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25143A1 -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25143A1
WO2022225143A1 PCT/KR2022/001039 KR2022001039W WO2022225143A1 WO 2022225143 A1 WO2022225143 A1 WO 2022225143A1 KR 2022001039 W KR2022001039 W KR 2022001039W WO 2022225143 A1 WO2022225143 A1 WO 20222251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fting
cog
nose
reg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10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해석
Original Assignee
오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525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5871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5330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1162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5330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1162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5331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1162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7092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1163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480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61560B1/ko
Application filed by 오해석 filed Critical 오해석
Priority to JP202356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JP7477731B2/ja
Priority to CN202280030461.6A priority patent/CN117295470A/zh
Publication of WO20222251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25143A1/ko
Priority to US18/382,060 priority patent/US202400415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제작 방법은 코그가 각각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리프팅 실을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제1 각도를 이루도록 구부린 채로 가압함으로써 연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리프팅 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 성형에 활용되는 리프팅 실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의 대표증상은 피부 처짐 및 주름의 발생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 안면 리프트는 피부를 일 방향으로 견인하여 여분의 피부를 절제한 후 봉합하는 과정을 거치나 시술적 요법으로 흉터 발생 및 부작용 발생 우려가 있다.
시술적 방법에서 벗어나 돌기가 달려 피부를 기계적으로 당길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봉합사를 피부 내에 삽입하여 인체내의 자연적인 면역반응(Foreign body reaction)을 유도하여 콜라겐 합성, 혈관 신생, 지방분해 등을 일으키며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고, 나아가 리프팅 실의 장력을 이용하여 쳐진 피부 조직을 리프팅하여 고정하는 리프팅 시술이 개발되었으며, 시술적 방법에 비해 간편하고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아서 시술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술 중 특히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떨어진 코끝이나 휘어진 코 또는 낮은 콧대 등을 교정하기 위한 시술은 리프팅 실의 양단을 코의 피하층에 삽입하여 리프팅 실이 코를 일정하게 형태로 지지하게 하여 볼륨감을 형성하거나 콧대를 높일 수 있으며, 이 때 리프팅 실을 콧대와 비주에 각각 따로 분리하여 넣는 시술을 하고 있다.
이렇게 리프팅 실이 코 내부로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지지하는 경우 코는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 하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텐션(Tension) 받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코 내부에서 실이 이동하게 되어 리프팅 실의 일단이 피부를 자극하게 되고 그 결과 염증이 생기거나 피부를 뚫고 돌출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때는 결국 리프팅 실을 제거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도 조직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지금까지의 코 시술은 콧대와 비주를 실이 지지할 뿐 코 끝을 지지하지는 않기 때문에 코끝에 대한 효과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 리프팅 실과는 상이하게 코 성형시 외부로 돌출되거나 염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코 끝을 지지하는 형태로 종래의 한계점을 개선시키는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의 개발이 시급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콧대에 배치되는 영역과 비주에 배치되는 영역을 하나의 리프팅 실로 지지할 수 있는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콧대에 배치되는 영역과 비주에 배치되는 영역 사이가 소정의 각도로 구부려진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코 끝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코 끝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코그가 영역별로 배치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콧대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코그의 형상이 중심축에 대해 둔각을 구성하도록 형성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코그가 영역별로 배치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콧대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코그의 형상이 표면에 대해 둔각을 구성하도록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연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다양한 코그 형상 또는 두께를 갖는 연장부를 채용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제작 방법은 코그가 각각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리프팅 실을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제1 각도를 이루도록 구부린 채로 가압함으로써 연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실에 따르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을 중심축에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단면의 최대 직경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은 하나 이상의 제1 코그를 포함하는 제1 리프팅 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그에 대한 단면은 상기 리프팅 실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루어진 제1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제1 변과,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제2 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은 하나 이상의 음각 코그를 포함하는 제1 리프팅 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 코그에 대한 단면은 상기 리프팅 실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제1 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제1 변과, 상기 표면에서 내측으로 제2 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제2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각 및 상기 제2 각 중 적어도 하나는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코그를 포함함으로써 비주와 콧대를 하나의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리프팅 시술을 수행하면서도 리프팅 시술에 필요한 고정력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은 적어도 하나의 코그가 표면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는 두 면으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둔각 코그로 형성됨에 따라서 케뉼라에서 역방향 배출되더라도 걸림 현상 없이 용이하게 케뉼라로부터 리프팅 실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음각 코그로 형성됨에 따라서 리프팅 실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시술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의 제1 방향이 정의되고, 성형 시술에 활용되는 리프팅 실은 시술자의 코의 제1 부위에 배치되는 제1 리프팅 부, 시술자의 코의 제2 부위에 배치되는 제2 리프팅 부 및 상기 제1 리프팅 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리프팅 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위에 배치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실에 따르면, 캐뉼라를 활용하여 하나의 리프팅 실을 활용한 간편한 시술로 콧대 및 코 끝 부위의 성형이 가능하며, 상세하게는 콧대를 높이거나 코 끝을 올리는 등의 각도 변형이 하나의 리프팅 실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리프팅 실을 활용하여 코 성형 시술을 수행함으로써 코 끝과 같은 부위에 리프팅 실의 끝 단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코 성형 효과를 증대시키면서도 피부 조직 내에 장시간 배치되어도 리프팅 사의 일단이 표피에 접근하여 염증을 생성하거나, 표피를 뚫고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으며, 코 끝의 성형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실에 따르면, 연결 영역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코 끝 부위에 배치된 연골이 리프팅 실에 의해 받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피시술자의 시술에 의한 고통이 감소되는 효과와 더불어, 코 끝 부위의 연골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며 코끝을 지지해주므로 코 끝 성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코그를 포함함으로써 비주와 콧대를 하나의 리프팅 실을 이용하여 리프팅 시술을 수행하면서도 리프팅 시술에 필요한 고정력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은 적어도 하나의 코그가 중심축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는 두 변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케뉼라에서 역방향 배출되더라도 걸림 현상 없이 용이하게 케뉼라로부터 리프팅 실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은, 연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연장부가 비주와 콧대에 배치됨으로써 추가적인 두께감을 비주와 콧대에 부여하여 리프팅 시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은 다양한 코그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채용함으로써, 리프팅 실의 고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시술 난이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은 차별화된 두께를 갖는 연장부를 채용함으로써, 비주와 콧대에 배치되는 실의 두께감을 더 두껍게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시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활용하여 시술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케뉼라에 배치하여 시술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해부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결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코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코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2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음각 코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코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프팅 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활용하여 시술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a 내지 도 39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a 내지 도 40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a 및 도 41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a 및 도 42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제작 방법은 코그가 각각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리프팅 실을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제1 각도를 이루도록 구부린 채로 가압함으로써 연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특히,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발명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 성형용 리프팅 실의 제조 방법(S10)은 사출 단계(S11) 및 가압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 단계(S11)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리프팅 실이 사출될 수 있다. 리프팅 실은 외과용 시술 목적으로 만들어진 실로서, 특히 코 성형용으로 콧대를 높이거나 코 끝의 각도를 높이는 리프팅 시술을 위해 만들어진 실로서 리프팅 사 등의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리프팅 실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리프팅 시술 때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리프팅 실의 제1 영역은 코의 윗부분에 위치하는 콧대에 대응될 수 있고, 리프팅 실의 제2 영역은 코의 아랫부분에 위치하는 비주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이에 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프팅 실의 사출 단계(S11)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마련된 금형에 원재료를 투입함으로써 리프팅 실을 사출할 수 있고, 일 예시에서, 상기 원재료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원재료에 의해 사출된 리프팅 실은 전체적으로 탄성이 있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재료는 인체 내에 삽입되는 경우 흡수성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피부조직에 흡수되어 소멸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비영구적 소재로 피시술자의 시술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프팅 실은 온도 복원 소재(예를 들면,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리프팅 실은 체온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피시술자에게 적합하게 세팅된 각도가 리프팅 실에 기억될 수 있고, 신체 내부에서 리프팅 실이 상기 소정의 각도를 복원함에 따라서 리프팅 시술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리프팅 실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연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단계(S12)에서, 리프팅 실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를 소정의 각도로 구부려진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60도 내지 150도 범위의 어느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압 단계(S12)는 소정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시에서, 상기 소정의 온도는 섭씨 40도에서 60도 사이의 어느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상기 연결 영역이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진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프팅 실이 코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리프팅 실을 활용하여 코에 대한 리프팅 시술을 수행하는 경우, 환자의 코 끝의 각도에 적합한 형태의 리프팅 실을 사용하여 시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려는 힘이 생성되어 내부 조직 내로 파고들지 않기 때문에 리프팅 실이 장시간 배치되어도 내부 조직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리프팅 실이 코의 모양을 잡아주는 고정력이 증가하여 코 성형 효과가 오래 동안 유지된다.
