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49190A1 -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49190A1
WO2024049190A1 PCT/KR2023/012862 KR2023012862W WO2024049190A1 WO 2024049190 A1 WO2024049190 A1 WO 2024049190A1 KR 2023012862 W KR2023012862 W KR 2023012862W WO 2024049190 A1 WO2024049190 A1 WO 20240491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inder
weight
negative electrode
binder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28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민기
박지혜
김창범
박소현
박찬수
권현지
김균태
권세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Publication of WO20240491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49190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er composition, a slurry containing the same, an electrode, and a secondary battery.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 high energy density, so they are widely used in the electrical, electronics, communications, and computer industries. Following small-size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eir application areas are expanding to high-capacity secondary batteries such as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there is.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required to have higher capacity and longer lifespan characteristics.
  • An example of a method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s using an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atoms for the negative electrode.
  • CMC is a pre-adhesive type and has low adhesion and high viscosity characteristics and can only be added in small amounts when producing slurry
  • SBR is a point-adhesive type and has high adhesion but low mechanical strength.
  • the expansion of silico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not be significantly suppressed.
  • linear polymers PVA, PAA, etc.
  • linear polymers generate bubbles during slurry production, making uniform coating difficult, and thus tend to cause defects during electrode production.
  • aggregation and twisting of the chain occurs due to various intra- and inter-molecular interactions such as hydrogen bonding,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as a binder and limits the ability to suppress the expansion of silicon,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033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der composition that has excellent adhesion and can suppress expansion when applied to silicon,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electrode (particularly a cathode) with excellent performance to which the binder composition is applied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with low resistance and long lifespan characteristics.
  •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copolymer comprising a vinyl alcohol-based monomer unit, a vinyl acetate monomer unit, an acrylate-based monomer unit, and an acrylic acid-based monomer unit.
  •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 the copolymer of the first binder is crosslinked with D-sorbitol,
  • the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of the second binder include 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 a binder composition is provided.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binder composition
  • Negative active material containing,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current collector
  •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med on the current collector
  •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welling characteristics for electrolyte solutions, swelling inhibition ability of silicon, and adhesive strength, and can improve the characteristics (low resistance and lifespan characteristics) of electrodes (particularly cathodes) and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the electrodes. there is.
  • the binder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vinyl alcohol-based monomer unit, a vinyl acetate monomer unit, an acrylate-based monomer unit, and an acrylic acid-based monomer unit. It may include a first binder containing a copolymer, a second binder containing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particles, or a combination of the first binder and the second binder.
  •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 the copolymer of the first binder is crosslinked with D-sorbitol, and the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of the second binder are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2- 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 the D-sorbitol can crosslink the copolymer, thereby contributing to suppressing the swelling of silicone and reducing the degree of swelling in the electrolyte solution.
  • the crosslinking of the copolymer may be due to crosslinking where the carboxyl group of the copolymer reacts with the hydroxyl group of D-sorbitol.
  • the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is included in the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and may contribute to the low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D-sorbit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 by weight or more and 10%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 the degree of swelling with respect to the electrolyte solution may increase. Additionally, adhesion may decrease.
  • the amount of vinyl alcohol-based monomer units is 0% by weight or more and 10% by weight or less, and the amount of vinyl acetate monomer units is 20% by weight. Contains more than 0% by weight and less than 80% by weight of acrylate-based monomer units, and more than 20% by weight and less than 80% by weight of acrylic acid-based monomer units. can do.
  • the content of the acrylate-based monomer unit and the acrylic acid-based monomer unit is above or below the above range, slurry stability and electrode plate adhesion may be reduced.
  • the copolymer may be copolymerized with a vinyl acetate monomer and an acrylate-based monomer, then subjected to alkaline hydrolysis, and then crosslinked with D-sorbitol.
  • the carboxyl group of the alkaline hydrolyzed copolymer reacts with the hydroxyl group of D-sorbitol to form a crosslink.
  • Alkaline metal hydroxides may be used in the alkaline hydrolysi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ll vinyl acetate monomer units can be changed into alcohol-based monomer units, or all acrylate-based monomer units can be changed into acrylic acid-based monomer units.
  • the copolymer may not contain vinyl acetate monomer units and/or acrylate-based monomer units.
  • the acrylate-based monomer unit may include a terminal group -COOH and/or a -COOM group reacted with an alkali metal (M), and the vinyl alcohol-based monomer unit may include a terminal group reacted with -OH and/or an alkali metal (M). It may react with (M) to contain an -OM group.
  • the alkali metal (M) may be, for example, Li, Na, K, etc.
  • the degree of hydrolysis can be adjusted to, for example, 70% or more, 75% or more, 80% or more, 85% or more, 90% or more, or 95% or more.
  • acrylate-based monomers used in the polymerization of the copolymer include meth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acrylate, 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acrylate, and isopropyl.
  • the copolymer may include a monomer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R 1 to R 6 are different from or the same as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linear or branched hydrocarbon having 1 to 5 carbon atoms,
  • R' 1 is -OCOCH 3 , -COOCH 2 CH 3 , -OM, -COOM, or a combination thereof,
  • R' 2 is a crosslink formed by reacting the carboxyl group of the copolymer with the hydroxyl group of D-sorbitol
  • M is hydrogen, an alkali metal, or a combination thereof
  • It may be 1 ⁇ I ⁇ 5% by weight, and 95 ⁇ J ⁇ 99% by weight.
  • the copolymer is a random or block copolymer,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10,000 or more and 1,000,000 or less.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exceeds the range, the viscosity increases significantly, which may cause problems in the process, and if it falls below the range, the expansion inhibition or adhesive strength may decrease.
  • the swelling degree of the copolymer in the electrolyte solution may be 7% or less.
  •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copolymer in electrolyte solution may b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crosslinking controlled by the content of D-sorbitol.
  • the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 by weight or more and 10%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 the brittle characteristic may become stronger, the adhesion may decrease, water-based polymerization may proceed, the viscosity may increase, and the stability between particles may decrease. It may deteriorate and cause problems in the process.
