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66911A1 -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66911A1
WO2018066911A1 PCT/KR2017/010908 KR2017010908W WO2018066911A1 WO 2018066911 A1 WO2018066911 A1 WO 2018066911A1 KR 2017010908 W KR2017010908 W KR 2017010908W WO 2018066911 A1 WO2018066911 A1 WO 20180669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asket
substrate
rear body
lens barrel
fro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9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8066911A8 (ko
Inventor
박제경
문다힌
전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288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1804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2889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18045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339,66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40300B2/en
Priority to JP2019518258A priority patent/JP7178993B2/ja
Priority to EP17858705.1A priority patent/EP3525444B1/en
Priority to CN201780061817.1A priority patent/CN109792483B/zh
Publication of WO20180669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6911A1/ko
Publication of WO2018066911A8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6911A8/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며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내구성, 방수성(기밀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나아가 열화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방열성도 확보되어야 한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렌즈배럴이 위치하는 프런트바디와 내부에 기판부(PCB, Printed Circuit Board) 및 이미지 센서 등 전자부품이 위치하는 리어바디가 결합된 형태이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재질로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금속 재질의 경우, 가격이 비싸고(플라스틱의 약 10배), 커버와 바디를 스크류 체결하므로 이를 위한 스크류홈이 추가로 필요하여 기판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플라스틱 재질은 재료비가 저가이고,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를 융착하여 결합하므로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한 하우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은, 커버와 바디의 융착 부분에 결로가 발생하여 내부 침습(浸濕)에 의해 고가의 전자 부품이 고장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런트바디와 내부에 전자부품(예를 들면, 기판유닛)이 수용되는 리어바디가 결합하여 제작된다. 외장부재인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의 결합시 스크류 결합방식이 이용된다. 스크류 결합방식은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에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 체결공간을 요한다.
따라서 리어바디의 내부에 기판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나아가 금속재질을 사용하면, 재료비(플라스틱의 약 10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제1실시예는 전자부품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침습(浸濕)과 결로(結露, Dewing)를 차단하여 전자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제2실시예는 내부에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내부공간의 기밀성을 확보하여 방수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며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하단이 상단보다 들어간 단차가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단차의 하단을 감쌀 수 있다.
상기 리어바디에는 상기 리어바디의 내부로 돌출된 가스켓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가스켓지지부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상기 평면에는 상기 융착부를 수용하는 융착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융착부는 레이저 융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융착부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가스켓의 표면의 최단거리는 2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링형태이고, 고무재질일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은, 프런트바디와 가스켓을 결합하는 단계; 리어바디에 기판부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를 정렬하여 밀착하는 단계;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를 융착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는 상기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결합하는 프런트바디; 후방면과 상기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벽부에 의해 전방의 개구와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여 상기 프런트바디에 의해 전방의 개구가 폐쇄되는 리어바디; 상기 리어바디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기판유닛; 전방면이 상기 프런트바디의 후방면과 접하며, 후방면이 상기 리어바디의 측벽부의 전방면과 접하여 상기 리어바디와 상기 프런트바디의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바디는, 상기 측벽부의 전방면의 일부분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바디는, 후방면에 상기 제1리브가 수용되는 제1리브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브와 상기 제1리브홈의 융착에 의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는, 전방 부분이 상기 제1리브홈에 수용되어 융착되고, 후방 부분의 내측면은 상기 가스켓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는, 제1측벽과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을 연결하는 제1코너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브는 상기 제1코너측벽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코너측벽을 따라 만곡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제1측변과 제2측변; 상기 제1측변과 상기 제2측변을 연결하는 제1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너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리브와 대응되게 만곡되어 상기 제1리브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1측변과 상기 제2측변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부는 상기 제1가스켓코너부의 일측은 상기 제1측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스켓코너부의 타측은 상기 제2측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내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의 재질은,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의 전방면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리브홈이 융착될 수 있다.
상기 리브의 전방면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분과 상기 가스켓의 최단거리는 2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판유닛은, 적어도 1 이상의 기판;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쉴드캔; 상기 렌즈배럴의 광축방향과 정렬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된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에 의하면 플라스틱 재질의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가 융착에 의해 결합하므로 내부공간이 넓어 충분한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나아가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압착되는 가스켓이 추가되므로 침습(浸濕)과 결로(結露, Dewing)를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가스켓의 표면과 융착부간에 안전거리를 확보되므로, 융착시 가스켓이 열화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리어바디와 프런트바디가 융착에 의해 결합하므로 스크류 체결을 위한 추가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또, 부분융착을 적용함에 따라 리어바디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가스켓의 배치구조에 의해 기밀성도 확보하여 방수성을 향상하였다.
