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10B1 -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10B1
KR0127310B1 KR1019890003683A KR890003683A KR0127310B1 KR 0127310 B1 KR0127310 B1 KR 0127310B1 KR 1019890003683 A KR1019890003683 A KR 1019890003683A KR 890003683 A KR890003683 A KR 890003683A KR 0127310 B1 KR0127310 B1 KR 0127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resin composition
weight
parts
copoly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660A (ko
Inventor
노부아끼 오꾸다
야스오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노무라 마사오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8238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27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81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27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81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2742B2/ja
Application filed by 노무라 마사오,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노무라 마사오
Publication of KR89001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08F255/0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on to ethylene-vinylester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화재발생으로 인한 연소시에 할로겐 유형의 유독성이고 부식성의 기체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특히 전선 및 케이블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의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선, 케이블 및 전기 기구용 절연물질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방염력을 부여하는 것은 관습적으로 폴리올레핀에 할로겐 화합물 및 삼산화안티온을 첨가함으로써 달성되고 있다. 그러나, 결과된 조성물들은 할로겐을 함유하며, 따라서 연소시에 인체에 유해하고 금속을 부식하는 할라이드 가스를 발생한다. 더구나, 이들 조성물들은 연소시에 시야를 불량하게 만드는 다량의 연기를 생성한다. 이것은 화재시에 사람의 피난과 소방 활동성에 관해 현저한 한계성을 노출 시킨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이들 수지 조성물들이 연소시에 어떠한 할로겐-기재 기체도 생성하지 않는 것이 안전성 관점에서 강렬히 소망되었다. 이런 상황하에, 함수 금속 화합물들이 그들의 발연 성질 및 무해성이 매주 낮기 때문에 무기 방염체로서 관심을 끌고 있다.
방염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 알루미늄 등을 다량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들이 최근 몇년전 부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수지 조성물들은 다음 약점들을 갖고 있다.
(1) 수산화마그네슘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 및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탄산마그네슘으로 변한다. 따라서, 수산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표면에는 탄산마그네슘의 백색 결정체가 나타난다.
(2)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은 산 및 알칼리에 대한 내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산 또는 알칼리와 접촉할때는,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은 즉시 수지조성물의 표면에서 산 또는 알칼리에 용해된다. 그것은 pH가 약2인 약산에서도 다량으로 용해되며, 그 결과 수지 조성물 표면의 열화를 야기하기 쉽다.
(3)수지조성물에 다량의 무기 충전제의 존재는 수지 조성물의 표면손상을 쉽게 초래한다.
(4)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은 휨(bending) 표면 백화, 또는 작굴(buckling)을 일으킨다.
이들 약점들은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을 전선 및 케이블에 실제로 적용하는 것을 지연시켜 왔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일본국 특허 출원 제129064/1986 및 138316/1986호에는 다음과 같이 서술되어 있다. :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는 촉매를 필요로 함이 없이 교차결합을 일으킨다. 더 상세히는, 함수 금속 화합물의 표면 상의 히드록실기(-OH) 및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의 실라늘기(→si-OH)는 가수분해성 축합반응을 일으켜, 함수 금속 화합물의 표면위에 존재하는 소량의 물(a) 및 유기금속 화합물 촉매와 유사하게 작용하는 함수 금속 화합물(b)의 영향하에, 그리고 반죽동안 발생되는 마찰열의 존재하에 강한 실록산 결합 〔-si-o-MmOn(M은 금속)〕을 형성하는데; 상기 반응에서, 어떠한 촉매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2개의 특허 출원에는 전술한 강한 실록산 결합들이 수지 조성물에 고온에서의 탁월한 형성 유치력, 연소시의 증진된 적하(drip) 방지 및 개선된 기계적 성질(예를 들면, 개선된 휨 백화, 및 개선된 내인열성)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임을 더 서술하고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는 또한, 강한 실록산 결합들이 기계적 성질, 표면 성질, 열 변형을 포함하는 열적 성질, 및 산소 지수를 포함하는 연소 성질을 개선한다고 실시예에서 서술하고 있다.
