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574A -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 Google Patents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574A
KR20190080574A KR1020170183108A KR20170183108A KR20190080574A KR 20190080574 A KR20190080574 A KR 20190080574A KR 1020170183108 A KR1020170183108 A KR 1020170183108A KR 20170183108 A KR20170183108 A KR 20170183108A KR 20190080574 A KR20190080574 A KR 20190080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rotrusions
dimensional
ultrasonic wave
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764B1 (ko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764B1/ko
Priority to JP2019562535A priority patent/JP6887528B2/ja
Priority to US16/479,028 priority patent/US11583271B2/en
Priority to CN201890000572.1U priority patent/CN212369015U/zh
Priority to PCT/KR2018/010296 priority patent/WO2019132164A1/ko
Priority to EP18894277.5A priority patent/EP3714802A4/en
Publication of KR2019008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실의 중심축이 되며, 두께가 0.3mm 내지 0.5mm인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돌기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돌출된 폭은 0.15mm 내지 0.35mm이며,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는 0.3mm 내지 0.5mm이며, 상기 몸체부가 연장된 방향으로의 길이는 1.0~1.7mm로 구성되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MEDICAL 3D THREAD MANUFACTURED USING ULTRASONIC WAVE}
본 발명은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PDO재질의 3차원 실을 초음파를 이용해 정교한 형태를 갖고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를 갖는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의료용 실을 외과에서 봉합의 용도로 주로 사용하였으며, 칼을 사용하지 않고 바늘과 실로써 얼굴, 턱, 목, 복부, 질, 가슴, 힙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올려주고 주름을 당기고 펴주는 기술로서,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으며,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부기가 적어 각광을 받고 있다.
소재로는 천연소재 및 합성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소재 흡수성 의료용 실의 소재는 장선(catgut), 크로믹(chromic), 거트(gut)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합성소재 흡수성 의료용 실의 소재는 폴리글라이콜릭산(덱손, 멕손), 폴리글락틴(바이크릴) 및 폴리다이옥사논(PDS) 사용되고 있다. 천연소재 비흡수성 의료용 실의 소재는 견사(silk)가 사용되고 있으며, 합성소재 비흡수성 의료용 실의 소재는 폴리에스터(다크론), 폴리프로필렌(프롤린), 폴리아마이드(나일론) 및 e-PTFE(고어텍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의료용 실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 하여 사용되는데, 기존의 제조 방법은 열 성형 또는 압착을 통해 성형을 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실 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미세한 모양의 성형이 제한적이고, 돌기 주변에 보풀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며, PDO(Polydioxane) 재질의 특성상 열 성형 시 변형이 생기며,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음파 발생기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의료용 3차원 실로 종래의 의료용 실(봉합사) 보다 정교한 형태로 변성이 가능하고 물리적 강도 저하 요인을 해소하고 소수점 아래 두번째 자리까지 돌기(미늘)의 두께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제조한 의료용 실(봉합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은 상기 3차원 실의 중심축이 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돌기는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은 상기 3차원 실의 중심축이 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는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폭 방향 종단면이 반원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의료용 3차원 실을 제공함에 있어서, 인장력과 유지력이 높은 의료용 3차원 실로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의 의료용 실에 비해 2배 정도의 돌기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초음파를 이용한 방식으로 원사에 흠집을 내거나 매듭을 가하지 않아 물리적 강도가 저하되는 요인을 해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프팅 시술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효능을 기대할 수 있고, 종래의 제품 보다 견고한 고정과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종래의 열과 금형의 압력으로 잘라내던 방식에 비해 초음파 진동을 물질에 가해서 그 입자들을 초음파 금형의 모양 틀에 넣어 코그 모양 및 다양한 3차원 입체 형태의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종래의 실은 열을 가하고 열이 가해진 실은 납작하게 롤러로 눌러서 납작해진 실을 금형으로 압력을 가해 금형 모양으로 자르는 방식으로 실에 열을 가하면서 물질은 부피와 밀도가 팽창해서 원료의 물성이 약 30프로 정도 약해지고, 열이 가해져서 팽창된 납작한 실을 코그 모양의 금형으로 눌러서 자르게되면, 코그 끝 부분에 보풀이 생기고 코그 끝 뾰족한 부분이 구현이 힘들지만, 초음파 진동으로 가공하는 방법은 실을 코그 모양의 금형에 넣고 초음파 진동으로 짧은 시간에 열이나 인위적인 자극을 최소화 하여 실 원료의 변성이 거의 없고, 강도와 물성의 기존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의 종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의 폭, 두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의 측면도 이다.
