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063B1 - 안전장치를 가진 타입기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를 가진 타입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063B1
KR0141063B1 KR1019940002055A KR19940002055A KR0141063B1 KR 0141063 B1 KR0141063 B1 KR 0141063B1 KR 1019940002055 A KR1019940002055 A KR 1019940002055A KR 19940002055 A KR19940002055 A KR 19940002055A KR 0141063 B1 KR0141063 B1 KR 0141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guide
bit
nail guide
trigg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415A (ko
Inventor
요시노리 이시자와
가쓰아끼 도비다
Original Assignee
곤모리 히로시
히다찌 고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곤모리 히로시, 히다찌 고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곤모리 히로시
Publication of KR94001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 B25C1/047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8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거레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가지는 공기압으로 작동되는 타입기이다. 타입기는 비트가이드위로 이동가능하게 배설된 못가이드를 가진다. 파이프형상부와 이와 일체로 된 암부를 가지는 가동세그멘트가 설치된다. 파아프형상부는 못가이드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암부는 못가이드내의 슬릿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암부는 그 단부가 트리거레버와 결합가능한 안전암에 연결된다. 스프링이 설치되어 단부와 트리거레버사이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방향으로 안전암에 힘을 가한다. 못가이드내에 삽입된 못이 가공물위에 압압되면, 파이프형상부가 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이동함으로써, 안전암의 단부가 트리거레버로부터 분리되어서, 트리거레버가 작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장치를 가진 타입기
제1도는 종래의 타입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타입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타입기의 못가이드내에 삽입되어 가공물에 대하여 압압된 못을 가지는 제2도의 타입기를 나타낸 부분종단면도.
제4도는 못을 한 번 타격한 후의 제2도의 타입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6도는 가공물에 대하여 압압된 타입기의 못가이드내에 삽입된 못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타입기를 나타낸 부분종단면도.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일본국 특개평5(1993)-16077호에 기재된 타입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타입기의 못가이드내로 삽입되어 이에 의하여 지지된 못의 머리를 비트를 가지고 타격함으로써 못이 그 내부에 지지되었을 때 못가이드로부터 돌출하도록 하는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타입기의 안전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5(1993)-16077호에는 2∼5 타격으로 그 안에 지지되었을 때 못가이드로부터 돌출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히 긴 못을 박기 위한 경량의 타입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타입기는 수회의 타격으로 동일한 치수의 못을 박는 손잡이가 달린 해머의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음에, 제1도를 참조하여 일본국 특개평5(1993)-16077호에 의한 타입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향, 하향, 상, 하, 상면 및 하단과 같은 표현은 타입기가 못을 가공물내로 하향으로 박기 위한 방향으로 배치될 때 여러 가지 부품을 정의하기 위하여 종래 및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제1도는 비발사모드의 타입기를 나타낸다. 타입기의 손잡이(51)내에 형성된 구동공기실(4)은 콤프레서(C)로부터의 압축공기로 충전된다. 압축공기는 공기입구(3)를 통하여 구동공기실(4)로 들어간다. 구동공기실(4)에는 또한 공기통로(57)(후술함)가 형성된다.
트리거밸브실(5)은 트리거밸브공(52)과 대기연통공(53)으로 형성된다. 트리거밸브플런저(12)는 트리거밸브실(5)내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즉 트리거밸브 구멍(52)으로부터 대기연통공(53)쪽 및 그 내부로 그리고 그 역으로 이동가능하다. 트리거밸브스프링(17)은 트리거밸브플런저(12)에 힘을 가하여 대기연통공(53)을 막는다. 트리거레버(11)가 트리거밸브플런저(12)에 접촉하여 트리거레버(11)가 당겨지면, 트리거밸브플런저(12)는 트리거밸브스프링(17)의 부세에 대항하여 대기연통공(53)으로부터 당겨져서 트리거밸브구멍(52)을 막아버린다. 트리거레버(11)가 풀리면, 트리거밸브스프링(17)의 부세에 의하여 그의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트리거밸브실(5)은 공기통로(6)를 통하여 헤드밸브실(7)과 유체연통한다. 제1도에 나타낸 비발사모드에 있어서, 구동공기실(4)은 트리거밸브구멍(52)을 통하여 트리거밸브실(5)과 유체연통한다. 그러므로, 비발사모드 중에, 구동공기실(4)로부터의 압축공기는 트리거밸브공(52), 트리거밸브실(5) 및 공기통로(6)를 통하여 통과함으로써 헤드밸브실(7)을 충전한다.
