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859B1 - 제트직기의 1 픽크 위입방법 및 위입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제트직기의 1 픽크 위입방법 및 위입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859B1
KR0140859B1 KR1019910003486A KR910003486A KR0140859B1 KR 0140859 B1 KR0140859 B1 KR 0140859B1 KR 1019910003486 A KR1019910003486 A KR 1019910003486A KR 910003486 A KR910003486 A KR 910003486A KR 0140859 B1 KR0140859 B1 KR 0140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pick
signal
jet loom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995A (ko
Inventor
겐스께 와까마쓰
Original Assignee
고시바 헤이지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시바 헤이지,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시바 헤이지
Publication of KR91001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66Control or handling of the weft at or after arrival
    • D03D47/3073Detection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26Air supply syste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66Control or handling of the weft at or after arriv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05Independent drive moto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07Loom optim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트직기를 기동함에 있어서 1픽크분의 위사를 위입하는 동시에 그 위사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제트직기의 기동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한 1 픽크위입방법 및 위입제어장치에 관하여 그 제어장치에 설치되는 1픽크지령부에 의해서 위사를 측장장치 및 위입노즐을 작동하여 경사개구중에 1 픽크분의 위사를 확실하게 위입하는 동시에 위입완료후 상기 제어장치에 설치되는 폐구제어부에 의해서 경사를 폐구하여 상기 1픽크분의 위사를 확실하게 유지하고 위사의 취절등을 방지하는 제트직기의 1 픽크위입방법 및 위입제어장치이다.

Description

제트직기의 1 픽크 위입방법 및 위입제어장치
제1 도는 본 발명 제어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계통도,
제2 도는 제1 도에 도시한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전체 설명도,
제3 도는 제2 도에 도시한 제어장치등의 동작설명도,
제4 도는 본 발명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 계통도,
제5 도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본 발명 제어방법의 플로우차아트,
제6 도는 제5 도의 주요부의 상세한 플로우차아트이다.
본 발명은 제트직기를 기동함에 앞서서 위입이된 1픽크분의 위사를 재기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트직기의 1픽크위입방법과, 그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트직기에 있어서는 위입불량등에 의하여 기계의 정지를 야기한 경우, 직기를 재기동함에 앞서서 직기를 정지된 상태에서 1픽크분의 위사를 경사 개구에 위입하여 그후 직기를 기동하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위입불량등의 발생에 의하여 직기가 정지한 경우, 불량위사를 제거함으로써, 불량위사가 짜여넣어져 있는 분만큼 직구(織口)의 위치가 변동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 불량위사가 제거후, 직기를 역전할때에 바디침이 행하여지게되므로 이들은 최종적으로 직단(織段)의 발생원인으로 된다.
그래서 1픽크분의 위사를 미리 위입하여 둠으로써 직단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 이것에 의해서, 위사와 주노즐을 포함한 위입부재와의 상대관계를 정규의 상태에 정돈할 수 있게 되므로써, 기동후의 최초의 위입동작이 확실성을 높이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1픽크분의 위입동작(이하 단지 1픽크 위입이라 함)은 수동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주노즐과, 주노즐의 뒷쪽에 배설하는 위사측장장치(
Figure kpo00001
), 주노즐의 앞쪽에 배설하는 서브노즐을 제어하며, 이 위입 동작을 자동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주지된 사실이다.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54-55660호 공보, 동 58-197350호 공보, 동60-185843호 공보를 들 수 있다.
즉 직기의 정지중에 주노즐, 서브노즐(이하 양자를 위입노즐이라 총칭함)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위사측장장치에서 1픽크 상당의 위사를 해서하여 경사 개구중에 1픽크분의 위사를 위입한다.