말레산 무수물을 퍼옥사이드와 같은 라디칼-발생제의 존재하에 중합체 골격으로서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이후 EVA로 칭함),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후 EEA로 칭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액체탄화수소 중합체(예를들면 액체폴리부타디엔)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된 불포화디카르복실산-개질중 합체류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이들 수지들은 일본에서 다량으로 시판되고 있다. 다른 수지류 및 금속 분말에 부착성 절을 부여하기 위한 그러한 개질 올레핀계 수지의 첨가는 많은 논문들에 보고되었다. 이런 점에서, 다수의 특허출원들이 출원되었다. 그 예들이 일본국 특허공고 제5788/1987 및 9135/1987호이다.
말레산 무수물 사용의 또 다른 예로서; 말레산 무수물을 퍼옥사이드 등의 존재하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에 첨가반응을 이행시켜 후자의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일본국 특허공개 제10151/1987 및 11745/1987호에 서술된 바처럼 개선시킨다. 이런 접근에서는, 말레산 무수물의 곡성기를 비곡성 올레핀 계수지에 첨가하여 충전제약의 후자의 친화성을 단순히 개선하고 최종적으로 후자의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개선한다. 따라서, 상기 접근의 목적은 본 발명이 의도하는 접근의 목적과는 다른데, 본 발명에서는, 실록산 연결들을 함수 금속 화합물의 표면위에 존재하는 물을 통해 실란-그래프트화중합체 및 함수 금속 화합물 사이에 형성시키고, 더 나아가서 착염 결합들을 함수 금속 화합물 및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유도체사이의 반응에 의해 형성시킨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일본국 특허 출원 제45200/1987호에서 올레핀계수지,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실란-그래프트화 올레핀계 수지), 함수 금속 화합물 및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유도체로 구성된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방염제로서 함수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지만, 여러가지 환경 테스트 또는 실제 사용동안 함수 금속 화합물의 혼합에 의해 야기되는 표면 열화 및 매우 낮은 내약품성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표면 손상 및 휨 표면 백화 및 좌굴이 더욱 개선된 방염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 (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에틸렌 공중합체,
(b) 실탄을 올레핀계 수지에 그래프트화시켜 수득된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
(c)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
(d) (i)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d) (ii) 반응성 폴리오트가노실록산을 열가소송 수지에 그래프트-중합시켜서 수득된 실리코운-개질 중합체, 또는 (d) (iii) (d) (i) 및 (d) (ii)의 혼합물, 및 (e) 함수 금속 화합물로 구성된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있으며, 여기서 성분(a) 및 (b)의 100중량부를 모두 기준으로 하여 성분(c)는 0.1∼30중량부의 양으로, 성분(d) (i)는 사용될 때 0.1∼30중량부의 양으로, 성분(d) (ii)는 사용될 때 0.1∼30중량부의 양으로, 그리고 성분(e)는 50∼300 중량부의 양으로 혼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실란이 그래프트화되는 올레핀계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 EVA, EEA, EMM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류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 (b) 및 (c)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의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3∼12를 갖는 것들, 예를 들어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헥센-1, 헵텐-1, 옥텐-1, 4-메틸펜텐-1,4-메틸헥센-1,4,4-디메틸펜텐-1, 노넨-1, 데켄-1, 운데켄-1 및 도데켄-1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 중에서 부텐-1, 펜텐-1, 헥센-1, 헵텐-1 및 4-메틸펜텐-1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는 상기 언급한 올레핀계 수지를 일반식 RR'SiY2(R은 1가의 올레핀계 불포화탄화수소기 ; Y는 가수분해 가능한 유기기 ; 및 R'는 불포화지방족 탄화수소기 이외의 1가의 탄화수소이거나 또는 Y와 동일함)으로 표시되는 유기 실린과 자유-라디칼-발생화합물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수득한다. 상기반응은 일본국 특허 공보 제24342/1975호 등에 서술된 공지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특정예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강한 중합개시 작응을 갖는 유기퍼옥사이드 〔예를들면, DCP(디큐밀퍼옥사이드)〕의 존재하에 비닐트리테톡시실란과 반응시키며, 이에 의해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가 수득된다.