헤드밸브실(7)의 하부벽은 헤드밸브(8)의 표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헤드밸브(8)의 하부에는 실린더(9)가 설치된다. 피스톤(10)은 실린더(9)의 실내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피스톤(10)은 실린더실을 상부실린더공간(58)과 하부실린더공간(59)으로 분리한다. 관통공(54)은 헤드밸브(8)를 통하여 형성된다. 관통공(54)내에 설치된 스프링(55)은 헤드밸브(8)에 하향으로 힘을 가한다. 비발사모드에 있어서, 스프링(55)의 부세와 헤드밸브실(7)내의 압축공기의 조합은 헤드밸브(8)와 실린더(9) 사이를 밀폐하여, 피스톤(10)과 실린더(9)의 상면에 대하여 헤드밸브(8)를 압압한다. 이러한 밀폐는 구동실(4)내의 압축공기가 공기통로(57)를 통하여 상부실린더공간(58)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비발사모드에 있어서 상부실린더공간(58)은 관통공(54) 및 배기공(18)을 통하여 대기와 유체연통한다.
다음에, 타입기의 발사모드를 설명한다. 발사모드의 개시를 위하여, 조작자는 트리거레버(11)를 당긴다. 트리거레버(11)는 대기연통공(53)으로부터 트리거밸브공(52)내로 트리거밸브플런저(12)를 밀어 넣는다. 이것은 공기실(4)과 트리거밸브실(5)사이의 연통을 막아서, 트리거밸브실(5)이 대기연통공(53)을 통하여 대기와 연통하도록 한다. 결국, 헤드밸브실(7)내의 압축공기는 공기통로(6), 트리거밸브실(5) 및 대기연통공(53)을 통하여 대기로 빠져나간다.
헤드밸브실(7)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내려가면, 공기통로(57)내의 압축공기의 압력은 스프링(55)의 하향부세를 이기기에 충분하여, 헤드밸브(8)를 상승시킨다. 이것은 대기와 상부실린더공간(58)사이의 유체연통을 막는 한편, 동시에 헤드밸브(8)의 하면이 실린더(9)의 상면으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실린더공간(58)을 공기통로(57)를 통하여 구동공기실(4)과 유체연통되도록 한다. 압축공기는 상부실린더공간(58)으로 들어감으로써, 피스톤(10)을 하향으로 부세한다. 피스톤(10)이 하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부실린더공간(59)내의 공기의 압력이 증가하여, 실린더(9)에 형성된 중앙공(14)과 하부공(19)을 통하여 공기를 부세한다. 중앙공(14)과 하부공(19)을 통하여 부세된 공기는 실린더(9) 주위에 형성된 귀환공기실(16)로 들어간다. 피스톤(10)이 중앙공(14)아래를 통과하면, 중앙공(14)에 형성된 고무링(5)이 귀환공기실(16)로부터 상부실린더공간(58)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귀환공기실(16)내의 압력은 계속 증가하여 피스톤(10)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실린더실의 베이스에 설치된 댐퍼(13)를 때린다.
이 위치에서, 피스톤(10)은 댐퍼(13)에 접촉한다. 트리거레버(11)가 당겨져 있는 동안에, 피스톤(10)은 구동공기실(4)로부터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이 중앙위치로 부세된다. 그러나, 트리거레버(11)가 풀리면, 헤드밸브실(7)은 다시 구동공기실(4)내의 압축공기와 연통된다. 헤드밸브(8)는 실린더(9)를 향하여 하향으로 부세됨으로써, 상부실린더공간(58)을 관통공을 통하여 대기와 연통하도록 하여, 상부실린더공간(58)과 구동공기실(4)사이의 연통을 차단한다. 상부실린더공간(58)내의 압축공기는 배기공(18)을 통하여 배기되어서, 귀환실(16)내의 공기의 고압이 피스톤(10)을 그의 초기위치로 상향으로 부세한다.
피스톤(10)의 아래쪽에 일체로 형성된 비트(20)는 실린더(9)아래의 하우징(2)에 볼트고정된 비트가이드(21)내에 삽입된다. 비트가이드(21)에는 비트(20)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원통형의 못가이드(24)는 못가이드홀더(27)에 의하여 비트가이드(21)의 끝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바이어스스프링과 같은 제1 스프링(23)은 못가이드(24)의 상부주변플런저와 비트가이드(21)사이의 못가이드홀더(27)내에 설치되어 못가이드(24)에 하향으로 힘을 가한다.