특히 특개소 54-55660호 공보의 기술에 있어서는 1픽크 위입이된 위사를 급사 반대측에 설치된 흡인노즐에 흡인 상태로하여 직기를 기동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할때는 1픽크 위입에 의하여 위입이 된 위사는 1픽크 위입자체가 정상으로 행하여지고 그리고 소정의 장력이 부여됨으로써 직기의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도 직기가 기동되기까지에 소위 취절(吹切)이나 동절(
Figure kpo00002
)을 일으켜서 쇼오트 픽크로 되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즉 위사의 1픽크위입후 직기가 기동되기까지 위입노즐이나 흡인노즐의 작동을 계속하고 위사를 소정의 장력으로 유지하여 계속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유체제트에 노출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되고 위사의 되꼬임이 생기는 결과, 강도가 극단으로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에 감안하여 1픽크 위입이 완료한때 취절이나 동절에 의한 쇼오트 픽크를 발생함이 없이 1픽크 위입이된 위사를 직기의 기동이 가능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제트직기의 1픽크위입방법 및 위입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제트직기를 기동함에 있어 위사측장장치와 위입노즐을 작동시켜서 1픽크분의 위사를 위입하여, 위사견인 장치에 의하여 위사를 견인하면서 위사를 폐구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장치의 구성은 지령신호에 대응하여 위사측장장치와 위입노즐과 위사견인장치를 작동시켜서 1픽크분의 위사를 위입하는 1픽크 지령부와 1픽크지령부로 부터의 완료신호에 의해서 경사를 폐구하는 폐구 제어부로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하 도면으로서 실시예를 설명한다.
직기는 에어제트직기로서 제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사체(W1)에서 공급되는 위사(W)는 드럼식의 위사측장장치(D)에 의하여 측장저류되고 주노즐(MN)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경사개구중에 위입이 된다.
위사측장장치(D)는 드럼(D1), 걸림핀(D2), 회전얀가이드(D3)을 가지고 모터(D4)에 의하여 회전 얀 가이드(D3)를 회전구동함으로써 위사(W)를 드럼(D1)상에 감아서 저류할 수가 있다.
위사측장장치(D)는 걸림핀제어장치(DC)에 의해서 걸림핀(D2)를 소정의 시기에 해서위치에 구동하여 드럼(D1)에서 위사(W)를 해서하고 또 걸림위치에서 구동함으로써 그 해서를 정지할 수가 있다.
또한 드럼(D1)의 근방에는 해서센서(D5)를 설치, 드럼(D1)에서 해서되는 위사(W)의 권수를 계수함으로써 위사(W)의 해서길이를 계측제어할 수가 있다.
위사(W)의 비주경로에 따라서 각군마다에 순차 작동함으로써 주노즐(MN)에 의하여 위입되는 위사(W)를 위입반대측까지 반송할 수 있다.
위사(W)의 위입반대측에는 위입이된 위사(W)의 선단부를 검출하는 위사 필러(WF1) 및 위사견인 장치로서의 스트레치노즐(SP), 보조위사필러(WF2)가 배설되어 있다. 스트레치노즐(SP)은 굴곡관(SP1)과 대향하여 설치되어있고 스트레치노즐(SP)에서 에어졸 분출함으로써 위사(W)의 선단부를 굴곡관(SP1)에 취입, 위사(W)에 소정의 장력을 줄 수가 있다.
또 보조위사필러(WF2)는 굴곡관(SP1)의 후단부근에서 위사(W)를 검출함으로써 굴곡관(SP1)에 취입된 위사(W)가 취절이나 동절이 생긴 경우에 이것을 검출한다.
주노즐(MN)은 개폐밸브(Vm), 압력조정밸브(Pm)을 통하여 에어공급원(AC)에 접속 되어있다. 서브노즐(SNi)은 그 각군을 단위로 하는 개폐밸브(VSi)(i = 1, 2, ...)와 공통의 압력조정밸브(Ps)를 통하여 에어원(AC)에 접속되어 스트레치노즐(SP)은 개폐밸브(Vp)를 통하여 압력조정밸브(Ps)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밸브(Vm, Vsi, Vp)는 노즐제어장치(NC)에 의해서 개별로 개폐제어되도록 되어있다.
