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717B1 - 코 성형용 리프팅 사 - Google Patents

코 성형용 리프팅 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717B1
KR102358717B1 KR1020210052517A KR20210052517A KR102358717B1 KR 102358717 B1 KR102358717 B1 KR 102358717B1 KR 1020210052517 A KR1020210052517 A KR 1020210052517A KR 20210052517 A KR20210052517 A KR 20210052517A KR 102358717 B1 KR102358717 B1 KR 10235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nose
lifting
area
rhinoplas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해석
Original Assignee
오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해석 filed Critical 오해석
Priority to KR1020210052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717B1/ko
Priority to PCT/KR2022/001039 priority patent/WO2022225143A1/ko
Priority to JP2023565212A priority patent/JP7477731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57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stret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제1영역;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단면 보다 증가된 단면을 가지며, 탄성 거동을 하는 확장영역;을 포함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 성형용 리프팅 사{LIFTING SUTURE FOR NOSE COSMETIC SURGERY}
본 발명은 코 성형용 리프팅 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뉼라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의 대표증상은 피부 처짐 및 주름의 발생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 안면 리프트는 피부를 일 방향으로 견인하여 여분의 피부를 절제한 후 봉합하는 과정을 거치나 수술적 요법으로 흉터 발생 및 부작용 발생 우려가 있다.
수술적 방법에서 벗어나 돌기가 달려 피부를 기계적으로 당길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봉합사를 피부 내에 삽입하여 인체내의 자연적인 면역반응(Foreign body reaction)을 유도하여 콜라겐 합성, 혈관 신생, 지방분해 등을 일으키며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고, 나아가 봉합사의 장력을 이용하여 쳐진 피부 조직을 리프팅하여 고정하는 리프팅 시술이 개발되었으며, 수술적 방법에 비해 간편하고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아서 시술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리프팅 사를 이용하여 떨어진 코끝이나 휘어진 코 또는 낮은 콧대 등을 교정하기 위한 시술이 개발되었으며, 리프팅 사의 양단을 코의 피하층에 삽입하여 리프팅 사가 코를 일정하게 형태로 지지하게 하여 볼륨감을 형성하거나 콧대를 높일 수 있으며, 이 때 콧대와 비주를 각각 분리하여 리프팅 실을 각각 따로 넣는 시술을 하고 있다.
이렇게 리프팅 사가 코 내부로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지지하는 경우 코는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 하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텐션(Tension) 받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코 내부에서 실이 이동하게 되어 리프팅 사의 일단이 피부를 자극하게 되고 그 결과 염증이 생기거나 피부를 뚫고 돌출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때는 결국 리프팅 사를 제거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도 조직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 리프팅 사와는 상이하게 코 성형시 외부로 돌출되거나 염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20-0001836호(결합 리프팅 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 성형을 목적으로 하는 리프팅 사를 제공하며, 특히 코의 내부 조직 내에 배치되어도 리프팅 사가 피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장시간 코 성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코 성형용 리프팅 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는 제1영역;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단면 보다 증가된 단면을 가지며, 탄성 거동을 하는 확장영역;을 포함한다.
2. 상기 1구체예에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단면이 환상이며, 길이부재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L1 > L2
여기서, L1은 상기 제1영역의 일단 끝부분에서 상기 확장영역까지 거리이고, L2는 상기 제2영역의 타단 끝부분에서 상기 확장영역까지 거리이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L1에 대한 L2의 비는 콧대의 길이에 대한 비주의 길이에 대한 비와 대응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확장영역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사:
[수학식 2]
Wo, Wi < Wm
여기서, Wo는 상기 제1영역과 확장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고, Wi는 상기 제2영역과 확장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며, Wm은 확장영역의 중심부위의 폭이다.
5. 상기 1 내지 4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확장영역은 중심부위가 만곡되어 곡선을 형성하며, 탄성 거동에 의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학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3]
60˚ < θ1 <75˚
여기서, θ1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이루는 각이다.
6. 상기 1 내지 5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7. 상기 6 구체예에서,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는 서로 반대 방향의 개방각을 가질 수 있다.
8. 상기 6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럴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영역으로 갈수록 배치 간격이 증가될 수 있다.
