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750B1 -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750B1
KR0183750B1 KR1019950039049A KR19950039049A KR0183750B1 KR 0183750 B1 KR0183750 B1 KR 0183750B1 KR 1019950039049 A KR1019950039049 A KR 1019950039049A KR 19950039049 A KR19950039049 A KR 19950039049A KR 0183750 B1 KR0183750 B1 KR 0183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laser
microprocessor
excitation energy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원
김홍식
이바노비치 아브라모비치 알렉산더
스테파노비치 파두노비치 알렉산더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9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2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the active medium, e.g. by controlling the 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07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14Monitor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레이저 발진신호를 상기 레이저 빔 발생수단 구동부에 인가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후 즉시 상기 제어수단을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c)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검출펄스에 의해 상기 제어수단이 동작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및 d)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계 c)까지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레이저 발생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을 실행단계대로 도시한 흐름도.
제3a, 3b, 3c, 3d 및 3e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의 실행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30 : 트리거펄스 인가단계 S32 : 대기상태 전환단계
S34 : 동작상태 전환단계 S36 : 광검출기 리세트단계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레이저 빔을 출력시키기 위하여 고전기장 펄스를 레이저헤드부에 인가할 때 유발되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일반적인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의 레이저 빔 발생장치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헤드부(1)가 여기에너지원 구동부(14)에 접속되고 여기에너지원 구동부(14)는 마이크로프로세서(18)에 접속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18)에는 전원스위치(20)와 광검출기(22)와 디스플레이부(17)와 메모리91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검출기(22)는 상기 레이저 헤드부(1)에서 접속되어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검출한다.
상기 레이저 헤드부(1)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활성매질(10)과 상기 활성매질(10)에 여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여기에너지원(12)과 상기 여기에너지원(12)에서 공급하는 여기에너지가 상기 활성매질(10)에 효율적으로 공급되도록 반사기능을 구비한 캐비티(Cavity : 26)와 광검출기(22)에 발생되는 레이저 빔의 일부를 공급하고 레이저 빔이 공진되도록 하는 HR 미러(High Reflection Mirror)와 레이저 빔을 외부로 출력하고 레이저 빔이 공진되도록 하는 출력미러(2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동작과정을 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원스위치(20)를 작동시키면 마이크로프로세서(18)에서는 여기에너지원 구동부(14)에 트리거펄스를 인가하여 여기에너지원 구동부(14)에서는 고전기장의 펄스가 여기에너지원(12)에 인가되고 이에따라 여기에너지원(12)이 작동된다. 여기에너지원(12)이 작동되면 여기에너지원(12)에서 출력되는 고출력의 여기에너지가 직접 혹은 캐비티(26)내벽에서 반사되어 활성매질(10)에 인가된다.
활성매질(10)은 상기 여기에너지에 의해 활성화되어 레이저 빔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레이저 빔은 HR미러(24)와 출력미러(28)에서 반사되면서 특정파장의 레이저 빔이 공진되어 출력미러(28)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광검출기(22)는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일부를 검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8)에 인가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검출된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디스플레이부(17)에 표시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동작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메모리(15)에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상기 데이터는 레이저 출력, 주파수, 여기에너지원에 공급되는 전력및 시스템에 관계되는 센서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동작과정은 여기에너지원 구동부(14)에서 발생되는 고전기장펄스로 인해 마이크로프로세서(18)가 메모리(15)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혹은 메모리(15)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에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에러가 발생된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저장함으로써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오동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빔을 출력시키기 위하여 고전기장 펄스를 레이저헤드부에 인가할 때 유발되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빔 발생수단; 상기 레이저 빔 발생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레이저 빔 발생수단 구동부; 소정의 제어프로그램및 데이터를 저정하는 저장수단; 상기 레이저 빔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및 데이터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 발생수단 구동부와 상기 광검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레이저 발진신호를 상기 레이저 빔 발생수단 구동부에 인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후 즉시 상기 제어수단을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c)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검출펄스에 의해 상기 제어수단이 동작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및 d)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계 c)까지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은 상기 단계 c) 수행후에 상기 광검출수단을 리세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을 실행단계대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도및 제2도를 참조하면, 단계 S30 트리거펄스 인가단계에서 레이저 트리거펄스를 여기에너지원 구동부(14)에 인가하고 단계 S32 대기상태 전환단계에서는 상기 단계 S30 트리거펄스 인가단계후 즉시 마이크로프로세서(18)를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8)가 대기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메모리(15)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메모리(15)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되므로, 고전기장의 구동펄스에 기인한 데이터의 에러는 발생되지 않는다. 단계 S34 동작상태 전환단계에서는 광검출기(22)에서 출력되는 검출펄스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8)가 동작상태로 전환된다. 단계 S36 광검출기 리세트단계에서는 단계 S34 동작상태 전환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8)가 동작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광검출기(22)를 리세트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18)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되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단계 S30에서 단계 S36까지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제3a, b, c, d 및 e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의 실행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한 실행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여기에너지원 구동부(14)에 (a)에 도시된 트리거펄스를 인가하고 그 즉시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대기상태로 전환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메모리(15)에 재동작시 필요한 복귀변수들을 저장하고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대기상태에서는 데이터의 독출이나 저장이 행해지지 않는다.