제트직기의 1픽크 위입제어장치(이하, 간단히 제어장치라함)(A)는 제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픽크지령부(10)와 폐구 제어부(20)로 되어 있다.
제어장치(A)의 1픽크지령부(10)는 지령스위치(SW),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1), 플립플롭(12, 14) 및 앤드 게이트(13)로 된다.
지령스위치(SW)는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11)를 통하여 플립플롭(12, 14)의 세트단자(S, S)에 접속하는 동시에,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출력은 지령 신호(S1)로서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플립플롭(12)의 출력단자(Q)는 앤드게이트(13)에 접속하는 외에 작동신호(S2)로서 외부에도 분기출력 되어있다.
앤드게이트(13)에는 위사필터(WF1)의 출력신호(Sf)가 함께 입력 된다.
또 앤드 게이트(13)의 출력은 완료신호(S10)로서 폐구제어부(20)에 출력되는 동시에 플립플롭(12)의 리세트 단자(R)에 분기 접속되어 있다.
다른쪽 플립플롭(14)의 출력단자(Q)로 부터는 다른 작동신호(S3)가 외부로 인출이 되어 리세트단자(R)에는 폐구제어부(20)로부터의 기동준비완료신호(S4)가 입력되어있다.
폐구제어부(20)는 1픽크지령부(10)로 부터의 완료신호(S10)를 입력하여 기동 준비 완료신호(S4)를 1픽크지령부(10) 및 도시하지 않는 직기 제어회로에 출력한다. 완료신호(S10)는 플립플롭(21)의 세트단자(S)에 입력되어 그 출력단자(Q)에는 리레이(Ry)가 접속되어 있다.
또 플립플롭(21)의 리세트 단자(R)에는 기동준비완료신호(S4)가 입력되어 있다. 폐구제어부(20)에는 속도 설정기(SS)를 가진 제어증폭기(22)가 설치되어 양자의 사이에는 리레이(Ry)의 상개접점(Rya)이 개장되어 있다.
제어증폭기(22)의 출력은 주모터(M)에 접속되어있다.
주모터(M)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주모터(M)에 의하여 구동이 되는 직기주축의 회전각을 직기 기계각(θ)으로서 검출하는 엔코더(EN)을 설치, 엔코더(EN)의 출력은 폐구제어부(20)에 포함되는 비교기(23)에 입력되어 있다. 비교기(23)에는 설정기(24)를 부설하여 또 비교기(23)의 출력은 기동준비완료신호(S4)로 되어있다.
제어장치(A)로부터의 지령신호(S1), 작동신호(S2, S3)는 제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걸림핀 제어장치(DC), 노즐제어장치(NC)에 입력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어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지금 직기정지중에 경사를 개구상태로하여 지령 스위치(SW)를 조작하면,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1)를 통하여 지령신호(S1)가 발생한다(제3 도 참조). 지령신호 (S1)는 걸림핀제어장치(DC)에 출력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걸림핀 제어장치(DC)는 걸림핀(D2)를 걸림위치에서 해서위치에 구동하여 드럼(D1)에서 위사(W)를 해서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한편 지령신호(S1)에 의해서 1픽크지령부(10)의 플립플롭(12, 14)이 세트되어 노즐제어장치(NC)에 작동신호(S2, S3)가 송출됨으로서 작동신호(S2)에 대응하여 노즐제어장치(NC)는 개폐밸브(Vm), (Vsi)를 열고 주노즐(MN), 서브노즐(SNi)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위사(W)는 도시하지 않는 경사개구에 위입된다. 또 노즐제어장치(NC)는 개폐밸브(Vm, Vsi)를 여는 동시에 또는 적당한 미소의 시간 지연후에 작동신호(S3)에 대응하여 개폐밸브(Vp)를 열고 스트레치노즐(SP)을 작동상태로 한다.