또한, 종래에는 두 개의 리프팅 실을 활용하여 리프팅 시술을 수행함으로써 환자마다 콧대의 길이와 비주의 길이가 상이하여 어느 경우에는 리프팅 실이 남고, 다른 경우에는 리프팅 실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서, 리프팅 실이 피시술자의 코 표피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염증이 생기거나 뚫고 돌출되거나 정확한 위치에서 힘을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피시술자의 신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리프팅 실을 활용하면 콧대와 비주를 연결하는 하나의 리프팅 실을 활용하여 리프팅 시술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연결 영역이 코 끝에 위치함에 따라서 코 끝 표피를 자극하는 문제점이 감소하고, 연결 영역이 코 끝에 안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서 시술 현장에서 리프팅 실을 피시술자에 따라서 재단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시술 편의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100)은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및 연결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영역(110)은 피시술자의 콧대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영역(120)은 피시술자의 비주에 대응될 수 있으며, 연결 영역(130)은 피시술자의 코 끝에 대응될 수 있다. 연결 영역(130)은 제1 영역(110)의 단면적보다 더 두꺼운 단면적을 갖도록 점점 두꺼워 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영역(130),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은 코그(cg1, cg2)의 유무 및 단면적 차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0)은 제1 길이(L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영역(120)은 제2 길이(L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0)의 제1 길이(L1)는 제2 영역(120)의 제2 길이(L2)의 1.4배 내지 3배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예시에서, 제1 길이(L1)는 3.5cm 내지 4.5cm로 형성되고, 제1 길이는 1.5cm 내지 2.5c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의 길이비가 소정의 길이비(1.4:1~3:1)를 가짐으로써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의 길이가 콧대와 비주의 비율과 유사한 비율로 형성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한 리프팅 실(1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10)에는 복수의 제1 코그들(cg1)가 형성되고, 제2 영역(120)에는 복수의 제2 코그들(cg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그(cg1, cg2)는 리프팅 실(1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실(100)이 피시술자의 코에 삽입됐을 때,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돌기로 호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그(cg1)와 제2 코그(cg2)는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코그(cg2)의 고정력은 제1 코그(cg1)의 고정력보다 더 크도록 제1 코그(cg1) 및 제2 코그(cg2)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그(cg1, cg2)는 리프팅 실(100)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프팅 실(100)의 전후측(도 2를 기준으로 보이는 면과 그 뒷면)에도 일정한 모양의 코그가 형성될 수 있으며, 리프팅 실(100)의 원주면 중 어느 위치에도 상기 코그가 형성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복수의 제1 코그들(cg1)은 서로 제1 간격(d1)을 두고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코그들(cg2)은 서로 제2 간격(d2)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그(cg1)의 제1 간격(d1)은 제2 코그(cg2)의 제2 간격(d2)에 비해 더 길도록 리프팅 실(10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간격(d1)이 제2 간격(d2)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비주에 비해 더 긴 콧대에 비주와 유사한 개수의 코그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전체적인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도 2의 리프팅 실을 어느 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 사이의 연결 영역(130)은 제1 각도(deg1)를 갖도록 구부려진 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은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 사이를 구부린 상태에서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은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 사이를 가열하고 구부린 상태에서 굳힘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은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가지도록 구부려질 수 있고, 그 결과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은 60도 내지 150도 중 어느 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각도(deg1)는 60도 내지 150도 중 어느 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리프팅 실(100)이 제1 각도(deg1)로 구부려진 채로 형성됨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코 형태와 적합한 형태로 리프팅 실(100)이 형성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시술 만족도 및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리프팅 실(100)의 측면이 구부려진 형태에 대해서 도시하고 잇으나, 이는 일 예시이고, 리프팅 실(100)은 연결 영역(13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구부려지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활용하여 시술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시술자의 코(NS)는 콧대부(210), 비주부(220) 및 코 끝(230)으로 구분될 수 있고, 리프팅 시술을 통해 리프팅 실(100)의 제1 영역(110)은 콧대부(210)에 배치되고, 제2 영역(120)은 비주부(220)에 배치되고, 연결 영역(130)은 코 끝(230)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영역(130)이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가지고 구부려진 채로 형성됨에 따라서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이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코(NS)에 적합하도록 리프팅 실(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의 곡률 반지름이 피시술자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코 끝(230)의 모양이 피시술자에 적합하게 성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연결 영역(130)이 소정의 각도로 구부려진 채로 형성됨에 따라서 리프팅 실(100)이 코(NS)의 내부 조직으로 파고들거나 피부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복원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시술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케뉼라에 배치하여 시술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100)은 시술시에 케뉼라(C)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케뉼라(C)는 피부를 침투하여 피시술자의 조직에 내부의 의료용 실을 삽입할 때 활용하는 의료용 도구를 의미할 수 있다. 리프팅 시술 시에 시술자는 케뉼라(C)를 비주에 삽입함으로써 비주에 제2 영역(120)을 삽입하고, 케뉼라(C)를 후퇴시킴으로써 제2 코그(cg2)에 의해 비주의 조직에 고정된 제2 영역(120)을 비주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 이후 시술자는 케뉼라(C)를 콧대에 삽입함으로써 콧대에 제1 영역(110)을 삽입하고, 케뉼라(C)를 후퇴시킴으로써 제1 코그(cg1)에 의해 콧대의 조직에 고정된 제1 영역(110)을 콧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리프팅 실(100)의 콧대에 배치되는 제1 영역(110)이 케뉼라(C)에 먼저 삽입되고, 비주에 배치되는 제2 영역(120)이 제1 영역(110)에 비해 케뉼라(C)에 나중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연결 영역(130)은 케뉼라(C) 내부에서 제2 각도(deg2)를 가질 수 있고, 리프팅 실(100)은 탄성력이 있는 물질로 형성되므로,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 내로 삽입되고 난 이후에는 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도 3에서 상술한 제1 각도(deg1)로 회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팅 실(100)의 탄성력에 의해 케뉼라(C) 내부에서 피시술자의 코로 배출되면서 리프팅 실(100)의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 사이의 각도가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60도 내지 150도)를 이루도록 회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케뉼라(C)를 활용하여 용이한 시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연결 영역(130a)이 메쉬(Ms)의 형태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팅 실(100a)은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및 연결 영역(130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a)은 메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메쉬 형태(Ms)는 도 3에서 상술한 제1 각도(deg1)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영역(130a)의 중심부위의 직경이 확장되는 경우 코 내부 조직과 리프팅 실(100a)간의 유착부위를 증가시켜 리프팅 실(100a)를 내부 조직에 고정시키기에 효과적일 수 있고, 메쉬 형태(Ms)가 형성하는 표면의 마름모 또는 사각형의 집합의 패턴은 코 연골조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결 영역(130a)은 소정의 패턴을 만드는 메쉬 형태(Ms)면 족하며 일 예시에서 메쉬 형태(Ms)는 복수의 필라멘트의 다발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 영역(130a)이 메쉬 형태(Ms)로 구비되어 상기 코의 연골조직과 맞닿는 표면적이 증가되면 생체 내 이물 반응(foreign body reaction)을 통해 유착되는 정도가 증가될 수 있어 효과가 오래 지속되고 돌출 등의 부작용이 줄어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 또는 체액과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 시술 후 리프팅 실 삽입 시점보다 빠르게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영역(130a)이 메쉬 구조(Ms)로 형성되는 경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PolyDeoxyRiboNucleotide; PDRN) 및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PN)과 같은 생리 활성물질을 유입시키기 매우 용이하며, 리프팅 시술 후 가장 빠른 재생이 요구되는 부위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조직이 용이하게 강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연결 영역(130b)이 스프링(Spr)의 형태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리프팅 실(100b)은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및 연결 영역(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b)은 스프링(Spr)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스프링 형태(Spr)는 도 3에서 상술한 제1 각도(deg1)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Spr)의 형태는 금형이나 사출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스프링(Spr)의 형태는 높은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연결 영역(130b)이 스프링(Spr)의 형태를 갖는 경우 리프팅 실(100b)이 갖는 제1 각도(deg1)와 더불어 스프링(Spr)의 자체적인 탄성으로 인해 코 성형 효과가 증가될 수 있으며,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이 이루는 제1 각도(deg1)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Spr) 형태로 구성되는 연결 영역(130b)은 스프링(Spr) 형태의 특성 상 코 내부 조직과 리프팅 실(100b)이 맞닿는 표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코의 주변조직과 생체 내 이물 반응(foreign body reaction)을 통해 유착되는 정도가 증가될 수 있어 리프팅 사 삽입 효과가 오래 지속되고 돌출 등의 부작용이 줄어들 수 있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100)은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및 연결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영역(110)은 피시술자의 콧대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영역(120)은 피시술자의 비주에 대응될 수 있으며, 연결 영역(130)은 피시술자의 코 끝에 대응될 수 있다. 