  • the average diameter of the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may be 120-250 ⁇ m,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tyrene butadiene rubber may be 10,000 or more and 1,000,000 or less.
  • the average diameter of the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is above or below the range, it may not function properly as an adhesive binder. For example, it may not properly fit between silicon particles and may not function properly as a binder.
  • adhesion may decrease or migration may occur when the electrode is dried.
  •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binder and the second binder (weight of the first binder:weight of the second binder) may be 3:7 to 7:3.
  •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binder and the second binder may be 7:3, 6:4, 5:5, 4:6, or 3:7.
  • the higher the content of the second binder the better the adhes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and the lower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when a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secondary battery. You can.
  •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the binder composition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binder composition can be used as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 the adhesion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using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and the copper current collector may be 13 dyne/cm 2 or more and 18 dyne/cm 2 or less.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one type or a compound containing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based materials, silicon,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Group 13 elements, Group 14 elements, transition metals, and rare earth elements, and is preferably It may be silicon or a compound containing silicon.
  • the carbon-based material includes, for example, artificial graphite, natural graphite, hard carbon, and soft carb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yp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silicon or a compound containing silicon, but is preferably Si, SiO x (0 ⁇ x ⁇ 2), Si-Y alloy (Y is an alkali metal , an alkaline earth metal, a Group 13 element, a Group 14 element, a transition metal, a rare earth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not Si.) and a Si-C composite.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when using a mixture of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and another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may be included in more than 8%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to 90% by weight, preferably 6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is included in less than 50% by weight, the energy density decreases, making it impossible to manufacture a battery with high energy density, and if it is included in more than 9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and binder de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may decrease.
  •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ode slurry. If the binder composition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negative electrode may deterior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may fall off. If the binder composition exceeds 35% by weight, the ratio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may relatively decrease, leading to a decrease in battery capacity. ,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athode may decrease.
  •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may include an additional polymer in addition to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polymer specifically includes, for exampl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vinyl alcohol (PVA), polyacrylic acid (PAA), polyacrylic acid metal salt (Metal-PAA), polymethacrylic acid (PMA), and 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polyacrylamide
  • PAM polymethacrylamide
  • PAN polyacrylonitrile
  • PI polyimide
  • chitosan Chosan
  • starch polyvinylpyrrolidone, 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diene polymer (EPDM), sulfonated-EPDM, styrene-butadiene rubber (SBR), fluoroelastomer, hydroxypropyl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and various copolymers thereof, etc.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a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med on the current collector.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additionall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 the conductive material is used to further improve the conductiv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se conductive material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and examples includ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 such as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and summer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 and metal fiber;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r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Polyphenylene derivatives, etc. may be used.
  •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30% by weight, preferably 15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f the conductive material is included in less than 5% by weigh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athode is lowered. If it is contained in excess of 30% by weight, the ratio of the silic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to the binder is relatively reduced, thereby reducing battery capacity. Since the content of the binder must be increased to mainta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e conten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reduced, resulting in high energy density. batteries cannot be manufactured.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es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so that volume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at occur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suppressed and the capacity maintenance rate per cycle can be improved.
  • the negative electrode is prepared through (a) prepar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b) applying and dr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an be manufactured.
  •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negative electrode slurry, and the solvent for prepar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ust be easy to dry and be capable of dissolving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ell, but does not dissolv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remains in a dispersed state. It is most desirable to be able to do so.
  • the solven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nd the organic solv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pyrrolidone, dimethylformamide, isopropyl alcohol, acetonitrile, methanol, ethanol, and tetrahydrofuran.
  • Organic solvents containing are applicable.
  • composition for form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mixed in a conventional manner using a conventional mixer, such as a rate mixer, high-speed shear mixer, or homomixer.
  • Step (b) is a step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by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prepared in step (a)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drying it.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specifical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stainless steel, titanium, silver, palladium, nickel, alloys thereof,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stainless steel may be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and an aluminum-cadmium alloy may be used as the alloy.
  • calcined carbon, a non-conductive polymer surface-tre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or a conductive polymer may be used.
  •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prepared in step (a) is applied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can be coated on the current collector with an appropriate thickness depending on the thickness to be formed,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0 to 300 ⁇ m. You can choose.
  • the method of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 the slurry form is not limited, for example, doctor blade coating, dip coating, gravure coating, slit die coating ( Slit die coating, spin coating, comma coating, bar coating, reverse roll coating, screen coating, cap coating method, etc. It can be manufactured by performing.
  • a negativ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particular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inally formed can be manufactured.
  • a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the current collector.
  • the battery may be a secondary battery (particular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n electrolyte solution.
  • a secondary battery particular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secondary battery may have a lifespan of 75% or more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repeated for 500 cycles.
  • the secondary battery may have an electrode expansion rate of 58% or less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repeated for 500 cycles.
  • the secondary battery may have an internal resistance measured by DC-IR of 0.017 ⁇ or less.
  • composi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separator, and electrolyt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ollows what is known in the field.
  • the positive electrode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or carbon or nickel on the surfac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 titanium, silver, etc. can be used.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lms, sheets, foils, nets, porous materials, foams, and non-woven fabrics with fin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cathode active material constitut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be any cathode active material available in the art.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further include a binder, a conductive material, a filler, and other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for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binder i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vinyl alcohol (PVA), polyacrylic acid (PAA), polymethacrylic acid (PMA),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acrylamide (PAM), Polymethacrylamide, polyacrylonitrile (PAN), polymethacrylonitrile, polyimide (PI), chitosan, starch, hydroxypropyl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tetrafluoroethylene ,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diene polymer (EPDM), sulfonated-EPDM, styrene-butadiene rubber (SBR), fluorine rubber, and various copolymers thereof,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PVA polyvinyl alcohol
  • PAA polyacrylic acid
  • PMA polymethacrylic acid
  • PMA polymethyl methacrylate
  • the separator may be made of a porous substrate. Any porous substrate commonly used in electrochemical devices can be used, for example, a polyolefin-based porous membrane or non-woven fabric can be used, but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reto. That is not the case.
