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35176A2 -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35176A2
WO2014035176A2 PCT/KR2013/007803 KR2013007803W WO2014035176A2 WO 2014035176 A2 WO2014035176 A2 WO 2014035176A2 KR 2013007803 W KR2013007803 W KR 2013007803W WO 2014035176 A2 WO2014035176 A2 WO 201403517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endothelial
needle
needles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78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4035176A3 (ko
Inventor
라종주
Original Assignee
Na Jongju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Na Jongju filed Critical Na Jongju
Priority to JP201552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74148B2/ja
Priority to US14/425,625 priority patent/US20150201825A1/en
Priority to EP13833078.2A priority patent/EP2893894B8/en
Publication of WO201403517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5176A2/ko
Publication of WO201403517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517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61B1/0002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externally powered, e.g.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273Anchoring means for temporary attachment of a device to tissue
    • A61B2018/00291Anchoring means for temporary attachment of a device to tissue us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82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82Digestive system
    • A61B2018/00494Stomach, intestines or bow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05Urinary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14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38Depth, e.g. depth of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bipo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Needle multipl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5Needle inser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perative device and an endoscope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for adsorbing the epithelial layer of the endothelium, thereby allowing a plurality of saliva to easily reach the lower tissue of the epithelial lay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ic device having a therapeutic effect on an endothelial by means of the body and an endoscope device having the same.
  • Outer skin refers to the skin of the body surface, skin appendages such as sweat glands and alterations such as hair or nails.
  • Endothelial refers to tissue that covers the closed lumen wall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ody
  • mucous membrane refers to tissue that forms the inner wall of the respiratory, digestive, and genitourinary organ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 endothelial and mucous membranes as described above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ndothelial, 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ose other than the outer skin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ndothelial.
  • 1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endothelium.
  • 1 illustrates an oral mucosa as an example of the endothelium, and the endothelial 10 includes an epithelial layer 11, a basement membrane 12, an intrinsic layer 13, and a submucosal tissue 14.
  • the bone or muscle 20 may be located under the endothelium 10.
  • the intrinsic layer 13 contains collagen. It is well known that when the endothelial 10 is damaged, collagen is denatured by transferring heat energy or electric energy to the intrinsic layer 13 to promote regeneration of the damaged endothelial, and various methods for treating the damaged endothelial using the same There was an attempt.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88504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131724 discloses that the hemostatic effect can be obtained by applying electrical energy of medical radio-frequency band to the hemostatic injection needle provided in the endoscope, and the latter has the endothelial heat by one policy provided in the endoscope. It is disclosed that the affected area can be treated by causing this to be delivered, thereby killing tumor bacteria and the like.
  • the epithelial layer 11 is deformed and not penetrated. Or it may not penetrate enough to cause the needle or cold to reach the high layer 13 occurs.
  • the thermal or electrical energy applied through the needle may not be su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high layer 13 to obtain a desired therapeutic effect, or to the high layer 13.
  • the undelivered energy may act on the epithelial layer 11 and cause side effects such as burns on the epithelial layer 11.
  • the energy transmitted through the needle is likely to affect the epithelial layer 11 even when the needle for injection or cold reaches the high layer 13. .
  • the bleeding is likely to occur through the portion of the endothelium 10 penetrated by the needle for injection or cold, the bleeding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and measures for minimizing infection by the leaked blood are required. It is tru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for adsorbing the epithelial layer of the endothelial body so that a plurality of saliva can easily reach the lower tissue of the epithelial layer, so that the treatment effect of the endothelial by the plurality of saliva is sufficiently expressed.
  • An apparatus and an endoscope apparatus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 the surgical tube 111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portion 5 of the endoscope 1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a surgical plate 122 inserted into the procedure tube 111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needle 121 having a tip portion;
  • a power supply unit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needle 121.
  • the surgical tube 111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portion 5 of the endoscope 1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An operation plate 122 inserted into the operation tube 111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800 provided with a tip portion;
  • a power supply unit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800.
  • the surgical tube 111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rgical tube 111, and further comprises an adsorption means 170 for fixing the end of the surgical tube 111 to the internal tissue surface or endothelial surface of the human body in an adsorption manner. .
  • At least a portion of the adsorption means 17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member is provided.
  • At least one adsorption hole is formed in the adsorption means 170, and the driving unit 165 performs the procedure such that the tip portion is deviated from the end of the procedure tube 111 through the at least one adsorption hole. It is characterized by driving the plate 122.
  • the adsorption means for absorbing the substance discharged from the tissue surface or the endothelial surface through the adsorption holes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nd further includes 170.
  • 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adsorption means (170).
  •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needle 121,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and further comprises a drug container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 the adsorption means 170 is provided, and further comprises a surface temperature control means 499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site in contact with the tissue surface or the endothelial surface.
  • a high 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tip, and the tip has a bipolar electrode regime.
  • the tips of the tip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arity of the adjacent tips is alternated.
  • control unit 151 further controls the driving unit 165 to be inserted into the tissue surface or the endothelial surface of the at least one needle.
  • the endoscop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ra-operative device is provided.
  • the plurality of saliva is easily reached to the lower tissue of the epithelial layer, thereby fully exhibit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endothelial by the plurality of saliva.
  •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epidermal layer of the endothelium,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treatment on the high layer to the epidermal layer or to maximize the therapeutic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al to minimize the bleeding that may occur due to the penetration of the endothelial, o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endothelial to the maximum activation temperature of the drug to promote recovery of the damaged endothelial It can be controlled to promote recovery of the affected area.
  • FIG. 2 is a view showing an endoscope provided with an intra-operativ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portion A shown in FIG. 1;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ra-operativ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in-body 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C in FIG. 9;
  • FIG.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tal end of the intra-operativ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shown in FIG.
  • 13 and 14 are enlarged views showing modifications of the adsorption portion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 1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tal end of the intra-operativ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an adsorption part of an intra-body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an adsorption part of an intra-body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eatment result in which a La-effect is implemented in an intra-operative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hows an endoscope having an intraocula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ndoscope 1 provided with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100.
  • the endoscope 1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2, a handle 3, an operation unit 4, an insertion unit 5, and a supply unit 7.
  • the intra-operative device 110 may include a treatment tube body 111, such as the treatment device body 110, sheath and the operation handle 119.
  • the surgical tube 111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traoperative device 110, and the manipulation handle 119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intraoperative device 110.
  • the main body portion 2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3 and the operation portion 4,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5 is connected.
  • the insertion part 5 is a part of which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body cavity, and may be manufactured to have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use.
  • the supply unit 7 connected to the main body 2 is a means for supplying fluid, power, and the like, such as air and water, which are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procedure using the endoscope 1.
  • the handle part 3 is a part grasped by a practitioner who performs the procedure using the endoscope 1, and the handle part 3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rt 4.
  • the operation unit 4 may allow the insertion unit 5 to be bent in the direction required by the operator, or allow air or water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7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end of the insertion unit 5, or It can be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means (not shown) or the imaging means (not shown) provided in the other end of 5).
  • one or more channels 6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channel 6 may be used as a passage for supplying a fluid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7 or for sucking blood or body fluid around the other end of the insert 5 into the supply unit 7, and the endoscope 1. Tools necessary for the procedure may be used as a path to move.
  • the main body portion 2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8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6, the surgical tube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channel 6 through the insertion hole 8.
  • the operator adjusts the degree to which the surgical tube 1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8 by using the manipulation knob 119,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surgical tube 1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5. It can be made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predetermined length.
  • the control and supply unit 150 connected to the treatment apparatus main body 110 is for supplying power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treatment of the endothelium using the treatment apparatus body 110.
  • the control and supply unit 15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 FIG. 3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portion A shown in FIG. 1.
  •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needle module 120, an air supply pipe 132, an exhaust pipe 133, a power transmission member 152, a driving unit 165, and an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temperature. Sensors (not shown) and the like.
  •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may be installed on the surgical tube tip 112 as shown.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is installed so that a portio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rgical tube tip 112. That is,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may be disposed in a shap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rgical tube 111.
  • the needle module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edles 121, a surgical plate 122, and a connection member 123.
  • a plurality of needles 121 are formed at each tip, and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are side-by-side distributedly coupled to the surgical plate 122.
  • the tip portion of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should be processed to be sharp and sharp enough to be inserted through the internal tissue surface or endothelial surface of the human body.
  •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all the tip portion is directed in one direction, as shown, the tip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outer direc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112 of the procedure tube.
  • connection member 123 is coupled or formed at an opposite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of the surgical plate 122 is coupled.
  • the needle module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tube (111 of FIG. 2), that is, within the operation tube front end 112. At this time, the needle module 120 is arranged in a shape that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penetrate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That is,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74, 175 of FIG.
  • the surgical plate 122 is the inner end of the surgical tube front end portion 112 than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are disposed in a shape protruding outward of the other end of the surgical tube 111, that is, outward of the surgical tube front end 112 through the aforementioned through holes 174 and 175.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labeled A in FIG. 3.
  •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includes an adsorption means body 171.
  • An airflow space 172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74 are formed inside the adsorption means body 171.
  • the adsorption means main body 171 is formed with a plate-shaped adsorption plate portion 173,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73 is exposed to the outer end portion 112 of the surgical tube, th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10).
  • a part 174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74 (175 of FIG. 10) is disposed in the suction plate unit 173, and the remaining 175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surgical plate 122 in the suction unit body 171.
  •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74 and 175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and numbers of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so that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penetrat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74 and 175, respectively. can do.
  •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74 and 175 may be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flow space 172.
  • the driving unit 165 may be disposed in the other side of the surgical tube 111, and may be disposed in the surgical tube front end 112 as shown.
  • the driving unit 165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23, that is,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surgical tube 111 to the other side,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 the connection member 123 may be driven.
  •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through the surgical plate 122, so that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of the surgical tube front end 112 through the through hole 174. It may be driven in a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or is retracted inward of the through hole 174.
  • the driving unit 165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73 of FIG. 6) first to contact the endothelial 10, and then drive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of the surgical tube 111 endothelial (10)
  • the needles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needles 121, or the needles 121 inserted into the endothelium 10 may be retracted from the endothelium 10 by reversing the needles 121.
  • the operator using the operation knob 119 provided in the treatment device main body 110 to move the surgical tube 111 in the direction of the surgical tube tip 112 to the outside of the surgical tube tip 1112.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a plurality of protruding needles 121 to be inserted into the endothelium 10.
  • the driving unit 165 various means for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23 such as a motor, a linear motor, an electromagnet, and a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used.
  •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52 electrically connects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eans (160 of FIG. 5) and the needle 121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high frequency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eans 160. To be delivered to the needle (121).
  •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unit 160 is to oscillate using various elements such as a coil, a vacuum tube, a transistor, and the device for outputting high frequency electrical energy by receiving power, which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mit.
  •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unit 16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surgical tube 111, the interior of the surgical tube tip 112, the interior of the treatment apparatus main body 110, and the like.
  • One side of the air supply pipe 13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the other side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surgical tube (111).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air supply pipe 132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space (172 of FIG. 7)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 the surgical tube tip 112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urgical tube 111. This is to make it easy to replace the components embedded in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tube 111 or the operation tube front end 112.
  • the needle module 120 and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may be separated from the surgical tube 111.
  • 132 may be separated from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133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 the portion that the exhaust pipe 133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is connecte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flow space (172 of Figure 7)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32 inside the air flow space (172 of Figure 7) After circulating evenly may be configured to be flowed to the exhaust pipe (133). That is, the air supply pipe 132 and the exhaust pipe 133 may be connected to symmetrical positions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respectively.
  • the exhaust pipe 133 may also be separated from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 An air flow means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133,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tu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wer supply unit 140 in addition to the needle module 120 and the high frequency generator 160, the power supply unit 140, the control unit 151, and the input unit 191 may be included in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unit 192, the air flow means (not shown) and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ntrol unit 151 is an electric control unit (not shown), air flow means (not shown), power supply unit 140, high frequency generating unit 160, the driving unit 165 and the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Can be installed to control their operation.
  •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unit 160, and although not shown,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1 to supply the predetermined power to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unit 160. It may be.
  • the input unit 191 and the display unit 192 may be installed in the treatment apparatus main body 110.
  • the display unit 192 has magnitudes of voltages and currents of high-frequency electrical energy output to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 Frequency, temperature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may be displayed.
