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289B1 - 내시경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289B1
KR102196289B1 KR1020190014100A KR20190014100A KR102196289B1 KR 102196289 B1 KR102196289 B1 KR 102196289B1 KR 1020190014100 A KR1020190014100 A KR 1020190014100A KR 20190014100 A KR20190014100 A KR 20190014100A KR 102196289 B1 KR102196289 B1 KR 10219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upling
insertion hole
hole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991A (ko
Inventor
곽재봉
김상효
장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메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메디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메디시스
Priority to KR102019001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289B1/ko
Priority to PCT/KR2019/009908 priority patent/WO2020159022A1/ko
Publication of KR2020009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 결합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장치와 치료 장치가 함께 체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치료 장치가 내시경 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내시경 결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부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치료 장치가 내시경 장치에 대해 이동될 수 있어 대상 환부의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내시경 결합 장치{Endoscope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시경 장치와 치료 장치가 함께 체내에 투입될 수 있고, 치료 장치가 내시경 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내시경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장치는 식도 등을 통해 내장 장기나 체강 내부로 삽입되어, 개복할 필요 없이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병변 부위의 관찰, 조직 검사 또는 기타 시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료 장치이다.
내시경 장치는 관찰 및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들이 있다. 예로서, 선단부에서 빛을 제공하는 광원 렌즈, 내시경으로 조직 검사나 기타 시술을 시행할 수 있는 겸자공(biopsy channel)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 추가적인 조직 검사 또는 치료가 요구되어 추가 내시경 장치가 동시에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 종래의 내시경 장치는 각 내시경 장치가 체내에 각각 삽입되어야 했다. 따라서 원하는 시술이 불가능하거나 효율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시술 시간의 길이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시경 장치와 치료 장치를 동시에 삽입하기 위한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1-0120476호는 일측 단부에 수술 도구가 구비된 로봇팔을 복수 개 구비한 내시경 수술용 로봇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내시경 수술용 로봇 장치는 로봇팔 자체에 링크들로 이루어진 벤딩관절이 구비되어야 하고, 별도의 가이드부없이 로봇팔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286752호는 내시경 장치가 삽입되는 단부에 복수 개의 침을 구비한 체내 시술 장치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내시경 장치는 복수 개의 침이 내시경 장치 자체에 구비되므로 치료 목적 및 종류에 따라 치료 장치를 교체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은 체내에 삽입된 후 내시경 장치에 대한 치료 장치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므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환부에 대응하기 위해 장치 전체를 이동시켜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1-0120476호 (2011.11.04.)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286752호 (2013.07.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다양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치료 장치를 내시경 장치와 함께 체내에 삽입할 수 있는 내시경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장치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환부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내시경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신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내시경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 상기 내시경 장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치료 장치; 상기 내시경 장치 및 상기 치료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단면에 위치되는 제1 삽입공(揷入空); 및 상기 제1 삽입공의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2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치료 장치가 상기 내시경 장치의 방사상 외측에서 상기 원호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치료 장치는 상기 제2 삽입공에 삽입되는 내시경 결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시경 결합 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삽입공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타측까지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단면에 위치되는 제1 가이드공 및 제2 가이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공은 상기 제1 삽입공에 맞추어지고, 상기 제2 가이드공은 상기 제2 삽입공에 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결합부는, 상기 장치 결합부의 단면에 위치되는 치료 장치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치료 장치 결합공은 상기 제2 삽입공에 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장치는, 상기 제2 가이드공, 상기 제2 삽입공 및 상기 치료 장치 결합공에 삽입되고, 상기 치료 장치가 상기 내시경 장치의 방사상 외측에서 상기 원호를 따라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장치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에는 다이얼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부가 회전되면, 상기 치료 장치가 상기 내시경 장치의 방사상 외측에서 상기 원호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공 및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석션(suction)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그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까지 연장되는 석션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결합되는 밸브 조립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션 개구부, 상기 석션 통로부 및 상기 밸브 조립체부는 상기 석션 개구부에 유입된 물질이 상기 밸브 조립체부에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장치 및 치료 장치가 지지부의 제1 삽입공 및 제2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함께 체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장치 삽입 후 치료 장치를 별도로 삽입하는 번거로움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치료 장치는 지지부의 제2 삽입공에 삽입되어, 제1 삽입공에 삽입된 내시경 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환부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에 형성된 석션부를 통해 치료 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내시경 결합 장치 내로 흡입된 후 신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시경 결합 장치의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내시경 결합 장치의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내시경 결합 장치의 지지부의 정면도(a) 및 후면도(b)이다.
도 6은 도 1의 내시경 결합 장치의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이드부의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가이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가이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내시경 결합 장치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가이드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의 가이드부의 정면도(a) 및 후면도(b)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내시경 결합 장치의 장치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내시경 결합 장치가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회전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회전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내시경 결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9는 도 1의 내시경 결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이물질"이라는 용어는 치료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치료 과정에 불필요한 물질을 통칭한다.
1. 내시경 결합 장치의 구성의 설명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는 내시경 장치(10), 치료 장치(20), 지지부(100), 가이드부(200) 및 장치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1)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에는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가 결합되어 신체 내부로 함께 삽입될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는 환자 또는 시술 대상자의 체내에 삽입되어, 시술 대상 부위를 관찰하거나, 시술 대상 부위에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시경 장치(10)는 원형 단면을 갖고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내시경 장치(10)의 형상은 여타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시경 장치(10)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내시경 장치(10)는 호스 등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의 전방 측 단부에는 카메라 등 영상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영상 장치(미도시)에서 감지된 영상 정보는 별도의 출력 장치(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영상 정보의 전달을 위해, 영상 장치(미도시)와 출력 장치(미도시)는 전기 통신 가능한 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내시경 장치(10)는 내부에 광섬유 채널(미도시), 렌즈 채널(미도시) 및 겸자공(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 채널(미도시)과 렌즈 채널(미도시)은 영상 장치(미도시)로서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섬유 채널(미도시)은 신체 내부에 광원을 제공하고, 렌즈 채널(미도시)은 제공된 광원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영상 장치(미도시)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겸자공(미도시)은 시술 대상 부위에 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 겸자(forceps)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내시경 장치(10)는 별도의 보조 공(미도시)들을 더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발광을 위한 광섬유, 영상 정보 획득을 위한 렌즈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10)는 후술될 치료 장치(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치료 장치(20)는 내시경 장치(10)와 별도로 구비되어 내시경 장치(10)가 영상 정보를 취득 중인 환부에 대한 치료 과정을 수행한다.