이와같이 하여 소정길이의 위사(W)가 위입되면 해서 센서(D5)의 출력이 발생함으로써 걸림핀 제어장치(DC)가 이것을 검출하여 걸림핀(D2)을 걸림위치로 복귀하여 위사(W)의 해서를 정지한다.
이때 위사(W)의 선단부는 위사필러(WF1)의 앞면을 통과하여 굴곡관(SP1)에 취입되어 있으나 위사(W)는 위사측장장치(D)에 의하여 엄밀하게 측장이 되어 있기 때문에 위사필러(WF2)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위사(W)가 위사필러(WF1)에 도달하면 위사필러(WF1)으로부터 출력신호(Sf)가 발생하여 이것에 의해서 앤드게이트(13)의 출력에 완료신호(S10)가 발생한다. 완료신호(S10)에 의해서 플립플롭(12)에 리세트되어 작동신호(S2)가 소멸함으로써 노즐제어장치(NC)는 개폐밸브(Vm), (Vsi)를 폐하고 주노즐(MN), 서브노즐(SNi)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때 스트레치노즐(SP)은 또한 작동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위사(W)가 부주의하게 느슨하게 될 염려가 없다.
한편 완료신호(S10)에 의해서 폐구제어부(20)의 플립플롭(21)이 세트된다. 이것에 의해서 리레이(Ry)가 작동하여 주모터(M)는 속도설정기(SS)에 설정되는 낮은 속도에서 회전되고 도시하지 않은 직기주축과 직기주축에 연동하는 개구장치를 통하여 경사를 폐구상태로 할 수가 있다.
경사가 폐구상태로 된 것은 비교기(23)에 의해서 엔코더(EN)로부터 직기기계각(θ)을 설정기(24)의 설정치와 비교함으로써 검지할 수가 있다.
설정기(24)에는 경사가 폐구로 되는 직기기계각(θ)을 설정하는 것이다.
경사가 폐구상태로 되면 위사(W)는 스트레치노즐(SP)에 의하여 소정의 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의 그래도 경사되어 파지된다.
비교기(23)에 의하여 경사페구가 검지되면, 그의 출력인 기동준비신호(S4)에 의해서 플립플롭(21, 14)이 리세트되어 주포터(M)가 정지하는 동시에 노즐제어장치(NC)를 통하여 스트레치노즐(SP)이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그래서 기동준비신호(S4)가 있는 것을 조건으로 직기제어회로에 의하여 기동하면 좋다.
(다른 실시예)
1픽크지령부(10)로 부터의 완료신호(S10)는 제4 도와 같이 위시필터(WF1)의 출력신호(Sf)에 의거하여 출력하는 대신 지령신호(S1)의 발생으로부터 소정시간 후에 출력하도록 하면 좋다.
즉 앤드게이트(13)에 대신하여 지령신호(S1)를 입력하는 시간지연요소(15)를 사용하면 좋다. 시간지연요소(15)의 지연시간으로서 1픽크분의 위사(W)가 위입반대측에 도달하는데 요하는 위사비중시간 상당의 시간을 설정하면 상기 실시예와 매우 동일한 동작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상의 각 실시예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소프트 웨어에 의하여도 실현할 수가 있다 단 제5, 6 도에 있어서는 제1의 실시예에 상당한 것을 예시한다.
프로그램은 지령신호(S1)에 의하여 시동하면, 먼저 주노즐(MN), 서브노즐(SNi)로된 위입노즐과 스트레치노즐(SP)의 작동을 개시한다(제5 도의 스텝(1), 이하 간단히(1)과 같이 기입함). 이어서 위사 측장장치(D)의 걸림핀(D2)을 제어하여 1픽크분의 위사(W)를 해서하면(2), 위사(W)는 경사 개구중에 위입되어 그 완료결과를 대기한다(3).