  • the input unit 191 is provided with a switch (not shown) or the like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51, and the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emperature control means (not shown), air flow means ( Not shown),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eans 160, the driving unit 165,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the internal tissue surface or endothelial body of the human body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100.
  • Temperature control means is a means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outside the surgical tube 111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the means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 Air flow means is a means for forcibly flowing the air in the exhaust pipe 133 in the exhaust port direction described above discharge, air pump or the like can be used.
  • the air flow means when the air flow means is activated, the ai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36 and the temperature is adjus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followed by the air supply pipe 132, the air flow space (Fig. 7, 172), the exhaust pipe 133 may be flow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reatment apparatus main body 110 through an exhaust port.
  • the air in the air flow space (172 of FIG. 7) is forcib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reatment apparatus main body 110 by the air flow means (not shown), and as much air flows through the intake port, the air flow space
  • the pressure in 172 of FIG. 7 may be lower than the external pressure.
  • the treatment apparatus main body 110 may be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not shown) to allow the space formed inside and the outsid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ventilation hole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heat generated by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eans 160 and the controller 151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thereby preventing heat from accumulating in the treatment apparatus main body 110 and raising the temperature.
  • the number of vents can be added or subtracted as needed.
  •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may be sensed. 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or may be installed to be thermally connected to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by a heat transfer medium (not shown).
  • control unit 151 high frequency generating means 160, air flow means, temperature control means, etc. may be disposed in an appropriate place of the treatment device body 110 and the control and supply unit (150 of FIG. 2). . This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omponents or the size or weight of the treatment device body 110, and the like.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igh frequency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high frequency generating means 160 receives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 collag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eigenlayer 13 may be coagulated.
  • the solidified portion of the intrinsic layer 13 may have a light bulb shape centering on the tip portion 129, which is describ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57691 It is the same as La-effect and Laplus-effect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date: June 14, 2011)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57692 (file date: June 14, 2011).
  • the so-called “la-effect” as defined herein also forms a double coagulation state in the eigenlayer 13 in principle, and the word “la-effect” refers to the "unique layer”.
  • the la-effect refers to the effect that the epithelial layer 11 is hardly cooked as shown in FIG. 4, and the ripening portion 909 is formed in a bulb shape only in the vicinity of the nasal layer 13 around the tip of the saliva 121.
  • bipolar electrode bipolar
  • the regions between the needles 121 are not learned in succession as shown in FIG. 2, but are separately learned around the ends of the individual needles 121.
  • the tissue is finely divided to enable the procedure.
  • the operator may expand the bulb-shaped ripe part by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saliva 121, thus ripening in the shape of a dumbbell by meeting two adjacent ripe parts. It can also cause the site to form.
  • the gap between the needles 121 is important for the La-effect. This is because the spacing between the saliva 121 is too narrow, and the ripening areas concentrated at the tip of the saliva 121 may stick to each other and thus may interfer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a-effect.
  • the four needles 121 forming the vertices of the square form a net shap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needles 121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number of the needles 121 arranged vertically are four or more, respectively. Do.
  • alternating current an essential elemen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La-effect, is a current that periodically changes in magnitude and direction over time, usually expressed in alternating current (AC).
  • the waveform of the alternating current is most typically a sine waveform, and can be transformed into a square wave or triangle wave.
  • the alternating current is used by unifying a frequency of 50 Hz or 60 Hz in each country.
  • the alternating curren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La-effect.
  • a large frequency is not a problem unless it is particularly high, for example hundreds of Hz, but it narrows the interval between the needles 121 even when the frequency is high. As a result, the effects can be offset.
  • the frequency is low, it may be a proble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La-effect. However, if the frequency is at least 20Hz, other factors may be adjusted to implement the La-effect. Adjustment of other factors is mentioned later.
  • the La-effect was not realized at non-high frequency.
  • the low-frequency and other methods such as ultrasound, medium frequency, and ion are not used to achieve the La-effect.
  • the Ra-effect appeared well above 0.5 megahertz (MHz), especially at high frequencies, and the most preferable among them was about 2 MHz and is currently used.
  • the range of the high frequency for the La-effec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10 MHz,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4 MHz, and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2.5 MHz.
  • the higher frequency forms an energy region up to a relatively close vicinity when the same current flows, while the lower frequency forms an energy region far away from the needle 121.
  • the frequency is 0.5MHz or less
  • the energy region may be too wide, causing burns to the epithelial layer 22,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narrow tissue area requiring precise treatment. In this case, this may adversely affect.
  • the frequency is 10MHz or more
  • the energy range is too narrow, the treatment time is long and it is difficult to create an energy region for the optimal treatment.
  • the La-effect is closely related to the spacing of the needles 121.
  • the spacing of the needles 121 is deeply related to all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looking at the relationship with the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current, in order to maintain the la effect, when the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current increases, the needle 121 It has been experimented that the spacing of and the spacing of the needles 121 should be increased when the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current is decreased.
  • a component that affects the La-effect is whether the needle 121 is an insulating coating.
  • the epithelium layer 11 is almost uncooked and the ripening part similar to the bulb shape is formed as shown in FIG. There is no need for an insulating coating.
  • the coating itself does not inhibit the La-effect unless it is intended for insulation.
  • the coating due to the metal coating or heat treatment that does not affect the insulation while enhancing the strength of the needle 121 does not affect the La-effect.
  • Another component closely related to the La-effect is a method of disposing the polarity of the needle 121 (ie, electrode).
  • the polarity of the needle 121 ie, electrode
  • AC is applied, but in principl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neighboring needles 121 to have different polarities.
  • the polarity of the needle 121 at any position is the nearest intersection point. Means to be different from the polarity of the needle 121 in the.
  • each needle 121 changes its polarity about 50 to 60 times per second when using a normal AC electricity. Even so, of course, it is preferable to apply alternating current to the needles 121 at every moment, but the polarities between neighboring needles 12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polarities of the needles 121 are arranged while crossing (+) and (-) in each direction so that the polarities of the needles 121 that are closest to each oth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ch means that the principle is based on this principle. .
  • each needle 121 is disposed to be located at the intersection point in the square mesh structure, but the needle 121 is positioned to be located at the intersection point in the rhombus-like mesh structure, the rectangular mesh structure, or other rectangular mesh structure. Even when this arrangement was made, it was confirmed that the Ra-effect occurred as long as the needle 121 was arranged so that the polarity with the nearest needle 121 was different.
  • the needles 121 which do not conduct electricity may be partially arranged, or the arrangement of the needles 121 may be partially omitted.
  • the polarity of the needles 121 is arranged such that the polarities of the neighboring needles 121 that are closest to each other are different, the la-effect is naturally operated.
  • the voltage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spacing of the needles 121 but is also a component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instrument. Therefore, it is usually desirable to measure the voltage applied to the tissue surface.
  • Voltage applied to real tissue is the voltage across a tissue site that contacts the surface of a needle 121 (a needle) inserted into an endothelial tissue. Therefore, unlike the voltage applied to the devic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um of three resistance values (ie, device resistance, electrode resistance, and tissue resistance).
  • tissue voltage applied to the tissue of the human body during the procedure
  • the voltage (tissue voltage) applied to the tissue of the human body during the procedure can be designed to vary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external voltage) and circuit design set in the device,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Since it is not a characteristic compon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La-effect Another variable in the La-effect is current. However, since it changes according to the voltage and resistance value, the voltage, device resistance, electrode (needle) resistance, and tissue resistance value applied through the equipmen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Ohm's law.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value as described above can be divided into device resistance, electrode (needle) resistance, tissue resistance.
  • Another important component of the La-effect is energy duration. Looking at the minimum time, it takes about 0.02 seconds for the high frequency energy to reach the stable region, so if the energy duration is too short, the effect is almost unmeasurable.
  •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lthough the energy duration is relatively short, the longest time to show the effect is 0.8 seconds.
  • the longer the interval between the needles 121 and minimizing the voltage may be possible, but if it is possible to assume the optimal condition at this point, the range could be 0.05 to 0.8 seconds.
  • the preferred time was 0.1-0.4 seconds and the most preferred time was determined to be 0.1-0.2 seconds. Finding this time was much more difficult than I thought, it was a lot of trial and error, and it required a lot of insight. This shortening of the application time using a high frequency and using a low voltage while using alternating current was conceived only after creating the La-effect.
  • the next important component to consider is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needle 121.
  • the thickness of the needles 121 affects the spacing between the needles 121. It must also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tissue repeatedly, so it must be capable of withstanding without bending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thicker the thickness of the needle 121, the pain of the subject increases, the puncture of the needle 121 is increased and bleeding may be increased.
  • the thickness of the saliva (121) to minimize the pain in the stab and saliva (121) should not be bent enough to find the appropriate range to minimize the wound.
  • clinically used saliva (121) thickness is used 0.25mm and 0.3mm is considered to be good enough.
  • the thickness of the needle 121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needle 121, the thickness of the needle 121 may be somewhat affected, but the effect is not so large.
  • one of the parts to be most concerned with designing a device that achieves the La-effect is the spacing of the needles 121,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the spacing,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closest spacing between the outer skin of the specific needle 121 and the outer skin of the adjacent needle 12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between the needles 121 is defined in this manner.
  • La-effectable spacing is possible up to 1.3 mm. Therefore, the preferred spacing is observed at the level of 1.3-3.0mm, but even wider spacing is considered to be possible with the use of methods to reduce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or the resistance.
  • the interval between the needles 121 may vary slightly by many variables.
  • the interval between the needles 121 should be increased.
  • power is a value multiplied by a voltage, a current, and an application time
  • the interval between the needles 121 should increase when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application time, thickness of the needle 121, and conductivity increases.
  • Equation 1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2 below.
  • the effect of the high-frequency electrical energy may affect the epithelial layer 11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saliva 121 in addition to the intrinsic layer 13, the effect on the epithelial layer 11 is intended to It is not desirable to minimize it.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the intrinsic layer 13 is a component of the mucosa, and may not be included in the endothelium surrounding the body cavity. However, since most of the collagen components are included in the tissues below the epithelial layer 11 in the endothelium, it will be described below assuming that the intrinsic layer 13 is disposed below the epithelial layer 11.
  •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needl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tube distal end 112 of the intra-operativ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tube 111.
  • the 121 may be distributedly disposed such that the tip portion 129 protrudes out of the operation tube tip portion 112.
  •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may have an equal interval, as shown, but is not shown, but if the density is high in the central portion or the edge portion or a specific portion of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73 as needed. It may be.
  • the diameters of those formed in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73 are respectively greater than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and thu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74).
  •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174 and the plurality of pins 121.
  • the gap is to allow the tip portion 129 of the plurality of fins 121 to easily pass through the epithelial layer 11 to the lamina basement 13,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do.
  • the endothelial 10 when the endothelial 10 is pressurized by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for treatment using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the endothelial 10 is a soft tissue, as illustrated.
  • the 121 may not penetrate the epithelial layer 11 but may be press-fitted.
  • FIG. 7 to 9 are enlarged views illustrating a portion indicated by B in FIG. 3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in-situ treatment device.
  •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penetrated only the epithelial layer 11 of the endothelium 10, which is a soft tissue, and the tip 129 did not sufficiently reach the intrinsic layer (see 12 in FIG. 3).
  •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expected high layer (12 of FIG. 3) is insignificant as described in FIG. 6, and side effects may occur in the epithelial layer 11.
  • FIG 8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operates when the endothelial 10 is soft tissue.
  • air outside the housing (110 of FIG. 2) that is, the adsorption plate part, is formed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ns 121 and the through holes 174.
  •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airflow space 172.
  • the epithelial layer 11 of the endothelium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73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174, whereby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penetrates the endothelium 10 sufficiently.
  • the tip 129 may reach the high layer 13. Therefore, the treatment effect by the high frequency electric energy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can be sufficiently obtained.
  • the temperature of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73 can be adjusted.
  • the high frequency electric energy reaches the intrinsic layer (see 12 in FIG. 3)
  •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 the temperature of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73 is lowered, the temperature of the epithelial layer 1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ais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degeneration of the epithelial layer 11 by the.
  • the capillaries distributed in the high layer 13 may be destroyed while the high layer 13 is penetrated by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 the suction plate unit 173 may be bleeding. The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s als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layer of the high layer 13, the blood circulation through the destroyed capillaries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hemostatic effect or reduce the amount of bleeding.
