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42B1 -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42B1
KR0126242B1 KR1019910020682A KR910020682A KR0126242B1 KR 0126242 B1 KR0126242 B1 KR 0126242B1 KR 1019910020682 A KR1019910020682 A KR 1019910020682A KR 910020682 A KR910020682 A KR 910020682A KR 0126242 B1 KR0126242 B1 KR 012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generation
signal
generation control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007A (ko
Inventor
히로아끼 가또오
이찌로 세바따
미쓰하루 이시이
신이찌 사또
Original Assignee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2001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sensing of data fields affixed to objects or articles, e.g. coded labels
    • G06K7/108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sensing of data fields affixed to objects or articles, e.g. coded labels randomly oriented data-fields, code-marks therefore, e.g. concentric circles-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554Moving beam scanning
    • G06K7/10564Light sources
    • G06K7/10584Sourc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51Circuits for pulse shaping, amplifying, eliminating noise signals, checking the function of the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07/00Other aspects
    • G06K2207/1012Special detection of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07/00Other aspects
    • G06K2207/1018Sourc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광학 마크리더 장치의 레이저빔 발생제어 장치는 레이저발생소자, 레이저 발생제어부, 바코드등의 마크주 사용 레이저 주사부, 상기 마크를 리드하도록 반사광 광전변환용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는 소정의 동작주기에 의해 레이저발생소자를 ON/OFF하여 레이저를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이 레이저빔의 간헐 발생동안 검출되면, 레이저발생소자가 ON되어 레이저빔을 연속으로 생성하며, 또한 상기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이 레이저빔의 연속 발생동안 소정의 제1시간기간 이상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본 장치는 연속발생으로부터 간헐발생으로 스위치된다.

Description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동작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코드 스캐너의 일반구성도.
제3(A) 및 3(B)도는 다각 반사경을 갖는 바코드 주사장치의 설명도.
제4도는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제1실시예의 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신호 PNF의 파형도.
제6도는 레이저빔 발생제어부의 제2실시예의 예시도.
제7도는 제6도의 각부의 동작파형도.
제8도는 바코드의 검출상태도.
제9도는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제3실시예의 개통도.
제10도는 제9도의 각부의 동작 타이밍챠트도.
제11도는 제9도의 개시성과를 나타내는 파형도.
제12도는 레이저빔 발생제어부의 제4실시예의 개통도.
제13도는 제12도의 동작 타이밍챠트도.
제14도는 제2도내의 레이저빔 발생제어부내의 자동전원 제어회로의 개요도.
제15도는 제2도내의 레이저 ON 억제회로의 개략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작주기 구동제어장치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법의 타이밍챠트.
본 발명은 광마크 스캐너(optical mark scanner)장치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명을 지연시키도록 레이저빔의 발생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광마크 스캐너장치용 레이저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소매입 분야에서 POS 시스템(point of sales system)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코드(bar code)의 이용이 널리 확산되고 있으므로 더욱 소형이며, 값싸고 전력소모가 작은 바코드 스캐너의 필요성이 급속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레이저빔 발생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가 개발되어 He-Ne 레이저 발생기 대신 사용되었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헬륨-네울레이저 발생기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저소비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먼저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즉,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명은 발생시간 또는 발광시간에 따라 짧아지므로 정규적으로 새로운 레이저 다이오드로 교체해야 한다.
그러므로, 긴수명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요망되고 있다.
바코드 스캐너와 같은 광마크리더(reader)장치는 태그(tag) 또는 상품위의 바코드 심볼에 광을 조사한 다음 바코드 심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입력장치이다.
스캐너를 코드를 가로질러 통과시키던가 또는 코드를 갖는 물체를 스캐너를 가로질러 통과시킨다.
고정빔 스캐너는 물체들의 이동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바코드 스캐너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바코드를 읽을때만 레이저 다이오드가 켜지도록 하여 레이저의 발생기간을 단축한다. 즉, 레이저 다이오드의 레이저 발생시간을 줄여서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바코드를 읽을때는 레이저의 발생을 정지하고, 제품이 리딩공간을 통과할때 아이템센서(item senser) 또는 제품센서로서 간주되는 광센서에 의해 검출하거나 또는 리딩동작이 ON될때 레이저 다이오드가 ON된다.
아이템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센서성능에 의해 동작 기능이 영향을 받으며, 제조업자에 따라 센서 설비에 의해 장치의 칫수가 커지고, 값이 비싸지는 문제점들이 있다.
트리거 스위치에 의해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ON/OFF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바코드를 읽을때마다 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그의 동작에 에러가 생길 수 있고 또한 종종 바코드를 필요이상으로 읽어야 하므로 오퍼레이터의 과잉업무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거 스위치 또는 아이템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빔의 발생기간을 단축시켜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광마크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레이저발생소자, 레이저 발생제어부, 바코드등의 마크를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너부, 리드할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광전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는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소정의 동작 주기(duty)로 레이저 발생소자를 ON/OFF시키는 광마크 스캐너장치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동작설명도이다.