여기서 제5 도의 스텝(3)의 상세한 것은 제6 도에 도시한 바와같다. 즉 프로그램은 먼저 위사(W)가 위사필러(WF1)에 소정시간내에 도달하고(제6 도의 스텝(31), (33) 이하 단지 (31), (33)와 같이 기입함), 위사(W)가 위사필러(WF2)에 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32)하고 1픽크 위입이 성공한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위사(W)가 소정시간내에 위사필러(WF1)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나((31, 33)), 위사(W)가 위사필러(WF2)에 까지 도달한 경우(32)에는 1픽크위입이 실패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위입노즐등의 작동을 정지하는 동시(34)에 그 표시를 하여(35), 종료한다.
1픽크위입이 성공하면(3), 위입노즐의 작동을 정지하고(4), 이어서 주모터를 저속 구동하여(5), 경사의 폐구를 기다린다(6).
경사가 폐구되어서 위사(W)가 경사에 의하여 파지되면(6), 스트레치노즐(SP)의 작동을 정지하여(7), 종류한다.
여기서 제5 도와 제1 도를 대비하면 전자의 스텝(1) 내지 (4)는 후자의 1 픽크지령부(10)에 대응하여 전자의 스텝(5, 6)은 후자의 폐구제어부(20)에 대응하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스트레치노즐(SP)의 작동정지시키는 엄밀한 것은 아니고 위사(W)가 경사에 의하여 파지하게 되면 스트레치노즐(SP)의 견인력에 의하여 위사(W)가 손상하는 가능성이 적게 된기 때문에 적단한 시기에 이것을 정지하고 또는 직기기동까지 작동시킨 그대로 유지하여도 좋다.
또한 가령 경사의 폐구동작중에 위사가 취절, 위사필터(WF2)에 의하여 이것이 검지된 때는 스트레치노즐(SP)을 정지하는 동시에 경사를 개구상태에 복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스트레치노즐(SP)은 제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굴곡관(SP1)과 조합한 형식에 한하지 않고 적당한 가동브러시나 파지로울러등을 사용하고 위사(W)에 대하여 기계적인 견인력을 가하는 형식의 것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워터제트직기에도 적용할 수가 있고 이때 서브노즐(SNi)은 사용할 필요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어방법에 의하면 1픽크분의 위사를 위입하여 위사견인장치에 의하여 위사를 견인하면서 경사를 폐구함으로써 위사는 1픽크 위입후 직기의 기동까지의 장시간의 사이 경사에 의하여 직기의 재기동이 가능한 소정의 장력이 주어진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으며 이 사이에 취절이나 동절이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배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 제어장치는 1픽크지령부와 폐구제어부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방법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제트직기를 기동할때에 위사측장장치에 의하여 1픽크분의 위사를 해서하는 동시에 위입노즐을 작동시켜서 1픽크분의 위사를 경사개구중에 위입하여 위사견인장치에 의하여 위사를 견인한 인장상태에서 경사를 폐구하여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직기의 1픽크위입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1픽크분의 위사를 경사개구중에 위입한 것을 위사필러에 의하여 검지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경사의 폐구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직기의 1픽크위입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1픽크분의 위사의 위입작동을 지령하는 신호의 발생으로부터 소정시간후에 경사의 폐구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직기의 1픽크위입방법.
  4. 지령신호에 대응하여 위사측장장치, 위입노즐과 위사견인장치를 작동시켜서 1픽크분의 위사를 위입하는 1픽크지령부 및 이 1픽크지령부로부터의 완료신호에 의해서 경사를 폐구하는 페구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직기의 1픽크위입제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1픽크지령부가 위사필러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위입의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직기의 1픽크위입제어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1픽크지령부가 지령신호의 발생으로부터 소정시간후에 위입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시간 지연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직기의 1픽크위입 제어장치.