  • the controller 151 may continuous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sensed by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so that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maintain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 the degeneration prevention effect and the bleeding suppression effect of the epithelial layer 11 is about 10 degrees to 25 degrees Celsius, by inputting the temperature range in advance to the control unit 151, air flow means (not shown) and temperature control means (not shown).
  •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73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can maintain this temperature range.
  •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once used in the treatment procedure need to be replaced with new ones for hygiene.
  • the surgical tube tip portion 112 is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rgical tube 111, only the needle module 120 may be easily replaced.
  • 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 132 and the other end of the exhaust pipe 13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which is filtered on the closed circuit.
  • Means (not shown), air flow means (not shown) and temperature control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 the air in the exhaust pipe 133 flows in such a closed circuit, and the air flows into the air flow space 172 formed in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and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After passing through)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ing means through the exhaust pipe (133).
  • the filtering means is filter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exhaust pipe 133 and the contamination range. It is to.
  • the filtering means various filters such as porous filters for adsorbing blood or body fluids mixed into the air, an antibacterial filter for preventing the passage of bacteria, and a wet filtration device may be used.
  • the wet filtration apparatus includes a tank filled with purified water or disinfectant solution, and 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133 to the lower side of the tank so that the air flowing out of the exhaust pipe 133 passes through the purified water or disinfectant solution. It can then be configured to capture the air in the same way as water substitution and to enter the air flow means.
  • blood or body fluids included in the air or fin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hole 174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170 may be filtered.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means is subjected to the above circulation process again through the air flow means.
  • the air supply pipe 132 and the exhaust pipe 133 form a closed circuit, so even if blood or tissue dropped from the skin of the patient enters the exhaust pipe 133, the infection does not leak out of the closed circuit, which may cause infection. Can be greatly reduced. And hygiene can be further improved by adding the filtering means as described above.
  • the filtering means, the air flow means, and the temperature adjusting means installed in the closed circuit formed by the air supply pipe 132 and the exhaust pipe 133 may be changed in the order in which the air flowing therethrough is changed.
  • the possibility of the air flow means and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being contaminated by blood or body fluid can be greatly reduced.
  •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C in FIG. 9.
  • the through holes 174 and 175 formed in the adsorption means body 171 are not expos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75 except for those disposed in the adsorption plate unit 173, that is, the housing (110 in FIG. 2).
  • the insulation member 179 may be coupl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ones 175.
  • the adsorption means body 171 may be made of a heat transfer body, the heat transfer body may be typically a good conductor of electricity, so when the high frequency electrical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adsorption means body 171 through the epithelial layer 11 through this. This is because high frequency electric energy can be transmitted.
  • the insulating member 179 to insulate the electricity and heat between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and the adsorption means main body 171 can be prevented from the occurrence of side effects as described above.
  • the insulating member 179 may be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174.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121 is unlikely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s 174 and 175, such as when th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through holes 174 and 175 and the needle 121 is large.
  • the insulating member 179 may not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174 and 175.
  •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such as a needle, the portion or the surgical plate of the needle module 120, the tip portion 129 of the needle 121 is not formed
  • the drug contain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122 or the connection member 123.
  • a small actuator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may be provided, and pistons for pressing the drug toward the hollow part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actuator.
  • the needle 121 penetrates the endothelium 10 by injecting a drug having a specific effect into the drug container (not shown), the drug is introduced through the hollow portion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 the drug By being delivered to the inside, in addition to the treatment effect by the saliva 121 can be obtained with the effect by the drug.
  • a wound or ulcer when a wound or ulcer is generated in the endothelium 10, when a growth factor is used as a ulcer gingival agent as a drug, an effect of promoting recovery of the wound or ulcer may be obtained. That is, when a wound or ulcer occurs in the endothelium 10, natural healing proceeds from the edge of the wound or ulcer toward the center.
  • the healing may be accelerated as the healing portion progresses along with the edge portion.
  • the healing may proceed more rapidly.
  • the needle 12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f the needle 121 is made of metal or ceramic, the price is increased, but the cooling effec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epithelial layer 11 and the intrinsic layer 13 may be increased due to the high thermal conductivity. When the needle 121 is made of synthetic resin, the thermal conductivity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case of metal or ceramic, so that the cooling effect may be lowered, but the price may be very low. Therefore, the needle 121 may be manufactured by selecting a material suitable for the purpose.
  • FIG.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tal end of the intra-operativ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haust pipe 133 may be installed, and the air supply pipe (see 132 of FIG. 3)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installed. That is, the air flowing by the air flow means (not shown)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133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skin adsorption means 27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FIG.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shown in FIG.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11 and FIG. 12 together.
  •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270 includes an adsorption means body 271, and the adsorption means body 271 has a shap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surgical plate 122.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75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penetrate are formed in the adsorption means body 271, and an air flow space 272 is formed in the adsorption means body 271.
  • an adsorption unit 273 is formed in the adsorption means body 271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10, and an intake port 274 is formed in the adsorption unit 273.
  • One side of the adsorption means body 271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ortion 279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133.
  • Air flow space 272 may be formed inside the edge portion of the adsorption means body 271 as shown.
  • the air flow space 272 is formed in a shape that connects the connection portion 279 and the intake port 274 of the adsorption means body 271, the air can flow from the connection portion 279 between the inlet port 274.
  • a portion of the adsorption portion 273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10 may be formed to have a polygonal or closed curve shape. That is, when the adsorption unit 273 is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10, when the adsorption unit 273 and the endothelium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vir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as polygons or closed curv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line segments or curves May have a shape of a blocked figure.
  • a portion of the adsorption unit 273 contacting the skin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 the portion where the adsorption portion 273 and the endothelium 10 contact each other may have a shape of a closed curve such as a circle or an ellipse circumference as well as a shape of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or a rectangle.
  • the adsorption means main body 27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10, the part is covered by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275 of the adsorption means main body 271 is formed and the adsorption part 273 protruding therefrom. It has a shape that becomes.
  • the inlet 274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adsorption unit 273 that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endothelial 10 and faces inward of the polygon or the closed curve described above.
  • the epidermis 11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275 as shown, and the needle 121 may easily penetrate the epidermis 11.
  • blood or body fluid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74. Blood or body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74 may flow to the exhaust pipe 133 through the air flow space 272.
  • the exhaust pipe 133 is disposed outside the treatment tube 111 and the treatment tube distal end 112, unlike one illustrated, and then one end of the exhaust pipe 133 may be treated. It may be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79 in a shape that penetrates the tube end portion 112. This may also be applied to the supply pipe (132 in FIG. 3) not shown.
  • a disposable tube is used as the air supply pipe 132 and the exhaust pipe 133, and the air supply pipe 132 and the exhaust pipe 133 are not disposed inside the surgical tube 111, but instea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5 in FIG. 2).
  • the air supply pipe 132 and the exhaust pipe 133 can be discarded, which further improves hygiene. Can be.
  • 13 and 14 are enlarged views showing modified examples of the adsorption portion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 FIGS. 13 and 14 are enlarged views of portions corresponding to portions D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270 shown in FIG. 12.
  • an adsorption hole 274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adsorption part 273a and the endothelium 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dsorption holes 274a may be formed to face the epithelial layer 11 from the air flow space 272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270.
  • the epithelial layer 11 is directly adsorbed to the adsorption hole 274a as shown in the adsorption part. It may be fixed to (273a). Accordingly, the effect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270 fixing the endothelial 10 may be improved.
  • the adsorption hole 274b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adsorption portion 273b and the endothelium 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ortion has a shape recessed toward the adsorption hole 274b. That is, the portion of the adsorption portion 273b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al 10 may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flow passage 272 as the adsorbing hole 274b is closer to the shape of the funnel.
  • the epithelial layer 11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hole 274b as shown, and a part of the epithelial layer 11 is shown. Is fixed to the recessed recessed part of the adsorption part 273b. Accordingly, the effect that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270 fixes the endothelial 10 may be further improved.
  • 1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370 includes an adsorption means body 371, and the adsorption means body 371 includes an air flow space 372, an adsorption part 373,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75, and a connection part 379. Is formed.
  • the air flow space 372,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75 and the connecting portion 379 are the same as the air flow space 272,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75 and the connecting portion 279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Duplicate explanations are omitted.
  • the adsorption part 373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370 is also formed to protrude from the adsorption means main body 371 toward th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10 similarly to the adsorption part (273 of FIG. 12) described above.
  • a portion of the adsorption portion 373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10 may be formed to have a polygonal or closed curve shape.
  • the adsorption hole 374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adsorption part 373 and the endothelium 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as shown, the adsorption holes 374 may be formed toward the contact with the skin 11 from the air flow space 372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370.
  • the epithelial layer 11 is directly adsorbed to the adsorption hole 374 as shown in the adsorption part 373. Can be fixed).
  •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al 10 of the adsorption portion 373 may be formed inclined surface as shown.
  • the inclined surface has a height in which the adsorption portion 373 protrudes from the adsorption means body 371 toward the endothelium 10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375 is disposed,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edle module 120 is disposed. It has a shape.
  • the epithelial layer 11 is raised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adsorption means body 371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adsorption unit 373 while the epithelial layer 11 is fixed to the adsorption unit 373 as shown. Will have Accordingly, the epithelial layer 11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375 as shown, and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may easily penetrate the epithelial layer 11.
  • FIG. 1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tal end of the intra-operativ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pipe 137 and the filter 139 compared to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and other components. They are the same.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parts are omitted.
  •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370 is installed on the surgical tube tip portion 112.
  •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370 is installed so that a part of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370 penetrates through the surgical tube tip 112.
  •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137 may be disposed on the surgical tube tip 112 as shown.
  • the air flow means (not shown) is operated to allow the endothelial 10 to be adsorbed by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370,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end portion 112 of the surgical tube, so that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are formed.
  • the blood or body fluid as described above may also flow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375.
  • the filter 139 may be disposed within the surgical tube tip 112 in a shape surrounding the needle module 120 as illustrated.
  • blood or body fluid introduced into the surgical tube tip 112 may be adsorbed to the filter 139.
  • the surgical tube tip 112 is separated from the surgical tube 111 to discard the needle module 120,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370, and the filter 139. The spread of contamination by body fluids can be prevented.
  •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adsorption unit of the in-situ 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included in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surgical plate 122 and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penetrate is formed. That is,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has a shape that partially encloses the edge portion of the surgical plate 122.
  • the surface temperature adjusting means 499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that is,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penetrates.
  • the surface temperature control means 499 is fixed to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and the surface temperature control means 499 when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contacts the epithelial layer 11 of the endothelium 10. It is also arranged to abut together.
  • 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may be used as the surface temperature control means 499.
  •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1 or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power supplied by the control unit 151 may be controlled to cover the skin 11. ) Temperature can be adjusted.
  • An airflow space 472 may be formed in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As shown, one side of the air flow space 472 is open to the side of the adsorption portion 473, the other side is to be connected to the adsorption hole 474 formed i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10 of the adsorption portion 473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space 472 and passing through the adsorption hole 474 passes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adsorption means body 271 and the needle module 120 to pass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n to the exhaust pipe. 137.
  • the side surface of the adsorption part 473 in which one side of the air flow space 472 is opened refers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edle module 120 is disposed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adsorption part 473. Therefore, one side of the air flow space 472 is formed by the adsorption portion 473, the needle 121 and the surface temperature control means 499 when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is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10. Air outside the space may enter.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ssage of air formed between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and the needle module 120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flow space 472. Therefore, the speed V1 at which air flows in the air flow space 472 is higher than the speed V2 at which the air flows between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and the surgical plate 122.
  • the Bernoulli effect is generated by the difference in air flow rate so that the air pressure at the other side of the air flow space 472 is lower than the air pressure in the space between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and the surgical plate 122.
  • the skin 11 of the endothelium 10 in contact with the adsorption part 473 is adsorbed to the other side of the air flow space 472. Therefore, the endothelial 10 may be fixed by the endothelial adsorption means 470.
  • bleeding may occur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endothelium 10,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blood is generated by the flow of ai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and the surgical plate 122. Can be introduced.
  • the filter 139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the surgical tube tip 112.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ressure sensor for directly or indirectly measuring the sound pressure applied to the skin by the air flow means, and the air flow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 the operating strength of the control unit 151 may be adjusted.
