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444B1 - 전기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진공 청소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444B1
KR0143444B1 KR1019950038025A KR19950038025A KR0143444B1 KR 0143444 B1 KR0143444 B1 KR 0143444B1 KR 1019950038025 A KR1019950038025 A KR 1019950038025A KR 19950038025 A KR19950038025 A KR 19950038025A KR 0143444 B1 KR0143444 B1 KR 014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suction nozzle
casing
nozzl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311A (ko
Inventor
유따까 도모오까
야스히로 오까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685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579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381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8032B2/ja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6001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72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combined with security means, e.g. for preventing use, e.g. in case of absence of the ba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장치 하우징에 배치되어 먼지나 때 등을 수집하기 위한 집진대를 탈착 가능하게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 기구와, 걸림 수단에서의 집진대의 결합 상태를 해방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해제 조작을 할 수 있는 해제 레버와 및/또는 강모가 마련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를 청소하기 위한 긴 노즐부를 구비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포함하는 두 종류의 부속 흡입 노즐과, 부속 흡입 노즐을 장치 하우징 내에 끼워 맞추기 위한 오목형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하고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로 이루어진 일체식 끼워 맞춤부를 오목형 저장부 내로 끼워 맞추어서 흡입 노즐을 오목형 저장부에 부착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진공 청소기
제1도는 집진낭을 교환할 때 덮개 부재가 개폐되는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단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80-81을 따라 취한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집진낭을 교환할 때 장치 하우징이 분리되는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집진 케이싱으로부터 집진낭을 빼낸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집진 케이싱 쪽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원 B로 표시된 요소를 도시한 확대도.
제12도는 제10도의 원 C로 표시된 요소를 도시한 확대도.
제13도는 분해된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집진낭을 빼낼 때 제10도의 원 B로 표시된 요소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제14도는 분해된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집진낭을 빼낸 제1도의 원 C로 표시된 요소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4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원 D로 표시된 요소를 도시된 확대도.
제17도는 분해된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집진낭을 빼낸 제15도의 원 D로 표시된 요소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의 측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브러시 장착 흡입노즐 내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단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부분 평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오목형 저장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오목형 저장부의 다른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오목형 저장부 내에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모두 끼워 맞춘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제26도는 제25도에 도시된 오목형 저장부의 단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오목형 저장부내에 틈새 청소 흡입 노즐만을 끼워 맞춘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제28도는 제27도에 도시된 오목형 저장부의 단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오목형 저장부 내에 브러시 장착 흡입노즐만을 끼워 맞춘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제30도는 제29도에 도시한 오목형 저장부의 단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한 상태의 다른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장치 하우징 2:집진 케이싱
2a:개구 2b:개구림
3:모터 케이싱 4:집진실
5:접속구 6:부착 프레임
7:집진낭 8:걸림부
9:해제 레버 10:롤러부
11:전기 팬 12:바퀴
13:집진기 부착판 15:걸림 클램프
16:축 17:지지 구멍
18:스프링 19:오목부
20:관통구멍 21:클램프 밀봉체
22:파지부 23:밀봉 패킹
24:단차부 24a:개구 림
25:홈부 26:끼워 맞춤 돌기
27:접합부 28:밀봉 패킹
본 발명은 전기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청소기용 집진낭의 개선된 착탈 기구뿐만 아니라 진공 청소기용으로 부착된 흡입 노즐을 장치 몸체 내에 저장하기 위한 개선된 저장 부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청소기에 관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개선안이 종래로부터 제안되어 왔다. 물론, 집진낭을 교환할 수 있도록 장치 하우징(housing) 내측의 집진실에 탈착 가능한 집진낭을 구비한 형태의 전기 청소기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청소기에 관해서는 두 종류의 구조가 공지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장치 하우징에 부착되어 집진낭을 교환하기 위해 개폐할 수 있는 덮개 부재를 구비한다. 다른 구조에서는 장치 하우징을 분리시켜서 집진낭을 교환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집진낭을 교환하기 위한 덮개 부재를 구비한 전기 진공 청소기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서, 장치 하우징(41)은 내부를 두 개의 부분, 즉 집진실(42)과 전기 팬(43)을 수용한 모터실(44)로 분리되도록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은)접속 호스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구(45)가 집진실(42) 쪽으로 돌출되도록 장치 하우징(41)에 형성된다. 부착 프레임(frame)(46)이 마련된 집진낭(47)이 집진실(42)쪽의 접속구(45)에 부착되고 집진낭(47)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 기구(48)가 접속구(45) 근방의 집진실(42)에 마련된다. 하우징(41)은 또한 집진실(4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계폐하기 위한 덮개 부재(49)를 포함한다.
특히,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실(42)의 하부 폭(E)은 집진낭(47)이 최대로 팽창되었을 때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집진실(42)상부의 폭(F)은 집진실(42)의 하부 부분의 폭(E)보다 작게 설계된다.
덮개 부재(49)를 개방해서 집진낭(47)을 교환하는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낭(47)을 교환할 때, 집진실(42)의 상부의 개구를 덮는 덮개 부재(49)를 개방하고, 걸림 기구(48) 결합 해제 방향으로 손가락으로 조작해서 부착 프레임(46)과 걸림 기구(48)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고 집진실(42)의 상부 개구를 통해 집진낭(47)을 탈착시키고, 그리고 신규의 집진낭(47)을 설치해서 집진낭(47)을 교환한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소64-2,6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장치 하우징을 분리 시켜서 집진낭을 교환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실(52)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casing)(53)과 전기 팬(54)을 내부에 구비한 모터 케이싱(55)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치 하우징(51)을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은) 접속 호스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구(56)는 이 접속구(56)가 집진실(52) 내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모터 케이싱(55)에 접합된 집진 케이싱(53)의 개구(53a)의 대향측에서 집진 케이싱(53)에 형성된다. 부착 프레임(57)을 구비한 집진낭(58)이 집진실(52) 쪽의 접속구(56)에 부착된다. 집진실(52)은 또한 집진낭(58)과 함께 집진 케이싱(53)으로부터 그 개구(53a)를 통해서 탈착되는 프레임 부재(59)를 구비한다.
전술한 프레임 부재(59)는 부착 프레임(57)에 걸어서 집진낭(58)을 유지하기 위한 걸림 기구(60)와 집진 케이싱(53)과 모터 케이싱(55) 사이의 기밀 접합을 형성 하기 위한 밀봉 패킹(61)과 일체로 형성된다.