도 1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하우징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하우징이 융착되는 것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제1실시예의 기판부와 쉴드캔과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하우징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하우징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렌즈배럴과 프런트바디와 가스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제2실시예의 프런트바디와 가스켓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제2실시예의 기판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제2실시예의 리어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제2실시예의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와 가스켓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비교례의 리어바디와 본 제2실시예의 리어바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상하 방향"은 도면에서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상방"은 X축의 화살표 방향이다. 또, "좌우 방향"은 도면에서 도시된 Y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좌측"은 Y축의 화살표 방향이다. 또, "전후 방향"은 도면에서 도시된 Z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후방"은 Z축의 화살표 방향이다. 또, "광축 방향"은, 렌즈배럴(100)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전후 방향", Z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과 카메라 하우징(1100)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하우징(1100)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하우징(1100)이 레이저 융착되는 것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제1실시예의 기판부(500)와 쉴드캔(600)과 커넥터(7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배럴(100), 프런트바디(200), 가스켓(300), 이미지센서(400), 기판부(500), 쉴드캔(600), 커넥터(700) 및 리어바디(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1100)은 프런트바디(200), 가스켓(300) 및 리어바디(8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후술하는 프런트바디(200)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프런트바디(200)의 렌즈배럴수용부(210)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렌즈배럴수용부(210)의 렌즈배럴홀(211)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렌즈배럴수용부(210)의 렌즈배럴홀(211)에 수용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렌즈배럴수용부(210)와 나사결합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배럴(100)은 광축을 가질 수 있다. 렌즈배럴(100)을 통과한 광은 후술하는 이미지센서(400)에 조사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외장재로 카메라 하우징(1100)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후술하는 리어바디(8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리어바디(800)의 개구(810)를 덮을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레이저 투과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레이저 투과성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에 카본 또는 금속이 추가되면 방열성, 내구성, 전자기차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카본 또는 금속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과 카본 또는 금속의 비율을 적절히 트레이드 오프(trade-off)해야 한다.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는 융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융착은 가압 상태에서 레이저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에는 렌즈배럴(100)이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에는 가스켓(300)이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렌즈배럴수용부(210), 평면(220) 및 플랜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와 평면(220)과 플랜지부(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에는 렌즈배럴홀(211)이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는 중공의 원통형태로 중앙에는 이를 관통하는 렌즈배럴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배럴홀(211)에는 렌즈배럴(100)이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의 후방부에는 평면(220)이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와 평면(220)은 플라스틱 또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사출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220)은 렌즈배럴수용부(210)의 후방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평면(220)은 후술하는 융착부(8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22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중앙에는 렌즈배럴수용부(210)에서 연장된 렌즈배럴홀(2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렌즈배럴홀(211)은 렌즈배럴수용부(210)와 평면(220)을 관통할 수 있다. 평면(220)은 후술하는 리어바디(8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평면(220)은 리어바디(800)를 커버하여(덮어) 리어바디(800)의 개구(810)를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은 개구(810)를 통해 렌즈배럴홀(211)과 연통될 수 있다. 다만, 평면(220)의 형태가 상술한 플레이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평면(220)의 형태로는, 리어바디(800)를 커버하고, 렌즈배럴홀(211)과 연통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든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220)은 "커버부재"로 호칭될 수 있다.
평면(220)은 융착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220)의 후방면 외측 둘레를 따라 융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융착홈(221)은 후술하는 리어바디(800)의 융착부(830)와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융착홈(221)의 파인 형상은 융착부(830)와 일치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융착홈(221)에는 융착부(830)가 수용될 수 있다. 융착홈(221)의 내측면과 융착부(830)의 외측면은 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후술하는 레이저 융착이 이루어져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가 결합할 수 있다.
플랜지부(230)는 평면(2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부(230)는 중공이고, 높이가 낮은 사면체 형태로 중앙에는 이를 관통하는 렌즈배럴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배럴홀(211)은 렌즈배럴수용부(210), 평면(220) 및 플랜지부(230)를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즉, 렌즈배럴홀(211)은 프런트바디(200)에 코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은 개구(810)를 통해 렌즈배럴홀(211)과 연통될 수 있다. 플랜지부(230)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230)에는 하단(후방단)이 상단(전방단)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단차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부(230)에는 가스켓(300)이 끼임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230)는 링 형태의 가스켓(300)을 관통할 수 있고, 플랜지부(2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가스켓(300)이 위치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에 가스켓(3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의 측면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을 감쌀 수 있다. 나아가 가스켓(300)의 윗면은 전방단의 아랫면과 접할 수 있다.
가스켓(300)은 카메라 하우징(1100)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가스켓(300)은 탄성재질일 수 있다. 가스켓(300)은 고무재질일 수 있다. 가스켓(300)은 사각의 링형태로 플랜지부(230)에 끼임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230)는 가스켓(300)을 관통할 수 있다. 나아가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의 전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방단의 후방면과 접할 수 있다. 가스켓(300)은 프런트커버(200)와 리어바디(800)의 결합시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의 후방면은 후술하는 프런트바디(800)의 가스켓지지부(840)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의 결합 후 가스켓(300)의 전방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방단의 후방면과 접하고, 가스켓(300)의 후방면은 가스켓지지부(840)와 접하고, 가스켓(300)의 외측면은 바디(800)의 내측면과 접하고, 가스켓(300)의 내측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300)은 리어바디(800)를 밀폐할 수 있다. 나아가 프런트커버(200)와 리어바디(800)는 전후방향으로 결합하므로, 가스켓(300)은 특히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과 가스켓지지부(840)의 결합압력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스켓(300)의 밀폐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후술하는 기판부(5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기판부(500)의 전방부에 위치한 제1기판(510)의 전방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렌즈배럴(100)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센서(400)는 렌즈배럴(100)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센서(400)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센서(40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부(500)는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부(500)는 프런트바디(200)나 리어바디(800)와 스크류결합하여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부(500)는 프런트바디(200)나 리어바디(800)와 접착하여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부(500)는 후술하는 쉴드캔(600)에 감싸여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부(500)의 전방단에는 이미지센서(400)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부(500)의 후방단에는 커넥터(700)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부(500)는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제1기판(510), 제3기판(530) 및 제1기판(510)과 제3기판(530)을 연결하는 제2기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제3기판(530)과 이격되어 기판부(500)의 최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제3기판(530)과 제2기판(5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윗면에는 이미지센서(400)가 실장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쉴드캔(6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510)의 네변은 쉴드캔(6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후술하는 측면캔(610)의 제1기판지지부(6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윗부분은 제1기판지지부(611)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프런트바디(200)의 후방부와 스크류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프런트바디(200)의 후방부에 접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전방면에는 이미지센서(400)가 실장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는 호 또는 원 형태로 파인 스크류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미도시)는 스크류홈(511)을 관통하여 제1기판(510)을 프런트바디(200)의 후방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스크류의 결합압력에 의해서 프런트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카메라 모듈(1000)을 전자제어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네 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접지단(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기판(510)의 잔류전자기는 쉴드캔(600)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제2기판(520)은 제1기판(510)과 제3기판(530) 사이에 위치하여 제1기판(510)과 제3기판(530)을 연결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의 전자제어를 위해서는 일정 면적 이상의 기판이 필요하나 차량용 카메라의 설계상 요청에 의해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의 단면은 이보다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기판(510)과 제3기판(530)과 같이, 복수 개의 기판을 적층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복수 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2기판(520)과 같은 연결기판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는 스크류가 아닌 레이저 융착에 의해 결합하므로 기판부(5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을 최대한으로 마련할 수 있다. 