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610A - 수술용 이중 봉합사 - Google Patents

수술용 이중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610A
KR20200032610A KR1020180111848A KR20180111848A KR20200032610A KR 20200032610 A KR20200032610 A KR 20200032610A KR 1020180111848 A KR1020180111848 A KR 1020180111848A KR 20180111848 A KR20180111848 A KR 20180111848A KR 20200032610 A KR20200032610 A KR 20200032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suture
present
filaments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김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훈 filed Critical 김도훈
Priority to KR102018011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2610A/ko
Publication of KR2020003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7Double-armed sutures, i.e. sutures having a needle attached to each e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일회의 봉합으로 다중 봉합 효과를 제공하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는 제1 필라멘트; 제2 필라멘트; 상기 제1 필라멘트의 일단 및 상기 제2 필라멘트의 일단에 결합된 제1 니들; 및 상기 제1 필라멘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필라멘트의 타단에 결합된 제2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용 이중 봉합사{Dual surgical suture}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일회의 봉합으로 다중 봉합 효과를 제공하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성형 수술 분야에서 쌍꺼풀 수술(East Asian blepharoplasty) 방법은 크게 절개법과 매몰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절개법은 눈꺼풀이 쳐져 있거나 눈의 피부와 근육, 지방층이 두꺼운 사람에게 적합한 수술법으로, 절개창을 통해 지방과 근육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회복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매몰법은 절개를 하지 않고 눈꺼풀의 작은 구멍에 실을 통해 쌍꺼풀을 만드는 수술 방법이다.
매몰법에 사용되는 봉합사 및 수술과정을 도 1 및 도 2를 각각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봉합사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2는 일반적인 매몰법 방식의 쌍꺼풀 수술 방법의 개략적인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매몰법 쌍꺼풀 수술에 사용되는 봉합사는 한 가닥의 필라멘트(20)와, 필라멘트(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원호형 니들(10A, 10B)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니들이 구비되므로, 이러한 봉합사를 양바늘 봉합사라 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봉합사를 사용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꺼풀(30)과 눈썹(40) 사이에 희망하는 쌍꺼풀 라인에 따라 메스 등을 이용해 형성된 복수의 미세한 절개홈(51, 52, 53, 54)에 니들(10A, 10B)을 상하로 번갈아 통과시켜 일측에서 필라멘트(20) 양단간에 니들(10A, 10B)을 제거한 후 매듭을 짓는 방식으로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봉합사의 필라멘트(20)를 반으로 자른 후 하나의 니들만으로 양안 중 일측 쌍꺼풀을 형성하기 위한 봉합이 수행되기도 한다.
그런데, 상술한 일반적인 봉합사가 사용되면, 한 번의 봉합을 통해 하나의 매듭만 형성되므로, 해당 매듭의 풀림, 눈꺼풀 근육의 수축이나 눈비빔 등으로 인한 장력 등에 의해 필라멘트(20)가 끊어질 경우, 심하면 쌍꺼풀이 풀릴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부에서는 이중 매듭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나, 동일한 봉합을 2회 수행해야 하므로 수술 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정확히 동일한 지점에 니들이 지나가도록 하는데 큰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1회의 봉합으로 다중 봉합 효과를 줄 수 있는 봉합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는 제1 필라멘트; 제2 필라멘트; 상기 제1 필라멘트의 일단 및 상기 제2 필라멘트의 일단에 결합된 제1 니들; 및 상기 제1 필라멘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필라멘트의 타단에 결합된 제2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필라멘트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필라멘트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봉합사는 상기 제1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필라멘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는,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 니들 사이에 다중 필라멘트가 연결되므로, 1회의 봉합을 통해 다중 봉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봉합사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일반적인 매몰법 방식의 쌍꺼풀 수술 방법의 개략적인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매몰법 수술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봉합사의 니들 사이에 필라멘트를 다중으로 연결하여, 1회의 봉합을 통해 다중 봉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는 서로 나란한 두 가닥의 필라멘트(200A, 200B)와, 두 필라멘트(200A, 200B)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니들(100A, 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니들(100A, 100B)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100A, 100B)은 해당 곡률을 갖는 원의 3/8에 해당하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니들(100A, 100B)은 단면 형상이 원형일 수도 있고, 다각형(예컨대, 삼각형)일 수도 있다. 니들(100A, 100B)의 일단은 필라멘트(200A, 200B)와 연결되며, 타단은 피부나 조직을 관통하기 용이하도록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라멘트(200A, 200B)는 매몰법 수술에 사용될 경우, 비흡수사(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재질로는 실크, 나일론, 프롤렌, 다크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 가닥의 필라멘트(200A, 200B)는 길이 차로 인한 필라멘트 상호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필라멘트는 해당 필라멘트의 양단끼리 매듭이 지어져야 하므로, 집도의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가닥의 필라멘트(200A, 200B)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하나의 필라멘트(200A)는 검정색이고, 나머지 필라멘트(200B)는 청색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가 매몰법 수술에 적용되는 형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매몰법 수술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눈꺼풀(30)과 눈썹(40)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절개홈(51, 52, 53, 54)을 따라 필라멘트들(200A, 200B)이 지나간 후, 니들이 제거된 상황이 도시된다. 기본적인 수술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와 동일하게 니들이 동일 경로를 한 번만 통과하게 되나, 필라멘트(200A, 200B)가 이중이므로 동일 경로를 통해 두 번의 봉합이 이루어진 결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일한 필라멘트의 양단끼리 매듭을 짓게 되면, 두 개의 동일 형상을 갖는 독립된 봉합이 각각 형성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필라멘트(200A, 200B)의 색상이 상이하므로 다른 필라멘트간의 매듭이 형성될 염려도 적다.
결국, 한 번의 봉합을 통해 다중 봉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하나의 필라멘트가 끊어지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봉합이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바, 쌍꺼풀이 풀리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의 세부 구성을 살펴본다.
도 5는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니들(100A)에서 필라멘트(200A, 200B)와 연결되는 일단에는 블라인드 홀(BH)이 형성될 수 있으며, 블라인드 홀(BH) 내에 각 필라멘트(200A, 200B)의 일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블라인드 홀(BH)에 삽입된 필라멘트(200A, 200B)를 고정하기 위해, 니들(100A)의 일 단부(120A)는 외주면이 가압되어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블라인드 홀(BH)에서 필라멘트(200A, 200B)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는 접착부재가 충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필라멘트 고정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3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두 필라멘트(200A, 200B) 사이에는 상호간 꼬임 방지를 위해, 연결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300)는 고분자 계열 소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서는 하나의 연결 부재(300)만이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연결 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두 필라멘트(200A, 200B)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봉합사는 매몰법 방식의 쌍꺼풀 수술에 적용됨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종류의 수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A, 100B: 니들
200A, 200B: 필라멘트
300: 연결 부재