치료 장치(20)는 환부의 절개 및 절단, 환부에의 투약, 환부의 천공(穿孔), 환부의 봉합 등 환부의 치료를 위한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치료 장치(20)는 원형 단면을 갖고,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치료 장치(20)의 형상은 여타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치료 장치(20)는 상술한 치료 장치(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치료 장치(20)는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치료 장치(20)는 호스 등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20)는 상술한 내시경 장치(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치료 장치(20)는 내시경 장치(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2) 지지부(100)의 설명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는 지지부(1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에는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가 삽입된다. 또한 지지부(100)는 치료 장치(20)가 내시경 장치(1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내시경 장치(10)와 치료 장치(20)를 지지한다.
지지부(100)에는 후술될 가이드부(200) 및 장치 결합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결합된 가이드부(200) 및 장치 결합부(300)는 지지부(100)에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부(100)는 지지 몸체부(101), 제1 삽입공(110), 제2 삽입공(120), 손잡이부(130), 각도 조절부(140), 트리거부(150) 및 결합 단차부(160)를 포함한다.
지지 몸체부(101)는 지지부(100)의 몸체를 이룬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101)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지지 몸체부(101)의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지지 몸체부(101)의 내측에는 후술될 제1 삽입공(110) 및 제2 삽입공(120)이 형성된다.
전방 단면(102)은 지지 몸체부(101)의 전방 측 단면을 형성한다. 전방 단면(102)에는 제1 삽입공(110) 및 제2 삽입공(120)이 형성된다. 내시경 장치(10)와 치료 장치(20)는 각각 제1 삽입공(110) 및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될 수 있다.
전방 단면(102)에는 후술될 가이드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결합 돌기(103)는 전방 단면(102)의 일측에 위치되며, 전방 단면(102)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103)는 전방 단면(102)의 하측에 위치된다. 결합 돌기(10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103)는 결합 돌기(103)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전방 단면(102)을 향하는 방향의 반경이 교번적으로 변경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103)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결합 돌기(103)의 전방 측 단부에는 상기 소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캡(cap)이 구비된다.
또한, 결합 돌기(103)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전방 단면(102)을 향해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캡(cap)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판이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 돌기(103)의 구조에 의해, 결합 돌기(103)는 후술될 가이드부(200)의 제1 가이드 홈(262a) 및 제2 가이드 홈(262b)에 결합되어 치료 장치(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후방 단면(104)은 지지 몸체부(101)의 후방 측 단면을 형성한다. 후방 단면(104)에는 제2 삽입공(120)이 형성된다. 치료 장치(20)는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될 수 있다.
후방 단면(104)에는 후술될 장치 결합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삽입공(110)은 내시경 장치(1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삽입공(110)은 전방 단면(102)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되, 지지 몸체부(101)를 관통하지는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1 삽입공(110)은 지지 몸체부(10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공(110)의 형상은 내시경 장치(1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시경 장치(10)의 형상이 원통형인 바, 제1 삽입공(110)의 형상 또한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제1 삽입공(110)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삽입공(110)은 전방 단면(102)의 중심에 위치된다. 제1 삽입공(110)의 하측에는 결합 돌기(103)가 위치되고, 제1 삽입공(110)의 상측에는 후술될 제2 삽입공(120)이 위치된다.
제1 삽입공(11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후술될 바와 같이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가 제1 삽입공(110)에 삽입된 내시경 장치(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삽입공(120)은 치료 장치(2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삽입공(120)은 전방 단면(102) 및 후방 단면(104) 모두에 형성된다. 즉, 제2 삽입공(120)은 지지 몸체부(101)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바와 같이, 장치 결합부(300)에 결합된 치료 장치(20)가 지지부(100)를 관통하여 후술될 가이드부(200)에 결합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삽입공(120)은 제1 삽입공(110)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치료 장치(20)가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된 후 제1 삽입공(110)에 삽입된 내시경 장치(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삽입공(120)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삽입공(120)의 형상은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가 제1 삽입공(110)에 삽입된 내시경 장치(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면 족하다.
또한 제2 삽입공(120)의 호(弧) 중 제1 삽입공(110)에 보다 인접한 내측 호와 제1 삽입공(110)으로부터 보다 이격된 외측 호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치료 장치(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삽입공(120)은 제1 삽입공(110)과 동축으로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삽입공(120)의 중심축은 제1 삽입공(110)의 중심축과 맞추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가 제1 삽입공(110)에 삽입된 내시경 장치(10)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제2 삽입공(120)의 중심각, 즉 제2 삽입공(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2 삽입공(120)의 라운드진 일측 끝단과 다른 일측 끝단 사이의 각도는 18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부(100)의 수직 방향 축과 제2 삽입공(120)의 라운드진 일측 끝단 사이의 사잇각은 9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의 수직 방향 축과 제2 삽입공(120)의 라운드진 다른 일측 끝단 사이의 사잇각은 9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2 삽입공(120)에는 치료 장치(20)가 삽입되어 제2 삽입공(1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삽입된 치료 장치(20)가 적어도 180˚, 즉 내시경 장치(10)를 중심으로 반원만큼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가 체내에 삽입되면, 치료 장치(20)는 적어도 내시경 결합 장치의 상측 반원만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치료 장치(20)가 보다 넓은 범위에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의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다.
제1 삽입공(110) 및 제2 삽입공(120)에 각각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손잡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가 사용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30)는 원통형이며, 지지 몸체부(10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지지 몸체부(101)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손잡이부(13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여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후술될 트리거부(150)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각도 조절부(140)는 손잡이부(130)와 지지 몸체부(101) 사이에 구비된다. 손잡이부(130)는 각도 조절부(140)에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 몸체부(101)와 손잡이부(130)가 이루는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부(130)와 후술될 트리거부(150)를 동시에 파지하고 압력을 가할 경우, 각도 조절부(140)에 의해 손잡이부(130)가 트리거부(15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도 조절부(140)는 지지 몸체부(101)와 후술될 트리거부(15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130)와 트리거부(150)를 동시에 파지하고 압력을 가할 경우, 트리거부(150)가 손잡이부(130)를 향해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트리거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가 사용될 때, 사용자가 손잡이부(130)와 함께 파지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트리거부(150)는 원통형이며, 지지 몸체부(101)로부터 수직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트리거부(15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여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트리거부(150)는 손잡이부(130)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손잡이부(130)를 파지하고, 검지 및 중지 등으로 트리거부(150)를 함께 파지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도 조절부(140)가 손잡이부(130)와 지지 몸체부(101) 사이에 구비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30)와 트리거부(150)를 함께 파지하고 압력을 가하면, 손잡이부(130)가 트리거부(150)를 향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내시경 결합 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도 조절부(140)가 트리거부(150)와 지지 몸체부(10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을 위해 압력이 가해지면 트리거부(150)가 손잡이부(130)를 향해 이동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100)는 회전 각 조절 홈(170)을 포함한다.
