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755Y1 - 컬러음극선관의할로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컬러음극선관의할로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755Y1
KR200360755Y1 KR2019980024660U KR19980024660U KR200360755Y1 KR 200360755 Y1 KR200360755 Y1 KR 200360755Y1 KR 2019980024660 U KR2019980024660 U KR 2019980024660U KR 19980024660 U KR19980024660 U KR 19980024660U KR 200360755 Y1 KR200360755 Y1 KR 200360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beam
halo
halo correction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907U (ko
Inventor
최진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4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75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전자빔의 중심축이 주정전렌즈의 중심을 정확히 통과하지 않을 때에 발생하는 전자빔 스포트의 할로(halo)를 제거하여 고해상도의 화질이 제공되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은, 한 쌍의 자극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링형 할로 보정부재가 네크의 관축을 중심으로 외주면을 따라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에 연이여 장착되며, 회전 각도에 따른 자극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자계에 의해 해당 전자빔의 중심축이 해당 주정전렌즈의 중심으로 통과되게 조정하고, 할로 보정부재는 두 개의 페라이트 재질 링에 자극이 페리 자성에 따라 접극되게 각각 착자되며, 두 링의 일측은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돌출되어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자빔의 집속불량이 제거되며, 양호한 전자빔 스포트를 얻어 해상도의 열화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
본 고안은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빔의 중심축이 주정전렌즈의 중심을 정확히 통과하지 않을 때에 발생하는 전자빔 스포트의 할로(halo)를 제거하여 고해상도의 화질이 제공되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컬러 음극선관은 텔레비전 수상기를 비롯하여 오실로스코우프나 레이다의 관측용 등 다방면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컬러 음극선관은 기본적으로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형광막에 랜딩(Randing)시켜 정보표시를 수행하며, 통상적으로 전자빔을 1열로 배치하여 컨버전스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 인라인 방식이 적용된다.
이와 같은 인라인 방식의 전자총을 내장한 컬러 음극선관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제시된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수상관을 종래 기술의 한 예로, 설명한다.
컬러 수상관은 진공 외관용기를 갖고, 이 진공 외관용기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제 패널(1), 이 패널(1)에 연이어 설치된 깔때기 형상의 유리제 펀넬(2) 및 이 펀넬(2)의 직경이 작은 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원통 형상의 유리제 네크(3)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패널(1)의 내면에는 적,녹,청으로 발광하는 도트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3색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스크린(4)이 설치되며, 이 스크린(4)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색선별을 위한 다수의 슬롯 또는 도트가 형성되어 있는 섀도우마스크(5)가 설치된다.
네크(3)내에는 전자총(6)이 설치되며, 이 전자총(6)은 각 전극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전렌즈에 의해 3색 전자빔(7)이 생성되는 삼극부와, 두 전극사이의 전압차에 의해 형성된 주정전렌즈에 의해 전자빔(7)을 화면의 일점에 집속시키는 주렌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삼극부는 적,녹,청의 전자빔(7)을 방출하는 음극(6a), 이 음극(6a)에서 소정 거리로 떨어져 순차 배치되어 전자빔(7)을 제어·가속시키는 제어전극(6b)과 가속전극(6c)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렌즈부는 삼극부에서 생성된 전자빔(7)을 집속시키는 포커스전극(6d)과, 전자빔(7)을 최종 가속시키는 양극(6e)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극들은 관축(Z-Z)방향으로 일렬 배열되어 비드글라스(6g)에 의해 소정 거리로 이격·고정되며, 전자빔 통과공(6h)이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되게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펀넬(2)의 네크(3)측 근방의 외측에 편향요크(8)가 장착되어 핀쿠션형 수평 편향자계와 배럴형 수직 편향자계를 발생하며, 양극(6e)의 전면에는 편향요크(8)의 누설자계를 차폐, 약화시키는 차폐전극(6f)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6a)과 제어전극(6b) 및 가속전극(6c)의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렌즈에 의해 전자빔(7)이 생성되며, 포커스전극(6d)과 양극(6e)의 전압차에 의해 인라인으로 배열·형성된 주정전렌즈(A,B,C)를 전자빔(7)이 통과하면서 제어·가속·집속되어 화면의 일점에 집속된다. 이때 정 컨버전스를 위하여 외곽에 위치한 두 주정전렌즈(A,C)는 녹색빔(7b) 방향으로 컨버전스 작용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셀프 컨버전스 시스템을 적용한 브라운관에서는 동 컨버전스 조정은 필요하지 않으나 정 컨버전스 조정 및 화면 중앙부에서의 색순도 조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네크(3)의 전자총(6) 주위의 외측에는 전자빔(7)의 색순도 및 색일치를 위한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Convergence Purity Magnet: 9)가 장착되어 고정나사(9d)에 의해 고정된다. 이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는 2극 마그네트(9a)와 4극 마그네트(9b) 및 6극 마그네트(9c)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일렬 배치된 전자빔(7)은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에 의해 진행경로가 정확하게 조정되며, 편향요크(8)가 발생하는 수평 편향자계 및 수직 편향자계에 의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된다. 이것에 의해 전자빔(7)이 섀도우마스크(5)를 통과하여 스크린(4)에 도달했을 때에 3색 전자빔(7)이 스크린(4)의 전체, 즉 화면 전체에 집중되며, 또 수평주사 및 수직주사하는 것에 의해 컬러화상이 표시된다.