  •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the adsorption unit of the intra-body 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dsorption means body 571 provided in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lose one side of the air flow space 472 as compared to the adsorption means body 47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duplic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 the air flow space 572 of the adsorption means body 571 may be formed between the adsorption means body 571 and the surgical plate 122 as shown, and the adsorption holes 574 and 574a are the adsorption means body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adsorption portion 573 and the needle 121 formed in the 571, and between the needle 121 and the surface temperature control means 599.
  • the endothelial body may be directly adsorbed to the adsorption holes 574 and 574a.
  • FIG. 19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implemented La-effect in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needles 121 in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ternal tissue surface or endothelial surface of the human body In order not to penetrate, it replaced with the someURS
  • the la-effect is equally applied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800 are contacted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applied to the internal tissue surface or the endothelial surface of the subjec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implemented.
  • Such an ionic electrolyte is vibrated by a high frequency (particularly RF) current in the protrusion 800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othelial surface, so that a lot of hea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generated in the epithelial layer 11. Will occur. Therefore, the operator can adjust the extent of heat generation in the region of the intrinsic layer 13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RF current.
  •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ffect are the same.
  • the 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9 is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tra-bod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the principle of operation will be applied the sam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veterinary field as well as the human body.
  • the endoscope device 1 may form a hole that can be separately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may have an optical cable necessary for camera shooting.
  • the collected surgical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r may be remotely operated through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 the adsorption means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asily adsorbed by providing a forceps around the plurality of needles 121, it may be possible to fix the treatment site tissue through the forceps.
  • the endoscope device 1 by installing an additional insertion tube, it may be possible to put the knife, scissors, tongs, cameras, foreign substances or smoke inhalation apparatus and the like.
  • the endoscope device 1 by forming a tube in the inside of the needle 121, by inserting the laser fiber fibers through it, it will be possible to irradiate the laser to the internal tissue.
  • the endoscope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capable of lowering the endothelial surface temperature by cooling the tissue surface adsorbed through the adsorption means 170.
  •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gnized in the medical device fie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체내로 삽입되는 내시경의 삽입부에 설치되는 시술관, 시술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첨단부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침이 구비된 시술판, 복수의 침이 시술관의 끝부분을 벗어나, 체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삽입되도록 시술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복수의 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의 상피층을 흡착하는 내피흡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침이 상피층 하측 조직까지 용이하게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침에 의한 내피의 치료효과가 충분히 나타나게 된다.

Description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본 발명은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피의 상피층을 흡착하는 내피흡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침이 상피층 하측 조직까지 용이하게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침에 의한 내피의 치료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도록 하는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체내 및 체외의 표면은 외피(integument), 내피(endothelium) 및 점막(mucous membrane) 등으로 덮여있다. 외피는 체표면의 피부, 땀샘과 같은 피부 부속물 및 털이나 손발톱과 같은 변형물을 지칭한다.
내피는 체외로 통하지 않고 폐쇄된 내강 벽을 덮는 조직을 지칭하며, 점막은 외부와 직접 맞닿아 있는 호흡기관, 소화기관, 비뇨생식기관의 내벽을 이루는 조직을 지칭한다.
한의학 등의 분야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내피 및 점막을 내피로 통칭하기도 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도 외피를 제외한 것을 내피로 통칭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내피의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구강점막을 내피의 예로 든 것으로, 내피(10)에는 상피층(11), 기저막(12), 고유층(13) 및 점막하조직(14)이 포함된다. 내피(10) 아래에는 뼈 또는 근육(20)이 위치할 수 있다.
고유층(13)에는 콜라겐이 포함된다. 내피(10)가 손상되었을 때 고유층(13)에 열에너지나 또는 전기에너지를 전달하여 콜라겐이 변성되도록 하면 손상된 내피의 재생이 촉진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이를 이용하여 손상된 내피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 예로, 국내공개특허 제2006-0088504호 및 국내공개특허 제2009-0131724호를 들 수 있다. 전자에는 내시경에 구비된 지혈제 주사용 침에 의료용 라디오 주파수(radio-frequency) 대역의 전기에너지를 가하여 지혈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후자에는 내시경에 구비된 한방침에 의해 내피에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종양균 등을 사멸시키는 등 환부를 치료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주사용 침이나 한방침을 매우 연한 조직인 내피에 적용하는 경우, 주사용 침이나 한방침이 고유층(13)까지 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힘을 가하면, 상피층(11)이 변형되기만 하고 관통되지 않거나 충분히 관통되지 못하여 주사용 침이나 한방침이 고유층(13)까지 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주사용 침 또는 한방침이 적절한 깊이까지 도달되지 못할 경우에는 침을 통하여 가해지는 열에너지 또는 전기에너지가 고유층(13)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여 목적하는 치료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고유층(13)으로 전달되지 못한 상기 에너지가 상피층(11)에 작용되어 상피층(11)에 화상이 발생되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상피층(13)의 두께가 매우 얇은 경우에는 주사용 침 또는 한방침이 고유층(13)에 충분히 도달된 경우에도 상기 침을 통하여 전달되는 에너지가 상피층(11)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술한 주사용 침 또는 한방침과 같이 하나 또는 한 쌍 정도의 적은 수의 침을 사용하면 치료해야 할 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시술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므로 내피를 처치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내피(10)가 주사용 침이나 한방침에 의해 관통된 부분을 통해 출혈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출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유출된 혈액에 의한 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피의 상피층을 흡착하는 내피흡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침이 상피층 하측 조직까지 용이하게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침에 의한 내피의 치료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도록 하는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는,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내시경(1)의 삽입부(5)에 설치되는 시술관(111); 상기 시술관(11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첨단부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침(121)이 구비된 시술판(12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이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을 벗어나, 인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시술판(12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65);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는,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내시경(1)의 삽입부(5)에 설치되는 시술관(111); 상기 시술관(11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첨단부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800)가 구비된 시술판(122); 상기 첨단부가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을 벗어나, 인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시술판(12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65); 및 상기 돌기(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을 상기 인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흡착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흡착수단(17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170)의 적어도 일부에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170)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첨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착공을 통해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을 벗어나도록, 상기 구동부(165)는 상기 시술판(122)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121)이 상기 인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조직면 또는 내피면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흡착공을 통해 상기 체내 시술 장치의 내부로 흡수하는 흡착수단(17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17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12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연결된 약물용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170)에 구비되며, 상기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접하여 시술 부위의 온도를 조절하는 표면온도 조절수단(499)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첨단부에는 고주파 교류 전류가 전달되며, 상기 첨단부는 바이폴라의 전극 체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단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첨단부는 인접한 첨단부의 극성이 교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의 상기 조직면 또는 내피면으로의 미리 설정된 깊이 만큼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165)를 제어하는 제어부(151)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상기 체내 시술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의 상피층을 흡착하는 내피흡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침이 상피층 하측 조직까지 용이하게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침에 의한 내피의 치료효과가 충분히 나타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의 표피층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고유층에 대한 처치의 효과가 표피층까지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분포된 복수의 침을 구비함으로써 환부가 넓을 경우에도 적은 회수의 시술로 환부 전체를 처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와 접촉되는 부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피의 관통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출혈을 최소화하거나, 손상된 내피의 회복의 촉진하는 약물의 최대 활성화 온도로 내피의 온도를 조절하여 환부의 회복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출혈이 발생되었을 경우 혈액이 시술공간이나 시술자에게 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혈액을 매개로 한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내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를 구비한 내시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저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체내 시술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에 B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C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 선단부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내피흡착수단의 종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내피흡착수단의 흡착부의 변형예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5는 내피흡착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 선단부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흡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흡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에서의 라-효과가 구현된 시술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를 구비한 내시경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를 구비한 내시경(1)에는 체내 시술 장치(100)가 포함된다. 내시경(1)에는 본체부(2), 손잡이부(3), 조작부(4), 삽입부(5) 및 공급유닛(7)이 구비된다.
한편, 체내 시술 장치(110)에는 처치장치본체(110), 시술관(sheath) 등과 같은 시술관(111) 및 조작손잡이(119)가 포함될 수 있다. 시술관(111)은 체내 시술 장치(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조작손잡이(119)는 체내 시술 장치(11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2)에는 손잡이부(3) 및 조작부(4)가 구비되고, 삽입부(5)의 일측이 연결된다. 여기서, 삽입부(5)는 그 타측이 체강(body cavity) 내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용도에 따라 가요성(flexibility)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체부(2)에 연결된 공급유닛(7)은 내시경(1)을 이용한 시술을 행할 때 필요한 공기나 물 등의 유체, 전력 등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손잡이부(3)는 내시경(1)을 이용하여 시술을 행하는 시술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손잡이부(3)에는 조작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4)는 삽입부(5)가 시술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하거나, 공급유닛(7)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나 물 등이 삽입부(5)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거나, 삽입부(5)의 타단부에 구비된 조명수단(도시되지 않음)이나 촬영수단(도시되지 않음)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삽입부(5) 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채널(6, channel)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6)은 공급유닛(7)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공급하거나 삽입부(5)의 타단부 주위의 혈액이나 체액 등을 공급유닛(7)으로 흡입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고, 내시경(1)을 이용한 시술에 필요한 도구가 이동되는 경로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체부(2)에는 채널(6)과 연통되는 삽입구(8)가 형성되는데, 시술관(111)은 삽입구(8)를 통하여 채널(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시술자는 조작손잡이(119)를 이용하여 시술관(111)이 삽입구(8)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시술관(111)의 타단부, 즉 시술관 선단부(112)가 삽입부(5)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처치장치본체(110)에 연결된 제어 및 공급유닛(150)은 처치장치본체(110)를 이용한 내피의 처치에 필요한 전력 등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및 공급유닛(15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1에 표시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체내 시술 장치(100)에는 침모듈(120), 급기관(132), 배기관(133), 동력전달부재(152), 구동부(165) 및 내피흡착수단(170),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술관 선단부(11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흡착수단(170)이 설치될 수 있다. 내피흡착수단(170)은 일부분이 시술관 선단부(11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내피흡착수단(170)은 시술관(111)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침모듈(120)에는 복수의 침(121), 시술판(122) 및 연결부재(123)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침(121)에는 첨단부가 각각 형성되고, 시술판(122)에는 복수의 침(121)이 나란하게 분산 결합된다. 한편, 복수의 침(121)의 첨단부는 인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을 뚫고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날카롭고 예리하게 가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복수의 침(121)은 첨단부가 모두 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부가 시술관 선단부(112)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시술판(122)의 복수의 침(121)이 결합된 부분의 반대 부분에는 연결부재(123)가 결합 또는 형성된다.
침모듈(120)은 시술관(도 2의 111)의 타측 내부, 즉 시술관 선단부(1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침모듈(120)은 복수의 침(121)이 내피흡착수단(170)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내피흡착수단(17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복수의 관통공(도 10의 174, 175)이 형성되는데, 시술판(122)은 내피흡착수단(170)보다 시술관 선단부(112)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침(121)은 상술한 관통공(174, 175)들을 통하여 시술관(111)의 타단부 외측, 즉 시술관 선단부(11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는 도 3에 A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내피흡착수단(170)에는 흡착수단본체(171)가 포함된다. 흡착수단본체(171)의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172) 및 복수의 관통공(174)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수단본체(171)에는 평판 형상의 흡착판부(173)가 형성되는데, 이 흡착판부(173)는 시술관 선단부(112) 외부로 노출되며, 내피(10)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복수의 관통공(174, 도 10의 175) 중 일부(174)는 흡착판부(173)에 배치되고, 나머지(175)는 흡착수단본체(171) 중 시술판(122)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들 복수의 관통공(174, 175)은 복수의 침(121)의 위치 및 수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침(121)이 복수의 관통공(174, 175)을 각각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공(174, 175)은 공기유동공간(172)과 상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65)는 시술관(111)의 타측 내에 배치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관 선단부(1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65)는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3)의 길이방향, 즉 시술관(111)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복수의 침(12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결부재(123)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23)가 구동되면, 이 구동력은 시술판(122)을 통하여 복수의 침(121)에 전달되므로, 복수의 침(121)이 관통공(174)을 통하여 시술관 선단부(112)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관통공(174)의 내측으로 후퇴되는 형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65)는, 흡착판부(도 6의 173)가 우선 내피(10)에 접하도록 한 후 시술관(111)의 일측 방향으로 복수의 침(121)이 돌출되도록 구동시켜 내피(10) 내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복수의 침(121)을 그 반대로 후퇴시켜 내피(10)에 삽입되어 있던 복수의 침(121)이 내피(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서 시술자가 처치장치본체(110)에 구비된 조작손잡이(119)를 이용하여 시술관(111)이 시술관 선단부(11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시술관 선단부(1112)의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침(121)이 내피(10)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구동부(165)로는 모터, 리니어 모터, 전자석, 압전소자 등 연결부재(123)를 왕복 직선운동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동력전달부재(152)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주파 발생수단(도 5의 160) 및 침(121)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고주파 발생수단(160)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침(121)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고주파 발생수단(160)은 코일, 진공관,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소자를 이용하여 발진을 하는 것으로, 전력을 공급 받아 고주파의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장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주파 발생수단(16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시술관(111)의 내부, 시술관 선단부(112)의 내부, 처치장치본체(110)의 내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급기관(132)의 일측은 내피흡착수단(17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시술관(11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급기관(132)의 일측은 내피흡착수단(170)의 공기유동공간(도 7의 172)과 상통되도록 연결된다.
