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853Y1 - 자동차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853Y1
KR920004853Y1 KR2019900005986U KR900005986U KR920004853Y1 KR 920004853 Y1 KR920004853 Y1 KR 920004853Y1 KR 2019900005986 U KR2019900005986 U KR 2019900005986U KR 900005986 U KR900005986 U KR 900005986U KR 920004853 Y1 KR920004853 Y1 KR 920004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earview mirror
case
rearview
ho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027U (ko
Inventor
홍덕화
Original Assignee
홍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덕화 filed Critical 홍덕화
Priority to KR2019900005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853Y1/ko
Publication of KR910020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8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백미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로서, (a)는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b)는 우천시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 3 도는 제 2a 도의 보올로드와 나사로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미러 케이스 2 : 거울
3 : 거울 유지 플레이트 4 : 윗노출 부분
5 : 아래노출 부분 6 : 반구형상 유지캡
7 : 보올 7' : 보올 로드
8 : 암나사 9 : 조절 노브
10 : 나사로드 11 : 구멍
12 : 고정 나사 13 : 고정 플레이트
14 : 흔들림 방지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 백미러 케이스의 상부 노출부분을 하부 노출부분보다 크게하고, 백미러 케이스의 후방에 노출시킨 조절노브에 의하여 나사로드를 회동조절하여 거울이 부착된 거울 유지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함으로써, 백미러의 거울에 빗방울들의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백미러는, 백미러의 케이스내에 거울을 고정시켜 자동차의 양측면에 착설함으로써, 자동차 후방의 상황판단을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자동차용 백미러는 비가올 때에 백미러의 케이스내에 고정된 거울면에 빗물이 흘러내리거나 맺혀있게되어 시야의 장애가 되므로 백미러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자동차의 후방 및 측방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없어 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많게 되므로 운전자는 자동차를 세워서 백미러의 거울면을 자주 닦아주어야하는 번거롭고도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차용 백미러로는 백미러 본체의 후방에 클램프 밴드를 착설하고, 클램프 밴드의 일측에 약간 평행으로 절곡된 안내부재를 힌지에 의해 장착시킨 후 자동차에 고정시킨 것이 있으나 이 안내부재는 단순히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통과시키는 역할을 할 뿐 자동차용 백미러의 거울면에 맺혀있는 물방울을 씻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자동차가 신호등에 의해 정지 또는 주, 정차할 때에 운전자는 자동차를 세워 백미러의 거울면을 일일이 닦아내야 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용 백미러 케이스의 후방에 노출시킨 조절 노브의 조절에 의하여 나사회동 조절되어서 거울 유지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하고, 백미러 케이스의 아래 노출 부분보다 백미러 케이스의 윗노출부분을 크게하여 빗방울이 아래 노출 부분에 맞고, 튀어 올라 백미러의 거울 면에 빗방울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로서, (a)도는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b)도는 우천시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 3 도는 상기 제 2a 도에 설치된 보올로드와 나사로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자동차용 백미러 케이스의 윗노출 부분(4)이 백미러 케이스의 아래노출 부분(5)보다 크게 노출되어 있는 백미러 케이스(1)내에 거울(2)을 장착한 거울유지 플레이트(3)를 회동이 자유롭게 착설되고, 이 거울 유지 플레이트(3)에 반구형상 유지캡(6)을 나사 착설하며, 이 반구형상 유지캡(6)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1)을 통하여 거울을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한 보올(7)이 일체로 형성된 보올로드(7')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이 보올로드(7')에는 암나사(8)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백미러케이스(1)의 후방에 형성된 구멍(15)으로부터 삽입되어진 조절노브(9)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로드(10)가 이 보올 로드(7')의 암나사(8)에 나사끼워 맞춤되어 원하는 소정의 양 만큼 이동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보올로드(7')와 나사로드(10)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13)가 거울(2)의 거울 유지플레이트(3)에 고정나사(12)에 의해 고정되고, 이 고정 플레이트(13)와 백미러 케이스(1)사이에는 반구형상 유지캡(6)에 삽입되어진 보올(7)이 일체로 형성된 보올 로드(7')와 조절노브(9)와 일체로 형성된 나사로드(10)의 사이를 긴밀하게 접촉시키고, 또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 스프링(14)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백미러 케이스에 내장되어 상하, 좌우 조절이 가능하게 된 거울 유지플레이트를 조절노브에 의해 전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 또는 눈이 오면 전후 조절이 가능한 나사로드(10)와 일체로 형성된 조절노브(9)를 돌리어 거울(2)이 부착된 거울 유지플레이트(3)를 조절노브(9)쪽으로 이동시켜, 백미러 케이스(1)의 윗노출부분(4)으로부터 거울(2)이 부착된 거울 유지플레이트(3)를 멀리 떨어지게 하고 백미러 케이스(1)의 아래노출부분(5)을 짧게하여 아래노출부분(5)으로 떨어지는 빗방울이 다시 맞고 튀어오르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백미러 케이스(1)내에서 전후 조절이 가능한 거울 유지 플레이트(3)에는 반구형상 유지캡(6)을 두어 이것에 보올(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보올로드(7')를 삽입하여 상하, 좌우의 조절을 가능하게하여 자동차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였다.

