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942Y1 - 와이퍼 스탠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942Y1
KR200243942Y1 KR2020010016732U KR20010016732U KR200243942Y1 KR 200243942 Y1 KR200243942 Y1 KR 200243942Y1 KR 2020010016732 U KR2020010016732 U KR 2020010016732U KR 20010016732 U KR20010016732 U KR 20010016732U KR 200243942 Y1 KR200243942 Y1 KR 200243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tand
glass
main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태
Original Assignee
최봉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태 filed Critical 최봉태
Priority to KR2020010016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942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퍼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차량의 유리와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게 유지시키고 와이퍼의 작동과 동시에 플레이트 고무가 유리면에 밀착되어 유리면을 닦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 플레이트 고무와 유리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의 흠집발생을 방지하고 열착 및 동결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사용되는 와이퍼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와이퍼 프레임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전기 본체부의 축봉에 삽입시킨 삽지링을 고정캡의 사이에 끼워넣은 코일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한 스탠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탠드는 수평상태에서 삽지링의 걸림돌기가 본체부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회동시키므로서 기립되고 기립상태에서 스탠드의 높이조절판의 축방향 젖힘으로 코일스프링의 탄발복귀력에 의해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스탠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와이퍼 스탠드{A wiper stand}
본 고안은 와이퍼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차량의 유리와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게 유지시키고 와이퍼의 작동과 동시에 플레이트 고무가 유리면에 밀착되어 유리면을 닦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 플레이트 고무와 유리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의 흠집발생을 방지하고 열착 및 동결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사용되는 와이퍼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는 전면이나 후면유리에 플레이트 고무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우천시 빗물을 닦아 시야를 확보하고 또 먼지에 의해 차량의 유리가 더럽혀졌을 때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좌우로 회동하면서 깨끗하게 닦아내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와이퍼는 항상 플레이트 고무가 유리와 강하게 밀착되어 있으므로 와이퍼와 플레이트 고무의 밀착면에 먼지와 이물질이 끼어 우천시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유리면에 강하게 밀착된 플레이트 고무가 먼지 및 이물질과 함께 동시에 유리면에 접찰되면서 좌우 회동하게 되므로 먼지와 이물질이 유리면에 흠집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유리의 선명함이 불량하게 되어 시야 확보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레이트 고무가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고온으로 상승되는 유리의 온도에 의해 전도되어 가열되므로서 열착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플레이트 고무의 수명이 단축되며, 추운 겨울에는 플레이트 고무가 동결되는 등 여러가지의 많은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퍼의 프레임 일측에 장작되어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와이퍼의 플레이트 고무를 유리 면과 이격되어 있게 하여 먼지와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플레이트 고무가 순간적으로 유리에 밀착되어 유리를 닦을수 있도록 한 와이퍼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와이퍼 프레임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전기 본체부의 축봉에 삽입시킨 삽지링을 고정캡의 사이에 끼워넣은 코일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한 스탠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탠드는 수평상태에서 삽지링의 걸림돌기가 본체부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회동시키므로서 기립되고 기립상태에서 스탠드의 높이조절판의 축방향 젖힘으로 코일스프링의 탄발복귀력에 의해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수평으로 도복되는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 은 스탠드가 기립되어 와이퍼를 상승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와이퍼의 작동시 스탠드가 젖혀져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스탠드가 수평으로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스탠드의 기립으로 와이퍼가 유리와 이격된 상태의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장착 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부 200 : 스탠드 1 : 와이퍼 프레임
2 : 축봉 3 : 고정캡 4 : 코일스프링
5 : 취부홈 6 : 고정보울트 7 : 철편
8 : 경사면 9 : 걸림턱 10 : 삽지링
11 : 덮개 12 : 함체 13 : 장공
14 : 조절보울트 15 : 경사단부 16 : 고무캡
17 : 높이조절판 18 : 걸림돌기 19 : 보울트
20 : 플레이트 고무 21 : 유리 22 : 너트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3 은 스탠드가 기립되어 와이퍼를 상승시킨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와이퍼의 작동시 스탠드가 젖혀져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 는 스탠드가 수평으로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 은 스탠드의 기립으로 와이퍼가 유리와 이격된 상태의 예시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의 장착 상태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와이퍼 프레임(1)에 고정되는 본체부(100)와 전기 본체부(100)의 축봉(2)에 축설되어 고정캡(3)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4)으로 탄력설치되므로서 세워지고 눕혀지는 스탠드(2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일측에 와이퍼 프레임(1)이 삽입되는 취부홈(5)과 취부
홈(5)에 삽입된 와이퍼 프레임(1)를 고정보울트(6)로서 체결하는 ㄷ자형 철편(7)이 부착되며 타측에는 축봉(2)이 돌출되어 그 기부의 하측에 경사면(8)을 형성한 걸림턱(9)이 돌설되어 있다.