참조번호 11은 제품, 12는 제품에 부착 또는 인쇄된 바코드, 13은 레이저장치에 의해 바코드를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너, 14는 레이저빔의 발생제어용 레이저빔 발생제어부, 16은 바코드로부터 반사된 광의 광전변환을 행하는 광검출기, 17은 광검출기의 출력을 2진 코드화하는 바이나리 코드회로부, 18은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의 출력에 준하여 바코드데이타를 복조하고 또한 전체장치를 제어하는 신호처리부를 나타낸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 소정의 동작주기를 갖는 펄스신호(PNF)발생용 ON-OFF 신호발생부(14b), 타이머(14c)를 포함한다.
제1도내의 장치의 동작모드는 다음과 같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소정의 동작주기에 의해 레이저 스캐너(13)내의 레이저발생소자를 ON/OFF하여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발생한다. 만일 동작주기가 50%이면, 발생기간을 연속발생기간에 비해 절반기간으로 함으로써 수명은 2배가 된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또한 레이저빔 발생부를 ON/OFF하여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며 또한 간헐적인 빔 발생동안 바코드(12)로부터 반사된 광의 검출이 광검출기(16),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 및 신호처리부(18)에 의해 판별되면 레이저빔 발생소자는 ON되어 레이저빔을 연속으로 발생시키는 반면 연속빔 발생동안 소정시간 기간 이상동안 바코드(12)로부터 반사된 광이 검출되지 않으면, 레이저빔 발생은 간헐발생으로 스위치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레이저빔 발생기간이 줄어들고 또한 바코드를 정확히 읽을 수 있으므로 이는 제품이 연속으로 도착할때 유리하다.
또한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가 레이저빔의 연속발생동안 소정시간 이상동안 마크 또는 바코드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지 못하면, 레이저빔 발생은 간헐발생으로 스위치되는 반면 레이저빔의 간헐발생동안 소정의 시간 이상동안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지 못하면 레이저빔의 발생은 정지된다.
그에의해, 작업기간 종료시에 전원이 오프될 경우, 업무종료의 경우, 또는 고객이 드물어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레이저빔 발생을 자동으로 정지하여 수명을 연장한다.
레이저발생의 정지동안 모터 또는 마크리딩부의 동작이 중지(전원오프)되어 전력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코드 스캐너의 일반구성도이다.
제2도에서, 제1도에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조번호 15는 바코드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광하는 집광부, 19는 동작부, 20은 전원부, 21은 바이나리 코드회로부에 전압(E =12V)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를 나타낸다.
레이저빔 스캐너
레이저빔 스캐너부(13)는 레이저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3a); 레이저 제어신호(RLT)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를 ON/OFF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 바코드표면에 레이저빔을 회전시켜 주사하는 광주사장치(13c), 광주사장치를 회 전시키는 모터(13d), 모터구동회로(13e)를 포함한다.
제3(A) 및 3(B)도는 바코드 주사부 설명도를 나타낸다.
레이저빔 광주사(13c)는 주사패턴을 형성하는 다각반사경(13c-1)과 반사경(13c-2)을 포함한다.
레이저빔(RB)은 모터(13d)에 의해 회전하는 다각반사경(13c-1)과 반사경(13c-2)에 의해 반사되어 단 하나의 반사경에 의해 제3(B)도에 보인 바와 같은 패턴에 의해 바코드 표면을 주사한다. 패턴은 주사패턴으로서 간주된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제1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제4도는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제1실시예 설명도이고, 제5도는 신호(PNF)의 파형도이다.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와 소정의 동작주기로 ON/OFF되는 펄스신호(PNF)를 생성하는 ON/OFF 신호발생부(14b)를 포함한다. ON/OFF 신호발생부(14b)는 제5(A)도에 보인 바와 같이 ON-시간(t2)과 OFF시간(t1)을 갖는 펄스신호(PNF)를 생성한다. 여기서 ON시간(t2)은 주사패턴의 주기이상 즉, 다각반사경(13c)에 의한 1회전주기 이상이고, 또한 동작주기는 예를들어 50%이고, 또한 펄스신호(PNH)의 주기는 제품이 리드공간을 통과하는 주기보다 상당히 짧고 또한 각 주기마다 동일하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부(19)상의 리드작동 스위치(도면에 도시안됨)가 동작하면, 신호처리부(18)는 모터구동신호(MST)를 발생시켜 모터(13d)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원회로(21)를 제어하여 전압(E)을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내의 증폭기(17a)와 바이나리 코드회로(17b)에 입력하고 또한 리드개시 명령(RST)을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에 입력한다.
리드개시 명령신호(RST)가 입력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ON/OFF 신호발생부(14b)로부터 생성된 ON/OFF신호(PNF)를 레이저제어신호(RLT)로서 그대로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제2도참조)에 입력한다.
그에의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는 레이저빔에 의해 들어오는 제품의 바코드(12)를 주사하도록 레이저 다이오드(13a)를 ON/OFF한다.
바코드(12)로부터 반사된 광은 집광부(15)에 집광된 다음 광검출기(16)에 의해 광전변환후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에 의해 2진 코드화된 다음 신호처리부(18)에 입력된다.