장치 하우징(51)을 분리해서 집진낭(58)을 교환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장치 하우징(51)을 집진 케이싱(53)과 모터 케이싱(55)로 분리하고, 프레임 부재(59)와 함께 집진낭(58)을 집진 케이싱의 개구(53a)를 통해 탈착시키고, 걸림기구(60)를 결합 해제 방향으로 손가락으로 조작해서 부착 프레임(57)의 결합을 해제 시키고, 낡은 집진낭(58)을 신품으로 교환해서 집진낭(58)을 교환한다.
집진낭(47)을 교환할 때 덮개 부재(49)를 개폐시키는 진공 전기 청소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실(42)의 상부의 폭(F)은 집진실(42)의 하부 부분의 폭(E)보다 작다. 따라서, 집진실(42)의 하부 부분의 내측에서 완전히 팽창된 집진낭(47)을 집진실(42)의 상부 개구를 통해서 탈착해야 할 때, 집진낭(47)은 집진실(42)의 상부를 형성하는 집진 케이싱의 내부면에 의해 걸려져서 집진낭(47)을 빼내는 것을 곤란하게 된다.
한편, 장치 하우징(51)을 분해해서 집진낭(58)을 교환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낭(58)은 프레임 부재(59)와 함께 집진 케이싱(53)으로부터 그 개구(53a)를 통해 탈착되기 때문에, 집진낭(58)은 걸림 기구(60의 부착 프레임(57)과의 결합을 해제시켜서 프레임 부재(59)로부터 탈착되어야만 한다. 즉, 이러한 교환은 추가적인 취급 시간과 노동을 필요로 한다.
한편 청소기의 본체에 전기 팬을 내장하고, 부속 흡입 노즐을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오목부를 구비한 전기 진공 청소기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통상적인 전기 진공 청소기는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평6-17,81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제5도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이 청소기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 팬을 내장한 청소기 몸체(121)와, 청소기 몸체(121)의 양 측면의 한 쌍의 바퀴(122)와, 청소기 몸체(121)의 상부에 배치되어 강모를 구비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23)과 틈새를 청소하기 위한 신장형 노즐부를 구비한 틈새 청소 흡입 노즐(124)과 같은 부속 흡입 노즐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25)와,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23)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124)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와, 청소기 몸체(1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저장부(125)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126)과, 청소기 몸체(12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연장 호스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구(127)와, 한 단부에서는 연장 호스와 접속되고 대향 단부에서는 전술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23) 또는 틈새 청소 흡입 노즐(124) 중 하나와 접합되는 (도시하지 않은) 연장관을 포함한다.
제6도를 참조해서 다른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를 설명한다. 이 청소기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팬을 내장한 청소기 몸체(131)와 청소기 몸체(131) 양 측면의 한 쌍의 바퀴(132)와, 청소기 몸체(131)의 상부에 배치된 선회 핸들(133)과, 청소기 몸체(131)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어 틈새 청소 흡입 노즐(134)을 끼워 맞추어 저장하기 위한 오목형 저장부(135)를 포함한다.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다른 예는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 공개 공보 소61-67,64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전기 진공 청소기에는 장치 하우징의 후방 상부에 한 쌍의 U자형 절취부가 형성되고, 선반 청소 및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이 각각의 U자형 절취부 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절취부 아래 흡입 노즐용 저장부를 구비한다.
제5도에 도시된 전기 진공 청소기의 경우에, 2개의 오목형 수용부가 브러시 장착 및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각각 저장하도록 청소기 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치 몸체가 대형화 및 중량화 되는 경향이 있고,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큰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며, 사용을 곤란하게 하거나 또는 취급 성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저장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의 파손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전기 진공 청소기의 경우에, 오목형 저장부는 그 내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틈새 청소 흡입 노즐만을 수용할 수 있다. 만일 복수개의 부속 흡입 노즐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과 같이 부속 흡입 노즐의 수와 일치하는 복수개의 오목형 저장부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장치 몸체도 역시 대형화 및 중량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큰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고, 사용을 곤란하게 하거나 또는 취급 성능을 저하시킨다.
전술한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1-67,646호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선반 청소 흡입 노즐 및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이 각각의 절취부 내에 끼워 맞추어져서 별도로 저장되기 때문에 선반 청소 및 틈새 청소 흡입 노즐에 상당하는 2개의 공간을 필요로 해서 저장실의 소형화를 불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낭을 교환할 때 집진 케이싱의 내벽들 사이에 집진낭이 걸리지 않고 교환을 위한 어떠한 성가신 취급도 필요로 하지 않고 한 단계 조작으로 집진낭을 빼냄으로써 집진낭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일체식으로 끼워 맞추고 일체화된 흡입 노즐을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어서 흡입 노즐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흡입 노즐과 이 흡입 노즐용 저장부를 구성 함으로써 저장 시의 흡입 노즐의 크기와 흡입 노즐용 저장 공간을 감소시킨 소형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수행되었으며,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전기 팬을 내부에 구비한 모터 케이싱부와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낭으로 이루어진 장치 몸체를 구비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장치 하우징과 장치 하우징에 배치되어 먼지 및 때 등을 수집하는 집진낭을 탈착 가능하게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 기구, 및 걸림 기구에서의 집진낭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해제 조작을 할 수 있는 해제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전기 팬을 내부에 구비한 모터 케이싱부와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낭으로 이루어진 장치 몸체를 구비하고,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과 전기 팬을 구비한 모터 케이싱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장치 하우징과, 집진실에 배치되어 먼지 및 때 등을 수집하기 위한 집진안을 탈착 가능하게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 기구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집진낭은 집진 케이싱이 모터 케이싱에 접합되는 위치에 있는 집진 케이싱의 개구를 통해서 제거 되도록 되어 있고, 집진 케이싱은 집진 케이싱의 단면의 폭이 집진 케이싱의 개구 쪽으로 점차 커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에서, 이하의 어떠한 특징적 구성도 효과적이다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 케이싱과 모터 케이싱 사이의 접합면을 기밀 밀봉하기 위한 기밀 부재가, 기밀 부재를 집진 케이싱의 내부면의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보유하기 위한 홈부를 더 포함한다.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 케이싱이 모터 케이싱에 접합되어 있으면 해제 기구가 해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기구를 더 포함한다.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낭이 걸림 기구에 걸려 있지 않을 때 청소기의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운전 불능 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기 팬을 내부에 구비한 모터 케이싱부와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부로 이루어진 장치 몸체를 구비하고, 강모가 마련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를 청소하기 위한 신장형 노즐부를 구비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포함하는 두 종류의 부속 흡입 노즐과, 부속 흡입 노즐을 장치 몸체 내에 끼워 맞추기 위한 오목형 저장부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오목형 저장부는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하고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틈새 청소 흡입 노즐로 이루어진 일체식 끼워 맞춤부를 오목형 저장부 내로 끼워 맞추어서 흡입 노즐을 오목형 저장부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이하의 어떠한 특징적 구성도 효과적이다.