제2기판(520)은 전후방향으로 세워진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그 결과, 제2기판(520)의 전방변에는 만곡된 제1기판연결부(521)가 위치하고, 제2기판(520)의 후방변에는 만곡된 제3기판연결부(52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기판연결부(521)는 제1기판(510)의 아래에 위치한 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연결부(521)의 단자와 제1기판(510)의 아래에 위치한 변에 배치된 단자가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기판연결부(522)는 제3기판(530)의 아래에 위치한 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기판연결부(522)의 단자와 제3기판(530)의 아래에 위치한 변에 배치된 단자가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520)은 후술하는 측면캔(610)의 제2기판걸림부(612)를 외측(아래)으로 넘어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판은(520)의 내측 이동은 제2기판걸림부(61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제1기판(510)과 이격되어 기판부(500)의 최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3기판(530)의 아랫면에는 후술하는 커넥터(700)가 실장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쉴드캔(6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기판(530)의 네 변은 쉴드캔(6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제3기판돌출부(531)가 후술하는 측면캔(610)의 제3기판걸림홈(613)에 끼워져, 측면캔(6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기판돌출부(531)는 제1기판(510)의 우측변과 좌측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돌기형태일 수 있다. 제3기판돌출부(531)는 제3기판걸림홀(613)에 삽입되어 제3기판(530)에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카메라 모듈(1000)을 전자제어할 수 있다. 제3기판(530)의 네 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접지단(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제3기판(530)의 잔류전자기는 쉴드캔(600)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쉴드캔(600)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쉴드캔(60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쉴드캔(600)의 내부에는 기판부(500)가 수용될 수 있다. 쉴드캔(600)의 내부의 최상부에는 기판부(500)에 실장된 이미지센서(400)가 위치할 수 있다. 쉴드캔(600)의 후방부에는 쉴드캔(600)의 후방면을 관통하는 커넥터(700)가 위치할 수 있다. 쉴드캔(600)은 전방이 개방된 블럭 형태일 수 있다. 그 결과, 렌즈배럴(100)을 투과한 광은 이미지센서(400)에 조사될 수 있다. 쉴드캔(600)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쉴드캔(600)은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쉴드캔(600)은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쉴드캔(600)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기판부(5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부(500)는 쉴드캔(600)에 접지되어 있으므로 기판부(500)에 남아있는 잔류전자기는 쉴드캔(60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 결과, 기판부(500)는 전자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쉴드캔(6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쉴드캔(600)은 측면캔(610)과 후방캔(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캔(610)과 후방캔(620)은 조립될 수 있다. 다만, 측면캔(610)과 후방캔(620)은 일체로 형성(미도시)될 수도 있다.
측면캔(610)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캔(61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측면캔(610)의 후방에는 후방캔(620)이 위치할 수 있다. 측면캔(610)의 내부에는 기판부(500)가 수용될 수 있다. 측면캔(610)은 중공의 직육면체일 수 있다. 측면캔(610)의 전방과 후방은 개방될 수 있다. 그 결과, 측면캔(610)은 쉴드캔(6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캔(610)의 윗방향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기판지지부(61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기판지지부(611)는 제1기판(510)의 후방면의 윗부분과 접하여 제1기판(510)을 지지할 수 있다. 측면캔(610)의 아래에 위치한 면부분에는 제2기판걸림부(61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기판걸림부(612)는 측면캔(610)의 다른면보다 단면적이 작을 수 있다. 즉, 제2기판걸리부(612)는 평면형태의 바(Bar)일 수 있다. 제2기판걸림부(612)의 외측(아래방향)에는 제2기판(520)이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시의 외력에 의해 제2기판(520)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제2기판걸림부(612)에 걸려 제동될 수 있다. 측면캔(6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제3기판걸림홀(613)과 후방캔걸림홀(6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3기판걸림홀(613)의 형상은 상술한 제3기판돌출부(531)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3기판돌출부(531)는 제3기판걸림홀(613)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기판(530)은 측면캔(6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3기판걸림홀(613)의 위상은 제1기판지지부(611)의 위상보다 낮으므로 제3기판(530) 제1기판(5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캔걸림홀(614)의 형상은 후술하는 후방캔돌출부(621)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캔돌출부(621)는 후방캔걸림홀(614)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후방캔(620)은 측면캔(610)에 조립되어 측면캔(61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제3기판걸림홀(613)과 후방캔걸림홀(6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캔(620)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캔(62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후방캔(620)의 전방에는 측면캔(610)이 위치할 수 있다. 후방캔(620)의 후방에는 후방캔(620)의 후방면을 관통한 커넥터(700)가 위치할 수 있다. 후방캔(620)의 후방면에는 커넥터관통홀(622)이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700)는 커넥터관통홀(622)을 통해 후방캔(620)의 후방면을 관통할 수 있다. 후방캔(620)은 평판플레이트와 이의 네변 각각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캔(620)의 전방부와 전후 방향 모서리는 개방될 수 있다. 후방캔(620)의 좌우 측면 상단 중앙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후방캔돌출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캔돌출부(621)는 후방캔걸림홀(61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캔(620)의 측면은 측면캔(610)에 고정되어 측면캔(610)의 후방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방캔(620)은 쉴드캔(600)의 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700)는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700)는 기판부(500)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700)는 제3기판(530)의 후방면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700)는 원통 형태로 전면에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700)의 단자는 제3기판(530)의 후방면에 형성된 단자와 솔더링되어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700)는 커넥터관통홀(622)을 통해 후방캔(620)을 관통할 수 있다. 후방캔(620)을 관통한 커넥터(700)는 후술하는 리어바디(800)의 커넥터수용부(850)에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700)는 케이블(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은 외부의 전자기기와 카메라 모듈(1000)을 연결하는 도전라인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에서 출력된 이미지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이 촬영한 이미지신호는 외부의 전자기기에 의해 저장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 외부의 전자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 모듈(10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외부의 전자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 모듈(1000)에 제어신호를 보내 카메라 모듈(1000)을 제어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외장재로 카메라 하우징(1100)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후술하는 프런트바디(2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벽(820)에 의해 전방이 개구된 중공의 직육면체형태일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개구(810)는 프런트바디(2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다만, 프런트바디(200)의 렌즈배럴홀(211)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레이저 흡수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레이저 흡수성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와 프런트바디(200)는 융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융착은 가압 상태에서 레이저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는 프런트바디(200)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프런트바디(200)의 일부분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런트바디(200)의 플랜지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300)의 내측면은 플랜지부(230)와 접하고, 가스켓(30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측벽(820)의 전방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은 가스켓(3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측벽(820)의 전면의 내측에는, 측벽(820) 둘레를 따라 위로 돌출된, 융착부(830)가 위치할 수 있다. 융착부(830)는 직육면체가 측벽(8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융착부(830)는 융착홈(221)과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융착부(830)는 리어바디(800)와 프런트바디(200)의 결합시 융착홈(221)에 수용될 수 있다.