  • the separator is mad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polypent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ster, polyacetal, polyamide, polycarbonate, polyimide, polyetheretherketone, polyethersulfone, It may be a porous substrat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phenylene oxide, polyphenylene sulfid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se.
  • the electrolyte solution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 non-aqueous electrolyte containing a lithium salt and is composed of a lithium salt and a solvent.
  • the solvent used includes a non-aqueous organic solvent, an organic solid electrolyte, and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 the lithium salt is a material that is easily soluble in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example,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AsF 6 , LiSbF 6 , LiAlCl 4 , LiSCN, LiC 4 BO 8 , LiCF 3 CO 2 , LiCH 3 SO 3 , LiCF 3 SO 3 , LiN(SO 2 CF 3 ) 2 , LiN(SO 2 F) 2 , LiN(SO 2 C 2 F 5 ) 2 , LiC 4 F 9 SO 3 , LiC(CF 3 SO 2 ) 3 , (CF 3 SO 2 ) ⁇ 2NLi, lithium chloroborane, lithium lower aliphatic carboxylate, lithium 4-phenyl borate imide, etc. may be used.
  • Non-aqueous organic solvents include, for example, N-methyl-2-pyrrolidone,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but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ethylmethyl carbonate, gamma-butyrolactone, 1,2 -Dimethoxy ethane, 1,2-diethoxy ethane, tetrahydroxy franc, 2-methyl tetrahydrofuran, dimethyl sulfoxide, 1,3-dioxolane, 4-methyl-1,3-dioxene, Diethyl ether, formamide, dimethylformamide, dioxolane, acetonitrile, nitromethane, methyl formate, methyl acetate, triester phosphate, trimethoxy methane, dioxolane derivatives, sulfolane, methylsulfolane, 1,3- Aprotic organic solvents such as dimethyl-2-imidazolidinone, propylene
  • the organic solid electrolyte includes, for example, polyethylene derivatives, polyethylene oxide derivatives, polypropylene oxide derivatives, phosphoric acid ester polymers, poly agitation lysine, polyester sulfi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containing secondary dissociation groups, etc. may be used.
  • Examples of the inorganic solid electrolyte include Li 3 N, LiI, Li 5 NI 2 , Li 3 N-LiI-LiOH, LiSiO 4 , LiSiO 4 -LiI-LiOH, Li 2 SiS 3 , Li 4 SiO 4 , Nitride, halide, sulfate, etc. of Li such as Li 4 SiO 4 -LiI-LiOH, Li 3 PO 4 -Li 2 S-SiS 2 may be used.
  • non-aqueous electrolyte may further contain other additiv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flame retardancy, etc.
  • additives include pyridine, triethylphosphite, triethanolamine, cyclic ether, ethylene diamine, n-glyme, hexaphosphoric acid triamide, nitrobenzene derivatives, sulfur, quinone imine dye, N-substituted oxazolyl.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lamination stacking and folding processes of separators and electrodes in addition to the general winding process.
  • the battery case may be cylindrical, prismatic, pouch-shaped, or coin-shaped.
  • Electrode active materials 88 g of artificial graphite, 8 g of SiOx, 1 g of carbon nanotubes, 3 g of a binder composition obtained by mixing the first bind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second bind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in a certain ratio, and distilled water were mixed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A slurry was prepared.
  • the binder composition was mixed by adding the first binder into a sinky mixer and mixing, then adding the second binder.
  • the prepared negative electrode slurry was uniformly applied on a copper current collector, dried at 110°C, rolled, and heat-treated in a vacuum oven at 110°C for more than 4 hours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 a non-aqueous electrolyte containing a lithium salt was used as an electrolyte, a polyolefin separator wa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without distinguishing the form into a pouch or coin cell type.
  • LiPF 6 electrolyte As the non-aqueous electrolyte, LiPF 6 electrolyte was dissolved at a concentration of 1M in a solvent mixed with ethylene carbonate: ethyl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in a volume ratio of 3:5:2.
  • Example 1 and Example 1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weight of first binder: weight of second binder) of the first binder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second binder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2 was 5:5.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 Example 1 and Example 1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weight of first binder: weight of second binder) of the first binder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second binder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2 was 7:3.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 the first bind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D-sorbitol was not used, and the same as Preparation Example 2 except that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was not used.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using a binder composition in which a second binder was mixed and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binder and the second binder (weight of the first binder: weight of the second binder) was 6:4. was manufactured.
  • the first binder of Comparative Example 1 did not contain D-sorbitol, and the second binder did not contain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 the first binde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using a binder composition mixed with the second binder at a weight ratio of 6:4 (weight of the first binder: weight of the second binder).
  • the second binder of Comparative Example 2 did not contain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 the first binder of Comparative Example 3 did not contain D-sorbitol.
  • the content of the first binder and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adjusted to 2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to contain an excess.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using a binder composition in which the first binder and the second binder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6:4 (weight of the first binder: weight of the second binder).
  • Example 1 and Example 1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weight of first binder: weight of second binder) of the first binder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second binder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2 was 1:9.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binder and the second binder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described above is as shown in Table 1 below.
  • the swelling degree of the first binder (D-sorbitol content: 20% by weight)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measured, except that the content of D-sorbitol (% by weight) and D-sorbitol was adjusted to 10% by weight.
  • a binder film was prepared by drying the three types of first binders at 60°C for 6 hours, then weighing 0.2g of the dried binder film, adding it to 30g of electrolyte solution, and then heating at 25°C or 60°C for 24 hours. Impregnated.
  • the electrolyte As the electrolyte, the non-aqueous electrolyte used in Preparation Example 3 was used.
  • the swelling degree of the first binder, which was not crosslinked because D-sorbitol was not us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was very high at 23%.
  • the swelling degree of the first binder in the electrolyte solution decreased by crosslinking using D-sorbitol.
  • the degree of swelling increased compared to the first binder crosslinked using an appropriate amount of D-sorbitol (3 to 10% by weight).
