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99358A1 -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99358A1
WO2018199358A1 PCT/KR2017/004499 KR2017004499W WO2018199358A1 WO 2018199358 A1 WO2018199358 A1 WO 2018199358A1 KR 2017004499 W KR2017004499 W KR 2017004499W WO 2018199358 A1 WO2018199358 A1 WO 20181993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ptide
present
skin whitening
tyrosinase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4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용지
김은미
이응지
김잔디
Original Assignee
(주)케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어젠 filed Critical (주)케어젠
Priority to ES17761001T priority Critical patent/ES2896154T3/es
Priority to JP2017545256A priority patent/JP6787911B2/ja
Priority to BR112017018828-7A priority patent/BR112017018828B1/pt
Priority to PCT/KR2017/004499 priority patent/WO2018199358A1/ko
Priority to EP17761001.1A priority patent/EP3412275B1/en
Priority to US15/554,067 priority patent/US10695279B2/en
Priority to CN201780000936.6A priority patent/CN109152718B/zh
Publication of WO20181993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993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61Q7/02Preparations for inhibiting or slow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ptide for skin whitening and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 Transformation growth factor beta 1 is a factor that maintains tissue development or homeostasis by controlling growth, differentiation and death in various cell types. Transformation growth factor beta1 is known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melanogenesis in melanocyte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2, No. 7, Issue of February 14, pp. 3967-3972, 1997).
  •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is shown by increased degradation of tyrosinase, an enzyme important for melanin production.
  • ERK1 promotes the degradat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 transcription factor that regulates the expression of melanogenesis-related enzymes such as tyrosinase, tyrosinase associated gene-1 and tyrosinase associated gene-2. 2 may promote activity to show melanin formation inhibition ( Physiol Rev 84: 1155-1228, 2004; 10.1152 / physrev. 00044.2003.).
  •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peptide based o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have verified the whitening efficacy in melanocytes. Afterwards, to maximize the function of the peptide, structural improvement studies were carried out by combining with various chemical compounds, and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th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in whitening efficacy was improved.
  • the present inventors made diligent research efforts to develop peptides having excellent skin lightening activity. As a result, by identifying that the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has an excellent effect on skin whitening by inhibiting melanogenesis, inhibiting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factors related to melanin 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peptid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in whitening use of the peptid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in whitening method using the peptid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diligently researched to develop a peptide having excellent skin whitening activity.
  • the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inhibits melanin production, inhibits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es factors related to melanin formation. It was found that it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on skin whitening by inhibiting and inhibiting melanosomal migration.
  • One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peptide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 the peptides inhibit melanin production, inhibit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trocinases, inhibit the expression of MITF, PAR2, TRP1, factors involved in melanin formation, the peptide is melanin It inhibits the phosphorylation of CREB, a signaling agent involved in formation, inhibits melanosomal migration involved in skin whitening, and promotes melanosomal degradation.
  • peptide refers to a linear molecule formed by binding amino acid residues to each other by peptide bonds.
  • Peptides of the invention are known in the art for chemical synthesis methods, in particular solid-phase synthesis techniques; Merrifield, J. Amer . Chem . Soc . 85: 2149-54 (1963); Stewart, et al.,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 2nd. Ed., Pierce Chem. Co .: Rockford, 111 (1984)) or liquid phase synthesis techniques (US Pat. No. 5,516,891).
  • the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modifications at the N-terminus and / or C-terminus to select some sites of the amino acid sequence and increase their activity.
  • the C-terminus of the peptide may be modified with a hydroxyl group (-OH), an amino group (-NH 2 ), azide (-NHNH 2 ),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terminus of the peptide is to combine a protecting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yl group, fluorenyl methoxy carbonyl group, formyl group, palmitoyl group, myristyl group, stearyl group and polyethylene glycol (PEG)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alf-life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reased to have a high half-life when administered in vivo, and it greatly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peptide.
  • stability means not only in vivo stability but also storage stability (eg, room temperature storage stability).
  • the above protecting groups serve to protect the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attack of protein cleavage enzymes in vivo.
  • compositions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ommon content between the two is omitted in order to avoid excessive complexity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s ,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etc., and more specifically, flexible lotion, nourishing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pack, spray and / or powd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arrier component may be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k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and / or zinc oxide. This can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owder or a spray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and /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when it is a spray, it may further include a propellant such as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butane and / or dimethyl ether.
  • a propellant such as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butane and / or dimethyl ether.
  • solvents, solubilizers and / or emulsions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for exampl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Fatty acid esters of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s and / or sorbitan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liquid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and / or propylene glycol,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 or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 Suspending agents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and / or tracant, etc.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and /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peptide and carrier component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s an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antioxidants, purifying agents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 or flavor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ptide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and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peptide inhibits melanin production, inhibits tyrosinase activity, and inhibits expression of factors related to melanin formation.