스탠드(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축봉(2)에 끼워지는 삽지링(10)과 이의 하단에 연설되어 덮개(11)로서 복착되는 함체(12)와 상기 함체(12)에 삽입되어 장
공(13)을 관통하는 조절보울트(14)로서 승강되게 삽입되고 하단에 경사단부(15)를 형성한 고무캡(16)을 끼워서 되는 높이조절판(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지링(10)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걸림턱(9)에 록킹자재되는 걸림돌기(18)가 돌설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는 고정캡(3)을 고정하는 보울트이고, 20은 와이퍼의플레이트 고무이며, 21은 유리이고, 22는 조절보울트(14)와 나사결합되는 너트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본체부(100)의 취부홈(5)에 와이퍼 프레임(1)이 삽입되게 끼워 적정한 취부위치에서 ㄷ자형 철편(7)으로 막아 보울트(6)로서 고정하고 이어서 스탠드(200)의 높이조절판(17)을 고정한 조절보울트(14)를 풀어 높이조절판 (17)의 높이를 함체(12)의 삽입길이로서 플레이트 고무(20)와 유리(21)의 간격을 조정하여 조절보울트(14)를 고정하게 되는 데 이때의 간격은 스탠드를 세웠을 때 와이퍼의 플레이트 고무(20)가 유리(21)와 거의 닿을 정도의 간격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간격이 넓으면 와이퍼의 작동으로 스탠드(200)가 도복되면서 플레이트 고무(20)가 유리(21)에 순간적으로 밀착될 때 충격이 커 바람직하지 못하고 반대로 간격이 너무 좁으면 먼지와 이물질의 끼임이 많이 발생하여 본 고안의 설치효과가 상실되므로 미세한 간격이 형성되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와이퍼 프레임(1)에 고정된 본체부(100)에 축설되어 있는 스탠드(200)는 삽지링(10)이 축봉(2)에 끼워져 고정캡(3)과의 사이에서 코일스프링(4)에 의해 수평으로 유지되는 상태로 탄력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나 와이퍼가 작동시에는 스탠드(200)가 와이퍼 프레임(1)과 평행상태로 회동되어 있게 되어 와이퍼가 작동하는 데 전혀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퍼의 플레이트 고무(20)를 유리(21)와 이격시켜 놓을 때에는 스탠드(200)를 90°회동시켜 기립시키게 되면 스탠드(200)의 하단 즉 높이조절 판(17)에 끼워 붙인 고무캡(16)의 경사단부(15) 일측 끝단이 유리(21)에 점접촉하면서 와이퍼 프레임(1)과 직교상태로 와이퍼 프레임(1)을 자체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약간 들어 플레이트 고무(20)을 유리(21)와 이격시키게 되는 데 여기서, 스탠드
(200)를 수평상태에서 기립시키기 위해 회동시키게 되면 삽지링(10)의 내측 하단에 돌설된 걸림돌기(18)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본체부(100)의 축봉(2) 기부에 형성된 걸림턱(9)의 경사면(8)을 타고 넘어가 걸림턱(9)에 록킹되므로서 코일스프링(4)의 탄발복귀력을 제어하는 상태로 와이퍼 프레임(1)과 직교되는 90°의 각도로 기립되어 플레이트 고무(20)를 유리(21)와 이격시키게 된다.
