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338A - 컬러 수상관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 수상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338A
KR20050022338A KR1020040066341A KR20040066341A KR20050022338A KR 20050022338 A KR20050022338 A KR 20050022338A KR 1020040066341 A KR1020040066341 A KR 1020040066341A KR 20040066341 A KR20040066341 A KR 20040066341A KR 20050022338 A KR20050022338 A KR 20050022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s
vertical
horizontal
convex por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8029B1 (ko
Inventor
다가미에츠지
Original Assignee
마쯔시타토시바에이조디스플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타토시바에이조디스플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타토시바에이조디스플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편향 요크를 구성하는 페라이트 코어(9)는, 그 내면에 밭고랑 형태의 다수의 볼록부(10)를 구비한다. 다수의 볼록부(10) 중, 수평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및 수직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를 제외하는 범위 내에 있는 볼록부를 대각(對角) 볼록부로 하였을 때, 수평 방향축 상에 있는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 방향축 상에 있는 수직축상 볼록부(P6, P16) 중 적어도 한쪽 관축 방향의 길이는, 대각 볼록부의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이에 따라, 편향 코일의 권선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편향 전력이 저감된 컬러 수상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컬러 수상관 장치{COLOR PICTURE TUBE APPARATUS}
본 발명은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되는 컬러 수상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향 전력의 저감 및 편향 요크의 발열 억제를 위해, 편향 요크를 구성하는 페라이트 코어의 내면에, 수상관의 관축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다수의 볼록부를 설치한, 소위 슬롯 코어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슬롯 코어를 갖는 편향 요크의, 전자총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관축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를 도 7에 도시한다. 9는 페라이트 코어이고, 10은 그 내면에 설치된 다수의 볼록부이다.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볼록부(10) 사이의 홈내에 권선을 끼워넣어 수직 편향 코일(7)과 수평 편향 코일(6)이 감겨있다. 8은 수직 편향 코일(7)과 수평 편향 코일(6)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 스페이서이다. 각 볼록부(10)는 관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라, 페라이트 코어(9)의 전자총측 단(端)에서 스크린측 단까지의 관축 방향의 전체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볼록부(10)를 설치함으로써, 볼록부(1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교해, 페라이트 코어(9)를 수상관에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편향 효율을 개선할 수 있어, 편향 전력의 저감에 유리하다. 또, 코일(6, 7)에 자속이 상호 교환되기 어렵기 때문에, 와전류 손실이 저감하여, 편향 요크의 발열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의 슬롯 코어에서는, 페라이트 코어(9)의 관축 방향의 양단 간에 연장되는 다수의 볼록부(10) 사이의 홈내에 수평 편향 코일(6) 및 수직 편향 코일(7)의 권선을 끼워 넣어 감음으로, 페라이트 코어(9)의 관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수평 편향 코일(6)의 권선과 수직 편향 코일(7)의 권선을 공통의 홈에 따라 홈으로부터 밀려나가지 않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권선 배치의 자유도가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 특허 문헌 2에는, 관축 방향에서 전자총 측의 일부 영역에만 볼록부(10)를 설치한 페라이트 코어(9)가 제안되어 있다. 도 8에 이 페라이트 코어(9)의 스크린측에서 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하는 페라이트 코어(9)에서는, 스크린측의 내면에는 볼록부(10)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볼록부(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의 권선 배치를 자유롭게 설정함으로써, 편향 자계 분포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색 편차나 래스터(raster)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개소 제61-5675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공평 제7-35289호 공보
