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46865A1 - 고착형 미늘 봉합사 - Google Patents

고착형 미늘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46865A1
WO2015046865A1 PCT/KR2014/008868 KR2014008868W WO2015046865A1 WO 2015046865 A1 WO2015046865 A1 WO 2015046865A1 KR 2014008868 W KR2014008868 W KR 2014008868W WO 2015046865 A1 WO2015046865 A1 WO 20150468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ture
barb
barbed
barbs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8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원석
Original Assignee
유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석 filed Critical 유원석
Publication of WO20150468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468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10Modifying the surface by ind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fixed barbed su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useful for connecting or fixing animal tissue in various medical environ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maximize the fixing force after insertion in barbed suture to simultaneously improve efficacy and safety. It relates to a fixed type barbed suture having a structure to mak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sutures are used to connect or suture various injured areas of animal tissues such as skin, muscles, tendons, internal organs, bone tissues, nerves, blood vessels, etc. and incision sites according to surgical procedures. These sutures are typically made of materials such as silk, cotton, nylon, dafilon, polyester, polypropylene, or stainless steel. Air between the absorbent suture and the L-lactide polymer, the glycolic acid polymer, the 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or their respective polymers and copolymers with caprolactone or trimethylene carbonate Bioabsorbable sutures are composed of a material such as coalesced or polydioxanone, or chitosan and derivatives thereof. In particular, such bioabsorbable sutures provide the convenience of use since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sutures from the patient.
  • Such conventional sutures are generally used in their use to form at least one or more knots.
  • a suture knot has a variety of knot methods and due to its complexity requires a lot of training from the user doctor, and also the time-consuming method of making a suture knot during surgery itself.
  • there are limitations in minimizing the operation time and the opening time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operation and rapid recovery in surgery requiring many sutures and knots such as heart surgery.
  • the knot may cause breakage, slippage or loosening, which may result in breakage of the suture, and cosmetically cause external scarring.
  • Barbed suture for solving this problem has been commercialized through a number of development process since the start of the idea, and provides a number of advantages by supplement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suture that requires a conventional knot.
  • These barbed sutures form one or more protruding barb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body length along the body length, and the barbed sutures have unidirectional mobility by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arbs formed. That i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barbs, which can be suppressed in one direction, the barbed suture is inserted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tissue and then the mov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suppressed. As a result, barbed sutures can be used without knots, unlike conventional sutures.
  • US Pat. No. 5,374,268 describes a surgical tool including an anchor of a biodegradable material arranged in a bidirectional array so that barbs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suture face each other.
  • US Pat. No. 5,931,855 describes a bilateral array of barbed sutures formed in which barbs of about half of the entire length of the barbed barbed sutures face each other.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5105 published as International Publication WO 2005/096956
  • the central part includes a clear part without barbs, and the barbs formed on both sides face each other toward the clear zone. It describes a bilateral array of barbed sutures formed to be seen.
  • Such a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both front end portions can be inserted into different points of the affected part, and thus can be sealed by a conventional suture method or a simple suture method, as show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5105.
  •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ture may play an anchoring role in one side of the suture.
  • This feature can be an effective advantage for plastic surgery such as tissue elevation.
  • the suture and additional secondary lesions are widely generated due to the structure and suture of the suture, and two different needles penetrate the tissue during plastic surgery such as tissue elevation. It has a limit that arises.
  • barbed sutures are those formed by forming protrusions on the suture's body or by shaving the suture's body in the formation of the barbs, all of which are inserted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tissue and then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basic design and structure are faithful ones.
  • these barbed sutures still retain the sliding properties in one direction after insertion into the tissue due to the basic properties of the barbed sutures, and as a more ideal suture, fixed sutures that are resistant to movement in both directions after insertion into the tissue. It is not a structure of.
  • International Publication WO 2006/061868 discloses a fixed barbed suture in which barb segments formed bidirectionally facing each other are arranged. This may be effective as a fixed suture having resistance to movement in both directions of the suture after insertion of the suture, but may not be smoothly inserted when the suture is inserted into the tissue and thus sutures to the correct suture point of the suture.
  • the performance itself is a structure with problems.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43179 discloses a surgical suture comprising an anti-slip outer wire spirally wound along a core wire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wire.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7481 discloses a medical suture comprising a continuous spiral protrusion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and the one-sided protrusion section has an outward flange shape.
  • the two prior arts can be inserted smoothly in inserting the suture into the tissue, and the tissue is fixed to the helical irregularities formed in the suture due to regeneration of the tissue after insertion of the suture. It is the structure which can provide an effect more firmly.
  • tissue fixation effect is not intended until the fixation effect of growth and engraftment of fibrous tissue is achieved, i.e., there is no fixed part element such as barb that is sharply formed to physically fix dense tissue immediately after insertion of suture tissue.
  • the sutures formed with the projections including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barbed suture described above are insufficient in the effect of lifting due to the absence of a barb suitable for elevating the tissue when applied to a tissue augmentation, such as face lift, which requires a special fixing force of the suture.
  • a barb suitable for elevating the tissue when applied to a tissue augmentation, such as face lift
  • the insertion of the suture at the elevated position and the elevated and surrounding tissue is weak due to the action of gravity and muscle movements over time.
  • a suture itself slips back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coarse direction and the coarse tissue descends back to its initial position. This would be a fundamental problem with conventional barbed sutures, that is, sutures with easy mobility in one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lurality of barb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and the fixing formed by the spiral strip of the intaglio or cross-sectional structure surrounding the sutur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It is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ed barbed su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which a knot is not required for use, and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utured tissue and the surrounding tissue and the suture can be improv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at the same tim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xed barbed suture comprising a suture body, barb, fixing portion and the tip portion as a technical solution.
  • the fixing par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by a spiral strip of an intaglio or cross-sectional structure surrounding the suture body along the length of the suture.
  • the barbs are formed in plur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 the helical band of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spiral line in the form of a solid line, may be formed as a helical band in the form of a dotted line, or may be formed as a helical band in a mixed form thereof.
  • the helical band of the fixing part may be formed at a different pitch, may be formed in plural, and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rotation directions.
  • the helical band of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at a helix angle of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ture longitudinal axis, and preferably forms an angle of 45 degrees or less.
  • the helix angle of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helix angle of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ture thread.
  • the engraved structure or cross-sectional structure forming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of any one of a square, trapezoidal, triangular, curved, and straight.
  •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manufacturing the suture formed by the fixing portion by extruding the extrusion die formed with the forming hole of the fixing portion shape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olding hole.
  •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cutting the blade (blade) cutter or laser (Laser) cutting machine to produce a suture formed with the fixed portion.
  • the fastening part is cut by a blade cutter or a laser cutting machine, and the suture is formed by fixing the processed sutures by axial rotation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to apply twist and fix the kinks so as not to be releas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step of manufacturing a suture with a fastening part by axially rotating one or both of the sutures or cutter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along with the cutting process using a blade cutter or a laser cutter. It is characterized by.
  • the fixing portion is produced by a compression process using a press or a thermocompressor and the step of rotating the processed suture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by applying a twist and fixing to prevent the twist from being produced, comprising It features.
  • the barbs ar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unidirectional mobility.
  • the barb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protrusion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suture, or may be formed by forming an incision in the surface of the suture.
  • the barbs are formed in a protrusion structure protruding in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ular pyramid, triangular pyramid, triangular prism, square pyramid, square pyramid, prismatic pillar, cone, truncated cone, and cylinder.
  • the barb may be formed into a barb structure having a cutout having a straight cut in the cross section, and the cutout may be formed in a barbed structure having a curved cutout in the cross section, and a barbed structure having a linear cutout in which the cutout is bent in the cross s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t into the barb structure which has a curved incision part cut
  • the barb can also be formed in a barb structure having a cutout portion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 curved line, and a curved line shape in cross section.
  • the barbs may be formed in a linear arrang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uture body, and in a spiral arrangement surrounding the sutur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 the barbs arranged in the linear arrangement are formed in a structu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barbs.
  • the barbs may be ground to a plurality of barbs on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ly 180 ° direction about the suture bod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hape, and to grind a plurality of barbs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120 ° around the suture body (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hape, and to grind a plurality of barbs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of 90 ° around the suture body (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hape, and to grind a plurality of barbs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72 ° around the suture body (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hape.