참고로, 시술관 선단부(112)는 시술관(1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시술관(111)의 타측 또는 시술관 선단부(112)에 내장된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시술관 선단부(112)가 시술관(111)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침모듈(120) 및 내피흡착수단(170)이 시술관(1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급기관(132)이 내피흡착수단(17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기관(133)의 일측은 내피흡착수단(17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내피흡착수단(170)의 배기관(133)이 연결되는 부분은, 급기관(132)을 통하여 공기유동공간(도 7의 172)으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유동공간(도 7의 172) 내부를 고루 순환한 후 배기관(133)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은 내피흡착수단(170)의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시술관 선단부(112)가 시술관(111)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배기관(133) 또한 내피흡착수단(17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기관(133)의 타측에는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100)에는 앞에서 설명한 침모듈(120) 및 고주파 발생수단(160) 외에 전원 공급부(140), 제어부(151), 입력부(191), 표시부(192),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온도조절수단(도시되지 않음)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51)는 온도조절수단(도시되지 않음),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 전원 공급부(140), 고주파 발생수단(160), 구동부(165) 및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0)는 고주파 발생수단(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51)와 직접 연결되어 제어부(151)가 고주파 발생수단(160)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입력부(191) 및 표시부(192)는 처치장치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는데, 표시부(192)에는 복수의 침(121)으로 출력되는 고주파 전기에너지의 전압 및 전류의 크기, 주파수, 내피흡착수단(170)의 온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91)는 제어부(151)에 작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150)가 온도조절수단(도시되지 않음),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 고주파 발생수단(160), 구동부(165), 침의 인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으로의 삽입 깊이 등을 제어하여 체내 시술 장치(1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급기관(132)의 타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온도조절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으며, 급기관(132)의 타단부에는 흡기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온도조절수단은 흡기구로 유입되는 시술관(111) 외부의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인데,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배기관(133)의 타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배기관(133)의 타단부에는 배기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수단은 배기관(133) 내의 공기를 상술한 배기구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공기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결관계에 의해, 공기유동수단이 작동되면 하우징 외부(110)의 공기는 흡기구(136)를 통하여 유입되어 온도조절수단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후 급기관(132), 공기유동공간(도 7의 172), 배기관(133)을 거쳐 배기구를 통하여 처치장치본체(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공기유동공간(도 7의 172) 내의 공기가 강제로 처치장치본체(110) 외부로 배출되고 그만큼의 공기가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되므로, 공기유동공간(도 7의 172) 내의 압력은 외부의 압력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공기의 유동속도가 빨라질수록 공기유동공간(도 7의 172) 및 외부의 압력차는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처치장치본체(110)에는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 및 외부가 상통되도록 하는 환기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환기공은 고주파 발생수단(160) 및 제어부(151) 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환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처치장치본체(110) 내에 열이 누적되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환기공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온도센서는 내피흡착수단(17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내피흡착수단(170)의 온도가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내피흡착수단(170)에 접하도록 배치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내피흡착수단(170)과 열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제어부(151), 고주파 발생수단(160), 공기유동수단, 온도조절수단 등은 처치장치본체(110)와 제어 및 공급유닛(도 2의 150) 중 적절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구성요소들의 크기 또는 처치장치본체(110)의 크기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시술관 선단부(112)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침(121)이 상피층(11)을 관통하여 고유층(13)에 도달된 후 고주파 발생수단(160)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고유층(13)으로 전달되면 고유층(13)에 포함된 콜라겐 성분이 응고(coagulation)될 수 있다.
이때, 고유층(13) 중 응고되는 부분은 첨단부(129)를 중심으로 하는 전구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57691호(출원일: 2011.06.14)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57692호(출원일: 2011.06.14)에서 설명한 라-효과 및 라플러스-효과와 같다.
즉, 본 명세서에서 또한 정의된 일명 "라-효과"는 원칙적으로 고유층(13)에서의 이중 응고(coagulation) 상태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라-효과"를 설명하는 단어로는 "고유층(13) 조직을 태운다", "고유층(13) 조직에 열을 가한다", "고유층(13) 조직을 익힌다" 등과 같은 표현이 있을 수 있겠으나, 그 중에서도 "고유층(13) 조직을 익힌다"는 표현이 '에너지를 가하여 원칙적으로 고유층(13) 조직을 응고의 상태로 만든다'는 "라-효과"의 기술적 의미를 비교적 잘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고유층(13) 조직을 익힌다"는 표현을 '에너지를 가하여 원칙적으로 고유층(13) 조직을 응고의 상태로 만든다'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본원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익힌다"는 의미는 에너지를 가한다는 의미가 보다 강한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의 특허 청구항에 기재된 "익힌다"는 의미는 특히 '에너지를 가하여 원칙적으로 고유층 조직을 응고의 상태로 만든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밝힌다.
라-효과는 도 4에서와 같이 상피층(11)은 거의 익혀지지 않고 침(121)의 끝단을 중심으로 대부분 고유층(13) 부근에서만 전구 형태로 익는 부위(909)가 형성되는 효과를 말한다.
그리고 라-효과에 의하면, 바이폴라(bipolar) 전극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침(121)과 침(121) 사이의 모든 영역을 익히지 않고 각 침(121)별로 독립적으로 익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라-효과에 의하면, 침(121) 간의 영역을 도 2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익히는 것이 아니라, 개별 침(121)의 끝단을 중심으로 각기 구별되게 익혀지는 것이므로, 전류의 세기와 침(121)의 간격을 조정하는 방법을 통해 조직을 미세하게 나누어 시술가능하게 한다.
*한편, 라-효과에 의하면, 시술자는 침(121)에 가해지는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전구 모양의 익은 부위를 확장시킬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익은 부위가 만남으로써 아령 모양으로 익은 부위를 형성하게 할 수도 있다.
라-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바이폴라 전극을 형성하는 교류전류이되, 고주파 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류일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리고 라-효과를 위해서는 침(121)간의 간격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침(121)간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침(121) 끝단에 집중된 익는 부위가 서로 붙어 라-효과를 구현하는데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라-효과의 구현에 있어서는,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된 침(121)의 끝을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이었을 경우 그물 형태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론적으로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4개의 침(121)이면 그물 형태가 형성되는 것이지만, 가로로 배열된 침(121)의 수와 세로로 배열된 침(121)의 수가 각각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효과의 구현에 있어서, 침(121)에 교류를 인가하되 이웃하는 침(121)간의 +와 -의 극성이 서로 달라지도록 도 7과 같이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라-효과의 구현에 있어서 필수 요소인, 교류 전류(alternating current / AC)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로서 보통 AC(alternating current)로 표시한다.
이러한 교류 전류의 파형은 사인(sine) 파형이 가장 전형적이며 사각파나 삼각파 등으로 변형도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교류 전류는 각국에서 주파수를 50Hz 혹은 60Hz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
교류 전류는 라-효과를 발생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구성으로 인식되는데 주파수가 큰 것은 특별히 높은 경우 예를 들면 수백Hz와 같은 경우가 아니면 문제가 되지 않으나,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도 침(121) 간격을 좁혀 줌으로서 그로 인한 영향을 상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주파수가 낮은 경우는 라-효과의 구현에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되지만, 적어도 주파수가 20Hz 이상이면 다른 인자들을 조절하여 라-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인자의 조절에 대해서는 후술키로 한다.
다각적으로 검토 및 실험한 결과 라-효과는 고주파가 아닌 경우에는 구현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저주파는 물론이고 초음파, 중주파, 이온 등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라-효과는 제대로 구현되지 않았다.
실험에 따르면, 특히 고주파에서도 0.5 메가헤르츠(MHz)이상에서 라-효과가 잘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바람직한 경우가 2 MHz 내외라고 실험되어 현재 이를 이용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라-효과를 위한 고주파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5 - 10 MHz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4 MHz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 2.5 MHz 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이론적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주파 주파수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동일한 전류를 흘려보낼 때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근까지만 에너지 영역을 형성하는 반면 주파수가 낮으면 침(121)으로부터 먼 부분까지 에너지 영역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주파수가 0.5MHz 이하인 경우 침(121)간 간격을 멀리하여도 에너지 영역이 너무 넓어 상피층(22)까지 화상을 입히는 원인이 될 수도 있고, 특히 좁은 조직 부위에서 정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해 악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주파수가 10MHz 이상의 경우에는 에너지 영역이 너무 좁아 치료시간이 길어지고 최적의 치료를 위한 에너지 영역을 만들기도 어렵게 된다.
다음으로 라-효과는 침(121)의 간격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특히 침(121)의 간격은 모든 다른 구성요소와 깊은 관계가 있는데 예를 들어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라-효과의 유지를 위해서는,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가 증가하는 경우 침(121)의 간격은 감소되어야 하고,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가 감소하는 경우 침(121)의 간격은 증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실험되었다.
한편, 주파수가 2 MHz인 경우는 침(121)의 간격은 2mm 내외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실험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라-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로 침(121)의 절연 코팅 여부를 들 수 있다. 원칙적으로 라-효과가 작동하는 한 상피층(11) 부근은 거의 익지 않고 고유층(13)까지 파고든 침(121) 끝을 중심으로 도 4에서와 같이 마치 전구모양과 유사한 익는 부분이 형성되게 되므로 별도의 절연 코팅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절연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한 코팅 그 자체만으로 라-효과를 저해한다고 볼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침(121)의 강도 강화를 위하면서 절연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금속 코팅이나 열처리 등으로 인한 코팅은 라-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말하면 라-효과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절연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혹시 하더라도 최소한 고유층(13) 구간만은 절연 코팅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라-효과와 긴밀한 관계가 있는 구성요소는 침(121)(즉, 전극)의 극성의 배치 방법이다. 원칙적으로 라-효과의 구현을 위해서는 교류를 인가하되 원칙적으로 이웃하는 침(121)간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개의 침(121)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균등 배치되어, 각 침(121)이 정방형 그물망 구조의 교차점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임의의 위치의 침(121)의 극성은 가장 가까운 교차점에 있는 침(121)의 극성과는 다르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물론 교류 전류를 사용하므로 각 침(121)의 극성은 통상의 교류전기를 사용할 경우 초당 약 50 - 60회로 그 극성이 바뀌게 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당연히 매 순간마다 침(121)에 교류를 인가하되 이웃하는 침(121)간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각 침(121)들의 극성이 가장 가깝게 이웃하는 침(121)들의 극성과 다르도록 각 방향으로 (+), (-)로 교차하면서 배열되었다고 하는 것은 이런 원리로 된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일반적으로는 각 침(121)이 정방형 그물망 구조에서의 교차점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지만, 마름모 모양의 그물망 구조, 직사각형 그물망 구조, 또는 기타의 사각형 그물망 구조에서의 교차점에 위치되도록 침(121)이 배치되는 경우라도, 가장 인접한 침(121)과의 극성이 달라지도록 침(121)을 배치하는 한 라-효과가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각 침(121)들 중에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침(121)을 부분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고 침(121)의 배치를 부분적으로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가장 가깝게 이웃하는 침(121)들의 극성이 달라지도록 침(121)의 극성이 배치되었다면, 라-효과는 당연히 동작하게 된다.