  • the peptide inhibits melanin production, inhibits tyrosinase activity, and inhibits expression of factors related to melanin formation.
  •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ytotoxicity of pepti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reating the melanoma cell line (B16F10) and the melanin produ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melanin produced by treating the peptide melanoma cell line (B16F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of the peptid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elanoma cell line (B16F10) and melanin production through an optical microscope.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reating the peptid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elanoma cell line (B16F10) and measuring the tyrosinase activity in the cells.
  •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treating the peptid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elanoma cell line (B16F10) and the level of tyrosinase expression in cells using tyrosinase antibody.
  • 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treating the pept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elanoma cell line (B16F10) and the gene expression changes of melanin forming factors by PCR.
  • Figure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changes of the peptides treated with melanoma cell line (B16F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sing antibodies specific for the protein of melanin forming factors.
  • FIG. 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treating a pept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elanoma cell line (B16F10) and confirming the phosphorylation degree of CREB, a melanin forming factor signaling material, using a specific antibody.
  •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treating the pept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and confirming a gene expression change related to keratinocyte activity and phagocytosis by PCR.
  •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 Figure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treating the pept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uman keratinocytes (HaCat) and inhibit the melanocyte influx into keratinocytes.
  • FIG. 1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treating the pept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human keratinocyte line (HaCat) and inhibiting melanoma phagocytosis of keratinocytes through a microscope.
  • HaCat human keratinocyte line
  • FIG. 1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keratinocyte phagocytosis assay using fluorescence-bound bioparticles in order to observe the melanoma influx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reating the peptides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firming melanoma resolution in keratinocytes.
  • Figure 14a is a photo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whitening efficacy in vivo by liposomes pepti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ied to the C57BL / 6 mouse tail.
  • Figure 14b is a photo showing the results of the liposomes of the pept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o the C57BL / 6 mouse tail and observed in vivo whitening efficacy (comparative example).
  • Figure 14c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liposomes of the pept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o the C57BL / 6 mouse tail and observed in vivo whitening efficacy (example).
  • chloro trityl chloride resin CTL resin, Nova biochem Cat No. 01-64-0021
  • MC methylene chloride
  • DMF dimethylformamide
  • 10 ml of dichloromethane solution was added to the reactor, 200 mmole of Fmoc-Asp (OtBu) -OH (Bachem, Swiss) and 400 mmole of diisopropyl ethylamine (DIEA) were added thereto, stirred, and dissolved.
  • the reaction was stirred for 1 hour. I was. After the reaction, the mixture was washed with methanol and DIEA (2: 1) in dichloromethane (DCM) for 10 minutes and washed with excess DCM / DMF (1: 1). The solution was removed, 10 ml of dimethylformamide (DMF) was added thereto, stirred for 3 minutes, and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again. 10 ml of deprotection solution (20% of piperidine / DMF) was added to the reaction vessel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to remove the solution.
  • DCM dichloromethane
  • DMF dimethylformamide
  • reaction solution was removed and stirred with a DMF solution three times for 5 minutes and then removed. A small amount of the reaction resin was taken and the degree of reaction was checked using a Nihydrin Test.
  • Gly-Asp-CTL resin was prepared by deprotection twice in the same manner as above with the deprotection solution. After washing sufficiently with DMF and MC and once again Kaiser test, the following amino acid attachment experiment was performed as above.
  • the Fmoc-protector was reacted twice with a deprotection solution twice for 10 minutes and then washed well.
  • the prepared peptidyl resin was washed three times with DMF, MC, and methanol, respectively, and dried slowly by flowing nitrogen air, and then vacuum-reduced under P 2 O 5 to reduce pressure. After drying, add 30 ml of fugitive solution (Trifluroacetic acid 81.5%, distilled water 5%, Thioanisole 5%, Phenol 5%, EDT 2.5% and TIS 1%) Shake occasionally at room temperature to maintain a reaction for 2 hours. The resin was filtered off and the resin was washed with a small amount of TFA solution and then combined with the mother liquor.
  • fugitive solution Trifluroacetic acid 81.5%, distilled water 5%, Thioanisole 5%, Phenol 5%, EDT 2.5% and TIS 16%
  • the melanoma cell line (B16F10) cells were incubated for 24 hours in a 6-well culture plate, and ⁇ -MSH (200 ng / ml) and peptides (50, 100, 200 uM) by concentration or arbutin (200, 500 uM) were positive controls. ) was incubated for 72 hours. Then, place the 6-well culture plate on ice and wash with cold PBS, add 300 uL of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lysis buffer) containing 1% Triton X-100, and place the cells in a 1.5 mL tube. The cell membranes were destroyed by five times of reaction by thawing and freezing at -270.