리어바디(800)에는 리어바디(800)의 내부로 돌출된 가스켓지지부(840)가 위치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측벽(82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스켓지지부(840)가 위치할 수 있다. 가스켓지지부(840)는 단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가스켓지지부(840)는 가스켓(300)의 후면과 접하여 가스켓(30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300)의 전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의 후면과 접하고, 가스켓(300)의 후방면은 가스켓지지부(840)의 전방면과 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바디(800)와 프런트바디(200)는 가압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결합시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과 가스켓지지부(84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에는 전후방 압착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의 팽창압력이 발생한다. 가스켓(300)의 내측면은 플랜지부(230)와 접하고, 가스켓(300)의 외측면은 측벽(820)의 전방부 내측면과 접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상술한 상하좌우 방향 팽창압력에 의해 가스켓(300)의 접합력이 향상된다. 그 결과, 가스켓(300)의 밀폐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후방면에는 커넥터수용부(850)가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수용부(850)는 리어바디(800)의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커넥터수용부(850)에는 커넥터(700)가 수용되어 외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융착부(830)에는 레이저조사부(860)가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지만 레이저융착기(90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광은 평면(220)을 투과하여 융착부(830)에 조사된다. 레이저조사부(860)는 융착부(830)에서 평면(220)을 투과한 레이저광이 최초로 도달하는 지점이다. 좀 더 상세하게 레이저조사부(860)의 위치를 특정하면, 융착부(830)의 전면에서 폭 방향 중앙지점일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레이저융착기(900)는 융착부(830)를 따라 이동하면서 레이저광을 조사하므로 융착부(830)의 전면에서 융착부(830)를 따라 위치하는 융착부(830)의 폭방향 중앙지점일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860)에 조사된 레이저광은 융착부(830)를 가열하여 융착부(830)와 융착부(830)에 대향하는 평면(2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융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융착부(830)와 융착홈(221)일 수 있다. 이러한 융착은 융착부(830)의 레이저조사부(860)와 융착홈(221)에서 레이저조사부(860)와 대향하는 지점에서부터 시작된다.
한편, 레이저 융착이란 레이저광을 투과재(본 발명에서는 평면(220), 좀 더 상세하게는 융착홈(221))에 조사하면 레이저광이 흡수재(본 발명에서는 융착부(830))로 투과되어 발열한다. 이 경우, 흡수재의 용융열이 투과재의 표면을 가열 용융하게 되어 투과재와 흡수재의 소재가 서로 용융되면서 양재료가 융합된다. 나아가 이러한 과정이 가압상태에서 진행되면 융착 강도가 높아진다.
레이저융착과정 중 레이저조사부(860)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근의 가스켓(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가스켓(300)은 탄성고무재질로 내열성이 떨어진다. 그 결과, 가스켓(300)이 열화에 의해 손상되어 밀폐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조사부(860)와 가스켓(300)의 표면의 최단거리(a, 도 4 참조)는 2mm 이상일 수 있다. 즉, 융착부(830)의 단차를 확보하여 가스켓(300)이 열화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하,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의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도 7, 도 8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의 제조 방법은 프런트바디(200)와 가스켓(300)을 결합하는 단계(S1, 제1단계)와 리어바디(800)에 기판부(500)를 수용하는 단계(S2, 제2단계)와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를 정렬하여 밀착시키는 단계(S3, 제3단계)와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를 융착하여 카메라 모듈(1000)을 제조하는 단계(S4,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1단계(S1)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단계(S1)는 커버(200)에 가스켓(300)을 결합하는 단계로 플랜지부(230)에 가스켓(300)을 끼임결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단에 가스켓(300)을 끼임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플랜지부(230)에 진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랜지부(230)는 가스켓(300)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단의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300)의 내측면은 플랜지부(23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 또, 가스켓(300)의 전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의 후방면에 접할 수 있다.