다음에, 못의 타입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타입될 못(30)은 못가이드(24)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에, 못(30)은 못가이드(24)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타입기는 못을 통하여 예를 들면 나무로 만든 가공물(29)에 대하여 압압된다. 조작자는 트리거레버(11)를 당김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공기는 피스톤(10)을 하향으로 부세한다. 비트(20)는 비트가이드(21)내의 구멍에 의하여 가이드되므로 피스톤(10)의 이동과 함께 하향으로 이동한다. 비트(20)는 못가이드(24)내에 유지된 못(30)의 머리를 때린다. 조작자는 트리거레버(11)를 풀고, 그러면 피스톤(10)과 또한 비트(20)도 전술한 바와 같이 그의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결국, 못(30)은 트리거레버(11)를 반복적으로 당기고 풀고 함으로써 반복적으로 타격될 수 있다.
못가이드(24)가 가공물(29)에 접촉하는 범위까지 못(30)이 가공물(29)내로 타입되면, 조작자에 의하여 타입기에 작용하는 압력은 제1 스프링(23)의 부세에 대항하여 못가이드(24)에 못가이드홀더(27)내로 부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못(30)이 가공물(29)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될 때까지 못의 머리와 비트(20)사이에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못(30)이 완전히 가공물(29)내로 타입되면, 트리거레버(11)가 풀려서 제1도에 나타낸 그의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 5(1993)-16077호에 개시된 타입기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조작자가 타입기를 휴대하거나 못(30)을 삽입할 때 트리거레버(11)에 그의 손가락이 닿으면, 잘못하여 트리거레버(11)를 당길 수 있으며, 피스톤(10)을 하향이동시켜서 비트(20)를 못가이드(24) 밖으로 급속히 밀어낸다. 비트(20)는 구동되어 가공물 또는 가공물 이외의 물건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트(20)에 의하여 조작자 자신이 다칠 위험도 있다. 또한, 못(30)이 못가이드(24)내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피스톤(10)을 작동시키는 것은, 즉 타입기가 비었을 때는 피스톤(10) 또는 댐퍼(13)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종래의 타입기는 안전암이 못을 가이드하는 발사부근방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안전시스템이 설치된다. 안전암의 상단에 의하여 트리거레버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어서 발사부가 가공물에 대하여 압압되지 않는 한 트리거레버가 작동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종래의 타입기에 있어서, 못은 완전히 못가이드내에 감추어짐으로써, 안전암이 발사부근방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본국 특개평 5(1993)-16077호에 기재된 타입기에 있어서는, 사용된 못이 못가이드(24)의 하단 밖으로 돌출하는 긴 길이를 갖기 때문에, 돌출하는 못(30)은 못가이드(24)가 가공물(29)에 대하여 직접 압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안전장치는 실제로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못가이드내에 삽입된 못의 끝이 가공물에 대하여 압압될 때만 작동될 수 있는 타입기를 제공하여, 타입기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대한 타입기에는 안전암이 설치됨으로써 그의 끝이 트리거레버의 작동을 금지한다. 못가이드내에 삽입된 못이 가공물에 대하여 압압될 때 상승하도록 가돌세그멘트가 설치된다. 안전암은 가동세그멘트의 상승과 동시에 상승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안전암의 끝이 트리거레버의 작동을 더 이상 방지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타입기는 압축공기원에 연결된 압축공기실을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프레임과, 프레임내에 배설된 실린더와, 실린더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일체로 연결되어 못의 머리를 타격하는 비트와, 피스톤에 압축공기실내의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가하여 비트를 이동시키는 트리거레버와, 하우징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어 비트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비트가이드와, 비트가이드 위에 배설되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못가이드로서, 이 못가이드는 못의 머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못은 못가이드내에 삽입되어 세트될 때 못가이드로부터 돌출하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못가이드로 이루어지는 타입기에 있어서, 일측에 축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는 못가이드와, 파이프형상부와 이 파이프형상부에 연결된 암부를 가지는 가동세그멘트로서, 파이프형상부는 못가이드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설되어 비트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암부는 슬릇내에서 이동가능하고, 비트는 못의 머리를 타격하는 파이프형상부를 통하여 돌출가능한 가동세그멘트와, 트리거레버 부근에 위치하는 일단과 암부에 결합된 타단을 가지며, 일단은 트리거레버를 비동작으로 하기 위하여 트리거레버와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안전암과, 안전암의 일단에 연결되고, 안전암에 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안전암의 일단과 트리거레버사이의 결합을 유지하는 바이어스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트는 피스톤이 공기압으로 이동될 때 못의 머리를 타격하도록 파이프형상부를 통하여 돌출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타입기에 의하면, 못가이드에 삽입되어 이로부터 돌출하는 못이 가공물에 대하여 압압되지 않는 한, 트리거레버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피스톤을 오동작시키지 않으며, 타입기의 안전을 향상시키고, 타입기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또한, 못은 못가이드의 하다능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금속경첩과 같은 금속부속의 구멍에 못을 더 정확하게 지향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타입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제1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상당한 요소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인다.