신호처리부(18)는 바이나리 코드 출력에 준하여 바코드를 복조하여 바코드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후, 제품이 도착할때마다 상술한 리드동작을 행한다.
동작부(19)상의 스위치에 의해 리드 종료가 명령되면 신호처리부(19)로부터 리드종료신호(RSP)와 모터정지신호(MSP)가 출력되고,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 제어신호(RLT)를 저레벨에 세트하여 레이저빔의 발생을 정지시키는 한편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는 ON/OFF신호(PNF)의 동작주기가 일정한 경우인 반면, 반사광이 소정시간 이상동안 바코드로부터 검출되지 않을 경우, 간헐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ON/OFF 동작주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식으로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예를들어 제5(B)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제1동작주기가 100%(연속발생)로 되고, 그후 90%-80%-70%-60%-50%-40%-30%-20%-10%순으로 감소된 다음, 반사광이 바코드로부터 검출되면, 100%로 복귀된다.
그다음, 레이저빔 발생제어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빔 발생제어부의 제2실시예의 개통도이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 제어신호(RLT)를 출력하는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 소정 동작주기에 의해 ON/OFF동작을 행하는 펄스신호(RNF)를 생성하는 ON/OFF 신호발생부(14b), 제1의 소정시간(T1)(연속 발생주기)을 계수하는 타이머(14c)를 포함한다.
ON/OFF 신호발생부(14b)는 ON시간(t2)과 OFF시간(t1)을 갖는 펄스신호(PNF)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ON시간(t2)이 주사패턴의 1주기 이상 즉 다각반사경(13c)의 1회전주기 이상이 좋다. ON시간(t2)은 OFF시간(t1)보다 훨씬 짧게 설정된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1)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가 레이저 다이오드(13a)를 ON/OFF시켜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생성하고, (2) 바코드(12)로부터 반사된 광이 간헐 생성동안 검출되면 레이저 다이오드는 ON되어 레이저빔을 연속으로 생성하고, (3) 바코드로부터 반사된 광이 연속발생동안 소정시간 이상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장치(14)는 레이저빔의 발생을 제어하도록 간헐발생 상태로 스위치된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부(제2도)내의 도면에 도시안된 리드작동 스위치가 동작하면, 신호처리부(18)는 모터구동신호(MST)를 발생하여 모터(13d)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원회로(21)를 제어하여 전압(E)을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내의 증폭기(17a)와 바이나리 코드회로(17b)에 입력하고 또한 리드개시 명령신호(RST)는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로 입력된다.
리드개시 명령신호(RST)가 입력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ON/OFF 신호발생부(l4b)로부터 생성된 ON/OFF신호(PNF)를 그대로 레이저 제어신호(RLT)로서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에 입력한다.
그에의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는 레이저 다이오드(13a)를 ON/OFF하여 레이저빔에 의해 들어오는 제품들의 바코드(12)를 주사한다.
바코드(12)로부터 반사된 광은 집광부(15)내에 집광된후 광검출기(16)에 의해 광전변환된 다음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에 의해 2진 코드화된후 신호처리부(18)에 입력된다.
신호처리부(18)는 바코드가 바이나리 코드출력에 준하여 검출된다.
바코드 검출여부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제8도는 바코드의 검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8도에서, UPC형 바코드는 바코드의 양측에 여백(M1,M2)을 갖고 있으며 또한 4바들(흑-백-흑-백)(LB,RB)은 여백 부근에 제공되어 있으며, 중심바(CB)는 중앙에 제공되어 있고, 또한, 바코드들의 4∼6문자들은 제1절반부와 제2절반부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바코드(12)의 바들(LB,RB)이 레이저에 의해 주사되면 바이나리 코드신호가 생성된다(제8(B)).
바코드에 관하여 바이나리 코드신호의 펄스폭에 대하여 다음 관계가 있다.
T03·T1
1.125·T1T20.875·T1
신호처리부(18)는 상기 식을 만족하는 바이나리 코드신호가 입력됐는지 여부를 탐지하여, 입력됐으면, 바코드 리딩신호(BRI)를 출력하고, 바코드 리딩신호(BRI)가 입력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간헐발생의 상태로부터 그후 연속 발생상태로 스위치된다.
그후, 바코드를 리드하여 바코드의 간결한 리딩이 종료되거나 또는 준비시간이 경과되면 바코드 리딩신호(BRI)는 제거된다.
그에의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타임카운팅 개시명령(TSTI)을 타이머(14c)로 입력하여 타이머 카운팅이 시작된다.
이후, 시간(T1)이 바코드 리딩신호(BRI)를 입력함이 없이 카운트되면, 타이머(14c)는 타임업신호(TUP1)를 출력한다. 타임업신호(TUP1)가 생성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ON/OFF 신호발생부(14b)로부터 출력된 ON/OFF신호(PNF)를 레이저 제어신호(RLT)로서 출력하여 연속 발생상태를 간헐발생 상태로 스위치한다. 그후, 동일한 레이저빔 발생제어를 행한다.