제2단계(S2)는 리어바디(800)에 기판부(500)를 수용하는 단계로,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기판부(500)를 내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부(500)는 리어바디(800)와 끼임결합할 수 있다. 또, 기판부(500)는 리어바디(800)와 접착할 수 있다. 또, 기판부(500)를 인서트몰딩하여 기판부(500)가 밀착된 리어바디(800)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서는 기판부(500)가 프런트바디(200)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단계(S2)는 프런트바디(200)에 기판부(500)를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7은 제3단계(S3)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3단계(S3)는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를 정렬하여 밀착시키는 단계로, 우선, 프런트바디(200)의 융착홈(221)과 리어바디(800)의 융착부(830)가 대향하도록 정렬시킨다. 그 후, 프런트바디(200) 및/또는 리어바디(8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리어바디(800)의 융착부(830)가 프런트바디(200)의 융착홈(221)에 삽입되어 끼임결합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런트바디(200)는 리어바디(800)의 개구(810)를 커버할 수 있다. 또, 융착부(830)는 융착홈(221)에 접할 수 있다. 또, 가스켓(30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측면(820)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또, 가스켓(300)의 후면은 리바디(800)의 가스켓지지부(840)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은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의 결합압력에 영향받는다. 즉, 가스켓(300)은 평면(220)의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과 가스켓지지부(84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도 8은 제4단계(S4)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4단계(S4)는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를 레이저융착시키는 단계이다. 레이저융착기(900)는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High Power Diode Laser, HPDL)를 출사할 수 있다. 레이저융착기(90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레이저를 출사할 수 있다. 레이저융착기(900)는 프런트바디(200)의 전방에서 레이저를 출사할 수 있다. 레이저융착기(900)는 융착부(830)를 따라 이동하면서 레이저를 출사할 수 있다. 레이저광은 프런트바디(200)를 투과하여 융착부(830)의 레이저조사부(860)에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융착부(830)와 이와 대향하는 평면(220)(본 실시예에서는, 융착홈(221))은 융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0)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렌즈배럴과 프런트바디와 가스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제2실시예의 프런트바디와 가스켓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제2실시예의 기판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제2실시예의 리어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제2실시예의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와 가스켓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비교례의 리어바디와 본 제2실시예의 리어바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0)은 렌즈배럴(2100), 프런트바디(2200), 가스켓(2300), 기판유닛(2400) 및 리어바디(25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210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렌즈배럴(2100)은 광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는 렌즈배럴(2100)과 나사결합하거나 접착되어 정렬될 수 있다. 렌즈가 복수개인 경우, 렌즈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배럴(2100)은 광축을 가질 수 있다. 렌즈배럴(2100)은 프런트바디(2200)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2100)은 프런트바디(2200)의 렌즈배럴홀더(2210)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배럴(2100)은 렌즈배럴홀더(2210)에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 렌즈배럴(2100)은 렌즈배럴홀더(2210)의 렌즈배럴홀더홀(2211)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배럴(2100)의 외측면은 렌즈배럴홀더홀(2211)과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배럴(2100)은 렌즈배럴홀더홀(2211)과 나사결합하거나 접착할 수 있다. 다만, 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렌즈배럴(2100)이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직접 렌즈배럴홀더홀(2211)과 나사결합하거나 접착할 수 있다. 렌즈배럴(2100)을 통과한 광은 후술하는 이미지센서(2400)에 조사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배럴(2100)과 결합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는 리어바디(25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는 리어바디(25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런트바디(2200)는 리어바디(2500)의 개구(2510)를 덮을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는 레이저 투과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레이저 투과성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에 카본 또는 금속이 추가되면 방열성, 내구성, 전자기차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카본 또는 금속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프런트바디(2200)의 재질을 선택시, 플라스틱과 카본 또는 금속의 비율을 적절히 트레이드 오프(trade-off)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는 융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융착은 가압 상태에서 레이저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의 후방에는 가스켓(23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런트바디(2200)의 후방면과 가스켓(2300)의 전방면이 접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는 렌즈배럴홀더(2210), 플랜지부(2220) 및 가스켓홀더(2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배럴홀더(2210), 플랜지부(2220) 및 가스켓홀더(2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배럴홀더(2210)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내부에는 렌즈배럴홀(2211)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배럴홀더(2210)에는 렌즈배럴(2100)이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배럴(2100)의 외측면과 렌즈배럴홀(2211)의 내측면이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렌즈배럴홀더(2210)의 후방에는 플랜지부(222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2220)은 렌즈배럴수용부(2210)의 후방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플랜지부(2220)는 렌즈배럴홀(2211)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플랜지부(2220)의 중앙에는 렌즈배럴홀(2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랜지부(2220)까지 렌즈배럴홀(2211)이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부(2220)는 플레이트형태일 수 있다. 플랜지부(2220)는 사각 플레이트형태일 수 있다. 플랜지부(2220)는 리어바디(25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2220)는 블럭 형태의 리어바디(2500)의 개구(2590)를 폐쇄할 수 있다. 플랜지부(2220)의 후방에는 가스켓홀더(223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2220)의 형태가 상술한 플레이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플랜지부(2220)는, 리어바디(2500)를 커버하고 렌즈배럴홀(2211)이 관통된 형태이기만 하면 어떠한 형태든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2220)는 "커버부재"로 호칭될 수 있다.
플랜지부(2200)의 후방면에는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은 플랜지부(2200)의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파인 홈일 수 있다.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은 플랜지부(2200)의 후방면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은 플랜지부(2200)의 코너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 각각에는 이와 대향하는 각각의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 각각은 이와 대향하는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과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융착에 의해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가 결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과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전방 부분의 융착에 의해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가 결합할 수 있다.
플랜지부(2200)의 중심에는 렌즈배럴홀(2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 플랜지부(2200)의 후방면에는 렌즈배럴홀(2211)의 외측으로 렌즈배럴홀(2211)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된 사각링 형태의 가스켓홀더(223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배럴(2100)을 투과한 광은 렌즈배럴홀(2211)과 가스켓홀더(2230)의 내측을 차례로 지나 후술하는 기판유닛(2400)의 제1기판(2430)에 실장된 이미지센서(2410)에 조사될 수 있다.
가스켓홀더(2230)는 플랜지부(2200)의 후방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스켓홀더(2230)는 중공의 사각링형태로 플랜지부(2200)의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가스켓홀더(2230)의 내측에는 렌즈배럴홀(2211)이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홀더(2230)에는 후술하는 가스켓(2300)이 끼임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홀더(2230)는 가스켓(2300)을 관통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와 가스켓(2300)의 결합시, 가스켓홀더(2230)의 외측면과 가스켓(2300)의 내측면은 접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2220)의 후방면과 가스켓(2300)의 윗면은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은 가스켓(2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2300)은 탄성재질일 수 있다. 가스켓(2300)은 고무재질일 수 있다. 가스켓(2300)은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0)은 가스켓(2300)에 의해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의 기밀성(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리어바디(2500)에 내장되는 기판부(2400)가 보호받을 수 있다.