  • DC-IR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CC/CV mode after the initial formation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6, charging at a rate of 0.3C at a voltage corresponding to 50% of the SOC, and then charging at a rate of 0.3C at 2.75V. It was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discharging at a constant rate.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was 25°C.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ere charged and discharged twice at 25°C with a charge/discharge current density of 0.1C, a charge end voltage of 4.2V, and a discharge stop voltage of 2.8V.
  • charge/discharge was performed 500 times with the charge/discharge current density at 1C, the charge end voltage at 4.2V, and the discharge end voltage at 2.8 V.
  • the expansion rate was determined by disassembling the cell after completion of the charge and discharge evaluation to check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anode, and compared the effect of suppressing silicon expansion of the binder us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 Expansion rate (%) (Cathode thickness after 500 cycles - Vacuum-dried cathode thickness before assembly)/Vacuum-dried cathode thickness before assembly * 100
  • Table 4 below shows the measured values of DC-IR, lifespan, and swelling degree.
  • Example 1 in which a first binder containing a copolymer containing D-sorbitol and a second binder containing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containing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were used together.
  •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ie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improved compared to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ie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n which a first binder not containing D-sorbitol and/or a second binder not containing 2-methylpropane-sulfonic acid were used. was able to confirm.
  • the lifespan of the secondary batteries of Examples 1 to 3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ary batteries of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in which a first binder containing an excess of D-sorbitol or a second binder containing an excess of 2-methylpropane-sulfonic acid was u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which the first binder and the second binder were mixed at a certain ratio, had excellent adhesive properties, suppressed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when applied to secondary batteries, lowered internal resistance, and improved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batteries. I was able to confirm what was ordered.
  •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welling characteristics for electrolyte solutions, swelling inhibition ability of silicon, and adhesive strength, and can improve the characteristics (low resistance and lifespan characteristics) of electrodes (particularly cathodes) and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the electrodes. there 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 알코올 계열의 단량체 단위,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단위,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산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바인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제2 바인더, 또는 상기 제1 바인더 및 제2 바인더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인더의 상기 공중합체는 D-솔비톨로 가교되며, 상기 제2 바인더의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 음극 및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본 발명은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슬러리, 전극 및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서 전기, 전자, 통신 및 컴퓨터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 전자기기용 소형 리튬 이차전지에 이어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 고용량 이차전지 등으로도 그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응용 분야의 확대에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의 고용량화와 함께 장수명 특성도 요구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고용량화를 위한 방법의 한 예로, 실리콘 원자를 함유하는 활물질을 음극에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종래의 탄소계 활물질에 비해 리튬 삽/탈입 양이 많은 실리콘 원자를 함유하는 활물질을 적용하는 경우 전지 용량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실리콘 함유 활물질은 리튬 삽/탈입에 수반하는 체적변화가 크기 때문에, 충방전시에 음극 활물질층이 크게 팽창 수축한다.
그 결과, 음극 활물질-음극 활물질간의 전도성이 저하되거나, 음극 활물질-집전체간의 도전 패스의 차단이 일어나고, 이차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다양한 바인더들(PAA, SBR/CMC, PAA/CMC, Na-PAA, crosslinked PAA, Alginate, PVA 등)은 접착력이 부족하거나 전극이 너무 brittle 하여 내구성이 부족하고, 상기와 같은 부피 팽창 문제의 해결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예를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SBR/CMC 수계바인더에서 CMC는 선접착 타입으로 저접착성, 고점도 특성을 가지고 슬러리 제조 시 소량 첨가만 가능한 반면, SBR은 점접착 타입으로 고접착성이지만 기계적 강도가 낮아서 음극 활물질인 실리콘의 팽창을 크게 억제할 수 없다.
이러한 SBR/CMC 바인더의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음극 활물질인 실리콘용 바인더로 선접착을 구현할 수 있는 선형 고분자(PVA, PAA 등)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선형 고분자는 슬러리 제조 시 기포가 발생하여 균일한 코팅이 어렵고 때문에 전극 생산 시 불량을 야기하기 쉽다. 또한, 수소 결합 등 다양한 분자 내, 분자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사슬의 뭉침과 꼬임이 발생하여 바인더로서의 효율이 감소하고, 음극 활물질인 실리콘의 팽창 억제에 한계가 있다.
이에 선형 고분자의 낮은 평창 억제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극 건조 시 가교가 이루어지는 가교 고분자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가교제의 구조에 따라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여전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이차전지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인더가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0337호
이에 본 발명은 접착력이 우수한 동시에, 음극 활물질인 실리콘에 적용되어 팽창을 억제할 수 있는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인더 조성물이 적용된 우수한 성능의 전극(특히, 음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저저항, 장수명 특성의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일 측면은, 비닐 알코올(vinyl alcohol) 계열의 단량체 단위,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단량체 단위,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산(acrylic acid)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바인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입자를 포함하는 제2 바인더, 또는 상기 제1 바인더 및 제2 바인더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인더의 상기 공중합체는 D-솔비톨(D-sorbitol)로 가교되며,
상기 제2 바인더의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을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다른 측면은, 상기 바인더 조성물; 및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를 제공한다.
본원의 또 다른 측면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을 제공한다.
본원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은 전해액에 대한 팽윤 특성, 실리콘의 팽창 억제 능력 및 접착력이 우수하여, 전극(특히, 음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특성(저저항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 및 "a~b"에서 "내지" 및 “~”는 ≥ a이고 ≤ b으로 정의한다.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은 비닐 알코올(vinyl alcohol) 계열의 단량체 단위,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단량체 단위,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산(acrylic acid)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바인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입자를 포함하는 제2 바인더, 또는 상기 제1 바인더 및 제2 바인더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바인더의 상기 공중합체는 D-솔비톨(D-sorbitol)로 가교되며, 상기 제2 바인더의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솔비톨은 상기 공중합체를 가교시켜서, 실리콘의 팽창 억제 및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중합체의 가교는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와 D-솔비톨의 하이드록실기가 반응한 가교 결합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은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에 포함되어, 이차전지의 저저항 특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D-솔비톨은 상기 공중합체 총 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솔비톨이 상기 함량 범위를 상회하거나 하회하면,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총 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비닐 알코올(vinyl alcohol)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0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단량체 단위를 2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0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및 아크릴산(acrylic acid)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2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 알코올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단위가 상기 함량 범위를 상회하거나 하회할 경우, 기계적 특성(특히, 인장 강도)이나 코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상기 아크릴산 계열의 단량체 단위가 상기 함량 범위를 상회하거나 하회할 경우, 슬러리 안정성과 극판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중합체는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와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를 공중합한 후 알칼리 가수분해(alkaline hydrolysis)되고, 이어서 D-솔비톨로 가교될 수 있다.