바코드 리딩신호(BRI)가 연속발생 상태의 과정중에 새로이 입력되면 타이머(14c)의 카운팅이 리세트된다.
동작부(19)내의 스위치에 의해 리드종료가 명령되면, 신호처리부(19)로부터 리드종료신호(RSP)와 모터정지신호(MSP)가 출력되고,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 제어신호(RLT)를 저레벨에 세트하여 레이저의 발생을 정지시키는 한편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제3실시예의 개통도이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빔 제어신호(RLT)를 출력하는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 소정 동작주기로 ON/OFF하는 펄스신호(PNF)를 출력하는 ON/OFF 신호발생부(14b); 제1소정시간(T1)(연속발생 시간주기)을 카운팅하는 타이머(14c), 제2시간 T2(레이저 발생정지시간 주기)를 카운팅하는 타이머(14d)를 포함한다. ON/OFF 신호발생부(14b)로부터 출력된 ON/OFF신호(PNF)의 ON시간(t2)은 주사패턴주기 이상의 주기 즉, 다각반사경(13c)에 의한 1회전 이상의 주기가 좋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1)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가 레이저 다이오드(13a)을 ON/OFF하여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생성하고, (2) 간헐발생동안 바코드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면 제어부(14)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ON하여 레이저 발생을 연속으로 행하고, (3) 제어부(14)가 연속발생동안 제1시간(T1)이상동안 바코드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지 못하면 제어부(14)는 간헐발생 상태로 스위치되고, (4) 제어부(14)가 간헐발생동안 제2시간(T2)이상동안 바코드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지 못하면 레이저빔 발생을 정지한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부(19)내의 리드작동 스위치(도시안됨)가 동작하면, 신호처리부(18)는 모터구동신호(MST)를 발생하여 모터(13d)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원회로(21)를 제어하여 전압(E)을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내의 증폭기(17a)와 바이나리 코드회로(17b)에 입력한 다음 리드개시 명령신호(RST)를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에 입력한다.
리드개시 명령(RST)이 입력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ON/OFF 신호발생부(14b)로부터 발생된 ON/OFF신호(PNF)를 그대로 레이저 제어신호(RLT)(제10도 참조)로서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에 입력한다.
그에의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는 레이저 다이오드(13a)를 ON/OFF하여 레이저빔에 의해 들어오는 제품들의 바코드(12)를 주사한다.
바코드(12)로부터의 반사광은 집광부(15)에 집광후 광검출기(16)에 의해 광전변환된 다음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에 의해 2진코드화되어 신호처리부(18)로 입력된다.
신호처리부(18)는 바코드가 바이나리 코드출력에 준하여 검출됐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됐으면 바코드리딩신호(BRI)가 출력된다.
바코드 리딩신호(BRI)가 입력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간헐 발생상태로부터 연속발생 상태로 스위치된다.
그후, 바코드의 리딩이 수행되어 바코드의 정밀 리드동작이 종료되거나 또는 준비시간이 경과되면, 바코드리딩신호(BRI)가 제거된다. 그에의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타임카운팅 개시명령(TSTI)을 타이머(14c)에 입력하여 타이머를 카운트 시작한다.
그후, 시간(T1)이 바코드 리딩신호(BRI)를 입력하지 않고, 카운트되면 타이머(14c)는 타임업신호(TUP1)를 출력한다.
타임업신호(TUP1)가 발생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ON/OFF 신호발생부(14b)로부터 출력된 ON/OFF신호(PNF)를 레이저 제어신호(RLT)로서 출력하여 연속발생 상태로부터 간헐 발생상태로 스위치한다.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카운트 개시명령(TUT2)을 타이머(14d)에 입력하여 카운팅을 개시한다.
이후, 타이머(14d)가 바코드 리딩신호(BRI)를 입력함이 없이 시간(T2)을 카운트하면, 타임업신호(TIP2)가 출력된다.
타임업신호(TUP2)가 생성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레이저 제어신호(RLT)를 저레벨에 세트하여 레이저빔의 발생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전원 OFF명령(POF)는 신호처리부(18)로 출력되어 모터등이 회전정지하고 또한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등의 전원공급이 정지된다.
레이저빔의 연속 발생동안 새로운 바코드 리딩신호(BRI)가 입력되면, 타이머(14c)는 리세트된다. 새로운 바코드 리딩신호(BRI)가 간헐 발생동안 입력되면, 타이머(14d)는 리세트된다.
전원이 OFF된후, 동작부(19)내의 리드작동스위치(도시안됨)가 동작하여 장치를 재가동하며 또한 장치의 개시신호(ST)가 생성되면, 신호처러부(18)는 우선 제11도에 보인 바와 같이 모터구동신호(MST)를 생성하여 모터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원회로(21)을 제어하여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내의 증폭기(17a)와 바이나리 코드회로(17b)에 전압(E)을 입력시킨다. 그다음, 신호처리부(18)는 모터(13d)의 회전을 확인하여 리드개시명령(RST)을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로 입력한다.
그에의해, 레이저 제어신호(RLT)가 출력된후 상술한 동작을 행한다.