  •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in another 1.5 mL tube and the protein of these samples was quantified. Dilute the protein concentration of the samples to the same concentration, dispense 3 wells into a 96-well culture plate, add 20 mM of 10 mM L-dopa and measure the absorbance at 475 nm after 1 hour incubation at 37. 4 is shown.
  • Example 7 Observing changes in protein expression of melanin forming factors
  • Example 9 Observing changes in gene expression related to keratinocyte activity and phagocytosis
  •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 trypsin a substance that induces activity
  • the peptide were treated by concentration (100, 200 uM).
  • cDNA was prepared after RNA extraction of the cultured cells for 16 hours. PCR was observed using a primer pair specific for PAR2 (see Table 3 below), which is one of the surface receptors of keratinocytes activated by trypsin action, and the expression of each gene was observed.
  • Example 10 confirmed bit inhibit inflow of melanocytes to keratinocytes
  • HaCaT Human keratinocytes
  • B16F10 mouse melanoma cell line
  • peptides (10, 50, 100) , 200 uM) or a positive control arbutin (200 uM) was incubated for 48 hours.
  • PBS PBS-free culture medium
  • keratinocytes were collected and precipitated, 1 M NaOH was added to the obtained pellet, the pellet was dissolved in an 80 oven, and the OD value was measured at 490 nm.
  • Example 11 confirmed bit inhibit inflow of melanocytes to keratinocytes
  • HaCaT Human keratinocytes
  • B16F10 mouse melanoma cell line
  • peptides (10, 50, 100) by concentration.
  • 200 uM or a positive control arbutin (200 uM) was incubated for 48 hours.
  • PBS to remove the non-influx melanosomes and fontana-masson stain (pontana-masson stain) to observe the inhibition of melanoma phagocytosis of keratinocytes through a microscope.
  • Example 12 into keratinocytes Melanosome Confirm Inflow Suppression ( Live particles use)
  • Human keratinocyte line HaCaT was incubated for 24 hours on a 24-well culture plate and cultured for 24 hours by treatment with concentration-specific peptide (100, 200 uM) or positive control arbutin (200 uM) in a 0.5% FBS culture medium. . Then, Vybrant. Phagocytosis Assay Kit (V-6694) was used to observe the inhibition of phagocytosis of human keratinocytes by fluorescence microscopy.
  • HaCaT Human keratinocytes
  • B16F10 mouse melanoma cell line
  • the cells were removed and incubated for 72 hours by treatment with concentration-specific peptide (100, 200 uM) or a positive control group arbutin (200 uM) and TGF ⁇ -1.
  • concentration-specific peptide 100, 200 uM
  • arbutin 200 uM
  • TGF ⁇ -1 TGF ⁇ -1.
  • 1 M NaOH was added to the pellets obtained after the collection and precipitation of the keratinocytes, and the pellets were dissolved in an oven in 80.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Example 14 in vivo Whitening effect observe( in vivo )
  • the liposome peptide (5,000 ppm) and the positive control arbutin were applied to the tail of 8-week-old C57BL / 6 mice once a day for about 8 weeks.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rats were sacrificed to extract tail skin tissue and embedded in paraffin to prepare paraffin blocks. Then, paraffin sections were made and morphologically observed by fontana-masson staining,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4A to 14C.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ptide for skin whitening and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며, 멜라닌 형성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고, 멜라노좀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피부 투과도가 매우 뛰어나다. 상술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우수한 활성 및 안정성은 화장품에 매우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형질전환 성장인자 베타1(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β1)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에서 성장, 분화 및 사멸 조절을 통해 조직의 발달이나 항상성 유지를 시키는 인자이다. 형질전환 성장인자 베타1은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2, No. 7, Issue of February 14, pp. 3967-3972, 1997).
형질전환 성장인자 베타1의 이러한 기능은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네이즈의 분해를 증가시켜 나타낸다. 또한, 티로시네이즈, 티로시네이즈 연관 유전자-1, 티로시네이즈 연관 유전자-2와 같은 멜라닌 생성 관여 효소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MITF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ERK1/2 활성을 촉진시켜 멜라닌 형성 억제를 나타내기도 한다(Physiol Rev 84: 1155-1228, 2004; 10.1152/physrev.00044.2003.).