  • the barbs should not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they are placed on the same line. To form a shape.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by a suture formed in a structure arranged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barbs when the barbs are placed on the same line.
  • the barbs may be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fixing portion, or may be formed on different lines from the fixing portion.
  • the barbs may be formed to be aligne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end of the suture, or may be formed to be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iral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 the barbs may be formed to be aligned at an angle within the helix angle of the fix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uture longitudinal axis, and preferably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suture longitudinal axis.
  • the barbs may be formed by arranging barb section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projection of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producing a suture formed barb by the method of forming by injection molding or compression molding.
  • the barb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producing a suture formed barb by the method of forming by thermocompression.
  • the projection of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producing a suture formed barb by the method of compression molding by continuously passing the suture with the axial rotation based on the center axis of the suture cross-section to the crimping device configured to the crimping frame.
  • the cut portion of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producing a suture is formed barb by cutting or cutting to form a blade cutter.
  •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uture can be formed by formi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oblique line, it may be formed including a surgical needle.
  • the suture has the appropriate flexibility and strength to connect or suture various injured areas of animal tissues such as skin, muscles, tendons, internal organs, bone tissue, nerves, blood vessels, etc. and surgical incisions, and the shape formed therewith 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oth biocompatibility with rigidity not to be deformed or cut off.
  • the suture may be formed of a bioabsorbable polymer material or a nonabsorbable material
  • the bioabsorbable polymer material may be a lactic acid polymer, a glycolic acid polymer, a 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or each of them.
  • copolymers of caprolactone or trimethylene carbonate, or polydioxanone, or chitosan and derivatives thereof, and the non-absorbent material may be used.
  • Silk, cotton, nylon, dapilon, polyester, polypropylene, stainless steel are possible.
  •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body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le or a triangle, a square.
  • the suture body may be formed to have a non-linear structure by forming a radially continuous ben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 a plurality of barb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and the fixing portion formed by a spiral strip of the intaglio or cross-sectional structure surrounding the sutur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together
  • the suture inserted by the strong fixing force prevents the slipping back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maximizes the fixing of the elevated tissue.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of a single spiral band of a concave groove structure and barbs formed together on one side of a suture body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utur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by a single spiral strip of the intaglio groove structure and the barbs are configur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utur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ingle spiral band of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barbs are configur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 Figure 4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utur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by a single spiral band of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barbs are configur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of a plurality of helical bands and the barbs are configur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ide view of the suture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a spiral band in a dotted line and the barbs are configur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utur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a spiral band of a dotted line and the barbs are configur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of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formed in a helical band of a dotted line and the barbs are configur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ide view of a sutur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xation portion is formed of a helical band of unequal pitch and the barbs are configur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 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ixing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engraved structur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fixing portion formed in the form of a trapezoidal intaglio structur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ixing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intaglio structur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ixing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urved cross-sectional structur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ixing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ght cross-sectional structur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sid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uture composed of a cut-out barbs made of a straight line in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incision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sid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uture composed of a cut-out barbs made of a curved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ut-out section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in a curved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sid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uture composed of a cut-out barb made of a linea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incision section on one side of the suture body in a linear form with a fixing portion.
  • FIG. 18 is a sid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uture composed of a cutout barb made of a combination of linear and curved cross sections of a cut section on one side of a suture bod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FIG 19 is a side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in a spiral with the fixing portion and the projection barbs surrounding the suture body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in a spiral shape around the suture body by fixing portions and protrusion barb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side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in a helical shape surrounding the suture body with the fixing portion and the incision type barbs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2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in a spiral with the fixing portion and the incision type barbs surrounding the suture body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rbs are formed on corresponding sides in a radially 180 ° direction relative to the suture body.
  •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barbs are formed on corresponding sides in a radially 120 ° direction relative to the suture body.
  • 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barbs are formed on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 90 ° direction relative to the suture body.
  •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barbs are formed on corresponding sides in a radially 72 ° direction relative to the suture body.
  •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so that the barb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fixing portion toward the suture tip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so that the barb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fixing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x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ture composed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barbs facing each other based on a certain point of the sutu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ture composed of a surgical needle at the front en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in a non-linear elongated structure by forming a continuous bent radially relative to the suture center axis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2 is a front view showing a suture formed of a non-linear elongated structure by forming a continuous bent radially relative to the suture center axis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barbed suture comprising a suture body, barbs, fastening portion and the tip portion is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formed of a spiral strip of the intaglio or cross-sectional structure surrounding the sutur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 the fixing part of the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in a spiral or in the form of a spiral line in the form of a dotted line.
  • the fixing part of the fixing band is formed in a suture formed in a mixed form of a solid line or a dotted line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sutures formed at pitches of which the helical bands of the fixing portions are not equal are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sutu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piral bands of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sutures formed so that the helical bands of the fixing portion have different rotation directions are characterized by technical construction.
  •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by the spiral angle of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ture.
  • the helix of the fasten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the angle of 4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ture.
  • the helix of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at a helix angle of a differ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ture longitudinal axis.
  • the engraved structure or cross-sectional structure forming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in a square, trapezoidal, triangular, curved, straight.
  • the fixing por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ture cross-section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the suture whole body generated by passing through the spinning frame formed with a spinneret of the fixing portion shape to the fibrous shape and wound to produce a suture formed with the fix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omprises the step of.
  • the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manufacturing the suture formed by the fixing portion by extruding by rotating the extrusion die formed with the forming hole of the fixing portion shape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olding hole.
  •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ep of manufacturing a suture formed with a fixed portion by cutting the blade (blade) or laser (Laser) cutting machine.
  • the fastening part is cut by a blade cutter or a laser cutting machine, and the suture is formed by fixing the processed sutures by axial rotation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to apply twist and fix the kinks so as not to be releas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omprises the step of.
  •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step of manufacturing a suture with a fastening part by axially rotating one or both of the sutures or cutter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along with the cutting process using a blade cutter or a laser cutt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fixing portion is produced by a compression process using a press or a thermocompressor and the step of rotating the processed suture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by applying a twist and fixing to prevent the twist from being produced, compris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a sutu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barb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barb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of a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unidirectional mobility.
  •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formed of a protrusion structure of the protrusion type on the surface of the suture.
  • the barb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by forming an incision on the surface of the suture.
  •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formed of a protrusion structure protruding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triangular pyramid, triangular pyramid, triangular prism, square pyramid, square pyramid, prismatic, cone, truncated cone, cylindrical.
  •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is formed of a barbed structure having a straight cut in the cross section i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is formed of a barbed structure having a cut section having a curved incision in the cross section.
  •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formed of a barbed structure having a linear incision in which the incision is bent in cross section.
  • the barb is characterized by a suture formed of a barbed structure having a curved incision in which the incision is bent in cross section.
  •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is formed of a barbed structure having a cut-out section having a combination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 curved line, a curved line shape in the cross section.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formed in a structure arranged in a linear arrang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 the barbs arranged in the linear arrangemen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formed in a structu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barbs.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formed in a structure arranged in a spiral arrangement surrounding the sutur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 the barbs may be ground to a plurality of barbs on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ly 180 ° direction about the suture body.
  • the suture formed in the shape of a)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barbs may be ground to a plurality of barbs on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of 120 ° about the suture body.
  • the suture formed in the shape of a)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barbs may be ground to a plurality of barbs on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ly 90 ° direction about the suture body.
  • the suture formed in the shape of a)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barbs may be ground to a plurality of barbs on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of 72 ° about the suture body.
  • the suture formed in the shape of a)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barbs should not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they are placed on the same line.
  • the suture formed in the shape of a)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by a suture formed in a structure arranged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barbs when the barbs are placed on the same line.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fixing portion.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on the line different from the fixing portion.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by aligning in the direction looking at the distal end of the suture.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by align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lical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by a suture formed by aligning the sutures at an angle within the helix angle of the fastening portion relative to the suture longitudinal axis.
  • the barbs are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by aligning at an angle of 4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suture longitudinal axis.
  • the barbs have a suture formed by arranging barb section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projection of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producing a suture formed barb by the method of forming by injection molding or compression molding.
