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05288A1 -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05288A1
WO2024005288A1 PCT/KR2022/021260 KR2022021260W WO2024005288A1 WO 2024005288 A1 WO2024005288 A1 WO 2024005288A1 KR 2022021260 W KR2022021260 W KR 2022021260W WO 2024005288 A1 WO2024005288 A1 WO 20240052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composite resin
compound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12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건
공선호
손선모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 엘지화학
Priority to EP22902457.5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32165A1/en
Publication of WO20240052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05288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3/00Compositions of rubb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1Phosphates
    • C08K2003/324Alkali metal phosp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interpenetrating networ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and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and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heat resistance properties, impact stability properties, and crystallization rate controllability are improved by changing the raw materials used, thereby improving the balance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and fluidity. It relates to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and provides excellent product reliability and exterior quality, and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using the same.
  • Materials used in conventional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includ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BS), composite resin (PC/ABS) mixed with polycarbonate resin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and acrylate.
  •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 PC/ABS composite resin
  • PC/PBT composite resins
  • PC/PBT composite resins
  • the materials used may undergo hydrolysis in a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causing a decrease in physical properties, and when polycarbonate resin (PC)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PBT) are mixed, the physical properties are reduced by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Since this decreases, an appropriate response control suppression method is needed.
  • PC polycarbonate resin
  •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reduces the cost by changing the material used conventionally, but also can be used as a non-painted product, which is excellent in economic efficiency, and improves heat resistance, impact stability, and crystallization speed control ability.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that satisfies the balance of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mechanical properties, fluidity, etc., and provides excellent product reliability and exterior qualit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using the abov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 It provides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0 to 28% by weight of glass fibers containing SiO2, CaO, and Al2O3, wherein the SiO2 content is greater than the total amount of CaO and Al2O3.
  •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be 0.45 to 0.85 dl/g.
  •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be 0.78 to 1.2 dl/g.
  •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ncludes 40 to 80%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10 to 40%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and 1 to 20% by weight of the (meth)acrylate compound. It may include a graft copolymer made.
  • the particle size of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may be 0.2 to 0.4 ⁇ m.
  • the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is ethylene-n-but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ethylen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ethylene-acrylic ester-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ethylene- Meth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ethylene-dimeth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ethylene-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and ethylene-vinyl acetate-glycylate. It may be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dil methacrylate copolymers.
  • the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may contain 1 to 15% by weight of a unit derived from glycidyl methacrylate.
  •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be 250 to 256 °C.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low-viscosity polyethylene-based lubricants, hydrolysis resistance inhibitors, and phenolic antioxidants.
  •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may have high load heat resistance of 180°C or higher as measured under 1.82 MPa according to ISO 75.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flexural strength of 1/8 inch specimen measured at a speed of 2 mm/min using SPAN 64 in accordance with ISO 178 of 140 MPa or more and a flexural modulus of elasticity of 5000 MPa or more.
  •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47 to 52%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10 to 28% by weight of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8 to 14%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0.1 to 2.2% by weight of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10 to 28% by weight of glass fiber containing SiO2, CaO and Al2O3, wherein the SiO2 content is greater than the total amount of CaO and Al2O3;
  •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47 to 52%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10 to 28% by weight of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8 to 14%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0.1 to 2.2% by weight of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0 to 28% by weight of glass fiber containing SiO2, CaO, and Al2O3, wherein the SiO2 content is greater than the total amount of CaO and Al2O3, and melt-mixing and extruding the mixture into an extruder. to provide.
  • the steps of melt-mixing and extrud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50 to 300° C., a flow ratio (F/R) of 10 to 55 kg/hr, and a screw rotation speed of 150 to 600 rpm.
  • F/R flow ratio
  • It may include extrud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nd then injecting it at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40 to 280°C and a mold temperature of 40 to 80°C.
  •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47 to 52%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10 to 28% by weight of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8 to 14%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0.1 to 2.2% by weight of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10 to 28% by weight of glass fiber containing SiO2, CaO, and Al2O3, wherein the SiO2 content is greater than the total amount of CaO and Al2O3; And adding 0.01 to 10% by weight of additives into an extruder to melt and knead and extrude,
  •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herein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y be a housing for a vehicle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control component (Body Control Module).
  • Body Control Module vehicle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control component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consists of a specific weight %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 specific weight % of a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nd a carboxylic acid compound. It contains reactive epoxy resin and can be molded into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from the above composition have improved heat resistance, impact stability, and crystallization rate control, thereby satisfying the balance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and fluidity, and have excellent formability, thereby improving exterior quality.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cularly suitably applied to the field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including body control module housings for vehicle electronics, which require the above effects.
  • the variable when a range is stated for a variable, the variable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values within the stated range, including the stated endpoints of the range.
  • the range “5 to 10" includes the values 5, 6, 7, 8, 9, and 10, as well as any subranges such as 6 to 10, 7 to 10, 6 to 9, 7 to 9, etc. and any values between integer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tated range, such as 5.5 to 8.5, and 6.5 to 9.
  • the range from 10 to 30% includes values such as 10%, 11%, 12%, 13%, etc. and all integers up to and including 30%, as well as values within the stated range such as 10.5%, 15.5%, 25.5%, etc. It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arbitrary values between valid integers.
  • hydrolysis stabilizer used in this description refers to a substance added to improve impact stability properties and crystallization rate control, unless otherwise specified.
  • the impact stability characteristic may refer to the characteristic of providing impact resistance during crystallization of the composite resin
  • the ability to control the crystallization speed may refer to the ability to control the speed of crystallization of the composite resi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discovered that a composite resin containing a specific weight %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 specific weight % of a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nd a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hydrolytic stabilizers heat resistance properties, impact stability properties, and crystallization rate controllability are improved, satisfying the balance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and fluidity, and providing excellent product reliability and appearance.
  •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was completed as an unpainted product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exterior quality while satisfying the balance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and fluidity as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47 to 52%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10 to 28% by weight of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8 to 14%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0.1 to 2.2% by weight of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It includes 10 to 28% by weight of glass fiber containing SiO2, CaO, and Al2O3, wherein the SiO2 content is greater than the total amount of CaO and Al2O3.
  • the flow index may be the melt flow index measured with a 5 kg load at 260 ° C. according to ISO 1133.
  •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rystalline materials, which provide moldability to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m and chemical resistance to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using them. do.
  •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is a crystalline resin that prevents penetration of chemicals from the outside and has a crystallized structure that improves the flowability of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during injection molding,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quality.
  •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have an intrinsic viscosity of 0.45 to 0.77 dl/g, or 0.55 to 0.75 dl/g. If the intrinsic viscosity is too low outside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physical properties is reduced, so the effect of improving chemical resistance is minimal. If the intrinsic viscosity is too high, the moldability is reduced, which may cause problems with the appearance of the part.
  • the intrinsic viscosity is measured by completely dissolving the sample to be measured in methylene chloride solvent at a concentration of 0.05 g/ml, then filtering the filtrate using an Ubbelohde viscometer. This is a value measured at 20°C using .