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을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기 위해 마련된 끼워 맞춤부와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기 위해 마련된 끼워 맞춤부는 동일 외경을 가지므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 중 어떠한 것도 오목형 저장부내로 끼워 맞출어 저장 할 수 있다.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의 전방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노즐부의 최전방 위치로부터 끼워 맞춤부의 경계선까지 길이는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할 때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의 내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기 팬을 내부에 구비한 모터 케이싱부와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부로 이루어진 장치 몸체를 구비하고,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과 전기 팬을 내부에 구비한 모터 케이싱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장치 하우징과, 집진실 내에 배치되어 먼지 및 때 등을 수집하기 위한 집진낭을 탈착 가능하게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 기구와, 걸림 기구에서의 집진낭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해제 조작을 할 수 있는 해제 기구와, 강모가 마련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를 청소하기 위한 노즐부를 구비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포함하는 두 종류의 부속 흡입 노즐과, 부속 흡입 노즐을 장치 몸체 내에 끼워 맞추기 위한 오목형 저장부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집진낭은 장치 하우징을 집진 케이싱과 모터 케이싱으로 분리하고 해제 기구에 의해 해제 조작을 수행해서 집진 케이싱이 모터 케이싱에 접합되는 위치에 있는 개구로부터 집진낭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오목형 저장부는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하고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 장착 흡입 노즐로 이루어진 일체식 끼워 맞춤부를 오목형 저장부 내로 끼워 맞추어서 흡입 노즐을 오목형 저장부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이하의 어떠한 특징적 구성도 효과적이다. 집진 케이싱은 집진 케이싱의 단면의 폭이 집진 케이싱의 개구 쪽으로 점차 커지도록 되어 있다.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 케이싱과 모터 케이싱 사이의 접합면을 기밀 밀봉하기 위한 기밀 부재와 기밀 부재를 집진 케이싱의 내부면의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보유하기 위한 홈부를 더 포함한다.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 케이싱이 모터 케이싱에 접합되어 있으면 해제 기구가 해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기구와 집진낭이 걸림 기구에 걸려 있지 않을 때 청소기의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운전 불능 기구를 포함하고,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을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기 위해 마련된 끼워 맞춤부와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이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기 위해 마련된 끼워 맞춤부는 동일 외경을 가지므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 중 어느 것도 오목형 저장부 내로 끼워 맞추어 저장할 수 있으며, 노즐부의 최전방 위치로부터 끼워 맞춤부의 경계선까지의 길이는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할 때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의 내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기구에서의 집진낭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해제 기구를 조작해서 집진낭을 교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자는 교환을 위한 어떠한 성가신 취급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일 단계 조작으로 용이하게 집진낭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집진낭은 집진낭의 단면의 폭이 케이싱의 개구 쪽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하우징이 집진 케이싱과 모터 케이싱으로 분리 된 후 집진 케이싱의 개구를 하방으로 해서 해제 레버를 해제할 때, 집진 케이싱의 내벽들 사이에 집진낭이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활강할 수 있게 해서 집진낭을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서, 기밀 부재가 집진 케이싱의 내벽 수준이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홈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집진낭을 활강시켜 빼내려고 할 때 집진낭은 기밀 부재에 의해 걸리지 않고 집진낭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밀 부재는 집진 케이싱의 주벽 내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장치 하우징의 외관을 저하시키지 않고 집진 케이싱과 모터 케이싱 사이의 접합면에서의 완전 기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서, 집진낭과 모터 케이싱이 접합되어 있는 동안 방지 기구는 해제 기구가 집진낭을 결합 해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집진낭이 청소중 예상치 못한 사이에 이탈하지 않으므로 집진낭의 예상치 못한 결합 해제에 의해 야기되는 장치 내의 먼지 및 때 등의 오염으로 인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집진낭이 걸림 기구에 의해 걸려 있지 않을 때 운전 불능 기구에 의해 청소기의 운전이 불가능해지므로 조작자에게 집진낭의 부착 실패에 대해 경고해 준다. 그 결과, 집진낭의 부착 불이행에 의해 야기되는 장치 내측의 먼지나 때의 오염으로 인한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일체식으로 끼워 맞추고 일체화된 흡입 노즐을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어서 흡입 노즐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흡입 노즐의 저장 시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흡입 노즐용 저장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청소기 몸체 자체를 소형화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의 끼워 맞춤부와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끼워 맞춤부는 동일 직경을 갖기 때문에,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이 사용되면 틈새 장착 흡입 노즐만을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이 사용되면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만을 오목형 저장부 내에 끼워 맞추어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의 전방부의 길이는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의 내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틈새 장착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내로 삽입할 때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그 최전방부를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제7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의 실시예를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를 도시하고 있다. 제7도에서, 장치 하우징(1)이 2개의 요소, 즉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으로 이루어져 있다. 집진 케이싱(2)은 케이싱(2)의 단면의 폭이, 집진 케이싱(2)이 모터 케이싱(3)에 접합되는 위치에 있는 케이싱(2)의 개구(2a) 또는 원격 단부 쪽으로 점차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집진 케이싱(2)은 먼지 및 때 등을 내부에 수집하는 집진실(4)를 구비한다.도시되지 않은 접속 호스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구(5)가 집진실(4) 쪽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개구(2a)에 대한 대향면에서 집진 케이싱이 형성된다. (정방형을 포함한)직사각형 부착 프레임(6)을 구비한 집진낭(7)이 집진실(4) 쪽의 접속구(5)에 부착된다. 부착 프레임(6)을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부(8)가 집진낭(7)을 고정시키도록 접속구(5) 근방의 집진실(4)에 마련된다. 조작자로 하여금 외부로부터 집진낭(7)과 걸림부(8)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게 해주는 해제 레버(9)가 걸림부(8)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집진 케이싱(2)의 하부에는 청소기의 이동 방향과 일치해서 롤러를 선회시킬 수 있는 롤러부(10)가 제공된다.
진술한 모터 케이싱(3)은 먼지 및 때 등을 흡인하는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 팬(11)을 내장하고 있으며, 그 하부 부분의 양 측면에 한 쌍의 바퀴(12)를 구비한다.