상기 가교 단계에서는 상기 알칼리 가수분해된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와 D-솔비톨의 하이드록실기가 반응하여 가교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수분해에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수 분해에 의해서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단위 중 일부는 비닐 알코올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바뀌고,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 중 일부는 아크릴산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바뀐다.
상기 가수 분해의 정도의 조절을 통해서 모든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단위가 알코올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바뀌거나, 모든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가 아크릴산 계열의 단량체 단위로 바뀔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중합체는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단위 및/또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단위는 말단기가 -COOH 및/또는 알칼리 금속(M)과 반응한 -COOM 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닐 알코올 계열의 단량체 단위는 말단기가 -OH 및/또는 알칼리 금속(M)과 반응하여 -OM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M)은 예를 들어, Li, Na, K 등일 수 있다.
상기 가수 분해의 정도는 예를 들어 70 % 이상, 75 %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중합체의 중합에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한편, 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3012862-appb-img-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이고,
R'1은 -OCOCH3, -COOCH2CH3, -OM, -COOM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R'2는 상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와 D-솔비톨의 하이드록실기가 반응한 가교 결합이고,
상기 M은 수소, 알칼리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1≤I≤5 중량%이고, 95≤J≤99 중량%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1,000,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상기 수평균 분자량의 범위를 상회하면 점도가 크게 높아져서 공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하회하면 팽창 억제력이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가 7%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는 D-솔비톨의 함량에 의해서 조절된 가교 정도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은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 총 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이 상기 함량 범위를 상회하거나 하회하면, brittle한 특성이 강해져서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수계 중합이 진행될 수 있어서 점성이 높아지고, 입자 간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공정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지름이 120-250 μm이고,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1,000,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지름의 범위를 상회하거나 하회하면, 점접착 바인더로써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입자 사이에 제대로 들어가지 못하여 바인더로써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의 상기 수평균 분자량의 범위를 상회하거나, 하회하면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전극 건조시 mig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더와 상기 제2 바인더의 중량비(상기 제1 바인더 중량 : 상기 제2 바인더의 중량)가 3:7~7:3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바인더와 상기 제2 바인더의 중량비가 7:3, 6:4, 5:5, 4:6, 3:7일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상기 제1 바인더와 제2 바인더의 중량비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바인더의 함량이 높을수록 상기 바인더 조성물의 접착력이 향상되고, 이차전지의 음극에 적용시 이차전지의 내부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극 슬러리는 상기 바인더 조성물 및 음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한 음극 활물질층과 구리 집전체 간의 접착력은 13 dyne/cm2 이상일 수 있고, 18 dyne/cm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물질, 실리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원소, 14족 원소, 전이금속 및 희토류 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물질은 예를 들어, 인조 흑연, 천연 흑연, 하드 카본, 소프트 카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은 실리콘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라면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Si, SiOx(0<x<2), Si-Y 합금(상기 Y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원소, 14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Si은 아님.) 및 Si-C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로 실리콘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과 다른 음극 활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실리콘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은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전체 중량의 8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음극 활물질층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이 5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여 고에너지 밀도의 전지를 제조할 수 없으며, 9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도전재 및 바인더의 함량이 감소하여 전기 전도성이 감소하고,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간의 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바인더 조성물은 음극 슬러리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이 1중량% 미만이면 음극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어 음극 활물질과 도전재가 탈락될 수 있고, 35 중량%를 초과하면 음극 활물질과 도전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전지 용량이 감소할 수 있고, 음극의 전기 전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슬러리는 본원의 바인더 조성물 외에 추가로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아크릴산(PAA) 폴리아크릴산 금속염(Metal-PAA), 폴리메타크릴산(P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아크릴아미드(PAM), 폴리메타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PI), 키토산(Chitosan),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불소 고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된 본원의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도전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음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휘스커;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음극 활물질층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음극의 전기 전도성이 낮아진다.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전지 용량이 감소하며, 음극 활물질층 유지를 위하여 바인더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음극 활물질의 함량이 감소하여 고에너지 밀도의 전지를 제조할 수 없다.