  • the content of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is 47 to 52% by weight, specifically 48 to 52% by weight, preferably 48.5 to 52% by weight, more preferably 49% by weight, based on a total of 10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It may be from 49 to 52%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49 to 51.5% by weight. If it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racks occur in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if it exceeds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rigidity and heat resistance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It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poor characteristics.
  •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have an intrinsic viscosity greater than tha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preferably be 0.78 to 1.2 dl/g, or 0.78 to 1.1 dl/g. If the intrinsic viscosity is too low outside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physical properties is reduced, so the effect of improving chemical resistance is minimal. If the intrinsic viscosity is too high, the moldability is reduced, which may cause problems with the appearance of the part.
  •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contain a crystallization rate reducing agent.
  • the crystallization rate reduc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phthalic acid, cyclohexylene dimethanol, diethylene glycol, and neopentyl glycol, and in consideration of reaction efficiency, isophthalic acid or cyclohexylene dimethanol is preferred. can be used.
  • the crystallization rate reducing agent may be added together with raw materials including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in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nufacturing step, or may be added after the primary reaction of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 the amount of the crystallization rate reducer used may be less than 20% by weight, or 1 to 10% by weight, for example,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including the crystallization rate reducer.
  •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through methods known in the art, or commercially available materials can be used.
  • glycol-based compounds including terephthalic acid compounds and ethylene glycol (excluding diethylene glycol and neopentyl glycol) are used as isophthalic acid, cyclohexylene dimethanol, diethylene glycol, and neopentyl glycol. It can be prepared by reacting under one or more crystallization rate reducing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ntyl glycol.
  •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have a melting point of 250°C or higher, for example, 250 to 256°C. In this case, the melt flow index of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an be improved, which is desirable for improving moldability.
  •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y have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m) of 250°C or higher, and as a specific example, may be 250 to 258°C.
  • Tm crystallization temperature
  • the melt flow index of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an be improved to improve moldability. desirable.
  • the melting point can be measured using a method known in the field, and for example, the heat absorption peak can be measur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 the conten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is 8 to 14% by weight, preferably 9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9 to 13%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9 to 12% by weight, based on a total of 10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Weight%, most preferably 9 to 11 weight%. If it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racks occur in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if it exceeds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rigidity and heat resistance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It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poor characteristics.
  • the weight percent of units, monomers, blocks, etc. in the polymer may refer to the weight percent of the derived monomer.
  • the weight percent of units, monomers, blocks, etc. in the polymer can be measured by a measurement method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nother method is the monomer input assuming that all monomers are polymerized.
  • the content of can be defined as the content of units in the manufactured polymer.
  •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ensates for the decreasing heat resistance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impact resistance,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with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It can improve physical properties and provide excellent impact stability characteristics and crystallization rate control.
  •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ncludes 40 to 80%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10 to 40%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and 1 to 20% by weight of the (meth)acrylate compound. It may be a graft copolymer made of. Preferably, it may be a graft copolymer comprising 50 to 70% by weight of a conjugated diene compound, 20 to 35%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1 to 15% by weight of a (meth)acrylate compound, and more preferably, a conjugated copolymer.
  • It may be a graft copolymer containing 55 to 65% by weight of a diene compound, 25 to 35%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5 to 15% by weight of a (meth)acrylate compound. If the content of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is too small outside the above ran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mpact resistance is lowered, and if the content of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is too high,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igidity (elasticity modulus) decreases. In addition, if the content of the (meth)acrylate compound is too small, the rigidity is improved but impact resistance is lowered, and if the content of the (meth)acrylate compound is too high, the stiffness supplementing effect is reduced.
  • the (meth)acrylate compound included in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s a typical (meth)acrylate compound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methacrylate or acrylic compound. may include latex and is not limited to containing only specific (meth)acrylate compounds. For example, it may be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methacrylate and acrylate, and methacrylate is preferred.
  •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included in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may include, for example, butadiene, and is not limited to including only a specific conjugated diene compound.
  • aromatic vinyl compound included in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s, for example, one selected from styrene, ⁇ -methylstyrene, ⁇ -ethylstyrene, and p-methylstyrene. It may be more than one, and styrene is preferred.
  •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s a res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lymerized from components within the above specific content range, and preferably contains an appropriate amount of (meth)acrylate component. It may contain a resin that can excellently improve heat resistance properties, and if necessary, an alkyl acrylate component may be further included separately from the (meth)acrylate component.
  •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may be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0.2 to 0.4 ⁇ m, preferably 0.25 to 0.35 ⁇ m, more preferably 0.2 to 0.35 ⁇ m, and in this case, impac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trength and injection performance.
  • the particle size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for measuring the size of particles, and in detail, it is measured using a BET analysis equipment (Micromeritics Surface Area and Porosity Analyzer ASAP 2020 equipment) using a nitrogen gas adsorption method. can do. More specifically, 0.3g to 0.5g of sample can be added to the tube, pretreated at 100°C for 8 hours, and then measured using ASAP 2020 analysis equipment at room temperature. The average value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same sample three times.
  • a BET analysis equipment Micromeritics Surface Area and Porosity Analyzer ASAP 2020 equipment
  • the content of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s 10 to 28% by weight, preferably 10 to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12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10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It may be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13 to 20%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13 to 18% by weight. If it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is weakened, and if it exceeds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rigidity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deteriorates. There is a downside to this.
  • the carboxy-reactive epoxy res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mpact stability characteristics and the ability to control the crystallization rate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lso improving chemical resistance.
  •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refers to an epoxy functional alkylene (meth)acrylic copolymer produced from an epoxy functional (meth)acrylic monomer and an alkylene.
  • (meth)acrylic includes both acrylic and methacrylic monomers
  • (meth)acrylate includes both acrylate and methacrylate monomers, unless otherwise specified.
  • epoxy functional (meth)acrylic monomer may include types containing 1,2-epoxy groups such as glycidyl acrylate and glycidyl methacrylate.
  •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used in this substrate examples include ethylene-n-but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ethylen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and ethylene-acrylic ester-glycidyl meta.
  • the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1 to 15% or 3 to 10% by weight of glycidyl methacrylate unit, 60 to 74% or 63 to 74% by weight of ethylene unit, and n-butyl acrylate 20%. It may be a polymerized copolymer containing from 30 to 30% by weight or from 25 to 30% by weight. At this time, if the content of the glycidyl methacrylate unit is too high, the injection product manufactured using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uses a decrease in the flow of the composition and deteriorates the appearance quality.
  • the content of the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is 0.1 to 2.2% by weight, preferably 0.5 to 2.2%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2.2%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1 to 2.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10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 most preferably 1.3 to 2%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is too high outside the above ran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gas generation problem occurs i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on the surface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thereby deteriorating the exterior quality.
  • the hydrolysis stabilizer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has an amount of 15.1 to 20% by weight based on a total of 10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A preferred example is 15.2 to 21% by weight, and a more preferred example is 15.3 to 20% by weight.
