체를 여기시키기 위한 세 전자빔(이하 각각 B,G,R 전자빔이라 약칭함)중 R 또는 B전자빔을 이동시켜 R 전자빔과 B 전자빔 사이의 직선 거리인 OCV와 R,B전자빔 사이의 중심과 G전자빔 사이의 직선거리인 CCV를 조정할 수 있도록 R 또는 B 전자빔과 인접된 측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보정링(31)의 3극중 중앙에 위치되는 자극은 인라인 상으로 배열된 전자빔의 수평축상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정링에 착자된 3극중 중앙에 위치한 극의 자력의 세기와 양측에 위치한 극의 자력의 세기가 상호 다르게 착자되는데, 3극중 중앙에 위치한 극의 자력의 세기가 양측에 위치한 극의 자력의 세기보다 세게 착자된다. 상기 제1보정링에 3극이 착자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3극 이상의 홀수극으로 착자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보정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 전자빔과 B 전자빔을 동시에 변위시킬 수 있도록 6극(32a 내지 32f)이 착자된 제2보조링(3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보정링(31)(32)의 설치위치는 네크부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의 궤도를 감싸도록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정수단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극(34a 내지 34f)를 가진 단일 보정링(34)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B전자빔 경로에 인접한 3극(34d,34e,34f)의 자계 세기와 R전자빔 경로에 인접한 3극(34a,34b,34c)의 자계 세기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 조립체에 의한 스태틱 콘버어젼스를 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정수단의 제1보정링(31)은 상기 한쌍의 마그네트 링(21)(22)의 최소 보정범위 이상 최대 보정범위 이하의 범위내에서 보정의 여유 범위를 크게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마그네트 링(21)(22)을 소정 각도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자속의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전자빔의 변위를 완전보정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소 합성 자계를 가지도록 마그네트 링(21,22)을 상대 회전시켜 착자부(21a)(22a)의 상반되는 극을 밀착시키면, 합성자계는 완전히 상쇄되지 아니하고 단지 평균 자속 밀도와 그 피크치가 일정율 감쇄된다. 따라서, 합성자계가 최소일 경우, 전자빔의 최소 변위량(0.1 내지 0.3mm)의 범위 내에서는 한 쌍의 마그네트 링을 상호 소정의 각도로 상대 회전시켜도 스테틱 콘버어젼스의 보정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보정링(31)에 착자된 3극(31a,31b,31c)의 자계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 링에 의한 전자빔의 최소변위량 이상으로 전자빔의 변위량을 어긋나게 한다. 이 경우, 한쌍의 마그네트 링(21)(22)을 상대 회전시켜 마그네트 링(21)(22)의 최소 변위량 이상으로 어긋난 전자빔의 스테틱 콘버어젼스의 보정이 가능하고 조정에 따른 여유도를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제1,2 보정링(31)(32)에 의해 인라인 상으로 배열된 전자빔 변위량을 X 축과 Y축에 대해 하기 표1-1, 1-2에 나타나 보인 바와 같이 조정 할 수 있었다.