더우기, 모터의 회전이 레이저빔의 발생보다 일찍 수행되는 이유는 안전기준을 고려한 때문이다. 그것은 레이저빔의 집광이 비상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도는 본 발명에서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제4실시예의 개통도이고, 제13도는 제12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차트도이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빔 제어신호(RLT)를 출력하는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 제1소정시간(T1)(연속 발생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14c), 제2시간(T2)(레이저발생을 위한 정지기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14d)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4상태 즉, 연속발생, 간헐발생, 발생중단 및 모터등의 동작중단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제4실시예에서는 간헐발생이 삭제되었다. 즉 (1) 반사광이 제1시간 이상의 기간동안 바코드로부터 검출되지 않으면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연속발생 동안 레이저빔의 발생을 정지하고(2) 반사광이 레이저의 중지후 제2시간기간(T2) 이상의 기간동안 바코드로부터 검출되지 않으면 레이저 주사부 구동을 위한 모터의 동작과 마크리딩부는 정지한다.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부(19)내의 리드작동 스위치(도시안됨)가 동작되면, 신호처리부(18)는 모터구동신호(MST)를 발생하여 모터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원회로(21)를 제어하여 전압(E)을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내의 증폭기(17a)와 바이나리 코드회로(17b)에 입력한다.
모터의 회전이 확인된후, 리드개시명령(RST)이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에 입력된다.
리드개시명령(RST)이 입력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고레벨 레이저빔 제어신호(RLT)를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에 입력한다. 그에의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는 레이저 다이오드(13a)를 ON/OFF하여 레이저빔에 의해 들어오는 제품들의 바코드(12)를 주사한다.
바코드(12)로부터 반사된 광은 집광부(15)에 집광된후, 광검출기(16)에 의해 광전변환된 다음,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에 의해 2진 코드화된후 신호처리부(18)로 입력된다.
신호처리부(18)는 바코드가 바이나리 코드출력에 준하여 검출됐는지 여부를 탐지하여 검출됐으면 바코드 리딩신호(BRI)가 출력된다.
바코드의 리딩이 수행되어 바코드의 정밀리드 동작이 종료되거나 또는 준비시간이 경과되면, 바코드 리딩신호(BRI)가 제거된다. 그에 의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카운팅 개시명령(TSTI)을 타이머(14c)로 입력하여 카운팅을 시작한다
이후, 바코드 리딩신호(BRI)가 입력되지 않고, 타이머(14c)가 시간(T1)을 카운트하면, 타임업신호(TUP1)가 출력된다.
타임업신호(TUP1)가 발생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레이저 제어신호(RLT)를 저레벨에 세트하여 레이저빔의 발생을 정지한다. 또한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카운팅 개시명령(TST2)을 입력하여 카운팅을 개시한다.
그후, 바코드 리드동작신호가 스위치, 센서등(도시안됨)으로부터 발생하지 않지만 타이머(14d)가 시간(T2)을 카운트하면 타임업신호(TUP2)가 출력된다.
타임업신호(TUP2)가 발생되면,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는 전원 OFF명령(POF)을 신호처리부(18)로 출력하여 모터등의 회전이 정지되고 또한 바이나리 코드회로부(17)등으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레이저빔의 연속 발생동안 새로운 바코드 리딩신호(BRI)가 입력되면, 타이머(14c)의 카운팅 동작이 리세트되고, 바코드 리드작동신호가 발생중단 동안 스위치, 센서등(도시안됨)으로부터 발생되면, 타이머(14d)는 리세트됨과 동시에 고레벨 레이저빔 제어신호(RLT)가 출력되어 레이저는 연속발생을 시작한다.
제14도는 자동전력 제어회로의 개요도이다. 레이저의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전류(IF)는 광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된 레이저의 광량을 나타내는 전류(Im)에 의해 제어된다. 전류(Im)는 저항(R0)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후 그 전압을 가변저항(VR0)에 의해 소정 광량에 응답하여 전압(VA)으로 분할한다.
전압(VA)을 연산증폭기(A2)에 의해 기준전압(VREF)과 비교후 통합하여 트랜지스터(TR2)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전류(IF)로 변환한다. 레이저의 광량은 가변저항(VR0)에 의해 세트된다. 레이저의 광량이 소정치와 동일하면 전압(VA)과 기준전압(VREF)은 동일전위에 유지된다.
아나로그 스위치(ANSW)가 동작제어신호(LDON)에 의해 ON되면 캐패시터(C1)의 전하는 방전되어 연산증폭기(A2)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VREF)과 동일해진다.
출력전압이 저항(R8,R9)에 의해 분할되면, 저항들(R8,R9)의 저항치는 트랜지스터(TR2)가 OFF되도록 세트되기 때문에 레이저는 OFF된다.
제15도는 레이저 ON 억제회로의 개략도이다. 이 회로는 모터가 정지하거나 레이저 구동회로에서 결함이 검출되면 레이저의 ON을 억제하는 식으로 작용된다.