  • the content of the hydrolysis stabilizer is too high, it has the disadvantage of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on the surface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and if it is too small, it has the disadvantage of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injection product It is unable to provide the ability to control the crystallization rate and further inhibit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and the impact strength, especially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can also be improved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 the glass fi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b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lass fiber may include 45 to 55% by weight of silica, 15 to 32% by weight of alumina, and 15 to 32% by weight of calcium oxide.
  •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an excellent balance of chemical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can be secured.
  • the glass fiber more preferably contains 50 to 55% by weight of silica, 15 to 27% by weight of alumina, and 15 to 25% by weight of calcium oxide, and 51 to 53% by weight of silica and alumina. 17 to 19%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15 to 17% by weight of calcium oxide.
  •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physical property balance of processability, specific gra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secured, and from this, molded articles with high heat resistance, high rigidity, and high toughness can be provided.
  • the glass fiber of the present substrate may be a glass fiber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or a flat cross-section, and in this case, when it has the above-mentioned range and cross-section, excellent high rigidity, weight reduction, and appearance quality can be secured.
  • the glass fiber has an aspect ratio expressed as a ratio of length (L) to diameter (D) (L/D), for example, 1:1 to 1:4, specifically 1:1 to 1:3, more specifically 1.
  •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along with improved elongation and surface appearance quality, and as a specific example, 1:3 to 1:4,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1:4,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In addition to performance, it can provide products that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flatness, deformation, and orientation.
  • the diameter and length can be measur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pecifically, 20 inorganic fillers are select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n icon bar that can measure the diameter is created. After measuring each diameter and length using the arithmetic mean, the average diameter and average length are calculated.
  •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the diameter may be, for example, 10 to 13 ⁇ m, 10 to 11 ⁇ m, for example, and the length may be 2.5 to 6 mm, for example, 3 to 4 mm. If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tensile strength of a molded product manufactured by molding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processability.
  • the cross-section of the glass fiber may have a shape such as circular, rectangular, oval, dumbbell, or diamond.
  • the glass fiber may be used together with other inorganic fibers, and the inorganic fiber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natural fibers including carbon fiber, basalt fiber, sheep hemp, or hemp.
  • the glass fiber may be treated with a sizing agent during fiber manufacturing or post-treatment.
  • sizing agents include lubricants, coupling agents, surfactants, etc.
  • the lubricant is mainly used to form good strands when manufacturing glass fiber, and the coupling agent enables good adhesion between glass fiber and the base resin, and is appropriately selected taking into account the types of base resin and glass fiber. In this cas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can be imparted to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Methods of using the coupling agent include directly treating glass fiber and adding it to an organic matrix. In order to fully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coupling agent, its content must be appropriately selected.
  • Examples of the coupling agent include amine-based; Acrylic type; and silane-based,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silane-based.
  • the silane system includes ⁇ -aminopropyl triethoxysilane, ⁇ -aminopropyl trimethoxysilane, N-(beta aminoethyl) ⁇ -aminopropyl triethoxysilane, and ⁇ -meth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It may be silane, ⁇ -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 -(3,4-epoxyethyl) ⁇ -aminopropyl trimethoxysilane, etc.
  • the glass fiber of the present substrate is, for example, 10 to 28% by weight, preferably 10 to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15 to 25%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15 to 22% by weight, based on a total of 10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Weight%, most preferably 18 to 22 weight%. If it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racks occur in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if it exceeds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rigidity and heat resistance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It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poor characteristics.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additives to improve flowability, etc.
  •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lubricants, heat stabilizers, and hydrolysis resistance inhibitors.
  • the lubric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ensure ease of extraction and flowability of an injection screw used to manufactur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from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lubricant.
  • the lubrican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ecure the above properties, but preferably includes a polyethylene wax.
  • the lubricant is present in an amount of 0.01 to 5% by weight, preferably 0.1 to 3%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2%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0.1 to 1% by weight, based on a total of 10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 the most preferred example may be 0.1 to 0.5%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lubricant is too high outside the above rang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ppearance problems such as stains occur on the surface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using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thereby deteriorating the exterior quality.
  • the heat stabil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using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due to high temperature.
  • the heat stabil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ensure the above properties, but preferably a phenolic antioxidant (high phenolic antioxidant) can be used.
  • the phenol-based antioxidant may include a hindered phenol-based stabilizer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m) of 110 to 130°C, and a specific example is tetrakis [ethylene-3-(3,5-di-t-butyl-hydroxy phenyl)propionate], octadecyl 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or combinations thereof.
  • Tm crystallization temperature
  • the heat stabilizer is, for example, 0.01 to 5% by weight, preferably 0.01 to 3% by weight, more preferably 0.01 to 2%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0.01 to 1% by weight, based on a total of 10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 the most preferred example may be 0.05 to 0.5%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heat stabilizer is too high,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ppearance problems such as stains occur on the surface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using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thereby deteriorating the exterior quality.
  • the hydrolysis resistance inhib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f various known types as long as i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organic or inorganic substances such as sodium phosphate monobasic with the chemical formula NaH2PO4. Phosphate compounds can be used.
  • the hydrolysis resistance inhibitor is, for example, 0.01 to 5% by weight, preferably 0.1 to 3%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2%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0.1 to 1% by weight, based on a total of 100% by weigh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Weight percent, most preferably 0.1 to 0.5 weight percent. Outside the above range, if the content of the hydrolysis resistance inhibitor is too high, appearance problems such as stains occur on the surface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using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deteriorating exterior quality.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high load heat distortion temperature of 180°C or higher, for example, 184 to 190°C, 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ISO 75 by producing a specimen described later.
  • the high load heat distortion temperature can be measured under a high load of 1.82 MPa according to ISO 75.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47 to 52%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15 to 28% by weight of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8 to 14%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0.1 to 2.2% by weight of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10 to 28% by weight of glass fiber containing SiO2, CaO, and Al2O3, wherein the SiO2 content is greater than the total amount of CaO and Al2O3; And adding 0.01 to 10% by weight of additives into an extruder to melt, knead, and extrude.
  • the melt-kneading step may include, for example, the other additives described above.
  • the melt-kneading and extruding step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using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ngle-screw extruder, a twin-screw extruder, and a Banbury mixer, preferably a twin-screw extruder, and the composition is uniformly mixed using this. and then extruded to obtain, for example,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pellet,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mechanical properties, reducing thermal properties, and providing excellent plating adhesion and appearance quality.
  • the step of producing pellets using the extrusion kneader can be performed at an extrusion temperature of 250 to 300 ° C, a supply rate (F / R) of 10 to 59 kg / hr, and a screw rotation speed of 200 to 390 rpm. , preferably extrusion temperature of 250 to 280 °C, F/R 10 to 40 kg/hr, and screw rotation speed of 220 to 300 rpm.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that requires mold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high load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through sufficient complementation between components.
  •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injection molding (injection molding),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extrusion molding (sheet casting), press molding, Molding methods such as pressure molding, heat bend molding, compression molding, calendar molding, or rotation molding can be applied.