그러나, 상기 도 8에 도시한 슬롯 코어는 요즘의 편향 전력의 한층의 저감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코일의 권선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도, 편향 전력을 보다 한층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편향 요크를 구비하고, 매우 우수한 품질이면서 전력을 절약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수상관 장치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 빔에 대해 수평 편향 자계 및 수직 편향 자계를 작용시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를 구비한다. 상기 편향 요크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 편향 자계를 발하는 수평 편향 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자계를 발하는 수직 편향 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 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을 절연하는 절연 테두리를 갖는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그 내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둘레 방향에 배열된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상기 컬러 수상관 장치의 관축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상기 관축을 포함하는 면을 거의 따른 밭고랑 형태이다. 다수의 상기 볼록부 중, 수평 방향축상에 있는 볼록부를 수평축상 볼록부로 하고, 수직 방향축상에 있는 볼록부를 수직축상 볼록부로 하고, 수평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및 수직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를 제외한 범위 내에 있는 볼록부를 대각 볼록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컬러 수상관 장치에서는, 상기 수직축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제2 컬러 수상관 장치에서는, 상기 수평축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제3 컬러 수상관 장치에서는, 상기 수평축상 볼록부 및 상기 수직축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수치예를 나타내면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 나타내는 수치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대각 사이즈가 36인치이고 애스펙트비가 16:9인 평면 스크린을 가지고, 편향각이 100°인 컬러 수상관 장치의 외관도이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축을 Z축으로 하고, 수평 방향(스크린의 장변 방향)축을 X축으로 하고, 수직 방향(스크린의 단변 방향)축을 Y축으로 한다. X축과 Y축은 Z축 상에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
컬러 수상관 장치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 전면 패널(1) 및 펀넬(2)로 이루어지는 외주기와, 펀넬(2)의 네크부 내에 설치된 전자총(3)을 구비하는 컬러 수상관과, 펀넬(2)의 외주면에 장착된 편향 요크(4) 및 컨버전스 요크(5)를 포함한다. 전자총(3)은, X축 방향으로 인 라인 형상으로 배치된 3개의 음극을 포함하고,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에 대응하는 3개의 전자 빔을 발한다.
도 2는 편향 요크(4)의, 페라이트 코어(9)를 포함하는 위치에서의 Z축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편향 요크(4)는, 페라이트 코어(9)와,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수평 편향 자계를 발하는 안장(saddle)형 수평 편향 코일(6)과, 전자 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수직 편향 자계를 발하는 수직 편향 코일(7)과, 수평 편향 코일(6)과 수직 편향 코일(7)을 절연하는 수지제의 절연 스페이서(8)를 갖는다.
페라이트 코어(9)는, 대략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그 내면에는, Z축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Z축을 포함하는 면을 거의 따른 밭고랑 형태의 다수의 볼록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10)의 수는 20개이고, 페라이트 코어(9)의 내면의 둘레 방향에, Z축에 대해 18°의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축상 우측의 볼록부(10)를 볼록부(P1)로 하고, 이로부터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순차로 연번을 붙혀, 20개의 볼록부(10)를 볼록부(P1∼P20)로 칭하여 구별한다. 그리고, X축상에 있는 볼록부(P1, P11)를 수평축상 볼록부라고 부르고, Y축상에 있는 볼록부(P6, P16)를 수직축상 볼록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볼록부(10) 사이의 홈내에는 수평 편향 코일(6) 및/또는 수직 편향 코일(7)의 각 권선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수평 편향 코일(6)과 수직 편향 코일(7) 사이에는 절연 스페이서(8)가 개재되어, 양자의 절연이 확보되어 있다.
도 3은 페라이트 코어(9)를 스크린측(대 직경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P1∼P20)의 Z축 방향의 길이는 전부 동일하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페라이트 코어(9)의 Z축 방향 치수 45㎜에 대해, 편향 감도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축상 볼록부(P6, P16)의 Z축 방향 길이는 45㎜이고, 이들 이외의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의 Z축 방향 길이는 30㎜이다. 여기서, 모든 볼록부(P1∼P20)의 전자총측 단의 Z축 방향에서의 위치는, 페라이트 코어(9)의 전자총측(소 직경측) 단의 Z축 방향에서의 위치와 일치한다.
페라이트 코어(9)의 Z축 방향 치수에 대한 볼록부(10)의 Z축 방향 길이의 비를 RL로 하면,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축상 볼록부(P6, P16)에 대해서는 RL=1이고, 이들 이외의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L)에 대해서는 RL=0.67이다.