Claims (1)

  1. 백미러 케이스에 형성된 거울유지 플레이트의 거울을 상하, 좌우 조절이 가능하도록한 자동차용 백미러에 있어서, 거울(2)의 거울 유지플레이트(3) 후방의 보올로드(7')에 나사로드(10)가 탄성력있게 조립되어 백미러 케이스(1)의 후방에 노출시킨 조절노브(9)에 의하여 나사로드(10)가 회동조절되어서 거울(2)의 거울 유지플레이트(3)를 전, 후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하고, 백미러 케이스(1)의 윗노출부분(4)을 아래 노출부분(5)보다 더 노출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이 전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백미러.
KR2019900005986U 1990-05-08 1990-05-08 자동차용 백미러 KR920004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986U KR920004853Y1 (ko) 1990-05-08 1990-05-08 자동차용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986U KR920004853Y1 (ko) 1990-05-08 1990-05-08 자동차용 백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027U KR910020027U (ko) 1991-12-19
KR920004853Y1 true KR920004853Y1 (ko) 1992-07-20

Family

ID=1929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986U KR920004853Y1 (ko) 1990-05-08 1990-05-08 자동차용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8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027U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258B2 (en) Forward view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US5636892A (en) Multi-purpose deflector apparatus for a vehicle
US3229580A (en) Exterior viewer for automotive vehicles
KR920004853Y1 (ko) 자동차용 백미러
US3058395A (en) Rear vision periscope for autos
US4802751A (en) Mirror assemblies with universal joints
US6324718B1 (en) Side mounted retrofit wiper assembly
US1749868A (en) Automobile mirror
US3413676A (en) Rear view mirror wiper assembly
US3846016A (en) Peripheral rear view mirrors for automobiles
US1467350A (en) Mirror
KR880003998Y1 (ko) 조사(照射)방향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전조등
CN218367643U (zh) 一种智能后视镜
KR900007633Y1 (ko) 자동차 백미러용 방우커버
KR900007246Y1 (ko) 차량용 백미러
KR900004545Y1 (ko) 자동차의 백미러 브러쉬장치
KR0125674Y1 (ko) 승용차용 사이드미러
KR0126790Y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조립체
KR0136534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용 보강재
KR200243942Y1 (ko) 와이퍼 스탠드
KR100223249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고정구조
KR0149083B1 (ko)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각도조절장치
KR19990027113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커버장치
KR19980024575U (ko) 자동차 프론트 사이드 글라스 빗물 유입방지 장치
KR200391988Y1 (ko) 미러표면 습기제거용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