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674Y1 -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674Y1
KR0125674Y1 KR2019950025252U KR19950025252U KR0125674Y1 KR 0125674 Y1 KR0125674 Y1 KR 0125674Y1 KR 2019950025252 U KR2019950025252 U KR 2019950025252U KR 19950025252 U KR19950025252 U KR 19950025252U KR 0125674 Y1 KR0125674 Y1 KR 0125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ide mirror
driving
weigh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5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010U (ko
Inventor
허성호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25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674Y1/ko
Publication of KR9700130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0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미러(1)의 하우징(1a)내부 상·하단부에는 댐퍼(1b)의 각 끝단부가 장착되어지고, 이 댐퍼(1b)의 반대쪽 끝단부는 제1브라켓트(1c)에 각각 연결되어지며, 이 제1브라켓트(1c)는 힌지(1d)를 매개로 미러(2) 및 무게추(1f)가 설치되어진 제2브라켓트(1e)와 결합되어져 주행상태에 상관없이 항상 정상적인 후방시야를 확보시켜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단면도.
제2도 (a)는 오르막길 주행시 사이드미러를 통해 운전자가 후방을 관찰할 수 있는 범위를 도시한 개략도.
(b)는 내리막길 주행시 사이드미러를 통해 운전자가 후방을 관찰할 수 있는 범위를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종래 기술로서, 제1도에 대응되는 단면도.
제4도 (a), (b)는 종래기술로써 제2도에 대응되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미러 1a : 하우징
1b : 댐퍼 1c : 지지바아
1d : 힌지 1f : 무게추
2 : 미러
본 고안은 승용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경사로 주행시에도 평로 주행시와 동일하게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험로 주행시 진동을 최소화하여 후방시야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승용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드미러는 주행중 운전자에게 후방을 관찰할 수 있도록하여 교통사고 예방에 큰 몫을 하게 되는 데 종래 승용차용 사이드미러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a)내부에 미러(102)가 부착된 지지바아(101c)를 힌지(101b)결합시키고 이 힌지(101b)를 축으로하여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미러(102)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한번 고정된 사이드미러(101)는 일정한 외력이나 큰 충격이 작용되어지지 않는 한 유동되지 않으므로 도로조건이 양호한 평길 주행시에는 후방의 시야가 용이하게 확보되어지지만 제4도 (A)와 (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가 심한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 주행시에는 차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운전자의 자세에도 변화가 생기고 동시에 운전자가 사이드미러를 통해 후방을 관찰할 수 있는 범위도 변하게 된다.
즉, 오르막길 주행시에는 정상시야보다 낮은 아래방향의 시야가 확보되는 반면 내리막길인 경우에는 조금 높은시야가 확보되게 되므로, 평지운행과 같이 안전운행에 필요한 후방시야를 제대로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 하우징(101a)을 통해 미러(102)로 직접 전달되게 되므로 특히 도로사정이 나쁜 험로를 주행할 때에는 미러(102)의 진동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후방을 제대로 관찰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사로에서도 안전운행에 필요한 후방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미러의 진동도 최소화 시킴으로써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도록 된 승용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우징내에 지지바아를 매개로 미러가 힌지부착된 승용차용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수직으로 댐퍼가 설치되면서 이 댐퍼에 지지바아의 일측 선단이 연결되고, 미러가 고정된 다른쪽 선단에는 자유상태에서 지지바아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진 무게추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 사이드미러(1)는 하우징(1a)을 매개로 힌지(1d)설치된 지지바아(1c)의 한쪽 선단에 무게추(1f)가 고정되면서 이 무게추(1f)에 미러(2)가 부착되고 다른쪽 선단은 하우징(1a)의 내측 상·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댐퍼(1b)에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바, 여기서 상기 무게추(1f)는 자유상태에서 지지바아(1c)가 수평이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자중을 가지고 있어 차량이 평로를 주행할 때에는 미러(2)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제2도 (a), (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을 주행함에 따라 차체가 기울어지면 미러(2)가 축선회되어 미러(2)의 설치 각도가 변하게 되는 바, 즉 오르막길 주행시에는 무게추(1f)의 자중과 중력에 의하여 미러(2)가 힌지(1d)를 중심으로 제1도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선회되므로 제4도 (a), (b)와 비교했을때 운전자가 미러(2)를 통해 후방 윗쪽을 관찰할 수 있게 되어 후방시야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리막길 주행시에는 상기 경우와 반대로 미러(2)가 힌지(1d)를 중심으로 제1도에서 보아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됨에 따라 제4도 (a), (b)와 비교했을 때 운전자가 미러(2)를 통해 후방 아래쪽을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주행로의 경사에 따라 차체가 기울어져 사이드미러에서 반사되는 후방의 관찰범위가 변하여도 평탄도로를 주행할 때와 마찬가지로 후방시야를 정상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아(1c)의 한쪽선단이 댐퍼(1b)에 연결되어 있어, 험로 주행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사이드미러(1)에 진동이 발생되어도 댐퍼(1b)에서 이를 대부분 흡수하게 됨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가 흐트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경사로 주행에 따른 운전자의 자세변화로 후방가시각도가 변해도 차체의 기울기에 따라 미러의 설치각도를 자동으로 조절시킴으로써 안전운행에 필요한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댐퍼를 통해 미러로 전달되는 진동도 효과적으로 흡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Claims (1)

  1. 후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우징내에 지지바아를 매개로 미러가 힌지부착된 승용차용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a)내에 수직으로 댐퍼(1b)가 설치되면서 이 댐퍼(1b)에 지지바아(1c)의 일측 선단이 연결되고, 미러(2)가 고정된 다른쪽 선단에는 자유상태에서 지지바아(1c)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진 무게추(1f)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KR2019950025252U 1995-09-19 1995-09-19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KR0125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252U KR0125674Y1 (ko) 1995-09-19 1995-09-19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252U KR0125674Y1 (ko) 1995-09-19 1995-09-19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010U KR970013010U (ko) 1997-04-25
KR0125674Y1 true KR0125674Y1 (ko) 1998-10-15

Family

ID=1942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5252U KR0125674Y1 (ko) 1995-09-19 1995-09-19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6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010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964A (ko) 자동차의 조수석 니이 볼스터
KR100743503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US4638878A (en) Device for the cushioned mounting of a tractor cab
KR0125674Y1 (ko)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US5949595A (en) Child view safety mirror
US2856815A (en) Rear view mirror mounting means
US3383154A (en) Self-aligning rear vision mirrors
KR100223561B1 (ko) 사이드 미러 장착구조
KR0136534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용 보강재
JP2605379Y2 (ja) 車載機器の支持装置
JP3133098B2 (ja) 自動車のサイレンサー構造
KR100501388B1 (ko)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US4887191A (en) Arrangement for the suspension of a lighting unit on vehicles
KR200253064Y1 (ko) 자동차현가장치의롤링보상장치
KR200153472Y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와 쇽 어브소버 장착구조
KR19980036531U (ko) 승용차의 후방 주시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글래스 떨림 방지 구조
KR19990024329U (ko) 차량용 현가장치
KR920004853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970002660Y1 (ko) 차량의 리어팸프 충격흡수용 부착구조
JPS6134223Y2 (ko)
JPH1016828A (ja) 車両のバランス制御装置
KR0131829Y1 (ko) 자동차의 룸미러
KR960040842A (ko) 자동차용 룸미러의 쳐짐 방지장치
JPH05319317A (ja) フルフローティング式キャブマウンティング
KR19980037257U (ko) 보조미러가 설치된 룸밀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