일반적으로, 볼록부(10)의 Z축 방향 길이가 길수록, 즉 비(RL)가 클수록, 편향 전력의 저감에 유효한데, 코일의 권선 배치의 자유도는 저하한다. 단, 본 발명자 들의 검토에 의하면, RL이 어느 값을 넘으면 편향 전력의 저감 효과는 거의 포화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는, 편향 전력의 저감과 코일 권선 배치의 자유도 확보와의 최적 밸런스점이 RL=0.67로 얻어지는 것을 확인한 후에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의 RL은 이 최적 밸런스점에 합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축상 볼록부(P6, P16)의 RL에 대해서는, 굳이 이 최적 밸런스점에서 벗어난 값(RL=1)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험에 의해서, 모든 볼록부(P1∼P20)의 RL을 0.67로 설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편향 전력을 2∼3% 저감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때, 코일의 권선 배치의 자유도는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이하에 이를 설명한다.
우선, 수직 편향 코일(7)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수직 편향 코일(7)이 감긴 페라이트 코어(9)를 스크린측(대 직경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에서, 13은 페라이트 코어(9)의 대 직경측의 외주 가장자리에, Z축에 대해 볼록부(10)와 거의 같은 각도 위치에 설치된 수직 편향 코일 권선 안내용 돌기이다.
수직 편향 코일(7)은 YZ면을 개재하여 대칭으로 감긴 한쌍의 권선으로 이루어진다. 페라이트 코어(9)의 내면에서, Z축 방향에서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가 설치되는 범위에서는, 권선은 인접하는 볼록부(10) 사이의 홈내에 끼워져 고정되고,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가 설치되지 않은 범위에서는, 원하는 권선 분포가 되도록 권선이 배치되어 있다. 페라이트 코어(9)의 대 직경측에서는, 권선은 돌기(13) 사이에 안내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소 직경측에서의 인접하는 볼록부(10) 사이의 홈에의 권선 배분과, 대 직경측에서의 돌기(13) 사이에의 권선 배분을, 상호 독립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권선 배치의 자유도가 확보된다.
이 때, 페라이트 코어(9)의 대 직경측 단까지 연장된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축상 볼록부(P6, P16)는 권선 배치의 자유도를 전혀 저해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수직 편향 코일(7)은 페라이트 코어(9)의 내부에 대략 X축 방향의 자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권선이 수평축상 볼록부(P1, P11)의 근방에 배치되지 않고, 또한 수직 편향 코일(7)은 YZ면을 개재한 한쌍의 코일로 구성되므로 YZ면과 교차하도록 권선이 배치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다음에, 수평 편향 코일(6)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수평 편향 코일(6)이 감긴 페라이트 코어(9)(도 5에서는 보이지 않는다)를 스크린측(대 직경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5에서의 Ⅵ-Ⅵ선에서의 화살표로 본 단면도이다. 수평 편향 코일(6)은 수직 편향 코일(7)보다도 Z축측에 배치된다. 또한, 수평 편향 코일(6)과 수직 편향 코일(7)의 절연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 편향 코일(7)의 내측에, Z축 방향에서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에는 절연 스페이서(8)가 설치되어 있고,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가 설치되지 않은 범위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깔때기 형상의 절연 링(1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절연 스페이서(8) 및 절연 링(14)은 어느 것이나 수평 편향 코일(6)과 수직 편향 코일(7)을 절연하는 절연 테두리로서 기능한다. 절연 스페이서(8)에는, 페라이트 코어(9)의 내면의 볼록부(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절결)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스페이서(8)는 볼록부(10) 사이의 홈내에 끼워지고, 볼록부(10)는 절연 스페이서(8)보다도 Z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5에서, 15는 절연 링(14)의 대 직경측의 외주 가장자리에, Z축에 대해 볼록부(10)와 거의 같은 각도 위치에 설치된 수평 편향 코일 권선 안내용 돌기이다.
수평 편향 코일(6)은 XZ면을 개재하여 대칭으로 감긴 한쌍의 권선으로 이루어진다. Z축 방향에서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에서는, 권선은 인접하는 볼록부(10) 사이의 홈 내에 끼워 넣어 절연 스페이서(8)의 내면상에 고정되고,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가 설치되지 않은 범위에서는, 원하는 권선 분포가 되도록 권선이 절연 링(14)의 내면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절연 링(14)의 대 직경측에서는, 코일은 돌기(15) 사이에 안내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소 직경측에서의 인접하는 볼록부(10) 사이의 홈에의 권선 배분과, 대 직경측에서의 돌기(15) 사이의 권선 배분을, 서로 독립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권선 배치의 자유도가 확보된다.