9. 상기 6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가 형성된 상기 제1영역과 및 제2영역의 평균 직경은 1.0mm 내지 1.3mm 일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리프팅 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는 케뉼라를 이용하여 간단한 주사 시술로 콧대 및 코끝 부위의 성형, 구체적으로 콧대를 높이거나 코끝을 올리는 등의 각도 변형이 한번의 진입으로 가능하며, 코의 해부학적 조직 및 피부 상태에 맞추어 리프팅 사의 구조를 변경하여 코 성형 효과를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피부조직 내에 장시간 배치되어도 리프팅 사의 일단이 표피에 접근하여 염증을 생성하거나, 표피를 뚫고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를 케뉼라에 배치하여 시술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가 코 피부조직에 삽입되는 경우 코 정면을 바라본 경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다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가 코 피부조직에 삽입되는 경우 코의 비주를 바라본 경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제1영역(100), 제2영역(200), 및 확장영역(3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은 코 피부조직 내에 삽입되어 해당 조직 부위에 고정되고, 부피감을 형성하여 콧대를 높일 수 있으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 사이에서 장력을 형성하여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배치된 사이 피부조직을 당겨서(Lifting)하여 코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해당 조직 부위를 자극하여 콜라겐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은 단면이 환상이며, 길이부재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L1 > L2
여기서, L1은 상기 제1영역(100)의 일단 끝부분에서 상기 확장영역(300)까지 거리이고, L2는 상기 제2영역(200)의 타단 끝부분에서 상기 확장영역(300)까지 거리이다.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의 단면은 환상으로 실 형태를 가지는 길이 부재이다.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이 환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리프팅 사 제조가 용이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길이 부재로 구비되어 성형 대상 부위에 길이에 대응하여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 리프팅 사 시술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 성형용 리프팅 사가 콧대 또는 비주의 길이와 상이한 경우 이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팅 사를 과도하게 삽입하게 되면 목표로 하지 않는 조직부위까지 리프팅 사가 침입하여 조직손상을 일으키거나, 시술 후 리프팅 사가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되나,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길이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피시술자의 콧대 및 비주의 길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적절한 리프팅 사를 선택하여 리프팅 사 시술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이 길이가 두 가지 이상 종류를 갖도록 결정되고, 이를 조합하여 선택된 각각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포함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를 미리 준비하는 경우 코 성형 시 피시술자 코 형태에 적합한 맞춤형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 부작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L1은 상기 제1영역(100)의 일단 끝부분에서 상기 확장영역(300)까지 거리이며, 구체적으로 코 성형부위에 있어서 콧대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영역으로 콧대의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L2는 상기 제2영역(200)의 타단 끝부분에서 상기 확장영역(300)까지 거리이며, 구체적으로 코 성형부위에 있어서 비주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종래 코끝과 콧대에 각각 별도의 리프팅 실을 이용한 코성형술을 하는 경우에는 환자마다 콧대의 길이와 비주의 길이가 상이하여 어느 경우에는 리프팅 사가 남고, 다른 경우에는 리프팅 사가 부족한 경우가 발생하며, 이는 추후 장시간 경과 후 리프팅 사가 코 표피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염증이 생기거나 뚫고 돌출되거나 정확한 위치에서 힘을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피시술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L1및 L2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특히 L1의 길이가 L2보다 길어서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경우에는 코 성형 시술부위에 정확하게 리프팅 사를 배치할 수 있으며, 시술자가 리프팅 사를 코 성형 부위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L1에 대한 L2의 비는 콧대의 길이에 대한 비주의 길이에 대한 비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L1에 대한 L2의 비는 피시술자의 콧대의 길이에 대한 비주의 길이에 대응되며, 구체적으로 L1는 콧대 길이에 대응하고, L2는 비주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미리 형성되어 상기 제1영역(100)이 콧대 부위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영역(200)이 비주 부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시술 현장에서 리프팅 사의 재단 필요성이 없으며, 시술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영역(300)은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에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의 단면 보다 증가된 단면을 가지며, 탄성 거동을 할 수 있다.
상기 확장영역(300)은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구분하면서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을 연결한다.
상기 확장영역(300)은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의 단면 보다 증가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좌측 삽도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영역(300)에서 B-B'을 지나는 선의 단면도에서, 상기 확장영역(300)은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 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장영역(300)은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은 성형되어 확장되거나, 일정하게 가압되어 압축된 형태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확장영역(300)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Wo, Wi < Wm
여기서, Wo는 상기 제1영역(100)과 확장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고, Wi는 상기 제2영역(200)과 확장영역(300)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며, Wm은 확장영역(300)의 중심부위의 폭이다.