  • injection molding injection molding
  •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 extrusion molding sheet casting
  • press molding press molding
  • Molding methods such as pressure molding, heat bend molding, compression molding, calendar molding, or rotation molding can be applied.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material is prepared by using a twin-screw extruder ( ⁇ 40, L/D: 42, SM Platek equipment) set at 260°C, and injecting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meth) into the main inlet at 250 rpm.
  • 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and additives are fed through the main inlet at a supply rate (F/R,) of 39 kg/h, and additives are injected through the side inlet.
  • Pellets can be produced by feeding at a feed rate of 11 kg/h and melt-mixing and extruding.
  • the pellets can be put into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to manufactur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 the pellets were injected us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ENGEL, 80 tons) at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60 °C, a mold temperature of 60 °C, and an injection speed of 30 mm/sec to obtain an ISO standard specimen. can be manufactured.
  • ENGEL injection molding machine
  • the manufactured specimen may have a melt flow rate of 30 g/10 min or more, as a specific example, 30 to 34 g/10 min, as measured with a 5 kg load at 250 ° C. according to ISO 1133.
  • the specimen may have an Izod notch impact strength of 10 kJ/m 2 or more, for example, 11 to 12 kJ/m 2 measured at 23° C. according to ISO 1133.
  • the specimen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90 MPa or more, for example, 92 to 99 MPa, as measured at a speed of 50 mm/min according to ISO 527.
  • the flexural strength of a 1/8 inch specimen measured at a speed of 2 mm/min using SPAN 64 in accordance with ISO 178 may be 135 MPa or more, for a specific example, 136 to 144 MPa, and the flexural modulus may be 5000. It may be MPa or more, and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be 5020 to 5070 MPa.
  •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y specifically be a vehicle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control component (Body Control Module) housing,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ype.
  • Body Control Module vehicle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control component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resin containing a specific weight %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a specific weight % of a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
  • -It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hydrolytic stabilizer mixed with an 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nd a carboxy reactive epoxy resin, and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manufactured from the composition has heat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impact stability characteristics by changing the material used from the conventional material.
  • the raw materials used in the examples are as follows.
  •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copolymer particle size 0.3 ⁇ m, methyl methacrylate 15wt%, butadiene 80wt%, styrene 5wt%,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03,000 g/mol
  • (E) Glass fiber Glass fiber containing 52% by weight of silica, 18% by weight of alumina, 16% by weight of calcium oxide, and 14% by weight of other components including MgO (average length 3mm, average particle diameter 10 um)
  • Lubricant polyethylene wax (LDPE wax)
  • Hydrolysis inhibitor transesterification inhibitor: sodium phosphate monobasic with the formula NaH2PO4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even dispersion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pellets through extrusion, and then the pellets are heated and injected into a mold and then cooled to produce parts.
  • a specimen that can be used as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was produced through an injection process.
  • the manufactured pellets were dried in a convection oven at 80 °C for more than 4 hours, and then used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ENGEL, 80 tons) to produce ISO specimens by injecting them at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60 °C, a mold temperature of 60 °C, and an injection speed of 30 mm/sec. did.
  • ENGEL injection molding machine
  • the total weight% of the raw materials used in Table 1 from A-1 to H is 100% by weight.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ere evaluated.
  • the evaluation method is as follows.
  • IZOD -Impact strength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high impact strength, flexural modulus, high load heat distortion temperature, and hydrolysis resistance retention rate, so that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using them have high impact strength. It can be confirmed that while meeting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it ha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under high load, and the degree of gas generation during injection is reduced, providing both product reliability and appearance quality.
  • Comparative Example 1 which uses a hydrolysis stabilizer other than the appropriate formulation,
  • Comparative Example 3 in which an extremely small amoun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is used, or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content of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s a hydrolysis stabilizer exceeds the appropriate range, , When compared to Examples 1 to 3, it was found that the flexural modulus and flexural strength were deteriorated.
  • Comparative Example 5 which did not use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s the hydrolysis stabilizer, had poor flexural modulus and high load heat distortion temperature.
  • a specimen was manufactured by repeating the same process as Example 1, except that the raw materials of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shown in Table 3 below were mixed.
  • Comparative Example 9 Comparative Example 10 Comparative Example 11 Comparative Example 12 Comparative Example 13 A-1 53 52.2 44.2 56.2 62.2 41.2 A-2 B 10 7 15 10 10 10 C-1 12.2 16 16 9 16 16 C-2 C-3 D 2 2 2 2 2 2 E 22 22 22 9 30 F 0.3 0.3 0.3 0.3 0.3 G 0.1 0.1 0.1 0.1 0.1 0.1 H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 the total weight% of the raw materials used in Table 3 from A-1 to H is 100% by weight.
  • Comparative Example 9 in which a small amoun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was used outside the appropriate range, and Comparative Example 10, in which an excessive amoun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was used, were found to have deteriorated fluidity, flexural modulus, and flexural strength,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Examples 1 to 3. In particular, when used in excessive amou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t distortion temperature also de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heat resistance properties.
  • Comparative Example 11 in which a small amount of the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content was used as a hydrolysis stabilizer outside the appropriate range, compared to Examples 1 to 3, the impact strength was lower. I could see that it had gotten worse.
  • Comparative Example 12 in which a small amount of glass fiber was used beyond the appropriate range, the thermal strai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Examples 1 to 3,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heat resistance properties, and the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modulus were also confirmed to be deteriorated. It has been done.
  • Comparative Example 13 in which an excessive amount of glass fiber was used, was found to have deteriorated fluidity and impact strength compared to Examples 1 to 3.