트랜지스터(TR4)가 신호(LDINH)(1)에 의해 OFF되면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전류는 차단되는 반면 트랜지스터(TR5)가 신호(LDINH2)에 의해 ON되면 전류가 레이저 다이오드에 흐르지 않게 되어 레이저를 OFF한다.
제16도는 동작주기 구동제어장치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일반적으로, 광바코드 스캐너용 He-Ne 레이저는 자동 OFF시간 또는 대기 모드시간 이외에 연속으로 ON된다.
그러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정밀 ON/OFF제어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대응조치로서 체택된다.
일반적으로 제16도에 보인 소정의 빔발광상태에 따라 ON/OFF가 반복되어 바코드가 일단 검출되면 장치는 연속 ON상태로 전환되는 한편 바코드가 한정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레이저빔 발광률은 점차 감소된다.
제16도에서,
(1) dm1 상태, dm1은 전체 ON상태,
(2) dm2 상태, LD가 5msec동안 ON, 5msec동안 OFF, 또한 리드가 개시되면 dm1상태로 전환한다.
(3) dm3 상태, LD가 5msec동안 ON, 50msec동안 OFF, 또한 리드가 개시되면 dm1 상태로 전환한다.
(4) 자동 OFF1, LD가 OFF, 모터는 회전, 또한 개시스위치가 눌려지면 dm2상태로 전환한다.
(5) 자동 OFF2, LD가 OFF, 모터는 정지, 또한 개시스위치가 눌려지면 모터는 회전개시 : 개시체크후 dm2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들어,
dmT1 5초 리드개시의 시점동안 LD 동작개시
dmT2 115초
dmT3 13분 dmT1+dmT2+dmT3=15분
dmT4 15분 dmT1+dmT2+dmT3+dmT4=30분
레이저 발생소자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지금까지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국한되지 않고 레이저빔을 발생시킬 수 있는 어떠한 소자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바코드 리딩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했으나 상술한 경우로 제한되지 않고 레이저장치를 사용하는 바코드등의 마크 리더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제2도에 인용된 마크리딩부는 레이저빔 발생제어부, 증폭회로, 바이나리 코드회로, 신호처리부등을 포함한다.

Claims (15)

  1. 레이저빔 발생소자(13a),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 마크(12)의 주사용 레이저빔 주사부(13) 및 상기 주사된 마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을 광전변환하여 바코드신호를 생성하도록 반사광의 광전변환용 신호처리부(18)를 포함하는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소정동작 주기를 갖는 ON/OFF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ON/OFF 신호발생부(14b)와, 상기 ON/OFF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동작주기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 발생소자(13a)를 ON/OFF하여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는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는 상기 레이저빔 발생소자의 동작주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18)는 레이저빔에 의해 주사된 마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며, 또한 상기 레이저빔의 간헐적인 발생기간 이상의 소정기간동안 상기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이 검출되지 않을때, 제1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광검출부(16)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상기 ON/OFF발생을 제어하여 상기 ON/OFF신호의 동작주기를 점차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검출신호에 응답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레이저빔 발생기를 ON/OFF시키는 동안 레이저빔 발생기를 연속적으로 온시켜 레이저빔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상기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빔의 간헐적인 발생동안 상기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빔의 검출을 나타내는 제2검출신호에 응답하며, 또한 상기 레이저빔의 연속발생에서 간헐발생으로 스위치하도록 상기 레이저빔의 연속발생기간 이상의 소정기간동안 상기 마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이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3검출신호에 응답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주사패턴을 주사하는 기간이 다각반사경(13c')이 1회전하는 기간인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또한 상기 레이저빔의 발생을 중단시키도록 상기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를 제어하기 위해 레이저빔의 간헐발생기간 이상의 소정기간동안 상기 마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이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4검출신호에 응답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주사부(13)는 광학시스템과 상기 광학시스템을 구동시켜 주사패턴을 통해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상기 구동모터(13d)의 동작을 종료하기 위해 레이저빔의 발생을 종료할시에도 동작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상기 레이저빔이 간헐적으로 발생할때 ON/OFF 신호발생부(14b)의 ON/OFF 출력신호의 온 기간을 전체 주사패턴을 통해 레이저빔을 주사하는데 필요한 기간이상으로 제어하기 위해 주사패턴에 따라 레이저빔에 의한 마크(12)의 주사에 응답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상기 구동모터(13d)가 정지된 후 재개되어 동작이 확인될 때까지 구동회로의 동작을 지연시켜 레이저빔 발생기의 도통을 지연시키기 위해 광학 마크리더장치의 재기동에 응답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18)는 레이저빔에 의해 구사된 마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며, 상기 레이저빔의 간헐적인 발생기간 이상의 소정기간동안 상기 마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이 검출되지 않을때 제1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광검출부(16)와, 상기 레이저빔 주사부(13)는 광학시스템과 주사패턴을 통해 