상기 확장영역(300)은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과 동일한 재질이며, 리프팅 사 형성 과정에서 가압 및 가열에 의해 단면의 폭이 증가되는 형태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확장영역(300)은 폭(width)이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 보다 증가되며, 제1영역(100)과 연결되는 부위(Wo)에서 확장영역(300)의 중심부위(Wm)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되어 중심부위의 폭이 가장 넓고 다시 제2영역(200)과 연결되는 부위(Wi)로 갈수록 폭이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영역(300)의 폭은 중심부위(Wm)로 갈수록 확장되나, 코 성형을 위한 시술 시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배치되는 케뉼라(C)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영역(300)이 상기 범위 내의 폭을 가지도록 확장되는 경우에는 피부조직에 직접 접하게 되는 면적 증가의 효과로 코 내부 조직에 대한 고정력도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확장영역(300)에 집중되는 텐션(Tension)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코 내부 조직을 파고들어 침식하지 않기 때문에 리프팅 사가 코의 내부 조직 내에서 장시간 배치되는 경우에도 리프팅 사의 의한 코 내부 조직의 훼손이나 시술 후 리프팅 사의 미세한 이동에 따른 시술 형태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영역(300)은 시술 시 사용되는 케뉼라(C)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케뉼라(C)를 따라 관 내부를 이동되는 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텐션은 리프팅 사의 자체 장력과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이 코 피부조직에 고정되는 경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 사이의 인장력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확장영역(300)은 중심부위가 만곡되어 곡선을 형성하며, 탄성 거동에 의해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수학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3]
60˚ < θ1 <75˚
여기서, 상기 θ1는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서로 이루는 각이다.
상기 확장영역(300)은 탄성 거동을 하여 중심 부위가 일정하게 만곡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은 일정한 각(θ1)을 이루게 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각(θ1)이 상기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확장영역(300)이 피 시술자의 콧끝 부위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영역(300)은 리프팅 사 제조 과정에서 탄성력을 가지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범위 내로 만곡된 금형에서 압축 성형하여 일정하게 미리 만곡시킨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확장영역(300)은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하게 되어 시술 중 가압 형태에 따라 잠시 변형될 수는 있으나, 코의 내부 조직 내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범위로 각 범위 내로 회복하는 탄성 거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이루는 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상기 범위 내의 각으로 만곡되는 경우 코의 형태에 대응하여 더 강한 고정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프팅 사(1000)가 피부조직에 배치된 후 상기 범위 내의 각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확장범위가 상기 제1영역(100)부위와 제2영역(200)부위의 인장력에 의해 코의 피부조직 내로 파고들어 피부조직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 사 시술 후 코끝이 분리되어 보이는 현상 및 리프팅 사가 내부 조직을 파고들어 발생되는 염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케뉼라(C) 내에서 확장영역(300)이 케뉼라(C) 내주면과 마찰되어 상기 리프팅 사를 시술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프팅 사가 코 내부 조직 형태에 맞지 않아서 오히려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이 피부조직에 고정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확장영역(300)은 만곡되되, 곡률 반지름(R)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는 경우 피부조직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곡률 반지름(R)은 상기 제2영역(200)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외주면에는 돌기(110, 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10, 210)는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코 내부 조직 내에 삽입된 후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내부 조직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기의 형태는 상기 제 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피부조직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이동되지 않도록 일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경우라면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나, 방향성을 가지는 코그(Cog)로 구비되는 경우 리프팅 사의 제조가 용이하고 코 내부 조직 내의 고정 효과가 높아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1영역(100)에 형성된 돌기(110)와 상기 제2영역(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10)는 서로 반대 방향의 개방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방각은 돌기의 끝단과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을 지나는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을 나타낸다.