본 발명자들은 선행 연구를 통해 형질전환 성장인자 베타1의 일부 아미노산 서열을 토대로한 펩타이드를 개발하였고 멜라닌 세포에서의 미백 효능을 검증한 바 있다. 이 후 이 펩타이드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 합성물과의 결합을 통한 구조 개선 연구를 진행하였고 효능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기존 펩타이드 보다 미백 효능이 향상된 본 발명의 소재를 발굴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며, 멜라닌 형성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펩타이드의 피부 미백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펩타이드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며, 멜라닌 형성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고, 멜라노좀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트로시네이즈의 활성 및 발현을 억제하고, 멜라닌 형성에 관여하는 인자인 MITF, PAR2, TRP1의 발현을 억제하며, 펩타이드는 멜라닌 형성에 관여하는 신호전달물질인 CREB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피부 미백에 관여하는 멜라노좀 이동을 억제할 뿐 아니라, 멜라노좀 분해를 촉진한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피부 미백에 매우 우수한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 방법, 특히 고상 합성 기술(solid-phase synthesis techniques; Merrifield, J. Amer . Chem . Soc . 85:2149-54(1963); Stewart, et al.,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2nd. ed., Pierce Chem. Co.: Rockford, 111(1984)) 또는 액상 합성 기술 (미국등록특허 제5,516,891호)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 부위를 선정하고 그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은 히드록시기(-OH), 아미노기(-NH2), 아자이드(-NHNH2) 등으로 변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가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N-말단 및/또는 C-말단의 변형을 통해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반감기를 증가시켜 생체 내 투여 시 높은 반감기를 가질 수 있으며, 펩타이드의 안정성을 크게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정성"은 인 비보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예를 들어,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한다. 상술한 보호기는 생체 내의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및/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및/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및/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및/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및/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및/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및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또는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펩타이드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며, 멜라닌 형성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고, 멜라노좀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피부 투과도가 매우 뛰어나며, 우수한 활성 및 안정성에 의해 화장품에 매우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의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흑색종 세포주(B16F10)에 처리하고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흑색종 세포주(B16F10)에 처리하고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흑색종 세포주(B16F10)에 처리하고 광학현미경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흑색종 세포주(B16F10)에 처리하고 세포 내 티로시네이즈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흑색종 세포주(B16F10)에 처리하고 티로시나아제 항체를 이용하여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흑색종 세포주(B16F10)에 처리하고 멜라닌 형성 인자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PCR로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흑색종 세포주(B16F10)에 처리하고 멜라닌 형성 인자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이들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흑색종 세포주(B16F10)에 처리하고 멜라닌 형성 인자 신호전달물질인 CREB의 인산화 정도를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각질형성세포주(HaCat)에 처리하고 각질형성세포 활성 및 식균작용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 변화를 PCR로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각질형성세포주(HaCat)에 처리하고 각질형성세포로의 멜라노좀 유입 억제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각질형성세포주(HaCat)에 처리하고 각질형성세포의 멜라노좀 식균작용 억제를 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멜라노좀 유입 억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형광-결합 생입자(bioparticles)를 이용하여 각질세포 식균작용 어세이를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각질형성세포주(HaCat)에 처리하고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멜라노좀 분해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리포좀화하여 C57BL/6 마우스 꼬리에 도포하고 생체 내 미백효능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리포좀화하여 C57BL/6 마우스 꼬리에 도포하고 생체 내 미백효능 관찰한 결과(비교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리포좀화하여 C57BL/6 마우스 꼬리에 도포하고 생체 내 미백효능 관찰한 결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합성예 1: 펩타이드 합성