회전 각 조절 홈(170)에는 후술될 회전 각 조절 부재(290)가 삽입되거나 배출된다. 이에 따라, 후술될 가이드부(20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각 조절 홈(170)은 지지부(100)의 지지 몸체부(101)의 전방 측 외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각 조절 홈(170)은 전방 단면(102)에 인접한 지지 몸체부(101)의 상측 외주면 상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각 조절 홈(170)은 지지 몸체부(101)의 외주면 중 상측 외주면의 절반만큼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일측 끝단에 위치되는 회전 각 조절 홈(170)과, 다른 일측 끝단에 위치되는 회전 각 조절 홈(170) 사이의 각도는 180˚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101)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지지 몸체부(101)를 상측 반원 기둥 및 하측 반원 기둥으로 구분하였을 때,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은 상측 반원 기둥의 외주면 상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제2 삽입공(120)의 중심각이 180˚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궤를 같이 한다.
즉, 제2 삽입공(120)의 중심각에 의해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가 회전 가능한 각도가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삽입공(120)의 중심각은 180˚ 이상으로 형성되므로, 치료 장치(20)는 180˚ 또는 그 이상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은 지지 몸체부(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되, 일측 끝단에 위치되는 회전 각 조절 홈(170)과 다른 일측 끝단에 위치되는 회전 각 조절 홈(170) 사이의 각도가 180˚이상이 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후, 회전 각 조절 홈(170)에 회전 각 조절 부재(29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 장치(2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1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이 지지 몸체부(101)의 연직 방향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각 조절 홈(170)에는 치료 장치(20)가 회전되지 않았을 때 회전 각 조절 부재(29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각 조절 홈(170)으로부터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8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회전 각 조절 홈(170)이 이루는 각도는 11.25˚일 수 있다.
즉, 8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이 중심 역할을 하는 회전 각 조절 홈(170)으로부터 각각 11.25˚의 각도를 이루며 지지 몸체부(101)의 외주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8개의 다른 회전 각 조절 홈(170)이 중심 역할을 하는 회전 각 조절 홈(170)으로부터 각각 11.25˚의 각도를 형성하며 지지 몸체부(101)의 외주면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배치된 각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중심 역할을 하는 회전 각 조절 홈(170)으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2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은 지지 몸체부(101)의 외주면 상에서 180˚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중심 역할을 하는 회전 각 조절 홈(170)과 그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2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각각이 이루는 각도는 90˚가 된다. 회전 각 조절 홈(170)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각 조절 볼(296)이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3) 가이드부(200)의 설명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는 가이드부(20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200)는 지지부(100)에 삽입된 내시경 장치(10)와 치료 장치(20)의 전방 측을 지지한다. 또한, 가이드부(200)는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를 이용한 치료 과정 진행 중 발생한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신체 외부로 배출한다.
가이드부(200)는 지지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부(100)와 결합된다.
가이드부(200)는 가이드 몸체부(201), 제1 가이드공(210), 제2 가이드공(220), 전방 곡면부(230), 석션(suction)부(240), 밸브 조립체부(250), 주 몸체부(260), 부 몸체부(270), 잠금부(280) 및 회전 각 조절 부재(290)를 포함한다.
가이드 몸체부(201)는 가이드부(200)의 몸체를 이룬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몸체부(201)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가이드 몸체부(201)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부(201)는 제1 가이드공(210), 제2 가이드공(220), 전방 곡면부(230), 석션부(240)가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 몸체부(201)의 후방 측은 밸브 조립체부(250)와 결합된다.
가이드 몸체부(201)의 내부에는 중공(hollow)(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미도시)에 의해 후술될 석션부(240)의 석션 통로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미도시) 안에서 제2 가이드공(220)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부(201)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가이드공(210)에는 내시경 장치(10)가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공(210)은 원통형의 관으로 구비되어 가이드 몸체부(201)의 전방 측 단면의 하측에 위치된다.
제1 가이드공(210)의 형상은 내시경 장치(10)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공(210)의 형상은 지지부(100)의 제1 삽입공(110)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이드공(21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제1 가이드공(210)의 위치는 지지부(100)의 제1 삽입공(11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이드공(210)은 가이드 몸체부(201)의 길이 방향, 즉 전방 측 및 후방 측 방향으로 관통 삽입된다. 따라서 지지부(100)의 제1 삽입공(110)에 삽입된 내시경 장치(10)는 제1 가이드공(210)에 관통 삽입되어 그 전방 측 단부가 후술될 전방 곡면부(230)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가이드공(210)은 가이드 몸체부(201)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공(210)과 지지부(100)의 제1 삽입공(110)은 서로 맞추어진다. 즉, 제1 가이드공(210)과 제1 삽입공(110)의 위치 및 형상은 서로 상응하게 형성된다.
제2 가이드공(220)에는 치료 장치(20)가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공(220)은 원통형의 관으로 구비되어 가이드 몸체부(201)의 전방 측 단면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2 가이드공(220)의 형상은 치료 장치(20)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가이드공(22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제2 가이드공(220)의 위치는, 제2 가이드공(220)의 단면이 지지부(100)의 제2 삽입공(120)의 단면 상에 위치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이드공(220)은 가이드 몸체부(201)의 길이 방향, 즉 전방 측 및 후방 측 방향으로 관통 삽입된다. 따라서 지지부(100)의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는 제2 가이드공(220)에 관통 삽입되어 그 전방 측 단부가 후술될 전방 곡면부(230)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가이드공(220)은 가이드 몸체부(201)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공(220)은 가이드 몸체부(201)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공(220)에 치료 장치(20)가 삽입된 후, 후술될 다이얼부(264)의 조작에 따라 치료 장치(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치료 장치(20)가 삽입된 제2 가이드공(220)은 가이드 몸체부(201) 내부의 중공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2 가이드공(220)의 이동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방 곡면부(230)는 가이드 몸체부(201)의 전방 측 단부에 형성된다. 전방 곡면부(230)는 제1 곡면(231), 제2 곡면(232) 및 제3 곡면(233)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곡면(231), 제2 곡면(232) 및 제3 곡면(233)은 가이드 몸체부(201)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가이드 몸체부(201)의 후방 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 곡면(231)은 가이드 몸체부(201)의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이고, 제2 곡면(232)은 평면에 가깝도록 가이드 몸체부(201)의 상측으로 만곡된다. 즉, 제2 곡면(232)의 만곡 정도는 제1 곡면(231)의 만곡 정도보다 낮다. 또한 제3 곡면(233)은 가이드 몸체부(201)의 하측 및 후방 측으로 만곡된 형상이다.