상기 제1영역(100)과 상기 제2영역(200)의 돌기(110, 210)가 서로 반대 방향의 개방각을 가지는 경우 상기 피부조직에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을 형성하여 피부조직 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110, 210)는 상기 제1영역(100)과 상기 제2영역(200)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럴(Spiral)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영역(300)으로 갈수록 배치 간격이 증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돌기는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영역(100)의 평단면을 기준으로 첫번째 단위 길이 1cm 당 돌기와 두번째 돌기 사이의 각도가 30˚인 경우 60 ˚, 90˚, 120 ˚, 150 ˚, 180 ˚, 210 ˚, 240 ˚, 270 ˚, 300 ˚, 330 ˚, 및 360 ˚의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어 제1영역(100)의 외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스파이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태로 돌기가 배치되는 경우 피부조직에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을 고정하는 효과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시술 시 리프팅 사의 삽입 방향에 상관없이 피부조직 내에서 리프팅 사의 고정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리프팅 사가 시술 과정에서 다소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도 피부조직 내에서 고정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영역(100)의 일단으로 갈수록 배치 간격이 좁고, 상기 확장영역(300)으로 갈수록 배치간격이 증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단의 첫번째 돌기의 위치(C1)에서 같은 직선 상 다음 번 위치(C2)까지의 거리는 상기 확장영역(300) 바로 전에 배치된 돌기 위치(Cn)과 같은 직선 상 직전 돌기 위치(Cn-1) 까지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형태로 돌기가 배치되는 경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 말단 부위에서는 내부 조직을 보다 강하게 파고들어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이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상기 확장영역(300)에서는 내부 조직에 대한 자극이 감소되어 조직을 더 보호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가 형성된 상기 제1영역(100)과 및 제2영역(200)의 평균 직경은 1.0mm 내지 1.3mm 일 수 있다.
상기 돌기가 형성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의 평균 직경이 상기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경우 케뉼라(C)를 이용한 삽입 시술이 가능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 시술용 케뉼라(C)를 이용한 삽입이 어렵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리프팅 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종류의 고분자는 금형을 사용한 가압 성형으로 리프팅 사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확장영역(300)을 가압 및 가열하여 일정 범위 내로 폭을 증가시키고, 일정 각도로 만곡되도록 성형하기 용이하며, 이 경우 상기 확장영역이 일정한 폭과 각도를 가지고, 탄성력을 가져서 상기 리프팅 사가 코 내부 조직 내에 배치되는 경우 내부 조직에 가하는 압력이 감소되고, 탄성 거동으로 일정 각도를 유지하려는 힘이 생성되어 내부 조직 내로 파고들지 않기 때문에 리프팅 사가 장시간 배치되어도 내부 조직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리프팅 사가 코 모양을 잡아주는 고정력이 증가하여 코 성형 효과가 오래 동안 유지된다.
상기 종류의 고분자는 인체 내에 삽입되는 경우 흡수성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피부조직에 흡수되어 소멸될 수 있으며,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상기 종류의 고분자로 선택되는 경우 영구적인 시술이 아니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시술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를 케뉼라(C)에 배치하여 시술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코 피부조직에 삽입되는 경우 코 정면을 바라본 경우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다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코 피부조직에 삽입되는 경우 코의 비주를 바라본 경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를 케뉼라(C) 내에 삽입하여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제1영역(100)이 5cm 또는 4cm의 길이로 형성되고, 제2영역(200)이 4cm 또는 3cm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길이가 상이한 4가지 종류의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를 준비한다.
한편 케뉼라(C)는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깊이 측정용 케뉼라를 별도로 준비하고,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코 내부 조직에 삽입되는 지점인 자입점에서 콧대의 삽입 깊이를 측정하고, 다시 자입점에서 비주의 삽입 깊이를 측정하여 콧대 및 비주에서 적합한 삽입 깊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용 케뉼라(C)로 측정 시 피시술자의 콧대 삽입 깊이가 약 5cm이고, 비주의 삽입 깊이가 약 3cm 로 측정되는 경우에는 제1영역(100)의 L1이 5cm, 제2영역(200)의 L2가 3cm인 리프팅 사를 선택하여 시술을 진행한다.
한편 상기 확장영역(300)의 굴곡은 케뉼라 내부면에 가압되어 원래 각도 보다 확장된 각(θ2)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확장영역(300)은 탄성 거동을 하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코 내부 조직 내로 삽입되고 난 이후에는 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각도(θ1)로 회복될 수 있다.