클로로 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Chloro trityl chloride resin; CTL resin, Nova biochem Cat No. 01-64-0021) 700 mg을 반응용기에 넣고 메틸렌 클로라이드(MC) 10 ml를 가하여 3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10 ml를 넣어 3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기에 10 ml의 디클로로메탄용액을 넣고 Fmoc-Asp(OtBu)-OH(Bachem, Swiss) 200 mmole 및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DIEA) 400 mmole을 넣은 후 교반하여 잘 녹이고,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세척하고 메탄올과 DIEA(2:1)를 DCM(dichloromethane)에 녹여 10분간 반응시키고 과량의 DCM/DMF(1:1)로 세척하였다.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 아마이드(DMF)를 10 ml 넣어 3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탈보호 용액(20%의 피페리딘(Piperidine)/DMF) 10 ml를 반응용기에 넣고 10분간 상온에서 교반한 후 용액을 제거하였다. 동량의 탈보호 용액을 넣고 다시 10분간 반응을 유지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각각 3분씩 DMF로 2회, MC로 1회, DMF로 1회 세척하여 Asp-CTL 레진(Resin)을 제조하였다. 새로운 반응기에 10 ml의 DMF 용액을 넣고 Fmoc-Gly-OH(Bachem, Swiss) 200 mmole, HoBt 200 mmole 및 Bop 200 mmole을 넣은 후 교반하여 잘 녹였다. 반응기에 400 mmole DIEA를 분획으로 2번에 걸쳐 넣은 후 모든 고체가 녹을 때까지 최소한 5분간 교반하였다. 녹인 아미노산 혼합용액을 탈보호된 레진이 있는 반응용기에 넣고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제거하고 DMF 용액으로 3회 5분씩 교반한 후 제거하였다. 반응 레진을 소량 취하여 카이저 테스트(Nihydrin Test)를 이용하여 반응 정도를 점검하였다. 탈보호 용액으로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2번 탈보호 반응시켜 Gly-Asp-CTL 레진을 제조하였다. DMF와 MC로 충분히 세척하고 다시 한 번 카이저 테스트를 수행한 다음, 상기와 동일하게 아래의 아미노산 부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거하여 Fmoc-Arg(Pbf)-OH, Fmoc-Gly-OH, Fmoc-Gly-OH, Fmoc-Tyr(tBu)-OH, Fmoc-Gln(Trt)-OH, Fmoc-Thr(tBu)-OH, Fmoc-Asp(OtBu)-OH, Fmoc-Leu-OH, Fmoc-Ser(tBu)-OH, Fmoc-Trp-OH 및 Fmoc-Ile-OH 순으로 연쇄반응을 시켰다. Fmoc-보호기를 탈보호 용액으로 10분씩 2번 반응시킨 후 잘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이어 활성화된 페룰산(Ferulic acid)을 결합시킨 뒤 제조된 펩티딜 레진을 DMF, MC 및 메탄올로 각각 3번을 세척하고, 질소 공기를 천천히 흘려 건조한 후, P2O5 하에서 진공으로 감압하여 완전히 건조한뒤 탈루 용액[트리플로로화 초산(Trifluroacetic acid) 81.5%, 증류수 5%, 티오아니졸(Thioanisole) 5%, 페놀(Phenol) 5%, EDT 2.5% 및 TIS 1%] 30 ml을 넣은 후 상온에서 가끔 흔들어주며 2시간 반응을 유지하였다. 필터링을 하여 레진을 거르고, 레진을 소량의 TFA 용액으로 세척한 후 모액과 합하였다. 감압을 이용하여 전체 볼륨이 절반 정도 남도록 증류하고 50 ml의 차가운 에테르를 가하여 침전을 유도한 후, 원심 분리하여 침전을 모으고, 2번 더 차가운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모액을 제거하고 질소 하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정제 전 Feruloyl-Ile-Trp-Ser-Leu-Asp-Thr-Gln-Tyr-Gly-Gly-Arg-Gly-Asp-COOH 펩타이드 1(서열목록 1)을 0.77 g 합성(수율: 88.0 %)하였다. 분자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시 상기 펩타이드의 분자량 1643.7(이론값: 1643.7)을 얻을 수 있었다.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5'->3') 분석 값(질량분석기)
분석치 이론치
1 FC-IWSLDTQYGGRGD 1643.7 1643.7
실시예 1: 세포 독성 실험
48-웰 배양용 평판에 분주된 멜라닌형성 세포(B16F10 cell line)를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각 판의 배지를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로 교체 후 본 펩타이드를 농도별(1, 10, 50, 100, 150, 200 uM)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72시간 동안 배양 한 후 MTT 시약을 넣고 4시간 반응 시킨 뒤, 생성된 포르마잔을 DMSO로 녹이고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멜라닌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TT 어세이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 uM 부터 200 uM 처리군 까지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멜라닌 생성량 측정
6-웰 배양용 평판에 분주된 멜라닌형성 세포(B16F10 cell line)를 37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각 판의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2% 혈청 배지)로 교체 후 α-MSH(200 ng/ml), 알부틴(200, 500 uM) 및 본 펩타이드를 농도별(50, 100, 200 uM)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떼어 낸 뒤 1.5 ml 튜브로 옮겨 13,0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세포 펠렛을 회수하여 멜라닌을 관찰하였다. 세포 펠렛을 2 M NaOH 150 ul씩 넣어 60에서 30분 동안 세포 내 멜라닌을 용해시킨다. 96-웰 평판 각 웰에 용해시켜 얻은 상층액을 100 ul씩 넣어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 및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농도 의존적인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P≤ 0.01).
실시예 3: 멜라닌 생성량 육안 관찰
6-웰 배양용 평판에 분주된 멜라닌형성 세포(B16F10 cell line)를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각 판의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10% 혈청 배지)로 교체 후 α-MSH(200 ng/ml), 알부틴(500 uM) 및 본 펩타이드를 농도별(50, 100, 200 uM)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광학현미경을 통해 형성된 멜라닌을 관찰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농도 의존적인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세포 형태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세포 내 티로시네이즈 활성 측정
흑색종 세포주(B16F10) 세포를 6-웰 배양용 평판에 24시간 배양하고 α-MSH(200 ng/ml)와 농도별 펩타이드(50, 100, 200 uM) 또는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200, 500 uM)을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얼음 위에 6-웰 배양용 평판을 올리고 차가운 PBS으로 세척한 후 1% Triton X-100가 함유된 0.1 M 인산 나트륨 버퍼(pH 6.8, 용해 버퍼)를 300 uL 넣고 세포를 1.5 mL 튜브에 모아 -270에 급속 냉동시킨 후 해동시키는 반응을 5번 반복하여 세포막을 파괴하였다. 그 다음, 1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다른 1.5 mL 튜브에 모으고 이 시료들의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시료들의 단백질 농도가 같은 농도가 되게 희석하여 96-웰 배양용 평판에 3개 웰씩 분주하고 10 mM L-dopa 20 uL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배양 후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농도 의존적인 티로시네이즈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P≤ 0.01).