제8도는 집진 케이싱(2) 쪽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해서 집진 케이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전술한 걸림부(8)는 접속구(5) 근방의 집진실(4) 내측에 배치된 상하부 집진기 부착판(13)과, 하부 집진기 부착판(13)에 형성되어 부착 프레임(6)의 하부측을 걸리게 하기 위한 갈고리형의 걸림편(14)과, 상부 집진기 부착판(13)에 배치되어 집진낭(7)을 고정시키기 위해 부착 프레임96)의 상부측을 걸리게 하기 위한 갈고리(15a)가 마련된 걸림 클램프(catching clamp)(15)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축(16)이 걸림 클램프(15) 상에서 서로 대향한 위치에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 구멍(17)이 걸림 클램프(15)가 제8도 도시된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축(16)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 집진기의 부착판(13) 상의 서로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다. 집진기 부착판(13)과 걸림 클램프(15) 사이에는 클램핑 방향(가상선으로 표시된 걸림 클램프(15)의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방향)으로 걸림 클램프(15)를 가압하는 스프링(18)이 마련된다.
접속구(5)와 평행하게 집진실(4) 쪽으로 만입된 (수평방향으로) U자형인 오목부(19)가 접속구(5)의 상부 위치에서 집진 케이싱(2)에 형성된다. 관통 구멍(20)이 오목부(19)에 형성되어 걸림 클램프(15)와 일체식으로 형성된 해제 레버(9)가 그를 통해 나올 수 있게 해주며, 클램프 밀봉체(21)가 해제 레버(9)와 관통 구멍(20)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관통 구멍(20)의 둘레에 마련된다.
또한, 접속구(5)와 평행하게 집진실(4) 쪽으로 만입된 다른 (수평방향으로) U자형인 파지부(22)가 접속부(5)의 하부 위치에서 집진 케이싱에 형성된다. 밀봉 패킹(23)이 접속구(5), 집진기 부착판(13) 및 부착 프레임(6)사이의 간극을 밀봉해서 밀폐시키도록 집진실(4) 쪽의 접속구(5) 둘레에 형성된다.
또한, 집진 케이싱(2)은 외부로부터 집진 케이싱(2)의 개구 림(2b)을 포위하는 단차부(24)를 구비한다. 홈부(25)가 단차부(24)의 상부 개구 림(24a)의 외측면에서 절취되고 홈부(25)와 정합하는 끼워 맞춤 돌기(26)가 모터 케이싱(3)의 상부의 외측 림에 배치된다. 또한,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간을 접합 시키기 위한 돌출 접합부(27)가 모터 케이싱(3) 쪽에 형성된다.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 사이의 접합면을 기밀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 패킹(28)이 단차부(24)의 전 둘레에서 집진 케이싱(2)이 개구 림(2b)의 내부면의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 밀봉 패킹(28)은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이 조립되면 집진 케이싱(2)의 개구 림(2b)과 모터 케이싱(3)의 접합부 사이에 물리도록 구성된다.
제8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낭을 교환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집진낭(7)의 교환 시에, 조작자는 먼저 장치 하우징(1)을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으로 분해해야 한다. 조작자는 개구(2a)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집진 케이싱(2)의 파지부(22)를 잡고 해제 레버(9)를 하방으로 밀어야 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걸림 클램프(15)가 갈고리(15a)와 부착 프레임(6)의 상부측 사이의 결합 상태를 해제 시켜서 걸림 클램프(15)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파단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스프링(1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된다.
걸림 클램프(15)의 갈고리(15a)와 부착 프레임(6)의 상부측 사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면 집진낭(7)은 집진 케이싱(2)의 내벽을 따라 활주하면서 집진 케이싱(2)의 개구(2a)를 통해 떨어짐으로써 집진낭(7)이 빠진다.
집진낭(7)이 탈착된 후에 조작자는 집진 케이싱(2)의 개구(2a)를 통해서 신규의 집진낭을 삽입하고 부착 프레임(6)의 하부면을 부착 프레임(6)의 걸림편(14)상에 배치해야 한다. 그 다음, 걸림 클램프(15)는 걸림 클램프(15)의 갈고리(15a)가 부착 프레임(6)의 상부측과 결합하도록 제8도의 파단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집진낭(7)이 고정된다.
진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장치 하우징(1)을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으로 분해하고, 해제 레버(9)를 밀어서 걸림 클램프(15)의 갈고리(15a)와 부착 프레임(6)의 상부측 사이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켜서 집진낭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는 집진낭(7)의 교환을 위한 어떠한 성가신 취급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일 단계 조작으로 용이하게 집진낭(7)을 제거할 수 있다.
집진 케이싱(2)은 케이싱의 단면의 폭이 케이싱(2)의 개구(2a)쪽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장치 하우징(1)이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으로 분리된 후에 집진 케이싱(2)의 개구(2a)를 하방으로 한 상태로 해제 레버(9)를 해제 시킬 때 집진낭(7)을 집진 케이싱(2)의 내벽들 사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활강시켜서 집진낭(7)을 빼낼 수 있다.
또한, 밀봉 패킹(28)이 집진 케이싱(2)의 내부면의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단차부(24)가 마련되기 때문에, 집진낭(7)을 활강시켜 빼낼 때 집진낭97)은 밀봉 패킹(28)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다. 밀봉 패킹(28)은 집진 케이싱(2)의 개구 림(2b)의 전방 모서리와 모터 케이싱(3)의 접합부(27)의 전방면 사이에 개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이 접합 또는 분리되면 밀봉 패킹(23)은 결코 방지를 하지 않으므로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 사이의 접합면의 완전 기밀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은 장치 하우징(1)이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으로 분리될 수 있는 진공 전기 청소기의 경우에 대해 이루어졌지만, 집진낭을 교환해야 할 때 개폐시킬 수 있는 덮개 부재가 마련된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에 대해 제1실시예의 해제 레버(9)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효과적인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만으로 제한되어서는 않는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며, 이들 요소에 대한 구성 및 조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9도에서,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 부가해서 집진 케이싱(2)의 상부 내부면에 배치되어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이 접합되면 해제 레버(9)의 해제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연동(interlocking) 기구(29)를 포함한다.