라-효과의 작동에 있어서, 또 다른 중요한 구성요소는 전압으로서 이는 침(121) 간격을 정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고려 요소이지만 기기의 안전과도 직결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통상 조직면에 인가되는 전압을 중심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조직에 인가되는 전압"은 내피 조직에 삽입된 침(121)(침)의 표면과 접하는 조직 부위 사이에 걸리는 전압이다. 따라서 기기에 인가되는 전압과는 달리 3가지의 저항값(즉, 기기저항, 전극(침) 저항, 조직 저항값)의 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인가되는 에너지의 양과 직결된 구성요소로서 최대 100V를 초과하는 것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바람직한 전압은 10 - 60V이며 최적 전압은 20 - 40V인 것으로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상기 시술시 인체의 조직에 걸리는 전압(조직 전압)은 기기에서 설정하는 전압(외부전압)과 회로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도록 설계 가능하며 이는 이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라면 쉽게 구현 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라-효과에 있어서 또 하나의 변수는 전류이다. 하지만 이는 전압과 저항값에 따라 변하므로 장비를 통해 가해주는 전압과 기기저항, 전극(바늘) 저항, 조직저항값이 정해지면 옴의 법칙에 따라 계산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항값은 기기저항, 전극(침) 저항, 조직 저항으로 구분 가능하다.
라-효과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 구성요소는 에너지 지속 시간이다. 최저시간을 살펴보면 고주파 에너지가 안정 영역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으로 약 0.02초가 소요되므로 에너지 지속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그 효과가 거의 측정할 수 없을 만큼 나타나므로 시간을 지나치게 짧게 할 수는 없다.
실험을 통해 측정해본 결과 최소한 0.05초 이상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으로 에너지 지속시간이 비교적 짧다는 것이기는 하나 효과가 나타나는 가장 긴 시간을 측정해 본 결과 0.8초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침(121)간 간격을 넓히고 전압을 최소화하면 더 긴 시간도 가능할 수 있겠으나 현 시점에서 시술이 가능한 최적의 조건을 전제로 할 경우 0.05 - 0.8초의 범위를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시간은 0.1 - 0.4초이며, 가장 바람직한 시간은 0.1 - 0.2초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시간을 찾아내는 것은 생각보다는 대단히 어려웠고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했으며 많은 통찰력을 필요로 하였다. 왜냐하면 높은 고주파를 사용하고 교류를 사용하면서 낮은 전압을 사용하면서도 인가시간을 이렇게 짧게 한다는 것은 라-효과를 창작해 내고서야 착안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라-효과에 있어서, 다음으로 고려해야할 중요한 구성요소는 침(121)의 길이와 굵기이다. 침(121)의 굵기는 침(121) 간 간격에 영향을 준다. 또한 반복적으로 조직에 삽입했다가 뺐다가 해야 하므로 그러한 과정에서 구부러지지 않고 견딜만한 능력이 있어야 한다. 한편, 침(121)의 굵기가 굵어질수록 피시술자의 통증이 증가되며 침(121)에 찔린 흔적이 커지게 되고 출혈도 증가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침(121)의 굵기는 찌르는데 있어 통증을 최소화 하고 침(121)이 휘지 않을 정도이어야 하고 상처가 최소화되도록 적정범위를 찾아야 한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침(121) 굵기는 0.25mm 와 0.3mm 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런 정도면 무난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침(121) 굵기에 다소 벗어나더라도 라-효과를 나타내는 데는 침(121)의 굵기는 다소간의 영향은 있으나 그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다.
한편, 라-효과를 얻는 기기를 설계하기 위해 가장 신경을 쓰야 할 부분 중 하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121)의 간격이다. 간격을 재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여기서는 특정의 침(121)의 외피와 인접 침(121)의 외피간의 가장 가까운 간격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침(121) 간의 간격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의된 것이다.
라-효과가 가능한 간격은 1.3mm 까지는 가능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바람직한 간격은 1.3 - 3.0mm 수준으로 관찰되고 있으나 좀 더 넓은 간격이라 할지라도 인가되는 전류의 양이나 저항을 적게 하는 방법들을 동원할 경우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침(121)간 간격은 많은 변수들에 의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적절한 라-효과를 얻는다는 전제 하에 침(121) 간 간격에 영향을 주는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력(=에너지)이 증가하거나 침(121)의 굵기가 두꺼워지면 침(121)간의 간격은 증대되어야 한다. 한편, 전력은 전압과 전류 및 인가 시간을 곱한 값이므로, 결국 전압, 전류, 인가시간, 침(121)의 굵기, 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증가하면 침(121)간의 간격은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저항, 교류주파수, 고주파 주파수 또는 조직(피부)으로 침투한 침(121) 깊이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값이 증가하면 그 영향의 정도에 따라 침(121)의 간격을 좀 더 좁히더라도 라-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영향이 없을 수 있다. 이를 공식으로 표현하면 다음의 수학식 1이 될 것이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3007803-appb-M000001
N : 비례 상수,
저항 : 기기 저항, 전극 저항, 조직저항,
전력(=에너지)는 J = W*t 이므로 (W=전력, t=시간)
= V*I*t (W=V*I)
= I^2*R*t (V=I*R)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은 다음의 수학식 2로 표현될 수도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3007803-appb-M000002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전기에너지에 의한 영향이 고유층(13) 외에도 침(121)과 인접한 영역의 상피층(11)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상피층(11)에 가해지는 영향은 목적하는 바가 아니므로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유층(13)은 점막의 구성요소로, 체강을 둘러싸는 내피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내피에 있어서 상피층(11) 하부의 조직에는 대부분 콜라겐 성분이 포함되므로, 이후 설명에서도 상피층(11) 아래 부분에는 고유층(13)이 배치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도 1의 100)의 시술관 선단부(112)의 저면, 즉 시술관(111)의 타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침(121)이 시술관 선단부(112) 외측으로 첨단부(129)가 돌출되도록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침(121) 사이의 간격은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간격을 가질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흡착판부(173)의 중심부 또는 가장자리부 또는 특정 부분에 밀도가 높게 배치될 수도 있다.
내피흡착수단(17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74) 중 흡착판부(173)에 형성된 것들의 직경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침(121)의 직경보다 각각 크게 형성되어, 복수의 관통공(174) 및 복수의 핀(12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은 복수의 핀(121)의 첨단부(129)가 상피층(11)을 관통하여 고유층(13)까지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내피흡착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침(121)을 이용한 처치를 위해 복수의 침(121)에 의해 내피(10)가 가압되도록 하였을 때, 내피(10)가 연한 조직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침(121)이 상피층(11)을 관통하지 못하고 압입 되기만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전달되면 상피층(11)에만 영향을 주게 되므로, 고유층(13)에 대한 처치효과는 얻을 수 없고 상피층(11)이 변성되는 부작용만이 초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체내 시술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에 B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침(121)이 연한 조직인 내피(10) 중 상피층(11)만을 관통하여 첨단부(129)가 고유층(도 3의 12 참조)까지 충분히 도달되지 못하였다. 이럴 경우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전달되면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대하는 고유층(도 3의 12)의 개선효과는 미미하고 상피층(11)에는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도 8은 내피(10)가 연한 조직일 때 내피흡착수단(170)이 작동할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유동공간(172) 내로 공기가 유동됨에 따라 복수의 핀(121) 및 관통공(174)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하우징(도 2의 110) 외부의 공기, 즉 흡착판부(173)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동공간(172)으로 유입된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하여 공기유동공간(172) 내에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면, 공기유동공간(172) 내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피(10)의 상피층(11)은 관통공(174)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흡착판부(173)로 밀착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침(121)은 내피(10)를 충분히 관통하여 첨단부(129)가 고유층(13)에 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 전기에너지에 의한 처치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유동공간(172)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온도조절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도록 하면, 흡착판부(173)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고유층(도 3의 12 참조)에 도달되면 온도가 상승되는데, 흡착판부(173)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면 상피층(11)의 온도가 함께 상승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고주파 전기에너지에 의한 상피층(11)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유층(13)이 복수의 침(121)에 의해 관통되는 과정에서 고유층(13)에 분포된 모세혈관이 파괴되어 출혈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흡착판부(173)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면 고유층(13)의 상층의 온도 또한 낮아지게 되므로, 파괴된 모세혈관을 통한 혈행이 저하되어 지혈이 되는 효과 또는 출혈량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151)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감지되는 내피흡착수단(170)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내피흡착수단(170)이 소정의 온도 범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상피층(11)의 변성 방지 효과 및 출혈 억제 효과는 섭씨 10도 내지 25도 정도로, 제어부(151)에 미리 이 온도범위를 입력하여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온도조절수단(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내피흡착수단(170) 중 흡착판부(173)가 이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처치를 위한 시술에 한 번 사용된 복수의 침(121)은 위생상 새 것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술관(111)의 타측으로부터 시술관 선단부(112)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 침모듈(120)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체내 시술 장치(110)에서 급기관(132)의 타단부 및 배기관(133)의 타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이 폐회로 상에 여과수단(도시되지 않음),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온도조절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유동수단이 작동되면 배기관(133) 내의 공기가 이러한 폐회로 내를 유동하게 되는데, 공기는 온도조절수단을 내피흡착수단(170)에 형성된 공기유동공간(172)으로 유입되어 내피흡착수단(170)을 통과한 후 배기관(133)을 통하여 여과수단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여과수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피흡착수단(170) 내로 혈액이 유입되거나 위액과 같은 체액이 유입되었을 경우, 이들을 여과하여 배기관(133) 이외의 구성요소가 오염될 가능성 및 오염 범위가 감소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과수단으로는 공기에 혼입된 혈액 또는 체액을 흡착하는 다공성의 필터, 세균의 통과를 방지하는 제균필터, 습식여과장치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습식여과장치는 정화된 물 또는 소독액이 충전된 탱크를 포함하고, 이 탱크의 하측에 배기관(133)의 타측을 연결하여, 배기관(133)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정화된 물 또는 소독액을 통과하도록 한 후 수상치환(water substitution)과 같은 방법으로 공기를 포집하여 공기유동수단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가 정화된 물 또는 소독액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혈액 또는 체액이나 내피흡착수단(170)의 관통공(174)을 통하여 유입된 미세 이물질 등이 걸러질 수 있다. 여과수단을 거친 공기는 다시 공기유동수단을 통하여 위와 같은 순환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이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혈액이나 환자의 피부로부터 탈락된 조직 등이 배기관(133)으로 유입되더라도 폐회로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감염이 유발될 가능성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여과수단을 부가함으로써 위생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이 형성하는 폐회로에 설치되는 여과수단, 공기유동수단 및 온도조절수단은 그 배치 순서가 변경되어 유동되는 공기가 거치는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내피흡착수단(170)을 거친 공기가 여과수단을 우선 거치게 함으로써 공기유동수단 및 온도조절수단이 혈액이나 체액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0에는 도 9에 C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흡착수단본체(171)에 형성된 관통공(174, 175) 중 흡착판부(173)에 배치된 것들을 제외한 것들(175), 즉 하우징(도 2의 110)의 일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것들(175)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절연부재(179)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흡착수단본체(17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흡착수단본체(171)는 열의 양도체로 제조될 수 있는데, 열의 양도체는 통상적으로 전기의 양도체가 될 수도 있으므로 흡착수단본체(171)에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전달될 경우 이를 통하여 상피층(11)에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연부재(179)를 이용하여 복수의 침(121) 및 흡착수단본체(171) 사이에 전기 및 열이 절연되도록 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부작용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관통공(174) 및 침(121)의 직경 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침(121)이 피부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침(121)의 외주면이 관통공(174)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절연부재(179)는 관통공(174)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관통공(174, 175) 및 침(121)의 직경 차이가 큰 경우와 같이 관통공(174, 175)의 내주면에 침(121)의 외주면이 접촉될 가능성이 낮을 때에는 관통공(174, 175)에 절연부재(179)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침(121) 중 하나 이상에는 주사바늘과 같이 중공부가 형성되고, 침모듈(120) 중 침(121)의 첨단부(129)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나 시술판(122) 또는 연결부재(123)에는 중공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약물용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약물용기 내에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소형 액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액츄에이터의 단부에는 약물을 중공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용기(도시되지 않음) 내에 특정한 효과를 갖는 약물을 주입하여 침(121)이 내피(10)를 관통하였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은 중공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약물이 내피(10) 내부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침(121)에 의한 처치효과 외에 약물에 의한 효과를 함께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피(10)에 상처 또는 궤양이 발생된 경우 약물로써 성장인자(growth factor)를 궤양 치로제로 사용할 경우, 상처 또는 궤양의 회복이 촉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내피(10)에 상처 또는 궤양이 발생될 경우, 상처 또는 궤양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자연치유가 진행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처 또는 궤양에 에너지를 공급하면, 에너지를 공급받은 부분 또한 가장자리 부분과 함께 치유가 진행되어 치유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성장인자 등이 상처 또는 궤양 부위에 주입되면 치유가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침(121)은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침(121)이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그 가격은 상승되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상피층(11) 및 고유층(13) 상층부의 냉각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침(121)이 합성수지로 제조될 경우에는 금속이나 세라믹일 경우에 비하여 열전도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냉각효과는 낮아지는 반면 가격이 매우 저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침(121)은 용도에 맞는 소재를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 선단부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에 포함된 시술관 선단부(112), 침모듈(120), 동력전달부재(152), 구동부(165),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에는 배기관(133)만 설치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급기관(도 3의 132 참조)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배기관(133)에 설치된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피부흡착수단(270)을 통하여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내피흡착수단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피흡착수단(270)에는 흡착수단본체(271)가 포함되고, 흡착수단본체(271)는 시술판(122)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흡착수단본체(271)에는 복수의 침(121)이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275)이 형성되고, 흡착수단본체(271) 내에는 공기유동공간(272)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수단본체(271)에는 내피(10)와 접하는 방향으로 흡착부(273)가 돌출 형성되며, 흡착부(273)에는 흡기구(274)이 형성된다. 흡착수단본체(271)의 일측에는 배기관(133)과 연결되는 연결부(279)가 형성된다.