레이저빔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광학시스템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d)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빔의 발생과 구동모터(13d)의 동작을 중단하기 위해 제1검출신호에 응답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주사되는 상기 마크(12)는 바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 주사빔의 반복된 ON/OFF동작을 나타내는 검출신호와 바코드의 검출신호를 나타내는 다른 검출신호에 응답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를 연속 온상태로 스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13b)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검출신호가 소정시간동안 바코드가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낼때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에 의한 레이저빔의 발생의 ON/OFF 동작주기의 온부분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ON/OFF 신호발생부(14b)와 그에 상응하는 구동부(13a)를 제어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11.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빔 주사부(13)와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로 구성되며, 상기 레이저빔 주사부(13)는 레이저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된 레이저빔 발생기(13a)와, 상기 레이저빔 발생기를 선택적으로 ON/OFF하는 레이저빔 구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와 광학소자 및 상기 광학소자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레이저빔 발생기로부터 수신된 레이저빔을 리드할 마크의 평면으로 주사하기 위해 반사시키는 모터구동회로(13e)로 된 주사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빔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와,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한 동작주기를 갖는 ON/OFF 펄스신호출력을 발생하는 ON/OFF 신호발생부(14b)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상기 마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이 레이저빔의 간헐발생동안 검출될때 간헐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레이저빔 발생기를 ON/OFF하고, 상기 레이저빔 발생기(13a)는 레이저빔을 연속 발생하도록 온되어, 상기 마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이 상기 레이저빔의 연속발생기간 이상의 기간동안 검출되지 않을때 상기 주사광학계가 연속발생에서 간헐발생으로 스위치되고,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상기 ON/OFF 신호발생부(14b)를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빔의 간헐발생을 제어하는 동작주기의 온부분기간이 상기 레이저 주사부에 의한 주사패턴의 1회 주사기간 이상인 ON/OFF신호를 생성출력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12.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빔 주사부(13)와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로 구성되며, 상기 레이저빔 주사부(13)는 레이저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된 레이저빔 발생기(13a)와, 상기 레이저빔 발생기(13a)를 선택적으로 ON/OFF하는 레이저빔 구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b)와, 광학소자 및 상기 광학소자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레이저빔 발생기로부터 수신된 레이저빔을 리드할 마크(12)의 평면으로 주사하기 위해 반사시키는 모터구동회로(13e)로 된 주사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빔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빔 제어신호 발생부(14a)와,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한 동작주기를 갖는 ON/OFF 펄스신호출력을 발생하는 ON/OFF 신호발생부(14b)를 포함하며, 상기 마크는 소정의 주사패턴에 따라 레이저빔에 의해 주사되며, 상기 레이저빔의 간헐발생동안의 발생시간이 상기 주사패턴의 1주기 이상인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레이저빔 발생기(13a)를 ON/OFF하며, 상기 마크(12)로부터 반사된 광이 레이저빔의 간헐발생동안 검출될때, 상기 레이저빔 발생기(13a)는 레이저빔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온되며, 상기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이 레이저빔의 연속발생하는 소정기간 이상동안 검출되지 않을때, 상기 주사광학계가 연속발생에서 간헐발생으로 스위치되고, 또한 상기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이 레이저빔의 간헐발생하는 소정기간 이상동안 검출되지 않을때 레이저빔의 발생이 정지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14. 레이저빔 발생소자(13a),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 구동모터(13d)를 갖는 마크주사용 레이저빔 주사부(13) 및 상기 주사된 마크(12)에 상응하는 바코드신호를 생성하도록 반사광의 광전변환용 신호처리부(18)를 포함하는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소정동작주기를 갖는 ON/OFF신호를 발생하는 ON/OFF 신호발생부(14b)와, 상기 ON/OFF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동작주기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 발생기(13a)를 ON/OFF하여 레이저빔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는 구동부(13b)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빔 발생제어부(14)는 상기 레이저빔의 간헐적인 발생을 제어하는 동작주기의 ON 부분의 기간이 레이저 주사부에 의한 전체주사패턴의 1회 주사를 완료하는 기간보다 더큰 ON/OFF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ON/OFF 신호발생부(l4b)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동작주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레이저소자의 작동을 종료하도록 구동모터(13d)를 제어하는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2종류의 오프제어모드가 가능한 것이 특징인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제어장치.