  • the projection of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producing a suture formed barb by the method of forming by thermocompression.
  • the barbed projections comprise a step of producing a suture formed barb by the method of compression molding by continuously passing the suture to the crimping unit is formed with a crimp frame with the rotation of the axis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It is done.
  • the cut portion of the bar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manufacturing a suture formed barb by the method of cutting or cutting to form a blade cutter.
  •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u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ture formed by configur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oblique line.
  •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u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by including a surgical needle.
  • the suture has the appropriate flexibility and strength to connect or suture various injured areas of animal tissues such as skin, muscles, tendons, internal organs, bone tissue, nerves, blood vessels, etc. and surgical incisions, and the shape formed therewith
  • the sutu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oth biocompatibility with rigidity that is not deformed or cut off is a feature of the technical construction.
  • the suture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formed of a bioabsorbable polymer material or a non-absorbent material.
  • the bioabsorbable polymer material is l-lactide polymer, glycolic acid polymer, 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or their respective polymers and copolymers with caprolactone or trimethylene carbonate. ) Is a copolymer, or polydioxanone, or chitosan and derivatives thereof.
  • the non-absorbent material is silk, cotton, nylon, nylon, daflon, polyester, polypropylene, stainless steel. It is done.
  • the suture body is a cross-section of the sutu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le or a triangle, a squ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suture body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ture having a non-linear structure by forming a continuous bent radially relative to the central axis.
  • one embodiment of the fixed type barbed suture 100 includes a suture body 10, a barb 20, a fixing part 30, and a tip portion 40. As shown in FIG. 29, one embodiment of the fixed type barbed su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ture body 10, a barb 20, a fixing part 30, and a tip portion 40. As shown in FIG. 29, one embodiment of the fixed type barbed su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ture body 10, a barb 20, a fixing part 30, and a tip portion 40. As shown in FIG.
  • the fixed barbed suture 100 has a suitable flexibility and strength to connect or suture various injured parts of the animal tissues such as skin, muscle, tendons, internal organs, bone tissue, nerves, blood vessels, and the incision site according to the surgical procedure.
  • the formed shap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oth biocompatibility with stiffness not to be deformed or cut off.
  • the material of the fixed barbed suture 100 is a lactic acid polymer (L-lactide) polymer, a glycolic acid polymer, a 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or a bioabsorbable polymer material that is absorbed into a tissue after a certain time.
  • Copolymers between the respective polymers and copolymers and caprolactone or trimethylene carbonate, or polydioxanone, or chitosan and derivatives thereof may be used.
  • the furnace may be silk, cotton, nylon, nylon, dafilon, polyester, polypropylene, stainless steel, etc. It doesn't happen.
  • At least one fixing part 3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and the fixing part 30 surrounds the suture body 1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ture and has an intaglio structure or cross section.
  • the structure is formed in the form of a spiral band.
  • the role of the fixing portion 3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is to ensure that the suture inserted for the purpose of the suture, such that the suture is precisely fixed in the surgical portion to make a more secure suture.
  • Its working principle is that when the suture thread in which the fixation part 30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biological tissue is regenera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recess of the fixation part 30 by bioreaction and regeneration in general within at least several days to one month. They are engrafted or engrafted on the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30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form to form a capsule tissue and the like is a strong fixing of the spiral between the suture and the surrounding tissue.
  • the fixing of the helical structure between the suture and the suture surrounding tissue due to the spiral structure of the fixing portion 30 is a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physical frictional force against the sliding or movement of the suture in the tensile direction, the site or the suture is inserted or The torsional moment is applied to the surrounding tissue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tensile directio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sutured part.
  • Rotation of elongated objects (such as needles or sutures) inserted into biological tissues typically increases the resistance to movement in the tensile direction, suggesting several studies of the "Needle grasp" phenomenon (Helene M. Langevin, David L. Churchill, Junru Wu, Gary J. Badger, Jason A. Yandow, James R. Fox, and Martin H. Krag, Evidence of Connective Tissue Involvement in Acupuncture, The FASEB Journal, Published online April 10, 2002. It is widely known.
  • the fixed barbed suture 100 having the fastening portion 30 formed by the above principles has a firm fastening force without slippage or movement of the suture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ver time, which is a disadvantage of conventional barbed sutures. It can be maintained in the treatment area.
  • this fixation property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possibility of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rupture of the sutured area and enabling safer sutures, preventing the inserted suture from slipping back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raising the elevated tissue. It is a useful performance that is more demanding in a procedure such as tissue elevation by maintaining the fixation of.
  • the fixing portion 30 can be formed on the suture in a variety of ways.
  • the suture yarn in which the fixing portion 30 is formed in the spinning or extrusion molding step which is the manufacturing stage of the suture yarn, is manufactured or the conventional suture yarn in which the molding is completed is post-processed to form the fixing portion 30 on the suture yarn. It is possible.
  • the method of forming the fastening portion 30 in the spinning step of the suture yarn is a cross-section of the suture cross-section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the suture whole body generated by passing through the spinning frame in which the spinning hole of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3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suture yarn with the fixing portion 30 formed by winding along with the axial rotation about the central axis.
  • the method of forming the fastening portion 30 in the extrusion step of the suture yarn is by extruding by rotating the extrusion die formed with the molding hole of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3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olding hole 3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uture yarn formed.
  • a method of forming the fixing portion 30 by post-processing a conventional suture yarn in which molding is completed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suture yarn by continuously passing through a blade cutter or a laser cutter capable of cutting in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3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fixing portion 30 in the cutting step ) Can be manufactured by suturing one or both of the sutures or the cutting machine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and cutting the cutting process to form a spiral structure through cutting. .
  • the cutting process is performed without the rotation of the suture or cutting machine, and the suture yarn thus processed is axially rotated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to apply twist and fix it so as not to loose the twist.
  • the suture in which the portion 30 is formed similarly, similarly, the suture yarn is crimped by passing through a compression machine capable of thermal compression in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30, and the suture yarn is axially rotated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to apply twist and untwis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utur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30 is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be fixed.
  • a normal heat treatment method is possible.
  • This is a method of deforming to a desired shape by heat treatment to a desired shape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temperature condition nea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 below the melting point (T m ) of the polymer.
  • This method is capable of rearranging the polymer molecular chain in the vicinity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 and simultaneously aligning the polymer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 the polymer is heat-treated to a desired shape at a high temperature ab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 by a similar heat treatment method and then cooled and molded. This method uses recrystallization of the polymer.
  • the fixing portion 30 formed as described above encloses the suture body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as shown in FIGS. 1, 2, 3, and 4, and has an intaglio structure or cross section. Form a single spiral band of the structure.
  • the fixing part 30 surrounds the suture body 1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as shown in FIG. 5 and forms a plurality of spiral bands of the intaglio or cross-sectional structure.
  • the fixing portion 30 wraps the suture body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as shown in FIGS. Form one or more spiral bands.
  • the fixing part 30 wraps the suture body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and as shown in FIG. Form.
  • the shape of the intaglio structure or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constituting the fixing portion 30 is rectangular, trapezoidal, triangular as shown in FIGS. 10, 11, 12, 13 and 14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I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curved and straight lines.
  • Forming a plurality or densely secured portion 30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higher fixing force, forming a dotted portion fixing portion 30 can minimize the decrease in tensile strength of the suture yarn It works. Thus, these types of choices can be combined in any number of contextual requirements.
  • the fixing portion 30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30 sections in which the spiral bands have different rotation directions.
  • the fixing part 30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spiral angles 35 with respect to the suture longitudinal axis (A-A ') as necessary, and an angle range of 45 degrees or less for the fixing effect due to the torsional moment. It is preferable to have.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includes forming a plurality of barbs 20 as shown in the figure.
  • These barbs 20 are of a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unidirectional mobility to the sutures, and the sutures formed of the barbs 20 are suppressed from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serted by the role of these barbs 20 after insertion. There is.
  • the barb 20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 the surface of the suture may be formed of protruding protrusions, and as shown in FIG. 15, the cutout 25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ture.
