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363A -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363A
KR20230125363A KR1020220021859A KR20220021859A KR20230125363A KR 20230125363 A KR20230125363 A KR 20230125363A KR 1020220021859 A KR1020220021859 A KR 1020220021859A KR 20220021859 A KR20220021859 A KR 20220021859A KR 20230125363 A KR20230125363 A KR 20230125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medical thread
body portion
layer structur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1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363A/ko
Priority to PCT/KR2022/002893 priority patent/WO2023158009A1/ko
Publication of KR2023012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A61F2240/004Using a positive or negative model, e.g. moul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1몸체부와 제1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로 구성되는 제1원사;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되되, 제2몸체부가 제1몸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원사;로 구성되는 의료용 실이다.

Description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LAYER MEDICAL THREAD WITH IMPROVED TENSILE STRENGTH}
본 발명은 이중 레이어 구조를 적용하여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의료용 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의료용 실을 외과에서 봉합의 용도로 주로 사용하였으며, 칼을 사용하지 않고 바늘과 실로써 얼굴, 턱, 목, 복부, 질, 가슴, 힙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올려주고 주름을 당기고 펴주는 기술로서,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으며,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부기가 적어 각광을 받고 있다.
소재로는 천연소재 및 합성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소재 흡수성 의료용 실의 소재는 장선(catgut), 크로믹(chromic), 거트(gut)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합성소재 흡수성 의료용 실의 소재는 폴리글라이콜릭산(덱손, 멕손), 폴리글락틴(바이크릴) 및 폴리다이옥사논(PDO) 사용되고 있다. 천연소재 비흡수성 의료용 실의 소재는 견사(silk)가 사용되고 있으며, 합성소재 비흡수성 의료용 실의 소재는 폴리에스터(다크론), 폴리프로필렌(프롤린), 폴리아마이드(나일론) 및 e-PTFE(고어텍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의료용 실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 하여 사용되는데, 기존의 제조 방법은 열 성형 또는 압착을 통해 성형을 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실 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미세한 모양의 성형이 제한적이고, 돌기 주변에 보풀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며, PDO(Polydioxane) 재질의 특성상 열 성형 시 변형이 생기며,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PDO는 109도에서 녹으며, 6-12개월 지속되며, 내구성이 좋고, 가시 돌기가 피부에 잘 걸리며 걸린 이후에 강도있게 형태가 잘 유지되나 잘 늘어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PCL(polycaprolactone)은 60도에서 녹으며 18-24개월간 지속되며 잘 늘어나는 장점이 있으나 말랑말랑하여 가시 돌기를 제작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의료용 실은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PDO 또는 PCL이라는 단독 재질로만 형성이 되어 왔다.
하지만, 단독 재질로 구성되는 의료용 실의 경우 외부형태의 변화나 소재의 변화를 통해 의료용 실의 인장강도를 높이는 개발이 지속되고 있으나, 실을 구성하는 외부 형태의 변화만으로는 인장강도를 높이는 것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종류의 재료를 이용하여 종래의 실보다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의료용 실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음파 출력값을 10~30kHz로 설정한 초음파 발생기를 사용하여 사출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의료용 실(봉합사)이 단독 재질로만으로 실이 갖는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중 레이어 구조의 의료용 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1몸체부와 제1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로 구성되는 제1원사;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되되, 제2몸체부가 제1몸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원사;로 구성되는 의료용 실일 수 있다.
또한, 제1몸체부는 사각 구조의 단면을 가지되, 중앙에는 기설정된 곡률을 가진 트렌치 홈이 구비되고, 제2몸체부는 원형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트렌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의 일영역이 제1몸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원사 및 제2원사는 PCL(polycaprolactone) 재질 또는 PDO(Polydioxane)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원사 및 제2원사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면, 제1원사 및 제2원사는 상호 상이한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에너지 발생부와 금형 베이스 사이에서 금형 베이스의 음각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굵기를 갖는 제1원사와 제2원사를 각각 순서대로 적층하여 삽입하는 단계; (b) 에너지 발생부를 통해 제1원사 및 제2원사를 함께 가압하면서 제1원사 및 제2원사에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 및 (c) 에너지를 통해 제1원사가 먼저 녹아 제2원사가 제1원사에 접착됨과 동시에 음각패턴의 형상대로 생성된 의료용 실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1몸체부와 제1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로 구성되는 제1원사 및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되되, 제2몸체부가 제1몸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원사로 구성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에너지 발생부에서 열 또는 초음파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발생부에서 초음파가 발생되면, 초음파의 주파수는 10~30kHz일 수 있다.