공기유동공간(2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수단본체(271)의 가장자리부분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공간(272)은 흡착수단본체(271)의 연결부(279) 및 흡기구(274)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279)로부터 흡기구(274)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흡착부(273)의 내피(10)에 접하는 부분은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착부(273)가 내피(10)에 접했을 때, 흡착부(273) 및 내피(10)가 접하는 부분을 가상으로 연결해 보면 다각형 또는 폐곡선과 같이 서로 연결된 선분 또는 곡선에 의해 내부와 외부가 차단된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침(121)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면 흡착부(273)가 피부에 접하는 부분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부(273) 및 내피(10)가 접하는 부분은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뿐만 아니라 원이나 타원의 원주와 같은 폐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피(10)에 흡착수단본체(271)가 접하게 되면, 그 부분은 흡착수단본체(271)의 관통공(275)이 형성된 부분 및 이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흡착부(273)에 의해 커버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흡기구(2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273) 중 내피(10)에 직접 접하지 않는 부분 중 앞에서 설명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133)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되면, 공기는 흡기구(274)로부터 공기유동공간(272)을 거쳐 연결부(279)를 통해 배기관(133)으로 유동된다. 이때, 관통공(275)으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침(121)이 삽입되므로, 공기는 주로 흡기구(274)를 통하여 유출되기 때문에, 내피(10) 중 흡착수단본체(271)에 의해 커버된 부분에는 음압이 작용된다.
그러므로 표피(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75)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침(121)이 표피(11)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침(121)이 표피(11)를 관통하여 내피(10)를 처치하는 과정에서 출혈이 발생되거나 주변의 체액이 유입될 경우, 혈액 또는 체액이 흡기구(274)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흡기구(274)을 통하여 유입된 혈액 또는 체액은 공기유동공간(272)을 통하여 배기관(133)까지 유동될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피(10)에 대한 처치가 완료된 후 시술관 선단부(112)를 교체할 때 내피흡착수단(270)도 함께 교체되도록 하여 해결될 수 있으며, 배기관(133)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필터 또는 여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혈액에 의한 감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배기관(133)의 용이한 교체를 위하여, 배기관(133)을 도시된 바와는 달리 시술관(111) 및 시술관 선단부(112)의 외부에 배치한 후 배기관(133)의 일단부가 시술관 선단부(112)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연결부(279)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도시되지 않은 급기관(도 3의 13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으로 일회용 튜브를 사용하고,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이 시술관(111)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삽입부(도 2의 5)에 형성된 채널(도 2의 6)을 통해 시술관(111)과 함께 배치되도록 하면, 내피(10)에 대한 처치가 완료된 후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을 폐기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내피흡착수단의 흡착부의 변형예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내피흡착수단(270)의 D로 표시된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흡착공(274a)은 흡착부(273a) 및 내피(10)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공(274a)은 내피흡착수단(270)의 공기유동공간(272)으로부터 상피층(11)과 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기관(133)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흡착공(274a)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피층(11)이 흡착공(274a)에 직접 흡착되어 흡착부(273a)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피흡착수단(270)이 내피(10)를 고정시키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흡착공(274b)은 흡착부(273b) 및 내피(10)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흡착공(274b)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입된 형상을 갖는다. 즉, 흡착부(273b) 중 내피(10)가 접하는 부분은 흡착공(274b)에 가까워질수록 공기유동통로(272)의 내부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어 깔때기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133)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흡착공(274b)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피층(11)이 흡착공(274b)에 흡착되고, 상피층(11)의 일부가 흡착부(273b)의 오목하게 함입된 부분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내피흡착수단(270)이 내피(10)를 고정시키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5에는 내피흡착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내피흡착수단(370)에는 흡착수단본체(371)가 포함되고, 흡착수단본체(371)에는 공기유동공간(372), 흡착부(373), 복수의 관통공(375) 및 연결부(379)가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유동공간(372), 복수의 관통공(375) 및 연결부(379)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기유동공간(272), 복수의 관통공(275) 및 연결부(279)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내피흡착수단(370)의 흡착부(373) 또한 앞에서 설명한 흡착부(도 12의 273)와 마찬가지로 내피(10)와 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흡착수단본체(37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부(373)의 내피(10)에 접하는 부분이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착공(374)은 흡착부(373) 및 내피(10)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공(374)은 내피흡착수단(370)의 공기유동공간(372)으로부터 표피(11)와 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공간(372) 내에 음압이 작용되어 흡착공(374)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피층(11)이 흡착공(374)에 직접 흡착되어 흡착부(37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흡착부(373)의 내피(10)와 접하는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사면은 통공(375)이 배치된 방향, 즉 침모듈(12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할수록 흡착수단본체(371)로부터 내피(10) 방향으로 흡착부(373)가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피층(11)이 흡착부(373)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흡착부(373)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흡착수단본체(371)의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상피층(11)이 융기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피층(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75)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침(121)이 상피층(11)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된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 선단부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에 비하여 배기관(137) 및 필터(139)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고, 그 외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시술관 선단부(112)에는 내피흡착수단(370)이 설치된다. 내피흡착수단(370)은 일부분이 시술관 선단부(1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배기관(137)의 일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관 선단부(1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피(10)가 내피흡착수단(370)에 의해 흡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작동되도록 하면, 시술관 선단부(112) 내에 음압이 발생하게 되므로 복수의 침(121) 및 복수의 관통공(375) 사이로도 상술한 바와 같은 혈액이나 체액이 유입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시술관 선단부(112)의 내부가 혈액이나 체액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39)가 침모듈(120)을 감싸는 형상으로 시술관 선단부(112) 내에 배치되도록 하면, 공기와 함께 시술관 선단부(112)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이나 체액이 필터(139)에 흡착될 수 있다.
내피(10) 대한 처치가 완료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시술관 선단부(112)를 시술관(111)으로부터 분리하여 침모듈(120), 내피흡착수단(370) 및 필터(139)를 폐기하면 혈액이나 체액에 의한 오염의 확산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흡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내피흡착수단에 포함된 흡착수단본체(471)의 중간 부분에는 시술판(122) 및 복수의 침(121)이 관통하는 부분이 형성된다. 즉, 흡착수단본체(471)는 시술판(122)의 가장자리 부분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흡착수단본체(471)의 중간부분, 즉 복수의 침(121)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침(121) 사이에 표면온도조절수단(499)이 배치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면온도조절수단(499)은 흡착수단본체(471)에 고정되며, 흡착수단본체(471)가 내피(10)의 상피층(11)에 접할 때 표면온도조절수단(499) 또한 함께 접하도록 배치된다. 표면온도조절수단(499)으로는 열전반도체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제어부(151) 또는 전원 공급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51)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이 제어되어 표피(1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흡착수단본체(471)에는 공기유동공간(472)이 형성될 수 잇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공간(472)의 일측은 흡착부(473)의 측면으로 개방되고, 타측은 흡착부(473)의 내피(10)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흡착공(474)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공기유동공간(472)을 통과하여 흡착공(474)을 거친 공기는 흡착수단본체(271)와 침모듈(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여 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거친 후 배기관(137)으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동공간(472)의 일측이 개방된 흡착부(473)의 측면은, 흡착부(473)의 측면 중 침모듈(120)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따라서, 공기유동공간(472)의 일측으로는, 흡착수단본체(471)가 내피(10)에 접했을 때 흡착부(473), 침(121) 및 표면온도조절수단(49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작동하여 배기관(137)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기 시작하면 하우징(110) 내부에는 음압이 작용되므로, 공기가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공간(472) 내를 유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공간(472)의 단면적보다 흡착수단본체(471)와 침모듈(120) 사이에 형성된 공기의 유동통로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가 공기유동공간(472) 내를 유동하는 속도(V1)가 흡착수단본체(471) 및 시술판(122) 사이를 유동하는 속도(V2)보다 높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유속 차이에 의해 베르누이의 효과가 발생되어 공기유동공간(472)의 타측 부분의 기압이 흡착수단본체(471) 및 시술판(122) 사이 공간의 기압보다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473)에 접하고 있는 내피(10)의 표피(11)는 공기유동공간(472)의 타측 부분으로 흡착된다. 그러므로, 내피(10)는 내피흡착수단(4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내피(10)를 처치하는 과정에서 출혈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도 흡착수단본체(471) 및 시술판(122) 사이의 공간을 통한 공기의 유동에 따라 혈액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혈액으로 인해 하우징(11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술관 선단부(112) 내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필터(139)가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매우 연약하거나 얇은 조직의 경우, 내피(10)를 흡착하는 힘이 너무 강할 경우에는 조직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는 공기유동수단에 의해 피부에 가해지는 음압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부가하고, 이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의 작동 세기가 제어부(151)에 의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의 흡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에 구비된 흡착수단본체(571)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흡착수단본체(471)에 비하여 공기유동공간(472)의 일측이 폐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흡착수단본체(571)의 공기유동공간(5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수단본체(571) 및 시술판(1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흡착공(574, 574a)은 흡착수단본체(571)에 형성된 흡착부(573) 및 침(121) 사이 및 침(121)과 표면온도조절수단(599)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작동되면 내피가 흡착공(574, 574a)에 직접 흡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에서의 라-효과가 구현된 시술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에서의 복수의 침(121)을,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인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이 관통되지 않도록 볼펜의 끝처럼 단부가 볼 가공된 첨단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돌기(800)로 치환하였다.
도 19에서와 같이, 복수의 돌기(800)를 피시술자의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며 접점을 형성하고 있는 상황에서와 같이, 내부로 투침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라-효과가 구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상피층(11)에는 혈관이 없는데 반해 고유층(13)에는 혈관이 다수 포진되어 있으며, 혈관 내부의 혈액은 이온 전해질의 성질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이온 전해질은 내피 표면에 밀착된 돌기(800)에서의 고주파(특히, RF) 전류에 의해 진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피층(11)에서 발생된 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열이 고유층(13)에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RF 전류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고유층(13) 영역에서의 열 발생 정도 및 그 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침(300)이 복수의 돌기(800)로 치환된 것을 제외하고, 도 19에서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라-효과의 작동 조건과 상술한 도 6에서의 라-효과의 작동 조건은 동일하다.