따라서,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와 같은 상태로 운행하다가 비가 오거나 유리(21)를 닦을 때 와이퍼를 작동시키게 되면 와이퍼 프레임(1)이 순간적으로 회전될 때 기립되어 있는 유리(21)에 하단의 경사단부(15) 끝단이 점접촉되어 있는 스탠드(200)는 본체부(100)의 축봉(2)의 축방향으로 힘을 받아 동시에 회전되지 않고 약간 젖혀지게 되므로 본체부(100)의 걸림턱(9)에 걸려 있던 삽지링(10)의 걸림돌기(18)가 걸림턱(9)으로 부터 벗어나 록킹이 해제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4)의 탄발복귀력으로 본래의 수평상태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플레이트 고무(20)가 유리(21)에 순간적으로 밀착되어 통상과 같이 유리면을 닦게 되고 이때 스탠드(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 프레임(1)과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와이퍼가 작동하는 데 하등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스탠드(200)는 함체(12)의 내부에 삽입된 높이조절판(17)의 승강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데 높이조절판(17)에 장공(13)이 관통되어 있으므로 조절보울트(14)를 풀어 높이조절판(17)을 승강시킨 후 조절보울트(14)를 체결하게되면 스탠드(200)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의 하단에 꽂힌 고무캡( 16)은 하단에 경사단부(15)가 형성되어 일측 끝단만이 유리(21)에 점접촉되므로 고무캡(16)의 끈끈함으로 인해 접촉력이 상승되어 기립상태에서 와이퍼의 작동시 축방향의 젖힘이 확실히 이루어져 작동을 원활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와이퍼에 간단히 장착하여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 플레이트 고무(20)를 유리(21)와 이격시켜 먼지와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고 열착과 동결을 방지하므로서 와이퍼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유리를 닦을 때에는 원상태로 조작하지 않고 통상과 같이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자동으로 플레이트 고무(20)가 유리(21)와 밀착되므로서 유리를 닦을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등 여러가지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 와이퍼 프레임(1)이 삽입되는 취부홈(5)과 취부홈(5)에 삽입된 와이퍼 프레임(1)를 고정보울트(6)로서 체결하는 ㄷ자형 철편(7)이 부착되며 타측에는
    축봉(2)이 돌출되어 그 기부의 하측에 경사면(8)을 형성한 걸림턱(9)이 돌설되어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축봉(2)에 끼워져 고정캡(3)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4)을 탄력 설치한 삽지링(10)과, 이의 하단에 연설된 함체(12)에 삽입되어 장공(13)을 관통하는 조절보울트(14)로서 승강되게 삽입되고 하단에 경사단부(15)를 형성한 고무캡(16)을 끼운 높이조절판(17)과, 상기 삽지링(10)의 하단에 상기 본체부(100)의 걸림턱(9)에 록킹자재되는 걸림돌기(18)가 돌설되어 있는 스탠드(200)로 이루어져 있는 와이퍼 스탠드.
KR2020010016732U 2001-06-05 2001-06-05 와이퍼 스탠드 KR200243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732U KR200243942Y1 (ko) 2001-06-05 2001-06-05 와이퍼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732U KR200243942Y1 (ko) 2001-06-05 2001-06-05 와이퍼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942Y1 true KR200243942Y1 (ko) 2001-10-22

Family

ID=7310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732U KR200243942Y1 (ko) 2001-06-05 2001-06-05 와이퍼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9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974A1 (en) * 2003-01-16 2004-07-29 Woo Soon Lee Supporting device for automobile wip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974A1 (en) * 2003-01-16 2004-07-29 Woo Soon Lee Supporting device for automobile wi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3942Y1 (ko) 와이퍼 스탠드
CN220701255U (zh) 一种电动车倒车镜
KR0126076B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브레이드(wiper blade)
KR20020016153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293790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10088145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368919B1 (ko) 자동차용 4절 와이퍼 아암
KR920004853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100341864B1 (ko) 선바이저 장착구조
KR200202623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의 장착구조
KR100410933B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도난 방지 장치
KR200213436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KR100368920B1 (ko) 자동차용 4절 와이퍼 아암
KR0167980B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용 빗물 차단장치
KR900004545Y1 (ko) 자동차의 백미러 브러쉬장치
KR900006169Y1 (ko) 윈도우 와이퍼
KR200213439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JPH1159335A (ja) ウインターブレード
KR20010070697A (ko) 차량용 와이퍼 아암 조립체
KR970005981Y1 (ko) 자동차용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와이퍼암
KR0131829Y1 (ko) 자동차의 룸미러
KR19980062124A (ko) 자동차 윈도우의 보조 와이퍼 장치
KR101327095B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100373264B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00328529B1 (ko) 차량용 와이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