도 6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다양한 형태의 3차원 실에 대한 사시도 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의 실제 크기에 대한 비교도 이다.
도 11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3차원 실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각 도면에서 표현된 구성요소들의 모양이나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은 몸체부(100)와 몸체부 양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 되는 제 1 돌기 세트(210) 및 제 2 돌기 세트(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의료용 3차원 실을 제작 하기 위한 원사는 가소성 수지 이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PDO(Polydioxane) 재질의 경우 섭씨 106도의 온도가 녹는점으로 해당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변형이 일어나거나 인장력과 유지력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제작 시 사용되는 초음파는 3kHz 이하의 주파수로 원사의 녹는 점보다 낮은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도록 하되, 바람직하게 2.5k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변형이 가능한 정도의 열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초음파 발생부와 금형 베이스 사이에서 금형 베이스의 음각패턴과 대응하는 위치에 원사를 삽입하고, 초음파 발생부를 통해 원사를 가압하면서 원사에 초음파를 가하고, 초음파를 통해 음각패턴의 형상대로 생성된 3차원 실을 사출 할 수 있다.
3차원 실은 양 측으로 마주하는 복수의 돌기(미늘)를 갖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는 3차원 실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된 금형 베이스와 이격하여 위치 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발생부와 금형 베이스는 평판 형태로 구성되며,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원사가 삽입되면 초음파 발생부는 금형 베이스에 맞닿을 수 있는 거리만큼 아래로 내려오면서 초음파를 발생 시켜 삽입 된 원사를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가 할 수 있다.
원사는 원사 삽입부를 통해 삽입 되며, 금형 베이스의 음각패턴이 위치한 영역에 대응하게 위치하도록 삽입 되어 고정 되며, 원사의 폭은 음각패턴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고정 되어 있는 금형 베이스의 음각패턴위로 원사가 위치하면 상술한 초음파 발생기가 동작하게 되고 3차원 실이 생성될 수 있다.
의료용 3차원 실의 몸체부(100)는 양 끝단에 여분부(120)를 포함하고 제 1 돌기 세트(210) 와 제 2 돌기 세트(220)를 연결하는 중심부(110)로 구성 되며, 각 돌기 들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 된 실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로 도시 된 모양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제작 시 사용 되는 금형베이스 등의 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에 대해 설명한다.
의료용 3차원 실에 있어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횡 방향, 폭 방향을 종 방향이라고 정의하는 경우, 돌기의 횡 단면 또는 종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3은 의료용 3차원 실의 종단면이며, 중앙에 몸체부(100)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된 예는 제 1 돌기 세트(210)가 위치한 부분에 대한 종 단면도 이다.
제 1 돌기 세트(210) 와 제 2 돌기 세트(220)의 꼭지부, 즉, 끝 부분은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실의 끝부분이 녹더라도 인장력이 약해지거나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의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시 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두께의 크기(a)는 의료용 3차원 실의 중심 축이 되며, 0.2mm 내지 0.6mm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두께가 조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는 몸체부(100)로부터 돌출된 폭(c)이 0.05mm 내지 0.5mm이고, 돌출된 돌기가 양 측에 대응하게 확장되되, 용도에 따라 대칭을 이루거나 엇갈린 형태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0)로부터 확장된 돌기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0.2mm 내지 0.6mm이며, 몸체부의 두께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 돌기의 몸체부(100)의 중심부(110)를 향하고 있는 끝 부분, 즉, 몸체부(100)가 연장된 방향으로의 길이(b)는 0.8mm 내지 3.0mm 이며, 용도에 따라 길이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3차원 실과 종래기술의 3차원 실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3차원 실은 초음파를 통하여 매우 정밀한 제작이 가능하므로, 종래기술에 의해 제작된 3차원 실에 비하여 더 작고 정밀한 패턴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의 제 1 돌기 세트(210)미여, 도시 된 바와 같이 돌기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 된 의료용 3차원 실의 경우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실로 몸체부(100)의 두께. 