또한, 초음파를 통해 제1원사 및 제2원사를 구성하는 분자들을 진동시킴에 따라 고체 상태의 제1원사 및 제2원사를 용융하여 제2원사를 제1원사에 삽입 후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용 실을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의 의료용 실이 단독 재질로 제조될 시 갖게 되는 인장강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하나의 재질만으로 의료용 실을 제작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 및 손쉬운 제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높은 인장강도와 유지력을 갖출 수 있어,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를 위한 제조 장치와 금형 베이스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실(봉합사)의 구조와 에너지를 통해 이를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의료용 실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란 종래의 열 에너지나, 초음파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를 위한 제조 장치와 금형 베이스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실은 의료용 실로 표현한다. 다만, 실은 종래에 코그(COG) 실, 수술용 실, 의료용 실, 봉합사 등으로 표현되는 것과 동일한 물체를 의미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실 제조 장치(100)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원사(10)를 가압하는 에너지 발생부(110) 및 의료용 실 형상이 제1음각패턴(121)으로 새겨 진 금형 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상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선택적 실시예로 원사(10)를 가압하는 에너지 발생부(110)에도 의료용 실의 형상이 새겨진 제2음각패턴(111)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원사(10)를 삽입하는 원사 삽입부(130) 및 실을 배출하는 원사 사출부(140)는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원사 삽입부(130) 및 원사 사출부(140)를 통해 원사(10)가 고정되며, 일 방향으로 회전 하여, 원사(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발생부(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된 실 제조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위치와 작동 방법에 있어 차이점을 가지는 다른 형태의 실 제조 장치로도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실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음각패턴(121)은 도2b에 도시되어 있는 금형 베이스(120)에 형성된 패턴의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설명될 수 있는 제2음각패턴(111)은 도2d에 도시되어 있는 에너지 발생부(110)에 형성된 패턴의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2b 및 도 2d에서는 제1음각패턴(121)과 제2음각패턴(111)만 형성되어 있으나, 하나 이상의 제1음각패턴(121) 및 제2음각패턴(111)과 다른 하나이상의 양각패턴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가장 가운데의 제1음각패턴(121) 및 제2음각패턴(111)을 통하여 실이 제작된다고 할 때, 가운데 제1음각패턴(121) 및 제2음각패턴(111)의 양측에 하나 이상의 양각패턴(미도시)과 음각패턴(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장치 구조물의 본체부와 가운데 제1음각패턴(121)과 제2음각패턴(111)을 조금 이격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에너지 발생부(110)와 금형 베이스(120) 사이에서 금형 베이스(120)의 제1음각패턴(121)과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굵기를 갖는 제1원사(10a)와 제2원사(10b)를 각각 순서대로 적층하여 삽입한다(S110).
다음으로, 에너지 발생부(110)를 통해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를 함께 가압하면서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에 에너지를 가한다(S120).
마지막으로 에너지를 통해 제1원사(10a)가 먼저 녹아 제2원사(10b)가 제1원사(10a)에 접착됨과 동시에 제1음각패턴(121)의 형상대로 생성된 의료용 실을 사출한다(S130).
이때, 도2c는 금형 베이스(120) 및 에너지 발생부(110)의 단면도에 해당되며, 도2c의 그림(a)는 제1음각패턴(121)만이 생성된 형태의 예시이며, 도2c의 그림(b)는 제1음각패턴(121)과 제2음각패턴(111)이 함께 생성된 형태의 예시이다.