실린더(9) 아래의 위치의 하우징(2)에 고정된 비트가이드(21)는 비트(20)가 왕복이동가능하도록 구멍(2a)이 형성된다. 구멍(2a)은 타입될 못(제2도에 도시 되지 않음)의 머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나, 못(30)의 목의 직경보다 더 크다. 못가이드(24)는 플랜지부(21b)를 가지며, 그의 측부에 따라 수직으로 슬릿(24a)이 형성된다. 못가이드(24)는 못(30)의 머리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제 1 스프링(23)은 비트가이드(21)와 플랜지부(24b)사이에 개재하여 신장가능한 방향으로 못가이드(24)에 수직으로 힘을 가한다.
못가이드홀더(27)는 비트가이드(21)위에 배치된다. 못가이드홀더(27)는 못가이드(24)의 플랜지부(24b)와 결합가능한 하단 스텝부(27a)를 가진다. 이와 같이, 못가이드홀더(27)는 못가이드(24)가 소정 양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환언하면, 못가이드(24)의 가장 낮은 부분은 하부 스텝부(27a)위로 플랜지된 부분(24b)의 접촉에 의하여 형성된다.
보호용 커버(45)는 트리거레버(11) 주위에 설치되고, 타입기가 예를 들면 떨어졌을 때 트리거레버(11)가 잘못하여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45)는 나이론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커버(45)의 앞부분은 하우징(2)의 뒤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못가이드홀더(27)에 장착된다.
파이프형상부(25a)와 암부(25b)를 가지는 가동세그멘트(25)가 설치된다. 파이프형상부(25a)는 수직방행으로 이동가능하게 못가이드(24)의 내벽내에 지지된다. 암부(25b)는 못가이드(24)내의 슬릿(24a)으로부터 돌출한다. 파이프형상부(25a)의 내경은 비트(20)와 못(30)의 목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안전암(26)은 트리거레버(11)와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안전암(26)의 일단은 이동가능세그멘트(25)의 암부암부(25b)에 결합되고, 안전암(26)의 타단은 트리거레버(11)부근에 위치한다. 바이어스스프링과 같은 제2 스프링(33)은 하우징(2)과 안전암(26)의 타단사이에 개재하여, 안전암의 타단이 트리거레버(11)를 결합하기 위한 방향으로 안전암을 부세한다.
특히, 제2 스프링(33)은 안전암(26)을 부세한다. 결국 가동세그멘트(25)에 하향으로 힘을 가한다. 안전암(26)이 제2 스프링(33)의 부세에 의하여 낮아지면, 안전암(26)의 상부는 트리거레버(11)를 결합하는 위치로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위치에서, 안전암(26)의 상부는 트리거레버(11)가 당겨져서 타입기가 발사모드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전암은 제2 스프링(33)이 안전암(26)을 하향으로 바이어스할 때 비트가이드(21)의 하면과 파이프형상부(25a)의 상면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충분한 수직길이를 가진다. 파이프형상부(25a)의 상면과 비트가이드(21)의 하면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이 간격은 가공물(29)에의 못(30)의 가압이전에 안전암(26)의 일단과 트리거레버(11) 사이의 결합길이보다 크다.
제3도는 구동동작 직전의 타입기를 나타낸다. 못(30)은 못가이드(24)내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조작자가 타입기를 하향으로 압압하여 못(30)이 가공물(29)을 향하여 압압되도록 하면, 가동세그멘트(25)는 못(30)의 머리에 의하여 위로 눌린다. 그러므로, 안전암(26)은 제2 스프링(33)의 부세에 대하여 가동세그멘트(25)와 함께 상승한다. 안전암(26)의 상부끝은 트리거레버(11)위로 상승됨으로써 트리거레버(11)가 안전암(26)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따라서 트리거레버(11)가 작동될 수 있다. 트리거레버(11)를 당기면 타입기는 제4도에 도시된 발사모드로 된다.