즉, 원형의 몸체부(100)의 지름과 같은 두께를 갖는 돌기가 형성되며, 해당 돌기는 몸체부(100)에서 연장이 시작 되는 부분과 꼭지부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돌기부의 일 측면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가 대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가 몸체부(100)에서 연장되어 생성되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돌기는 도시 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기의 가장 긴변과 몸체부(100)가 이루는 내각은 예각으로 형성되고, 돌기의 가장 짧은 변과 몸체부(100)가 이루는 내각은 둔각으로 형성 되어 돌기들이 중심부(110)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은 제 1 돌기 세트(210)와 제 2 돌기 세트(220)는 형성되는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에 대한 사시도 이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부(100)에서 확장되어 형성된 제 1 돌기 세트(210) 및 제 2 돌기 세트(220)로 구성 되되, 제 1 돌기 세트(210)의 복수개의 돌기들 중 몸체부(100)의 일 단과 인접한 제 1-1 돌기부(211)의 돌기들이 제 1-1 돌기부(211)의 돌기들을 제외한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 1-2돌기부(212)와 제 2 돌기 세트(220)의 돌기들 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3차원 실의 전체에서 일단에 인접한 돌기가 나머지 돌기들 보다 크게 형성되어 3차원 실을 보관하는 용기에 보관 할 때 보다 용이 하게 보관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관 용기의 삽입구 폭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입구에 전체가 들어가는 것이 아닌 제 1-1 돌기부(211)가 노출되어 있어 3차원 실의 입출이 용이하고, 제 1-1 돌기부(211)는 실제 시술 시에 삽입 되는 부분이 아니므로 녹거나 형성이 되더라도 문제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1 돌기부(211)의 돌기들의 두께는 제 1-2돌기부(212)의 돌기들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2돌기부(212)의 타 단, 즉 제 2돌기부(220)와 연결되는 단에는 돌기가 없는 몸체부가 형성되어 제 1 실시예의 3차원 실에서 중심부(110)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2돌기부(212)와 가장 멀리 이격한 제 1-1 돌기부(211)의 타 단에는 돌기가 없는 몸체부가 형성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에 대한 사시도 이다.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1돌기부들로 구성된 제 1 돌기 세트(210), 및 제 1돌기부들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돌기 세트(210)에 이격한 제 2돌기부들로 구성된 제 2 돌기 세트(220)로 형성될 수 있다.
의료용 3차원 실의 일 단은 제 1돌기 세트(210)로 구성되며, 타 단은 제 2 돌기세트(220) 및 돌기가 없는 몸체부(100)로 구성되되, 돌기가 없는 몸체부가 가장 마지막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돌기 세트(210)를 구성하는 제1돌기들중 제 2 돌기부와 가장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는 돌기의 방향은 나머지 제1돌기들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 돌기 세트(220)를 구성하는 제 2 돌기들 중 제 1 돌기와 가장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는 돌기의 방향은 나머지 제 2 돌기들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즉, 제 1 돌기 세트(210)에서 제 1-1 돌기부(211)는 중심부(110)를 향하는 제 1-2 돌기부(212)와 반대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제 2-1 돌기부(221)는 중심부(110)를 향하는 제 2-2 돌기부(222)와 반대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단, 도 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 세트에 가장 이격한 위치에서 형성되되, 한쌍 이상의 돌기들이 각 돌기 세트에서 나머지 돌기들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제 1 돌기 세트(210)의 일 단에 돌기가 없는 몸체부(10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에 대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은 제 1 실시예의 의료용 3차원 실과 동일한 구성을 갖되, 제1돌기 세트(210)와 제2돌기 세트(220) 각각은 가장 긴 빗변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실시예의 의료용 3차원 실은 제1돌기 세트(210) 및 제2돌기 세트(220)의 돌기들이 중심부(110)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마주하지 않도록 형성되지만,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은 각각의 돌기 들이 중심부(110)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돌기의 가장 긴변이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부(110)가 제 1 실시예의 의료용 3차원 실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끝단에 여분부(1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에 대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은 몸체부(100)와 돌기부의 종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가 확장되어 양 측면에 돌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타 측면 중 일 측면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고, 평평한 형태를 가진 일 측면에 대응하는 타 측면은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며, 돌기부의 폭 방향 종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에 인접한 부분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몸체부에서 이격 될수록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의 가장 긴 빗변 부분은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되되, 돌기의 꼭지부가 돌기가 형성된 방향으로 구부려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로부터 연장 되어 생성된 돌기의 꼭지부가 향하는 방향으로 약산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인장력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피부내에 삽입이 되었을 때 돌기의 꼭지부가 녹거나 훼손 되더라도, 꼭지부에서 몸체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로 인장력에 대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은 돌기부와 몸체부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폭과 길이가 다른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정도로 제작 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은 폭, 길이 및 두께가 다른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 될 수 있다.