연동기구(29)는 개구 림(2b)의 상부로부터 굴곡부(30)의 상부까지 집진 케이싱(2)의 내부면을 따라 배치된 연동 판(31), 스프링(32) 및 연동 판(31)과 일체식으로 형성된 방지 돌기(33)로 이루어진다. 연동 판(31)은 개구 림(2b)의 상부와 굴곡부(30)의 상부 사이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며, 스프링(32)은 판(31)을 개구 림쪽으로 가압하도록 굴곡부(30)와 굴곡부(30)쪽의 연동 판(31)의 한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이 접합되어 있으면, 방지 돌기(33)는 해제 레버(9)의 조작을 방지하도록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클램프(15)의 갈고리(15a)상부에 위치된다.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이 서로 분리되면 모터 케이싱(3)의 접합부(27)에 가압되었던 연동 판(31)은 전술한 스프링(32)에 의해 제9도의 실선으로 표시된위치로부터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가압되어, 방지 돌기(33)가 걸림 클램프(15)의 상부 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므로 해제 레버(9)가 걸림 클램프를 해제 시킨다.
전술한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이 접합되어 있으면, 방지돌기(33)는 걸림 클램프(15)가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서 걸림 클램프(15)의 갈고리(15a)와 부착 프레임(6)의 상부측 사이의 결합 상태의 해제를 방지한다. 그 결과, 집진낭(7)이 청소 중 예상치 못한 사이에 이탈되지 않으므로 집진낭(7)의 예상치 못한 결합 해제에 의해 야기되는 장치 내측의 먼지 및 때의 오염으로 인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치 하우징(1)이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으로 분해되면 모터 케이싱(3)의 접합부(27)에 의해 가압되었던 방지 돌기(33)가 전술한 스프링(32)에 의해 제9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파단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가압된다. 그 결과, 방지 돌기(33)가 걸림 클램프(15)의 갈고리(15a)와 부착 프레임(6)의 상부측 사이의 결합 상태를 해제 시킨다. 따라서, 조작자에 의해 해제 레버(9)가 해제되면 집진낭(7)을 교환을 위해 빼낼 수 있다.
제10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실시예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며 이들 요소에 대한 구성 및 조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0도에서, 본 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제2실시예의 연동 기구(29)대신에, 집진 케이싱(2)의 상부 내부면에 배치되어 집진낭(7)이 걸림 기구(8)에 걸려 있지 않을 때 집진 케이싱(2)이 모터 케이싱(3)과 접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합 상태 방지 기구(또는 운전 불능 기구)(34)를 구비한다.
접합 상태 방지기구(또는 운전 불능 기구)(34)는 개구 림(2b)의 상부로부터 굴곡부(30)의 상부까지 집진 케이싱(2)의 내부면을 따라 배치된 방지 판(35), 스프링(32) 및 방지 판(35)과 일체식으로 형성된 결합 돌기(37)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방지판(35)은 개구 림(2b)의 상부와 굴곡부(30)의 상부 사이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된다.
걸림 클램프(15)의 상부에는 전술한 방지 판(35)의 결합 돌기(37)와 결합하는 결합 돌기(36)가 마련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집진 케이싱(2)의 집진낭(7)이 부착된 모터 케이싱(3)에 접합되면 결합 돌기(36,37)는 서로 결합한다. 한편, 집진 케이싱(2)을 집진낭(7)이 부착되지 않은 모터 케이싱(3)에 접합하려고 할 때 결합 돌기(36)의 상단부는 결합 돌기(37)에 걸리므로 방지 판(350의 한 단부가 단차부(24)의 개구 림(24a)으로부터 돌출되어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의 접합을 방지한다.
전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집진 케이싱(2)이 집진낭(7)이 부착된 모터 케이싱(3)에 부착되어 있으면, 제10도에서 원 B로 표시된 결합 돌기(36,37)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해서 결합 돌기(37)와 걸림 클램프(15)간에 간극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0도의 원 C로 표시된 홈부(25) 및 끼워 맞춤부(26)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정합한다.
집진 케이싱(2)을 집진낭(7)의 부착을 망각한 상태로 모터 케이싱(3)에 접합 하려고 할 때 방지 판(35)의 단부가 집진 케이싱(2)의 단차부(24)의 개구 림(24a)으로부터 돌출하고, 이에 의해 접합부(27)에 의해 가압된다. 이 때, 제10도의 원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36)의 상단부의 결합 돌기(37)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섭한다. 따라서, 제10도의 원 C로 표시된 부분에서, 방지 판(35)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25)와 끼워 맞춤부(26) 사이의 결합을 방지하는 장애물이 되어,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사이의 접합을 방지한다. 그 결과, 조작자가 집진낭(7)을 부착하는 것을 망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집진낭(7)의 부착 불이행에 의해 야기되는 장치 하우징(1)내측의 먼지 및 때 등의 오염에 의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결합 돌기(36,37)의 위치 관계는 결합 돌기(36,37)의 치수에 좌우되기 때문에 상술한 구성으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제15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3실시예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며, 이들 요소에 대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락한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와는 상이한 본 발명의 특징은 결합돌기(36,37)의 치수와 형성 위치이다. 치수에 대해서는, 결합 돌기(36)는 항상 짧게 형성 되어 있는 반면 결합 돌기(36)가 짧은 것을 보상하기 위해서 결합 돌기(37)는 길게 형성된다. 결합 돌기(37)는 집진 케이싱(2)이 집진낭(7)이 부착된 모터 케이싱(3)에 집합되면 결합 돌기(37)의 원격 단부가 걸림 클램프(15)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결합 돌기(36)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 결합돌기(36)는 걸림 클램프(15)의 상부면의 갈고리(15a)에 더 근접해서 형성된다. 한편, 결합 돌기(37)는 집진 케이싱(2)이 집진낭(7)이 부착된 모터 케이싱(3)에 접합되면 결합 돌기(36,37)가 서로 결합해서 결합 돌기(37)의 원격 단부와 걸림 클램프(15)의 상부면 사이에 간극이 거의 없는 위치에 형성되며, 집진낭(7)이 제거된 모터 케이싱(3)에 집진 케이싱(2)을 접합 하려고 할 때 결합 돌기(36)의 상단부는 결합 돌기(37)에 걸려서 방지 판(35)의 한단부가 집진 케이싱(2)의 단차부(24)의 개구 림(24a)으로부터 돌출해서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 사이의 접합을 방지한다.