이 때, 페라이트 코어(9)의 대 직경측 단까지 연장된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축상 볼록부(P6, P16)는 권선 배치의 자유도를 전혀 저해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수평 편향 코일(6)은 XZ면을 개재하는 한쌍의 코일로 구성되므로 XZ면과 교차하도록 권선이 배치되지 않고, 또한 수평 편향 코일(6)은 페라이트 코어(9)의 내부에 대략 Y축 방향의 자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권선이 수직축상 볼록부(P6, P16)의 근방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페라이트 코어(9)의 내면에 설치된 다수의 볼록부(10) 중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축상 볼록부(P6, P16)의 Z축 방향의 길이를 이들 이외의 볼록부(P2∼P5, P7∼P10, P12∼P15, P17∼P20)의 Z축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게 하고 있으므로, 수평 편향 코일(6) 및 수직 편향 코일(7)의 권선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편향 전력을 2%∼3% 저감시킬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축상 볼록부(P6, P16)를 이들 이외의 볼록부보다도 Z축 방향의 길이를 길게 했는데,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축상 볼록부(P6, P16) 중 어느 한쪽만을 나머지 볼록부보다 길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편향 전력의 저감 효과는 약간 떨어지지만, 권선 배치의 자유도를 마찬가지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Z축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하는 볼록부를, 수평축상 볼록부(P1, P11) 및 수직축상 볼록부(P6, P16)로 한정했는데, X축 및 Y축 상에는 위치하지 않지만 X축 및 Y축의 근방에 배치된 볼록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Z축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해도 된다. Z축을 중심으로 하여 X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내에 있는 볼록부(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P1, P2, P10∼P12, P20)가 해당한다)를 수평축 근방 볼록부라고 부르고, Z축을 중심으로 하여 Y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내에 있는 볼록부(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P5∼P7, P15∼P17)가 해당한다)를 수직축 근방 볼록부라고 부르고, Z축을 중심으로 하여 X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및 Z축을 중심으로 하여 Y축에 대해 -20°∼+20°의 범위를 제외하는 범위 내에 있는 볼록부(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P3, P4, P8, P9, P13, P14, P18, P19)가 해당한다)를 대각 볼록부라고 부르기로 하면, 수평축 근방 볼록부 및 수직축 근방 볼록부 중 어느 한쪽(바람직하게는 양쪽)의 Z축 방향의 길이를, 대각 볼록부의 Z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해도 된다. Z축 방향의 길이가 긴 볼록부(10)의 개수 비율이 증대할수록, 편향 전력의 저감 효과는 향상된다. 실험에 의해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수평축 근방 볼록부(P1, P2, P10∼P12, P20) 및 수직축 근방 볼록부(P5∼P7, P15∼P17)의 Z축 방향의 길이를 모두 45㎜(RL=1)로 설정하였을 때, 모든 볼록부(P1∼P20)의 RL을 0.67으로 설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편향 전력을 3% 저감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때, 코일의 권선 배치의 자유도는 전혀 손상되지 않았다. 또한, 볼록부(10)의 X축 또는 Y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도 2에 도시하는 XY면 내에서 볼록부(10)의 Z축을 통과하는 중심선이 X축 또는 Y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로 정의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대각 볼록부에 대한 비(RL)를 0.67로 설정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코일의 권선 배치의 자유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대각 볼록부에 대한 비(RL)를 0.67이상으로 설정하면, 편향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볼록부(10)의 Z축 방향 길이를 상이하게 하는 경우, 긴 볼록부나 짧은 볼록부도 그 전자총측 단의 Z축 방향에서의 위치는, 페라이트 코어(9)의 전자총측(소 직경측) 단의 Z축 방향에서의 위치의 근방에서의 동일 위치로 하여, 긴 볼록부의 형광체 스크린측 단을 짧은 볼록부의 형광체 스크린측 선단보다도 형광체 스크린측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코일의 권선 배치를 페라이트 코어(9)의 대 직경측에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권선 배치를 소 직경측에서 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큰 조정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편향 자계 분포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나타낸 페라이트 코어(9)의 Z축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소 직경측에서 대략 원형, 대 직경측에서 대략 직사각형인 경우를 나타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Z축 방향의 위치에 상관없이, Z축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컬러 수상관에 따르면, 수평축상 볼록부 및 수직축상 볼록부 중 적어도 한쪽 관축 방향의 길이가, 대각 볼록부의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의 권선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편향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편향 자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의 권선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매우 우수한 품질로 전력을 절약하는 컬러 수상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수상관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편향 요크의 Z축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스크린측(큰 직경측)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수직 편향 코일이 감긴 페라이트 코어의 스크린측(대 직경측)에서 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수평 편향 코일이 감긴 페라이트 코어의 스크린측(대 직경측)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도 2 및 도 5에서의 Ⅵ-Ⅵ선에서의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편향 요크의 관축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페라이트 코어의 스크린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 패널 2 : 펀넬