먼저, 그림(a)의 경우 금형 베이스(120)에 제1음각패턴(121)만이 형성된 형태이다. 따라서, 그림(a)에서는 단계(S1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제1음각패턴(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굵기를 갖는 제1원사(10a)와 제2원사(10b)를 각각 적층하도록 위치시킨 후 에너지 발생부(110)로 압착하여 의료용 실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제1원사(10a)가 제2원사(10b)보다 에너지 발생부(110)에 더 가깝기 때문에, 제1원사(10a)가 먼저 용융되어 제1음각패턴(121)을 채우게 되고, 뒤이어 제2원사(10b)가 함께 용융되어 제1원사(10a)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원사(10a)가 용융되어 제1음각패턴(121)을 충분히 매울 수 있도록 제2원사(10b)보다 굵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2c의 그림(b)는 다른 형태로서, 에너지 발생부(110)에 제2음각패턴(111)이 형성되어, 제1원사(10a)가 제2음각패턴(1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원사(10b)는 금형 베이스(120)의 제1음각패턴(121)에 고정되어, 에너지 발생부(110)가 압착될 시 제1원사(10a)가 제2음각패턴(111)에 맞게 용융되어 제2원사(10b)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 중 어느 하나는 실의 양끝을 고정하여 에너지 발생부(110)와 금형 베이스(120)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압착과정에서 실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 실시예로 에너지 발생부(110)에서 열 또는 초음파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될 수 있다. 만약, 에너지 발생부(110)에서 초음파가 발생되는 경우 초음파의 주파수는 10~30kHz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10) 내지 단계(S130)에서 수행되는 초음파는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를 구성하는 분자들을 진동시킴에 따라 고체 상태의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를 용융하여 제2원사(10b)를 제1원사(10a)에 삽입 후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추가 실시예로 상기의 단계(S110) 내지 단계(S130)에서 제시된 방법과 다른 방법을 통해 의료용 실의 제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원사(10a)와 제2원사(10b)가 각각 따로 분리되어 가공된 이후 합쳐지는 제작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단계(S120)까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제2원사(10b)가 몸체부(101)와 돌기부(102)가 형성되도록 성형되되, 금형 베이스의 제1음각패턴(121)와 맞물리는 상단 패턴은 제2원사(10b)의 몸체부(101)와 평행하면서도 반원형의 볼록한 반원 기둥이 형성되어 각 패턴이 압착될 시, 제2원사(10b)에는 제1원사(10a)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단계(S130)에서 제2음각패턴(111)을 통해 제1원사(10a)가 제2원사(10b) 내부에 배치 및 가압되어 의료용 실을 완성하게 된다.
다른 추가 실시예로 제1원사(10a)보다 제2원사(10b)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1원사(10a)를 금형 베이스의 상단 패턴에 고정하고 제2원사(10b)를 금형 베이스의 하단 패턴에 구비한 후 에너지를 인가하면서 압착을 수행하여 2가지 원사를 고정하고, 동시에 몸체부(101)와 돌기부(102)를 성형하여 의료용 실을 완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의료용 실은 양 측으로 마주하는 복수의 돌기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부(101)와 돌기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의료용 실의 돌기부(102) 부분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금형 베이스(120)는 돌기부(102)의 횡 단면 또는 종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돌기부(102)의 일 측면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가 대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02)가 실의 몸체부(101)에서 연장되어 생성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기부(102)의 가장 긴변과 몸체부(101)가 이루는 내각은 예각으로 형성되고, 돌기부(102)의 가장 짧은 변과 몸체부(101)가 이루는 내각은 둔각으로 형성되어 돌기들이 중심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복수의 돌기부(102)는 기 설정된 크기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예로 의료용 실의 처음과 끝에 있는 특정 돌기부(102)의 크기가 다른 돌기부(102)보다 크거나, 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추가 실시예로 복수의 돌기부(102) 중 기 설정된 단위의 위치(예를 들어 짝수번째 돌기나, 5, 10, 15…번째 단위의 돌기)하고 있는 돌기부(102)의 크기나 방향이 다른 돌기부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도면이다.