전술한 제4실시예의 구성에서, 집진 케이싱(2)이 집진낭(7)이 부착된 모터 케이싱(3)에 접합되어 있으면 제15도의 원 D로 표시된 결합 돌기(36,37)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해서 결합 돌기(37)의 원격 단부와 걸림 클램프(15)의 상부면 사이에 간극이 거의 없는 상태를 가져온다. 그 결과,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해제 레버(9)의 조작에 의해 집진낭(7)이 탈착되는 동안 장치 하우징(1)이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으로 분리되는 경우에, 제17도에 파단선으로 표시된 걸림 클램프(15)와 결합 돌기(37)가 제17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이동해서 결합 돌기(36)의 원격단부가 결합 돌기(37)에 걸리는 상태를 가져온다. 그 결과, 제3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는 부품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이 제2 및 제3실시예의 조작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집진 케이싱(2)의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는, 제18도 내지 제30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8도 및 제19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청소기의 기본 구성은 전기 팬(102)을 내부에 구비한 후방 몸체(103)와 (도시되지 않은)집진실을 구비한 전방 몸체(104)로 이루어진 청소기 장치 몸체(101)와, 후방 몸체(103)의 양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바퀴(105)와, 후방 몸체(103)의 상부면에 배치된 파지부(106) 및 동력 스위치(107)와, 전방 몸체(104)의 전방면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연장 호스와 (도시되지 않은) 연장판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구(108)와 전방 몸체(104)의 하부면 아래에 부착된 자유 바퀴(free wheel)(109)을 포함한다.
후방 몸체(103)에 대한 하부 배면에는 그 내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과 같은 부속 흡입 노즐을 저장하기 위한 오목형 저장부(112)가 마련된다.
제20도 내지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브러시 장착 흡입노즐(110)에는 강모(113)가 마련된 전방부와 끼워 맞춤부(114)를 구비한 후방부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은 가구의 물건들 따위의 틈새를 청소하기 위한 신장형 노즐부(115)와 노즐부(115)의 후방측의 끼워 맞춤부(116)으로 이루어진다.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의 끼워 맞춤부(114)는 A1의 외경을 갖고,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끼워 맞춤부는 B1의 외경을 갖는다. 여기서, 이들 두 요소(114,116)는 동일 치수(A1=B1)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노즐부(115)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내로 삽입할 때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끼워 맞춤부(116)는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의 끼워 맞춤부(114)의 후방 림에 접촉해서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내로의 삽입을 억제한다.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노즐부(115)의 전방부는 좁은 구역을 용이하게 청소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노즐부(115)의 최전방부 위치로부터 끼워 맞춤부(116)의 경계선 까지의 길이(C1)는 노즐부(115)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내로 삽입할 때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의 내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다시 말해서, 길이(C1)는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의 상부 선형부의 길이(D1)의 길이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노즐부(115)의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노즐부(115)를 최전방부가 임의의 방향(노즐부(115)의 최전방부가 상하좌우로 선회하든 상관없이)으로 향해진 상태로 노즐부(115)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내로 삽입하더라도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을 브러지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제23도 및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몸체(103)의 오목형 저장부(112)는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이 내부에 삽입된 일체식 끼워 맞춤부 또는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제20도에 도시된 상태).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형 저장부(112)는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의 강모(113)가 마련된 전방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24도에 도시된 오목부가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의 끼워 맞춤부(114)와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끼워 맞춤부(116)를 수납하기 위해 제23도에 도시된 오목부보다 더욱 깊게 되어 있다.
브러시 장착 흡닙 노즐(110)의 끼워 맞춤부(114)와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끼워 맞춤부(116)를 스냅 끼워 맞춤(snap fitting)시키기 위한 끼워 맞춤 리브(117)가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형 저장부(112) 하부면의 측단부를 따라 마련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전지 진공 청소기의 조작을 설명한다.
먼저,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노즐부(115)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내로 끼워 맞추고, 이러한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을 내부에 갖는 일체화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을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형 저장부(112)내로 끼워 맞추어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을 오목형 저장부(112)내로 저장한다. 이 때,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끼워 맞춤부(116)는 오목형 저장부(112)의 끼워 맞춤 리브(117)에 의해 스냅 끼워 맞춤되므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은 함께 수용된다.
다음에,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이 오목형 저장부(112)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을 오목형 저장부(112)내로 삽입할 때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끼워 맞춤부는 오목형 저장부의 끼워 맞춤 리브(117)에 의해 스냅 끼워 맞춤되며, 이에 의해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만이 제27도 및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형 저장부(112)내에 저장된다.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이 사용되고 있는 동안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이 오목형 저장부(112)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을 오목형 저장부(112)내로 삽입할 때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의 끼워 맞춤부(114)는 오목형 저장부(112)의 끼워 맞춤 리브(117)에 의해 스냅 끼워 맞춤되며, 이에 의해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만이 제29도 및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형 저장부(112)내로 저장된다.
이와 관련해서, 제3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을 삽입시에 위치 결정시키기 위해서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의 끼워 맞춤부(116)의 일부분에 위치 결정 돌기(118)와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의 끼워 맞춤부(114)에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118)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 리세스(119)를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2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전기 진공 청소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7도를 참조해서 이미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같고, 제19도에 도시한 제5실시예의 특징적인 요소를 포함한다. 즉, 제32도에서, 장치 하우징(1)은 분리 가능한 두 개의 요소, 즉 집진 케이싱(2)과 모터 케이싱(3)으로 형성된다. 집진 케이싱(2)은 케이싱(2)의 단면의 폭이 집진 케이싱(2)이 모터 케이싱(3)에 접합되는 위치에 있는 케이싱(2)의 개구(2a) 또는 원격 단부 쪽으로 점차 커지도록 구성된다.