3 : 전자총 4 : 편향 요크
5 : 컨버전스 요크 6 : 수평 편향 코일
7 : 수직 편향 코일 8 : 절연 스페이서(절연 테두리)
9 : 페라이트 코어 10 : 볼록부
13 : 수직 편향 코일 권선 안내용 돌기
14 : 절연 링(절연 테두리)
15 : 수평 편향 코일 권선 안내용 돌기

Claims (16)

  1.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 빔에 대해 수평 편향 자계 및 수직 편향 자계를 작용시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를 구비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 편향 자계를 발하는 수평 편향 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자계를 발하는 수직 편향 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 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을 절연하는 절연 테두리를 가지고,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그 내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둘레 방향에 배열된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상기 컬러 수상관 장치의 관축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상기 관축을 포함하는 면을 거의 따른 밭고랑 형태이고,
    다수의 상기 볼록부 중, 수평 방향축 상에 있는 볼록부를 수평축상 볼록부로 하고, 수직 방향축 상에 있는 볼록부를 수직축상 볼록부로 하고, 수평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및 수직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를 제외하는 범위 내에 있는 볼록부를 대각 볼록부로 했을 때, 상기 수직축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직축상 볼록부를 제외하는 상기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컬러 수상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직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컬러 수상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기 관축 방향의 치수에 대한 상기 볼록부의 관축 방향의 길이의 비를 RL로 했을 때, 상기 대각 볼록부에 대한 상기 비(RL)가 0.67 이상인, 컬러 수상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축 방향 길이가 상기 대각 볼록부보다 긴 볼록부의 형광체 스크린측 단(端)은 상기 대각 볼록부의 형광체 스크린측 단보다도, 형광체 스크린측에 위치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
  6.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 빔에 대해 수평 편향 자계 및 수직 편향 자계를 작용시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를 구비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 편향 자계를 발하는 수평 편향 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자계를 발하는 수직 편향 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 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을 절연하는 절연 테두리를 가지고,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그 내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둘레 방향에 배열된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의 각각은, 상기 컬러 수상관 장치의 관축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상기 관축을 포함하는 면을 거의 따른 밭고랑 형태이고,
    다수의 상기 볼록부 중, 수평 방향축 상에 있는 볼록부를 수평축상 볼록부로 하고, 수직 방향축 상에 있는 볼록부를 수직축상 볼록부로 하고, 수평 방향축에 대해 -20°∼+ 20°의 범위 및 수직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를 제외하는 범위 내에 있는 볼록부를 대각 볼록부로 하였을 때, 상기 수평축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평축상 볼록부를 제외하는 상기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컬러 수상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수평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컬러 수상관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기 관축 방향의 치수에 대한 상기 볼록부의 관축 방향의 길이의 비를 RL로 했을 때, 상기 대각 볼록부에 대한 상기 비(RL)가 0.67이상인, 컬러 수상관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축 방향 길이가 상기 대각 볼록부보다 긴 볼록부의 형광체 스크린측 단은 상기 대각 볼록부의 형광체 스크린측 단보다도, 형광체 스크린측에 위치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
  11.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 빔에 대해 수평 편향 자계 및 수직 편향 자계를 작용시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를 구비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 편향 자계를 발하는 수평 편향 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자계를 발하는 수직 편향 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 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을 절연하는 절연 테두리를 가지고,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그 내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둘레 방향에 배열된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상기 컬러 수상관 장치의 관축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상기 관축을 포함하는 면을 거의 따른 밭고랑 상태이고,