사용되는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성분(a) 및 (b)의 100중량부당 적어도 2중량부이다.
그 양이 2중량부 이하이면, 결과로 생성된 수지 조성물은 고온에서 형성 유지력 및 연소시에 적하 방지력이 거의 개선되지 않는다.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의 교차 결합도는 크실렌 불용분으로서 정의되는 겔 분류분의 항목으로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이다. 겔 분류분이 20중량% 이하일때, 결과로 생성된 수지 조성물은 고온에서의 형성 유지력 및 연소시의 적하 방지력이 낮다. 겔 분류분이 80 중량% 이상일 때, 결과로 생성된 수지 조성물은 불량한 성형 적성을 갖는다.
폴리에틸렌, EVA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의 양은 성분(a) 및 (b)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30중량부이다. 그 양이 0.1 중량부이하이면 첨가 효과는 매우 낮다. 그 양이 30중량부 이상이면 유도체와 함수 금속 화합물 사이의 반응이 과도하게 발생하며 조성물은 불량한 압출 적성을 보여주고 압출품은 열화된 의관을 보여준다.
성분(d) (i), 즉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메틸 메타 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사용할때는 그 양은 성분(a) 및 (b)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30중량부이다. 그 양이 0.1중량부 이하이면 첨가 효과는 매우 낮다. 그 양이 30중량부 이상이면 조성물은 불량한 압출 적성 및 불량한 열 노화 성질(heat aging property)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반응성 폴리오트가노실록산이 그래프트-중합 되어질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 EVA, EEA 및 EMMA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류;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 합체가 있다.
성분(d) (ii), 족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반응성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그래프트-중합시켜 수득된 실란-개질된 중합체를 사용할 때는 그 양은 성분(a) 및 (b)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30중량부이다. 그 양이 0.1 중량부 이하이면 첨가 효과가 매우 낮다. 그 양이 30 중량부 이상이면 상응하는 개선 효과가 수득되지 않으며 조성물 비용이 더 높아지는데, 이것은 실질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함수 금속 화합물은 150∼450℃의 분해-출발 온도를 가지며 일반식 MmOn, XH2O(M은 금속; m 및 n은 각각 금속 공유가에 의해 결정되는 1이상의 정수이고; 및 X는 결합수의 분자수임)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거나 또는 전술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중열이다. 함수 금속 화합물의 특정 예들로서는 수산화 알루미늄〔Al2O3, 3H2O 또는 Al(OH)3〕, 수산화 마그네슘〔MgO, H2O 또는 Mg(OH)2〕, 수산화 칼슘〔CaO, H2O 또는 Ca(OH)2〕, 수산화 바륨〔BaO, H2O 또는 BaO, 9H2O〕, 산화지르코늄 수학물(ZrO, nH2O), 산화 주석 수화물(SnO, H2O),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3MgCO3, Mg(OH)2, 3H2O〕, 히드로탈사이트(6MgO, Al2O3, H2O), 다우소나이트(Na2CO3, Al2O3,nH2O), 보랙스(Na2O, B2O2, 5H2O) 및 봉산 아연(ZnB4O7, 2H2O)가 있다. 함수 금속 화합물을 성분(a) 및 (b)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30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한다. 그 양이 50중량부 이상이면 결과로 생성된 수지 조성물은 원하는 방염력을 가지기는 어렵다. 그 양이 300 중량부 이상이면 결과로 생성된 수지 조성물은 낮은 기계적 성질(예, 낮은 인장 강도) 및 빈약한 압출 작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방염성 옹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원한다면,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 예를들면 산화방지제, 중화제, UV흡수제, 정전기 방지제, 안료, 분산제, 윤활제, 중점제, 발포방지제, 금속열화저해제, 살균제, 유동조절체, 포스포러스 또는 포스핀 유도체 계통의 방염제, 기타 무기충전제, 교차 결합체, 교차 결합조제 등과 더 나아가서는 다른 합성 수지류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전자선(electron ray)에 의해 교차 결합을 이행시킬 수 있다.