타입기(1)가 가공물(29)로부터 분리되면, 안전암(26)은 제2 스프링(33)에 의하여 하향으로 밀린다. 안전암(26)이 내려가면, 그 상단은 다시 트리거레버가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로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타입기의 치수를 기술하는 구체적인 예이다.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못(30)에 대한 타격에너지는 약 4회 타격으로 소나무 가공물내로 대략 65mm길이 못(즉, JIS A5555 의 #BN65 못)을 타입할 수 있는 타격에너지이다. 실린더(9)의 내경은 29mm 이고, 피스톤(10)의 배기량은 42.3 cm3 이며, 피스톤(10)의 스트로크는 못의 총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즉, 65 mm)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피스톤(10)의 스트로크는 64mm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입기는 제1 실시예에서 수회,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5 스트로크로 가공물내에 못을 타입하기에 충분한 타격에너지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에 의한 타입기는 단일 타격으로 가공물내로 못을 타입하는 종래의 타입기에 비하여 소형이며 경량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타입기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40)이 ㅁ못가이드(24)내에 매입된다. 못가이드(24)내에 삽입된 못(30)은 영구자석(40)의 자력에 의하여 제자리에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못(30)의 끝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못가이드(24)내에 못(30)을 삽입하기 위하여는 양손이 필요하지만, 못(30)을 삽입한 후에는, 어떤 각도로 타입기가 유지되었는가, 즉, 아래 또는 옆으로 향하는 가에 상관없이 작업자는 한 손으로 타입기를 유지하기만 하면 못(30)은 못가이드(24)밖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양자에 있어서, 가동세그멘트(25)의 파이프형상부(25a)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못가이드(24)의 내벽내에 유지되는 것으로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다음의 문제를 초래한다.
못가이드(24)는 비트가이드(21)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가동세그멘트(25)는 못가이드(24)에 의하여 가이드되기 때문에, 비트가이드(21), 못가이드(24) 및 가동세그멘트(25)의 치수들의 누적되는 오차는 비트(20)의 트랙내로 가동세그멘트(25)의 몸체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트(20)와 파이프형상부(25a)의 구멍사이가 뜻하지 않게 상쇄됨으로써, 가동세그멘트(25)를 타격하여 손상시킬 수 있었다. 못가이드(24)의 외경과 파이프형상부(25a)의 내외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것은 더 큰 직경의 못가이드(24)가 못(30)을 느슨하게 유지한다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결국, 못(30)은 못가이드(24)내에서 크게 경사짐으로서, 타입동작이 곤란하다. 또한, 타입될 때 못(30)이 구부러질 가능성이 증가한다. 또한, 파이프형상부(25a)의 내경을 증가시키는 것은 타입기에 사용될 수 있는 못(30)의 타입을 제한한다. 즉, 파이프형상부(25a)의 내경보다 작은 머리직경을 가지는 못(30)은 후자에 속한다. 못(30)이 파이프형상부(25a)에 들어가면, 가동세그멘트(25) 및 안전암(26)이 밀어올려질 수 없어 트리거레버(11)가 작동될 수 없다.
또한, 파이프형상부(25a)의 외주변이 못가이드(24)의 내주에 대하여 너무 빡빡하게 맞으면, 맞춘 면과의 사이의 마찰은 가동세그멘트(25)를 못가이드(24)가 잘못하여 상향으로 밀릴 때, 예를 들면 타입기를 운반할 때, 상승하도록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 타입기는 잘못하여 발사될 수 있었다.