가스켓(2300)은 제1,2,3,4측변(2310,2320,2330,2340)과 이를 연결하는 제1,2,3,4코너부(2311,2321,2331,2341)을 포함하는 사각링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2,3,4측변(2310,2320,2330,2340)과 이를 연결하는 제1,2,3,4코너부(2311,2321,2331,2341)는 제1,2,3,4,5,6,7,8연결부(2312,2313,2322,2323,2332,2333,2342,234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2측변(2310,2320)은 가스켓(2300)의 상측과 좌측에 배치되는 변일 수 있다. 제1,2측변(2310,2320)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2측변(2310,2320)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2측변(2310,2320)의 사이에는 제1가스켓코너부(2311)가 배치되어 코너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스켓코너부(2311)는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1가스켓코너부(2311)는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1가스켓코너부(2311)는 제1연결부(2312)에 의해 제1측변(23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가스켓코너부(2311)는 제2연결부(2313)에 의해 제2측변(2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2연결부(2312,2313)는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가스켓코너부(2311)는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되고, 제1가스켓코너부(2311)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제1측변(23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2312)에 의해 제1측변(2310)과 연결될 수 있고, 제1가스켓코너부(23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제2측변(232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2313)에 의해 제2측변(2320)과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연결부(2312)와 제2연결부(2313)는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코너부(2311)는 사각링 형태의 가스켓(2300)의 한쪽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들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으로 들어간 제1코너부(2311)와 내측으로 연장된 제1,2연결부(2312,23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후술하는 제1리브(2550)의 후방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코너부(2311)의 외측면과 제1리브(2550)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코너부(2311)의 외측면과 제1리브(2550)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은 대응되게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의 결합시 제1코너부(2311)는 제1리브(2550)에 의해 커버되고, 제1,2측변(2310,2320)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3측변(2320,2330)은 가스켓(2300)의 좌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변일 수 있다. 제2,3측변(2320,2330)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3측변(2320,2330)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3측변(2320,2330)의 사이에는 제2가스켓코너부(2321)가 배치되어 코너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가스켓코너부(2321)는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2가스켓코너부(2321)는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2가스켓코너부(2321)는 제3연결부(2322)에 의해 제2측변(2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가스켓코너부(2321)는 제4연결부(2313)에 의해 제3측변(23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4연결부(2322,2323)는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2가스켓코너부(2321)는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되고, 제2가스켓코너부(232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제2측변(232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3연결부(2322)에 의해 제2측변(2320)과 연결될 수 있고, 제2가스켓코너부(2321)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제2측변(232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4연결부(2323)에 의해 제3측변(2330)과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3연결부(2322)와 제4연결부(2323)는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코너부(2321)는 사각링 형태의 가스켓(2300)의 한쪽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들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으로 들어간 제2코너부(2321)와 내측으로 연장된 제3,4연결부(2322,232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후술하는 제2리브(2560)의 후방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코너부(2321)의 외측면과 제2리브(2560)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코너부(2321)의 외측면과 제2리브(2560)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은 대응되게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의 결합시 제2코너부(2321)는 제2리브(2560)에 의해 커버되고, 제2,3측변(2320,2330)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3,4측변(2330,2340)은 가스켓(2300)의 하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변일 수 있다. 제3,4측변(2330,2340)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3,4측변(2330,2340)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4측변(2330,2340)의 사이에는 제3가스켓코너부(2331)가 배치되어 코너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가스켓코너부(2331)는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3가스켓코너부(2331)는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3가스켓코너부(2331)는 제5연결부(2332)에 의해 제3측변(23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가스켓코너부(2331)는 제6연결부(2333)에 의해 제4측변(23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5,6연결부(2332,2333)는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3가스켓코너부(2331)는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되고, 제3가스켓코너부(2331)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제3측변(233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5연결부(2332)에 의해 제3측변(2330)과 연결될 수 있고, 제3가스켓코너부(23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제3측변(233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6연결부(2333)에 의해 제4측변(2340)과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5연결부(2332)와 제6연결부(2333)는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코너부(2331)는 사각링 형태의 가스켓(2300)의 한쪽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들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으로 들어간 제3코너부(2331)와 내측으로 연장된 제5,6연결부(2332,233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후술하는 제3리브(2570)의 후방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또, 제3코너부(2331)의 외측면과 제3리브(2570)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코너부(2331)의 외측면과 제3리브(2570)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은 대응되게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의 결합시 제3코너부(2331)는 제3리브(2570)에 의해 커버되고, 제3,4측변(2330,2340)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4측변(2310,2340)은 가스켓(2300)의 상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변일 수 있다. 제1,4측변(2310,2340)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4측변(2310,2340)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4측변(2310,2340)의 사이에는 제4가스켓코너부(2341)가 배치되어 코너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4가스켓코너부(2341)는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4가스켓코너부(2341)는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4가스켓코너부(2341)는 제8연결부(2343)에 의해 제1측변(23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가스켓코너부(2341)는 제7연결부(2342)에 의해 제4측변(23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7,8연결부(2342,2343)는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4가스켓코너부(2341)는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되고, 제4가스켓코너부(234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제4측변(234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7연결부(2342)에 의해 제4측변(2340)과 연결될 수 있고, 제4가스켓코너부(2341)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제4측변(234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8연결부(2343)에 의해 제1측변(2310)과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7연결부(2342)와 제8연결부(2343)는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코너부(2341)는 사각링 형태의 가스켓(2300)의 한쪽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들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으로 들어간 제4코너부(2341)와 내측으로 연장된 제7,8연결부(2342,234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후술하는 제4리브(2580)의 후방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또, 제4코너부(2341)의 외측면과 제4리브(2580)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4코너부(2341)의 외측면과 제4리브(2580)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은 대응되게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의 결합시 제4코너부(2341)는 제4리브(2580)에 의해 커버되고, 제1,4측변(2310,2340)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가스켓(2300)의 윗면은 프런트바디(2200)의 밑면과 접할 수 있다. 가스켓(2300)의 윗면은 플랜지부(2220)의 밑면과 접할 수 있다. 가스켓(2300)의 밑면은 리어바디(2500)의 측벽부(2501)의 윗면과 접할 수 있다. 가스켓(2300)의 밑면은 제1,2,3,4측벽(2510,2520,2530,2540)과 제1,2,3,4코너측벽(2511,2521,2531,2541)의 윗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2300)은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의 결합시 전후방향으로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가스켓(2300)에 의한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가스켓(2300)의 내측면은 가스켓홀더(2230)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가스켓(2300)의 제1,2,3,4코너부(2311,2321,2331,2341)의 외측면은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후방 부분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가스켓(2300)의 제1,2,3,4코너부(2311,2321,2331,2341)의 외측면은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가스켓(2300)의 제1,2,3,4측변(2310,2320,2330,2340)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기판유닛(2400)은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유닛(2400)은 프런트바디(2200)와 스크류결합하여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유닛(2400)은 프런트바디(2200)나 리어바디(2500)와 접착하여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유닛(2400)은 이미지센서(2410), 제1기판(2420), 제2기판(2430), 제3기판(2440), 측면캔(2450), 후방캔(2460) 및 커넥터(2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2410)는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2410)는 후술하는 제1기판(242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2410)는 기판유닛(2400)의 상부에 위치한 제1기판(2420)의 전방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2410)는 렌즈배럴(2100)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센서(2410)는 렌즈배럴(2100)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센서(2410)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24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센서(241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유닛(2400)은 적어도 1 이상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제1,2,3기판(2420,2430,2440)을 포함하였다.