연결 영역(130),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은 코그(cg1, cg2)의 유무 및 단면적 차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리프팅 실은 외과용 시술 목적으로 만들어진 실로서, 특히 코 성형용으로 콧대를 높이거나 코 끝의 각도를 높이는 리프팅 시술을 위해 만들어진 실로서 리프팅 사 등의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제1 영역(110)에는 복수의 제1 코그들(cg1)가 형성되고, 제2 영역(120)에는 복수의 제2 코그들(cg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그(cg1, cg2)는 리프팅 실(1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실(100)이 피시술자의 코에 삽입됐을 때,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돌기로 호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그(cg1)와 제2 코그(cg2)는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코그(cg2)의 고정력은 제1 코그(cg1)의 고정력보다 더 크도록 제1 코그(cg1) 및 제2 코그(cg2)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그(cg1, cg2)는 리프팅 실(100)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프팅 실(100)의 전후측(도 8을 기준으로 보이는 면과 그 뒷면)에도 일정한 모양의 코그가 형성될 수 있으며, 리프팅 실(100)의 원주면 중 어느 위치에도 상기 코그가 형성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 영역(130)은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의 두께보다 더 두껍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의 두께, 단면적, 단면의 직경은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에 형성된 코그(cg1, cg2)를 제외한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 중 어느 한 위치의 단면적은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의 단면적 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 중 어느 한 위치에 대한 단면의 직경은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에 대한 단면의 직경보다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면은 리프팅 실(1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연결 영역(130)을 자른 단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은 제1 영역(110)에서 제2 영역(120)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더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영역(130)이 비주 및 콧대에 배치되는 영역(110, 120)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콧대에 존재하는 조직이나 연골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고통이 감소하고 시술로 인한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며 시술에 대한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0), 제2 영역(120) 및 연결 영역(130)의 단면은 타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최대 직경은 상기 타원의 장축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0)은 제1 길이(L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영역(120)은 제2 길이(L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0)의 제1 길이(L1)는 제2 영역(120)의 제2 길이(L2)의 1.4배 내지 3배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예시에서, 제1 길이(L1)는 3.5cm 내지 4.5cm로 형성되고, 제1 길이는 1.5cm 내지 2.5c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이 상술한 길이 비 및 길이 범위를 가짐으로써 제1 영역(110)은 시술 과정에서 콧대에 알맞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120)은 시술과정에서 비주에 알맞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도 8에서 상술한 연결 영역(13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 영역(130)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제1 단면(A-A'), 길이 방향의 수직으로 절단하고 제1 영역(110)에 가까운 제2 단면(B-B') 및 길이 방향의 수직으로 절단하고 제2 영역(120)에 가까운 제3 단면(C-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연결 영역(130)은 제1 영역(110)과 제2 단면(B-B')에서 연결되고, 제2 영역(120)과 제3 단면(C-C')에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영역(130)의 두께는 제2 단면(B-B')에 가까울수록 얇게 형성되고, 제3 단면(C-C')에 가까울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영역(130)의 단면적은 제2 단면(B-B')에 가까울수록 좁게 형성되고, 제3 단면(C-C')에 가까울수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영역(130)의 단면의 최대 직경은 제2 단면(B-B')에 가까울수록 짧게 형성되고, 제3 단면(C-C')에 가까울수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의 직경은 제1 영역(110)과 연결되는 제2 단면(B-B')부터 제2 영역(120)과 연결되는 제3 단면(C-C')까지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연결 영역(130)이 피시술자의 코에 배치될 때 두껍게 형성되는 부위가 연골 사이 부위로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코에 위치하는 연골(예를 들면, 비익 연골)에 대한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0은 도 9의 연결 영역(130)을 A-A'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 영역(130)을 길이 방향인 A-A'방향으로 자른 제1 단면(A-A')을 나타낸다. 제1 단면(A-A')은 제1 영역(110)에 가까운 제1 변(A)과 제2 영역(120)에 가까운 제2 변(A')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변(A)은 제1 길이(d1)를 갖고, 제2 변(A')은 제2 길이(d2)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길이(d1)는 제2 길이(d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단면(A-A')은 윗변을 제1 변(A)으로 갖고, 아랫변을 제2 변(A')으로 갖는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1a는 도 9의 연결 영역(130)을 B-B'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내고, 도 11b는 도 9의 연결 영역(130)을 C-C'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11a를 참조하면, 연결 영역(130) 중 제1 영역(110)과 가까운 위치를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B-B'으로 자른 제2 단면(B-B')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면(B-B')은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장축(또는 최대 직경)이 제3 길이(d3)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연결 영역(130) 중 제2 영역(110)과 가까운 위치를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C-C'으로 자른 제3 단면(C-C')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단면(C-C')은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장축(또는 최대 직경)이 제4 길이(d4)로 형성될 수 있고, 제4 길이(d4)는 제3 길이(d3)보다 더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110)과 가까운 제2 단면(B-B')의 최대 직경은 제2 영역(120)과 가까운 제3 단면(C-C')의 최대 직경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연결 영역(130)이 피시술자의 코에 배치될 때 두껍게 형성되는 부위가 연골 사이 부위로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코에 위치하는 연골 및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해부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2는 피시술자의 코(N) 중 콧대 부위에 리프팅 실(100)의 제1 영역(110)이 배치된 예시를 콧대가 나타나도록 바라본 (예를 들면, 피시술자의 코를 정면에서 바라본) 해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은 피시술자의 코(N) 중 비주 부위에 리프팅 실(100)의 제2 영역(120)이 배치된 예시를 비주가 나타나도록 바라본 (예를 들면, 피시술자의 코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해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4은 피시술자의 코(N)를 측면에서 바라본 해부도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도 12에 도시된 제1 영역(110)과 도 13에 도시된 제2 영역(120)은 연결 영역(1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제1 영역(110)은 콧대의 내부 조직 내에 배치됨에 따라서, 콧대의 부피감 및 높이에 대한 변형을 야기할 수 있고, 제2 영역(120)은 비주 부위에 배치됨에 따라서 코의 비주부분을 지지하여 바로 서게 함으로 비주 높이가 올라가며, 비순각(nasolabial angle)을 증가시키는 코에 대한 성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연결 영역(130)은 코 끝에 위치하게 되는데, 코 끝 부위에는 연골(Ca)(예를 들면, 비익 연골)이 존재하고, 연골(Ca)은 중심부위에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이 코그(cg1, cg2)에 의해서 지지됨에 따라서 연결 영역(130)은 양쪽으로 인장력을 받을 수 있다. 리프팅 실(100)의 휘어져 있는 형상으로 인해, 연결 영역(130)은 연골(Ca)의 개구부 방향으로 알짜 힘(F)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알짜 힘(F)은 연골 (Ca)의 중앙부로 작용하여 두 연골 사이의 구조물을 변형 및 손상 시킬 수 있으며, 피시술자에 대한 고통과 시술에 대한 부정확성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연결 영역(130)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연결 영역(130)과 연골(Ca) 사이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피시술자가 받는 압력은 힘을 표면적으로 나눈 값(P=F/A)에 해당하므로, 접촉 면적이 넓게 행성됨에 따라서 피시술자가 받는 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리프팅 실을 활용하여 코 리프팅 시술을 수행하는 경우, 연골(Ca)의 개구부에 대한 압력이 감소하여 피시술자의 고통이 감소할 수 있고, 또한 연결 영역(130)이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서 연골(Ca)의 개구부로 리프팅 실(100)이 쉽게 파고들지 못해서 연골(Ca)에 대한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코 끝을 실질적으로 지지해주므로 코 끝 성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영역(130)이 제2 영역(120)에 가까울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연골(Ca)의 개구부에 연결 영역(130)의 두꺼운 부분이 정확히 배치되도록 리프팅 실(100)이 형성될 수 있고, 개구부에 대한 압력이 감소하는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영역(130)이 제2 영역(120)에 가까울수록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서, 비교적 짧게 형성되는 제2 영역(120)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연결 영역(130)이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고, 연결 영역(130)이 메쉬 형태로 구성되거나, 코일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는 예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국내출원번호 제10-2021-0085757호(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 국내출원번호 제10-2021-0085758호(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에서 상술하고 있으며, 상기 특허 출원서에 포함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에 의해 결합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결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4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5a를 참조하면, 연결 영역(130a)은 제1 영역(110)과 가까운 쪽은 원만한 기울기를 갖도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반면, 제2 영역(120)과 가까운 쪽은 급격하게 두꺼워지는 스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a)이 스푼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연결 영역(130a) 중 연골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연골에 대한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연결 영역(130b)은 복수의 두꺼운 부분과 그 사이 얇은 부분으로 구성되는 파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b)이 파도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표면적 증대가 필요한 부분만을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실이 코에 배치되도록 구부려질 때 얇은 부분으로 구부려짐을 유도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코에 가해질 수 있는 알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5b에서는 두 개의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고, 두 개보다 많은 두꺼운 부분이 연결 영역(130b)에 포함되는 예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연결 영역(130c)은 전체적으로 같은 두께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130c)이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보다 두꺼운 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실(100)을 제조하는 제조 과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리프팅 실(10)은 피시술자의 콧대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리프팅 부(100) 및 피시술자의 비주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리프팅 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프팅 부(100) 및 제2 리프팅 부(200)는 중심축(CL)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리프팅 실은 외과용 시술 목적으로 만들어진 실로서, 특히 코 성형용으로 콧대를 높이거나 코 끝의 각도를 높이는 리프팅 시술을 위해 만들어진 실로서 리프팅 사 등의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제1 리프팅 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그(1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리프팅 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코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그는 리프팅 실(1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실(10)이 피시술자의 코에 삽입됐을 때,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돌기로 호칭될 수도 있다.