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847B1 -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847B1
KR0160847B1 KR1019950003222A KR19950003222A KR0160847B1 KR 0160847 B1 KR0160847 B1 KR 0160847B1 KR 1019950003222 A KR1019950003222 A KR 1019950003222A KR 19950003222 A KR19950003222 A KR 19950003222A KR 0160847 B1 KR0160847 B1 KR 0160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le
handle
colo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562A (ko
Inventor
김규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0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847B1/ko
Priority to CN96101475A priority patent/CN1088540C/zh
Priority to US08/603,292 priority patent/US5757122A/en
Publication of KR96003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8Arrangements for focusing or reflecting ray or beam
    • H01J29/64Magnetic lenses
    • H01J29/68Magnetic lenses using permanent magnets only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의 감소로 인하여 부품개발비용 및 단가를 절감하고 한번의 공정으로 마그네트 구조체 및 마그네트쌍들을 고정하여 제조공정시간을 감소시킬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링형상의 암고정체와 손잡이가 달린 2중캠형상의 구조를 갖는 숫고정체로 구성된 마그네트 고정체와, 숫고정체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마그네트지지체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제1도는 종래 마그네트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마그네트 지지체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마그네트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마그네트 암고정체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마그네트 숫고정체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마그네트 숫고정체의 다른 실시예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마그네트 숫고정체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 마그네트 구조체의 구성 상태도.
제9도는 본 발명 마그네트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마그네트 숫고정체 101,201 : 손잡이
104,204 : 마그네트 지지체 105,205 : 돌출부
110 : 마그네트 암고정체 121 : 2극 마그네트쌍
122 : 4국 마그네트쌍 123 : 6극 마그네트쌍
124 : 스페이서
본 발명은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그네트 구조체를 브라운관의 네크부에 고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변경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마그네트 구조체는 제1도에서와 같이 세 전자빔(R,G,B)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이들 빔이 부딪쳐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과 상기 전자빔을 스크린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주는 편향요크, 상기 전자빔의 초기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시켜주어 스크린의 중심에서 원하는 콘버젼스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해 주는 마그네트 구조체(10)등으로 이루어진 칼라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구조체(10)는 링형상에 볼트가 결합된 링밴드(20)와, 링형상으로 손잡이가 달린 2극(40) 4극(50) 6극(60) 마그네트쌍과, 각 마그네트쌍의 가운데 삽입되는 스페이서(70)와, 상기 각 마그네트쌍들과 스페이서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선과 손잡이를 갖추고 있는 마그네트 고정체(80)와, 상기 구조물들이 취부되는 지지체(30)로 구성 되었다.
칼라브라운관의 경우 전자총에서 방사된 R,G,B의 3개의 전자빔이 스크린의 중심에서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의 마그네트 구조체(10)를 전자총 외부에 설치한다.
상기의 마그네트 구조체(10)는 칼라브라운관의 제조공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오차로 인해 3전자빔이 스크린의 중심에서 일치되지 않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그네트 구조체(10)를 브라운관의 네크부의 전자총의 G2전극과 G3전극 사이에 설치한 후 상기의 링밴드의 볼트를 드라이버로 돌려 고정한다. 이후 상기의 2극(40), 4극(50), 6극(60) 마그네트 쌍들을 브라운관의 네크의 원주방향으로 돌려가면서 스크린의 중심에서 세 전자빔을 일치시키고 상기의 마그네트 고정체(80)를 돌려 각 마그네트 쌍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러나 마그네트 구조체(10)를 브라운관의 네크부에 설치한 후 링밴드(20)의 볼트를 드라이버로 돌려 고정하는 작업과 마그네트 쌍들을 고정해주는 마그네트 고정체 또한 나사선을 이용한 회전고정을 실시함으로 인해 작업시간과 부품수가 증가하게 되고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링혈상의 암고정체와 손잡이가 달린 캠형상의 구조를 갖는 숫고정체로 구성된 마그네트 고정체와, 상기 숫고정체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마그네트 지지체를 구비함으로서, 마그네트 구조체의 부품개발비용 및 단가를 절감시키고 작업시간을 감소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제2도 내지 제9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마그네트 지지체1(104)는 끝단에 마그네트 고정체의 손잡이를 잡아 고정 할 수 있는 돌출부(105)가 마그네트 숫고정체1(100)과 대응되는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트 고정체는 제4도와 제5도를 결합한 암-수구조로 되어 있는데 마그네트 숫고정체1(100)은 회전축의 중심에서 한쪽의 길이가 다른쪽의 길이보다 작은 2중 캠형상의 구조로 서로 90도 간격을 두고 있으며 이 2중 캠형상의 구조는 공유하는 회전축에 구멍이 나있다. 