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46931A1 - 광학용 고투명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고투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46931A1
WO2019146931A1 PCT/KR2019/000207 KR2019000207W WO2019146931A1 WO 2019146931 A1 WO2019146931 A1 WO 2019146931A1 KR 2019000207 W KR2019000207 W KR 2019000207W WO 2019146931 A1 WO2019146931 A1 WO 20191469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m
particles
present
less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02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창주
임성식
이규석
홍성희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80010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655768B/zh
Priority to US16/964,637 priority patent/US11713379B2/en
Priority to JP2020540441A priority patent/JP7095211B2/ja
Publication of WO20191469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469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6Filters comprising particles embedded in a solid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4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4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which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excellent in windability through particles having low haze and visually insensitive particles, .
  • a polyester film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is generally used as a general-purpose polymer, and is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reflection plate, a diffusion plate, and a prism sheet.
  • Such a PET film has goo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transparency, and is convenient for processing.
  • the PET film is formed by a single material, there is no roughness and winding is difficult due to deterioration in running performanc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polyester films used for liquid crystal displays, and as a result, they have improved windability and transparency at the same time by reducing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film and the particle components.
  • an optical high transparency film comprising particles,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article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base component is 0.1 or less, and the ratio of the long diameter / short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1.0 to 1.5 or less.
  • the film base component i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 the part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barium sulfate (BaSO 4), calcium carbonate (CaCO 3), polystyrene.
  • the particles have a long diameter of from 0.5 mu m to 3 mu m.
  •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s 0.0005 to 0.00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 the film has a two-dimensional surface roughness (Ra) of 4 nm or more and a haze of 1.5% or less.
  • the present invention has effects such as stable particle shape even after film formation.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polymer is used to refer to a polymer formed by copolymerization of two or more monomers. Such copolymers include binary copolymers, terpolymers, or higher order copolymers.
  • the high 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is a high 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comprising particles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article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base component is not more than 0.1 and the ratio of the long diameter to the short diameter of the particle is 1.0 to 1.5 . At this time, when the ratio of the long diameter to the short diameter of the particles exceeds 1.5,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the illuminance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ng diameter / short diameter ratio (aspect ratio) is obtained by observation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 the maximum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taken as the long diameter and the maximum diamet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ximum diameter is taken as the short diameter.
  • the produced film is tomographed at one end and photographed at a magnification of 5000 at Hitachi's S-4800 electron microscope (S-4800), and the long and short diameters of 10 particles are measured and data are obtained by the average of the long and short diameters.
  • the method for producing a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five steps.
  • a raw ma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ester resin as a main component is melt-extruded and formed into a sheet to produce an unoriented sheet.
  • the polyester resin used as the base resin of the polyester film is composed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diol component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es terephthalic acid, triphenylamine dicarboxylic acid, isophthalic acid, 2 , 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7-anthracene dicarboxylic acid, 2,7-pyrene dicarboxylic acid, 4,4'-diphenyl dicarboxylic acid, adipic acid and sebacic acid
  • the diol component may be selected from ethylene glycol, 1,4-butanediol, 1,4-cyclohexanedimethanol, 1,6-hexanediol, and the like.
  • polyethylene terephthalate Wh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used as the base resin of the film base component, 1 to 15 mol%, more preferably 3 to 14 mol%, and most preferably 1 to 15 mol%, based on the entir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ntaining copolymerization component containing from 5 to 13 mol% of the copolymerization component or from 1 to 15 mol%, more preferably from 3 to 14 mol%, and most preferably from 5 to 13 mol% A copolymer polyester may be used. At this time, if it is less than 1 mol%, it is difficult to form a film having good physical properties, while when it exceeds 15 mol%, film formation is also difficult.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phthalic aci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4,4'-diphenyldicarboxylic acid, adipic acid and sebacic acid,
  • the component may be selected from ethylene glycol, 1,4-butanediol, 1,4-cyclohexanedimethanol, 1,6-hexanediol, and the like.
  • the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btained by this method preferably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80 to 150 ⁇ .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80 ⁇ , it is not suitable for use in a display in which the temperature exceeds 60 ⁇ .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xceeds 150 ⁇ , film formation is difficult due to the elongation load.