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그는 리프팅 실(10)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프팅 실(10)의 전후측(도 16을 기준으로 보이는 면과 그 뒷면)에도 일정한 모양의 코그가 형성될 수 있으며, 리프팅 실(10)의 원주면 중 어느 위치에도 상기 코그가 형성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리프팅 부(100)의 제1 코그(11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길이방향(dl)에 접하는 변을 밑변으로 하고, 제1 변(111)과 제2 변(112)의 윗변으로 하는 완만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그(110)의 단면은 길이 방향(dl)의 일측과 제1 변(111)이 만나는 제1-1 점(A1)과, 길이 방향(dl)의 타측과 제2 변(112)이 만나는 제1-3 점(A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변(111)과 제2 변(112)이 만나는 제1-2 점(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프팅 부(200)의 제2 코그(21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길이방향(dl)에 접하는 변을 밑변으로 하고, 제3 변(211)과 제4 변(212)의 윗변으로 하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코그(210)의 단면은 길이 방향(dl)의 일측과 제3 변(211)이 만나는 제2-1 점(B1)과, 길이 방향(dl)의 타측과 제4 변(212)이 만나는 제2-3 점(B3)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변(211)과 제4 변(212)이 만나는 제2-2 점(B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코그(110)의 제1 변(111)과 제2 변(112)은 제1-2 점(A2)을 기준으로 좌우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제1 코그(110)는 길이 방향(dl)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하는 방향(도 16의 예시에서, 좌에서 우로 진행하는 방향)과, 길이 방향(dl)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진행하는 방향(도 16의 예시에서, 우에서 좌로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서 모두 원만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제1 코그(110)가 양방향에 대해 원만한 기울기를 갖는 예각 삼각형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케뉼라로부터 역방향으로 배출될 때에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이에 관해서는 도 20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2 코그(210)의 제3 변(211)과 제4 변(212)은 모두 제2-2 점(B2)을 기준으로 타측 방향(도 16의 예시에서, 우에서 좌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2 코그(210)는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해서는 제2-2 점(B2) 또는 제3-2 점(C2)에 의해 걸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코그(210)가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해서 걸림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시술에 있어서 고정력이 높아질 수 있고, 이에 관해서 도 19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제1 코그(110)가 예각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기 위해, 제1 코그(110)의 제1-2 점(A2)에서 폭 방향(dw)으로 중심축(CC)으로 내린 수선과 리프팅 실(10)의 수평선이 만나는 위치의 제1-4 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그(110)의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선 사이의 제1 각(θ1)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1 변(111)은 수평선의 같은 방향에 대해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코그(210)가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기 위해, 제2 코그(210)의 제2-2 점(B2)에서 폭 방향(dw)으로 중심축(CC)으로 내린 수선과 리프팅 실(10)의 수평선이 만나는 위치의 제2-4 점(B2-1)은 제2-1 점(B1) 및 제2-3 점(B3)의 일측(도 16의 예시에서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그(210)의 제3 변(211)과 리프팅 실(10)의 수평선 사이의 제2 각(θ2)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4 변(212)은 수평선의 같은 방향에 대해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그(110)의 높이(예를 들면, 제1-2 점(A2)부터 제1-4 점(A4)까지 거리)는 제2 코그(210)의 높이(예를 들면, 제2-2 점(B2)부터 제2-4 점(B4)까지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코그(11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케뉼라로부터 배출이 용이할 수 있고, 제2 코그(210)는 코에 대한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프팅 부(100)에 제2 코그(210)가 배치되고, 제2 리프팅 부(100)에 제1 코그(110)가 배치됨으로써 비주에 제1 코그(110)가 배치되고, 콧대에 제2 코그(210)가 배치되는 실시예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7는 도 16의 리프팅 실(10)의 측면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10)의 제1 코그(110), 제2 코그(210) 각각은 측면에 돌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삼각형 또는 원 뿔 형태의 돌기가 제1 코그(110), 제2 코그(210) 각각의 측면에 성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이며 추가적인 고정력을 부여하는 돌기라면 어떠한 형태이든 제1 코그(110), 제2 코그(210) 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16에서 제1 코그(110), 제2 코그(210) 각각의 형상으로 도시된 형태(예를 들면, 완만한 삼각형 또는 뾰족한 삼각형)가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는 제1 코그(110), 제2 코그(210)의 평면과 측면의 모양이 다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고, 제1 코그(110), 제2 코그(210)는 평면과 측면의 모양이 동일한 원형 회전체(예를 들면, 원뿔)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8은 리프팅 실(10)이 케뉼라(300)에 들어가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케뉼라(300)는 끝부분이 둥글고, 중간에 케뉼라 구멍(310)이 있는 바늘이며, 그 안에 리프팅 실(10)이 들어가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배출구(310)을 통해 리프팅 실(10)의 제1 코그(110), 제2 코그(210) 가 피부조직에 고정되고, 케뉼라(300)는 피부조직에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리프팅 시술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주에 대한 시술이후에 콧대에 대한 시술이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제1 리프팅 부(100)에 포함되는 제1 코그(110)가 케뉼라(300)에 먼저 삽입되고, 제2 리프팅 부(200)에 포함되는 제2 코그(210)가 나중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례에 대한 설명과 도시의 용이함을 위해, 도 18 내지 도 20에서 케뉼라(300)의 크기는 일반적인 케뉼라(30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표현될 수 있고, 리프팅 실(10)에 포함된 코그들(110, 210)의 개수는 실제 개수와 상이하게 임의로 표현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19은 리프팅 실(10)이 피시술자의 비주에 들어가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9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리프팅 실(10)이 안에 배치된 케뉼라(300)를 피시술자의 비주부에 삽입하고, 삽입한 케뉼라(300)를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코그(210)의 제2 각(도 16, θ2)이 예각을 이룸에 따라서 제2 코그(210)의 제2-2 점(도 16, B2)의 날카로운 형상이 비주부에 제2 리프팅 부(200)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케뉼라(300)의 회수 과정에서 배출구(310)를 통해서 제2 리프팅 부(200)는 피시술자의 비주부에 단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그(210)의 제4 변(도 16, 212)이 완만한 경사를 가짐으로써 케뉼라(300)의 회수 과정에서 제2 리프팅 부(200)가 배출구(310)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20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20은 리프팅 실(10)이 피시술자의 콧대에 들어가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16 및 도 20(a)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10)의 제2 리프팅 부(200)가 피시술자의 비주에 배치된 이후, 시술자는 케뉼라(300)의 방향을 바꾸어 콧대에 케뉼라(300)를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코그(210)가 비주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어 케뉼라(300)의 콧대부 진입시에도 리프팅 실(10)이 케뉼라(300)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케뉼라(300)를 콧대에 삽입함으로써 제1 리프팅 부(100)를 콧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필연적으로 케뉼라(300)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리프팅 부(100)가 배치되고, 제1 리프팅 부(100)는 꺾인 상태로 배출구(210)로부터 배출될 수 밖에 없고, 제1 리프팅 부(100)의 코그와 배출구(310) 사이에 걸림 현상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그(110)의 제1 각(도 16, θ1)이 둔각을 이룸에 따라서 제2 코그(210)가 케뉼라(300)로부터 배출될 때 제2 코그(210)의 완만한 변(예를 들면, 제2 변(도 16, 112))을 따라서 배출구(310)로부터 제1 리프팅 부(100)가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꺾인 방향에도 불구하고 제1 코그(110)가 용이하게 케뉼라(3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20(c)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케뉼라(300)를 이용하여 리프팅 실(10)의 끝까지 배치를 완료하고, 삽입한 케뉼라(300)를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코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21은 도 16의 제1 코그(110)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c)를 참조하면, 제2 변(112)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1 변(111)은 직선(도 21(a)), 볼록 형태(도 21(b)), 오목 형태(도 21(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2 점(A2)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16,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c)를 참조하면, 제2 변(112)은 볼록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변(111)은 직선(도 22(a)), 볼록 형태(도 22(b)), 오목 형태(도 22(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2 점(A2)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16, θ1)은 직각 또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를 참조하면, 제2 변(112)은 오목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변(111)은 직선(도 22(a)), 볼록 형태(도 22(b)), 오목 형태(도 22(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2 점(A2)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16,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1)과 제1-3 점(A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1 코그(110)가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에서도 제1 코그(110)의 제1 각(도 16, θ1)이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룸에 따라서 제2 코그(210)가 케뉼라(300)로부터 배출될 때 제2 코그(210)의 완만한 변(예를 들면, 제2 변(112))을 따라서 배출구(310)로부터 제1 리프팅 부(100)가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꺾인 방향에도 불구하고 제1 코그(110)가 용이하게 케뉼라(3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코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24은 도 16의 제1 코그(110)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4(a) 