제6도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된 제3 실시예에 의한 타입기를 나타낸다. 가동세그멘트(125)는 비트가이드(121)의 하부 소경부(121a)의 외주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가동세그멘트(125)의 파이프형상부(125a)는 비트가이드(121)의 하부 소경부(121a)의 외경보다 큰 내벽직경으로 형성되었으나, 못(30)의 머리의 직경보다는 작다. 소경부(121a)는 트리거레버(11)와 안전암(26)의 일단사이의 결합길이보다 더 큰 축방향길이를 가진다. 또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못가이드(24)는 못가이드내에 삽입된 못(30)을 흡착하기 위하여 자석(40)이 매입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수직방향에서의 가동세그멘트(125)의 이동은 못가이드(24)를 통하기보다는 오히려 비트가이드(121)에 의하여 직접 가이드된다. 이로써, 가동세그멘트(125)는 비트(20)에 의하여 타격되지 않도록 더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가동세그멘트(125)는 이들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못가이드(24)를 가지고 더 작게 이동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안전암(26)이 트리거레버(11)와 결합될 때 동작불가능한 것과 같은 트리거레버(1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일본국 실공소 53(1978)-9007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트리거레버(11)와 트리거플런저(12) 사이에 트리거암이 추가로 설치된 안전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리거암이 안전암(26)과 트리거레버(11)에 의하여 압압될 때에만, 즉 안전암이 상승될 때에만, 트리거레버(11)가 유효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 때에만 트리거밸브플런저(12)는 피스톤(10)의 개시구동으로 상승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못가이드의 하단으로부터 충분히 돌출하는 긴 못을 타입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타입기에 있어서, 못가이드내에 삽입되어 이로부터 돌출하는 못이 가공물에 대하여 압압되지 않는 한, 트리거레버는 작동될 수 없다. 그러므로, 피스톤이 오동작하지 않으며, 타입기의 안전을 향상시키고, 타입기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을 특정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압축공기원(C)에 연결된 압축공기실(4)을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프레임(2)과,
    프레임내에 배설된 실린더(9)와,
    실린더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스톤(10)과,
    피스톤에 일체로 연결되어 못(30)의 머리를 타격하는 비트(20)와,
    피스톤에 압축공기실내의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가하여 비트를 이동시키는 트리거레버(11)와,
    하우징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되어 비트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비트가이드와,
    비트가이드위에 배설되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못가이드로서, 이 못가이드는 못의 머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못은 못가이드내에 삽입되어 세트될 때 못가이드로부터 돌출하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못가이드로 이루어지는 타입기에 있어서,
    일측에 축방향의 슬릿(24a)이 형성되는 못가이드(24)와,
    파이프형상부(25a, 125a)와 이 파이프형상부에 연결된 암부(25b, 125b)를 가지는 가동세그멘트(25, 125)로서, 파이프형상부는 못가이드(24)내에 이동 가능하고, 비트는 못의 머리를 타격하는 파이프형상부를 통하여 돌출가능한 가동세그멘트(25, 125)와,
    트리거레버(11)부근에 위치하는 일단과 암부(25b, 125b)에 결합된 타단을 가지며, 일단은 트리거레버를 비동작으로 하기 위하여 트리거레버와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안전암(26)과,
    안전암(26)의 일단에 연결되고, 안전암에 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안전암의 일단과 트리거레버사이의 결합을 유지하는 제2 스프링(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내에 못의 머리를 타격하기 위하여 공기압으로 작동되는 타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형상부(25a)는 못가이드(24)의 내주면에 대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설되고, 파이프형상부(25a)는 못가이드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못이 가공물(29)상에 압압될 때 못(30)의 머리와 접촉가능하고, 그에 의하여 압압되는 하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파이프형상부(25a)의 상부면과 비트가이드(21)의 하부면 사이에 간격이 설정되고, 이 간격은 가공물(29)에 못(30)이 압압되기 전에 트리거레버(11)와 안전암(26)의 일단 사이의 결합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또한 못가이드에 그의 최하단 위치로 힘을 가하기 위하여 비트가이드(21)와 못가이드(24)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기.
  5. 제3항에 있어서, 못가이드(24)는 못가이드내에 삽입된 못(30)을 흡착하기 위한 자석(40)이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기.
  6. 제1항에 있어서, 비트가이드(121)는 그 하단부에 소경부(121a)를 가지며, 파이프형상부(125a)는 소경부(121a)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소경부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설되고, 파이프형상부(125a)는 못가이드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못이 가공물(29) 위에 압압될 때 못(30)의 머리와 접촉가능하고, 그에 의하여 압압되는 하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기.
  7. 제6항에 있어서, 소경부(121a)는 트리거레버(11)와 안전암(26)의 일단사이의 결합길이보다 큰 축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기.
  8. 제7항에 있어서, 또한 못가이드에 그 최하단 위치쪽으로 힘을 가하기 위하여 비트가이드(121)와 못가이드(24)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기.
  9. 제8항에 있어서, 못가이드(24)는 못가이드내에 삽입된 못(30)을 흡착하기 위한 자석(40)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기.