  •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resin containing a specific weight %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a specific weight % of a (meth)acrylat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
  • a hydrolysis stabilizer mixed with an 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nd a carboxy-reactive epoxy resi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from the composition improve heat resistance, impact stability, and crystallization rate control,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and fluidity.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the advantage of satisfying the balance and providing excellent product reliability and appearance qual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은 종래에 사용하던 소재를 변경하여 내열특성,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을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2.06.27일자 한국특허출원 제 10-2022-0078188호를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는 원료의 변화로 내열특성,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을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내장재에 사용되는 소재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혼합한 복합수지(PC/ABS),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을 혼합한 복합수지(PC/AS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혼합한 복합수지(PC/PBT) 등이 있으며, 이들은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자동차 내장재의 다양한 부품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되는 소재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가수분해를 일으켜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를 혼합할 경우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물성이 저하되므로 적절한 반응 조절 억제 방안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건조한 환경 뿐 아니라 특히 고온 다습한 환경 하에 가수분해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기계적 물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을 만족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소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 공개특허 제2018-0078908호(공개일 2018.07.10)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종래 사용하던 소재를 바꿔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무도장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특성,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을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등을 포함하여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7 내지 52 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28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 내지 14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1 내지 2.2 중량%; 및
SiO2, CaO 및 Al2O3를 포함하되, 상기 SiO2 함량이 CaO와 Al2O3 합량보다 큰 유리섬유 10 내지 28 중량%;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0.45 내지 0.85 dl/g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0.78 내지 1.2 dl/g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화합물 40 내지 8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입자 사이즈는 0.2 내지 0.4㎛일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릭 에스터-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유래의 단위체를 1 내지 15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는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녹는점(Melting point)은 250 내지 256 ℃일 수 있다.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은 저점도 폴리에틸렌계 활제, 내가수분해 억제제 및 페놀성 산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 100 중량% 중에 0.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은 ISO 75에 의거하여 1.82 MPa 하에 측정한 고하중 내열특성이 180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은 1/8 inch 시편을 ISO 178에 의거하여 SPAN 64를 사용하여 2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140 MPa 이상인 동시에 굴곡 탄성률이 5000 MPa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7 내지 52 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28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 내지 14 중량%; 및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1 내지 2.2 중량%; SiO2, CaO 및 Al2O3를 포함하되, 상기 SiO2 함량이 CaO와 Al2O3 합량보다 큰 유리섬유 10 내지 28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는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7 내지 52 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28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 내지 14 중량%; 및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1 내지 2.2 중량%; SiO2, CaO 및 Al2O3를 포함하되, 상기 SiO2 함량이 CaO와 Al2O3 합량보다 큰 유리섬유 10 내지 28 중량%;를 포함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는, 온도 250 내지 300℃, F/R(Flow ratio) 10 내지 55 kg/hr, 스크류 회전수 150 내지 600 rpm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다음 사출온도 240 내지 280℃ 및 금형온도 40 내지 80℃ 하에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7 내지 52 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28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 내지 14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1 내지 2.2 중량%; SiO2, CaO 및 Al2O3를 포함하되, 상기 SiO2 함량이 CaO와 Al2O3 합량보다 큰 유리섬유 10 내지 28 중량%; 및 첨가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는 차량 전자장치 통합 제어 부품(Body Control Module) 하우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은 특정 중량%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특정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자동차 내장재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는 내열특성 및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을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등과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는 동시에 성형성이 우수하여 외관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필요로 하는 차량 전자장치 통합 제어 부품(Body Control Module) 하우징을 비롯한 자동차 내장재 분야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기재에서 "포함하여 이루어진"의 의미는 별도의 정의가 없는 이상 "포함하여 중합 제조된", "포함하여 중합된" 또는 "유래의 단위로서 포함하는"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본 기재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기재에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5 내지 10"의 범위는 5,6,7,8,9 및 10의 값들 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 아니라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기재에서 사용하는 용어 "가수분해 안정화제"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을 개선시키도록 투입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여기서 충격 안정특성은 복합수지의 결정화 도중 내충격성을 제공하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고, 결정화 속도 조절능은 복합수지의 결정화에 있어 그 속도를 조절하는 성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중량%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특정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가 혼합된 가수분해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내장재에서 내열특성,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이 개선되어 기계적 물성, 유동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과 같은 기계적 물성, 유동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면서도 성형성과 외관 품질이 우수한 무도장품으로서 자동차용 내장재 소재를 완성하였다.
복합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수지 조성물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7 내지 52 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28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 내지 14 중량%; 및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1 내지 2.2 중량%; SiO2, CaO 및 Al2O3를 포함하되, 상기 SiO2 함량이 CaO와 Al2O3 합량보다 큰 유리섬유 10 내지 28 중량%;를 포함한다.
본 기재에서 유동지수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ISO 1133에 의거하여 260 ℃ 하에 5kg 하중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결정성 소재로서,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에 성형성을 부여하며,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자동차 내장재에 내화학성을 부여한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결정성 수지로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화학약품의 침투를 방지하면서도 결정화된 구조로서 사출성형시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의 흐름성을 향상시켜 외관 품질을 우수하게 한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0.45 내지 0.77 dl/g, 또는 0.55 내지 0.75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고유점도가 너무 낮으면 물성 보강효과가 떨어지므로 내화학성 개선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고, 고유점도가 너무 높으면 성형성이 떨어져 부품 외관에 문제를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기재에서 상기 고유점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0.05 g/ml의 농도로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뒤,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여과액을 우베로데(Ubbelohde) 점도계를 사용하여 20 ℃에서 측정한 값이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함량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총 100 중량% 기준, 47 내지 52 중량%, 구체적인 예로 48 내지 52 중량%, 바람직하게는 48.5 내지 5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9 내지 52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9 내지 51.5 중량%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 미만이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에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의 강성 및 내열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본 기재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78 내지 1.2 dl/g, 또는 0.78 내지 1.1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고유점도가 너무 낮으면 물성 보강효과가 떨어지므로 내화학성 개선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고, 고유점도가 너무 높으면 성형성이 떨어져 부품 외관에 문제를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결정화속도 저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화속도 저감제는 이소프탈산, 시클로헥실렌 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및 네오펜틸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고, 반응 효율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또는 시클로헥실렌 디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정화속도 저감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제조단계에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비롯한 원료와 함께 투입되거나, 혹은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일차 반응시킨 다음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정화속도 저감제 사용량은, 결정화속도 저감제를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미만, 또는 1 내지 10 중량%, 구체적인 예로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테레프탈산 화합물과 에틸렌 글리콜을 비롯한 글리콜계 화합물(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은 제외)을 이소프탈산, 시클로헥실렌 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및 네오펜틸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결정화속도 저감제 하에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녹는점(Melting point)이 250 ℃ 이상, 구체적인 예로 250 내지 256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복합수지 조성물의 용융흐름지수를 개선시킬 수 있어 성형성을 향상시키기에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결정화온도(Tm)이 250 ℃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250 내지 258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경우 복합수지 조성물의 용융흐름지수를 개선시킬 수 있어 성형성을 향상시키기에 바람직하다.
본 기재에서 녹는점은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일례로 열시차 주사 열량계 (DSC)를 이용하여 열 흡수 피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함량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총 100 중량% 기준, 8 내지 14 중량%, 바람직한 예로 9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9 내지 13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9 내지 12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9 내지 11 중량%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 미만이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에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의 강성 및 내열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병용 사용할 경우 가수분해 안정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중합체 내 단위, 단위체, 블록 등의 중량%는 유래된 단량체의 중량%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재에서 중합체 내 단위, 단위체, 블록 등의 중량%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측정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모든 단량체가 중합됨을 전제로 투입된 단량체의 함량을 제조된 중합체 내 단위 등의 함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감소하는 내열 특성을 보완하며,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자동차 내장재의 충격성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며 우수한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화합물 40 내지 8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액디엔 화합물 50 내지 7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35 중량%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액디엔 화합물 55 내지 6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5 내지 35 중량%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공액디엔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공액디엔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강성(탄성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강성은 개선되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강성보완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특정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공액디엔 화합물은 예를 들어 부타디엔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공액디엔 화합물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에틸스티렌 및 p-메틸스티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특정 함량 범위의 성분으로부터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로서,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어 내열 특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과 별도로 알킬 아크릴레이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입자 사이즈 0.2 내지 0.4㎛, 바람직한 예로 0.25 내지 0.35㎛, 보다 바람직한 예로 0.2 내지 0.35㎛ 내인 분체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충격강도 향상 및 사출성 향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입자 사이즈는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질소가스 흡착법을 사용하여 BET 분석장비(Micromeritics사 Surface Area and Porosity Analyzer ASAP 2020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튜브에 0.3g 내지 0.5g의 시료를 첨가하여 100℃에서 8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상온에서 ASAP 2020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동일 샘플에 대하여 3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함량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총 100 중량% 기준 10 내지 28 중량%, 바람직한 예로 10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12 내지 2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13 내지 20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13 내지 18 중량%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 미만이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의 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고,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의 강성이 악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본 기재의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의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내화학성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사용하는 용어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에폭시 관능성 (메트)아크릴 모노머와 알킬렌으로부터 생성되는 에폭시 관능성 알킬렌 (메트)아크릴 코폴리머를 지칭한다.