    다수의 상기 볼록부 중, 수평 방향축 상에 있는 볼록부를 수평축상 볼록부로 하고, 수직 방향축 상에 있는 볼록부를 수직축상 볼록부로 하고, 수평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및 수직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를 제외하는 범위 내에 있는 볼록부를 대각 볼록부로 했을 때, 상기 수평축상 볼록부 및 상기 수직축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상 볼록부 및 상기 수직축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이들을 제외하는 상기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컬러 수상관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수평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컬러 수상관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수직 방향축에 대해 -20°∼+20°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대각 볼록부의 상기 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컬러 수상관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기 관축 방향의 치수에 대한 상기 볼록부의 관축 방향의 길이의 비를 RL로 하였을 때, 상기 대각 볼록부에 대한 상기 비(RL)가 0.67 이상인, 컬러 수상관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축 방향 길이가 상기 대각 볼록부보다 긴 볼록부의 형광체 스크린측 단은, 상기 대각 볼록부의 형광체 스크린측 단보다도 형광체 스크린측에 위치하는, 컬러 수상관 장치.
KR1020040066341A 2003-08-29 2004-08-23 컬러 수상관 장치 KR100618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06466 2003-08-29
JP2003306466 2003-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338A true KR20050022338A (ko) 2005-03-07
KR100618029B1 KR100618029B1 (ko) 2006-08-29

Family

ID=3410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341A KR100618029B1 (ko) 2003-08-29 2004-08-23 컬러 수상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29627B2 (ko)
EP (1) EP1511062A1 (ko)
KR (1) KR100618029B1 (ko)
CN (1) CN15917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4135B2 (en) * 2004-01-23 2007-09-25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with particular deflection yoke structure
US7157998B2 (en) * 2004-04-09 2007-01-02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Ferrite core, deflection yoke, an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6757A (ja) 1984-08-27 1986-03-22 Nippon Steel Corp 鋼繊維補強材の製造方法
JP3367715B2 (ja) 1993-07-26 2003-01-2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配管継手部の保護体及び配管継手部の保護方法
EP0981149A4 (en) 1997-11-14 2006-12-06 Tdk Corp CORE FOR DEVIATION COLLAR AND DEVIATION COLLAR
KR20010112300A (ko) 1999-03-15 2001-12-20 사토 히로시 편향 요크용 코어 및 그 제조방법
JP2002260554A (ja) 2001-02-28 2002-09-13 Sony Corp 偏向ヨーク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1062A1 (en) 2005-03-02
CN1591757A (zh) 2005-03-09
US7129627B2 (en) 2006-10-31
KR100618029B1 (ko) 2006-08-29
US20050046328A1 (en)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2521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KR100618029B1 (ko) 컬러 수상관 장치
KR0145168B1 (ko) 칼라옴극선관
US6861793B2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with improved horizontal resolution
KR100465275B1 (ko) 편향 요크 장치
KR20020000378A (ko) 편향 요크
JP2005100953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EP1503397B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EP1622183B1 (en) Velocity modulation coil apparatus and cathode-ray tube apparatus
KR930006176Y1 (ko) 편향요크의 코마수차 보정장치
JP3984605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S5925080Y2 (ja) セミトロイダル形電磁偏向ヨ−ク
CN100481305C (zh) 彩色阴极射线管装置
JP2006024553A (ja) 速度変調コイル装置及び陰極線管装置
KR20040073903A (ko) 칼라 음극선관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JP2000067776A (ja) 偏向ヨーク装置
JP2005056670A (ja) 偏向ヨークおよび陰極線管装置
KR20030067062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JPH11339687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30073010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2006209997A (ja) 速度変調コイル装置および陰極線管装置
KR20030071032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30072686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