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은 제 1 실시예의 의료용 3차원 실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몸체부(100)에서 확장된 돌기는 몸체부(100)에 근접할수록 두께가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의 실제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은 1cm단위당 돌기가 3개 내지 10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cm당 8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종래의 의료용 3차원 실에 비해 cm당 보다 많은 개수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돌기로 인해 3차원 실의 인장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료용 3차원 실을 용도에 따라 형상을 변경 시킨 3차원 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시 된 바와 같이 초음파를 이용한 의료용 3차원 실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은 설명을 휘한 형상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 할 수 있기에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부 110: 중심부 120: 여분부
210: 제 1 돌기 세트 211: 제 1-1 돌기부 212: 제 1-2 돌기부
220: 제 2 돌기 세트 221: 제 2-1 돌기부 222: 제 2-2 돌기부
a: 몸체부의 두께 b: 돌출된 폭 c: 돌기의 가장 긴 변의 길이

Claims (14)

  1.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실의 중심축이 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돌기는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을 제작하는 원사는 가소성 수지이며, 상기 3차원 실의 제작에 사용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는 2.5kHz이며, 초음파 발생부와 음각 패턴이 형성된 금형 베이스 사이에 원사를 삽입하고 압착함으로써 제작되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 단과 인접한 제 1-1 돌기부들이 상기 제 1-1돌기부들을 제외한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 1-2 돌기부들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돌기부들의 폭은 상기 3차원 실을 삽입하기 위한 보관용기의 삽입구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돌기부들의 두께는 상기 제 1-2돌기부들의 두께보다 작은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돌기부들의 타 단에는 돌기가 없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1돌기부의 일단에는 돌기가 없는 몸체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7. 제1항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1돌기부들로 구성된 제 1 돌기세트, 및 상기 제 1돌기부들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기세트에 이격한 제 2돌기부들로 구성된 제 2 돌기세트;
    상기 3차원 실의 일 단은 상기 제 1돌기세트로 구성되며, 타 단은 상기 제 2 돌기세트 및 돌기가 없는 몸체부로 구성되되, 돌기가 없는 몸체부가 가장 마지막에 배치되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돌기세트를 구성하는 제1돌기들중 상기 제 2 돌기와 가장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는 돌기의 방향은 나머지 제1돌기들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 돌기세트를 구성하는 제 2 돌기들 중 상기 제 1 돌기와 가장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는 돌기의 방향은 나머지 제 2 돌기들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9. 제 7 항에 있어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 각각은 가장 긴 빗변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이 횡방향이고,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이 종방향일 때,
    상기 돌기부의 횡단면 또는 종단면은 직사각형인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꼭지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12.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실의 중심축이 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돌기는 서로 상이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폭 방향 종단면이 반원형인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몸체부에 인접한 부분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서 이격 될수록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가장 긴 빗변 부분은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되되, 돌기의 꼭지부가 돌기가 형성된 방향으로 구부려진 형상을 갖는 것인,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KR1020170183108A 2017-12-28 2017-12-28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KR10212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08A KR102122764B1 (ko) 2017-12-28 2017-12-28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JP2019562535A JP6887528B2 (ja) 2017-12-28 2018-09-04 超音波により製作された医療用糸
US16/479,028 US11583271B2 (en) 2017-12-28 2018-09-04 Medical thread based on ultrasonic production
CN201890000572.1U CN212369015U (zh) 2017-12-28 2018-09-04 医用线
PCT/KR2018/010296 WO2019132164A1 (ko) 2017-12-28 2018-09-04 초음파 제작 기반의 의료용 실