집진 케이싱(2)은 먼지 및 때는 내부로 수집하는 집진실(4)을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은 접속호스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구(5)가 집진실(4) 쪽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개구(2a)에 대한 대향측의 집진 케이싱(2)이 형성된다. (정방형을 포함한)직사각형 부착 프레임(6)을 구비한 집진낭(7)이 집진실(4) 쪽의 접속구(5)에 부착된다. 부착 프레임(6)을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부(8)가 집진낭(7)을 고정시키도록 접속구(5) 근방의 집진실(4)에 마련된다. 조작자로 하여금 외부로부터 집진낭(7)과 걸림부(8)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게 해주는 해제 레버(9)가 걸림부(8)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집진 케이싱(2)의 하부에는 청소기의 이동 방향과 일치해서 롤러를 선회 시킬 수 있는 롤러부(10)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제32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모터 케이싱(3)의 배면측의 하부 부분에 배치되어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과 같은 부속 흡입 노즐을 내부에 끼워 맞추어 수용하기 위한 오목형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110)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111)은 제20도 내지 제22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기구에서의 집진낭의 결함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해제 기구를 조작해서 집진낭을 교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자는 교환을 위한 어떠한 성가신 취급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일 단계 조작으로 용이하게 집진낭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효과에 부과해서,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는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일체식으로 끼워 맞추고 일체화된 흡입 노즐을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어서 흡입 노즐을 저장하므로, 흡입 노즐의 저장시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흡입 노즐용 저장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청소기 몸체가 소형화될 수 있으므로 전기 진공 청소기 자체에 대한 저장 공간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기의 중량도 감소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진공 청소기를 사용할 때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저장부용 뚜껑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의 수를 감소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이 손상될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집진 케이싱은 집진 케이싱의 단면의 폭이 케이싱의 개구 쪽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장치 하우징이 집진 케이싱과 모터 케이싱으로 분리된 후에 집진 케이싱의 개구를 하방으로 한 상태로 해제 레버를 해제시켰을 때, 집진낭을 집진 케이싱의 내벽들 사이에 걸리지 않고 활강시켜서 집진낭을 빼낼 수 있다. 또한, 기밀 부재가 집진 케이싱의 내벽 수준 이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홈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집진낭을 활강시켜 빼낼 때 집진낭이 기밀 부재에 의해 걸리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기밀 부재가 집진 케이싱의 주벽 내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장치 하우징의 외관을 저하시키지 않고, 집진 케이싱과 모터 케이싱 사이의 접합면에서의 완전 기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집진 케이싱과 모터 케이싱이 접합되어 있는 동안 방지 기구는 해제 기구가 집진낭을 결합 해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집진낭이 청소 중 예상치 못한 사이에 이탈하지 않으므로 예상치 못한 집진낭의 결함 해제에 의해 야기되는 장치 내측의 먼지 및 때의 오염으로 인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이외에도, 집진낭이 걸림 기구에 의해 걸려 있지 않을 때 운전 불능 기구가 청소기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조작자에게 집진낭의 부착 실패에 대해 경고해 준다. 그 결과, 집진낭이 부착 불이행으로 야기되는 장치 내측의 먼지 및 때의 오염으로 인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의 끼워 맞춤부와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끼워 맞춤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기 때문에,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이 사용되면 틈새 청소 흡입 노즐만을 오목형 저장부 내에 끼워 맞추어 저장할 수 있다. 또,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이 사용되면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만을 오목형 저장부 내에 끼워 맞추어 저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작자는 청소에 방지가 되지 않도록 사용되지 않는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또는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편리한 장소에 보관하거나 또는 한 손에 들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전기 진공 청소기의 사용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의 전방부의 길이는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의 내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할 때,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그 최전방부를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방향을 조정하지 않고 그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Claims (13)

  1. 전기 팬을 내장한 모터 케이싱부와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부로 이루어진 장치 몸체를 갖춘 전기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과, 전기 팬을 내장한 모터 케이싱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장치 하우징과, 상기 집진실 내에 배치되어 먼지나 때등을 수집하는 집진낭을 탈착 가능하게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 기구와, 상기 걸림 기구에서의 집진낭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해제 조작을 할 수 있는 해제 기구와, 상기 집진 케이싱과 상기 모터 케이싱 사이의 결합면을 기밀 밀봉하기 위한 기밀 부재와, 상기 기밀 부재를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면의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보유하기 위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낭은 상기 집진 케이싱이 상기 모터 케이싱에 집합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집진 케이싱의 개구를 통해 제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집진 케이싱은 그 단면의 폭이 상기 집진 케이싱의 개구 쪽으로 점차 커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케이싱이 상기 모터 케이싱에 접합되어 있을 때 상기 해제 기구가 해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낭이 상기 걸림 기구에 걸려 있지 않을 때 청소기의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기위한 운전 불능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4. 장치 몸체가 전기 팬을 내부에 구비한 모터 케이싱부와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부로 이루어지고, 강모가 마련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를 청소하기 위한 신장형 노즐부를 구비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포함하는 두 종류의 부속 흡입 노즐과, 상기 부속 흡입 노즐을 상기 장치 하우징 몸체 내에 끼워 맞추기 위한 오목형 저장부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 저장부는 상기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하고,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로 이루어진 일체식 끼워 맞춤부를 상기 오목형 저장부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흡입 노즐들을 상기 오목형 저장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을 상기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기 위해 마련된 끼워 맞춤부와, 상기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상기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기 위해 마련된 끼워 맞춤부는 동일 외경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 중 어느 것도 상기 오목형 저장부 내로 끼워 맞추어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의 전방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노즐부의 최전방 위치로부터 끼워 맞춤부의 경계선까지의 길이는 노즐부를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할 때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의 내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7. 