본원의 음극은 음극 활물질층이 본원의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차전지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음극 활물질의 부피 팽창을 억제할 수 있고, 사이클당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음극은 (a)음극 활물질 및 본원의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음극 집전체 상에 상기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후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은 음극 슬러리 상태로 제조되며, 슬러리 상태로 제조하기 위한 용매는 건조가 용이해야 하며, 본원의 바인더 조성물을 잘 용해시킬 수 있되, 음극 활물질은 용해시키지 않고 분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원에 따른 용매는 물 또는 유기 용매가 가능하며,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의 혼합은 통상의 혼합기, 예컨대 레이트스 믹서, 고속 전단 믹서, 호모 믹서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교반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음극 집전체 상에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후 건조하여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구체적으로 구리, 스테인리스스틸, 티타늄, 은, 팔라듐, 니켈, 이들의 합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테인리스스틸은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합금으로는 알루미늄-카드뮴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소성 탄소, 도전재로 표면 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은 음극 집전체 상에 도포되며, 형성하고자 하는 두께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집전체에 코팅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μm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러리 형태의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그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닥터 블레이드 코팅(Doctor blade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그라비어 코팅(Gravure coating), 슬릿 다이 코팅(Slit die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콤마 코팅(Comma coating), 바 코팅(Bar coating), 리버스 롤 코팅(Reverse roll coating), 스크린 코팅(Screen coating), 캡 코팅(Cap coating)방법 등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포 후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이차전지(특히,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지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상기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는 양극, 상기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이차전지(특히,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충방전을 500 사이클 반복하였을 때, 수명 특성이 7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는 충방전을 500 사이클 반복하였을 때, 전극 팽창율이 58%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는 DC-IR로 측정된 내부 저항이 0.017 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분리막 및 전해액의 구성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를 따른다.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집전체는 양극 활물질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층을 구성하는 양극 활물질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양극 활물질이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양극 활물질의 구체적인 예로서, 리튬 금속; LiCoO2 등의 리튬 코발트계 산화물; Li1+xMn2-xO4(여기서, x는 0 내지 0.33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계 산화물; Li2CuO2 등의 리튬 구리산화물;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LiNi1-xMxO2 (여기서, M=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0.01 내지 0.3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계 산화물; LiMn2-xMxO2(여기서, M=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0.01 내지 0.1임) 또는 Li2Mn3MO8(여기서, M=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산화물; Li(NiaCobMnc)O2(여기에서, 0<a<1, 0<b<1, 0<c<1, a+b+c=1)으로 표현되는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 황 또는 디설파이드 화합물; LiFePO4, LiMnPO4, LiCoPO4, LiNiPO4 등의 인산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양극 활물질 이외에 바인더, 도전재, 충진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전재는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아크릴산(PAA), 폴리메타크릴산(P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아크릴아미드(PAM), 폴리메타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PI), 키토산(Chitosan),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불소 고무 및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다공성 기재는, 통상적으로 전기화학소자에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막 또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리막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다공성 기재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액은 리튬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전해액으로서 리튬염과 용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매로는 비수계 유기용매, 유기 고체 전해질 및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액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AsF6, LiSbF6, LiAlCl4, LiSCN, LiC4BO8, LiCF3CO2, LiCH3SO3, LiCF3SO3, LiN(SO2CF3)2, LiN(SO2F)2, LiN(SO2C2F5)2, LiC4F9SO3, LiC(CF3SO2)3,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수계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돈,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감마-부티로락톤, 1,2-디메톡시 에탄, 1,2-디에톡시 에탄, 테트라하이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솔란, 4-메틸-1,3-디옥센, 디에틸에테르,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솔란,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솔란 유도체, 설포란, 메틸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프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수계 전해액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예시로는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마이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EC), 프로펜 설톤(PRS),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인 공정인 권취(winding) 이외에도 분리막과 전극의 적층(lamination stack) 및 접음(folding) 공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지케이스는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원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제1 바인더의 제조
반응기에 증류수 1,050g 및 알킬디페닐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alkyldiphenyloxide disulfonate) 10g을 넣고, 질소를 불어 넣어 주면서 교반하였다.
이후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2.5g을 넣고 60℃까지 반응기를 승온시킨 후,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110g 및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330g을 5시간동안 적하하면서 반응을 진행 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켜 고형분 30% 비닐아세테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552g을 얻었다.
반응기에 고형분 30%의 비닐아세테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0g, 에탄올 150g 및 염기성 물질(LiOH, NaOH 또는 KOH)을 27.5g을 넣고 6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수분해를 진행하였다.
가수분해 종료 후, 침전된 가수분해물을 증류수에 녹이고 80℃로 승온하여 8시간 동안 교반 및 스트리핑하였다.
이후, 제조된 5wt% 공중합체 용액 1중량부를 반응기와 D-솔비톨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조된 공중합체의 총중량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의 D-솔비톨로 가교된 공중합체는 제1 바인더를 얻었다.
[제조예 2] 제2 바인더의 제조
고압 반응기에 증류수와 알킬디페닐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alkyldiphenyloxide disulfonate) 10 g을 넣고 질소를 불어넣어주면서 교반하였다.
승온 후, 스타이렌(styrene) 300g과 부타디엔(butadiene) 300g, 2- 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및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5g을 투입하면서 6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을 종결시켜 40 wt%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제조된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총중량 100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포함)을 포함하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 용액인 제2 바인더를 얻었다.
[제조예 3] 이차 전지의 제조
전극 활물질로 인조 흑연 88g, SiOx 8g, 탄소나노튜브 1g, 제조예 1에 의해서 제조된 제1 바인더 및 제조예 2에 의해서 제조된 제2 바인더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바인더 조성물 3g, 증류수를 혼합하여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상기 제1 바인더를 싱키 믹서에 투입하여 믹싱한 후, 상기 제2 바인더를 추가로 투입하여 믹싱하여 혼합하였다.