  •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may contain various additives such as a fluorescent brightening agent, a crosslinking agent, a heat stabilizer, an oxidation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organic lubricant, an inorganic fine particle, a filler, , An antistatic agent, a nucleating agent, a dye, a dispersing agent, a coupling agent and the like may be added.
  • Particles having compatibility with the polyester resin are used as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s preferably 0.0005 to 0.005% by weight, more preferably 0.001 to 0.00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05% by weight, an error in metering becomes large due to an excessively small amoun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oughness formation is not satisfactory and the effect of improvement in winding-up property becomes insufficient.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0.005% by weight, This is because it is visually recognized as a defect in the film, and high haze and visibility of the naked eye particles are facilitated, making it difficult to use as an optical film.
  • the particle size is less than 0.5 ⁇ , roughness formation is insufficient and excellent winding property can not be ensured.
  • the particle size exceeds 3 ⁇ ,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lm is visually recognized as a defect in the film.
  •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article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base component is 0.1 or less and the ratio of the long diameter to the short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1.0 to 1.5 or less.
  • the unoriented sheet produced in Step 1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of two or more layers.
  • Step 2 is a step of cooling the unstretched sheet formed in Step 1 in the casting drum. Since this step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 Step 3 is 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a cooled unoriented sheet to produce a uniaxially stretched film, wherein the cooled unoriented sheet is heated by a heating means such as a roll heating or an infrared heating (heater) Direction to obtain a uniaxially stretched film.
  • the stretch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using the main speed difference of two or more rolls, and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set to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polyester resin, and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referably set to 3.0 to 5.0 times.
  •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referably set to 3.0 to 5.0 times.
  • Step 4 is a step of biaxially stretching the uniaxially stretched film to produce a biaxially stretched film, wherein the uniaxially stretched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ree stages is successively stretch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Quot; width direction ").
  • the transverse stretching is performed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to 5 to 70 ⁇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starting from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polyester resin.
  • the temperature rise in the widthwise stretching process may be continuous or may be stepwise (sequential), but the temperature is usually increased sequentially.
  • the width direction stretching zone of the tent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long the film running direction, and the temperature is raised by flowing a heating medium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ach zone.
  • Step 5 is a step of heat-treating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which is followed by heat treatment such as heat fixing or thermal relaxation while running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to produce a biaxially oriented film.
  •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the tenter at a temperature of 150 to 250 ⁇ for 1 to 30 seconds.
  •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150 ° C, the crystal orientation is less and adversely affects the strength of the film.
  •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250 ° C, it is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high transparency due to crystallization.
  • the film is uniformly cooled,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wound up to obtain the high 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relaxation treatment of 3 to 12%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arried out if necessary.
  • the high-transparency optical film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preferably has a two-dimensional surface roughness (Ra) of 4 nm or more and a haze of 1.5% or less.
  • the molded sheet was cooled and solidified in a casting drum having a surface temperature of 20 ⁇ to obtain an unstretched film, which was then heated to 3.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cooled. Subsequently, both ends of the uniaxially stretched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ere led to a tenter while being held by a clip, and stretch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width direction) at a magnification of 3.5 in a heated atmosphere.
  • a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as 0.5 ⁇ ⁇ .
  • a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as 3 ⁇ ⁇ .
  • a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as 0.0005 wt%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in Example 1.
  • a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as 0.005% by weight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in Example 1.
  • a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 the film formation in Example 1,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ere calcium carbonate (Maruo Calcium Corp. MX Series).
  • a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in Example 1 were polystyrene (Nippon Shokubai Co., Ltd. IX3HEHE Series).
  • a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ere silica (Grace K-Series)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in Example 1.
  • a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as 0.2 ⁇ m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in Example 1.
  • a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as 5.0 ⁇ ⁇ .
  • a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as 0.0002% by weight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in Example 1.
  • a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as 0.01% by weight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in Example 1.
  • a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 the film formation in Example 1, the particles in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were polymethylmethacrylate (MX Series,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 the samples were vertically placed on an automatic digital haze meter (COH400) manufactured by Denshoku Co., Ltd., and the wavelengths of 0 nm to 700 nm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ample The transmitted light was measured.
  • COH400 automatic digital haze meter
  • the films produc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measured with Cut Odd 0.25 mm by an illuminance meter (SE3300) manufactured by COSAKA, Japan.