전방 곡면부(230)에 의해, 치료 장치(20)의 전방 측 단부가 내시경 장치(10)의 전방 측 단부에 비해 가이드 몸체부(201)의 외부로 더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신체 내부에 삽입된 치료 장치(20)가 환부와 접촉되는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전방 곡면부(230)의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예시로서, 치료 장치(20)보다 내시경 장치(10)의 노출 정도가 증가되도록 전방 곡면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석션부(240)는 내시경 결합 장치에 의한 치료 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신체 외부로 배출한다.
석션부(240)는 석션 개구부(241) 및 석션 통로부(242)를 포함한다(도 6 내지 도 9 및 도 13 참조). 석션부(240)가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액추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석션 개구부(241)는 가이드 몸체부(201)의 전방 측 외주면에 형성된다. 또한 석션 개구부(241)는 전방 곡면부(23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즉 이물질은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의 후방 측에서 석션 개구부(24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가 이물질의 흡입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치료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석션 개구부(241)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몸체부(201)의 좌측 및 우측 면에 각각 4개씩 형성되어 총 8개로 구비된다. 석션 개구부(241)의 형상 및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다만, 각 석션 개구부(241)의 크기는 치료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션 개구부(241)에서 흡입된 이물질은 후술될 석션 통로부(242)로 유입된다.
석션 통로부(242)는 석션 개구부(241)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배출되기 위해 후술될 밸브 조립체부(250)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석션 통로부(242)는 가이드 몸체부(201) 내부의 중공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석션 통로부(242)는 가이드 몸체부(201) 내부의 공간 중 제1 가이드공(210) 및 제2 가이드공(220)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제외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공(210) 및 제2 가이드공(220)은 가이드 몸체부(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된다.
이 때 가이드 몸체부(20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이므로, 제1 가이드공(210) 및 제2 가이드공(220)이 점유하지 않는 공간이 발생한다. 석션 통로부(242)는 상기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석션 통로부(242)로 유입된 이물질은 후술될 밸브 조립체부(250)로 유입되어 신체 외부로 배출된다.
밸브 조립체부(250)는 석션부(24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신체 외부로 배출한다. 밸브 조립체부(250)는 가이드 몸체부(201)의 후방 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밸브 조립체부(250)의 후방 측에는 후술될 주 몸체부(260)가 유체 소통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밸브 조립체부(250) 및 후술될 주 몸체부(260) 내부에는 후술될 부 몸체부(270)가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밸브 조립체부(250)는 2개로서 구비되며, 각 밸브 조립체부(250)는 각각 가이드 몸체부(201)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다.
밸브 조립체부(250)는 링부(251), 밸브 연결부(252), 밸브부(253), 레버부(254), 호스 연결부(255) 및 예비 레버 결합부(256)를 포함한다(도 9 참조).
링부(251)는 가이드 몸체부(201)와 밸브 조립체부(250) 사이에 위치된다. 링부(251)는 가이드 몸체부(201)와 밸브 조립체부(250)의 연결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설이 방지된다.
링부(251)는 오 링(O-ring)(251a) 및 결합 링(251b)을 포함한다.
오 링(251a)은 고무 등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결합 링(251b)은 내부에 오 링(251a)이 수용되며, 후술될 부 몸체부(270)와 가이드 몸체부(201)를 결합시킨다.
링부(251)는 유체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게 가이드 몸체부(201)와 밸브 조립체부(250)를 연결할 수 있는 여타 부재로서 구비될 수 있다.
밸브 연결부(252)는 석션부(24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밸브 조립체부(250)로 유입되어 후술될 밸브부(25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밸브 연결부(252)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공(210) 및 제2 가이드공(220)은 밸브 연결부(252)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석션 통로부(242)에서 유동되는 이물질은 밸브 연결부(25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밸브 연결부(252)에는 후술될 부 몸체부(270)의 제2 부 몸체부(272)가 삽입된다. 밸브 연결부(252)에 유입된 이물질은 제2 부 몸체부(272)에 의해 더 이상 내시경 결합 장치의 후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밸브 연결부(252)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후술될 밸브부(253)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밸브부(253)는 석션부(24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신체 외부로 배출한다. 밸브부(253)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밸브부(253)는 체크 밸브(check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각 밸브부(253)의 상측에는 밸브부(253)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부(254)가 구비된다. 레버부(254)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레버부(254)가 밸브부(25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각 밸브부(253)의 측부에는 호스 연결부(255)가 각각 밸브부(253)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부(254)에 의해 밸브부(253)가 개방되면, 밸브 조립체부(250)에 유입된 이물질은 호스 연결부(255)를 통과하여 호스(미도시) 등을 통해 내시경 결합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각 밸브부(253)의 하측, 즉 레버부(254)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예비 레버 결합부(256)가 구비된다. 예비 레버 결합부(256)에는 추가 레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부(200)가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되어 사용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의 편의를 위해 레버부(254)와 예비 레버 결합부(256)는 각각 예비 레버 결합부(256)와 레버부(254)로 교체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주 몸체부(260)는 밸브 조립체부(250)와 후술될 장치 결합부(300)를 연결한다. 주 몸체부(260)의 전방 측은 밸브 조립체부(250)와 연결되고, 주 몸체부(260)의 후방 측은 후술될 장치 결합부(300)와 연결된다.
주 몸체부(260)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는 주 몸체부(260)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제1 가이드공(210) 및 제2 가이드공(220)에 삽입될 수 있다.
주 몸체부(260)는 제1 주 몸체부(261), 제2 주 몸체부(262), 주 몸체 판(263), 다이얼부(264), 및 몸체 결합부(265)를 포함한다.
제1 주 몸체부(261)는 밸브 연결부(25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측에는 후술될 부 몸체부(270)가 삽입된다.
제1 주 몸체부(261)의 전방 측에는 몸체 결합부(265)가 돌출 형성된다. 몸체 결합부(265)의 내측에는 후술될 부 몸체부(270)가 삽입된다. 또한 몸체 결합부(265)는 밸브 연결부(252)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술한 밸브 연결부(252), 몸체 결합부(265) 및 후술될 부 몸체부(270)는 이물질 등의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서로 밀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주 몸체부(261)의 외주면에는 다이얼부(264)가 형성된다. 다이얼부(264)는 제1 주 몸체부(261)의 외주면을 따라 교번적으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이얼부(264)를 통해 제1 주 몸체부(26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주 몸체부(262)는 후술될 잠금부(280)를 매개로 제1 주 몸체부(261)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주 몸체부(26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 몸체부(260)의 전방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주 몸체부(261), 후술될 잠금부(280), 제2 주 몸체부(262) 및 주 몸체 판(263)이 나사 부재(미도시)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주 몸체부(260)가 형성된다.