상술하면,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는 자장의 상호 효과에 의해 전자빔(7)을 이동시켜 색순도를 조정하며 색일치를 위해 컨버전스를 조정한다.
여기서, 2극 마그네트(9a)는 도 4a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쌍의 자극이 서로 다른 극성끼리 대향하게 90°간격으로 착자된 2장의 링형 페라이트로 구성되며, 수평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빔(7)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4a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매트리스(4a) 사이의 형광체층(4b)에 전자빔(7)이 정확하게 랜딩되게 하여 색순도를 조정한다.
그리고, 도 4b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쌍의 자극이 서로 같은 극성끼리 대향하게 90°간격으로 착자된 2장의 링형 페라이트로 구성되는 4극 마그네트(9b)는, 외곽의 적색빔(7a)과 청색빔(7c)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2장의 링형 페라이트가 열리는 각도에 따라 빔의 이동량이 변화되고, 2장의 링형 페라이트를 같이 회전시켜 이동방향을 바꾸게 된다.
또한, 6극 마그네트(9c)는 도 4c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쌍의 자극이 서로 다른 극성끼리 대향하게 60°간격으로 착자된 2장의 링형 페라이트로 구성되며, 적색빔(7a)과 청색빔(7c)을 같은 양,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2장의 링형 페라이트가 열리는 각도에 따라 이동량이 변화되며 2장의 링형 페라이트를 같이 회전시켜 이동방향을 바꾸게 된다.
따라서, 4극 마그네트(9b)를 이용해 적색빔(7a)과 청색빔(7c)을 일치시킬 수 있으며, 6극 마그네트(9c)를 이용해 일치된 적색빔(7a) 및 청색빔(7c)을 이동시켜 중앙의 녹색빔(7b)에 중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정전렌즈 및 주정전렌즈(A,B,C)를 통하여 화면 중앙에 전자빔(7)을 집중시키려고 할 때에 완전한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집중보정이나 전극들의 오배열에 의해 생기는 전자빔(7)의 불일치를 4극 마그네트(9b) 및 6극 마그네트(9c)를 이용해 화면의 한점에 일치되도록 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에서, 삼극부의 각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정전렌즈에 의해 전자빔(7)이 생성되며, 주렌즈부의 두 전극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차에 의해 형성된 주정전렌즈(A,B,C)를 통해 전자빔(7)이 집속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정전렌즈(A,B,C)를 통과하는 전자빔(7)의 정확한 경로는 정 컨버전스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건으로 작용되며, 이는 전자총(6)을 구성하는 전극들의 정확한 정렬 및 평행 상태를 통하여 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작상의 편차에 의하여 전자총(6)이 불안전 또는 오제작되어 전극들이 정확하게 정렬 및 평행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자빔(7)의 중심축이 주정전렌즈(A,B,C)의 중심을 정확히 통과하지 않게 되어 전자빔(7)의 완전한 집속을 이룰 수 없게 된다. 그러면 화면 상의 전자빔 스포트에서 수평, 수직방향으로 할로가 발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하면, 삼극부를 이루는 전극들의 정렬 및 평행도 등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빔(7a)의 중심축이 주정전렌즈(A)의 중심을 이탈(d)하여 외곽으로 통과되므로 전자빔(7)의 스포트에서 할로(H)가 발생되며, 주렌즈부를 이루는 전극들의 정렬 및 평행도 등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 삼극부의 전자빔(7)이 정상적으로 통과하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정전렌즈(A)가 정위치에서 이탈(d')되어 전자빔(7)의 스포트에서 할로(H)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생된 할로(H)는 음극선관의 해상도 열화에 치명적인 요인으로 작용되므로 제작된 음극선관을 불량품으로 분류하여 패기 처분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전자총의 불안전 또는 오제작에 의한 전자빔 스포트의 할로를 보정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의 것과 비교할 때에 동등 이상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에 연이어 설치되어 전자빔의 중심축이 주정전렌즈의 중심으로 통과되게 전자빔의 통과경로를 조정하여 전자빔 스포트의 할로를 제거하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첫째: 전자빔의 집속불량을 제거하며,