  • the films prepar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shot at a cross-section of a shot at a magnification of 5000 at Hitachi's S-4800 (Hitachi, Japan), and the long and short diameters of 10 particles were measured. The data was obtained as an average of the short diameters.
  • the films produc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inspected by passing through a tri-wavelength light source and examined. When the particles or defects were not observed, the film was judged as " ".
  • the high transparency films for optical use according to Examples 1 to 7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 haze of 1.5% or less, a 2-dimensional surface roughness (Ra) of 4 nm or more, and an Aspect Ratio of 1.1
  • the shape was stable even after the film formation, and the good feeling was confirmed that the film was not visually recognized in the naked eye evaluation and no winding problem occurred during the film formation.
  • the high-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chieves all the physical properties but the particles are visually evaluated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nd the optically transparent film for optical u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has a poor winding property by using too small particles.
  • the high 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was visually observed as a defect of the film due to the naked eye evaluation, and the high 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formed a low illuminance with an insufficient amount, .
  • the high-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5 resulted in an increase in haze and a result in a graininess by adding an excessive amount of particles.
  • the optical high-transparency fil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6 had an aspect ratio of 2.1 as measured after film formation, which resulted in a low roughness, poor windability, and visibility in the naked eye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 the high transparency film for optic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a diffusing sheet, a prism sheet, a hard coating sheet for mobile, etc. of a backlight device for image display.
  • the high-transparency fil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the high-transparency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ful for sheets used for window safety of automobile windows or general window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레에스테르 필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굴절율 차이가 나지 않는 입자를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1.5% 이하의 헤이즈 및 육안 상 시인이 되지 않는 입자로 고투명성을 가져 광학용 용도로 적합하고, 4nm 이상의 조도를 형성하여 권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용 고투명 필름
본 발명은 광학용 고투명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낮은 헤이즈 및 육안 상 입자감이 잘 시인되지 않는 입자를 통해 투명도가 우수하면서도 권취성이 우수하며, 제막 이후에도 입자 모양이 안정한 광학용 고투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범용성 고분자인 PET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반사판, 확산판, 프리즘 시트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PET 필름은 내열 특성 및 내후성과 투명성 등의 제반 물성이 양호하고 가공의 편의성이 있으나, PET 단일물질로 제막하면 조도가 없어 주행성 악화로 권취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PET에 또는 PET 상의 도포액에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조도를 형성하여 권취 문제는 해결하였지만, 높은 투명도가 요구되는 광학용 필름에서 입자의 시인 문제로 제품의 투명도 하락을 가져올 우려가 있었다(특허문헌 1).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필름과 입자 성분의 굴절율 차이를 줄이는 설계로 권취성과 투명성을 동시에 높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도가 우수하면서도 권취성이 우수하며, 제막 이후에도 입자 모양이 안정한 광학용 고투명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으로서, 상기 입자의 굴절율과 필름 기재 성분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하이고, 상기 입자의 장경/단경 비율이 1.0 내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름 기재 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는 황산바륨(BaSO4),탄산칼슘(CaCO3),폴리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는 장경이 0.5㎛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5 내지 0.0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은 2차원 표면 조도(Ra)가 4nm 이상, 헤이즈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헤이즈 및 육안 상 입자감이 잘 시인되지 않는 입자를 통해 투명성이 우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로 사용되는 필름의 제반 물성을 달성함과 동시에 조도 형성을 통해 권취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막 이후에도 입자 모양이 안정한 등의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고/하거나 청구함에 있어서, 용어 "공중합체"는 둘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를 언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한 공중합체는 이원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또는 더 고차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으로서, 입자의 굴절율과 필름 기재 성분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하이고, 입자의 장경/단경 비율이 1.0 내지 1.5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입자의 장경/단경 비율이 1.5를 초과할 경우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조도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장경/단경 비율(애스펙트 비)은 전자현미경을 사용한 관측에 의해 구해진다. 입자의 최대 직경을 장경으로 하고, 이 최대 직경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을 단경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단면 토밍하여 일본 Hitachi사 전자주사현미경(S-4800)에서 5000배율로 촬영하여 입자 10개의 장경과 단경을 측정하고, 장경/단경의 평균으로 데이터를 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의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이 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한 원료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시트 상으로 성형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1단계