  • the protrusion barb 2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r compression molding a suture resin in a mold capable of forming the barb 20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 a thermocompression on a portion of the suture that requires protrusion forma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ular pyramid, triangular pyramid, triangular prism, square pyramid, square pyramid, prismatic cylinder, cone, truncated cone, and cylinder depending on the shape or processing method of the mold.
  • the barb 20 formed by forming the incision 25 on the surface of the suture can be manufactured by cutting or cutting the suture with a blade cutter.
  • the barb 20 formed by such a cutting or cutting process has a cutting portion 25 having a straight cut portion 25 in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S. 15, 16, 17, and 18 according to various cutting methods and shapes of blades.
  • Barb with barb with
  • barb with curved incision 25 barb with angled linear incision 25
  • barb with angled curved incision 25 barb with combination incision 25 thereof. It is possible to configure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 the barbs 20 may be arranged in a linear arrang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by the shape and cutting method of the mold.
  • the protrusion barbs 2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compression molding using a mold having a shape in which the barbs 20 may be arranged in a linear arrangement, or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barbs 20 may be molded. It is possible to form by pressing the suture continuously through the pressing machine configured the pressing mold. In the case of the cut-out barb 20, the suture can be continuously formed by cutting or cutting through the blade cutter.
  • the barbs 20 are suture body 10 along the suture length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as shown in Figure 19, 20, 21 and 22 by the shape and cutting method of the mold.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m in a spiral array.
  • the protrusion barb 2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compression molding using a mold having a shape in which the barbs 20 may be arranged in a spiral arrangement, or the shape of the barbs 20 may be formed. It is possible to form by pressing the suture to the pressing machine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pass the axial rotation along the axis rotation relative to the center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 the suture or the cutting machine or both of them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shaf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ture cross section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cutting the suture through the blade cutter.
  • the barbs 20 may be ground to the plurality of barbs 20 at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radially 180 ° direction about the suture body 10 ( As shown in FIG. 24, the plurality of barbs 20 are ground on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ly 120 ° direction about the suture body 10 as shown in FIG. 24. As shown in FIG. 25, the plurality of barbs 20 are ground on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ly 90 ° direction about the suture body 10 as shown in FIG. 25. 26 and the plurality of barbs 20 are ground on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of 72 ° about the suture body 10 as shown in FIG. 26. It is possible to form in the shape of a). In the processing method for arranging and forming the barbs 20 in a spiral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mold by deformation of a mold shape or by changing simple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a cutting cycle, a rotation speed, and a rotation cycle.
  • the barbs 20 are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ture body 10, whether the barbs 20 are placed on the same line as shown in the above and as shown in FIG. Forming a shape is a preferred metho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strength reduction of the suture and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unidirectional movement.
  • the barbs 20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 the case of the barbs 20 arranged in the helical arrangement, FIG. It is more preferable for this purpose to arrange such that the spacing 60 between the barbs 20 is minimized when viewed on the same line as seen in 19.
  • the barbs 20 may be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fix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S. 27 and 28, and may be formed on different lines as shown in FIGS. 19 and 21. All is possible.
  • the barbs 20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looking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40 of the suture as shown in FIG. 29, and the same direction as the helical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 28. It can be configured to be arranged or arranged in a helical direction and a fixed angle (that is, a fixed angle relative to the suture longitudinal axis) of the fixing portion 30 can be configured.
  • the fixing effect of the sliding in the tensile direction may be further increased by applying a torsional moment to the tissue around the suture during insertion of the suture.
  • the barbs 20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iral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30 or fixed to the suture longitudinal axis A-A '. It is preferable to align at an angle within the spiral angle 35 of the part 30, and most preferably, have an angle of 45 degrees or less.
  • the barbs 20 may be arranged in sections of the barbs 20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s shown in FIG. 29 by the shape of the mold or the pressing and cutting method.
  • the suture body 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or may be formed in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 the suture body 1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elongate shape as shown in the conventional suture as shown in Figure 29, but as shown in Figures 31 and 32 continuous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bent portion to form a non-linear elongated structure. This can be processed using the heat treatment method described above.
  • One side tip portion 40 or both side tip portions 40 of the fixed barbed suture 100 may be configured with an oblique inclined surface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fixed barbed suture 100 as shown in FIG. 29. .
  •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rgical needle 50 as shown in Figure 30 for the same purpose, generally binding (Binding), bonding material (Bonding agent) using a hook or a hook formed on the needle
  • Binding bonding material
  • Bonding agent bonding material
  • the fixed barbed su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medical yarn capable of providing a number of advantages by supplementing various problems present in conventional sutures or conventional barbed sutures.
  •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fixed barbed suture useful for connecting or fixing animal tissues in various medical environmen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 barbed suture there is industrial applicability in the medical fie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동물 조직을 연결하거나 고정하는데 유용한 고착형 미늘 봉합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삽입 후 고착력을 극대화하여 유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진 고착형 미늘 봉합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늘과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나선형 띠로 형성된 고착부를 함께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매듭이 필요없고 봉합된 조직 및 주변 조직과 봉합사간의 고착력을 극대화하여 빠르고 강하게 고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착형 미늘 봉합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동물 조직을 연결하거나 고정하는데 유용한 고착형 미늘 봉합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삽입 후 고착력을 극대화하여 유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진 고착형 미늘 봉합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비흡수성 봉합사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생흡수성 봉합사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생흡수성 봉합사는 환자로부터 봉합사를 제거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봉합사는 그 사용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매듭을 형성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봉합사의 매듭은 다양한 매듭방법이 존재하고 또한 그 복잡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인 의사에게 많은 훈련이 요구되는 것이며, 또한 수술 중 봉합사의 매듭을 짓는 그 자체로 시간적 소요가 상당한 방법인 것이다. 이는 경우에 따라, 심장수술 등과 같은 많은 봉합 및 매듭이 필요한 수술에서는 성공적 수술과 빠른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인의 하나인 수술시간 및 개복시간의 최소화를 도모하기에는 그 한계점이 있었다. 더욱이 매듭은 파손과 미끄러짐 또는 풀림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봉합의 파괴가 발생될 수 있고, 또한 미용적으로는 외부 흉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봉합사의 필요성을 대두시켜 왔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미늘 봉합사(barbed suture)는 그 사상의 개시 이후 많은 발전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어 있으며, 통상의 매듭이 필요한 봉합사에 있어서 상기 상술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 미늘 봉합사는 본체 길이를 따라 본체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된 미늘을 형성한 것으로써, 형성된 미늘의 구조와 작용에 의하여 미늘 봉합사는 단방향 이동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즉,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는 미늘의 구조로 인하여, 미늘 봉합사는 조직을 통해 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속성으로 인하여 미늘 봉합사는 통상적인 봉합사와는 달리 매듭 없는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지닌 미늘 봉합사의 기본적인 사상과 설계는 1950년대 중반 알카모(J. H. Alcamo)의 미국 특허 3,123,077호에서 개시된다. 해당 종래의 기술은 단방향 이동성(즉, 한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할 수 있지만,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억제하는)을 갖게 되는 인체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코드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는 미늘 봉합사의 기본적인 속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몸체에 대해 예각으로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급격한 선단부의 탄성 미늘 및 본체를 갖는 신장된 코드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봉합사의 매듭의 필요성은 제거하였으나 앵커부가 없으므로 이동 가능한 일측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통상의 루프(loop)를 형성하거나 시누소이달(sinusoidal)형태의 봉합을 형성하는 봉합법 자체에 대한 간소화에는 그 한계를 지니고 있는 구조이다.