제2 주 몸체부(262)의 좌측 및 우측 단면에는 나사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 나사 부재(미도시)가 통과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주 몸체부(261)의 좌측 및 우측 단면에도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어 나사 부재(미도시)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주 몸체부(261)와 제2 주 몸체부(262)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제1 주 몸체부(261)가 회전되면 제2 주 몸체부(262) 또한 일체로서 회전된다. 제2 주 몸체부(262)의 외주면에는 제1 주 몸체부(261)가 회전 가능한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화살표가 도시될 수 있다.
제2 주 몸체부(262)의 하측에는 제1 가이드 홈(262a) 및 제2 가이드 홈(262b)이 관통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홈(262a)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가이드 홈(262b)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홈(262a)에는 지지부(100)의 결합 돌기(103)가 결합된다. 또한 결합 돌기(103)가 제1 가이드 홈(262a)에 결합된 후, 결합 돌기(103)는 제2 가이드 홈(262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되는 치료 장치(20)의 이동과 제1 가이드 홈(262a)에 삽입되어 제2 가이드 홈(262b)을 따르는 결합 돌기(103)의 이동이 제2 주 몸체부(26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 홈(262a) 및 제2 가이드 홈(262b)의 형상은 지지부(100)의 제2 삽입공(12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의 이동은 결합 돌기(103) 및 결합 돌기(103)가 결합된 제1 가이드 홈(262a) 및 제2 가이드 홈(262b)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262a) 및 제2 가이드 홈(262b)의 중심각은 18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가이드 홈(262a) 및 제2 가이드 홈(262b)의 라운드진 양 끝단 사이의 사잇각은 18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주 몸체부(262)의 중심부에는 제3 가이드 홈(262c)이 관통 형성된다. 제3 가이드 홈(262c)에는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가 삽입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3 가이드 홈(262c)의 위치 및 형상은 제1 삽입공(110), 제2 삽입공(120), 제1 가이드공(210) 및 제2 가이드공(220)의 위치 및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3 가이드 홈(262c)은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가 모두 관통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몸체 판(263)은 주 몸체부(260)의 가장 하측에 위치된다. 주 몸체 판(263)은 나사 부재(미도시)를 통해 주 제1 주 몸체부(261) 및 제2 주 몸체부(262)와 결합된다.
부 몸체부(270)는 밸브 연결부(252) 또는 주 몸체부(260)의 내측에 삽입된다.
부 몸체부(270)는 밸브 연결부(252)로 유입된 이물질이 주 몸체부(2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부 몸체부(270)는 유입된 이물질이 밸브부(253)로 유입되도록 이물질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
부 몸체부(270)는 제1 부 몸체부(271), 제2 부 몸체부(272) 및 부 몸체 연결핀(273)을 포함한다.
제1 부 몸체부(271)는 밸브 연결부(252)에 유입된 이물질이 밸브부(253)를 향해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제1 부 몸체부(271)의 외주면의 양측에는 제1 배출 개구부(271a) 및 제2 배출 개구부(271b)가 각각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배출 개구부(271a) 및 제2 배출 개구부(271b)는 제1 부 몸체부(27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제1 배출 개구부(271a) 및 제2 배출 개구부(271b)의 길이는 상술한 제2 삽입공(120), 제2 가이드 홈(262b)의 길이에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배출 개구부(271a) 및 제2 배출 개구부(271b)는 밸브 연결부(252)의 외주면 양측의 개구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1 부 몸체부(271)에 유입된 이물질은 제1 배출 개구부(271a) 및 제2 배출 개구부(271b)를 통과하여 밸브 연결부(252)의 외주면 양측의 개구부를 통해 밸브부(253)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부 몸체부(272)는 이물질이 주 몸체부(2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부 몸체부(272)는 제1 주 몸체부(261)의 몸체 결합부(265)에 삽입된다. 제2 부 몸체부(27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몸체 결합부(265)와의 결합의 기밀성이 보장될 수 있다.
제2 부 몸체부(272)의 단면에는 제1 관통 홀(272a) 및 제2 관통 홀(272b)이 형성된다. 제1 관통 홀(272a)에는 내시경 장치(10)가, 제2 관통 홀(272b)에는 치료 장치(20)가 삽입된다.
제1 관통 홀(272a)의 위치 및 형상은 제1 삽입공(110) 및 제1 가이드공(210)의 위치 및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2 관통 홀(272b)의 위치 및 형상은 제2 가이드공(220)의 위치 및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부 몸체 연결핀(273)은 제2 부 몸체부(272)가 주 몸체부(260)의 몸체 결합부(265)에 삽입된 후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 몸체 연결핀(273)은 제2 부 몸체부(272) 및 몸체 결합부(265)에 구비된 핀 삽입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부 몸체 연결핀(273)에 의해, 제2 부 몸체부(272)와 몸체 결합부(265)가 일체로서 회전될 수 있다.
잠금부(280)는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가 삽입된 후, 내시경 결합 장치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부(280)는 잠금 판(281) 및 잠금 스프링(282)을 포함한다.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가 삽입되면, 사용자는 잠금 판(281)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눌러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잠금 스프링(282)이 압축되며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를 분리할 경우, 사용자는 잠금 판(281)을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눌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잠금부(280)는 토글(toggle)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잠금 판(281)을 어느 일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의 위치를 고정하고, 동일한 일 방향으로 다시 누름으로써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부(280)는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의 위치를 고정하고, 고정된 위치를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각 조절 부재(290)는 제1 주 몸체부(261) 및 제2 주 몸체부(262)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된 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회전 각 조절 부재(290)는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각 조절 부재(29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 각 조절 부재(290)는 회전 각 조절 하우징(292),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 회전 각 조절 볼(296) 및 회전 각 조절 부재 삽입 홈(298)을 포함한다.
회전 각 조절 하우징(292)은 회전 각 조절 부재(290)의 외측을 형성한다. 또한, 회전 각 조절 하우징(292)은 내부에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 및 회전 각 조절 볼(296)을 수용할 수 있다.
회전 각 조절 하우징(292)은 제2 주 몸체부(262)에 형성된 회전 각 조절 부재 삽입 홈(298)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각 조절 하우징(292)과 회전 각 조절 부재 삽입 홈(298)의 형상은 서로 상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은 회전 각 조절 볼(296)이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어디에도 삽입되지 않은 경우 지지 몸체부(101)의 외주면에 의해 압축되며 탄성력을 저장한다.
또한,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은 회전 각 조절 볼(296)이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경우 인장된다.
즉,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은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회전 각 조절 볼(296)이 유지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은 압축 또는 인장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탄성력을 외부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 각 조절 볼(296)이 구비된다.