내지 도 24(c)를 참조하면, 제1 코그(110)는 N(N은 4 이상의 자연수)각형 형태의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a)의 예시에서, 제1 코그(110)는 윗변(113)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윗변(113)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16,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4(b)의 예시에서, 제1 코그(110)는 윗변(113)이 볼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윗변(113)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16,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4(c)의 예시에서, 제1 코그(110)는 윗변(113)이 볼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윗변(113)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16의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5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25은 제1 리프팅 부(100)가 제3 코그(1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6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5을 참조하면, 제1 리프팅 부(100)는 길이 방향(dl)의 가장 끝단에 마련되는 제3 코그(120) 및 제3 코그(120)보다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그(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코그(120)의 단면은 제2 코그(210)의 단면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프팅 부(100)의 제3 코그(12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길이방향(dl)에 접하는 변을 밑변으로 하고, 제5 변(121)과 제6 변(122)의 윗변으로 하는 완만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그(110)의 단면은 길이 방향(dl)의 일측과 제1 변(111)이 만나는 제1-1 점(A1)과, 길이 방향(dl)의 타측과 제2 변(112)이 만나는 제1-3 점(A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변(111)과 제2 변(112)이 만나는 제1-2 점(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5 변(121)과 제6 변(122)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리프팅 부(100)의 제3 코그(12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길이방향(dl)에 접하는 변을 밑변으로 하고, 제5 변(121)과 제6 변(122)의 윗변으로 하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코그(120)의 단면은 길이 방향(dl)의 일측과 제5 변(121)이 만나는 제3-1 점(C1)과, 길이 방향(dl)의 타측과 제6 변(122)이 만나는 제3-3 점(C3)를 포함할 수 있고, 제5 변(121)과 제6 변(122)이 만나는 제3-2 점(C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코그(120)의 제5 변(121)과 제6 변(122)은 모두 제3-2 점(C2)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도 16의 예시에서, 우에서 좌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3 코그(120)는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해서는 제3-2 점(C2)에 의해 걸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코그(120)가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해서 걸림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시술에 있어서 고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제3 코그(120)가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기 위해, 제3 코그(120)의 제3-2 점(C2)에서 폭 방향(dw)으로 중심축(CC)으로 내린 수선과 리프팅 실(10)의 수평선이 만나는 위치의 제3-4 점(C2-1)은 제3-1 점(C1) 및 제3-3 점(C3)의 타측(도 16의 예시에서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코그(120)의 제6 변(12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선 사이의 제3 각(θ3)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 제5 변(121)은 수평선의 같은 방향에 대해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3 코그(120)의 제3 각(θ3)이 예각을 이룸에 따라서 제3 코그(120)의 제3-2 점(c2)의 날카로운 형상이 콧대부에 제1 리프팅 부(100)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리프팅 실(10)이 전체적으로 시술자의 코에 단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그(110)의 높이(예를 들면, 제1-2 점(A2)부터 제1-4 점(A4)까지 거리)는 제3 코그(120)의 높이(예를 들면, 제3-2 점(C2)부터 제3-4 점(C4)까지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코그(11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케뉼라로부터 배출이 용이할 수 있고, 제2 코그(210) 및 제3 코그(120)는 코에 대한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 25에서는 하나의 제3 코그(120)가 제1 리프팅 부(100)에 포함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고, 또 다른 예시에서 하나보다 많은 제3 코그(120)가 제1 리프팅 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프팅 부(100)가 제3 코그(120)가 없이 제1 코그(110) 만으로 구성되는 예시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리프팅 실(10)은 피시술자의 콧대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리프팅 부(100) 및 피시술자의 비주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리프팅 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프팅 부(100) 및 제2 리프팅 부(200)는 중심축(CL)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리프팅 실은 외과용 수술 목적으로 만들어진 실로서, 특히 코 성형용으로 콧대를 높이거나 코 끝의 각도를 높이는 리프팅 시술을 위해 만들어진 실로서 리프팅 사 등의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제1 리프팅 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음각 코그(1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리프팅 부(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각 코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그는 리프팅 실(10)로부터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실(10)이 피시술자의 코에 삽입됐을 때,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돌기로 호칭될 수도 있다. 도 2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그는 리프팅 실(10)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프팅 실(10)의 전후측(도 26을 기준으로 보이는 면과 그 뒷면)에도 26정한 모양의 코그가 형성될 수 있으며, 리프팅 실(10)의 원주면 중 어느 위치에도 상기 코그가 형성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음각 코그는 돌출 돌기로 형성되지 않고, 리프팅 실(1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굴곡이 형성됨으로써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에 걸림 현상을 유도하는 코그를 의미할 수 있고, 양각 코그는 리프팅 실(10)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굴곡이 형성됨으로써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에 걸림 현상을 유도하는 코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제1 리프팅 부(100)는 음각 코그(110)를 포함함으로써 두께(tn)가 양각 코그(210)가 채용될 때에 비해서 두꺼워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콧대의 부피감이 증가하여 피시술자의 수술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 수 있다.
제1 리프팅 부(100)의 음각 코그(11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길이방향(dl)에 평행한 표면(SF)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변(111)과 제2 변(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변(111)과 표면(SF) 사이의 제1 각(θ1)은 둔각 또는 직각일 수 있고, 제2 변(112)과 표면(SF) 사이의 제2 각(θ2)은 둔각 또는 직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변(111)과 제2 변(112)은 표면(SF)의 연장선과 완만한 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고, 케뉼라가 제1 리프팅 부(100)로부터 역방향으로 배출될 때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도 29등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음각 코그(110)의 단면 형태는 리프팅 실(10)의 표면(SF)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생기는 공간의 모양(예를 들면, 제1-1 점(A1), 제1-2 점(A2), 제1-3 점(A3)으로 구성되는 삼각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양각 코그(210)의 단면 형태는 리프팅 실(10)의 표면(SF)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생기는 돌기의 모양(예를 들면, 제2-1 점(B1), 제2-2 점(B2), 제2-3 점(B3)으로 구성되는 삼각형)을 의미할 수 있다.
음각 코그(110)의 단면은 길이 방향(dl)의 일측과 제1 변(111)이 만나는 제1-1 점(A1)과, 길이 방향(dl)의 타측과 제2 변(112)이 만나는 제1-3 점(A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변(111)과 제2 변(112)이 만나는 제1-2 점(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프팅 부(200)의 양각 코그(21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길이방향(dl)에 접하는 변을 밑변으로 하고, 제3 변(211)과 제4 변(212)의 윗변으로 하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양각 코그(210)의 단면은 길이 방향(dl)의 일측과 제3 변(211)이 만나는 제2-1 점(B1)과, 길이 방향(dl)의 타측과 제4 변(212)이 만나는 제2-3 점(B3)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변(211)과 제4 변(212)이 만나는 제2-2 점(B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각 코그(110)의 제1 변(111)과 제2 변(112)은 제1-2 점(A2)을 기준으로 좌우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음각 코그(110)는 길이 방향(dl)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하는 방향(도 26의 예시에서, 좌에서 우로 진행하는 방향)과, 길이 방향(dl)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진행하는 방향(도 26의 예시에서, 우에서 좌로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서 모두 원만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음각 코그(110)가 양방향에 대해 원만한 기울기를 갖는 완만한 삼각형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케뉼라로부터 역방향으로 배출될 때에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이에 관해서는 도 29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양각 코그(210)의 제3 변(211)과 제4 변(212)은 모두 제2-2 점(B2)을 기준으로 타측 방향(도 26의 예시에서, 우에서 좌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양각 코그(210)는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해서는 제2-2 점(B2) 또는 제3-2 점(C2)에 의해 걸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각 코그(210)가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해서 걸림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시술에 있어서 고정력이 높아질 수 있고, 이에 관해서 도 28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음각 코그(110)가 완만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기 위해, 음각 코그(110)의 제1-2 점(A2)에서 폭 방향(dw)으로 내린 수선과 리프팅 실(10)의 표면(SF)의 연장선이 만나는 위치의 제1-4 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양각 코그(210)가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기 위해, 양각 코그(210)의 제2-2 점(B2)에서 폭 방향(dw)으로 중심축으로 내린 수선과 리프팅 실(10)의 수평선이 만나는 위치의 제2-4 점(B2-1)은 제2-1 점(B1) 및 제2-3 점(B3)의 일측(도 26의 예시에서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양각 코그(210)의 제3 변(211)과 리프팅 실(10)의 수평선 사이의 제3 각(θ3)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4 변(212)은 수평선의 같은 방향에 대해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리프팅 부(100)에 양각 코그(210)가 배치되고, 제2 리프팅 부(100)에 음각 코그(110)가 배치됨으로써 비주에 음각 코그(110)가 배치되고, 콧대에 양각 코그(210)가 배치되는 실시예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7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27는 리프팅 실(10)이 케뉼라(300)에 들어가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케뉼라(300)는 끝부분이 둥글고, 중간에 케뉼라 구멍(310)이 있는 