2) 미연신 시트를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하는 2단계
3) 냉각된 시트를 1축 연신하는 3단계
4) 1축 연신된 필름을 2축 연신하는 4단계
5) 2축 연신된 필름을 열처리하는 5단계
1단계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한 원료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시트 상으로 성형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본 수지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 트라이페닐 아민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7-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2,7-파이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신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올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등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필름 기재 성분의 기본 수지로서 사용할 경우, 제막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당 1∼1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14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5∼13몰%의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또는 전체 디올 성분 당 1∼1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14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5∼13몰%의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면 좋다. 이때, 1몰% 미만이면, 양호한 물성을 가진 필름 제막이 어렵고, 반면에 15몰%를 초과할 때 역시 제막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공중합 성분으로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및 세바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고 디올 성분은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등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중합 성분 중에서도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이소프탈산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상용성 수지의 분산 상태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80 내지 150℃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유리전이온도가 80℃ 미만이면, 60℃ 이상이 발열되는 디스플레이 용도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으며, 유리전이온도가 150℃를 초과하면, 연신 부하로 제막이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원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물, 예를 들면, 형광증백제, 가교제, 내열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유기의 활제, 무기의 미립자, 충전제, 내광제, 대전방지제, 핵제, 염료, 분산제, 커플링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원료 조성물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해 상용성이 있는 입자를 사용한다. 이 때, 본 발명에 사용하는 입자는 황산바륨, 탄산칼슘, 폴리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들은 단독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5 내지 0.005중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02중량%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0.000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너무 적은 양으로 인해 계량 시 오차가 커지고, 조도 형성이 미비해 권취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해지는 단점이 있고, 0.005중량%를 초과하면 과량 첨가에 의한 입자 응집으로 인해 필름에서 결점으로 시인되고, 높은 헤이즈 및 육안 상 입자의 시인이 용이해져서 광학용 필름으로의 사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입자는 장경이 0.5㎛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한데, 0.5㎛ 미만인 경우 조도 형성이 미비해 우수한 권취성을 확보할 수 없고 3㎛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에서 결점처럼 시인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입자의 굴절율과 필름 기재 성분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하이고, 입자의 장경/단경 비율이 1.0 내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단계에서 제조된 미연신 시트는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2단계는 1단계에서 성형된 미연신 시트를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3단계는 냉각된 미연신 시트를 1축 연신하여 1축 연신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냉각된 미연신 시트를 롤 가열, 적외선 가열(Heater)이라는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하고, 우선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얻는 단계이다. 연신은 2개 이상의 롤의 주속차를 이용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신 온도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로 설정하고, 연신 배율은 3.0∼5.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3.0배 보다 작으면 요구되는 광특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고, 5.0배 보다 크면 제막 안정성에 불리해진다.
다음으로, 4단계는 1축 연신된 필름을 2축 연신하여 2축 연신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3단계의 길이방향으로의 1축 연신된 필름을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하, 「폭 방향」이라고도 한다)으로 2축 연신하는 단계이다. 이때, 폭 방향 연신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점(Tg)보다 높은 온도부터 시작하여, 유리전이점(Tg)보다 5∼70℃ 높은 온도까지 승온 시키면서 수행한다. 폭 방향 연신 과정에서의 승온은 연속적이어도 좋고, 단계적(순차적)이어도 좋지만 통상 순차적으로 승온시킨다. 예를 들면 텐터의 폭 방향 연신 존을 필름 주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누고, 존마다 소정 온도의 가열 매체를 흘림으로써 승온시킨다.