공통적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의료용 실은 제1원사(10a)와 제2원사(10b)가 결합된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원사(10a)는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1몸체부(101a)와 제1몸체부(101a)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10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원사(10b)는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2몸체부(101b)로 구성되되, 제2몸체부(101b)가 제1몸체부(101a)에 삽입되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선택적 실시예로 의료용 실의 제1몸체부(101a)는 사각 구조의 단면을 가지되, 중앙에는 기설정된 곡률을 가진 트렌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의료용 실의 제2몸체부(101b)는 원형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제1몸체부(101b)에 형성된 트렌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의료용 실의 제2몸체부(101b)의 일영역이 제1몸체부(101a)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실의 단면은 어느 하나의 변에 반원이 돌출된 형태의 사각 구조를 가지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는 PCL(polycaprolactone) 재질 또는 PDO(Polydioxane)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원사(10a)와 제2원사(10b)가 PCL 재질이나 PDO 재질로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재료가 혼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재의 발견이나 의료용 실을 구현하기 위한 상황에 따라 PCL 및PDO외의 다른 재질이 더 채용될 수도 있다.
만약,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면,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는 상호 상이한 색상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S120) 내지 단계(S130)에서, 에너지를 통해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를 구성하는 분자들을 진동시킴에 따라 고체 상태의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를 용융하여 각각 제1음각패턴(121)과 제2음각패턴(111)에 대응되는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계(S120) 이전에는 제1원사(10a)의 경우 원통형의 가는 실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에너지에 의해 제1원사(10a)의 가장자리부분의 고체물성이 액체물성에 가까워지게 되면서, 상기 음각패턴의 틀이 구성하는 빈 공간을 제1원사(10a)가 채우면서 음각패턴 모양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성형이 완료된 제1원사(10a) 위에 제2원사(10b)를 배치시키고, 금형을 닫아, 에너지를 통해 제2원사(10b)를 구성하는 분자들을 진동시킴에 따라 고체 상태의 제2원사(10b)를 용융하여 제2음각패턴(111)에 대응하는 조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원사(10a) 및 제2원사(10b)의 형상 변성은 에너지를 통해 원사를 구성하는 분자들을 진동시킴에 따라 고체 상태의 원사(10)의 물성을 변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음각패턴에 맞는 의료용 실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는 도 4a 및 도 4b를 통해 구체적인 형상에 대한 설명을 수행한다.
이때, 도 4a는 양측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기부(102)가 형성된 몸체부(101)를 확대한 의료용 실의 일 영역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한 쌍의 돌기부(102)가 형성된 몸체부(101)의 횡단면을 절개한 단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제1원사(10a)에는 제1몸체부(101a)와 돌기부(102)가 구현되고, 제2원사(10b)의 제2몸체부(101b)는 제1몸체부(101a)의 내부에 평행하게 삽입 된다.
이때, 제1원사(10a)는 리프팅 시술에 사용될 시, 외부에 형성된 돌기부(102)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와 결합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원사(10b)는 결합된 의료용 실의 강도를 높이는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b를 참고하면, 제1몸체부(101a)에 삽입된 제2몸체부(101b)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게 되고, 제2몸체부(101b)가 모두 제1몸체부(101a)에 삽입된 것이 아닌,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추가 실시예로 제2몸체부(101b)는 사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몸체부(101a)의 두께(폭)가 제2몸체부(101b)에 비해 더 넓어지는 경우, 제2몸체부(101b)가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추가 실시예로 제1원사(10a)의 폭은 제2원사(10b)에 형성되는 몸체부(101)의 폭보다 넓거나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종래의 의료용 실에 비해 2배 정도의 돌기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초음파를 이용한 방식으로 원사에 흠집을 내거나 매듭을 가하지 않아 물리적 강도가 저하되는 요인을 해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프팅 시술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효능을 기대할 수 있고, 종래의 제품 보다 견고한 고정과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종래의 열과 금형의 압력으로 잘라내던 방식에 비해 초음파 진동을 물질에 가해서 그 입자들을 초음파 금형의 모양 틀에 넣어 코그 모양 및 다양한 입체 형태의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종래의 실은 열을 가하고 열이 가해진 실은 납작하게 롤러로 눌러서 납작해진 실을 금형으로 압력을 가해 금형 모양으로 자르는 방식으로 실에 열을 가하면서 물질은 부피와 밀도가 팽창해서 원료의 물성이 약 30프로 정도 약해지고, 열이 가해져서 팽창된 납작한 실을 코그 모양의 금형으로 눌러서 자르게되면, 코그 끝 부분에 보풀이 생기고 코그 끝 뾰족한 부분이 구현이 힘들지만, 초음파 진동으로 가공하는 방법은 실을 코그 모양의 금형에 넣고 초음파 진동으로 짧은 시간에 열이나 인위적인 자극을 최소화 하여 실 원료의 변성이 거의 없고, 강도와 물성의 기존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실 제조 장치 10: 원사
110: 에너지 발생부 120: 금형 베이스
121: 제1음각 패턴 111: 제2음각 패턴
130: 원사 삽입부 140: 원사 사출부

Claims (9)