본 기재에서 사용하는 용어 "(메트)아크릴"이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아크릴 및 메타크릴 모노머 모두를 포함하며,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에폭시 관능성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1,2-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사용하는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구체적인 예로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릭 에스터-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기재의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일례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단위체 1 내지 15 중량% 또는 3 내지 10 중량%, 에틸렌 단위체 60 내지 74 중량% 또는 63 내지 74 중량%,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30 중량% 또는 2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단위체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사출품이 조성물의 유동 저하를 일으켜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총 100 중량% 기준 0.1 내지 2.2 중량%, 바람직한 예로 0.5 내지 2.2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1 내지 2.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1 내지 2.1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1.3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표면에 사출품의 가스 발생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가수분해 안정화제((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함량이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총 100 중량% 기준 15.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한 예로 15.2 내지 21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15.3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상기 가수분해 안정화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표면에 사출품의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으며, 너무 작으면 충분한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 나아가 에스테르 교환반응 억제효과를 제공할 수 없으며, 전술한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 특히 저온 충격강도, 내열특성 및 가공성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리섬유는 본 기재의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의 강성을 보강하여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는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의 구체적인 예는 실리카 45 내지 55 중량%, 알루미나 15 내지 32 중량% 및 산화칼슘 15 내지 3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 내화학성,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실리카 50 내지 55 중량%, 알루미나 15 내지 27 중량%, 및 산화칼슘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실리카 51 내지 53 중량%, 알루미나 17 내지 19 중량%, 및 산화칼슘 15 내지 1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가공성, 비중, 기계적 특성의 물성 균형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부터 고내열, 고강성 및 고인성의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재의 유리섬유는 원형 단면 또는 플랫 단면의 유리섬유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전술한 범위와 단면을 갖는 경우에 우수한 고강성, 경량화 및 외관품질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일례로 직경(D) 대비 길이(L)의 비(L/D)로 나타내는 종횡비가 일례로 1:1 내지 1:4, 구체적인 예로 1:1 내지 1:3, 더욱 구체적으로 1:1인 경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서 고강도, 고인성과 함께 신율과 표면외관 품질 개선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1:3 내지 1:4, 더욱 구체적으로 1:4인 경우 고강도, 고인성과 함께 평탄도, 변형 및 배향 측면에서 유리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직경 및 길이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해서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무기 충전제 20개를 선택하고, 직경을 측정할 수 있는 아이콘 바(bar)를 이용하여 각각의 직경과 길이를 잰 다음, 산술 평균내어 평균 직경과 평균 길이로 산출한다.
상기 직경은 일례로 10 내지 13 ㎛, 구체적인 예로 10 내지 11 ㎛일 수 있고, 상기 길이는 일례로 2.5 내지 6 mm, 구체적인 예로, 3 내지 4 mm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가공성을 개선하여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인장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리섬유의 단면은 원형, 직사각형, 타원형, 아령, 마름모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다른 무기질 섬유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질 섬유는 탄소 섬유, 현무암 섬유, 양마 또는 대마를 비롯한 천연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섬유 제조시 또는 후처리 공정시 사이징제로 처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이징제로는 윤활제,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상기 윤활제는 주로 유리섬유 제조시 양호한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커플링제는 유리섬유와 상기 베이스 수지 사이의 양호한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베이스 수지와 유리섬유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경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의 사용방법으로는 유리섬유에 직접 처리하는 방법, 유기 매트릭스에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커플링제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 함량을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상기 커플링제의 예로는, 아민계; 아크릴계; 및 실란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에서 실란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실란계는 τ-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τ-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베타아미노에틸) τ-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τ-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τ-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에틸) τ-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일 수 있다.
본 기재의 유리섬유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총 100 중량% 기준, 10 내지 28 중량%, 바람직한 예로 10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15 내지 2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15 내지 22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18 내지 22 중량%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 미만이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에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의 강성 및 내열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수지 조성물은 이의 흐름성 향상 등을 위해 적절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활제, 열 안정제 및 내가수분해 억제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로부터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출 스크류의 취출 용이성과 흐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활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상기 활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표면에 얼룩 등의 외관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열 안정제는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의 고온에 의한 변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열 안정제는 상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산화방지제(High phenolic antioxidant)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결정화온도(Tm)이 110 내지 130℃인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테트라키스[에틸렌-3-(3,5-다이-t-부틸-하이드록시 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 3-(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안정제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0.05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열 안정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표면에 얼룩 등의 외관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가수분해 억제제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공지된 종류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물질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화학식 NaH2PO4의 제1인산 나트륨과 같은 유기 또는 무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 억제제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상기 내가수분해 억제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표면에 얼룩 등의 외관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은 후술하는 시편을 제작하여 ISO 75에 의거하여 측정한 고하중 열변형온도가 180 ℃ 이상, 구체적인 예로 184 내지 190 ℃일 수 있다.