실시예 5: 티로시나아제 발현량 측정
6-웰 배양용 평판에 분주된멜라닌형성 세포(B16F10 cell line)를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각 판의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10% 혈청 배지)로 교체 후 α-MSH(200 ng/ml) 및 본 펩타이드를 농도별(50, 100 uM)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FITC가 부착된 티로시나아제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 및 FITC 부착 2차 IgG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를 이용하여 세포 내 발현 단백질을 염색하고 형광 현미경을 통해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농도 의존적인 티로시네이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멜라닌 형성 인자의 유전자 발현 변화 관찰
멜라닌형성 세포 (B16F10 cell line)를 6-웰 배양용 평판에 24시간 배양 후 α-MSH(200 ng/ml), 알부틴(500 uM) 및 본 펩타이드를 농도별(100, 200 uM)로 처리한다. 24시간 동안 배양된 세포의 RNA 추출 후 cDNA를 제작하였다. 멜라닌 형성에 관여하는 인자인 MITF, 티로시네이즈 및 TRP1에 대한 각각의 특이적인 하기 표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하여 각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명명 서열목록(5'->3') 비고
2 MITF_F CCAGCCTGGCGATCATGTCAT 어닐링 온도, 60
3 MITF_R GGTCTGGACAGGAGTTGCTG
4 Tyrosinase_F GGCCAGCTTTCAGGCAGAGG 어닐링 온도, 60
5 Tyrosinase_R TGGTGCTTCATGGGCAAAAT
6 TRP1_F TCTGTGAAGGTGTGCAGGAG 어닐링 온도, 60
7 TRP1_R CCGAAACAGAGTGGAAGGTT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높은 MITF, 티로시네이즈, TRP1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멜라닌 형성 인자의 단백질 발현 변화 관찰
멜라닌형성 세포(B16F10 cell line)를 6-웰 배양용 평판에 24시간 배양 후, α-MSH(200 ng/ml) 및 본 펩타이드를 농도별(50, 100 uM)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용해하여 멜라닌 형성에 관여하는 핵심 인자인 MITF(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 및 티로시네이즈(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의 발현을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 방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MITF 및 티로시네이즈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멜라닌 형성 신호 전달 물질 관찰
멜라닌형성 세포 (B16F10 cell line)를 6-웰 배양용 평판에 24시간 배양 후, α-MSH(200 ng/ml) 및 본 펩타이드를 농도별(50, 100 uM)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10분간 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를 용해하여 멜라닌 형성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물질인 CREB의 인산화 정도를 특이적인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 방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CREB 인산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가 α-MSH로 활성화된 MC1R 신호전달 경로를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각질형성세포 활성 및 식균작용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 변화 관찰
인간각질형성세포주(HaCaT)를 6-웰 배양용 평판에 24시간 배양 후 활성을 유도하는 물질인 트립신 및 본 펩타이드를 농도별(100, 200 uM)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16시간 동안 배양된 세포의 RNA 추출 후 cDNA를 제작하였다. 트립신 작용에 의해 활성화된 각질형성세포의 표면 수용체 중 하나인 PAR2 대한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하기 표 3 참조)을 이용하여 PCR하여 각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명명 서열목록(5'->3') 비고
8 PAR2_F TGCTAGCAGCCTCTCTCTCC 어닐링 온도, 60
9 PAR2_R CTTCAAGGGGAACC AGATGA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린 프로테아제인 트립신 처리에 의한 각질세포의 PAR2 활성화에 따라 유전자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처리를 통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PAR2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0: 각질형성세포로의 멜라노좀 유입 억제 확인(분리된 멜라노좀 용)
인간각질형성세포주(HaCaT)를 6-웰 배양용 평판에 24시간 배양하고 무혈청 배양배지에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B16F10)에서 분리한 멜라노좀을 3시간 전처리하고 농도 별 펩타이드(10, 50, 100, 200 uM) 또는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200 uM)을 처리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PBS로 세척하여 유입되지 않은 멜라노좀을 제거하고 각질형성세포를 수집, 침전한 후 얻은 펠렛에 1 M NaOH를 첨가하고 80 오븐에서 펠렛을 용해시킨 후 490 nm에서 OD 값을 측정한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농도별 멜라노좀 유입 억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멜라노마에서 분리한 멜라노좀을 이용하여 각질세포 식균작용 어세이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흡광도 측정을 통해 각질세포 내로 유입된 멜라노좀의 양을 확인한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식균작용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 각질형성세포로의 멜라노좀 유입 억제 확인(분리된 멜라노좀 용)
인간각질형성세포주(HaCaT)를 6-웰 배양용 평판에 24시간 배양하고 무혈청 배양배지에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B16F10)에서 분리한 멜라노좀을 3시간 전처리하고 농도별 펩타이드(10, 50, 100, 200 uM) 또는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200 uM)을 처리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후에 PBS로 세척하여 유입되지 않은 멜라노좀을 제거하고 폰타나-마손 염색(fontana-masson stain) 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멜라노좀 식균작용 억제를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농도별 멜라노좀 유입 억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흑색종에서 분리한 멜라노좀을 이용하여 각질세포 식균작용 어세이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광학현미경 이미지 분석을 통해 각질세포 내로 유입된 멜라노좀의 양을 확인한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농도 의존적인 식균작용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각질형성세포로의 멜라노좀 유입 억제 확인( 생입자 사용)
인간각질형성세포주(HaCaT)를 24-웰 배양용 평판에 24시간 배양하고 0.5% FBS 배양배지에 농도별 펩타이드(100, 200 uM) 또는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200 uM)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Vybrant. Phagocytosis Assay Kit(V-6694)를 사용하여 인간각질형성세포주의 식균작용(phagocytosis) 억제를 형광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농도별 멜라노좀 유입 억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형광-결합 생입자(bioparticles)를 이용하여 각질세포 식균작용 어세이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형광현미경 이미지 분석을 통해 각질세포 내로 유입된 생입자의 양을 확인한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뚜렷한 식균작용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멜라노좀 분해능 관찰