또한 상기 2중 캠형상 구조의 마그네트 숫고정체1(100)을 마그네트 암고정체(110)와 결합하기 위하여 마그네트 숫고정체1(100)의 대칭선상의 회전축을 따라 구멍이 나있는 연결구멍을 마그네트 암고정체(110)에 끼운다. 이때 마그네트의 숫고정체1(100)이 암고정체(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그네트 숫고정체1(100)의 회전축 중심구멍과 연결하는 연결구멍은 외부의 폭(c)이 캠의 중심구멍의 직경(a)과 일치하고, 내부의 폭(b)은 캠의 중심구멍의 직경(a)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의 숫고정체1(100)의 대칭선상의 회전축에 따라 나있는 연결구멍의 중심선과 135도 방향에는 손잡이(101)가 달려있다. 상기 손잡이(101)는 마그네트 숫고정체1(100)이 마그네트 지지체1(104) 밖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마그네트 숫고정체1(100)의 손잡이(101) 두께가 캠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트 숫고정체1(100)의 손잡이(101) 두께는 마그네트 지지체의 돌출부(105)의 내부폭(l)과 동일하게 구성되었다. 그리고 마그네트 암고정체(110)는 링형상으로, 넥크 중심방향으로 다리(111)를 가지고 있는데, 이 다리(111)는 2중 캠형상 구조의 숫고정체1(100) 사이에 구성되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제9도와 같은 마그네트 구조체는 제3도와 같은 마그네트 지지체2(204), 제6도와 같은 마그네트 숫고정체2(200)와, 제4도와 같은 마그네트 암고정체(110)가 결합된 마그네트 고정체2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그네트 구조체는 상기의 구성부품을 확보하고 마그네트 암고정체(110)에 마그네트 숫고정체1(100)을 결합한 뒤 마그네트 구조체의 지지체1(104)에 마그네트 고정체, 스페이서(124), 6극 마그네트쌍(123), 스페이서(124), 4극 마그네트쌍(122), 스페이서(124), 2극 마그네트쌍(121)을 결합한 뒤 아이시티(ITC)공정에서 마그네트 구조체를 전자총의 G2전극과 G3전극 사이에 설치한 뒤 각각의 마그네트쌍을 적절히 조절하여 브라운관의 네크부에 고정하기 위해 마그네트 구조체의 숫고정체1(100)을 화살표 방향(제8도)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즉, 숫고정체1의 손잡이(101)를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 마그네트 지지체의 돌출부(105)에 끼워 넣으면 마그네트쌍(121∼124)들은 일측캠(1002)에 의해 고정되고, 마그네트 구조체는 타측캠(1001)에 의해 고정되어 한번에 브라운관의 네크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인 마그네트 구조체2의 동작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나 마그네트 구조체2를 브라운관의 넥크부에 고정할 때 드라이버로 고정하는 것만 다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부품수의 감소로 인하여 부품개발비용 및 단가를 절감하고 한번의 공정으로 마그네트 구조체 및 마그네트쌍들을 고정하여 제조공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9)

  1. 세(R,G,B)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이들 빔이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과 상기 전자빔을 스크린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주는 편향요크와 상기 편향요크의 뒤 전자총의 외부에 배치되어 전자빔이 스크린의 중심에 세 전자빔을 일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마그네트 구조체1로 구성된 칼라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구조체는 고정용 구조물로 링형상의 암고정체와 손잡이가 달린 캠형상의 구조를 갖는 숫고정체1로 구성된 마그네트 고정체와, 상기 숫고정체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출부와, 2극 마그네트쌍, 4극 마그네트쌍, 6극 마그네트쌍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숫고정체1는 2중 캠형상의 구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숫고정체1의 2중 캠형상의 구조는 회전축에 형성된 중심구멍의 직경은 마그네트 암고정링체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숫고정체1의 중심축 구멍과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외부보다 내부가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숫고정체1의 두께가 2중캠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6. 세(R,G,B)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이들 빔이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과 상기 전자빔을 스크린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주는 편향요크와 상기 편향요크의 뒤 전자총의 외부에 배치되어 전자빔이 스크린의 중심에 세 전자빔을 일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마그네트 구조체2로 구성된 칼라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구조체2는 고정용 구조물로 링형상의 암고정체와 손잡이가 달린 캠형상의 구조를 갖는 숫고정체2로 구성된 마그네트 고정체2와, 상기 숫고정체2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출부와, 링형상의 손잡이가 달린 2극 마그네트쌍, 4극 마그네트쌍, 6극 마그네트쌍의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와 링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마그네트 숫고정체2의 단일 캠형상의 회전축에 형성된 중심구멍의 직경은 암고정체 링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마그네트 숫고정체2의 회전축 중심구멍과 연결하는 연결구멍은 외부보다 내부가 적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9. 