여기에너지원 구동부(14)에 트리거펄스가 인가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기에너지원구동펄스가 여기에너지원(12)에 인가되어 여기에너지원(12)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활성매질(10)에는 여기에너지가 전달되어 (c)에 도시된 레이저 펄스가 출력된다. 광검출기(22)는 출력되는 레이저 펄스의 에너지를 검출하는 데, 광검출기(22)에서는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레이저 펄스의 에너지가 누적되면서 t1 시점에서 (e)에 도시된 펄스가 출력된다. 광검출기(22)에서 출력된 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18)에 인가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대기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8)가 동작상태로 전환되면 즉시 광검출기(22)에 펄스를 인가하여 광검출기(22)를 리세트시키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레이저 빔을 다시 출력시키기 위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t2 시점에서 (a)에 도시된 트리거펄스를 여기에너지원 구동부(14)에 인가하게 되어 상각 과정이 반복된다.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트리거펄스가 발생되는 시점부터 광검출기(22)에서 출력펄스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기간(W) 동안 대기상태가 되어 고전기장의 여기에너지원구동펄스에 의한 데이터의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8)는 광검출기(22)에서 출력펄스가 출력되는 시점부터 다음 트리거펄스가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기간(0)동안만 동작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은 고전기장 펄스를 레이저헤드부에 인가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대기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데이터에 발생되는 에러를 사전에 방지하여 레이저 발생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빔 발생수단; 상기 레이저 빔 발생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레이저 빔 발생수단 구동부; 소정의 제어프로그램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레이저 빔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및 데이터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 발생수단 구동부와 상기 광검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레이저 발진신호를 상기 레이저 빔 발생수단 구동부에 인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후 즉시 상기 제어수단을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c)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검출펄스에 의해 상기 제어수단이 동작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계 c)까지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수행후에 상기 광검출수단을 리세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19950039049A 1995-10-31 1995-10-31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018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049A KR0183750B1 (ko) 1995-10-31 1995-10-31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049A KR0183750B1 (ko) 1995-10-31 1995-10-31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3750B1 true KR0183750B1 (ko) 1999-04-15

Family

ID=1943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9049A KR0183750B1 (ko) 1995-10-31 1995-10-31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75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242B1 (ko) 광바코드 스캐너용 레이저빔 발생 제어장치
JP5354969B2 (ja) ファイバレーザ加工方法及びファイバレーザ加工装置
JPH02144786A (ja) 光出力と走査角を調節できる走査装置及び方法
US5127015A (en) Driving circuit of a semiconductor laser
US560297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0805357B1 (en) Laser irradiation light detecting device
KR0183750B1 (ko)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WO2007094028A1 (ja) レーザ発振器およびレーザ発振器制御方法
JPH09510036A (ja) 選択起動処理システムによる電力消費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464049B2 (ja) 受動qスイッチレーザ装置、制御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4381488B2 (ja) フラッシュ制御回路
JP2734945B2 (ja) レーザー発振器
JP2639509B2 (ja) 光学式バーコード読取装置
US6981645B2 (en) Drive circuit for controlling a resonant motor
JPH06290292A (ja) レーザ点灯制御装置
KR950000708Y1 (ko) 바코드 해독장치 내장형 ccd스캐너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3543128B2 (ja) レーザスキャナ
JPH0730184A (ja) ガスレーザ発振装置
JPH05333280A (ja) レーザビーム記録装置
KR200232048Y1 (ko) 컴퓨터시스템
JP3548395B2 (ja) 固体レーザ発振装置
JPH0690184B2 (ja) リレーを用いた入力状態記憶回路
JP2001358400A (ja) レーザーダイオード駆動制御装置
JP3039049B2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JPS62158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