회전 각 조절 볼(296)은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회전 각 조절 볼(296)의 크기는 회전 각 조절 홈(170)과 같거나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각 조절 볼(296)이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지 않은 채로 지지 몸체부(101)의 외주면 상에서 이동될 때,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이 압축되어 탄성력이 저장된다.
또한 회전 각 조절 볼(296)이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회전 각 조절 스프링(294)이 인장되며 회전 각 조절 볼(296)이 회전 각 조절 홈(17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장치(2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후, 별도의 고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회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회전 각 조절 부재 삽입 홈(298)에는 회전 각 조절 하우징(292)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회전 각 조절 부재 삽입 홈(298)은 회전 각 조절 하우징(292)의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각 조절 부재 삽입 홈(298)은 제2 주 몸체부(262)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주 몸체부(262)에는 지지부(100)의 지지 몸체부(101)의 전방 측 일부가 수용된다.
따라서, 회전 각 조절 부재 삽입 홈(298)에 회전 각 조절 하우징(292)이 삽입되면, 회전 각 조절 볼(296)은 지지 몸체부(101)의 외주면에 접촉되거나, 복수 개의 회전 각 조절 홈(17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4) 장치 결합부(300)의 설명
도 1,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는 장치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장치 결합부(300)는 지지부(1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지지부(100)의 후측에 지지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장치 결합부(300)에는 치료 장치(20)가 삽입된다. 장치 결합부(30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는 지지부(100)의 제2 삽입공(120) 및 가이드부(20))의 제2 가이드공(220)에 관통 결합된다.
장치 결합부(300)는 치료 장치 결합공(320)을 포함한다.
치료 장치 결합공(320)은 장치 결합부(300)의 단면에 위치된다. 치료 장치 결합공(320)은 장치 결합부(300)의 단면으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치료 장치 결합공(320)이 함몰되는 깊이는 치료 장치(20)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 장치 결합공(320)에는 치료 장치(20)가 삽입된다. 삽입된 치료 장치(20)가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치료 장치 결합공(320)에는 별도의 잠금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치료 장치 결합공(320)의 형상은 치료 장치(20)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치료 장치 결합공(320)은 장치 결합부(300)의 단면의 중심에 위치된다. 치료 장치 결합공(320)은 치료 장치(20)가 삽입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장치 결합부(300)의 단면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치료 장치 결합공(320)은 지지부(100)의 제2 삽입공(120) 및 가이드부(200)의 제2 가이드공(220)의 위치에 상응하게 위치되지 않아도 된다.
2. 내시경 결합 장치의 결합 관계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는 전방 측 및 후방 측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각 구성 요소가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결합된다.
이하, 다시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1) 내시경 장치(10)의 결합 관계의 설명
내시경 장치(10)는 지지부(100)의 제1 삽입공(110)에 삽입된다. 제1 삽입공(110)이 내시경 장치(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짐은 상술한 바와 같다.
지지부(100)는 가이드부(2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부(200)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먼저, 내시경 장치(10)는 가이드부(200)의 주 몸체부(260) 및 부 몸체부(27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장치(10)는 주 몸체부(260)의 주 몸체 판(263), 제2 주 몸체부(262)의 제3 가이드 홈(262c) 및 잠금부(280)의 잠금 판(281)에 차례로 삽입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 몸체부(260)의 제1 주 몸체부(261)에는 부 몸체부(270)의 제2 부 몸체부(272)가 삽입된다. 따라서 내시경 장치(10)는 제2 부 몸체부(272)의 제1 관통 홀(272a)을 통해 제1 주 몸체부(261)에 삽입된다.
이후 내시경 장치(10)는 제1 부 몸체부(271), 밸브 조립체부(250)의 밸브 연결부(252)에 차례로 삽입된 후, 가이드부(200)의 제1 가이드공(210)에 삽입된다.
내시경 장치(10)의 삽입이 완료되면, 내시경 장치(10)의 전방 측 단부 또는 단면은 가이드부(200)의 전방 곡면부(230)를 통해 가이드부(200)의 외측에 노출된다.
내시경 장치(1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내시경 장치(10)가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구성 요소들은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내시경 장치(10), 제1 삽입공(110), 제2 부 몸체부(272)의 제1 관통 홀(272a) 및 제1 가이드공(210)은 서로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삽입공(110), 제2 부 몸체부(272)의 제1 관통 홀(272a) 및 제1 가이드공(210)의 단면 형상은 내시경 장치(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치료 장치(20)의 결합 관계의 설명
치료 장치(20)는 장치 결합부(300)의 치료 장치 결합공(320)에 삽입된다. 치료 장치 결합공(320)이 치료 장치(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짐은 상술한 바와 같다.
장치 결합부(300)는 지지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부(100)와 결합된다.
먼저, 치료 장치(20)는 지지부(100)의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된다. 제2 삽입공(120)은 지지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므로, 치료 장치(20)는 제2 삽입공(120)을 관통하여 가이드부(200)까지 연장된다.
다음으로 치료 장치(20)는 가이드부(200)의 주 몸체부(260) 및 부 몸체부(27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치료 장치(20)는 주 몸체부(260)의 주 몸체 판(263), 제2 주 몸체부(262)의 제3 가이드 홈(262c) 및 잠금부(280)의 잠금 판(281)에 차례로 삽입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 몸체부(260)의 제1 주 몸체부(261)에는 부 몸체부(270)의 제2 부 몸체부(272)가 삽입된다. 따라서 치료 장치(20)는 제2 부 몸체부(272)의 제2 관통 홀(272b)을 통해 제1 주 몸체부(261)에 삽입된다.
이후 치료 장치(20)는 제1 부 몸체부(271), 밸브 조립체부(250)의 밸브 연결부(252)에 차례로 삽입된 후, 가이드부(200)의 제2 가이드공(220)에 삽입된다.
치료 장치(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치료 장치(20)의 전방 측 단부 또는 단면은 가이드부(200)의 전방 곡면부(230)를 통해 가이드부(200)의 외측에 노출된다.
치료 장치(2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치료 장치(20)가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구성 요소들 중 일부는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치료 장치(20), 제2 부 몸체부(272)의 제2 관통 홀(272b) 및 제2 가이드공(220)은 서로 같은 축을 갖도록 배치된다.
제2 삽입공(120)은 원호 형상을 가지므로, 반드시 같은 축을 갖도록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치료 장치(20), 제2 부 몸체부(272)의 제2 관통 홀(272b) 및 제2 가이드공(220)의 각 중심축이 제2 삽입공(120) 상에 위치되도록 제2 삽입공(120)이 배치되면 족하다.