윤인배(InBae Yoon)의 미국 특허 5,053,047호에서는 한쪽 끝에 구형의 앵커를 포함한 생분해성 미늘 봉합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는 연속 봉합법과 같은 통상적으로 루프를 형성하거나 시누소이달형태의 봉합을 형성하지 않고도 봉합사의 단순히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봉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봉합사의 앵커부에 의한 일측 말단부가 앵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봉합사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앵커된 봉합사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은 미관상의 단점을 포함하여 봉합부의 관리 어려움, 봉합부 파손, 출혈, 염증, 감염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미국 특허 5,374,268호에서는 봉합사의 양측 선단부에 돌출된 미늘들이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양방향 배열로 배치된 생분해성 재질의 앵커부를 포한한 수술도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미국특허 제5,931,855호에서는 미늘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서 전체 길이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의 미늘들이 서로 마주 보게끔 형성된 양방향 배열의 미늘 봉합사를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5105호(국제공보 WO 2005/096956호로 공개)에서는 미늘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서 중앙 부위는 미늘이 형성되지 않은 클리어부분을 포함하고 나머지 양측에 형성된 미늘들은 클리어존을 향하여 서로 마주 보게끔 형성된 양방향 배열의 미늘 봉합사를 기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각각의 양측 선단부가 각기 환부 다른 지점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이에 따라 통상의 봉합법 또는 단순한 봉합법에 의하여 봉합이 가능하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5105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술방법에 따라서는 봉합사의 중앙부가 일측 봉합부에서 앵커링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조직 거상과 같은 성형시술용으로써의 유효한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환부의 봉합시, 봉합사의 구조와 봉합법으로 인한 봉합부 및 추가적 2차 환부가 넓게 발생되고 조직 거상과 같은 성형 수술시에도 각기 다른 2개의 바늘이 조직을 관통하므로 수술에 따른 환부가 추가적으로 넓게 발생되는 한계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미늘 봉합사는 미늘이 형성에 있어서, 봉합사의 몸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만들거나 또는 봉합사의 몸체를 깎아서 형성한 것들이며, 모두 조직을 통해 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되는 미늘의 기본적인 설계 및 구조에 충실한 것들이다. 그러나 이들 미늘 봉합사는 미늘 봉합사의 기본 특성으로 인하여 조직에 삽입 후에 여전히 한 방향으로의 미끄러짐 특성은 여전히 보유하고 있으며, 보다 이상적인 봉합사로써 조직에 삽입 후 양쪽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는 고정형 봉합사의 구조는 아닌 것이다.
이에 대한 개량의 일환으로 국제공보 WO 2006/061868호에서는 서로 마주보게끔 양방향으로 형성된 미늘 세그먼트들이 배열된 고정형 미늘 봉합사에 대해서 공개되었다. 이는 봉합사의 삽입 이후 봉합사의 양쪽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는 고정형 봉합사로서의 성능은 유효할 수 있겠으나, 봉합사를 조직으로 삽입시에 매끄럽게 삽입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서 봉합부의 정확한 봉합 지점에 대한 봉합성능 자체가 문제점을 가진 구조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3179호에는 심선과 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선되어있는 미끄럼 방지용 외선을 포함하여 구성한 수술용 봉합사가 공개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37481호에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인 나선 돌기를 형성하고 일측 돌기 구간은 외향플랜지 형태인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 의료용 봉합사가 공개되었다. 상기 두개의 종래 기술은 봉합사를 조직으로 삽입함에 있어서,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봉합사의 삽입 이후 조직의 재생과정으로 인하여 봉합사에 형성된 나선형 요철 부분으로 섬유 조직이 생장 및 생착하여 들어가므로 조직의 고정 효과를 보다 단단히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섬유 조직의 생장 및 생착에 따른 고정효과를 이루기 전까지, 즉 봉합사의 조직 삽입 직후에는 조밀한 조직을 물리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된 미늘등의 고정부 요소가 부재함에 따라서 의도한 목적인 조직 고정효과 자체가 미비할 수 있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종래 기존의 미늘 봉합사를 포함한 돌기가 형성된 봉합사들은 봉합사의 고정력이 특별히 요구되는 안면부 거상술과 같은 조직 거상술상에 적용함에 있어서, 조직을 거상하기에 적합한 미늘의 부재로 인하여 거상효과가 미비하거나 또는, 조직의 거상이 가능한 미늘이 존재하여 조직 거상이 가능하더라도 거상된 위치에서의 봉합사와 거상된 조직 및 주변 조직간의 결합이 약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중력과 근육의 움직임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삽입한 봉합사 자체가 거상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다시 미끄러지고 거상한 조직이 초기의 위치로 다시 내려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는 기존의 미늘 봉합사, 즉 단방향으로는 수월한 이동성을 가진 봉합사들이 가지는 원론적인 문제점일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을 보완하기 위하여 삽입부의 봉합사 말단부 또는 봉합사의 어느 일부를 조직과 묶어서 앵커링하는 등의 보다 복잡한 방법의 수술을 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흉터 발생, 염증, 감염등의 부작용 위험이 증가됨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늘과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나선형 띠로 형성된 고착부를 함께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매듭이 필요없고 봉합된 조직 및 주변 조직과 봉합사간의 고착력을 향상시켜 유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 미늘, 고착부 및 선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를 기술적 해결방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나선형 띠로 형성된다.
상기 미늘은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다수개로 형성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는 실선 형태의 나선형 띠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점선 형태의 나선형 띠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의 나선형 띠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는 동일하지 않은 피치로 형성함이 가능하고, 다수개로 형성함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갖도록 형성함이 가능하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는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경사각의 나선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의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각은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나선각으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상기 고착부를 이루는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형상은 사각형, 사다리꼴형, 삼각형, 곡선형, 직선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상기 고착부는 고착부 형상의 방사홀이 형성된 방사틀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봉합사 전신체를 섬유상으로 고화시키는 과정에서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킴과 함께 권취하여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고착부 형상의 성형홀이 형성된 압출 금형을 성형홀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키며 압출함으로써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블레이드(Blade)절삭기 또는 레이저(Laser) 절삭기로 절삭 가공하여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블레이드(Blade)절삭기 또는 레이저(Laser) 절삭기로 절삭 가공하고 가공된 봉합사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켜 꼬임을 가하고 꼬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블레이드(Blade)절삭기 또는 레이저(Laser) 절삭기로 절삭 가공과 함께 봉합사 또는 절삭기 중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켜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압착기 또는 열압착기로 압착 가공하고 가공된 봉합사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켜 꼬임을 가하고 꼬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단방향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미늘은 봉합사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봉합사의 표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늘은 삼각뿔, 삼각뿔대, 삼각기둥, 사각뿔, 사각뿔대, 각기둥, 원뿔, 원뿔대,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미늘은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직선형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곡선형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꺾인 선형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꺾인 곡선형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늘은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직선형, 곡선형, 꺾인 선형, 꺾인 곡선형의 조합형을 이루는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몸체의 일측 또는 양측 외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 배열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나선형 배열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직선형 배열로 배치한 미늘들은 미늘간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8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01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2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02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9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03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72°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04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늘들은 미늘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보았을 때 서로 겹침이 없도록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05
)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미늘들은 미늘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보았을 때 미늘간 간격이 없도록 배치된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상기 고착부와 동일선 상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고착부와 각기 다른 선 상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의 선단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고착부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고착부의 나선각 이내의 각도로 정렬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각도로 정렬하여 형성한다.
상기 미늘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미늘 구간들로 배치하여 형성함이 가능하다.
상기 미늘의 돌기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돌기는 열압착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돌기는 압착틀이 구성된 압착기에 봉합사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과 함께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압착 성형하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절개부는 블레이드 절삭기로 절삭 또는 절개하여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절개부는 블레이드 절삭기에 봉합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절삭 가공하는 과정에서 봉합사 또는 절삭기 아니면 이들 모두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과 함께 절삭 또는 절개하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합사의 일측 선단부 또는 양측 선단부는 사선의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과용 바늘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기에 적절한 유연성 및 강도를 갖추며, 이와 더불어 형성된 형상이 변형 또는 절선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과 함께 생체적합성을 모두 갖춘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봉합사는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 또는 비흡수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인 것들이 가능하고, 상기 비흡수성 재질은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인 것들이 가능하다.