본 기재에서 고하중 열변형온도는 ISO 75에 의거하여 1.82 MPa의 고하중 하에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복합수지 조성물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본 기재의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7 내지 52 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5 내지 28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 내지 14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1 내지 2.2 중량%; SiO2, CaO 및 Al2O3를 포함하되, 상기 SiO2 함량이 CaO와 Al2O3 합량보다 큰 유리섬유 10 내지 28 중량%; 및 첨가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용융혼련 단계는 일례로 상술한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는 일례로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및 벤버리 믹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이며, 이를 사용하여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뒤 압출하여 일례로 펠렛 형태의 복합수지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계적 물성 저하, 열적 특성 저하, 도금 밀착력과 외관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압출 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는 일례로 압출온도 250 내지 300 ℃, 공급속도(Flow ratio, F/R) 10 내지 59 kg/hr, 스크류 회전수 200 내지 390 rpm 하에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출온도 250 내지 280 ℃, F/R 10 내지 40 kg/hr, 스크류 회전수 220 내지 300 rpm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다음 사출온도 240 내지 280 ℃, 구체적인 예로 250 내지 270 ℃, 금형온도 40 내지 80℃, 구체적인 예로 50 내지 70 ℃ 하에 사출속도 10 내지 50 mm/sec, 구체적인 예로 10 내지 30 mm/sec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복합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복합수지 조성물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자동차 내장재
본 발명의 복합수지 조성물은 성분간 충분한 보완을 통하여, 성형성, 기계적 물성과 고하중 내열특성과 내화학성을 필요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수지 조성물의 용융 혼련물, 펠렛 또는 이로부터 성형된 시트(판재)를 원료로 하여 사출 성형법(인젝션 몰딩), 사출 압축 성형법, 압출 성형법(시트 캐스팅), 프레스 성형법, 압공 성형법, 열 굽힘 성형법, 압축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또는 회전 성형법 등의 성형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기재의 복합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260 ℃로 설정된 이축압출기(φ40, L/D: 42, SM Platek 장비)를 사용하여 250 rpm 하에, 주 투입구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및 첨가제를 주 투입구로 공급속도(Flow ratio, F/R,) 39 kg/h로 투입하고 사이드(side) 투입구로 첨가제를 공급속도 11 kg/h로 투입하고 용융 혼련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펠렛을 사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의 물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펠렛을 사출 성형기(ENGEL사, 80톤)을 사용하여 사출온도 260 ℃, 금형온도 60 ℃, 사출속도 30 mm/sec에서 사출하여 ISO 규격의 시편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시편은 일례로 ISO 1133에 의거하여 250 ℃ 하에 5 kg 하중으로 측정한 유동지수(Melt Flow Rate)가 30 g/10min 이상, 구체적인 예로 30 내지 34 g/10 mi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편은 일례로 ISO 1133에 의거하여 23 ℃ 하에 측정한 아이조드 노치 충격강도가 10 kJ/m2 이상, 구체적인 예로 11 내지 12 kJ/m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편은 일례로 ISO 527에 의거하여 50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90 MPa 이상, 구체적인 예로 92 내지 99 MPa일 수 있다.
또한, 1/8 inch 시편을 일례로 ISO 178에 의거하여 SPAN 64를 사용하여 2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135 MPa 이상, 구체적인 예로 136 내지 144 MPa일 수 있고, 굴곡 탄성률이 5000 MPa 이상, 구체적인 예로 5020 내지 5070 MPa일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는 구체적으로 차량 전자장치 통합 제어 부품(Body Control Module) 하우징일 수 있으나, 특정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수지 조성물은 특정 중량%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수지에, 특정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가 혼합된 가수분해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는 사용되는 소재가 종래의 소재에서 변경되어 내열특성,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을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 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복합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 내장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다른 조건이나 장비 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7: 복합수지 조성물 제조
실시예에서 사용한 원료는 다음과 같다.
A-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고유점도(IV) 0.7
A-2)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고유점도(IV) 0.8
B)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HOMO 수지: 고유점도(IV) 0.8, 녹는점(melting point) 250~256 ℃, 결정화온도(Tm) 254 ℃
C1)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입자 크기 0.3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wt%, 부타디엔 80wt%, 스티렌 5wt%, 중량평균 분자량 103,000 g/mol)
C2)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아크릴로니트릴 25wt%, 스티렌 34wt%, 부틸 아크릴레이트 41wt%, 중량평균 분자량 130,000 g/mol)
C3)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아크릴로니트릴 10wt%, 부타디엔 60wt%, 스티렌 30wt%, 중량평균 분자량 78,000 g/mol)
D)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틸렌 67wt%, n-부틸 아크릴레이트 28wt%,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5wt%)
(E) 유리섬유: 실리카 52 중량%, 알루미나 18 중량%, 산화칼슘 16 중량%, MgO를 포함하는 기타 성분 14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리섬유 (평균 길이 3mm, 평균 입경 10 um)
(첨가제)
F) 활제: 폴리에틸렌 왁스(LDPE wax)
G) 내가수분해 억제제(에스테르 교환반응 억제제): 화학식 NaH2PO4의 제1인산 나트륨
H) 열 안정제(High Phenolic Antioxidant)
하기 표 1에 기재된 복합수지 조성물의 원재료를 혼합한 다음, 압출을 통해 고른 분산도의 복합수지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한 다음, 상기 펠렛에 열을 가하여 금형 틀에 주입한 후 냉각시켜 부품을 생산하는 사출 공정을 통해 자동차 내장재로 이용가능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 성분을 포함하여 믹서로 혼합한 후, 260 ℃로 설정된 이축압출기(φ40, L/D: 42, SM Platek 장비)를 사용하여 250 rpm 하에, 주 투입구로 공급속도 39 kg/h로 투입하고 사이드 투입구로 첨가제를 11 kg/h로 투입하면서 1 내지 3분간 압출 가공하여 복합수지 조성물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대류 오븐에서 80 ℃로 4시간 이상 건조한 다음 사출 성형기(ENGEL사, 80톤)을 사용하여 사출온도 260 ℃, 금형온도 60 ℃, 사출속도 30 mm/sec에서 사출하여 ISO 시편을 제작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5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A-1 51.7 51.2 49.2 50.7 48.7 -- 51.2 51.2 51.2
A-2 - - - - - 49.2 45.2 - - -
B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1 14.0 14.0 16.0 14.0 16.0 16.0 20.0 16.0 - -
C-2 -- - - - - -- - 16.0
C-3 - - - - -- - - - 16.0
D 1.5 2.0 2.0 2.5 2.5 2.0 2.0 - - -
E 22.0 22.0 22.0 22.0 22.0 22.0 22.0 22.0 22.0 22.0
F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G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H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참고로, 상기 표 1에서 사용한 원료는 A-1~ H까지 모두 합한 중량%가 총 100 중량%가 된다.
실험예 1 : 시편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7로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식은 다음과 같다.