장치 몸체가 전기 팬을 내부에 구비한 모터 케이싱부와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부로 이루어지고, 집진실을 구비한 집진 케이싱과 전기 팬을 내부에 구비한 모터 케이싱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장치 하우징과, 상기 집진실에 배치되어 먼지 또는 때 등을 수집하기 위한 집진낭을 탈착 가능하게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 기구과, 상기 걸림 기구에서의 집진낭의 결합 상태를 해제 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해제 조작을 할 수 있는 해제 기구와, 강모가 마련된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를 청소하기 위한 신장형 노즐부를 구비한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포함하는 두 종류의 부속 흡입 노즐과, 상기 부속 흡입 노즐들을 상기 몸체 내에 끼워 맞추기 위한 오목형 저장부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을 상기 집진 케이싱과 상기 모터 케이싱으로 분리하고 상기 해제 기구에 의해 해제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집진 케이싱이 상기 모터 케이싱에 접합되는 위치에 있는 개구로부터 상기 집진낭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오목형 저장부는 상기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를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내로 삽입하고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로 이루어진 일체식 끼워 맞춤부를 상기 오목형 저정부내로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흡입 노즐들을 상기 오목형 저장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케이싱은 그 단면의 폭이 상기 집진 케이싱의 상기 개구 쪽으로 점차 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케이싱과 상기 모터 케이싱 사이의 접합면을 기밀 밀봉시키기 위한 기밀 부재와, 상기 기밀 부재를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면의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보유하기 위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케이싱이 상기 모터 케이싱에 접합되어 있을 때 상기 해제 기구가 해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낭이 상기 걸림 기구에 걸려 있지 않을 때 청소기의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운전 불능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을 상기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기 위해 마련된 끼워 맞춤부와, 상기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을 상기 오목형 저장부에 끼워 맞추기 위해 마련된 끼워 맞춤부는 동일 외경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과 틈새 청소 흡입 노즐 중 어느 것도 상기 오목형 저장부 내에 끼워 맞추어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청소 흡입 노즐의 노즐부의 전방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노즐부의 최전방으로부터 끼워 맞춤부의 경계선까지의 길이는 노즐부를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 내로 삽입할 때 상기 브러시 장착 흡입 노즐의 내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KR1019950038025A 1994-10-31 1995-10-30 전기 진공 청소기 KR0143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685894A JP3157996B2 (ja) 1994-10-31 1994-10-31 電気掃除機
JP94-266858 1994-10-31
JP03381495A JP3238032B2 (ja) 1995-02-22 1995-02-22 電気掃除機
JP95-33814 1995-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311A KR960013311A (ko) 1996-05-22
KR0143444B1 true KR0143444B1 (ko) 1998-07-15

Family

ID=2637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025A KR0143444B1 (ko) 1994-10-31 1995-10-30 전기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99585A (ko)
KR (1) KR0143444B1 (ko)
CN (1) CN1124106C (ko)
CA (1) CA2160289C (ko)
GB (1) GB2295769B (ko)
HK (1) HK1012878A1 (ko)
MY (1) MY114681A (ko)
TW (1) TW3564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5345A (zh) * 2008-04-09 2012-07-04 斯科特费策尔公司 过滤袋安装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51024A1 (de) * 1996-10-31 1998-05-07 Aeg Hausgeraete Ag Staubsauger
DE19651027A1 (de) * 1996-10-31 1998-05-07 Aeg Hausgeraete Ag Vorrichtung zur Bodenreinigung
DE19651023A1 (de) * 1996-10-31 1998-05-07 Aeg Hausgeraete Gmbh Staubsauger mit integrierter Griffmulde
KR100686902B1 (ko) * 1998-12-17 2007-02-2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착탈가능한 집진기를 갖는 진공 청소기
DE19962008A1 (de) * 1999-12-22 2001-07-12 Aeg Hausgeraete Gmbh Staubsauger mit Zubehörfach
ITMI20011154A1 (it) * 2001-05-31 2002-12-01 Guido Valentini Apparecchio per l'aspirazione di materiale polveroso e similare
JP3810362B2 (ja) * 2002-11-19 2006-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DE10260226B4 (de) * 2002-12-20 2013-04-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Bodenraum für Zubehörteile
GB0314945D0 (en) * 2003-06-26 2003-07-30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DE10334894B3 (de) * 2003-07-29 2004-10-14 Miele & Cie. Kg Staubsauger mit einem durch einen Deckel verschließbaren Staubsammelraum
EP1547507A3 (en) * 2003-12-24 2009-07-22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cover locking/releasing structure and a cover hinge-coupling structure
DE102004009728A1 (de) * 2004-02-25 2005-09-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einer Saugdüseneinheit
DE102004040978A1 (de) * 2004-08-24 2006-04-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einer Aufnahme für Zuberhörteile
KR101471026B1 (ko) * 2008-03-05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봉투 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선택 장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CN101822508B (zh) * 2010-05-05 2012-09-05 吴哲 一种吸尘器
US9474424B2 (en) 2012-06-01 2016-10-25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6610391B2 (ja) * 2016-04-06 2019-11-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U2017101264A4 (en) * 2016-09-29 2017-10-26 Bissell Inc. Vacuum cleaner
JP1594316S (ko) 2017-04-11 2018-01-09
JP1594314S (ko) 2017-04-11 2018-01-09
JP7286506B2 (ja) * 2019-10-01 2023-06-05 株式会社マキタ 集じん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2372A (en) * 1936-06-25 1938-03-29 Electrolux Corp Vacuum cleaner
US2755883A (en) * 1954-01-07 1956-07-24 Hoover Co Suction cleaners
NL292247A (ko) * 1956-12-13
FR2121471B1 (ko) * 1971-01-11 1974-04-26 Paris & Du Rhone
JPS6167646A (ja) * 1984-09-10 1986-04-07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2505204B2 (ja) * 1987-06-26 1996-06-05 ユニバーサル販売株式会社 スロツトマシン
JP2770048B2 (ja) * 1989-06-15 1998-06-25 コニカ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US5014385A (en) * 1989-12-18 1991-05-14 The Hoover Company Cleaner cord wra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5345A (zh) * 2008-04-09 2012-07-04 斯科特费策尔公司 过滤袋安装装置
CN102551605A (zh) * 2008-04-09 2012-07-11 斯科特费策尔公司 过滤袋安装装置
CN102551605B (zh) * 2008-04-09 2014-11-12 斯科特费策尔公司 过滤袋安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106C (zh) 2003-10-15
GB9522094D0 (en) 1996-01-03
GB2295769A (en) 1996-06-12
HK1012878A1 (en) 1999-08-13
TW356421B (en) 1999-04-21
US5699585A (en) 1997-12-23
GB2295769B (en) 1998-11-18
KR960013311A (ko) 1996-05-22
CA2160289C (en) 1999-09-28
CN1134805A (zh) 1996-11-06
MY114681A (en) 2002-12-31
CA2160289A1 (en) 199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3444B1 (ko) 전기 진공 청소기
US6807707B2 (en) Air exhaust structure for an upright-type vacuum cleaner
KR930008471Y1 (ko)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US20040194249A1 (en) Bagless vacuum cleaner
JPH07289484A (ja) 集塵袋用の収納室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4488975B2 (ja) 電気掃除機
JP4749157B2 (ja) 電気掃除機
US7350261B2 (en) Accessory support for an upright vacuum cleaner and accessory unit
JP4812714B2 (ja) 電気掃除機
JP3157996B2 (ja) 電気掃除機
JPH0350855Y2 (ko)
JP4018201B2 (ja) 電気掃除機
KR20020038416A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장착구조
KR0177072B1 (ko) 먼지봉투가 부착된 진공청소기의 분리형 커버
KR200144974Y1 (ko) 청소기의 흡입호스 연결장치
CN113679285B (zh) 一种尘袋组件及可移动装置
JP3213608B2 (ja) 電気掃除機
CN215874532U (zh) 自卸式扫把
KR100582054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필터의 착탈확인 구조
JPH0337571Y2 (ko)
JP5428248B2 (ja) 電気掃除機
JPH10295600A (ja) 吸入ブラシ連結装置を有する真空掃除機
JP4177290B2 (ja) 電気掃除機
KR19980035608U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호스 결합구조
KR200161364Y1 (ko) 진공청소기의 호스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