하기(a)∼(e)로 구성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 (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에틸렌 공중합체, (b) 실란을 올레핀계 수지에 그래프트화시켜 수록된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 (c)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 (d)(i)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d) (ii) 반응성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열가소성 수지에 그래프트-중합시켜서 수록된 실리코운-개질 중합체, 또는 (d) (iii) (d) (i) 및 (d) (ii)의 혼합물, 및 (e) 함수 금속 화합물, 하기 공정 중 어떠한 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1) 성분(a), (b), (c), (d) 및 (e)를 함께 반죽시키는 방법.
(2) 성분(c) 및 (d)중의 적어도 둘 중의 하나를 성분(b)(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의 제조시에 첨가하고, 펠렛-형상화된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의 제조 후에 나머지 성분들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반죽 시키는 방법.
(3) 성분(a), (b), (c), (d) 및 (e)에서 임의로 선택된 몇몇 성분들을 반죽시킨 다음, 혼합물을 나머지 성분들과 반죽시키는 방법.
성분 (a), (b), (c), (d) 및 (e)를 배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조성물을 형상화시킬 때, 하기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1)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는 어떠한 촉매도 필요로 함이 없이 교차결합을 일으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학 금속 화합물의 표면상의 히드록실기(-OH) 및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의 실라늘기(→Si-OH)는 함수 금속 화합물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소량의 물(a)과 유기 금속 화합물 촉매와 유사하게 작용하는 함수 금속 화합물(b)의 영향하에 그리고 반죽시에 생성되는 마찰열의 존재하에 가수분해성 축합반응을 일으켜 강력한 실록산 연결 〔-Si-O-MmOn(M은 금속임)〕을 형성시키는데 ; 이 반응에서 어떠한 촉매도 필요하지 않다.
(2) 성분(c) (폴리에틸렌, EVA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 및 성분(d) (i)(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는 함수 금속 화합물의 금속 이온과 반응하여 착염을 형성한다.
성분(c) 및 성분(d) (i)의 배합사용은 인상적인 효과를 산출한다.
(3) 실리코운-개질된 중합체는 조성물의 내인열성 및 성형 적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한다.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 및 함수 금속 화합물 사이에 형성된 실록산 연결, 및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 〔성분(c)〕또는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성분 (d) (i)〕를 함수 금속 화합물 〔성분(e)〕와 반응시켜 형성된 착염 연결은 상승 효과를 준다. 상기 상승 효과 및 실리코운-개질된 중합체의 효과는 방염성 수지 조성물에 상당히 개선된 표면 열화, 내약품성, 표면 손상, 휨(bending)표면 백화, 좌굴(buckling)을 제공한다.
방염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엄정한 필요조건들은 실록산연결 및 착염 연결의 상승 효과에 의해서 충족될 수 있지만 두 가지 연결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는 충족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탄소분말을 사용하는 선행기술의 것과는 매우 다른 연소-조절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사용시에 더욱 용이한 확인을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도 있는 여러가지 안료의 종류와는 관계 없는 연소-조절 효과를 나타낸다. 이럼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용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소망 색상으로 착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첫째, 세가지의 실란-그래프트화 올레핀계수지(세가지의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들을 다음 절차를 사용하여 표 1에 기재된 재형들에 따라 제조하였다. 디큐밀퍼옥사이드(DCP)를 비닐트리메톡시실란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저결정질 에틸렌 공중합체(1) 및 (2)와 저밀도 폴리에틸렌(3)과 진탕하에 개별적으로 혼합하였다. 결과로 생성된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를 150∼200℃에서 50mmØ의 단축(Single screw)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여 실란-그래프트화중합체 A, B 및 C를 펠렛형태로 수득하였다. 각각의 중합체를 알루미늄-적충백에 배치하고 그 백을 봉함하여 외부 습기의 영향을 방지하였다. 중합체를 필요할 때마다 각각의 필요량만큼 인출하였다.