다음으로, 5단계는 2축 연신된 필름을 열처리하는 단계로서, 2축 연신된 필름을 주행시키면서 열고정 또는 열이완 등의 열처리를 순차적으로 실시해서 2축 배향 필름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이에, 얻어진 2축 연신 필름의 결정 배향을 완료시켜 평면성과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텐터 내에서 150∼250℃의 온도로 1∼30초간의 열처리를 행한다. 열처리 온도가 150℃ 보다 낮으면 결정 배향이 덜 되어 필름의 강신도에 불리한 영향을 주며, 250℃ 보다 높으면 과결정화로 인해 원하는만치의 투명성을 얻기 어렵다. 열처리 다음으로 균일하게 서냉한 후에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권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열처리 공정 중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3∼12%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2차원 표면 조도(Ra)가 4nm 이상, 헤이즈가 1.5% 이하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수지 99.999중량%에 평균 입자지름 2㎛인 황산바륨 입자(Huntsman사 AB-TM Series) 0.001중량%를 첨가하고, 280℃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여 다이에서 층 두께 비가 1:10:1인 ABA 3층의 시트 상으로 성형하였다.
성형된 시트를 표면온도 20℃의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고, 이를 가열하여 길이 방향으로 3.5배 연신 후 냉각하였다. 계속해서 길이 방향으로 1축 연신한 필름의 양 끝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텐터로 인도하여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폭 방향)으로 3.5배율로 연신하였다.
이후, 텐터 내에서 열고정을 수행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2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때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00㎛ 이었다. 상기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기재하였다.
[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의 평균지름이 0.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의 평균지름이 3㎛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의 함량이 0.0005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의 함량이 0.005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가 탄산칼슘(Maruo Calcium사 MX Series)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가 폴리스티렌(Nippon Shokubai사 IX3HEHE Series)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가 실리카(Grace사 K Series)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의 평균지름이 0.2㎛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의 평균지름이 5.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의 함량이 0.0002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의 함량이 0.01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제막 시, 원료 조성물 내 입자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Nippon Shokubai사 MX Series)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
1. Haze 측정
실시예 1∼7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일본 Denshoku사의 오토메틱 디지털 헤이즈미터(COH400)에 샘플을 수직으로 놓고, 수직으로 놓여진 시료의 직각 방향으로 0nm ~ 700nm의 파장을 갖는 빛을 투과시켜 나타난 값을 측정하였다.
2. 2차원 표면 조도(Ra) 측정
실시예 1∼7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일본 COSAKA사의 조도 측정계(SE3300)으로 Cut Odd 0.25mm로 측정하였다.
3. Aspect Ratio 측정
실시예 1∼7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단면 토밍 하여 일본 Hitachi사 전자주사현미경(S-4800)에서 5000배율로 촬영하여 입자 10개의 장경, 단경을 측정하고, 장경/단경의 평균으로 데이터를 구했다.
4. 육안 평가(입자감)
실시예 1∼7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삼파장 광원으로 투과시켜 검사하고 입자 또는 결점이 보이지 않으면 "○"로 판정하고, 조금 보이면, "△"로, 잘 보이면 "X"로 판정하였다.
5. 권취성 평가
실시예 1∼7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30Ton 이상 생산하여 슬리터 권취 시에 단면 불량이 없으면"○"로 판정하고, 단면 불량이 있으면, "X"로 판정하였다.
Figure PCTKR2019000207-appb-T000001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7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헤이즈(Haze) 1.5% 이하, 2차원 표면 조도(Ra) 4nm 이상을 갖고, Aspect Ratio가 1.1 수준으로 입자 모양이 제막 이후에도 안정하며, 육안 평가에서 입자감이 잘 시인되지 않고, 제막 시 권취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제반 물성은 달성하나 굴절율 차이로 인해 육안 평가에서 입자가 시인되고, 비교예 2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너무 작은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권취성이 불량하다. 비교예 3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너무 큰 입자를 사용하여 육안 평가 상 필름의 결점으로 시인되었고, 비교예 4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너무 적은 함량으로 낮은 조도가 형성되어 권취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5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과량의 입자 첨가로 헤이즈 상승 및 입자감 시인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예 6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제막 후 측정한 내부 입자의 Aspect Ratio가 2.1이고, 이로 인해 낮은 조도가 형성되어 권취성이 불량하고 또한 굴절율 차이로 인해 육안 평가에서 입자가 시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고투명 필름은 화상 표시용의 백라이트 장치의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모바일 용의 하드 코팅용 시트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광학용으로 사용되는 고투명 필름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고투명 필름은 자동차 윈도우 또는 일반 창의 안전(Window Safety) 용도로 사용되는 시트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으로서,
    상기 입자의 굴절율과 필름 기재 성분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하이고,
    상기 입자의 장경/단경 비율이 1.0 내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기재 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황산바륨(BaSO4),탄산칼슘(CaCO3),폴리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장경이 0.5㎛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5 내지 0.0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2차원 표면 조도(Ra)가 4nm 이상, 헤이즈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고투명 필름.