표1-1
제1보정링의 착자부위치 R-G전자빔간의 거리(mm) B-G전자빔간의 거리(mm) R-B전자빔간의 거리(mm) 비 고
A X 0.94 -0.18 1.13 표준(standard)
0.44 -0.78 1.22
B B 전자빔 X 0.74 0.58 0.17 황색화소/ B 전자빔 상승
Y 1.02 10.3 -0.01
x축으로의 이동량(mm) 0.2 1.34 0.96
Y축으로의 이동량(mm) 0.58 1.8 1.21
R전자빔 X 1.06 0.44 0.62 적색화소/ R 전자빔 상승
Y 2.04 0.44 1.99
X축으로의 이동량(mm) 0.12 0.62 0.51
Y축으로의 이동량(mm) 1.6 0.82 0.77
R전자빔 X 1.16 0.25 0.91 청색화소/ R 전자빔 하강
Y 0.53 0.59 -0.06
X축으로의 이동량(mm) 0.22 0.43 -0.22
Y축으로의 이동량(mm) 0.09 1.37 1.16
표1-2
제1보정링의 착자부위치 R-G전자빔간의 거리(mm) B-G전자빔간의 거리(mm) R-B전자빔간의 거리(mm) 비 고
A X 1.22 0.65 1.86 표준(standard)
-0.09 0.05 -0.14
B B 전자빔 X 0.84 -0.59 1.44 황색화소/ B 전자빔 상승
Y 0.25 2.0 -1.75
x축으로의 이동량(mm) 0.38 1.24 0.24
Y축으로의 이동량(mm) 0.34 1.95 1.61
R전자빔 X 1.06 -0.38 1.44 적색화소/ R 전자빔 상승
Y 1.50 0.98 0.51
X축으로의 이동량(mm) 0.16 1.03 0.42
Y축으로의 이동량(mm) 1.59 0.93 0.65
R전자빔 X 1.2 -0.81 2.0 청색화소/ R 전자빔 하강
Y -0.39 1.51 -1.91
X축으로의 이동량(mm) 0.02 1.46 0.14
Y축으로의 이동량(mm) 0.3 1.46 1.99
(상기 표1-1에 있어서, A는 통상적인 15인치 음극선관의 전자빔의 이동관계를 나타내 보인 것이며, B는 상기 15인치 음극선관에 3극이 착자된 제1보정링과 6극이 착자된 제2보정링을 장착하였을 때에 전자빔의 이동관계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 표1-2에 있어서, A는 통상적인 17인치 음극선관의 전자빔의 이동관계를 나타내 보인 것이며, B는 상기 17인치 음극선관에 3극이 착자된 제1보정링과 6극이 착자된 제2보정링을 장착하였을 때에 전자빔의 이동관계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술한 표1-1과 표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그네트 링(21)(22)에 의한 전자빔의 최소 변위량의 범위가 0.2mm 이상 벗어나게 되므로 마그네트 링(21)(22)에 의해 완전한 전자빔 변위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R 전자빔과 B 전자빔 사이의 직선 거리인 OCV를 1mm 이상 벗어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들 전자빔의 어긋남에 대한 스테틱 콘버어젼스의 완전한 보정이 가능하다.
도 7에는 다른 실시예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100)의 네크부(101)에는 하우징(41)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41)에는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43)가 설치되는데, 이것은 하우징(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 2극(N,S) 착자부(42a)(42a')를 가지는 한쌍의 2극 마그네트 링(42)(42')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101)에는 각각 4극(N,S,N,S극) 착자부(44a)(44a')를 가지는 한쌍의 4극 마그네트 링(44)(44')으로 이루어진 제1스테틱 콘버어젼스 조립체(45)와, 각각 6극(N,S,N,S,N,S극) 착자부(46a)(46a')를 가지는 한 쌍의 6극 마그네트 링(46)(46')으로 이루어진 제2스테틱 콘버어젼스 조립체(47)가 구비된다.
상기 2극,4극, 6극 마그네트 링(42,42')(44,44')(46,46')의 사이의 하우징(41)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스페이서(48)가 설치되며, 상기 각 마그네트 링이 하우징(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41)에 고정부재(48)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1)에는 상기 제2,4,6 마그네트링(42,42')(44,44')(46,46')들에 의한 최소 전자빔 변위량 이상으로 스테틱 콘버어젼스 상태를 어긋나게 하는 보정수단이 설치된다. 이 보정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보정링(31), 제2보정링(32) 또는 6극 보정링(34)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상기 제1보정링(31)은 3극를 가지도록 착자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R 또는 B전자빔을 마그네트 링의 최소 전자빔 변위량 이상 변위시킬 수 있도록 착자되는데, 3극 이상의 홀수극으로 착자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 보정링(31)(32)의 설치위치는 하우징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의 이동경로상이면 어느 위치나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43)와 제1,2스테틱 콘버어젼스 조립체(45)(47)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를 상기 제1,2보정링(31)(32) 및 6극 보정링(34)중 적어도 하나로 대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인라인형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상기 보정수단인 제1보정링(32)에 의해 R 전자빔 또는 B 전자빔이 4극 또는 6극 마그네트 링에 의해 변위되는 최소변위량보다 크게 어긋나게 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리트 마그네트 조립체(43) 및 제1,2스테틱 마그네트 조립체(45)(47)에 의해 색순도와 스테틱 콘버어젼스를 조정하지 않은 상태에도,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R 전자빔 또는 B 전자빔은 제1,2보정링(31)(32) 또는 6극 보정링(34)에 의해 자기장이 가해지므로 상기 전자빔의 최소 변위량 이상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스테틱 마그네트 조립체(45)의 4극마그네트 링(44)(44')에 의해 G전자빔의 양측에 위치된 B,R 전자빔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2스테틱 