Figure kpo00001
(1)소프트렉스(Softrex),니뽄 페트로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Nippon Petrochemicals Co., Ltd)사제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 렉슬론(Rexlon), 니뽄 페트로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사 제품의 EEA 공중합체.
(3)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Sumitomo Chemical Co., Ltd)사 제품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120℃ 크실렌에서 20시간 동안 침지 후의 불응분(중량%)
그 다음으로, 표 2-(i)∼2-(iii)에 기재된 여러가지 성분들을 용기에서 함께 혼합하였다. 결과로 생성된 혼합물 각각을 반바리 로울에서 반죽한 다음 펠렛으로 만들었다. 펠렛들을 로울-가압하여 여러가지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이들 시험편들을 탄산 마그네슘의 형성으로 인한 표면 백화도, 10% 황산(또는 3%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침지 때의 중량 변화, 표면 손상에 대한 내성, 휨백화, 및 산소 함량의 항목으로의 방염력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펠렛들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여 외부 직경 20mmØ, 내부직경 18mmØ 및 두께 1mm의 튜브를 수득하고, 이를 사용하여 압출 적성을 측정하였다. 상기튜브를 사용하여, 좌굴(buckling)을 측정하였다.
결과들은 표 2-(i)∼2-(iii)에 기재한다. 이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처럼, 본 발명의 조성물들(실시예)들은 백화도, 황산 및 수산화나트륨에 대한 내성, 표면 손상에 대한 내성, 휨 표면 백화, 및 좌굴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4)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sumitomo Chemical Co., Ltd) 사제의 EMMA
(5)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6) 미쓰이유까 가부시끼가이샤(Mitsui Yuka Ind., Ltd)사제의 말레산 무수물-그래프트화폴리올레핀, MFI=1.3; 밀도=0.94; 기제=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7) 니뽄 페트로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Nippon Petrochemical Co., Ltd) 사제의 말레산 무수물-그래프트화폴리올레핀. MFI=0.3; 밀도=0.92; 기제=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8)-(i) 스미또모가 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의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8)-(ii) 다우 코오닝(Dow Corning) 사제의 실리코운-개질 중합체, 실리코운 함량=40중량% ; 기제=저밀도 폴리에틸렌.
(9) 쇼와덴꼬 가부시끼가이샤(Showa Denko K.K.) 사제의 하이질라이트(Higilite)H 42M(상표명)
(10) 교와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Kyowa Kagaka K.K.)사제의 기스마 5B(KISUMA 5B)(상표명)
(11) 산요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SANYO Chemical Industry LTD.) 제의 산왁스(Sanwax) 171P…… 1.0 시바가이기 가부시끼가이샤(Cihba Geigy K.K.)제의 이르가녹스(Irganox) 1076…… 0.3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의 스밀라이저(Sumilizer) WXR…… 0.3
(12) 흑색안료, 발칸(VALCAN)9A-32…… 3.0
(13) 5cm×5cm×1mm(두께)의 가압 쉬이트를 1ℓ의 증류수에 침지시킨다. 거기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100ml/분의속도로 48시간 동안 불어넣는다. 그런 다음, 쉬이트를 인출하고 탄산마그네슘 결정의 형성으로 인한 백화도를 육안으로 관측한다.
(14) 50℃의 10%(중량) 황산에 7일 동안 침지시켰을 때 시험편의 중량 변화를 측정한다. 시험편으로는, 1mm의 두께를 갖는 JIS 제3편 덤벨(dumbell)을 사용한다.
(15) 50℃의 3%(중량) 수산화나트륨에 7일 동안 침지시켰을 때 시험편의 중량변화를 측정한다. 시험편으로는, 1mm의 두께를 갖는 JIS 제3편 덤벨을 사용한다.
(16) HB 경도의 연필에 의한 내긁힘성을 육안으로 검사한다.