상기 케뉼라(C)를 코 성형 부위에 삽입하여 내부 조직 내로 위치하고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의 일단이 내부 조직 내에 삽입되면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10, 210)로 인하여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이 상기 내부 조직 내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케뉼라(C) 선단 부위에 상기 제1영역(100)이 배치되는 경우 코 길이에 대응되도록 콧대 방향으로 케뉼라(C)를 먼저 삽입하여 제1영역(100)을 콧대 피부조직에 먼저 고정하게 되고, 케뉼라(C) 선단 부위에 상기 제2영역(200)에 배치되는 경우 비주 방향으로 먼저 케뉼라(C)를 삽입하여 제2영역(200)을 내부 조직 내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은 코의 길이 및 비주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의 길이가 상이한 2가지 종류 이상의 리프팅 사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코의 형태 및 코 성형 목표에 따라 가장 적합한 리프팅 사를 선택하여 삽입 고정할 수 있으며, 단순 피부 리프팅 용 봉합사를 사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시술 편의성이 크게 증가되고, 리프팅 사의 돌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의 일단이 내부 조직에 고정된 이후에는 케뉼라(C)를 일정하게 회수한 이후에 다시 삽입 각도를 전환하여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뉼라(C)의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측정용 케뉼라(C)에서 획득한 콧대의 삽입 깊이 및 비주의 삽입 깊이에 따라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이 상기 자입점부터 어느 정도 깊이로 삽입되어야 코 내부 조직에 제1영역(100) 또는 제2영역(200)이 고정될 수 있는지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측정된 비주 삽입 깊이에 따라 케뉼라(C) 외부에 표시된 눈금을 확인하여 케뉼라를 비주에 삽입하여 제2영역을 삽입하여 먼저 고정하고, 케뉼라(C)를 내부 조직에서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고 일정하게 후퇴시킨 후 다시 콧대 방향으로 미리 측정된 콧대 삽입 깊이까지 케뉼라(C)를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제1영역(100)이 콧대의 내부 조직에 정확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케뉼라(C)의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리프팅 사의 종류에 따라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삽입 깊이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경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이 목표로 하는 내부 조직의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 시술의 정확도를 증가시키며, 특히 상기 확장영역(300)이 비익연골(Ca) 상부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이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팅 사의 돌출 우려가 없으며, 한 번의 시술로 콧대와 비주에 리프팅 사를 배치하기 때문에 코 성형이 매우 용이하다.
도 6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영역(100)이 콧대의 내부 조직 내에 고정되어 콧대의 부피감 및 높이를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코끝 부위에는 비익연골(Ca)이 위치하게 되는데 비익연골(Ca)은 중심부위가 개구된 형태이므로, 상기 리프팅 사가 복수개로 배치되는 경우 제1영역(100)과 제2영역(200)의 인장력으로 인하여 상기 비익연골(Ca) 개구부위로 리프팅 사가 용이하게 파고들어 비익연골(Ca)을 훼손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확장영역(300)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확장된 경우에는 비익연골(Ca)에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부위의 가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상기 확장영역(300)은 탄성 거동으로 코 내부 조직 내에서도 60˚ 내지 75 ˚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의 인장력에 의한 텐션 또한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가 복수개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확장영역(300)은 상기 비익연골(Ca) 내로 파고들지 않아서 리프팅 사 삽입 후 코끝이 갈라지는 등의 부작용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종래 피부 보정용 리프팅 사를 코 성형에 사용 시 장시간 피부조직 내에서 배치되어 리프팅 사의 일단이 이동하여 표피를 뚫고 돌출되거나 및 염증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으나, 미리 일정 길이 비율에 따라 성형된 리프팅 사를 이용하여 코 부위를 성형하는 경우 정확한 코의 형태에 따라 리프팅 사를 배치하기 때문에 리프팅 사가 표피를 뚫고 돌출되거나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코 피부조직에서 코끝에 위치하는 비익연골(Ca)의 개구부에 리프팅 사가 침식하지 못하도록 확장영역(300)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영역(300)이 탄성을 가지도록 하며, 코 내부 조직 내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제1영역(100) 및 제2영역(200) 사이의 인장력으로 인하여 리프팅 사가 비익연골(Ca)로 파고들어 코끝이 분리되어 보이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확장영역(300)이 배치된 부분의 단면적 증대효과로 압력을 낮추어 코끝이 분리되어 보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성형용 리프팅 사(1000)는 코 성형에 사용되어 코의 높이 및 형태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종래 리프팅 사의 단점인 표피 외부로 돌출 및 염증 발생 등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코 성형용 리프팅 사
100 : 제1영역 110 : 제1영역 돌기
200 : 제2영역 210 : 제2영역 돌기
300 : 확장영역
R : 확장영역 곡률반지름
C : 케뉼라
Ca : 비익연골
N : 코

Claims (10)

  1. 콧대 영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
    비주 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사이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단면 보다 증가된 단면을 가지며, 탄성 거동을 하는 확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영역은 중심부위가 만곡되어 곡선을 형성하며, 탄성 거동에 의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
    [수학식 3]
    60˚ < θ1 <75˚
    여기서, θ1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이루는 각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단면이 환상이며, 길이부재로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
    [수학식 1]
    L1 > L2
    여기서, L1은 상기 제1영역의 일단 끝부분에서 상기 확장영역까지 거리이고, L2는 상기 제2영역의 타단 끝부분에서 상기 확장영역까지 거리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1에 대한 L2의 비는 콧대의 길이에 대한 비주의 길이에 대한 비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
    [수학식 2]
    Wo, Wi < Wm
    여기서, Wo는 상기 제1영역과 확장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고, Wi는 상기 제2영역과 확장영역이 연결되는 부위의 폭이며, Wm은 확장영역의 중심부위의 폭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는 서로 반대 방향의 개방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럴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영역으로 갈수록 배치 간격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형성된 상기 제1영역과 및 제2영역의 평균 직경은 1.0mm 내지 1.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리프팅 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코 성형용 리프팅 사.