또한 제2 부 몸체부(272)의 제2 관통 홀(272b) 및 제2 가이드공(220)의 단면 형상은 치료 장치(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내시경 결합 장치의 회전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는 가이드부(200) 및 장치 결합부(300)가 지지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이동에 의해, 치료 장치(20)는 내시경 장치(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의 회전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가이드부(200)의 다이얼부(264)를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6은 다이얼부(264)의 회전에 따라 장치 결합부(300)가 지지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되는 과정의 전방 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가이드부(200)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다이얼부(264)가 회전되면 치료 장치(20)가 삽입된 가이드부(200)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치료 장치(20) 또한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장치 결합부(300)가 회전된다.
사용자가 다이얼부(264)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16의 (a)), 장치 결합부(300) 및 장치 결합부(30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는 제2 삽입공(120)을 따라 A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삽입공(120)은 원호 형상이고, 내시경 장치(10)가 삽입된 제1 삽입공(110)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치료 장치(20)는 내시경 장치(10)의 방사상 외측에서 이동될 수 있다.
장치 결합부(300)가 회전되는 최대 각도(α)는 지지부(100)의 제2 삽입공(120)의 형상 및 주 몸체부(260)의 제2 가이드 홈(262b)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이얼부(264)를 B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16의 (b)), 장치 결합부(300) 및 장치 결합부(300)에 삽입된 치료 장치(20)는 제2 삽입공(120)을 따라 B 방향으로 이동된다.
장치 결합부(300)가 회전되는 최대 각도(β)는 지지부(100)의 제2 삽입공(120)의 형상 및 주 몸체부(260)의 제2 가이드 홈(262b)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장치 결합부(300)가 A 방향으로 회전되는 최대 각도(α) 및 B 방향으로 회전되는 최대 각도(β)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내시경 결합 장치의 사용시 좌우 구분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삽입공(120) 및 제2 가이드 홈(262b)은 중심각이 18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결합부(300)가 회전되는 최대 각도는 180˚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장치 결합부(300)가 A 방향으로 회전되는 최대 각도(α) 및 B 방향으로 회전되는 최대 각도(β)는 각각 90˚ 이상일 수 있다. 다이얼부(264)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00)는 이동되지 않고, 가이드부(200) 및 장치 결합부(300)만 함께 이동된다. 즉, 가이드부(200)와 장치 결합부(300)가 지지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도 17은 다이얼부(264)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부(200)가 지지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되는 과정을 전방 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장치 결합부(300)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내시경 결합 장치의 초기 상태(도 17의 (a))에서는, 가이드부(200)의 밸브 조립체부(25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룬다. 또한,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축 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삽입공(120)의 라운드진 양측 단부는 180˚의 중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사용자가 다이얼부(264)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17의 (b)), 가이드부(200)가 소정의 각도만큼 A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가이드부(200)는 90˚까지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이얼부(264)를 B 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17의 (c)), 가이드부(200)가 소정의 각도만큼 B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가이드부(200)는 90˚까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200)가 회전될 수 있는 최대 각도는 180˚가 된다.
가이드부(200)가 회전 이동될 경우, 치료 장치(20)가 회전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장치 결합부(300)가 가이드부(200)와 동일하게 이동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지지부(100)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가이드부(200)와 장치 결합부(300)가 지지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부(100)를 파지하여 내시경 결합 장치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따른 효과를 도 9를 더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밸브 조립체부(250)의 호스 연결부(255)에는 호스나 튜브 등이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밸브 조립체부(250)가 회전되지 않을 경우, 가이드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제1 배출 개구부(271a) 및 제2 배출 개구부(271b)가 막힐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 등이 호스나 튜브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지지부(100)와 밸브 조립체부(250) 사이의 거리 및 각도가 고정되므로, 환부로의 접근 및 시술 과정이 불편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부(250)는 부 몸체부(270)에 형성된 제1 배출 개구부(271a) 및 제2 배출 개구부(271b)를 통해 부 몸체부(270)와 결합된다.
또한, 제1 배출 개구부(271a) 및 제2 배출 개구부(271b)는 부 몸체부(270)의 외주면 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즉, 제1 배출 개구부(271a)와 제2 배출 개구부(271b)는 밸브 조립체부(250)가 회전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배출 개구부(271a) 및 제2 배출 개구부(271b)에 결합된 밸브 조립체부(250)는 가이드부(2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부(200)가 회전되더라도 이물질 등이 호스나 튜브 등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조립체부(250)와 가이드부(200)의 거리 및 각도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가장 편리한 상태에서 시술이 수행될 수 있다.
4. 내시경 결합 장치의 효과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는 치료 장치(20)가 내시경 장치(10)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환부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의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환부의 단면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가 환부에 접촉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환부의 형상은 직선이나 평면이 아닌, 곡선이나 곡면인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장치는 신체 내부에 삽입된 후 내시경 장치 및 치료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므로, 장치 전체를 회전시켜야만 환부에 치료 장치를 접촉시킬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장치 전체를 회전시켜 장치가 특정 환부에 접촉된 후, 인접한 환부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시 장치 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내시경 결합 장치는 신체 내부에 삽입된 후, 환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 때 치료 장치(20)는 내시경 장치(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치료 장치(20)는 내시경 장치(10)의 왼쪽에서 내시경 장치(10)와 수평하게 위치되는 제1 위치(P1), 내시경 장치(10)에 대해 왼쪽으로 이동된 제2 위치(P2), 내시경 장치(10)와 수직하게 위치되는 제3 위치(P3), 내시경 장치(10)에 대해 오른쪽으로 이동된 제4 위치(P4) 및 내시경 장치(10)의 오른쪽에서 내시경 장치(10)와 수평하게 위치되는 제 5 위치(P5)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내시경 결합 장치 전체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치료 장치(20)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치료 장치(20)가 접촉되어야 할 환부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과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고, 다이얼부(264)가 회전되는 것만으로도 치료 장치(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결합 장치는 내측에 삽입된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가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내시경 장치(10) 및 치료 장치(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즉, 내시경 장치(10)와 치료 장치(20)는 동일한 길이만큼 돌출되거나(도 19의 (a)), 치료 장치(20)가 보다 돌출되거나(도 19의 (b)), 내시경 장치(10)가 보다 돌출될 수 있다(도 19의 (c)).