(17) 180°로 휘였을 때 두께 2mm쉬이트의 백화를 육안으로 검사한다.
(18) JIS K 7201에 따라 측정함
(19) 외부 직경 20mmØ, 내부 직경 18mmØ, 두께 1mm 및 길이 300mm의 압출된 튜브안에, 직경 1mmØ의 구리선을 경도 80의 연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로 두께 8mm로 피복함으로써 제조된 전선을 삽입한다. 그렇게 수득된 시험 샘플을 외부 직경 100mmØ의 측 주위로 감는다. 결과로 생성된 구김 정도(degree of wrinkle)를 육안으로 검사한다.
(20) 50mmØ의 단축(single screw)압출기를 사용한다. 150-160-170-180℃; L/D=25, CR=3.5; 압출된 튜브 내부 직경=18mmØ, 이의 외부 직경=20mmØ
(21) 탁월양호적절부적절. 탁월, 양호 및 적절은 통과로 취급된다.

Claims (13)

  1. (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에틸렌 공중합체, (b) 실란을 올레핀계 수지에 그래프트화시켜 수록된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 (c)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 (d)(i)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d)(ii) 반응성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열가소성 수지에 그래프트-중합시켜서 수록된 실리코운-개질 중합체, 또는 (d) (iii) (d) (i) 및 (d) (ii)의 혼합물 및 (e) 함수 금속 화합물로 구성되며, 성분(a) 및 (b)의 100중량부를 모둠 기준으로 하여 성분(c)를 0.1∼30중량부로, 성분(d) (i)를 사용할 때는 0.01∼30 중량부로, 성분(d) (ii)를 사용할 때는 0.01∼30중량부로, 및 성분(e)를 50∼300 중량부로 혼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의 α-올레핀이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헥센-1, 헵텐-1, 옥텐-1, 4-메틸펜텐-1, 4-메틸헥센-1, 4, 4-디메틸 펜텐-1, 노넨-1, 데켄-1, 운데켄-1 및 도데켄-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란으로 그래프트화 되는 올레핀계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레핀계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는 올레핀 게수지를 자유-라디칼 발생 화합물의 존재하에 일반식 RR'SiY2로 표현되는 유기실란(식중에서, R은 1가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기; Y는 가수분해 가능한 유기기; 및 R'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이외의 1가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Y와 동일함)과 반응시켜 수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를 성분(a) 및 (b)의 100 중량부당 적어도 2중량부의 양으로 혼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실란-그래프트화 중합체의 교차 결합도는 크실렌불응분으로 정의되는 겔 분류분의 항으로서 20∼8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 그래프트-중합되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틀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함수 금속 화합물은 150∼450℃의 분해-출발 온도를 가지며 일반식 MmOn, XH2O(식중M은 금속; m 및 n 각각은 금속의 공유가에 의해 결정되는 1 이상의 정수 및 X는 결합수의 분자 수임)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이거나 또는 전술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중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M은 주기율표의 IA, IIA, IIB, IIIA, IVA 및 IVB족의 금속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M은 주기율표의 IIA족의 금속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M은 주기율표의 IIIA족의 금속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12. 제 8 항에 있어서, 함수 금속 화합물은 산화 마그네슘 1 수화물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13. 제 8 항에 있어서, 함수 금속 화합물은 산화알루미늄 3 수화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19890003683A 1988-03-24 1989-03-23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조성물 KR0127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68238 1988-03-24
JP6823888A JPH06102741B2 (ja) 1988-03-24 1988-03-24 難燃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63-81190 1988-04-04
JP63081190A JPH06102743B2 (ja) 1988-04-04 1988-04-04 難燃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63081189A JPH06102742B2 (ja) 1988-04-04 1988-04-04 難燃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63-81189 1988-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60A KR890014660A (ko) 1989-10-25
KR0127310B1 true KR0127310B1 (ko) 1998-04-01

Family

ID=2729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683A KR0127310B1 (ko) 1988-03-24 1989-03-23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002996A (ko)
EP (1) EP0334205B1 (ko)
KR (1) KR0127310B1 (ko)
AT (1) ATE115608T1 (ko)
AU (1) AU614036B2 (ko)
CA (1) CA1332016C (ko)
DE (1) DE68919879T2 (ko)
FI (1) FI891395A (ko)
NO (1) NO306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5508B1 (fr) * 1987-12-30 1992-05-22 Charbonnages Ste Chimique Compositions polymeres ignifugees et leur application au revetement de cables electriques
GB8806497D0 (en) * 1988-03-18 1988-04-20 Mortile Acoustic Ind Ltd Non-toxic fire retardant thermoplastic material
FR2647458B1 (fr) * 1989-05-25 1991-09-06 Norsolor Sa Compositions polymeres ignifugees et leur application au revetement de cables electriques
US5053457A (en) * 1989-06-13 1991-10-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extrudable adhesives and products therefrom
US5132350A (en) * 1990-07-13 1992-07-21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FR2668159B1 (fr) * 1990-10-19 1993-01-22 Inst Francais Du Petrole Compositions reticulables a base de polyethylene et les materiaux qui en derivent.