상기 봉합사 몸체의 단면은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상기 봉합사 몸체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착형 미늘 봉합사에 의하면,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늘과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나선형 띠로 형성된 고착부를 함께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매듭이 필요없고 봉합된 조직 및 주변 조직과 봉합사간의 고정력을 극대화하여 빠르고 강하게 고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봉합사가 삽입된 부위 또는 봉합된 부위의 움직임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인장방향의 외력에 의해서도 봉합 주변 조직으로 비틀림모멘트를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봉합사가 삽입된 부위 또는 봉합된 부위의 움직임등에 대해서도 강한 고착효과로 봉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봉합사와 봉합된 조직 및 주변 조직간의 강한 고착력으로 인하여 봉합된 부위의 파열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추고 보다 안전한 봉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봉합사의 고정력이 특별히 요구되는 조직 거상술의 적용에 있어서도 강한 고착력에 의하여 삽입된 봉합사가 거상한 역방향으로 다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거상된 조직의 고정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각 홈 구조의 단일한 나선형 띠로 고착부가 형성되고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각 홈 구조의 단일한 나선형 띠로 고착부가 형성되고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입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면 구조의 단일한 나선형 띠로 고착부가 형성되고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면 구조의 단일한 나선형 띠로 고착부가 형성되고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입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가 복수 개의 나선형 띠로 형성되고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가 점선 형태의 나선형 띠로 형성되고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가 점선 형태의 나선형 띠로 형성되고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가 점선 형태의 나선형 띠로 복수 개 형성되고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가 동일하지 않은 피치의 나선형 띠로 형성되고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각형의 음각구조 형태로 형성된 고착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다리꼴형의 음각구조 형태로 형성된 고착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삼각형의 음각구조 형태로 형성된 고착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곡선형의 단면구조 형태로 형성된 고착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직선형의 단면구조 형태로 형성된 고착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절개부의 단면 구조가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절개형 미늘들이 고착부와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절개부의 단면 구조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절개형 미늘들이 고착부와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절개부의 단면 구조가 꺾인 선형으로 이루어진 절개형 미늘들이 고착부와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일측면 상에 절개부의 단면 구조가 꺾인 선형과 곡선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절개형 미늘들이 고착부와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와 돌기형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를 감싸며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와 돌기형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를 감싸며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입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와 절개형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를 감싸며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와 절개형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를 감싸며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입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18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됨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12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됨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9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됨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늘들이 봉합사 몸체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72°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됨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미늘들이 봉합사 선단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착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미늘들이 고착부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사의 일정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미늘들이 고착부와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선단부에 외과용 바늘이 함께 구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사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세장형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입체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합사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세장형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은, 봉합사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 미늘, 고착부 및 선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착형 미늘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나선형 띠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가 실선 형태 또는 점선 형태의 나선형 띠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가 실선 형태 또는 점선 형태의 혼합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가 동일하지 않은 피치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가 다수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가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가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경사각의 나선각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각이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의 나선각이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나선각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를 이루는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형상이 사각형, 사다리꼴형, 삼각형, 곡선형, 직선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착부는 고착부 형상의 방사홀이 형성된 방사틀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봉합사 전신체를 섬유상으로 고화시키는 과정에서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킴과 함께 권취하여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고착부 형상의 성형홀이 형성된 압출 금형을 성형홀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키며 압출함으로써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블레이드(Blade)절삭기 또는 레이저(Laser) 절삭기로 절삭 가공하여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블레이드(Blade)절삭기 또는 레이저(Laser) 절삭기로 절삭 가공하고 가공된 봉합사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켜 꼬임을 가하고 꼬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블레이드(Blade)절삭기 또는 레이저(Laser) 절삭기로 절삭 가공과 함께 봉합사 또는 절삭기 중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켜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착부는 압착기 또는 열압착기로 압착 가공하고 가공된 봉합사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켜 꼬임을 가하고 꼬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착부가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다수의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단방향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봉합사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봉합사의 표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삼각뿔, 삼각뿔대, 삼각기둥, 사각뿔, 사각뿔대, 각기둥, 원뿔, 원뿔대,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직선형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곡선형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꺾인 선형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꺾인 곡선형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은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직선형, 곡선형, 꺾인 선형, 꺾인 곡선형의 조합형을 이루는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몸체의 일측 또는 양측 외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 배열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형 배열로 배치한 미늘들은 미늘간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나선형 배열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8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06
)자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2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07
)자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9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08
)자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72°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09
)자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미늘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보았을 때 서로 겹침이 없도록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10
)자형으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미늘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보았을 때 미늘간 간격이 없도록 배치된 구조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상기 고착부와 동일선 상에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상기 고착부와 각기 다른 선 상에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의 선단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고착부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고착부의 나선각 이내의 각도로 정렬하여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각도로 정렬하여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미늘 구간들로 배치하여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돌기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돌기는 열압착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돌기는 압착틀이 구성된 압착기에 봉합사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과 함께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압착 성형하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절개부는 블레이드 절삭기로 절삭 또는 절개하여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절개부는 블레이드 절삭기에 봉합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절삭 가공하는 과정에서 봉합사 또는 절삭기 아니면 이들 모두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과 함께 절삭 또는 절개하는 방법으로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합사의 일측 선단부 또는 양측 선단부는 사선의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합사의 일측 선단부 또는 양측 선단부는 외과용 바늘을 포함하여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기에 적절한 유연성 및 강도를 갖추며, 이와 더불어 형성된 형상이 변형 또는 절선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과 함께 생체적합성을 모두 갖춘 재질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합사는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 또는 비흡수성 재질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흡수성 재질은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합사 몸체의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합사 몸체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구조를 가지는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착형 미늘 봉합사(100)의 일실시예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 미늘(20), 고착부(30) 및 선단부(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착형 미늘 봉합사(100)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기에 적절한 유연성 및 강도를 갖추며, 이와 더불어 형성된 형상이 변형 또는 절선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과 함께 생체적합성을 모두 갖춘 재질로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고착형 미늘 봉합사(100)의 재질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조직내로 흡수되는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인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흡수성 재질로는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 상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부(30)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고착부(30)는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10)를 감싸며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가 나선형 띠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착부(30)의 역할은 봉합등의 목적으로 삽입된 봉합사가 시술부에서의 정확히 고착되어 보다 안전한 봉합이 이루어지게끔 하는 것이다. 이의 작용 원리는 상기 고착부(30)가 형성된 봉합사를 체내 삽입하면, 일반적으로 적어도 수일에서 1개월 이내에 생체반응 및 재생작용에 의하여 생체 조직이 고착부(30)의 음각으로 형성된 홈의 내부로 재생되어 생착되거나 또는, 단면형태로 형성된 고착부(30)의 표면에 생착되어 캡슐조직등을 형성하므로 봉합사와 주변 조직간 나선형의 강력한 고정이 가능하게 됨에 있다. 또한, 이러한 고착부(30)의 나선 형상의 구조에 기인한 봉합사와 봉합 주변 조직간의 나선형 구조의 고정은 인장방향으로 봉합사의 미끄러짐 또는 이동에 대해서 물리적 마찰력을 높이는 구조이며, 봉합사가 삽입된 부위 또는 봉합된 부위의 움직임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인장방향의 외력에 의해서도 봉합 주변 조직으로 비틀림모멘트를 가하는 구조인 것이다. 통상적으로 생체 조직내에 삽입된 세장형 물체(일례로 바늘이나 봉합사 같은 물체)의 회전은 인장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Needle grasp" 현상 등에 대한 여러 연구들(Helene M. Langevin, David L. Churchill, Junru Wu, Gary J. Badger, Jason A. Yandow, James R. Fox, and Martin H. Krag, Evidence of Connective Tissue Involvement in Acupuncture, The FASEB Journal, Published online April 10, 2002.)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원리들에 의하여 고착부(30)가 형성된 고착형 미늘 봉합사(100)는 통상의 미늘 봉합사들이 가지는 단점인 시간 경과에 따른 삽입 방향쪽으로 봉합사의 미끄러짐이나 이동 현상이 없이 견고한 고착력을 해당 시술부위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고착 특성은 봉합된 부위의 파열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추고 보다 안전한 봉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삽입된 봉합사가 거상한 역방향으로 다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거상된 조직의 고정을 유지하게 함으로 조직 거상술과 같은 시술에서 더욱 요구되는 유용한 성능이다.
이러한 상기 고착부(30)는 다양한 방법으로 봉합사 상에 형성함이 가능하다. 예컨대, 봉합사 원사의 제조 단계인 방사 또는 압출 성형 단계에서 고착부(30)가 형성된 봉합사 원사를 제조하거나 또는 성형이 완료된 통상의 봉합사 원사를 후가공하여 고착부(30)를 봉합사 상에 형성함이 모두 가능하다.