KR1020210052517A 2021-04-22 2021-04-22 코 성형용 리프팅 사 KR102358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517A KR102358717B1 (ko) 2021-04-22 2021-04-22 코 성형용 리프팅 사
PCT/KR2022/001039 WO2022225143A1 (ko) 2021-04-22 2022-01-20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3565212A JP7477731B2 (ja) 2021-04-22 2022-01-20 鼻整形用リフティング糸およびこ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517A KR102358717B1 (ko) 2021-04-22 2021-04-22 코 성형용 리프팅 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717B1 true KR102358717B1 (ko) 2022-02-08

Family

ID=8025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517A KR102358717B1 (ko) 2021-04-22 2021-04-22 코 성형용 리프팅 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7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395B1 (ko) 2022-06-23 2022-10-27 이성헌 코 성형 또는 얼굴 리프팅용 리프팅 실의 삽입 장치
KR102573642B1 (ko) 2023-03-09 2023-09-01 주식회사 파인비엠 코성형용 리프팅 봉합사를 구비한 특수바늘 조립체
KR102610427B1 (ko) 2023-02-10 2023-12-06 김윤 코 근육 강화용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06B1 (ko) * 2006-03-29 2007-06-07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
KR101695339B1 (ko) * 2015-11-02 2017-01-11 텐텍 주식회사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
KR20170076089A (ko) * 2015-12-24 2017-07-04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20200043134A (ko) *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나라바이오 의료용 실
KR102207317B1 (ko) * 2020-02-06 2021-01-25 주식회사 수려메디 시술용 실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06B1 (ko) * 2006-03-29 2007-06-07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
KR101695339B1 (ko) * 2015-11-02 2017-01-11 텐텍 주식회사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
KR20170076089A (ko) * 2015-12-24 2017-07-04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20200043134A (ko) *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나라바이오 의료용 실
KR102207317B1 (ko) * 2020-02-06 2021-01-25 주식회사 수려메디 시술용 실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395B1 (ko) 2022-06-23 2022-10-27 이성헌 코 성형 또는 얼굴 리프팅용 리프팅 실의 삽입 장치
KR102610427B1 (ko) 2023-02-10 2023-12-06 김윤 코 근육 강화용 기구
KR102573642B1 (ko) 2023-03-09 2023-09-01 주식회사 파인비엠 코성형용 리프팅 봉합사를 구비한 특수바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717B1 (ko) 코 성형용 리프팅 사
KR101060722B1 (ko)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US6004318A (en)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treating glaucoma
US94272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ing an opening in a blood vessel using memory metal and collagen
KR102122764B1 (ko)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US20120203160A1 (en) Implants for reducing intraocular pressure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JP2015510142A (ja) 曲げによって放射線を発するように構成される光ファイバ
KR101486456B1 (ko)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KR101154376B1 (ko)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CN114466622A (zh) 具有弹性可变部的提升线
US10357349B2 (en) Filler for removing wrinkles
KR102411627B1 (ko)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9250552U (zh) 一种z型倒刺整形美容提拉线
RU2752593C1 (ru) Датчик силы и электрофизиологический катетер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KR20230004011A (ko)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
KR102111776B1 (ko) 관통부를 갖는 의료용 실
KR101874064B1 (ko) 성형 시술용 실
KR102314301B1 (ko) 수술용 실 구조체
KR20210141030A (ko) 고정력을 강화한 의료용 리프팅 실
CN216439369U (zh) 一种用于长效降压的皮下埋植线
JP7477731B2 (ja) 鼻整形用リフティング糸およびこの製造方法
KR20180133113A (ko) 안면 리프팅용 니들 조립체
CN112040995B (zh) 外科整形软组织用无张力钛金属经编织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