DE69223550T2 (de) * 1991-05-28 1998-04-16 Denki Kagaku Kogyo Kk Flammhemmende Harzzusammensetzung
JP2550808B2 (ja) 1991-08-23 1996-11-06 日立電線株式会社 難燃性電気絶縁組成物および難燃性電線・ケーブル
IE920241A1 (en) * 1991-08-23 1993-02-24 Hitachi Cable Non-halogenated fir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wires¹and cables coated therewith
US5296534A (en) * 1992-01-16 1994-03-22 Nippon Unicar Company Limited Flame retardant composition
US5211746A (en) * 1992-06-22 1993-05-18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AU659351B2 (en) * 1992-11-27 1995-05-11 Basf Corporation Copolymer dispersant composition for inorganic pigments
US5476901A (en) * 1993-06-24 1995-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loxane modified polyolefin copolymers
CH686309A5 (de) * 1994-03-24 1996-02-29 Alusuisse Lonza Services Ag Polymerhaltige Mischung.
GB9419803D0 (en) * 1994-09-30 1994-11-16 Du Pont Canada Controlled cure adhesive film
US5482990A (en) * 1995-01-17 1996-01-09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2963034B2 (ja) * 1995-09-29 1999-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電線被覆用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用絶縁電線
SE507330C2 (sv) * 1996-09-17 1998-05-11 Borealis As Flamskyddskomposition och kabel innefattande flammskyddskompostionen
DE19808886A1 (de) * 1998-03-03 1999-09-09 Huels Chemische Werke Ag Vernetzbare Formmasse
US6667358B1 (en) * 1999-05-17 2003-12-23 Dupont-Mitsui Polychemicals Co.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KR100619363B1 (ko) * 1999-05-24 2006-09-06 에스케이 주식회사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제조방법
CA2290317A1 (en) 1999-11-24 2001-05-24 Peter Jackson Tracking resistant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suitable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EP1362080B1 (en) * 2000-12-22 2005-09-28 Samsung General Chemicals Co., Lt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DE102008001517B4 (de) * 2007-04-30 2010-01-14 Institut für Kunststofftechnologie und -recycling eV Flammwidrig ausgerüstete halogenfreie Polyolefin-Plastisol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lien und Beschichtungen
US9085678B2 (en) 2010-01-08 2015-07-21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lea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with carbon nano tube for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for insulation of wire and cable
BR112014005252A2 (pt) * 2011-09-07 2017-03-28 Polyone Corp compostos de poliolefina não halogenados apresentando boas propriedades de processamento
US8871019B2 (en) 2011-11-01 2014-10-28 King Abdulaziz City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materials manufacturing and the method of its production
FR3022545B1 (fr) 2014-06-18 2016-06-24 Arkema France Encapsulant d'un module photovoltaique
AU2015258191B2 (en) 2014-11-19 2020-02-27 Flexopack S.A. Oven skin packaging process
JP6590587B2 (ja) * 2015-08-21 2019-10-16 三井化学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材および物品
US10497491B2 (en) * 2017-03-30 2019-12-03 Ls Cable & System Ltd. Halogen-free flame-retardant polyolefin insulation composition and cable having an insulating layer formed from the same
EP3724272A1 (en) 2017-12-15 2020-10-21 Byk-Chemie GmbH Thermoplas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flame retardant properties
EP3501822A1 (en) 2017-12-22 2019-06-26 Flexopack S.A. Fibc liner film