EP18894277.5A EP3714802A4 (en) 2017-12-28 2018-09-04 MEDICAL THREAD MADE USING ULTRASOUND WA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08A KR102122764B1 (ko) 2017-12-28 2017-12-28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74A true KR20190080574A (ko) 2019-07-08
KR102122764B1 KR102122764B1 (ko) 2020-06-15

Family

ID=6725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08A KR102122764B1 (ko) 2017-12-28 2017-12-28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76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708A (zh) * 2020-06-29 2020-09-25 杭州爱普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双排凹槽锯齿线
KR102274083B1 (ko) * 2020-11-05 2021-07-06 김동진 피부의 수술 및 시술용 코그실
KR102307404B1 (ko) * 2020-04-10 2021-09-30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수술용 및 안면 거상술용 봉합사
KR102411627B1 (ko) *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225143A1 (ko) * 2021-04-22 2022-10-27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9897B1 (ko) * 2022-03-15 2022-11-23 박남진 의료용 봉합사,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2477461B1 (ko) * 2021-06-24 2022-12-15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압연롤을 이용한 리프팅실 제조장치
CN117295470A (zh) * 2021-04-22 2023-12-26 株式会社东方医疗 鼻部整形用提拉线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532B1 (ko) * 2022-10-25 2023-04-05 (주)제테마 코그가 형성된 리프팅실의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프팅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960A (ja) * 2010-10-28 2012-05-17 Tyco Healthcare Group Lp モジュール式縫合糸
KR101432497B1 (ko) * 2013-09-27 2014-08-25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JP5649776B2 (ja) * 2007-09-17 2015-01-07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縫合糸上にとげを形成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9776B2 (ja) * 2007-09-17 2015-01-07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縫合糸上にとげを形成する方法
JP2012090960A (ja) * 2010-10-28 2012-05-17 Tyco Healthcare Group Lp モジュール式縫合糸
KR101432497B1 (ko) * 2013-09-27 2014-08-25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404B1 (ko) * 2020-04-10 2021-09-30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수술용 및 안면 거상술용 봉합사
CN111700708A (zh) * 2020-06-29 2020-09-25 杭州爱普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双排凹槽锯齿线
KR102274083B1 (ko) * 2020-11-05 2021-07-06 김동진 피부의 수술 및 시술용 코그실
WO2022225143A1 (ko) * 2021-04-22 2022-10-27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7295470A (zh) * 2021-04-22 2023-12-26 株式会社东方医疗 鼻部整形用提拉线及其制造方法
KR102477461B1 (ko) * 2021-06-24 2022-12-15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압연롤을 이용한 리프팅실 제조장치
KR102411627B1 (ko) *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9897B1 (ko) * 2022-03-15 2022-11-23 박남진 의료용 봉합사, 그 제조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764B1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0574A (ko)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AU2020202786B2 (en)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608356B2 (ja) 開口部を有する層を含む外科用インプラント
JP6392255B2 (ja) 外科用インプラント
ES2654899T3 (es) Implante quirúrgico
ES2479290T3 (es) Un sistema para cortar un elemento de retención en una sutura
MX2009001437A (es) Sutura para cierre de herida, aproximacion de tejido, soporte, suspension o fijacion de tejido.
KR20150115907A (ko) 국소적 역진성 바브-형성된 봉합재
CN105491961A (zh) 用于皮肤提拉或扩张皮肤组织体积的缝合线
US11583271B2 (en) Medical thread based on ultrasonic production
CN106714711B (zh) 用于毛发植入的系统、装置和方法
US11766254B2 (en) Medical three-dimensional thread making method and device using ultrasonic waves
KR102307404B1 (ko) 수술용 및 안면 거상술용 봉합사
KR102053392B1 (ko) 성 기능 개선을 위한 의료용 실의 제조방법
KR102564640B1 (ko) 서로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하이브리드 의료용 실 제조 방법
KR20230125363A (ko)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KR102182962B1 (ko) 헤드부를 구비한 의료용 실
KR101874064B1 (ko) 성형 시술용 실
KR101910163B1 (ko) 미늘 봉합사의 제조방법
KR101874065B1 (ko) 성형 시술용 실
KR101435723B1 (ko) 성형 수술용 실
BR112016024826B1 (pt) Grampo cirúrgico para um aplicador de grampo cirúrgico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grampo cirúrgico
KR102314301B1 (ko) 수술용 실 구조체
US20240041591A1 (en) Lifting suture for rhinoplas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