Claims (5)

  1. 제1 필라멘트;
    제2 필라멘트;
    상기 제1 필라멘트의 일단 및 상기 제2 필라멘트의 일단에 결합된 제1 니들; 및
    상기 제1 필라멘트의 타단 및 상기 제2 필라멘트의 타단에 결합된 제2 니들을 포함하는, 봉합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필라멘트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봉합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필라멘트의 길이는 동일한, 봉합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라멘트와 상기 제2 필라멘트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는,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봉합사.
KR1020180111848A 2018-09-18 2018-09-18 수술용 이중 봉합사 KR20200032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848A KR20200032610A (ko) 2018-09-18 2018-09-18 수술용 이중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848A KR20200032610A (ko) 2018-09-18 2018-09-18 수술용 이중 봉합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610A true KR20200032610A (ko) 2020-03-26

Family

ID=6995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848A KR20200032610A (ko) 2018-09-18 2018-09-18 수술용 이중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26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09A1 (ko) * 2022-02-21 2023-08-24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09A1 (ko) * 2022-02-21 2023-08-24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5616C2 (ru) Шовные нити с зазубринами и стопорами для тампонов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US10441408B2 (en) Soft anchor assembly with non-sliding flexible strand and techniques for use
US10285685B2 (en) Knotless filamentary fixation devices,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ES2351356T3 (es) Hilo de sutura con púas trenzadas.
CN103385741B (zh) 使用圈套组件和软锚钉固定组织的系统、装置和方法
EP2201900B1 (en) Suturing construct with spliced tails
JP6396047B2 (ja) 圧潰する縫合糸ループを有する外科的構造体及び組織を固定する方法
KR102271609B1 (ko) 비-슬라이딩 봉합 테이프를 구비하여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봉합 테이프 구조물
US11642121B2 (en) Tensionable knotless anchors and methods of tissue repair
US20150066079A1 (en) Suture tape with exterior suture strands
US9585654B2 (en) Segmentally rigid suture and suturing technique
CN107334502B (zh) 一种缝合线及其制备方法
US20230248354A1 (en) Tensionable knotless anchors and methods of tissue repair
KR20200032610A (ko) 수술용 이중 봉합사
US10323342B1 (en) Braided filament having flat morphology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JP3225260U (ja) 手術用二重縫合糸
US11576666B2 (en) Surgical constructs for tissue fixation and methods of tissue repairs
CN211355663U (zh) 双重外科手术缝合线
KR20200000114A (ko) 의료용 실 장치
US20160174961A1 (en) Methods of soft tissue fixation using filamentary tissue anchors
RU2739223C1 (ru)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рецессированной прямой мышцы глаза
US11717281B2 (en) Surgical constructs with shuttling loops and methods of tissue fixation
KR20220014731A (ko) 이중 니들 봉합사
JP3199730U (ja) 眼科用針付き縫合糸セット
JP2024512819A (ja) 縫合糸構成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