KR1019910003486A 1990-03-05 1991-03-04 제트직기의 1 픽크 위입방법 및 위입제어장치 KR0140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4736 1990-03-05
JP2054736A JP2912665B2 (ja) 1990-03-05 1990-03-05 ジェットルームの1ピック緯入れ方法と、そ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995A KR910016995A (ko) 1991-11-05
KR0140859B1 true KR0140859B1 (ko) 1998-07-01

Family

ID=1297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486A KR0140859B1 (ko) 1990-03-05 1991-03-04 제트직기의 1 픽크 위입방법 및 위입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61582A (ko)
EP (1) EP0445687B1 (ko)
JP (1) JP2912665B2 (ko)
KR (1) KR0140859B1 (ko)
DE (1) DE6911980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776B2 (ja) * 1998-04-17 2001-04-1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起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04573A (de) * 1963-09-12 1965-12-15 Saurer Ag Adolph Saugvorrichtung an Webmaschinen
US3744533A (en) * 1971-08-03 1973-07-10 Teijin Ltd Adjustment of filling tension in fluid jet loom and apparatus thereof
NL7709425A (nl) * 1977-08-25 1979-02-27 Rueti Te Strake Bv Rietbalkeenheid.
CH649322A5 (de) * 1981-01-13 1985-05-15 Rueti Te Strake Bv Duesenwebmaschine.
KR860002101B1 (ko) * 1982-05-11 1986-11-25 가부시기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젯트직기에 있어서 위사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S58197350A (ja) * 1982-05-11 1983-11-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ジエツトル−ムの起動方法
CH662136A5 (de) * 1984-01-19 1987-09-15 Rueti Te Strake Bv Verfahren zum betrieb einer webmaschine und vorrichtung zum durchfuehren des verfahrens.
JPS60185843A (ja) * 1984-03-06 1985-09-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停止中でのよこ入れ完了確認方法
EP0207470B1 (en) * 1985-06-29 1992-05-13 Nissan Motor Co., Ltd. Mispicked weft yarn remov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IT1201202B (it) * 1987-01-26 1989-01-27 Omv Off Mecc Vilminore Dispositivo di autoregolazione di alimentazione di filati di trama in telai di tessitura ad aria
JP2715078B2 (ja) * 1987-09-11 1998-02-1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よこ入れ制御装置
CS275253B2 (en) * 1987-12-02 1992-02-19 Vyzk Ustav Textilnich Stro Device for faulty inserted pick removal on jet loom
DE58905019D1 (de) * 1988-05-26 1993-09-02 Sulzer Ag Webmaschine mit schusseintragsregel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5687A1 (en) 1991-09-11
EP0445687B1 (en) 1996-05-29
DE69119805D1 (de) 1996-07-04
KR910016995A (ko) 1991-11-05
JPH03260140A (ja) 1991-11-20
DE69119805T2 (de) 1996-10-31
JP2912665B2 (ja) 1999-06-28
US5161582A (en) 199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47338A (ja) 流体噴射式織機の緯糸処理方法
KR0140859B1 (ko) 제트직기의 1 픽크 위입방법 및 위입제어장치
JP2007303004A (ja) エアージェット織機
RU2051229C1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с зажимными челноками и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оборванной уточной нити на этом станке
KR100480676B1 (ko)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처리방법
JP3094636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製織方法
JPH02277855A (ja) 織機の緯入れ不良糸除去装置
JPH04257348A (ja) 織機の緯入れ不良糸除去装置
JP3423976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撚戻り防止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2543822Y2 (ja) 流体噴射式織機
JP2893111B2 (ja) 織機の緯糸除去方法
JP2761921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制御装置
JPS63235546A (ja) 複数の布を製織する織機の駆動制御方法
JP3056691B2 (ja) 糸排出装置
JP2922681B2 (ja) よこ糸切断方法
JP2002069801A (ja) 不良糸除去における緯糸切断方法
JPH04241143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JP2772369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S6321952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給糸替の結び目除去方法
JP2671518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JP2717540B2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のノズル抜け防止方法
JPH0679783U (ja) 流体噴射式織機の緯糸処理装置
JPH02289149A (ja) 織機の緯糸切れ検出装置
JPH02269836A (ja) 織機の緯糸除去装置
JPH01162847A (ja) 無杼織機における不良緯糸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