둘째: 양호한 전자빔 스포트를 얻어 해상도의 열화를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는, 전극사이의 전압차에 의해 복수의 주정전렌즈가 인라인으로 배열·형성되어 상기 주정전렌즈를 통과하는 복수의 전자빔을 패널의 일점에 집속시키는 전자총을 네크에 내장하며, 상기 전자빔의 색순도 및 색일치를 위한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가 상기 네크의 상기 전자총 주위의 외측에 장착된 컬러 음극선관에 있어서:
(1) 한 쌍의 자극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링형 할로 보정부재가 상기 네크의 관축을 중심으로 외주면을 따라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에 연이여 장착되며;
(2) 상기 할로 보정부재는 회전 각도에 따른 상기 자극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자계에 의해 상기 해당 전자빔의 중심축이 상기 해당 주정전렌즈의 중심으로 통과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할로 보정부재는 페라이트 재질의 링에 자극이 페리 자성에 따라 접극되게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로 보정부재는 비금속 재질의 링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할로 보정부재는 비금속 재질의 링에 전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전자빔의 각 중심축이 해당 주정전렌즈의 중심을 정확히 통과하지 않을 때에 전자빔의 통과경로가 조정되어 전자빔의 중심축과 주정전렌즈의 중심이 일치되게 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전자빔의 집속불량이 제거되며, 양호한 전자빔 스포트를 얻어 해상도의 열화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는 여러 가지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기술은 텔레비전 수상기를 비롯하여 오실로스코우프나 레이다의 관측용 등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들은 특정한 컬러 음극선관이 아니고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음극선관과 트리니트론 컬러 음극선관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음극선관에 착안한 도면이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수상관에 적용한 예를 고려한다.
도 5 (가)는 본 고안에 따른 할로 보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컬러 수상관의 부분적인 구성도이고, 도 5 (나)는 도 5 (가)에 도시된 할로 보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컬러 수상관에 별도로 부가 설치되는데, 한 쌍의 자극(S극,N극)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링형 할로 보정부재(100)가 네크(3)의 관축(Z-Z)을 중심으로 외주면을 따라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에 연이여 장착되며, 회전 각도에 따른 자극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자계에 의해 해당 전자빔(7)의 중심축이 해당 주정전렌즈(A,B,C)의 중심으로 통과되게 조정한다.
할로 보정부재(100)는 두 개의 페라이트 재질 링(101,102)에 자극(S극,N극)이 페리 자성에 따라 접극되게 각각 착자되고, 페라이트 재질 링(101,102)의 일측은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돌출되어 손잡이(103)가 형성된다.
도 6은 도 5 (가)에 도시된 할로 보정장치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 (가)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할로 보정부재(200)는 두 개의 비금속 재질 링(201,202)에 영구자석(203)이 각각 부착되고, 두 링(201,202)의 일측은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돌출되어 손잡이(203)가 형성된다. 또한, 도 6 (나)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할로 보정부재(300)는 철심(302a)에 코일(302b)이 소정 회수로 권회된 전자석(302)이 한 개의 비금속 재질 링(30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는, 먼저 음극(6a)에서 방출된 전자빔(7)은 포커스전극(6d)과 양극(6e)의 전압차에 의해 인라인으로 배열·형성된 주정전렌즈(A,B,C)를 통과하면서 제어·가속·집속되어 화면의 일점에 집속된다. 이때 정 컨버전스를 위하여 외곽에 위치한 두 주정전렌즈(A,B)는 녹색빔(7b) 방향으로 컨버전스 작용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9)에 의해 진행경로가 정확하게 조정되며, 편향요크(8)가 발생하는 수평 편향자계 및 수직 편향자계에 의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된다.