-유동성(Melt Flow Rate): ISO 1133에 의거 실시(250 ℃, 5 kg)
-충격강도(IZOD): ISO 180/1A에 의거 실시(Notched, 23 ℃)
-인장강도 및 신율: ISO 527에 의거 실시(50 mm/min)
-굴곡강도, 굴곡 탄성률: ISO 178에 의거 실시 (1/8 inch, SPAN 64, 속도 2 mm/min)
-열변형온도: ISO 75에 의거 실시 (고하중 1.82 MPa)
상기 평가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유동성(g/10min) 34 32 30 31 30 20 15 35 53 40
인장강도(MPa) 99 99 92 98 91 92 89 88 102 95
인장신율(%) 4.0 4.0 4.0 4.0 4.0 4.0 4.0 5.0 4.0 4.0
굴곡강도(MPa) 144 144 136 141 134 136 136 130 144 141
굴곡탄성률(MPa) 5070 5070 5025 4965 4845 5025 5025 4840 5260 5165
충격강도(kJ/m2) 11.4 11.4 11.7 11.5 11.6 11.4 14.1 11.7 9.5 11.4
열변형온도(고하중℃) 185 190 184 188 182 186 183 140 158 16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와 굴곡탄성률, 고하중 열변형온도, 내가수분해 유지율이 모두 높아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가 충격강도와 인장강도, 굴곡 강도 등의 물리적 물성을 기본적으로 충족시키면서도 내화학성, 고하중 내열특성이 우수하고 사출시 가스 발생 정도가 저감되어 제품신뢰성 및 외관 품질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 안정화제로서 적절한 배합을 벗어나 사용하는 비교예 1, 더
나아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소량 사용하는 비교예 2는,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했을 때, 굴곡탄성율이 현저하게 악화된 동시에 사출품의 외관품질 또한 악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극히 소량 사용하는 비교예 3, 또는 가수분해 안정화제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함량이 적정 범위를 초과하는 비교예 4는,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했을 때, 굴곡 탄성율과 굴곡강도가 악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수분해 안정화제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미사용하는 비교예 5는, 굴곡 탄성율과 고하중 열변형 온도가 불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수분해 안정화제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대신 ASA를 사용한 비교예 6, 및 ABS를 사용한 비교예 7은,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했을 때, 내열 특성이 불량하였고, 추가로 충격강도도 악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8 내지 13: 복합수지 조성물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복합수지 조성물의 원재료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구분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A-1 53 52.2 44.2 56.2 62.2 41.2
A-2
B 10 7 15 10 10 10
C-1 12.2 16 16 9 16 16
C-2
C-3
D 2 2 2 2 2 2
E 22 22 22 22 9 30
F 0.3 0.3 0.3 0.3 0.3 0.3
G 0.1 0.1 0.1 0.1 0.1 0.1
H 0.4 0.4 0.4 0.4 0.4 0.4
참고로, 상기 표 3에서 사용한 원료는 A-1~ H까지 모두 합한 중량%가 총 100 중량%가 된다.
실험예 2 : 시편의 물성 평가
상기 비교예 8 내지 13으로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 방식에 따라 물성을 평가하였다.
구분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유동성(g/10min) 36 28 20 36 30 28
인장강도(MPa) 92 94 94 94 94 92
인장신율(%) 4.0 4.0 4.0 4.0 4.0 4.0
굴곡강도(MPa) 136 139 139 146 116 166
굴곡탄성률(MPa) 5025 4980 4895 5225 4025 6025
충격강도(kJ/m2) 10.7 10.5 11.8 7.4 11.4 9.4
열변형온도(고하중℃) 178 186 178 184 130 182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적절한 배합을 벗어나 과량 사용하는 비교예 8은,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했을 때, 굴곡강도가 악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적절한 범위를 벗어나 소량 사용하는 비교예 9와 과량 사용하는 비교예 10은,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했을 때, 각각 유동성, 굴곡 탄성율과 굴곡강도가 악화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과량 사용할 경우에는 열변형온도 또한 저하되어 내열특성의 구현이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수분해 안정화제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함량이 적정 범위를 벗어나 소량 사용하는 비교예 11은,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했을 때, 충격강도가 악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리섬유를 적절한 범위를 벗어나 소량 사용하는 비교예 12는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했을 때, 열변형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내열 특성 확보가 어려울 뿐 아니라 굴곡강도와 굴곡 탄성율 또한 악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리섬유를 과량 사용하는 비교예 13은,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했을 때, 유동성과 충격강도가 악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수지 조성물은 특정 중량%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특정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가 혼합된 가수분해 안정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가 내열특성, 충격 안정특성과 결정화 속도 조절능을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7 내지 52 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28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 내지 14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1 내지 2.2 중량%; 및
    SiO2, CaO 및 Al2O3를 포함하되, 상기 SiO2 함량이 CaO와 Al2O3 합량보다 큰 유리섬유 10 내지 28 중량%;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0.45 내지 0.77 dl/g이고,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0.78 내지 1.2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화합물 40 내지 8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릭 에스터-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유래의 단위체를 1 내지 15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는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은 저점도 폴리에틸렌계 활제, 내가수분해 억제제 및 페놀성 산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 100 중량% 중에 0.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은 ISO 75에 의거하여 1.82 MPa 하에 측정한 고하중 내열특성이 18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은 1/8 inch 시편을 ISO 178에 의거하여 SPAN 64를 사용하여 2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140 MPa 이상인 동시에 굴곡 탄성률이 500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조성물.
  10.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7 내지 52 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28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 내지 14 중량%; 및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1 내지 2.2 중량%; SiO2, CaO 및 Al2O3를 포함하되, 상기 SiO2 함량이 CaO와 Al2O3 합량보다 큰 유리섬유 10 내지 28 중량%;를 포함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내장재는 차량 전자장치 통합 제어 부품(Body Control Module)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
PCT/KR2022/021260 2022-06-27 2022-12-26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WO202400528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902457.5A EP4332165A1 (en) 2022-06-27 2022-12-26 Composit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tive interior materials and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88 2022-06-27
KR1020220078188A KR20240001479A (ko) 2022-06-27 2022-06-27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288A1 true WO2024005288A1 (ko) 2024-01-04

Family

ID=8788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1260 WO2024005288A1 (ko) 2022-06-27 2022-12-26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32165A1 (ko)
KR (1) KR20240001479A (ko)
WO (1) WO2024005288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62B1 (ko) * 1998-03-06 2005-12-2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090072021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삼양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N102617997A (zh) * 2012-03-30 2012-08-01 深圳市科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增强pbt/pe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60152514A1 (en) * 2013-07-15 2016-06-02 Ppg Industries Ohio, Inc. Glass compositions, fiberizable glass compositions, and glass fiber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made therefrom
KR20180078908A (ko) 2016-12-30 2018-07-10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90027115A (ko) * 2017-09-06 2019-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JP2019147934A (ja) * 2018-02-27 2019-09-05 東レ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20210001616A (ko) * 2019-06-28 2021-01-0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62B1 (ko) * 1998-03-06 2005-12-2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090072021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삼양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N102617997A (zh) * 2012-03-30 2012-08-01 深圳市科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增强pbt/pe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60152514A1 (en) * 2013-07-15 2016-06-02 Ppg Industries Ohio, Inc. Glass compositions, fiberizable glass compositions, and glass fiber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made therefrom
KR20180078908A (ko) 2016-12-30 2018-07-10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90027115A (ko) * 2017-09-06 2019-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JP2019147934A (ja) * 2018-02-27 2019-09-05 東レ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20210001616A (ko) * 2019-06-28 2021-01-0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2165A1 (en) 2024-03-06
KR20240001479A (ko)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83153A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15128A1 (ko)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5005596A1 (ko) 내충격성, 투명성 및 힌지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05288A1 (ko)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WO2020197132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22045574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790834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WO2024071585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 내장부품
WO2023229132A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4071549A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0060085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금속 도금성형품
WO2022225164A1 (ko)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WO2015016464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3146143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WO202303343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3068481A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4043533A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4058384A1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6089090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85899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9112239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0138772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1808025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22164136A1 (ko) 경량 복합체 조성물 및 경량 복합체의 제조방법
WO2024048976A1 (ko)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9024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