더욱 상세히, 봉합사 원사의 방사 단계에서 고착부(30)를 성형하는 방법은 고착부(30) 형상의 방사홀이 형성된 방사틀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봉합사 전신체를 섬유상으로 고화시키는 과정에서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킴과 함께 권취하여 고착부(30)가 형성된 봉합사 원사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봉합사 원사의 압출 단계에서 고착부(30)를 성형하는 방법은 고착부(30) 형상의 성형홀이 형성된 압출 금형을 성형홀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키며 압출함으로써 고착부(30)가 형성된 봉합사 원사의 제조가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 성형이 완료된 통상의 봉합사 원사를 후가공하여 고착부(30)를 형성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는 봉합사 원사를 고착부(30)의 형상으로 절삭이 가능한 블레이드(Blade)절삭기 또는 레이저(Laser) 절삭기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제조가 가능하며, 상기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절삭 가공 단계에서 고착부(30)가 절삭 가공을 통한 나선형 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봉합사 또는 절삭기 중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킴과 함께 절삭 가공하여 고착부(30)가 형성된 봉합사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는, 상기의 절삭 가공을 포함한 제조 과정에서 봉합사 또는 절삭기의 축회전없이 절삭 가공하고 이렇게 가공된 봉합사 원사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켜 꼬임을 가하고 꼬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착부(30)가 형성된 봉합사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봉합사 원사를 고착부(30)의 형상으로 열압착이 가능한 압착기를 통과하여 압착 가공하고 이렇게 가공된 봉합사 원사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시켜 꼬임을 가하고 꼬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착부(30)가 형성된 봉합사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의 꼬임에 대한 고정 방법으로는 통상의 열처리 방법이 가능하다. 이는 고분자의 녹는점(Tm) 이하 유리전이온도(Tg) 부근의 온도 조건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일정 시간 열처리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유리전이온도(Tg) 부근에서 고분자 분자사슬의 재배열이 가능하며, 동시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고분자의 배향이 가능함을 이용한 방법이다. 또한, 유사한 열처리 방식으로 고분자를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고온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일정 시간 열처리한 후 냉각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 이는 고분자의 재결정화를 이용한 방법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고착부(3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봉합사 몸체(10)를 감싸며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단일한 나선형 띠를 형성한다. 또는, 고착부(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봉합사 몸체(10)를 감싸며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나선형 띠를 다수개 형성한다. 또는, 고착부(30)는 도 6,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봉합사 몸체(10)를 감싸며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인 점선 형태의 나선형 띠를 한 개 또는 다수개 형성한다. 또는, 고착부(3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봉합사 몸체(10)를 감싸며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나선형 띠를 동일하지 않은 피치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착부(30)를 이루는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형상은 상기에서 기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서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 사다리꼴형, 삼각형, 곡선형, 직선형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함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고착부(30)를 복수 개 또는 조밀하게 형성함은 보다 높은 고착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점선 형태의 고착부(30)를 형성함은 봉합사 원사의 인장 강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태의 선택들은 상황별 요구 조건에 따라서 얼마든지 조합하여 선택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제조방법들에 의하여 상기 고착부(30)는 나선형 띠가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갖는 고착부(30) 구간들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착부(30)는 필요에 의하여 봉합사 종축(A-A')에 대하여 다양한 나선각(35)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비틀림모멘트에 의한 고착 효과를 위하여 45도 이하의 각도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미늘(20)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미늘(20)은 봉합사에게 단방향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것으로써, 미늘(20)이 구성된 봉합사는 삽입 후 이들 미늘(20)의 역할에 의하여 삽입된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미늘(20)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의 표면에 절개부(25)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미늘(20)의 형성함에는 다양한 제조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의 돌기형 미늘(20)의 경우 해당 형상의 미늘(20)을 형성할 수 있는 금형에 봉합사 수지를 사출 성형하거나 압축 성형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돌기 형성이 필요한 봉합사의 일부분에 열압착을 가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돌기형 미늘(20)은 금형의 형상 또는 가공 방법에 따라서 삼각뿔, 삼각뿔대, 삼각기둥, 사각뿔, 사각뿔대, 각기둥, 원뿔, 원뿔대,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함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봉합사의 표면에 절개부(25)를 형성하여 구성된 미늘(20)의 경우 블레이드 절삭기로 봉합사를 절삭 또는 절개 가공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절삭 또는 절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미늘(20)은 다양한 절삭 방법 및 블레이드의 형상에 따라 도 15, 도 16,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개부(25)가 단면상으로 직선형 절개부(25)를 갖는 미늘, 곡선형 절개부(25)를 갖는 미늘, 꺾인 선형 절개부(25)를 갖는 미늘, 꺾인 곡선형 절개부(25)를 갖는 미늘 또는 이들의 조합형 절개부(25)를 갖는 미늘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늘(20)들은 금형의 형상 및 절삭 방법에 의하여 도 1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의 일측 외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형 배열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돌기형 미늘(20)의 경우 직선형 배열의 미늘(20) 배치가 가능한 형상의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 또는 압축성형하는 방법으로 형성함이 가능하며, 또는 미늘(20) 성형이 가능한 형상의 압착틀이 구성된 압착기에 봉합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압착 성형함으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절개형 미늘(20)의 경우 봉합사를 블레이드 절삭기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절삭 또는 절개 가공하여 형성함이 가능하다.
덧붙여, 상기 미늘(20)들은 금형의 형상 및 절삭 방법에 의하여 도 19, 도 20,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10)를 감싸는 나선형 배열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돌기형 미늘(20)의 경우 나선형 배열의 미늘(20) 배치가 가능한 형상의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 또는 압축성형하는 방법으로 형성함이 가능하며, 또는 미늘(20) 성형이 가능한 형상의 압착틀이 구성된 압착기에 봉합사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과 함께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압착 성형함으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절개형 미늘(20)의 경우 블레이드 절삭기에 봉합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절삭 가공하는 과정에서 봉합사 또는 절삭기 아니면 이들 모두를 봉합사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회전과 함께 절삭 가공함으로써 형성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늘(20)들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8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20)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11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과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2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20)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12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90°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20)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13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과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72°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20)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14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이는 상기 미늘(20)들을 나선형 배열로 배치 및 형성시키는 가공 방법에서 금형 형상의 변형이나 절삭 주기, 회전속도, 회전 주기등의 단순한 가공 조건 변경에 의해서 가공함이 가능하다.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미늘(20)들을 배치함에 있어서, 상기의 상술과 도 1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늘(20)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보았을 때 서로 겹침이 없도록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15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봉합사의 강도 저하 방지와 단방향 이동에 대한 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 바람직한 방법이다. 덧붙여, 상기 직선 배열로 배치한 미늘(20)들의 경우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늘(20)간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나선형 배열로 배치한 미늘(20)들의 경우에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늘(20)간 간격(60)이 동일선상에 놓고 보았을 때 최소화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미늘(20)들은 도 27 및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착부(30)와 동일선 상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9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기 다른 선 상에 형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미늘(20)들은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의 선단부(4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착부(30)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고착부(30)의 나선방향과 일정 각(즉,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일정 각)으로 정렬하여 구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고착부(30)의 나선방향과 일정 각으로 정렬하여 구성한 미늘(20)의 경우 봉합사의 삽입 과정에서 봉합 주변 조직에 비틀림모멘트를 가하여 인장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한 고정 효과가 더욱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인장 반향으로 작용되는 외력에 의하여 미늘이 꺾어져 그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고착부(30)의 나선방향과 임의의 각으로 정렬하여 구성한 미늘(20)의 경우 고착부(30)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구성하거나 봉합사 종축(A-A')에 대하여 고착부(30)의 나선각(35) 이내의 각도로 정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의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늘(20)들은 금형의 형상 또는 압착 및 절삭 방법에 의하여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미늘(20) 구간들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봉합사 몸체(10)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이외에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봉합사 몸체(10)는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봉합사의 형상처럼 직선형의 세장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31 및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세장형 구조로 형성함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에서 상술한 열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공함이 가능하다.