여기서, 전자총(6)이 불안전 또는 오제작되어 전극들이 정확하게 정렬 및 평행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자빔(7)의 중심축이 주정전렌즈(A,B,C)의 중심을 정확히 통과하지 않게 된다.
일예로, 적색빔(7a)의 통과경로가 비정상적인 경우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삼극부를 이루는 전극들(6a,6b,6c)의 정렬 및 평행도 등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빔(7a)의 중심축이 주정전렌즈(A)의 중심을 이탈(d)하여 외곽으로 통과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할로 보정부재(100)의 손잡이(103)를 이용하여 두 개의 페라이트 재질 링(101,102)을 함께 회전시켜 자극(S극,N극)이 도 7a (가)와 같이 위치되게 한다.
그러면, 적색빔(7a)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라 자기장의 수직 방향으로 힘(F)을 받아 중앙의 녹색빔(7b) 방향으로 이동되며, 두 링(101,102)을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자극(S극,N극)의 각도를 조절하면 적색빔(7a)의 이동량이 변화되므로 중심축이 해당 주정전렌즈(A)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된 적색빔(7a')과 녹색빔(7b) 및 청색빔(7c)이 정확히 집속되어 할로가 없는 양호한 전자빔 스포트를 얻게 된다.
한편, 주렌즈부를 이루는 전극들(6d,6e)의 정렬 및 평행도 등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빔(7a)이 통과하는 주정전렌즈(A)의 중심이 정위치에서 이탈(d')되어 적색빔(7a)이 주정전렌즈(A)의 외곽으로 통과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할로 보정부재(100)의 손잡이(103)를 이용하여 두 개의 페라이트 재질 링(101,102)을 함께 회전시켜 자극(S극,N극)이 도 7a (나)와 같이 위치되게 한다. 여기서 도 5 (나)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할로 보정부재(100)의 자극(S극,N극)은 반대로 착자, 즉 S극과 N극의 위치가 바뀌어 착자된 상태이다.
그러면, 적색빔(7a)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라 자기장의 수직 방향으로 힘(F)을 받아 녹색빔(7b)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며, 페라이트 재질 링(101,102)을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자극(S극,N극)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적색빔(7a)의 중심축이 해당 주정전렌즈(A)의 중심으로 통과된다.
따라서, 이동된 적색빔(7a')과 녹색빔(7b) 및 청색빔(7c)이 정확히 집속되어 할로가 없는 양호한 전자빔 스포트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적색빔(7a)의 통과경로 보정과정은 녹색빔(7b) 및 청색빔(7c)의 통과경로를 보정하고자 할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된다.
즉, 녹색빔(7b)은 도 7b (가),(나)와 같이 할로 보정부재(100)를 회전시키면 통과경로가 보정되며, 청색빔(7c)은 도 7c (가),(나)와 같이 할로 보정부재(100)를 회전시키면 통과경로가 보정된다.
또한, 도 6 (가)에 도시된 할로 보정부재(200)를 적용한 경우에 도 5 (나)에 도시된 할로 보정부재(100)와 동일한 자기장을 발생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보정과정에 따라 전자빔(7)의 통과경로가 보정된다.
그리고, 도 6 (나)에 도시된 할로 보정부재(300)를 적용한 경우에는 도 5 (나)에 도시된 할로 보정부재(100)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을 대신하도록 전자석(302)에 의해 전기장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도 7과 같은 전자빔(7)의 이동원리는 동일하게 작용된다.
그런데, 도 5 (나)에 도시된 할로 보정부재(100)는 전자빔(7)의 이동량이 페라이트 재질 링(101,102)이 개별적으로 회전될 때 자극(S극,N극)의 각도를 따라 결정되었으나, 전자석(302)을 이용한 할로 보정부재(300)는 코일(302b)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면 전기장의 세기가 조절되어 전자빔(7)의 이동량이 조정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전자총의 전극들이 정확하게 정렬 및 평행되지 않았을 경우에 전자빔의 완전한 집속을 이룰 수 없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전자빔의 통과경로를 조정하므로 전자빔의 집속불량이 제거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자빔의 집속불량으로 인한 할로의 발생을 방지하여 양호한 전자빔 스포트를 얻게 되므로 해상도의 열화가 방지된다.