따라서 치료 과정의 진행 상황에 따라 내시경 장치(10) 또는 치료 장치(20)가 필요한 만큼 돌출될 수 있으므로, 치료 과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내시경 장치(10)와 치료 장치(2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액추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내시경 장치
20: 치료 장치
100: 지지부
101: 지지 몸체부
102: 전방 단면
103: 결합 돌기
104: 후방 단면
110: 제1 삽입공
120: 제2 삽입공
130: 손잡이부
140: 각도 조절부
150: 트리거부
160: 결합 단차부
170: 회전 각 조절 홈200: 가이드부
201: 가이드 몸체부
210: 제1 가이드공
220: 제2 가이드공
230: 전방 곡면부
231: 제1 곡면
232: 제2 곡면
233: 제3 곡면
240: 석션부
241: 석션 개구부
242: 석션 통로부
250: 밸브 조립체부
251: 링부
251a: 오 링
251b: 결합 링
252: 밸브 연결부
253: 밸브부
254: 레버부
255: 호스 연결부
256: 예비 레버 결합부
260: 주 몸체부
261: 제1 주 몸체부
262: 제2 주 몸체부
262a: 제1 가이드 홈
262b: 제2 가이드 홈
262c: 제3 가이드 홈
263: 주 몸체 판
264: 다이얼부
265: 몸체 결합부
270: 부 몸체부
271: 제1 부 몸체부
271a: 제1 배출 개구부
271b: 제2 배출 개구부
272: 제2 부 몸체부
272a: 제1 관통 홀
272b: 제2 관통 홀
273: 부 몸체 연결핀
280: 잠금부
281: 잠금 판
282: 잠금 스프링
290: 회전 각 조절 부재
292: 회전 각 조절 하우징
294: 회전 각 조절 스프링
296: 회전 각 조절 볼
298: 회전 각 조절 부재 삽입 홈
300: 장치 결합부
320: 치료 장치 결합공

Claims (11)

  1. 내시경 장치;
    상기 내시경 장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치료 장치;
    상기 내시경 장치 및 상기 치료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단면에 위치되는 제1 삽입공(揷入空); 및
    상기 제1 삽입공의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삽입공과 동축으로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2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치료 장치가 상기 내시경 장치의 방사상 외측에서 상기 원호를 따라 상기 내시경 장치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도록, 상기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치료 장치는 상기 제2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이얼부가 회전되면 상기 치료 장치가 상기 제2 삽입공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원호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치료 장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장치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대 이동되는,
    내시경 결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공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타측까지 관통되는,
    내시경 결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단면에 위치되는 제1 가이드공 및 제2 가이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공은 상기 제1 삽입공에 맞추어지고,
    상기 제2 가이드공은 상기 제2 삽입공에 맞추어지는,
    내시경 결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결합부는,
    상기 장치 결합부의 단면에 위치되는 치료 장치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치료 장치 결합공은 상기 제2 삽입공에 맞추어지는,
    내시경 결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장치는,
    상기 제2 가이드공, 상기 제2 삽입공 및 상기 치료 장치 결합공에 삽입되는,
    내시경 결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삽입공에 맞추어지는 제1 가이드공과 상기 제2 삽입공에 맞추어지는 제2 가이드공을 구비하고, 상기 내시경 결합 장치의 전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가이드 몸체부;
    외주면에 상기 다이얼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주 몸체부;
    상기 내시경 장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삽입공과 같은 축을 갖는 제1 관통 홀과 상기 치료 장치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가이드공과 같은 축을 갖는 제2 관통 홀을 구비하고, 상기 주 몸체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주 몸체부와 일체로 회전되는 부 몸체부;
    상기 주 몸체부를 형성하는 두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시경 장치와 상기 치료 장치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조작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잠금부; 및
    상기 주 몸체부의 회전 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회전 각 조절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회전 각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내시경 결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공 및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는,
    내시경 결합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석션(suction) 개구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결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그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까지 연장되는 석션 통로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결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결합되는 밸브 조립체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결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개구부, 상기 석션 통로부 및 상기 밸브 조립체부는 상기 석션 개구부에 유입된 물질이 상기 밸브 조립체부에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내시경 결합 장치.
KR1020190014100A 2019-02-01 2019-02-01 내시경 결합 장치 KR10219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100A KR102196289B1 (ko) 2019-02-01 2019-02-01 내시경 결합 장치
PCT/KR2019/009908 WO2020159022A1 (ko) 2019-02-01 2019-08-07 내시경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100A KR102196289B1 (ko) 2019-02-01 2019-02-01 내시경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91A KR20200095991A (ko) 2020-08-11
KR102196289B1 true KR102196289B1 (ko) 2020-12-29

Family

ID=7184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100A KR102196289B1 (ko) 2019-02-01 2019-02-01 내시경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6289B1 (ko)
WO (1) WO2020159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805A1 (ko) * 2021-06-02 2022-12-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담관 내시경 튜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474Y1 (ko) * 2003-06-30 2003-11-07 김두기 내시경 기능을 구비한 지방흡입기
KR101685009B1 (ko) * 2015-02-27 2016-12-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절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내시경
JP2018171373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ザクティ 内視鏡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314966B2 (en) * 2009-11-06 2016-06-16 Nico Corporation Surgical adapter for use with an endoscope
KR101173619B1 (ko) 2010-04-29 2012-08-13 한국과학기술원 내시경 수술용 로봇장치
KR101286752B1 (ko) 2012-09-03 2013-07-16 라종주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KR101785073B1 (ko) * 2016-04-29 2017-10-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회전이 가능한 내시경 카테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474Y1 (ko) * 2003-06-30 2003-11-07 김두기 내시경 기능을 구비한 지방흡입기
KR101685009B1 (ko) * 2015-02-27 2016-12-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절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내시경
JP2018171373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ザクティ 内視鏡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91A (ko) 2020-08-11
WO2020159022A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2925C (en) Endoscope and optical fiber assembly
US9861264B2 (en) Rigid endoscope
US5632717A (en) Penetrating endoscope
ES2550666T3 (es) Instrumento electroquirúrgico articulable con un accionador de articulación estabilizable
JP5107380B2 (ja) 経肛門内視鏡手術装置
JP6542374B2 (ja) 内視鏡及び処置具起立機構
CN108784768A (zh) 外科手术装置的旋转组件
EP3636163A1 (en) Micro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joint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JP2016174820A (ja) 内視鏡
KR102196289B1 (ko) 내시경 결합 장치
JP6266756B2 (ja) 外装管及び内視鏡用外科手術装置
JP6230133B2 (ja) 内視鏡用オーバーチューブデバイス
KR101066363B1 (ko) 경항문 내시경 수술장치
JP2022540883A (ja) 内視鏡ツール安定化、及び関連の使用方法
US10398291B2 (en) Endoscopic surgical device and overtube
KR102212719B1 (ko) 내시경용 처치장치
US11857174B2 (en) Tissue manipulation device
KR20110000792A (ko) 경항문 내시경 수술장치
US20220241029A1 (en) Concentric tube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JP6430615B2 (ja) 内視鏡
KR20220086331A (ko) 시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시스템
KR20230016323A (ko) 시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시스템
JP4331490B2 (ja) 外科用処置具
KR20230110097A (ko) 가력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삽입유닛 및 착탈형 내시경
JPWO2018193870A1 (ja) 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