  1.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로 구성되는 제1원사; 및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되되, 제2몸체부가 상기 제1몸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원사;로 구성되는 것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는 사각 구조의 단면을 가지되, 중앙에는 기설정된 곡률을 가진 트렌치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는 원형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트렌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의 일영역이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사 및 제2원사는 PCL(polycaprolactone) 재질 또는 PDO(Polydioxane)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사 및 제2원사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면,
    상기 제1원사 및 제2원사는 상호 상이한 색상으로 구분되는 것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6.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에너지 발생부와 금형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금형 베이스의 음각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굵기를 갖는 제1원사와 제2원사를 각각 순서대로 적층하여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에너지 발생부를 통해 상기 제1원사 및 제2원사를 함께 가압하면서 상기 제1원사 및 제2원사에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에너지를 통해 상기 제1원사가 먼저 녹아 상기 제2원사가 제1원사에 접착됨과 동시에 상기 음각패턴의 형상대로 생성된 의료용 실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로 구성되는 상기 제1원사 및 상기 의료용 실의 중심축이 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2몸체부가 상기 제1몸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제2원사로 구성되는 것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열 또는 초음파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 것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상기 초음파가 발생되면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10~30kHz인 것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를 통해 상기 제1원사 및 제2원사를 구성하는 분자들을 진동시킴에 따라 고체 상태의 상기 제1원사 및 제2원사를 용융하여 상기 제2원사를 상기 제1원사에 삽입 후 결합시키는 것인, 이중 레이어 구조를 갖는 의료용 실 제조 방법.
KR1020220021859A 2022-02-21 2022-02-21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KR20230125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59A KR20230125363A (ko) 2022-02-21 2022-02-21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PCT/KR2022/002893 WO2023158009A1 (ko) 2022-02-21 2022-03-02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59A KR20230125363A (ko) 2022-02-21 2022-02-21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363A true KR20230125363A (ko) 2023-08-29

Family

ID=8757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859A KR20230125363A (ko) 2022-02-21 2022-02-21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5363A (ko)
WO (1) WO20231580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2105B2 (en) * 2004-06-30 2009-09-01 Silhouette Lift Societad Limitada Suture for wound closure, tissue approximation, tissue support, suspension and/or fixation
KR101688020B1 (ko) * 2015-05-15 2016-12-21 (주)리젠바이오참 의료용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21980B1 (ko) * 2017-12-28 2018-11-27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초음파를 이용한 의료용 3차원 실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200032610A (ko) * 2018-09-18 2020-03-26 김도훈 수술용 이중 봉합사
KR102346662B1 (ko) * 2019-06-25 2022-01-03 윤지혜 의료용 실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009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764B1 (ko)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AU2020202786B2 (en)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608356B2 (ja) 開口部を有する層を含む外科用インプラント
CN108136079A (zh) 用于外科器械的植入式层
US20140222161A1 (en) Three-dimensional polymeric medical implants
EP2762172B1 (en) Three-Dimensional Polymeric Medical Implants
KR101855328B1 (ko) 의료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US11583271B2 (en) Medical thread based on ultrasonic production
US11766254B2 (en) Medical three-dimensional thread making method and device using ultrasonic waves
KR20230125363A (ko)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KR102564640B1 (ko) 서로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하이브리드 의료용 실 제조 방법
CA2661714A1 (en) Apparatus for joining of tissue having integral penetrating end
KR102382009B1 (ko)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KR20190031859A (ko) 리테이너를 갖는 생분해성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CN216168082U (zh) 阴道松弛矫治假体
KR102010489B1 (ko) 의료용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520664A (zh) 阴道松弛矫治假体及其用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