제6항에 있어서, 마그네트 숫고정체2의 손잡이의 두께는 캠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KR1019950003222A 1995-02-20 1995-02-20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KR0160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222A KR0160847B1 (ko) 1995-02-20 1995-02-20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CN96101475A CN1088540C (zh) 1995-02-20 1996-02-17 彩色阴极射线管的磁部件
US08/603,292 US5757122A (en) 1995-02-20 1996-02-20 Magnet assembly for a color ra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222A KR0160847B1 (ko) 1995-02-20 1995-02-20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562A KR960032562A (ko) 1996-09-17
KR0160847B1 true KR0160847B1 (ko) 1998-12-01

Family

ID=1940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222A KR0160847B1 (ko) 1995-02-20 1995-02-20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57122A (ko)
KR (1) KR0160847B1 (ko)
CN (1) CN10885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272B1 (ko) * 1998-05-06 2005-09-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KR100683645B1 (ko) * 2000-03-27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4551A (en) * 1968-03-07 1970-04-07 Ametek Inc Plastic hinged ring and locking device for gauge
NL160426C (nl) * 1973-04-09 1979-10-15 Philips Nv Magnetische correctieinrichting voor een kathodestraalbuis.
US4157146A (en) * 1978-09-25 1979-06-05 Svenson Bert N Safety clamping system for pressure vessel closures and the like
JPS58218290A (ja) * 1982-06-11 1983-12-19 Denki Onkyo Co Ltd インライン型カラ−陰極線管用コンバ−ジエンス装置
FR2651843B1 (fr) * 1989-09-12 1991-12-20 Aerospatiale Systeme de verrouillage a came.
JP2522841Y2 (ja) * 1990-10-11 1997-01-16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電子ビーム調整装置
JPH0541182A (ja) * 1991-08-07 1993-02-19 Sony Corp 四重極コイル用保持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562A (ko) 1996-09-17
CN1088540C (zh) 2002-07-31
CN1139291A (zh) 1997-01-01
US5757122A (en) 199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0847B1 (ko) 칼라브라운관용 마그네트 구조체
US3322990A (en) Convergence subassembly with indexing provisions in cylindrical support for electron guns
KR0133797Y1 (ko) 칼라 음극선관의 퓨리티 컨버전스 마그네트
KR100303928B1 (ko)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
JPH0350598Y2 (ko)
JP2784301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KR0131921Y1 (ko) 칼라 음극선관의 퓨리티 컨버전스 마그네트
KR20000010373U (ko) 칼라음극선관용 컨버젼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정장치
JP2710880B2 (ja) 4極磁界発生器を用いたインライン型陰極線管の集中調整方法
KR0136715Y1 (ko) 음극선관용 퓨리티 콘버전스 마그네트
KR100319091B1 (ko) 음극선관의퓨리티및컨버젼스조정방법
JPH0419905Y2 (ko)
JPH10507580A (ja) センタリングカップ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JPS5933154Y2 (ja) 偏向ヨ−ク
US6262524B1 (en) Electron gun with electron beam converging member disposed between quadrupole and main lens and a cathode ray tube employing the same
JP2522950Y2 (ja) 電子ビーム調整装置
JPH0338932Y2 (ko)
KR100393558B1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208176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컨버젼스 요크
KR950003900Y1 (ko) 음극선관용 색순화 자석 조립체
JPH0275135A (ja) ビームスポット補正装置
KR19980018562U (ko) 랜딩 조절용 pcm 조립체
KR0133632B1 (ko) 편향 요크 고정장치
KR200312968Y1 (ko) 편향요크의 러버 마그네트 삽입구조
KR200145248Y1 (ko) 퓨리티 컨버전스 마그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