제조한 음극 슬러리를 구리 집전체 상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110℃에서 건조하여 나온 합제를 압연하고, 110℃진공오븐에서 4시간 이상 가열 처리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이후, 리튬염이 포함된 비수계 전해액을 전해질로 사용하고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폴리올레핀 분리막을 개재시킨 후 리튬이차전지를 파우치 또는 코인셀 타입으로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수전해질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가 3:5:2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LiPF6 전해질을 1M의 농도로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 의해서 제조된 제1 바인더와 제조예 2에 의해서 제조된 제2 바인더의 중량비(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6:4로 혼합한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예 3에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 의해서 제조된 제1 바인더와 제조예 2에 의해서 제조된 제2 바인더의 중량비(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5: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 의해서 제조된 제1 바인더와 제조예 2에 의해서 제조된 제2 바인더의 중량비(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7:3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D-솔비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제1 바인더 및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한 제2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1 바인더와 제2 바인더의 중량비(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6:4로 혼합한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예 3에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즉, 비교예 1의 제 1 바인더는 D-솔비톨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바인더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제1 바인더 및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한 제2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1 바인더와 제2 바인더의 중량비(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6:4로 혼합한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예 3에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즉, 비교예 2의 제2 바인더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지 않았다
[비교예 3]
D-솔비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제1 바인더 및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한 제2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1 바인더와 제2 바인더의 중량비(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6:4로 혼합한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예 3에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즉, 비교예 3의 제 1 바인더는 D-솔비톨을 포함하지 않았다
[비교예 4]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제1 바인더 및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의 함량을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 총 중량 100중량%를 기준으로 20 중량%로 조절하여 과량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한 제2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1 바인더와 제2 바인더의 중량비(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6:4로 혼합한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예 3에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D-솔비톨의 함량을 공중합체 총 중량 20 중량%로 조절하여 과량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제1 바인더 및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한 제2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1 바인더와 제2 바인더의 중량비(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6:4로 혼합한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예 3에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제조예 1에 의해서 제조된 제1 바인더와 제조예 2에 의해서 제조된 제2 바인더의 중량비(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1:9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제1 바인더 및 제2 바인더의 중량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1 바인더 및 제2 바인더 중량비
(제1 바인더 중량 : 제2 바인더 중량)
실시예 1 6 : 4
실시예 2 5 : 5
실시예 3 7 : 3
비교예 1 6 : 4
비교예 2 6 : 4
비교예 3 6 : 4
비교예 4 6 : 4
비교예 5 6 : 4
비교예 6 1 : 9
[평가예 1] 제1 바인더의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 측정
D-솔비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제1 바인더(D-솔비톨 함량: 0 중량%), 제조예 1에 의해서 제조된 제1 바인더(D-솔비톨 함량: 5 중량%) 및 D-솔비톨의 함량을 10 중량%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제1 바인더(D-솔비톨 함량: 20 중량%)의 팽윤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팽윤도 측정을 위하여 상기 3종의 제1 바인더를 60℃에서 6시간 건조하여 바인더 필름을 제조한 후, 건조된 바인더 필름을 0.2g 계량하고, 전해액 30g에 넣은 후 25℃ 또는 60℃에서 24시간 동안 함침시켰다.
이후, 팽윤된 바인더 필름을 꺼내어, 표면의 전해액을 제거한 뒤 무게를 측정하여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를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전해액으로는 제조예 3에서 사용된 비수전해액을 사용하였다.
제1 바인더의 D-솔비톨 함량
(wt%)
팽윤도
(%)
0 23
5 3
20 8
D-솔비톨을 사용하지 않아서 가교가 되지 않은 제1 바인더의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는 23%로 매우 높았다.
D-솔비톨을 사용한 가교에 의해서 제1 바인더의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D-솔비톨을 과량(20 중량%)으로 사용하여 가교시킨 제 1 바인더의 경우, D-솔비톨을 적정량(3~10중량%) 사용하여 가교시킨 제 1 바인더에 비하여 팽윤도가 커졌다.
즉, 본원의 적절한 함량의 D-솔비톨을 사용하여 공중합체를 가교시켰을 때, 제1 바인더의 전해액에 대한 팽윤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었다.
[평가예 2] 바인더 조성물 접착력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사용된 바인더 조성물의 접착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제조예 3의 이차 전지 제조 과정에서 준비된 음극의 구리 집전체와 구리 집전체 상에 형성된 음극 슬러리층을 180°박피하여 접착력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접착력
(gf/cm)
실시예 1 14.2
실시예 2 15.4
실시예 3 13.6
비교예 1 12.5
비교예 2 12.7
비교예 3 11.2
비교예 4 7.7
비교예 5 8.6
비교예 6 15.9
D-솔비톨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바인더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제2 바인더가 함께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3의 바인더 조성물의 접착력이 D-솔비톨을 포함하지 않는 제1 바인더 및/또는 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지 않는 제2 바인더가 사용된 비교예 1 내지 3의 바인더 조성물에 비하여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솔비톨을 과량으로 포함하는 제1 바인더 또는 2-메틸프로판-술폰산을 과량 포함하는 제2 바인더가 사용된 비교예 4 및 5에 비해서도 실시예 1 내지 3의 바인더 조성물의 접착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바인더 조성물 중의 제2바인더의 함량이 높을 수록, 바인더 조성물의 접착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예 3] 전지의 성능 측정
(1)DC-IR 측정
DC-IR 측정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비교예 6의 리튬 이차전지의 초기 formation 후에 CC/CV mode로 SOC의 50%에 해당하는 전압에서 0.3C rate로 충전 후 2.75V에서 2C rate로 방전하는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챔버의 온도는 25℃였다.
(2) 수명 및 팽창율 측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리튬 이차전지를 25℃에서 충방전 전류밀도를 0.1C, 충전 종지 전압을 4.2V, 방전 중지 전압을 2.8V로 하여 2회 충방전을 수행하였다.
이후, 충방전 전류 밀도를 1C, 충전 종지 전압을 4.2V, 방전 종지전압을 2.8 V로 하여 500회 충방전을 수행하였다.
모든 방전은 정전류/정전압 조건으로 수행하였으며 정전압의 방전의 종지 전류는 0.005C로 하였다.
이때, 수명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서 계산되었다.
<수학식 1>
수명 특성[%]=[500번째 사이클의 방전용량 / 1번째 사이클의 방전용량]Х100
한편, 팽창율은 충방전 평가 종료 후 셀을 분해하여 음극의 두께 변화를 확인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사용한 바인더의 실리콘 팽창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때, 팽창율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되었다.