아울러, 복수의 침(121)이 복수의 돌기(800)로 치환된 것을 제외하고, 도 19에서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체내 시술 장치와 그 구조 및 동작 원리가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체용뿐만 아니라 수의학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내시경 장치(1)에 별도로 카메라가 촬영가능한 홀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침(121) 중 어느 하나에 카메라 촬영에 필요한 광 케이블을 내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내시경 장치(1)에 무선통신 모듈을 설치하여, 수집된 시술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원격 수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흡착수단(170)의 흡착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침(121)의 둘레에 집게를 구비함으로써, 집게를 통해 시술 부위 조직을 고정시킬 수도 있도록 할 수도 이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장치(1)에는 추가의 삽입관을 설치함으로써, 칼, 가위, 집게, 카메라, 이물질 또는 연기 흡입 장치 등을 넣어 시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침(121)의 내부에 관을 형성함으로서, 이를 통해 레이저 파이버 섬유를 삽입함으로써, 내부 조직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장치(1)는 흡착 수단(170)을 통해 흡착된 조직면을 쿨링하여 내피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의료 기기 분야에서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인정된다.

Claims (13)

  1. 체내로 삽입되는 내시경(1)의 삽입부(5)에 설치되는 시술관(111);
    상기 시술관(11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첨단부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침(121)이 구비된 시술판(12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이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을 벗어나, 체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시술판(12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65);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140)
    를 포함하는 체내 시술 장치.
  2. 체내 내부로 삽입되는 내시경(1)의 삽입부(5)에 설치되는 시술관(111);
    상기 시술관(11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첨단부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800)가 구비된 시술판(122);
    상기 첨단부가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을 벗어나, 체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시술판(12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65); 및
    상기 돌기(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140)
    를 포함하는 체내 시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을 상기 체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흡착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흡착수단(170)을 더 포함하는 체내 시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170)의 적어도 일부에는 절연부재가 구비된 것인 체내 시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170)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첨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착공을 통해 상기 시술관(111)의 끝부분을 벗어나도록, 상기 구동부(165)는 상기 시술판(122)을 구동시키는 것인 체내 시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121)이 상기 체내 내부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조직면 또는 내피면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을 흡착공을 통해 상기 체내 시술 장치의 내부로 흡수하는 흡착수단(170)을 더 포함하는 체내 시술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17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체내 시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12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연결된 약물용기를 더 포함하는 체내 시술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170)에 구비되며, 상기 조직면 또는 내피면에 접하여 시술 부위의 온도를 조절하는 표면온도 조절수단(499)을 더 포함하는 체내 시술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부에는 고주파 교류 전류가 전달되며,
    상기 첨단부는 바이폴라의 전극 체제를 갖는 것인 체내 시술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첨단부는 인접한 첨단부의 극성이 교번되는 것인 체내 시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침의 상기 조직면 또는 내피면으로의 미리 설정된 깊이 만큼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165)를 제어하는 제어부(151)를 더 포함하는 체내 시술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의 상기 체내 시술 장치가 구비된 내시경 장치.
PCT/KR2013/007803 2012-09-03 2013-08-30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WO2014035176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29681A JP6174148B2 (ja) 2012-09-03 2013-08-30 体内施術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内視鏡装置
US14/425,625 US20150201825A1 (en) 2012-09-03 2013-08-30 Endosurgical operating device and endoscopic device comprising same
EP13833078.2A EP2893894B8 (en) 2012-09-03 2013-08-30 Endosurgical operating device and endoscopic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154 2012-09-03
KR1020120097154A KR101286752B1 (ko) 2012-09-03 2012-09-03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176A2 true WO2014035176A2 (ko) 2014-03-06
WO2014035176A3 WO2014035176A3 (ko) 2014-05-08

Family

ID=4899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7803 WO2014035176A2 (ko) 2012-09-03 2013-08-30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01825A1 (ko)
EP (1) EP2893894B8 (ko)
JP (1) JP6174148B2 (ko)
KR (1) KR101286752B1 (ko)
WO (1) WO201403517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8577A (zh) * 2015-06-19 2018-02-16 斯塔尔麦德有限公司 手术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8997B2 (en) * 2014-09-24 2019-01-15 Gyrus Acmi, Inc. High-speed powered hand tool with improved motor cooling
US20180161091A9 (en) * 2014-10-21 2018-06-14 Wendy Epstein Radio frequency handpiece for medical treatments
JP6374346B2 (ja) * 2015-04-30 2018-08-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CN107469231B (zh) * 2016-06-07 2023-08-18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经人体自然腔道作用的电刺激仪
US9636491B1 (en) 2016-06-08 2017-05-02 Eclipse Aesthetics, LLC Disposable needle cartridges having absorbing contaminant barriers
US10220195B2 (en) * 2016-06-08 2019-03-05 Eclipse Medcorp, Llc Radio frequency needling device for use with disposable needle cartridges
US9629991B1 (en) 2016-06-08 2017-04-25 Eclipse Aesthetics, LLC Disposable radio frequency needle cartridges having absorbing containment barriers
KR101828589B1 (ko) * 2016-07-04 2018-02-13 주식회사 파나시 피부 시술용 고주파 핸드피스
JP6426134B2 (ja) * 2016-12-19 2018-11-21 株式会社ジェイメック 光治療装置
US20190365461A1 (en) * 2017-01-11 2019-12-05 Masanori Saeki Puncture device and cartridge for puncture device
US20180271589A1 (en) * 2017-03-24 2018-09-27 Shenzhen Peninsula Medical Co., Ltd. Microneedle treatment apparatus and variable frequency rf treatment system
CN111278377A (zh) * 2017-08-29 2020-06-12 帕奇米公司 微针治疗系统
CN109453461B (zh) * 2017-09-06 2022-05-27 中原大学 压电式超音波热电疗系统
KR20190084701A (ko) * 2018-01-09 2019-07-17 (주)아그네스메디컬 지속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약물 겸용 치료장치
KR102062219B1 (ko) 2018-07-02 2020-01-03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약물 주입용 팁, 핸드 피스 및 피부 처치 장치
WO2020009351A1 (ko) * 2018-07-02 2020-01-09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약물 주입용 팁, 핸드 피스 및 피부 처치 장치
KR102196289B1 (ko) 2019-02-01 2020-12-29 주식회사 케이메디시스 내시경 결합 장치
WO2021010796A1 (ko) * 2019-07-17 2021-01-21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전류 인가용 니들 팁, 핸드피스 및 피부 처치 장치
US11633208B2 (en) * 2020-01-13 2023-04-25 Medline Industries, Lp System and method for clinical soil control for a skin grafting system
KR102330588B1 (ko) * 2021-04-15 2021-11-23 박원희 알에프전극의 극성 스위칭수단과 진공캡을 구비한 핸드피스
CN113274648B (zh) * 2021-05-14 2023-04-25 云南普慧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或理疗用人体体表的吸附装置
KR102539629B1 (ko) * 2022-09-29 2023-06-02 주식회사 셀라메디칼 핸드피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504A (ko) 2005-02-01 2006-08-04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의료용 치료 전극을 가지는 의료 기구
KR20090131724A (ko) 2008-06-19 2009-12-30 구자선 열공급을 통해 시술효과를 극대화한 내시경의 한방침 장치
KR20110057691A (ko) 2009-11-24 2011-06-01 한국기계연구원 다공성 반응소결질화규소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반응소결질화규소
KR20110057692A (ko) 2009-11-24 2011-06-01 최승훈 이산화바나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39523B1 (de) * 1969-08-02 1971-02-04 Niess Ingeborg Elektromedizin Saugelektrodenvorrichtung fuer elektromedizinische Geraete
US5902272A (en) 1992-01-07 1999-05-11 Arthrocare Corporation Planar ablation probe and method for electrosurgical cutting and ablation
US6464697B1 (en) * 1998-02-19 2002-10-15 Curon Medical, Inc. Stomach and adjoining tissue regions in the esophagus
US6743211B1 (en) * 1999-11-23 2004-06-0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ed microneedle penetration of biological barriers
US7422586B2 (en) * 2001-02-28 2008-09-09 Angiodynamics, Inc. Tissu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AR045495A1 (es) * 2003-08-25 2005-11-02 Monsanto Technology Llc Elementos reguladores de la tubulina para usar en plantas
US20050283147A1 (en) * 2004-06-17 2005-12-22 Chie Yachi Surgical treatment device and surgical treatment system
US20060058723A1 (en) * 2004-09-15 2006-03-16 Pratt William R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surgically prepared bone surface
US7942873B2 (en) * 2005-03-25 2011-05-17 Angiodynamics, Inc. Cavity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07015232A1 (en) * 2005-08-01 2007-02-08 Hawk Medical Technologies Ltd. Eradication of pigmentation and scar tissue
EP2034917A2 (en) * 2006-07-05 2009-03-18 Bovie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skin tightening and corrective forming
EP3391844A1 (en) * 2007-04-19 2018-10-24 Miramar Labs, Inc. Apparatus for reducing sweat production
US20090182192A1 (en) * 2008-01-14 2009-07-1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Treating tool for endoscope
WO2010022275A1 (en) * 2008-08-20 2010-02-25 Ionix Medical, Inc. Non-thermal ablation system for treating tissue
US20100240995A1 (en) * 2009-03-17 2010-09-23 Bioelectromed Corp.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tumors
US20120158100A1 (en) * 2010-06-21 2012-06-21 Kevin Schomacker Driving Microneedle Arrays into Skin and Delivering RF Energ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504A (ko) 2005-02-01 2006-08-04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의료용 치료 전극을 가지는 의료 기구
KR20090131724A (ko) 2008-06-19 2009-12-30 구자선 열공급을 통해 시술효과를 극대화한 내시경의 한방침 장치
KR20110057691A (ko) 2009-11-24 2011-06-01 한국기계연구원 다공성 반응소결질화규소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반응소결질화규소
KR20110057692A (ko) 2009-11-24 2011-06-01 최승훈 이산화바나듐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893894A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8577A (zh) * 2015-06-19 2018-02-16 斯塔尔麦德有限公司 手术装置
CN107708577B (zh) * 2015-06-19 2021-03-12 斯塔尔麦德有限公司 手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3894A2 (en) 2015-07-15
EP2893894A4 (en) 2016-05-18
EP2893894B8 (en) 2021-03-10
KR101286752B1 (ko) 2013-07-16
US20150201825A1 (en) 2015-07-23
EP2893894B1 (en) 2020-12-09
WO2014035176A3 (ko) 2014-05-08
JP6174148B2 (ja) 2017-08-02
JP2015528345A (ja) 201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35176A2 (ko)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WO2018169128A1 (ko) 상악동 천자 장비
AU20113233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surgical conductive gas cutting for improving eschar, sealing vessels and tissues
WO2010085059A2 (ko) 피부처치 장치
WO2014196746A1 (ko) 3중 가변형 내시경하 점막하층 스마트 속시술기구
US6902536B2 (en) Ultrasonic medical treatment device for RF cauterization and related method
WO2011159118A2 (ko) 레이저를 이용한 흉터 및 피부질환 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JP3741725B2 (ja) 軟質組織の制御された収縮のための装置
WO2010143757A1 (ko)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전극체 및 유도관
US20170325876A1 (en) High frequency forceps
KR100603777B1 (ko) 내시경통전기구
US20160121134A1 (en) Medical device for applying non-thermal plasma to selected targets
WO2017039110A1 (ko) 맞춤형 복합자극이 가능한 피부 기능 개선용 입체 음압 복합 자극기 모듈
US20090054896A1 (en) Control of mucus membrane bleeding with cold plasma
WO2016126087A2 (ko) 피부내 혈관의 치료 장치
JPH0663060A (ja) 生物学的組織の凝固を達成するための電気外科ユニット及びその方法
JP2004350938A (ja) 内視鏡用鉗子
WO2018182188A1 (ko) Rf치료기기, rf치료기기의 제어방법 및 rf에너지를 이용한 피부치료방법
WO2017069509A1 (ko) 피부관리장치
WO2012144713A1 (ko)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및 고주파 치료방법
WO2012115363A2 (ko) 복수개의 모드를 멀티시술모듈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 동작시키는 내시경하 점막하층 멀티용 시술기구
WO2016048001A1 (ko) 카테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30261A1 (ko) 상악동 천자 장비
WO2021010546A1 (ko) 전류 인가용 니들팁, 핸드 피스 및 피부 처치 장치
WO2012133979A1 (ko) 광 수술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2968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25625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330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330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