바늘이며, 그 안에 리프팅 실(10)이 들어가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배출구(310)을 통해 리프팅 실(10)의 음각 코그(110), 양각 코그(210) 가 피부조직에 고정되고, 케뉼라(300)는 피부조직에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리프팅 시술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주에 대한 시술이후에 콧대에 대한 시술이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제1 리프팅 부(100)에 포함되는 음각 코그(110)가 케뉼라(300)에 먼저 삽입되고, 제2 리프팅 부(200)에 포함되는 양각 코그(210)가 나중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례에 대한 설명과 도시의 용이함을 위해, 도 27 내지 도 29에서 케뉼라(300)의 크기는 일반적인 케뉼라(30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표현될 수 있고, 리프팅 실(10)에 포함된 코그들(110, 210)의 개수는 실제 개수와 상이하게 임의로 표현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28은 리프팅 실(10)이 피시술자의 비주에 들어가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26 및 도 28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리프팅 실(10)이 안에 배치된 케뉼라(300)를 피시술자의 비주부에 삽입하고, 삽입한 케뉼라(300)를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각 코그(210)의 제3 각(도 26, θ3)이 예각을 이룸에 따라서 양각 코그(210)의 제2-2 점(도 26, B2)의 날카로운 형상이 비주부에 제2 리프팅 부(200)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케뉼라(300)의 회수 과정에서 배출구(310)를 통해서 제2 리프팅 부(200)는 피시술자의 비주부에 단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양각 코그(210)의 제4 변(도 26, 212)이 완만한 경사를 가짐으로써 케뉼라(300)의 회수 과정에서 제2 리프팅 부(200)가 배출구(310)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29는 리프팅 실(10)이 피시술자의 콧대에 들어가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26 및 도 29(a)를 참조하면, 리프팅 실(10)의 제2 리프팅 부(200)가 피시술자의 비주에 배치된 이후, 시술자는 케뉼라(300)의 방향을 바꾸어 콧대에 케뉼라(300)를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양각 코그(210)가 비주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어 케뉼라(300)의 콧대부 진입시에도 리프팅 실(10)이 케뉼라(300)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9(b)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케뉼라(300)를 콧대에 삽입함으로써 제1 리프팅 부(100)를 콧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필연적으로 케뉼라(300)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리프팅 부(100)가 배치되고, 제1 리프팅 부(100)는 꺾인 상태로 배출구(210)로부터 배출될 수 밖에 없고, 제1 리프팅 부(100)의 코그와 배출구(310) 사이에 걸림 현상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각 코그(110)의 제1 각(도 26, θ1)이 둔각을 이룸에 따라서 양각 코그(210)가 케뉼라(300)로부터 배출될 때 양각 코그(210)의 완만한 변(예를 들면, 제2 변(도 26, 112))을 따라서 배출구(310)로부터 제1 리프팅 부(100)가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꺾인 방향에도 불구하고 음각 코그(110)가 용이하게 케뉼라(3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9(c)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케뉼라(300)를 이용하여 리프팅 실(10)의 끝까지 배치를 완료하고, 삽입한 케뉼라(300)를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수할 수 있다. 이때, 리프팅 실(10)이 음각 코그(110)로 구성도미에 따라서 피시술자에 배치되는 제1 리프팅 부(100)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콧대의 부피감이 증가하여 피시술자의 수술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2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음각 코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30 내지 도 32은 도 26의 음각 코그(110)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0(a) 내지 도 30(c)를 참조하면, 제2 변(112)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1 변(111)은 직선(도 30(a)), 볼록 형태(도 30(b)), 오목 형태(도 30(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2 점(A2)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 26,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1(a) 내지 도 31(c)를 참조하면, 제2 변(112)은 볼록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변(111)은 직선(도 31(a)), 볼록 형태(도 31(b)), 오목 형태(도 31(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2 점(A2)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 26, θ1)은 직각 또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2(a) 내지 도 32(c)를 참조하면, 제2 변(112)은 오목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변(111)은 직선(도 32(a)), 볼록 형태(도 32(b)), 오목 형태(도 32(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2 점(A2)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 26,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1)과 제1-3 점(A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2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음각 코그(110)가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에서도 음각 코그(110)의 제1 각(도 26, θ1)이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룸에 따라서 음각 코그(110)가 케뉼라(300)로부터 배출될 때 음각 코그(110)의 완만한 변(예를 들면, 제2 변(112))을 따라서 배출구(310)로부터 제1 리프팅 부(100)가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꺾인 방향에도 불구하고 음각 코그(110)가 용이하게 케뉼라(3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코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33은 도 26의 음각 코그(110)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3(a) 내지 도 33(c)를 참조하면, 음각 코그(110)의 단면은 N(N은 4 이상의 자연수)각형 형태의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3(a)의 예시에서, 음각 코그(110)는 아랫변(113)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아랫변(113)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26,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3(b)의 예시에서, 음각 코그(110)는 아랫변(113)이 볼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아랫변(113)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26,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3(c)의 예시에서, 음각 코그(110)는 아랫변(113)이 볼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아랫변(113)에서 좌우로 진행하도록 제1 변(111) 및 제2 변(1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112)과 리프팅 실(10)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26의 θ1)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1-4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프팅 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34는 제1 리프팅 부에 음각 코그를 포함한 여러 코그가 포함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6 및 도 34(a)를 참조하면, 제1 리프팅 부(100a)는 제1 음각 코그(110a_1)와 제2 음각 코그(110a_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음각 코그(110a_1)와 제2 음각 코그(110a_2)는 서로 중심축이 교차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그의 중심축은 코그의 꼭지점(예를 들면, 도 26의 A2)로부터 폭방향(도 26의 dw)으로 내린 축을 의미할 수 있고, 도 34(a)의 예시에서 제1 리프팅 부(100a)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음각 코그(110a_1)와 타면에 배치된 제2 음각 코그(110a_2)는 그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각 코그의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됨으로써 리프팅 실(10)이 끊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34(b)를 참조하면, 제1 리프팅 부(100b)는 제1 음각 코그(110b_1)와 제2 음각 코그(110b_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음각 코그(110b_1)와 제2 음각 코그(110b_2)는 서로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리프팅 부(100b)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음각 코그(110b_1)와 타면에 배치된 제2 음각 코그(110b_2)는 그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리프팅 실(10)의 제조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캐뉼라에서 배출될 때 양쪽 음각 코그가 한번에 빠져나옴으로써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34(c)를 참조하면, 제1 리프팅 부(100c)는 일면에 음각 코그(110c_1)가 배치되고 타면에 제1 양각 코그(110c_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양각 코그(110c_2)는 완만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된 코그로서, 도 26에서 상술한 음각 코그(1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 양각 코그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양각 코그(110c_2) 역시 양 측면 기울기가 완만하게 형성됨으로써 케뉼라로부터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프팅 부(100c)가 음각 코그(110c_1)와 제1 양각 코그(110c_2)를 포함함으로써 케뉼라로부터의 배출이 용이함과 동시에 제1 양각 코그(110c_2)에 기한 걸림성이 증대되어 시술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34(d)를 참조하면, 제1 리프팅 부(100d)는 일면에 음각 코그(110d_1)가 배치되고 타면에 제2 양각 코그(110d_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양각 코그(110d_2)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된 코그로서, 도 26에서 상술한 양각 코그(2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프팅 부(100d)가 음각 코그(110d_1)와 제2 양각 코그(110d_2)를 포함함으로써 케뉼라로부터의 배출이 용이함과 동시에 제2 양각 코그(110d_2)에 기한 걸림성이 증대되어 시술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34에서는 한면에 하나의 코그가 배치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리프팅부(100)의 한면에 서로 다른 코그 형태가 포함되는 실시예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리프팅 부의 한면에는 음각 코그와 양각 코그가 서로 교차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도 35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을 참조하면, 리프팅 실(10)은 피시술자의 콧대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리프팅 부(100), 피시술자의 비주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리프팅 부(200), 제1 리프팅 부(10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피시술자의 콧대 부분에 배치되는 제1 연장부(300) 및 제2 리프팅 부(200)로부터 제1 방향(d1)과 반대의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피시술자의 비주 부분에 배치되는 제2 연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실은 외과용 시술 목적으로 만들어진 실로서, 특히 코 성형용으로 콧대를 높이거나 코 끝의 각도를 높이는 리프팅 시술을 위해 만들어진 실로서 리프팅 사 등의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리프팅 실(10)은 원재료를 사출한 후 가압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원재료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원재료에 의해 사출된 리프팅 실은 전체적으로 탄성이 있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프팅 실은 온도 복원 소재(예를 들면,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리프팅 실은 체온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피시술자에게 적합하게 세팅된 각도가 리프팅 실에 기억될 수 있고, 신체 내부에서 리프팅 실이 상기 소정의 각도를 복원함에 따라서 리프팅 시술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리프팅 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그(1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리프팅 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코그(2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연장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코그(3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연장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코그(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그는 리프팅 실(10)로부터 돌출되거나 삽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실(10)이 피시술자의 코에 삽입됐을 때,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돌기로 호칭될 수도 있다. 