KR1019940002055A 1993-02-05 1994-02-04 안전장치를 가진 타입기 KR0141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027 1993-02-05
JP302793 1993-02-05
JP00528694A JP3239579B2 (ja) 1993-02-05 1994-01-21 釘打機
JP94-5,286 1994-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415A KR940019415A (ko) 1994-09-14
KR0141063B1 true KR0141063B1 (ko) 1998-07-01

Family

ID=2633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055A KR0141063B1 (ko) 1993-02-05 1994-02-04 안전장치를 가진 타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95973A (ko)
JP (1) JP3239579B2 (ko)
KR (1) KR0141063B1 (ko)
DE (1) DE4403526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284B1 (ko) * 2009-11-11 2012-01-17 유인섭 균열 보강용 못 타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1232B2 (ja) * 1994-10-14 2002-07-15 日立工機株式会社 打込機のドライバブレード
DE29500073U1 (de) * 1995-01-04 1995-03-02 Behrens Ag Friedrich Joh Eintreibgerät für Befestigungsmittel
US5560528A (en) * 1995-05-11 1996-10-01 Testo Industry Corp. Exhaust hood mounting structure for pneumatic nail guns
DE29508658U1 (de) * 1995-05-24 1995-07-27 Behrens Ag Friedrich Joh Eintreibgerät für Befestigungsmittel
US5799855A (en) * 1996-02-09 1998-09-01 Illinois Tool Works Inc. Velocity control and nosepiece stabilizer system for combustion powered tools
US5904285A (en) * 1997-11-26 1999-05-18 Rayco Industries, Inc. Nail transfer apparatus
FR2774017B1 (fr) * 1998-01-27 2000-03-17 Spit Soc Prospect Inv Techn Appareil de fixation a piston propulse par gaz comprime
EP1674204A1 (en) * 1998-02-13 2006-06-28 Porta-Nails, Inc. Pneumatic nailer including safety trigger for disabling/enabling operation
US6095392A (en) * 1998-02-13 2000-08-01 Porta-Nails, Inc. Pneumatic nailer including safety trigger for disabling/enabling operation
US5941441A (en) * 1998-03-10 1999-08-24 Ilagan; Artemio M. Electric nailing gun
JP3744197B2 (ja) * 1998-04-22 2006-02-08 日立工機株式会社 圧縮空気ねじ締め機
JP3626011B2 (ja) * 1998-05-11 2005-03-02 株式会社マキタ 釘打ち機
TR200101483T2 (tr) * 1998-09-18 2001-11-21 Stanley Fastening Systems, L.P. Çoklu-vuruşlu tespit aygıtı
DE19950344C1 (de) * 1999-10-19 2001-07-05 Hilti Ag Betätigungsschutz für eine Anpreßhülse eines brennkraftbetriebenen Setzgeräts
JP2002066950A (ja) * 2000-09-01 2002-03-05 Hitachi Koki Co Ltd 釘打機
DE10048311B4 (de) * 2000-09-29 2012-03-01 Hilti Aktiengesellschaft Setzgerät
US7410084B1 (en) * 2001-08-31 2008-08-12 Reed Daniel J Multiple-impact adapter for a hammer tool
JP4049563B2 (ja) * 2001-09-14 2008-02-20 日立工機株式会社 釘打機
JP2003236771A (ja) * 2002-02-15 2003-08-26 Hitachi Koki Co Ltd エアプラグ及び空気釘打機
US7726536B2 (en) * 2004-04-02 2010-06-01 Black & Decker Inc. Upper bumper configuration for a power tool
US7971768B2 (en) * 2004-05-04 2011-07-05 Illinois Tool Works Inc. Guidance system for fasteners
US20060273130A1 (en) * 2005-06-07 2006-12-07 Hsiu-Chiang Chen Safety link for pneumatic nailers
US20070278276A1 (en) * 2006-06-05 2007-12-06 Wan-Fu Wen Nailing Tool with Displacable Discharge Tube
US7617957B2 (en) * 2006-08-14 2009-11-17 Illinois Tool Works Inc. Mounting system for the exhaust gas deflector of a power tool
JP4964624B2 (ja) * 2007-03-06 2012-07-04 株式会社マキタ 打ち込み機
US20080264998A1 (en) * 2007-04-27 2008-10-30 Samson Power Tool Co., Ltd. Nail positioning device for nailers
CN201493818U (zh) * 2009-07-17 2010-06-02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打钉枪
US9346156B1 (en) * 2012-02-21 2016-05-24 Senco Brands, Inc. Skewed fastener track for improved alignment and fastener drivability