[식 2]
팽창율(%) = (500사이클 후 음극 두께 - 조립 전 진공 건조된 음극 두께)/ 조립 전 진공 건조된 음극 두께 * 100
하기 표 4에 DC-IR, 수명 및 팽윤도의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DC-IR
(ohm)
수명
(%)
팽창율
(%)
실시예 1 0.016 78 54
실시예 2 0.014 76 57
실시예 3 0.017 79 50
비교예 1 0.021 61 76
비교예 2 0.022 73 58
비교예 3 0.018 63 72
비교예 4 0.021 56 78
비교예 5 0.023 67 65
비교예 6 0.015 49 87
D-솔비톨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바인더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제2 바인더가 함께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3의 이차전지의 DC-IR이 D-솔비톨을 포함하지 않는 제1 바인더 및/또는 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지 않는 제2 바인더가 사용된 비교예 1 내지 3의 이차전지에 비하여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솔비톨을 과량으로 포함하는 제1 바인더 또는 2-메틸프로판-술폰산을 과량 포함하는 제2 바인더가 사용된 비교예 4 및 5의 이차전지에 비해서도 실시예 1 내지 3의 이차전지의 DC-IR 측정값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바인더 조성물 중의 제2바인더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지의 DC-IR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실시예 1 내지 3의 전지는 비교예 1 내지 5의 이차전지에 비하여 내부 저항이 낮아지고, 이차전지의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D-솔비톨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바인더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제2 바인더가 함께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3의 전지의 수명 특성이 D-솔비톨을 포함하지 않는 제1 바인더 및/또는 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지 않는 제2 바인더가 사용된 비교예 1 내지 3의 전지의 수명 특성에 비하여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솔비톨을 과량으로 포함하는 제1 바인더 또는 2-메틸프로판-술폰산을 과량 포함하는 제2 바인더가 사용된 비교예 4 및 5의 이차전지에 비해서도 실시예 1 내지 3의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바인더 조성물 중의 제2바인더의 함량이 높을수록,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솔비톨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바인더와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제2 바인더가 함께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3의 이차전지의 음극의 팽창율이 D-솔비톨을 포함하지 않는 제1 바인더 및/또는 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포함하지 않는 제2 바인더가 사용된 비교예 1 내지 3의 이차전지의 음극의 팽창율에 비하여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솔비톨을 과량으로 포함하는 제1 바인더 또는 2-메틸프로판-술폰산을 과량 포함하는 제2 바인더가 사용된 비교예 4 및 5의 이차전지의 음극에 비해서도 실시예 1 내지 3의 이차전지의 음극의 팽창율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바인더 조성물 중의 제2바인더의 함량이 높을 수록, 이차전지의 음극의 팽창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제1 바인더의 중량: 제2 바인더의 중량를 1:9로 조절한 비교예 6의 이차전지의 경우, DC-IR 측정값은 낮았으나, 팽창율이 크게 높아져서 수명 특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즉, 실시예 1 내지 3의 전지의 음극의 낮은 팽창율이 전지의 수명 향상에 기여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전지의 수명 특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제1 바인더 및 제2 바인더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본원의 바인더 조성물은 접착력 특성이 우수하였고, 이차전지에 적용시 음극의 팽창을 억제하고, 내부 저항을 낮추어서,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제1 바인더 또는 제2 바인더의 첨가제의 함량이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접착력, 팽창율, DC-IR 또는 수명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실제 이차전지에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은 전해액에 대한 팽윤 특성, 실리콘의 팽창 억제 능력 및 접착력이 우수하여, 전극(특히, 음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특성(저저항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비닐 알코올(vinyl alcohol) 계열의 단량체 단위,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단량체 단위,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계열의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산(acrylic acid)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바인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입자를 포함하는 제2 바인더, 또는 상기 제1 바인더 및 제2 바인더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인더의 상기 공중합체는 D-솔비톨(D-sorbitol)로 가교되며,
    상기 제2 바인더의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을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솔비톨은 상기 공중합체 총 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포함되는,
    바인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총 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비닐 알코올(vinyl alcohol)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0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단량체 단위를 2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0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및 아크릴산(acrylic acid) 계열의 단량체 단위를 2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2862-appb-img-0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이고,
    R'1은 -OCOCH3, -COOCH2CH3, -OM, -COOM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R'2는 상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와 D-솔비톨의 하이드록실기가 반응한 가교 결합이고,
    상기 M은 수소, 알칼리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1≤I≤5 중량%이고, 95≤J≤99 중량%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1,000,000 이하인,
    바인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가 7% 이하인,
    바인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은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 총 중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포함되는,
    바인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의 평균 지름이 120-250 μm이고,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1,000,000 이하인,
    바인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더와 상기 제2 바인더의 중량비(상기 제1 바인더 중량 : 상기 제2 바인더의 중량)가 3:7~7:3인,
    바인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인더 조성물; 및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
  11.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
  12. 제11항의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PCT/KR2023/012862 2022-08-30 2023-08-30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40491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872 2022-08-30
KR1020220108872A KR102538286B1 (ko) 2022-08-30 2022-08-30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9190A1 true WO2024049190A1 (ko) 2024-03-07

Family

ID=8677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2862 WO2024049190A1 (ko) 2022-08-30 2023-08-30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8286B1 (ko)
WO (1) WO2024049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286B1 (ko) * 2022-08-30 2023-06-01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9825A (ja) * 2016-09-15 2018-03-2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電極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80111617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00126205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슬러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2175134A (zh) * 2020-09-30 2021-01-05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粘结剂及含有该粘结剂的锂离子电池
KR20210041684A (ko) * 2019-10-07 2021-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38286B1 (ko) * 2022-08-30 2023-06-01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736B1 (ko) 2014-10-02 2016-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공기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9825A (ja) * 2016-09-15 2018-03-2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電極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80111617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00126205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슬러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10041684A (ko) * 2019-10-07 2021-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12175134A (zh) * 2020-09-30 2021-01-05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粘结剂及含有该粘结剂的锂离子电池
KR102538286B1 (ko) * 2022-08-30 2023-06-01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286B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177169A1 (ko) 공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인더,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1101188A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9107921A1 (ko)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19004699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20055110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열경화성 전해질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045399A2 (ko) 리튬 이차전지
WO2024076199A1 (ko) 공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인더,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0036336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WO2021040388A1 (ko)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4080826A1 (ko) 공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인더,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4049190A1 (ko) 바인더 조성물, 상기 바인더 조성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2019642A1 (ko)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전구체 조성물,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WO2022164244A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7171372A1 (ko) 전극 활물질 슬러리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086098A1 (ko)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이차전지
WO2021060811A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21020805A1 (ko) 복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이차전지
WO2023059015A1 (ko) 음극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음극 조성물의 제조 방법
WO2020009505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1133027A1 (ko) 음극용 바인더 조성물, 음극, 및 이차전지
WO2021034130A1 (ko) 이온 전도성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이차전지
WO2021015488A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24101867A1 (ko)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1154039A1 (ko) 음극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21025544A1 (ko) 겔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60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