CN109438986A (zh) * 2018-09-07 2019-03-08 安徽华网电缆有限公司 一种高效阻燃、耐磨地铁电缆及其制备方法
US11279816B2 (en) 2019-06-18 2022-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ame retardants derived from biobased dicarboxylic aci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8323A (en) * 1979-08-29 1982-05-04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duction of silane modified copolymers of alkylene-alkyl acrylates
DE3150798C2 (de) * 1981-12-22 1989-11-23 AEG-Telefunken Kabelwerke AG, Rheydt, 4050 Mönchengladbach Thermoplastische, halogenfreie flammwidrige Polymermischung
US4722959A (en) * 1985-06-25 1988-02-02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Flame-retardant olefin polymer composition
EP0212825B1 (en) * 1985-07-09 1993-09-29 Nippon Petrochemicals Company, Limited Flame-retardant olefin polymer composition
US4622350A (en) * 1985-12-30 1986-11-11 Shell Oil Company Low smoke polypropylene insulation compositions
JPS62143953A (ja) * 1985-12-18 1987-06-27 Shin Etsu Chem Co Ltd 低発煙性ゴム組成物
US4732939A (en) * 1986-01-20 1988-03-22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Flame-retardant olefinic resin compositions
EP0280761B1 (en) * 1987-03-02 1993-03-03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Flame-retardant olefinic resin composition
GB8806497D0 (en) * 1988-03-18 1988-04-20 Mortile Acoustic Ind Ltd Non-toxic fire retardant thermoplastic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4036B2 (en) 1991-08-15
CA1332016C (en) 1994-09-13
US5002996A (en) 1991-03-26
FI891395A (fi) 1989-09-25
DE68919879D1 (de) 1995-01-26
NO891146L (no) 1989-09-25
AU3117089A (en) 1989-09-28
NO306069B1 (no) 1999-09-13
EP0334205B1 (en) 1994-12-14
EP0334205A2 (en) 1989-09-27
NO891146D0 (no) 1989-03-16
FI891395A0 (fi) 1989-03-23
EP0334205A3 (en) 1991-09-25
ATE115608T1 (de) 1994-12-15
KR890014660A (ko) 1989-10-25
DE68919879T2 (de) 199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310B1 (ko) 방염성 올레핀계 수지조성물
KR900006359B1 (ko) 난연성 올레핀 수시 조성물
EP0237713B1 (en) Flame-retardant olefinic resin compositions
US5218027A (en) Low toxicity fire retardant thermoplastic material
AU750274B2 (en) Flame-retardant composition and its use
JP5183873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JP3632735B2 (ja) 絶縁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HU227773B1 (hu) Eljárás önkioltó, kis füstkibocsátású kábelek elõállítására és az ezekben használt égésgátló kompozíció
JP2758627B2 (ja) 難燃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S62177046A (ja) 耐酸性難燃樹脂組成物
JPH0328245A (ja) 難燃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3133125B2 (ja) 難燃シート
JP2868875B2 (ja) 難燃性重合体組成物
JPH06102741B2 (ja) 難燃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2001011262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難燃性電線・ケーブル
JPH059310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710941B2 (ja) 難燃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6102743B2 (ja) 難燃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200115195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H0641371A (ja) 難燃性組成物
JP2834629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S62295939A (ja) 難燃性エチレン−エチルアクリレ−ト系樹脂組成物
JPS6291544A (ja) 難燃性組成物
JPH0593106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CA2069075A1 (en) Low toxicity fire retardant thermoplastic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