인간각질형성세포주(HaCaT)를 6-웰 배양용 평판에 24시간 배양하고 무혈청 배양배지에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B16F10)에서 분리한 멜라노좀을 48시간 처리한 후 PBS로 세척하여 유입되지 않은 멜라노좀을 제거한고 농도별 펩타이드(100, 200 uM) 또는 양성대조군인 알부틴(200 uM) 및 TGFβ-1을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각질형성세포로 식균작용된 멜라노좀의 분해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를 수집, 침전한 후 얻은 펠렛에 1 M NaOH를 첨가하고 80 오븐에서 펠렛을 용해시킨 후 490 nm에서 OD 값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질세포로 유입된 멜라노좀에 대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분해 촉진 효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4: 생체 내 미백효능 관찰( in vivo )
8주령의 C57BL/6 쥐의 꼬리에 리포좀화된 펩타이드(5,000 ppm) 및 양성대조군인 알부틴을 하루에 한 번씩 도포하여 약 8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종료 후에 쥐를 희생하여 꼬리피부조직을 적출하고 이를 파라핀으로 포매하여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그 다음, 파라핀 절편으로 만들어 폰타나-마손 염색(fontana-masson stain)하여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14a 내지 도 14c에 나타내었다.
도 14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8주간 도포 실험을 진행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한 리포좀 처리군의 꼬리 색이 밝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4b 및 도 14c의 F&M 염색을 통한 멜라닌 분포 확인 결과, 대조군 표피의 기저층에 분포된 멜라닌에 비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처리군의 분포량이 현저히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9)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티로시네이즈(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멜라닌 형성에 관여하는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형성에 관여하는 인자는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TRP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및 PAR2(proteinase-activated receptor 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멜라닌 형성에 관여하는 신호전달물질인인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멜라노좀 이동(melanosome transfer)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멜라노좀 분해 촉진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CT/KR2017/004499 2017-04-27 2017-04-27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81993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17761001T ES2896154T3 (es) 2017-04-27 2017-04-27 Péptido que tiene actividad blanqueadora de la piel y uso del mismo
JP2017545256A JP6787911B2 (ja) 2017-04-27 2017-04-27 皮膚美白活性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BR112017018828-7A BR112017018828B1 (pt) 2017-04-27 2017-04-27 Peptídeo possuindo atividade de clareamento da pele, seus usos e composição de clareamento de pele
PCT/KR2017/004499 WO2018199358A1 (ko) 2017-04-27 2017-04-27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EP17761001.1A EP3412275B1 (en) 2017-04-27 2017-04-27 Peptide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and use thereof
US15/554,067 US10695279B2 (en) 2017-04-27 2017-04-27 Peptide having skin-whitening activity and use thereof
CN201780000936.6A CN109152718B (zh) 2017-04-27 2017-04-27 具有皮肤美白活性的肽及其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4499 WO2018199358A1 (ko) 2017-04-27 2017-04-27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358A1 true WO2018199358A1 (ko) 2018-11-01

Family

ID=6391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499 WO2018199358A1 (ko) 2017-04-27 2017-04-27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95279B2 (ko)
EP (1) EP3412275B1 (ko)
JP (1) JP6787911B2 (ko)
CN (1) CN109152718B (ko)
BR (1) BR112017018828B1 (ko)
ES (1) ES2896154T3 (ko)
WO (1) WO20181993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820A1 (ko) * 2022-11-18 2024-05-23 (주)케어젠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432B1 (ko) * 2019-08-20 2021-06-15 주식회사 케어젠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N111671741A (zh) * 2020-07-29 2020-09-18 河南中医药大学 一种化合物hss-8的医药用途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6891A (en) 1992-06-16 1996-05-14 Kinerton, Ltd. Liquid phase synthesis of peptides and peptide derivatives
KR100837517B1 (ko) * 2002-03-26 2008-06-12 (주)아모레퍼시픽 멜라닌 생성 억제 펩티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94296A (ko) * 2007-04-19 2008-10-23 (주)케어젠 Tgfp-cap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342485B1 (ko) * 2012-02-29 2013-12-17 미원상사주식회사 트리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주름개선, 미백 및 항염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6188A (ko) * 2012-08-24 2014-03-05 애경산업(주) 천연유래물질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140140396A (ko) * 2013-05-29 2014-12-09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073821A (ko) * 2015-12-18 2017-06-29 (주)케어젠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70073822A (ko) * 2015-12-18 2017-06-29 (주)케어젠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9012042A (es) * 2007-05-11 2009-12-01 Sigma Tau Ind Farmaceuti Gel util para el suministro de ingredientes activos cosmeticos.