제1기판(2420)은 제3기판(2440)과 이격되어 기판유닛(2400)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기판(2420)은 제3기판(2440)과 제2기판(24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기판(2420)의 전방면에는 이미지센서(2410)가 실장될 수 있다. 제1기판(2420)은 쉴드캔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2420)의 네변은 쉴드캔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1기판(2420)은 후술하는 측면캔(2450)의 제1기판지지부(24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기판(2420)의 윗부분은 제1기판지지부(2451)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1기판(2420)은 프런트바디(2200)의 후방부와 스크류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기판(2420)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는 호 또는 원 형태로 파인 스크류홈(242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2422)는 스크류홈(2421)을 관통하여 제1기판(2420)을 프런트바디(2200)의 후방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기판(2420)은 스크류의 결합압력에 의해서 프런트바디(22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기판(242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기판(2420)은 카메라 모듈(2000)을 전자제어할 수 있다. 제1기판(2420)의 네 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쉴드캔과 접하는 접지단(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기판(2420)의 잔류전자기는 쉴드캔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제2기판(2430)은 제1기판(2420)과 제3기판(2440) 사이에 위치하여 제1기판(2420)과 제3기판(2440)을 연결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0)의 전자제어를 위해서는 일정 면적 이상의 기판이 필요하나 차량용 카메라의 설계상 요청에 의해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의 단면은 이보다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기판(2420)과 제3기판(2440)과 같이, 복수 개의 기판을 적층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복수 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2기판(2430)과 같은 연결기판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는 스크류가 아닌 레이저 융착에 의해 결합하므로 기판부(24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을 최대한으로 마련할 수 있다. 제2기판(2430)은 전후방향으로 세워진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그 결과, 제2기판(2430)의 전방변에는 만곡된 제1기판연결부(2431)가 배치되고, 제2기판(2430)의 후방변에는 만곡된 제3기판연결부(243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연결부(2431)는 제1기판(2420)의 아래에 위치한 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연결부(2431)의 단자와 제1기판(2420)의 아래에 위치한 변에 배치된 단자가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기판연결부(2432)는 제3기판(2440)의 아래에 위치한 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기판연결부(2432)의 단자와 제3기판(2440)의 아래에 위치한 변에 배치된 단자가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2430)은 후술하는 측면캔(2450)의 제2기판걸림부(2452)를 외측(아래)으로 넘어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판은(2430)의 내측 이동은 제2기판걸림부(245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3기판(2440)은 제1기판(2420)과 이격되어 기판유닛(2400)의 최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기판(2440)은 제1기판(2420)과 제2기판(24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3기판(2440)의 아랫면에는 후술하는 커넥터(2470)가 실장될 수 있다. 제3기판(2440)은 쉴드캔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기판(2440)의 네 변은 쉴드캔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3기판(2440)은, 제3기판돌출부(2441)가 후술하는 측면캔(2450)의 제3기판걸림홈(2453)에 끼워져, 측면캔(24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기판돌출부(2441)는 제3기판(2440)의 우측변과 좌측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돌기형태일 수 있다. 제3기판돌출부(2441)는 제3기판걸림홀(2453)에 삽입되어 제3기판(2440)에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3기판(244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3기판(2440)은 카메라 모듈(2000)을 전자제어할 수 있다. 제3기판돌출부(2441)는 접지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3기판(2440)의 잔류전자기는 쉴드캔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쉴드캔은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쉴드캔의 외측면은 리어바디(25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쉴드캔의 내부에는 이미지센서(2410), 제1,2,3기판(2420,2430,2440) 및 커넥터(2470)가 수용될 수 있다. 쉴드캔의 내부의 최상측에는 제1기판(2420)에 실장된 이미지센서(2410)가 위치할 수 있다. 쉴드캔의 후방부에는 쉴드캔의 아랫면을 관통하는 커넥터(2470)가 위치할 수 있다. 쉴드캔은 전방이 개방된 블럭 형태일 수 있다. 그 결과, 렌즈배럴(2100)을 투과한 광은 이미지센서(2410)에 조사될 수 있다. 쉴드캔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쉴드캔은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쉴드캔은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쉴드캔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3기판(2420,2440)은 쉴드캔에 접지되어 있고, 제2기판(2430)은 제1,3기판(2420,2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2,3기판(2420,2430,2440)에 남아있는 잔류전자기는 쉴드캔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다만, 쉴드캔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쉴드캔은 측면캔(2450)과 후방캔(2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캔(2450)과 후방캔(2460)은 조립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변형예(미도시)에서는 측면캔과 후방캔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캔(2450)은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캔(245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25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측면캔(2450)의 후방에는 후방캔(2460)이 위치할 수 있다. 측면캔(2450)의 내부에는 제1,2,3기판(2420,2430,2440)이 수용될 수 있다. 측면캔(2450)은 중공의 직육면체일 수 있다. 측면캔(2450)의 전방과 후방은 개방될 수 있다. 그 결과, 측면캔(2450)은 쉴드캔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캔(2450)의 윗방향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기판지지부(245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기판지지부(2451)는 제1기판(2420)의 후방면의 상부와 접하여 제1기판(2420)을 지지할 수 있다. 측면캔(2450)의 아래에 위치한 면부분에는 제2기판걸림부(245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기판걸림부(2452)는 측면캔(2450)의 다른면보다 단면적이 작을 수 있다. 즉, 제2기판걸림부(2452)는 평면형태의 바(Bar)일 수 있다. 제2기판걸림부(2452)의 외측(아래방향)에는 제2기판(2430)이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시의 외력에 의해 제2기판(2430)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제2기판걸림부(2452)에 걸려 제동될 수 있다. 측면캔(245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제3기판걸림홀(2453)과 후방캔걸림홀(2454)이 형성될 수 있다. 