도 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그는 리프팅 실(10)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프팅 실(10)의 전후측(도 35을 기준으로 보이는 면과 그 뒷면)에도 35정한 모양의 코그가 형성될 수 있으며, 리프팅 실(10)의 원주면 중 어느 위치에도 상기 코그가 형성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리프팅 부(100)의 제1 코그(11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표면과 접하는 변을 밑변으로 하고, 제1 변(111)과 제2 변(112)의 윗변으로 하는 완만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그(110)의 단면은 표면과 제1 변(111)이 만나는 제1-1 점(A1)과, 표면과 제2 변(112)이 만나는 제1-3 점(A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변(111)과 제2 변(112)이 만나는 제1-2 점(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그(110)는 완만한 양각 코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양각 코그는 리프팅 실(10)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코그를 의미할 수 있고, 완만한 양각 코그는 코그를 구성하는 삼각형이 모든 각을 예각으로 갖는 예각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코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코그(110)의 제1-2 점(A2)에서 리프팅 실(10)의 중심축으로 내린 수선과 리프팅 실(10)의 표면이 만나는 위치의 제1-4 점(A2-1)은 제1-1 점(A1)과 제1-3 점(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그(110)의 제2 변(112)과 제1 방향(d1) 사이의 제1 각(θ1)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1 변(111)은 제1 방향(d1)에 대해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리프팅 부(200)의 제2 코그(21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표면에 접하는 변을 밑변으로 하고, 제3 변(211)과 제4 변(212)의 윗변으로 하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코그(210)의 단면은 표면과 제3 변(211)이 만나는 제2-1 점(B1)과, 표면과 제4 변(212)이 만나는 제2-3 점(B3)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변(211)과 제4 변(212)이 만나는 제2-2 점(B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코그(210)는 뾰족한 양각 코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뾰족한 양각 코그는 코그를 구성하는 삼각형의 적어도 하나의 각이 직각 또는 둔각을 갖는 둔각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코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 코그(210)의 제2-2 점(B2)에서 리프팅 실(10)의 중심축으로 내린 수선과 리프팅 실(10)의 표면이 만나는 위치의 제2-4 점(B2-1)은 제2-1 점(B1) 및 제2-3 점(B3)의 제1 방향(d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그(210)의 제3 변(211)과 제1 방향(d1) 사이의 제2 각(θ2)은 예각을 이룰 수 있고, 제4 변(212) 역시 제1 방향(d1)에 대해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1 연장부(300)의 제3 코그(31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표면에 접하는 변을 밑변으로 하고, 제5 변(311)과 제6 변(312)의 윗변으로 하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코그(310)의 단면은 표면과 제5 변(311)이 만나는 제3-1 점(C1)과, 표면과 제6 변(312)이 만나는 제3-3 점(C3)를 포함할 수 있고, 제5 변(311)과 제6 변(312)이 만나는 제3-2 점(C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코그(310)는 제1 방향(d1)으로 예각을 형성하는 뾰족한 양각 코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 코그(310)의 제3-2 점(C2)에서 리프팅 실(10)의 중심축으로 내린 수선과 리프팅 실(10)의 표면이 만나는 위치의 제3-4 점(C2-1)은 제3-1 점(C1) 및 제3-3 점(C3)의 제1 방향(d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코그(310)의 제5 변(311)과 제1 방향(d1) 사이의 제3 각(θ3)은 예각을 이룰 수 있고, 제6 변(312) 역시 제1 방향(d1)에 대해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연장부(400)의 제4 코그(410)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표면에 접하는 변을 밑변으로 하고, 제7 변(411)과 제8 변(412)의 윗변으로 하는 뾰족한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4 코그(410)의 단면은 표면과 제7 변(411)이 만나는 제4-1 점(D1)과, 표면과 제8 변(412)이 만나는 제4-3 점(D3)를 포함할 수 있고, 제7 변(411)과 제8 변(412)이 만나는 제4-2 점(D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코그(410)는 제2 방향(d2)으로 예각을 형성하는 뾰족한 양각 코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4 코그(410)의 제4-2 점(D2)에서 리프팅 실(10)의 중심축으로 내린 수선과 리프팅 실(10)의 표면이 만나는 위치의 제4-4 점(D2-1)은 제4-1 점(D1) 및 제4-3 점(D3)의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4 코그(410)의 제7 변(411)과 제2 방향(d2) 사이의 제4 각(θ4)은 예각을 이룰 수 있고, 제8 변(412) 역시 제2 방향(d2)에 대해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리프팅 부(100)의 길이는 41mm 내지 49mm로 형성되고, 제2 리프팅 부(200)의 길이는 18mm 내지 22mm로 형성되고, 제1 연장부(300)의 길이는 26mm 내지 32mm로 형성되고, 제2 연장부(400)의 길이는 13mm 내지 15mm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길이를 채용함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콧대와 비주에 적합한 리프팅 실(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10)은 피시술자의 코에 배치되는 리프팅 부(100, 200) 외에 추가적으로 연장부(300, 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연장부가 피시술자의 코에 배치됨에 따라서 리프팅 시술 결과 피시술자의 코에 배치되는 리프팅 실(10)의 부피감이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시술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장부(300)는 제1 방향(d1)과 예각을 형성하는 뾰족한 양각 코그를 포함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콧대 조직과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2 연장부(400)는 제2 방향(d2)과 예각을 형성하는 뾰족한 양각 코그를 포함함으로써 피시술자의 비주 조직과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6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는 도 35의 제1 연장부(30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36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는 제1 서브 연장부(301), 제2 서브 연장부(302) 및 제3 서브 연장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연장부(301)는 뾰족한 양각 코그의 형상을 갖는 제3 코그(310)를 포함하고, 제3 서브 연장부(303)는 뾰족한 양각 코그의 형상을 갖는 제5 코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브 연장부(302)는 코그 없이 두껍게 사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시술자의 콧대에 추가적인 부피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연장부(301)는 6mm 내지 8mm의 길이로 형성되고, 제2 서브 연장부(302)는 14mm 내지 18mm의 길이로 형성되고, 제3 서브 연장부(303)는 6mm 내지 8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두께감을 갖는 제2 서브 연장부(302)가 콧대에서 부피감을 부여하는 가장 적합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6에서 제1 연장부(300)가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예시는 일 실시예이고,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1 리프팅 부(100)와 제1 연장부(300)는 소정의 각도(deg)를 갖도록 구부려진 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프팅 실(10)은 제1 리프팅 부(100)와 제1 연장부(300) 사이를 구부린 상태에서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프팅 실(10)은 제1 리프팅 부(100)와 제1 연장부(300) 사이를 가열하고 구부린 상태에서 굳힘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리프팅 부(100)와 제1 연장부(300) 사이는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가지도록 구부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각도(deg)는 30도 내지 150도 중 어느 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리프팅 실(10)이 소정의 각도(deg)로 구부려진 채로 형성됨에 따라서 시술에 활용되는 케뉼라 내부에서 배출이 용이할 수 있고, 피시술자의 콧대에 제1 리프팅 부(100)와 제1 연장부(300)가 접힌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7에서는 리프팅 실(10)의 측면이 구부려진 형태에 대해서 도시하고 잇으나, 이는 일 예시이고, 리프팅 실(10)은 제1 리프팅 부(100)와 제1 연장부(300) 사이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구부려지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8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활용하여 시술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를 참조하면, 피시술자의 코(NS)는 콧대부(P1), 비주부(P2) 로 구분될 수 있고, 리프팅 시술을 통해 리프팅 실(100)의 제1 리프팅 부(100) 및 제1 연장부(300)는 콧대부(P1)에 배치되고, 제2 리프팅 부(200) 및 제2 연장부(400)는 비주부(P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리프팅 실(10)이 제1 연장부(300) 및 제2 연장부(400)를 포함함으로써 제1 리프팅 부(100) 및 제2 리프팅 부(200)만을 포함할 때 보다 콧대부(P1) 및 비주부(P2)에 리프팅 실(10)이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리프팅 시술 시 코(NS)에 대한 부피감이 증가하여 피시술자의 시술 만족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제1 연장부(300)는 비교적 두꺼운 두께감을 갖는 부분(예를 들면, 도 36의 제2 서브 연장부(302)을 포함함으로써 코(NS)에 대한 부피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피시술자의 시술 만족도 역시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도 39a 내지 도 39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39a 내지 도 39c는 제1 연장부(300)가 다양한 두께를 채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a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a)는 제1 서브 연장부(301), 제2 서브 연장부(302a), 제3 서브 연장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연장부(302a)는 제1 두께(d1)를 가질 수 있고, 제1 서브 연장부(301)는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두께(d1)는 제2 두께(d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코에 대한 부피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서브 연장부(301)의 제2 두께(d2)는 0.6mm 내지 0.7mm로 형성되고, 제2 서브 연장부(302a)의 제1 두께(d1)는 0.8mm 내지 0.9mm로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범위를 채용함에 따라서 적합한 두께감을 피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9b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b)는 제1 서브 연장부(301), 제2 서브 연장부(302b), 제3 서브 연장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연장부(302b)는 제3 두께(d3)를 가질 수 있고, 제1 서브 연장부(301)는 제4 두께(d4)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두께(d3)는 제4 두께(d4)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리프팅 실(300b)을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생성 하면서도, 제1 연장부(300b) 채용에 따라서 코에 대한 부피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9c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c)는 제6 두께(d6)를 갖고, 코그를 포함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6 두께(d6)는 제1 리프팅 부(100)의 제5 두께(d5)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리프팅 실(10)을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생성 하면서도, 제1 연장부(300c)를 두껍게 형성함에 따른 부피감을 코에 부여할 수 있다.