WO2010119997A1 (ko) * 2009-04-14 2010-10-21 (주)케어젠 형질전환 성장인자의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20110012148A (ko) 2009-07-30 2011-0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펩타이드가 결합된 하이드록시 시나믹산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167285B1 (ko) * 2011-11-18 2012-07-23 에이앤펩주식회사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EP2990027A1 (en) * 2014-09-01 2016-03-02 Institut Curie Skin whitening peptide agents
KR101572606B1 (ko) * 2014-11-24 2015-11-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Sfrp5 유래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6891A (en) 1992-06-16 1996-05-14 Kinerton, Ltd. Liquid phase synthesis of peptides and peptide derivatives
KR100837517B1 (ko) * 2002-03-26 2008-06-12 (주)아모레퍼시픽 멜라닌 생성 억제 펩티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94296A (ko) * 2007-04-19 2008-10-23 (주)케어젠 Tgfp-cap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342485B1 (ko) * 2012-02-29 2013-12-17 미원상사주식회사 트리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주름개선, 미백 및 항염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6188A (ko) * 2012-08-24 2014-03-05 애경산업(주) 천연유래물질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140140396A (ko) * 2013-05-29 2014-12-09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073821A (ko) * 2015-12-18 2017-06-29 (주)케어젠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70073822A (ko) * 2015-12-18 2017-06-29 (주)케어젠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ERRIFIELD, J. AMER. CHEM. SOC., vol. 85, 1963, pages 2149 - 54
See also references of EP3412275A4
STEWART ET AL.: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vol. 111, 1984, PIERCE CHEM. CO.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2, no. 7, 14 February 1997 (1997-02-14), pages 3967 - 397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820A1 (ko) * 2022-11-18 2024-05-23 (주)케어젠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2275B1 (en) 2021-08-04
JP6787911B2 (ja) 2020-11-25
EP3412275A4 (en) 2019-07-17
CN109152718B (zh) 2021-08-06
EP3412275A1 (en) 2018-12-12
ES2896154T3 (es) 2022-02-24
BR112017018828A2 (pt) 2018-12-26
CN109152718A (zh) 2019-01-04
US10695279B2 (en) 2020-06-30
BR112017018828B1 (pt) 2022-10-11
US20190328642A1 (en) 2019-10-31
JP2019524635A (ja)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05161A2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7155232A2 (ko) 발모 촉진 활성 및/또는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EP1940866B1 (en) Peptides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improving wrinkle an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KR101958207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7142254A1 (ko) 발모 및/또는 육모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7142264A1 (ko)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8199358A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U2694400A (en) Novel cyclic tetrapeptid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as drugs
WO2017142305A1 (ko) 발모 촉진 활성 및/또는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6088968A1 (ko) 피부상태 개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363455B1 (ko)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활성 억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9045248A2 (ko)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1153946A1 (ko)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EP2420510B1 (en) Nicotinoyl peptide derivative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18216884A1 (ko)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70073822A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041390B1 (ko) 엑티빈 a―유래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WO2018151352A1 (ko) 살리실산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JP2020158524A (ja) 皮膚美白活性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KR102016658B1 (ko) 살리실산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WO2020226419A2 (ko) 트롤록스-펩타이드 결합체 및 그의 용도
WO2016006744A1 (ko) 세포 내 분자 전송 펩티드를 이용한 경피 전달용 펩티드-sirna 복합체 및 이의 용도
OA19296A (en) Conjugate of salicylic acid and pept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4525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610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610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7018828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7018828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7090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