마그네트 조립체(47)의 6극 마그네트 링(46)(46')에 의해 상기 B,R 전자빔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스테틱 콘버어젼스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B,R 전자빔은 상기 4극 마그네트링(44,44') 또는 6극 마그네트링(46,46')에 의해 변위되는 전자빔 최소변위량 보다 큰 값으로 어긋난 상태이므로 스테틱 콘버어젼스 조정을 0에 수렴시킬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4극 마그네트링(44)(44') 또는 6극 마그네트링(46)(46')의 착자부의 예컨대, 약100 가우스 정도로 자력이 서로 동일할 때, 각 마그네트 링의 조정에 의한 전자빔의 최소변위량은 0.7mm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보정링(31)에 의해 B,R전자빔 사이의 간격을 1.5 mm가 되도록 하고 상기 상기 B,R 사이의 간격의 중심과 G 전자빔 사이의 간격이 1mm가 되도록 함으로써 조정에 따른 전자빔의 최소 변위량을 0에 수렴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한쌍의 2극 마그네트링(41)(42)은 플레밍의 왼손법칙과 로렌쯔의 힘에 의하여 B,G,R 전자빔을 같은 방향으로 변위시켜 색순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는 2극, 4극 또는 6극 마그네트 링에 의해 변위되는 전자빔 최소변위량 이상으로 전자빔의 OCV와 CCV를 어긋나게 하여 전자빔의 정전집속의 0에 수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테틱 콘버어젼스 특성 및 색순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가 장착된 음극선관의 측면도,
도 2는 세 전자빔의 어긋난 콘버어젼스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보정링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보정수단의 제2보정링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보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로 단일 6극 보정링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가 네크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Claims (10)

  1.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착자된 착자부를 가지며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인라인 상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을 정적 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마그네트 링과,
    상기 한쌍의 마그네트 링의 전자빔의 변위량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세 전자빔중 양측의 전자빔과 인접된 적어도 일측에 1극을 제외한 홀수극으로 착자된 보정링을 가지는 보정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의 전자빔과 인접되는 측에 1극을 제외한 홀수극으로 착자된 자속밀도의 세기와 타측의 전자빔과 인접되는 측에 1극을 제외한 홀수극으로 착자된 자속 밀도의 세기가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동축상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간극으로 6극 착자부를 가지는 보정링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6극보정링은 세 전자빔중 일측 외측의 전자빔과 인접된 측에 착자된 극의 자력과 타측 외측 전자빔과 인접한 측에 착자된 자력이 서로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링에 착자된 3극중 중앙에 위치한 극은 인라인상으로 배열된 전자빔의 수평축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링에 착자된 3극중 중앙에 위치한 극의 자력의 세기와 양측에 위치한 극의 자력의 세기가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링에 착자된 3극중 중앙에 위치한 극의 자력의 세기가 양측에 위치한 극의 자력의 세기보다 세게 착자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8.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소정간격으로 착자된 착자부를 가지는 한 쌍의 2극 마그네트 링으로 이루어진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
    동일한 자력으로 4극 또는 6극으로 착자된 착자부를 가지는 적어도 한쌍의 마그네트 링으로 이루어진 스태틱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상기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와 스태틱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사이에 개재된 비자성 스페이서;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빔중 적어도 일측의 전자빔을 변위시키기 위해 그 전자빔에 인접한 부위에 1극을 제외한 홀수극으로 착자된 보정링을 가지는 보정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일측의 전자빔과 인접되는 측에 1극을 제외한 홀수극으로 착자된 자속밀도의 세기와 타측의 전자빔과 인접되는 측에 1극을 제외한 홀수극으로 착자된 자속 밀도의 세기가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링에 착자된 3극중 중앙에 위치한 극은 인라인상으로 배열된 전자빔의 수평축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KR1019980016127A 1998-05-06 1998-05-06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KR10049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127A KR100496272B1 (ko) 1998-05-06 1998-05-06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JP10351200A JPH11329295A (ja) 1998-05-06 1998-12-10 カラー陰極線管の集束マグネット組立体