DE102012210347A1 (de) * 2012-06-19 2013-12-19 Hilti Aktiengesellschaft Setzgerät und Steuerungsverfahren
CA3146951A1 (en) 2014-03-27 2015-10-01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Powered fastener dri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325235B2 (en) 2016-06-28 2022-05-10 Black & Decker, Inc. Push-on support member for fastening tools
US11267114B2 (en) 2016-06-29 2022-03-08 Black & Decker, Inc. Single-motion magazine retention for fastening tools
US11279013B2 (en) 2016-06-30 2022-03-22 Black & Decker, Inc. Driver rebound plate for a fastening tool
US10987790B2 (en) 2016-06-30 2021-04-27 Black & Decker Inc. Cordless concrete nailer with improved power take-off mechanism
US11400572B2 (en) 2016-06-30 2022-08-02 Black & Decker, Inc. Dry-fire bypass for a fastening tool
US10926385B2 (en) * 2017-02-24 2021-02-23 Black & Decker, Inc. Contact trip having magnetic filter
WO2020184218A1 (ja) * 2019-03-14 2020-09-17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打込機
CN110281325B (zh) * 2019-07-22 2021-05-11 张超仪 一种薄木板拼接打钉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03902A1 (ko) * 1965-09-02
US3675838A (en) * 1971-03-08 1972-07-11 Olin Corp Muzzle bushing assembly for power-actuated fastening tools
US3809307A (en) * 1973-02-23 1974-05-07 Fastener Corp Safety assembly for fastener driving tool
JPS539007A (en) * 1976-07-12 1978-01-27 Takenaka Komuten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udge
DE3014803C2 (de) * 1980-04-17 1985-07-25 Joh. Friedrich Behrens AG, 2070 Ahrensburg Druckluftnagler
US4389012A (en) * 1981-04-22 1983-06-21 Duo-Fast Corporation Fastener tool loading assembly
JPS5976780A (ja) * 1982-10-26 1984-05-01 株式会社立川ピン製作所 釘打機に於けるトリガ−バルブ
US4821937A (en) * 1987-09-14 1989-04-18 Duo-Fast Corporation Guide for fastener driving tool
DE4011778C2 (de) * 1989-09-08 1995-06-01 Hitachi Koki Kk Pneumatisches Einschlagwerkzeug für Befestigungselemente
DE4032231A1 (de) * 1989-12-19 1991-06-20 Behrens Ag Friedrich Joh Ausloesegesichertes eintreibgeraet fuer befestigungsmittel
JP3133782B2 (ja) * 1991-07-09 2001-02-13 日立工機株式会社 万能打込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284B1 (ko) * 2009-11-11 2012-01-17 유인섭 균열 보강용 못 타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95973A (en) 1996-03-05
KR940019415A (ko) 1994-09-14
JP3239579B2 (ja) 2001-12-17
DE4403526C2 (de) 1996-06-20
JPH06285773A (ja) 1994-10-11
DE4403526A1 (de) 199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1063B1 (ko) 안전장치를 가진 타입기
US5131579A (en) Nailing machine
EP1813394B1 (en) Combustion chamber control for combustion-powered fastener-driving tool
EP1713622B1 (en) Method for dimensioning a combustion-powered fastener-driving tool
US6745928B2 (en) Trigger valve apparatus for pneumatic tool
US7383974B2 (en) Combustion chamber control for combustion-powered fastener-driving tool
US8016046B2 (en) Combustion power source with back pressure release for combustion powered fastener-driving tool
JPH0632308Y2 (ja) 空気圧式釘打機
KR100782242B1 (ko) 동력 구동 못박기 기계
US3939921A (en) Method and device for damping the movement of a hammer piston
US4497377A (en) Pneumatic tool
US2652564A (en) Nail-driving mechanism
JPS5949149B2 (ja) 緩衡装置
JP2011115903A (ja) 打込機
JPH06335872A (ja) 釘打機
JP4120111B2 (ja) 釘打ち機のバンパ装置
JP2006026786A (ja) 打込機
JPH0634946Y2 (ja) 空気圧式釘打機
JPH0666968U (ja) 固着具打撃工具
JPS6237659Y2 (ko)
JPS5938999Y2 (ja) 打撃工具における打撃用ドライバの保持装置
JPH0616660Y2 (ja) 繰返し作動式釘打機における反動吸収機構
JPH0616670Y2 (ja) 釘打機における安全装置
JPH0544061Y2 (ko)
JPH068157A (ja) 空気圧式固定具打込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