이 적용예에 의하면, 음극선관의 화질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자총의 전극들이 정확하게 정렬 및 평행되지 않았을 경우에 발생되는 전자빔의 집속불량으로 인한 할로가 제거되며, 양호한 전자빔 스포트를 얻어 해상도의 열화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수상관의 부분 절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총의 부분 절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컬러 수상관의 부분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의 작용 상태도이고,
도 5 (가)는 본 고안에 따른 할로 보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컬러 수상관의 부분적인 구성도이고,
도 5 (나)는 도 5 (가)에 도시된 할로 보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가)에 도시된 할로 보정장치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할로 보정장치의 작용 상태도이고,
도 8은 정상적인 전자빔의 집속 상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정상적인 전자빔의 집속 상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할로 보정장치에 의한 전자빔의 통과경로 보정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네크 7 : 전자빔
7a,7a' : 적색빔 7b : 녹색빔
7c : 청색빔 9 :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100,200,300 : 할로 보정부재 101,102 : 페라이트 재질 링
202,203,301 : 비금속 재질 링 103,203 : 손잡이
302 : 전자석 302a : 철심
302b : 코일 A,B,C : 주정전렌즈

Claims (4)

  1. 전극사이의 전압차에 의해 복수의 주정전렌즈가 인라인으로 배열·형성되어 상기 주정전렌즈를 통과하는 복수의 전자빔을 패널의 일점에 접속시키는 전자총을 네크에 내장하며, 상기 전자빔의 색순도 및 색일치를 위한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가 상기 네크의 상기 전자총 주위의 외측에 장착된 컬러 음그선관에 있어서:
    한 쌍의 자극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링형 할로 보정부재가 상기 네크의 관축을 중심으로 외주면을 따라 상기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에 연이어 장착되되, 상기 할로 보정부재는 자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 보정부재는 페라이트 재질의 링에 자극이 페리 자성에 따라 접극되게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 보정부재는 비금속 재질의 링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 보정부재는 비금속 재질의 링에 전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의 할로 보정장치.
KR2019980024660U 1998-12-10 1998-12-10 컬러음극선관의할로보정장치 KR200360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660U KR200360755Y1 (ko) 1998-12-10 1998-12-10 컬러음극선관의할로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660U KR200360755Y1 (ko) 1998-12-10 1998-12-10 컬러음극선관의할로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07U KR20000011907U (ko) 2000-07-05
KR200360755Y1 true KR200360755Y1 (ko) 2005-05-27

Family

ID=4367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660U KR200360755Y1 (ko) 1998-12-10 1998-12-10 컬러음극선관의할로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7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07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1299B2 (ko)
FI58993C (fi) Konvergensapparat foer in-line straolar
US2680204A (en) Gun structure
US4654616A (en) Blue bow correction for CRT raster
EP0073005B1 (en) Color cathode ray tube device
KR200360755Y1 (ko) 컬러음극선관의할로보정장치
EP0073473B1 (en) A magnetic focusing type cathode ray tube
US4100518A (en) Eccentric convergence apparatus for in-line beam cathode ray tubes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US2907908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istortion in plural beam cathode ray tubes
US3461341A (en) Dynamic convergence device for three electron gun color television receiver
KR920000940B1 (ko) 칼라 수상관 및 편향 장치
EP0415125B1 (en) Cathode ray tube
WO1997007523A1 (en) Colour cathode ray tube having a centring cup
USRE31552E (en) Electron beam and deflection yoke alignment for producing convergence of plural in-line beams
KR960006527Y1 (ko) 더미(dumy)자극이 추가된 음극 선관용 컨버전스 마그네트 조립체
KR800000927B1 (ko) 인라인 비임용 콘버젼스 장치
KR19980042445A (ko) 빔컨버젼스를 향상시킨 칼라음극선관
KR100325878B1 (ko) 콘버어젼스퓨리티마그네트조립체와이를이용한음극선관
EP0892421B1 (en) Color cathode ray tube
RU2110109C1 (ru) Двухлучевая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ая трубка с магнитной отклоняющей системой
JPH021337B2 (ko)
JPH06251723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2001307656A (ja) 陰極線管及び表示装置
JPH11176351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