US09/210,376 US6268689B1 (en) 1998-05-06 1998-12-14 Convergence assembly including a correction ring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CN99101329A CN1234599A (zh) 1998-05-06 1999-01-20 彩色阴极射线管会聚磁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127A KR100496272B1 (ko) 1998-05-06 1998-05-06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400A KR19990084400A (ko) 1999-12-06
KR100496272B1 true KR100496272B1 (ko) 2005-09-09

Family

ID=1953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127A KR100496272B1 (ko) 1998-05-06 1998-05-06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68689B1 (ko)
JP (1) JPH11329295A (ko)
KR (1) KR100496272B1 (ko)
CN (1) CN12345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115A (ko) * 2000-04-17 2001-11-07 이형도 편향요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726A (en) * 1984-12-20 1987-06-02 Hitachi Metals, Ltd. Convergence device for electron beams in color picture tube
US5227753A (en) * 1991-12-05 1993-07-13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 beam adjusting device
JPH09306378A (ja) * 1996-05-15 1997-11-28 Hitachi Ltd 陰極線管
KR19990084425A (ko) * 1998-05-06 1999-12-06 손욱 칼라 브라운관의 컨버젼스 보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9292A (en) * 1972-03-20 1976-03-24 Rca Corp Static convergence device for electron beams
US4091347A (en) * 1976-03-17 1978-05-23 Rca Corporation Convergence apparatus for in-line beams
JPS55154046A (en) * 1979-05-17 1980-12-01 Sanyo Electric Co Ltd Convergence device
JP2522841Y2 (ja) * 1990-10-11 1997-01-16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電子ビーム調整装置
JP3638311B2 (ja) * 1993-09-14 2005-04-13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KR0160847B1 (ko) * 1995-02-20 1998-12-01 구자홍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726A (en) * 1984-12-20 1987-06-02 Hitachi Metals, Ltd. Convergence device for electron beams in color picture tube
US5227753A (en) * 1991-12-05 1993-07-13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 beam adjusting device
JPH09306378A (ja) * 1996-05-15 1997-11-28 Hitachi Ltd 陰極線管
KR19990084425A (ko) * 1998-05-06 1999-12-06 손욱 칼라 브라운관의 컨버젼스 보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4599A (zh) 1999-11-10
JPH11329295A (ja) 1999-11-30
KR19990084400A (ko) 1999-12-06
US6268689B1 (en) 2001-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1922A (en) Coma-error correcting means of CRT
KR100496272B1 (ko)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KR100301323B1 (ko) 칼라수상관
US6124669A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325878B1 (ko) 콘버어젼스퓨리티마그네트조립체와이를이용한음극선관
KR100573095B1 (ko)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KR920000940B1 (ko) 칼라 수상관 및 편향 장치
KR200242233Y1 (ko) 음극선관용컨버전스마그네트조립체
KR100345339B1 (ko)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용 마그네트에 자력을 공급하기 위한착자요크
KR960006527Y1 (ko) 더미(dumy)자극이 추가된 음극 선관용 컨버전스 마그네트 조립체
KR100303928B1 (ko)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
US60608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pecific placement of magnetic plate
KR200179735Y1 (ko)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씨알티)용 마그네트에 자력을공급하기 위한 착자요크.
KR100303852B1 (ko) 인라인형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
KR950005807B1 (ko) 색순화 자석
EP0843333A2 (en) Color cathode ray tube provided with a beam convergence adjustment device
KR100303835B1 (ko) 음극선관용 마그네트 결합체
KR20010096726A (ko) 비대칭 극성의 마그네트가 형성된 컨버젼스용 마그네트조립체
KR200360755Y1 (ko) 컬러음극선관의할로보정장치
KR100311203B1 (ko)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KR100301324B1 (ko) 컬러수상관
KR20020021712A (ko) 전자빔 포커스 보정용 마그네트 유니트 및, 그것을구비하는 칼러 음극선관
KR20030067062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19990064459A (ko)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빔로테이션 조정 마그네트
JPH01290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