도 39a 내지 도 39c는 제1 연장부(300)가 다양한 두께를 채용하는 예시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연장부(300)가 두께에 대한 변화를 통해 콧대에 부피감을 부여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0a 내지 도 40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0a 내지 도 40c는 제1 연장부(300)에 다양한 양각 코그를 채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a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d)는 제1 서브 연장부(301), 제2 서브 연장부(302d), 제3 서브 연장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연장부(302d)는 도 35에서 상술한 뾰족한 양각 코그(예를 들면, 제2 코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부(300d)가 모두 뾰족한 양각 코그를 포함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조직에 대한 걸림 현상이 극대화됨으로써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 40b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e)는 제1 서브 연장부(301), 제2 서브 연장부(302e), 제3 서브 연장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연장부(302e)는 도 35에서 상술한 완만한 양각 코그(예를 들면, 제1 코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부(300e)의 적어도 35부에 포함되는 완만한 양각 코그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조직에 대한 걸림 현상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적합한 고정력을 피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0c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f)는 도 35에서 상술한 완만한 양각 코그(예를 들면, 제1 코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부(300f)의 전부가 제1 리프팅 부(100)와 동일하게 완만한 양각 코그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실(10)의 제1 리프팅 부(100)를 연장 형성함으로써 제1 연장부(300f)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리프팅 실(10)에 대한 공정 난이도가 감소할 수 있고, 제1 연장부(300f)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피시술자에게 알맞은 리프팅 실(10)을 형성하는 것도 용이할 수 있으며, 케뉼라로부터 리프팅 실(10)이 빠져나올 때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도 40a 내지 도 40c는 제1 연장부(300)가 다양한 코그를 채용하는 예시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연장부(300)가 서브 연장부 별로 다양하고 서로 다른 종류의 코그를 채용함으로써 콧대에 대한 부피감을 부여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연장부(301)에 완만한 양각 코그가 채용되고, 제2 서브 연장부(302) 및 제3 서브 연장부(303)에 코그가 포함되지 않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1a 및 도 41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1a 및 도 41b는 제1 연장부(300)에 다양한 음각 코그를 채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a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g)는 제1 서브 연장부(301), 제2 서브 연장부(302g), 제3 서브 연장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연장부(302g)는 완만한 음각 코그(310g)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각 코그는 리프팅 실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피시술자의 조직과 일정한 걸림 상을 유도하는 코그 형상을 의미할 수 있고, 완만한 음각 코그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모든 각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예각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코그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완만한 음각 코그(310g)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표면(SF)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변(311g)과 제2 변(312g)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변(311g)과 표면(SF) 사이의 제1 각(θ1)은 둔각 또는 직각일 수 있고, 제2 변(312g)과 표면(SF) 사이의 제2 각(θ2)은 둔각 또는 직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변(311g)과 제2 변(312g)은 표면(SF)의 연장선과 완만한 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고, 케뉼라가 제1 리프팅 부(100)로부터 배출될 때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완만한 음각 코그(310g)의 단면 형태는 리프팅 실(10)의 표면(SF)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생기는 공간의 모양(예를 들면, 제1-1 점(E1), 제1-2 점(E2), 제1-3 점(E3)으로 구성되는 삼각형)을 의미할 수 있다. 완만한 음각 코그(310g)의 단면은 표면(SF)과 제1 변(311g)이 만나는 제1-1 점(E1)과, 표면(SF)과 제2 변(312g)이 만나는 제1-3 점(A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변(311g)과 제2 변(312g)이 만나는 제1-2 점(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만한 음각 코그(310g)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하는 방향(도 35의 예시에서, 제1 방향(d1))과, 타측에서 일측으로 진행하는 방향(도 35의 예시에서, 제2 방향(d2))에 대해서 모두 원만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완만한 음각 코그(310g)가 양방향에 대해 원만한 기울기를 갖는 완만한 삼각형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를 채용하는 제1 연장부(300g) 역시 케뉼라로부터 역방향으로 배출될 때에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41b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h)는 완만한 음각 코그(310h) 만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연장부(300h)의 케뉼라로부터 배출 용이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공정 난이도 역시 감소할 수 있다.
도 42a 및 도 42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2a 및 도 42b는 제1 연장부(300)에 다양한 음각 코그를 채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a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i)는 제1 서브 연장부(301), 제2 서브 연장부(302i), 제3 서브 연장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연장부(302i)는 뾰족한 음각 코그(310g)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뾰족한 음각 코그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사각형이 위가 좁은 마름모 형상으로 구성되는 코그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뾰족한 음각 코그(310i)의 단면은 리프팅 실(10)의 표면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변(311i)과 제2 변(312i) 및 제1 변(311i)과 제2 변(312i) 사이의 제3 변(313i)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변(311i)과 표면 사이의 제1 각(θ1)은 예각일 수 있고, 제2 변(312g)과 표면(SF) 사이의 제2 각(θ2)은 예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변(311g), 제2 변(312g) 및 제3 변(313i)은 표면의 연장선과 위가 좁은 마름모 형상을 구성할 수 있고, 제1 변(311i)과 제2 변(312i)이 표면과 만나는 점이 뾰족하게 형성됨에 따라서 시술 중 조직에 대한 걸림 현상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42b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300j)는 뾰족한 음각 코그(310j) 만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연장부(300i)의 피부 조직에 대한 걸림 현상이 극대화될 수 있고,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40a 내지 도 42b에서는 제1 서브 연장부(301)와 제3 서브 연장부(303)에 뾰족한 양각 코그가 형성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고, 제1 서브 연장부(301)와 제3 서브 연장부(303)에는 완만한 양각 코그, 뾰족한 양각 코그, 완만한 음각 코그, 뾰족한 음각 코그 등 다양한 코그의 형상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발명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코그가 각각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리프팅 실을 사출하는 단계;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제1 각도를 이루도록 구부린 채로 가압함으로써 연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프팅 실의 제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60도 내지 1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의 제작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를 상기 제2 영역의 길이의 1.4배 내지 3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의 제작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콧대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비주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실의 제작 방법.
PCT/KR2022/001039 2021-04-22 2022-01-20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2251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65212A JP7477731B2 (ja) 2021-04-22 2022-01-20 鼻整形用リフティング糸およびこの製造方法
CN202280030461.6A CN117295470A (zh) 2021-04-22 2022-01-20 鼻部整形用提拉线及其制造方法
US18/382,060 US20240041591A1 (en) 2021-11-09 2023-10-20 Lifting suture for rhinoplas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517 2021-04-22
KR1020210052517A KR102358717B1 (ko) 2021-04-22 2021-04-22 코 성형용 리프팅 사
KR10-2021-0153302 2021-11-09
KR10-2021-0153311 2021-11-09
KR1020210153302A KR102411627B1 (ko) 2021-11-09 2021-11-09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10153309A KR102411628B1 (ko) 2021-11-09 2021-11-09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0210153311A KR102411629B1 (ko) 2021-11-09 2021-11-09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021-0153309 2021-11-09
KR1020210170928A KR102411630B1 (ko) 2021-12-02 2021-12-02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021-0170928 2021-12-02
KR1020220004805A KR102461560B1 (ko) 2022-01-12 2022-01-12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022-0004805 2022-01-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382,060 Continuation US20240041591A1 (en) 2021-11-09 2023-10-20 Lifting suture for rhinoplas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143A1 true WO2022225143A1 (ko) 2022-10-27

Family

ID=8372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1039 WO2022225143A1 (ko) 2021-04-22 2022-01-20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77731B2 (ko)
WO (1) WO20222251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813B1 (ko) * 2016-01-27 2016-11-25 민웅재 주름개선 리프팅 시술을 위한 각뿔형 돌기와 공간이 형성된 의료용 코그실
KR101695339B1 (ko) * 2015-11-02 2017-01-11 텐텍 주식회사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
KR20180133111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0574A (ko) * 2017-12-28 2019-07-08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KR20200043134A (ko) *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나라바이오 의료용 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783A (en) 1991-05-13 1993-12-14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torn tissue
WO2018009031A1 (ko) 2016-07-08 2018-01-11 김정권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339B1 (ko) * 2015-11-02 2017-01-11 텐텍 주식회사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
KR101679813B1 (ko) * 2016-01-27 2016-11-25 민웅재 주름개선 리프팅 시술을 위한 각뿔형 돌기와 공간이 형성된 의료용 코그실
KR20180133111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0574A (ko) * 2017-12-28 2019-07-08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KR20200043134A (ko) *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나라바이오 의료용 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77731B2 (ja) 2024-05-01
JP2024514710A (ja)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46865A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WO2014035176A2 (ko)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WO2022225143A1 (ko)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01232A1 (zh) 人工心脏瓣膜支架、人工心脏瓣膜及植入方法
WO2018016696A2 (ko)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WO2013109072A1 (ko) 수술용 도구, 이를 위한 수술용 메쉬와 수술용 견인수단, 이를 이용한 수술 방법
WO2022124509A1 (ko) 교정력을 높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
WO2021040376A1 (ko) 유연 구동 장치
CN101522164A (zh) 用于治疗皮肤的化妆品组合物及其方法
WO2018164429A1 (ko) 레이저 치료를 위한 영역 분할 방법, 그를 이용한 레이저 치료 방법 및 장치
WO2013066079A1 (ko) 자가 팽창성을 가지는 물질 또는 구조를 이용한 혈관 문합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문합 방법
WO2023096334A1 (ko) 6-arm 구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형상 기억 고분자 및 이의 용도
WO2022060069A1 (ko) 검체 채취 스틱
WO2020101175A1 (ko) 질관 치료장치용 에너지 전달 모듈,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WO2021187803A1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EP2836186A1 (en) Cervical shield sexual aid device and method for use during intercourse
WO2020071732A1 (ko) 형상기억 고분자를 포함하는 비루관 삽입용 부재
WO2019132164A1 (ko) 초음파 제작 기반의 의료용 실
WO2011059190A2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WO2021225374A1 (ko)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WO2017026668A1 (ko) 무릎 견인기
WO2012134187A2 (ko)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5182886A1 (ko) 내시경 관절구조
WO2022211350A1 (ko) 척추 견인 치료기
WO2018093114A1 (ko) 단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918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65212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918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