상기 고착형 미늘 봉합사(100)의 일측 선단부(40) 또는 양측 선단부(40)는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착형 미늘 봉합사(1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사선의 경사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목적으로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과용 바늘(5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바늘에 형성된 고리나 걸림턱을 활용한 묶음(Binding), 본딩재(Bonding agent)를 이용한 접합, 바늘의 말단에 형성된 튜브(Tube)를 이용한 압착(Compression), 스웨이징(swaging), 포밍(Forming) 또는 래핑(wrapping)등의 부착 방법 및 원리는 당업자들이라면 쉽게 이해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고착형 미늘 봉합사(100)는 통상의 봉합사 또는 종래의 미늘 봉합사들에서 존재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용 실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동물 조직을 연결하거나 고정하는데 유용한 고착형 미늘 봉합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체조직 삽입 후, 고착력을 극대화하여 유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구조를 가진 고착형 미늘 봉합사로서 의료분야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32)

  1. 봉합사 몸체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미늘과,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봉합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음각구조 또는 평면구조의 나선형 띠로 형성된 고착부 및 봉합사 선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는 나선형 띠가 실선 형태 또는 점선 형태의 나선형 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는 나선형 띠가 실선 형태 및 점선 형태의 혼합 나선형 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는 나선형 띠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는 동일하지 않은 피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는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나선형 띠는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진 나선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나선각은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나선각은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들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의 음각구조 또는 단면구조의 형상이 사각형, 사다리꼴형, 삼각형, 곡선형, 직선형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다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봉합사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봉합사의 표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직선형, 곡선형, 꺾인 선형, 꺾인 곡선형 중에 하나의 형태인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절개부가 단면상으로 직선형, 곡선형, 꺾인 선형, 꺾인 곡선형의 조합형을 이루는 절개부를 갖는 미늘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봉합사 몸체의 일측 또는 양측 외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 배열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봉합사 몸체 외주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나선형배열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봉합사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180°, 120°, 90°, 7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미늘들을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16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미늘들을 동일선상에 놓고 보았을 때 서로 겹침과 미늘간 간격이 없도록 갈지(
    Figure PCTKR2014008868-appb-I000017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상기 고착부와 동일선 상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상기 고착부와 각기 다른 선 상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봉합사의 선단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고착부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봉합사 종축에 대하여 고착부의 나선각 이내의 각도로 정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미늘 구간들로 배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일측 선단부 또는 양측 선단부는 사선의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일측 선단부 또는 양측 선단부는 외과용 바늘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 또는 비흡수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재질은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3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3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몸체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비직선형의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PCT/KR2014/008868 2013-09-27 2014-09-24 고착형 미늘 봉합사 WO20150468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537A KR101432497B1 (ko) 2013-09-27 2013-09-27 고착형 미늘 봉합사
KR10-2013-0115537 2013-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6865A1 true WO2015046865A1 (ko) 2015-04-02

Family

ID=5175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868 WO2015046865A1 (ko) 2013-09-27 2014-09-24 고착형 미늘 봉합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2497B1 (ko)
WO (1) WO201504686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6408A (zh) * 2018-07-04 2018-11-20 于云龙 一种用于埋线提拉的锯齿缝合线(带刺)及其制作方法
CN109561954A (zh) * 2016-07-08 2019-04-02 (株)东方医疗 提拉用缝合线及其制造方法
CN111700708A (zh) * 2020-06-29 2020-09-25 杭州爱普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双排凹槽锯齿线
CN113455808A (zh) * 2020-03-30 2021-10-01 金诺机械医疗有限公司 提拉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020B1 (ko) * 2015-05-15 2016-12-21 (주)리젠바이오참 의료용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0743B1 (ko) * 2015-05-15 2016-11-29 (주)리젠바이오참 의료용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AU2018346453A1 (en) * 2017-10-06 2020-04-16 Thread & Lift Surgical thread
KR102122764B1 (ko) * 2017-12-28 2020-06-15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US11583271B2 (en) 2017-12-28 2023-02-21 Medi Futures Co., Ltd. Medical thread based on ultrasonic production
KR102016834B1 (ko) * 2018-01-10 2019-08-30 이수봉 풀림방지 신발끈 및 그 제조방법
WO2023000210A1 (zh) * 2021-07-21 2023-01-26 台北科技大学 具改良性质的外科手术缝线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6902A (ja) * 2002-09-30 2006-07-13 クイル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科用針と結合させたバーブ付き縫合糸
US20080255611A1 (en) * 2007-04-13 2008-10-16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Self-retaining systems for surgical procedures
KR20090007421A (ko) * 2008-11-11 2009-01-16 마렌 안드레비치 술라마니즈 외과용 봉합도구 및 그 적용방법
JP2009066421A (ja) * 2007-09-17 2009-04-02 Tyco Healthcare Group Lp 縫合糸上にとげを形成する方法
KR20110102726A (ko) * 2010-03-11 2011-09-19 이희영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KR101237481B1 (ko) * 2012-08-30 2013-02-26 백우인 나선돌기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KR101273792B1 (ko) * 2012-10-16 2013-06-11 박민재 생체 삽입용 부재 및 이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
KR200468362Y1 (ko) * 2013-05-13 2013-08-09 강승훈 의료용 봉합사 및 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0940B2 (en) * 2002-09-30 2012-01-24 Quill Medical, Inc. Barb configurations for barbed suture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6902A (ja) * 2002-09-30 2006-07-13 クイル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科用針と結合させたバーブ付き縫合糸
US20080255611A1 (en) * 2007-04-13 2008-10-16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Self-retaining systems for surgical procedures
JP2009066421A (ja) * 2007-09-17 2009-04-02 Tyco Healthcare Group Lp 縫合糸上にとげを形成する方法
KR20090007421A (ko) * 2008-11-11 2009-01-16 마렌 안드레비치 술라마니즈 외과용 봉합도구 및 그 적용방법
KR20110102726A (ko) * 2010-03-11 2011-09-19 이희영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KR101237481B1 (ko) * 2012-08-30 2013-02-26 백우인 나선돌기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KR101273792B1 (ko) * 2012-10-16 2013-06-11 박민재 생체 삽입용 부재 및 이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
KR200468362Y1 (ko) * 2013-05-13 2013-08-09 강승훈 의료용 봉합사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1954A (zh) * 2016-07-08 2019-04-02 (株)东方医疗 提拉用缝合线及其制造方法
CN108836408A (zh) * 2018-07-04 2018-11-20 于云龙 一种用于埋线提拉的锯齿缝合线(带刺)及其制作方法
CN113455808A (zh) * 2020-03-30 2021-10-01 金诺机械医疗有限公司 提拉线
CN113455808B (zh) * 2020-03-30 2024-03-29 金诺机械医疗有限公司 提拉线
CN111700708A (zh) * 2020-06-29 2020-09-25 杭州爱普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双排凹槽锯齿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497B1 (ko)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46865A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WO2013109072A1 (ko) 수술용 도구, 이를 위한 수술용 메쉬와 수술용 견인수단, 이를 이용한 수술 방법
CN107106153A (zh) 左心耳封堵器
WO2014035176A2 (ko) 체내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시경 장치
FI107124B (fi) Kirurginen ommellanka
WO2017101232A1 (zh) 人工心脏瓣膜支架、人工心脏瓣膜及植入方法
CA2273875C (en) Captured-loop knotless suture anchor assembly
EP1082941B1 (en) Tissue repair device
WO2018169128A1 (ko) 상악동 천자 장비
WO2011052939A2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및 싱글 포트 수술용 어댑터
WO2022045491A1 (ko) 전립선비대증 시술장치
US9381007B2 (en) Tissue retrac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14196746A1 (ko) 3중 가변형 내시경하 점막하층 스마트 속시술기구
OA10105A (en) A circumcision clamp
WO2017086605A1 (ko) 이중 구조 스텐트
WO2014123359A2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WO2020213793A1 (ko) 외과 상처 봉합용 밴드
WO2016085228A1 (ko)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WO2019132164A1 (ko) 초음파 제작 기반의 의료용 실
WO2019098446A1 (ko) 내시경용 클립장치
WO2021225374A1 (ko)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WO2020032334A1 (ko) 창자 바인드를 위한 밴드 조임 장치
CN112190383A (zh) 一种桡骨远端骨折牵开复位固定器及其应用
WO2017142236A1 (ko) 양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WO2022225143A1 (ko)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475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475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