KR1019910020682A 1990-11-20 1991-11-20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 KR0126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14606A JP2733135B2 (ja) 1990-11-20 1990-11-20 光学読取装置のレーザー発生制御方式
JP90-314606 1990-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007A KR920011007A (ko) 1992-06-27
KR0126242B1 true KR0126242B1 (ko) 1998-04-03

Family

ID=1805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682A KR0126242B1 (ko) 1990-11-20 1991-11-20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724458A (ko)
EP (1) EP0487318B1 (ko)
JP (1) JP2733135B2 (ko)
KR (1) KR0126242B1 (ko)
DE (1) DE6912457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2293A (en) * 1991-11-04 2000-08-15 Symbol Technologies, Inc. Optical scanning system minimizing average laser power and improving aiming
JP2546080B2 (ja) * 1991-05-10 1996-10-2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ー制御装置
JP3072465B2 (ja) * 1995-10-25 2000-07-31 富士通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H09128474A (ja) * 1995-10-31 1997-05-16 Tec Corp バーコードスキャナ装置
JP3537946B2 (ja) * 1996-02-26 2004-06-14 富士通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H1153465A (ja) * 1997-08-08 1999-02-26 Fujitsu Ltd バーコード読取装置
EP0942474B1 (de) * 1998-03-11 2006-04-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uchtdiode
DE19820575B4 (de) * 1998-05-08 2012-03-29 Leica Microsystems Cms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pulsierenden Laserlichtquelle
US6057871A (en) * 1998-07-10 2000-05-02 Litton Systems, Inc. Laser marking system and associated microlaser apparatus
US6419155B1 (en) * 1998-10-29 2002-07-16 Casio Computer Co., Ltd. Laser beam scan type barcode reader and program recording mediums
JP4368961B2 (ja) * 1998-12-15 2009-11-18 株式会社東芝 ビーム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GB2346687B (en) * 1999-02-12 2000-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Sensing system with continuous and pulsed modes
JP2000235746A (ja) 1999-02-12 2000-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検知装置
US6382509B1 (en) * 2001-04-03 2002-05-07 Yu-Chun Chang Signal reading control method for barcode scanner
US20030063772A1 (en) * 2001-09-06 2003-04-03 Smith Joshua R.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and tracking of a workpiece that includes an optically active medium
WO2003058368A1 (en) 2002-01-08 2003-07-17 Photon-X, Inc. Temperature controller module
US8027844B2 (en) * 2003-05-12 2011-09-27 Pitney Bow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ail
US7273178B2 (en) * 2006-01-20 2007-09-25 Optoelectronics Co., Ltd. Compact scan engine disposed within a scanner housing
JP5260120B2 (ja) * 2008-04-03 2013-08-14 株式会社ウェルキャット 携帯型バーコードリーダ
US20100302420A1 (en) * 2009-05-28 2010-12-02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visual discomfort of the illumination generated by imaging scanners
US9202095B2 (en) 2012-07-13 2015-12-01 Symbol Technologies, Llc Pistol grip adapter for mobile device
US9791896B2 (en) 2012-07-13 2017-10-17 Symbol Technologies, Ll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ality
US9697393B2 (en) 2015-11-20 2017-07-04 Symbo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mobile-device operating parameters based on housing-support typ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5639A (en) * 1974-03-25 1975-12-09 Msi Dat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bar coded data wherein a light source is periodically energized
US4032888A (en) * 1975-12-15 1977-06-28 The Singer Company Nonlinear scan drive reader with variable clock correction
US4160156A (en) * 1978-05-04 1979-07-03 Msi Dat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bar coded data wherein the light source is periodically energized
JPS5692681A (en) * 1979-12-25 1981-07-27 Sharp Corp Optical reader
US4392056A (en) * 1981-04-27 1983-07-05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Control marking detector
US4639606A (en) * 1984-10-26 1987-01-27 Optel System Limited Bar code scanner laser radiation exposure limit control system
JP2639509B2 (ja) * 1987-07-20 1997-08-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学式バーコード読取装置
US4933538A (en) * 1988-10-21 1990-06-12 Symbol Technologies, Inc. Scanning system with adjustable light output and/or scanning angle
JPH0745791Y2 (ja) * 1989-03-07 1995-10-1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ペン型バーコードリー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70184A (en) 1999-10-19
EP0487318A2 (en) 1992-05-27
JP2733135B2 (ja) 1998-03-30
DE69124576T2 (de) 1997-05-22
EP0487318B1 (en) 1997-02-05
EP0487318A3 (en) 1993-04-21
KR920011007A (ko) 1992-06-27
DE69124576D1 (de) 1997-03-20
JPH04184582A (ja) 1992-07-01
US5724458A (en) 1998-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242B1 (ko)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
EP1929596B1 (en) Laser power control arrangements in electro-optic readers
JPH04286382A (ja) レーザーの寿命延長装置および方法
EP23682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laser power in barcode readers
US5280162A (en) Object sensing system for bar code laser scanners
US4933538A (en) Scanning system with adjustable light output and/or scanning angle
US5229591A (en) Scanning system with adjustable light output and/or scanning angle
JPH03166674A (ja) レーザ・スキャナ安全装置及び方法
US6222178B1 (en) Bar code reading apparatus having a detection sensitivity setting device
US5602861A (en) Laser lighting control device
US7128268B1 (en) Bar code scanner having a mirrored spinner which operates at different speeds
US20120048942A1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regulating laser output power in electro-optical readers
JP2738977B2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の電圧供給制御方式
KR0183750B1 (ko)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JPH11282953A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の読取有効期間設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2732897B2 (ja) 符号読取装置
JPH03217991A (ja) 光学式読取装置
JP3044887B2 (ja) レーザ発光装置とレーザ光走査装置
JPH06131490A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3030172B2 (ja) バーコードスキャナ
JPH06309486A (ja) バーコード読取り装置
JP2001195537A (ja) コードシンボル読取装置
JPH04123280A (ja) バーコードリーダ
JPH06236451A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H05225371A (ja) レーザスキャ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