PCT/KR2019/000207 2018-01-24 2019-01-07 광학용 고투명 필름 WO201914693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10040.5A CN111655768B (zh) 2018-01-24 2019-01-07 高度透明的光学膜
US16/964,637 US11713379B2 (en) 2018-01-24 2019-01-07 Highly transparent optical film
JP2020540441A JP7095211B2 (ja) 2018-01-24 2019-01-07 光学用高透明フィル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23A KR20190090224A (ko) 2018-01-24 2018-01-24 광학용 고투명 필름
KR10-2018-0008823 2018-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931A1 true WO2019146931A1 (ko) 2019-08-01

Family

ID=6739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0207 WO2019146931A1 (ko) 2018-01-24 2019-01-07 광학용 고투명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13379B2 (ko)
JP (1) JP7095211B2 (ko)
KR (1) KR20190090224A (ko)
CN (1) CN111655768B (ko)
WO (1) WO201914693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039A (ja) * 2001-02-27 2002-09-11 Yasuhiro Koike 散乱偏光部材、光制御方法並びに面光源装置
KR20060067519A (ko) * 2004-12-15 2006-06-20 제일모직주식회사 휘도가 향상된 표시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oled 표시장치
JP2010530449A (ja) * 2007-06-20 2010-09-09 ミツビシ ポリエステル フィルム ジーエムビーエイチ BaSO4粒子を含有する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10034432A (ko) * 2009-09-28 2011-04-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확산필름이 일체화된 도광판
WO2017029995A1 (ja) * 2015-08-20 2017-02-23 宇部興産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4030B2 (ja) 1988-12-12 1998-03-30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H0543715A (ja) 1991-08-19 1993-02-23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3183420A (ja) 2001-12-17 2003-07-03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083240B1 (ko) 2006-04-07 2011-11-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1081217A (ja) * 2009-10-07 2011-04-21 Nitto Denko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188631A (ja) 2011-03-14 2012-10-04 Fujifilm Corp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7225137B2 (ja) * 2020-01-06 2023-02-20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039A (ja) * 2001-02-27 2002-09-11 Yasuhiro Koike 散乱偏光部材、光制御方法並びに面光源装置
KR20060067519A (ko) * 2004-12-15 2006-06-20 제일모직주식회사 휘도가 향상된 표시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oled 표시장치
JP2010530449A (ja) * 2007-06-20 2010-09-09 ミツビシ ポリエステル フィルム ジーエムビーエイチ BaSO4粒子を含有する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10034432A (ko) * 2009-09-28 2011-04-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확산필름이 일체화된 도광판
WO2017029995A1 (ja) * 2015-08-20 2017-02-23 宇部興産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13379B2 (en) 2023-08-01
US20210054156A1 (en) 2021-02-25
JP7095211B2 (ja) 2022-07-05
CN111655768A (zh) 2020-09-11
KR20190090224A (ko) 2019-08-01
JP2021512186A (ja) 2021-05-13
CN111655768B (zh)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19275A1 (en) Polyester film for releas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laminate having improv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US20090127741A1 (en) Process for producing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WO2010027172A2 (en)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3125781A1 (ko) 고내열성 다층 광학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5651960B2 (ja) 偏光板離型用二軸延伸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WO2019146931A1 (ko) 광학용 고투명 필름
JPH0724911A (ja) シンジオタクチックポリスチレン系フィルム
JP4645011B2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74788A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210244B2 (ja) 二軸延伸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316900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成形方法
JP2663593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960601B2 (ja) 光拡散板用フィルム
JP2005349726A (ja) 二軸配向フィルム
KR100558841B1 (ko) 광확산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0197049A2 (ko)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5477A (ko)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KR101577367B1 (ko)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US11602926B2 (en) Biaxial oriented polyester reflec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984218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1143544A (ja) 離型フィルム
KR20170065225A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0564A (ko) 일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70557B1 (ko) 포토레지스트 필름의 베이스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3019779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436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4044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436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