제3기판걸림홀(2453)의 형상은 상술한 제3기판돌출부(2441)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3기판돌출부(2441)는 제3기판걸림홀(2453)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기판(2440)은 측면캔(245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3기판걸림홀(2453)의 위상은 제1기판지지부(2451)의 위상보다 낮으므로 제3기판(2440)은 제1기판(24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캔걸림홀(2454)의 형상은 후술하는 후방캔돌출부(2461)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캔돌출부(2461)는 후방캔걸림홀(2454)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후방캔(2460)은 측면캔(2450)에 조립되어 측면캔(245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제3기판걸림홀(2453)과 후방캔걸림홀(245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캔(2460)은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캔(246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25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후방캔(2460)의 전방에는 측면캔(2450)이 위치할 수 있다. 후방캔(2460)의 후방에는 후방캔(2460)의 후방면을 관통하는 커넥터(2470)가 위치할 수 있다. 후방캔(2460)의 후방면에는 커넥터관통홀(2462)이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2470)는 커넥터관통홀(2462)을 통해 후방캔(2460)의 후방면을 관통할 수 있다. 후방캔(2460)은 평판플레이트와 이의 네변 각각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캔(2460)의 전방부와 전후 방향 모서리는 개방될 수 있다. 후방캔(2460)의 좌우 측면 상단 중앙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후방캔돌출부(2461)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캔돌출부(2461)는 후방캔걸림홀(245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캔(2460)의 측면은 측면캔(2450)에 고정되어 측면캔(2450)의 후방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방캔(2460)은 쉴드캔의 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2470)는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2460)는 제3기판(2440)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2470)는 제3기판(2440)의 후방면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2470)는 원통 형태로 전면에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2470)의 단자는 제3기판(2440)의 후방면에 형성된 단자와 솔더링되어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2470)는 커넥터관통홀(2462)을 통해 후방캔(2460)을 관통할 수 있다. 후방캔(2460)을 관통한 커넥터(2470)는 후술하는 리어바디(2500)의 커넥터수용부(2592)에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2470)는 케이블(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은 외부의 전자기기와 카메라 모듈(2000)을 연결하는 도전라인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000)에서 출력된 이미지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000)이 촬영한 이미지신호는 외부의 전자기기에 의해 저장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 외부의 전자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 모듈(20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외부의 전자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 모듈(2000)에 제어신호를 보내 카메라 모듈(2000)을 제어할 수 있다.
리어바디(2500)는 프런트바디(2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바디(2500)는 후방면과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2500)는 후방면과 측벽부에 의해 전방이 개구되며, 내부공간(2590)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바디(2500)의 전방 개구는 프런트바디(22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런트바디(2200)의 렌즈배럴홀(2211)은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2590)과 연통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배럴(2100)을 투과한 광은, 렌즈배럴홀(2211)을 지나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2590)에 위치한 이미지센서(2410)에 조사될 수 있다. 리어바디(25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2500)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2500)는 레이저 흡수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레이저 흡수성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2500)와 프런트바디(2200)는 결합할 수 있다. 리어바디(2500)의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는 프런트바디(2200)의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에 수용되어 융착됨으로써 리어바디(2500)와 프런트바디(2200)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어바디(2500)와 프런트바디(2200)의 사이에는 가스켓(2300)이 개재될 수 있다. 그 결과,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2590)은 밀폐될 수 있다.
측벽부는 리어바디(2500)의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 개구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측벽부는 제1,2,3,4측벽(2510,2520,2530,2540), 제1,2,3,4코너측벽(2511,2521,2531,2541) 및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3,4측벽(2510,2520,2530,2540)은 제1,2,3,4코너측벽(2511,2521,2531,254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 각각은 제1,2,3,4코너측벽(2511,2521,2531,2541) 각각의 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는 1,2,3,4코너측벽(2511,2521,2531,2541)을 따라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1측벽(2510)은 측벽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측벽(2520)은 측벽부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측벽(2510,2520)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2측벽(2510,2520)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2측벽(2510,2520)은 제1코너측벽(25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코너측벽(2511)은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된 측벽형태일 수 있다. 제1코너측벽(2511)의 전방면에는 제1리브(255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코너측벽(2511)에 제1리브(2550)가 형성됨으로써, 제1코너측벽(2511)에서는 가스켓(2300)이 지지될 수 있는 부분이 없어진다. 또, 제1코너측벽(2511)은 구조적 강도 및 융착을 위해 보강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제1코너측벽(2511)은 제1보강부(2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강부(2512)는 제1코너측벽(2511)의 내측에 배치되어 보강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코너측벽(2511)은 제1보강부(2512)의 두께만큼 제1,2측벽(2510,2520)보다 두꺼운 벽체를 가질 수 있다. 제1보강부(2512)는 측벽부와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보강부(2512)의 전방면은 가스켓(2300)의 제1가스켓코너부(2311) 및 제1,2연결부(2312,2313)의 후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보강부(2512)의 전방면과 가스켓(2300)의 제1가스켓코너부(2311) 및 제1,2연결부(2312,2313)의 후방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코너측벽(2511)의 전방면도, 가스켓(2300)의 후방면과 접하여 가스켓(23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리브(2550)의 전방 부분은 제1리브홈(2221)에 수용될 수 있다. 제1리브(2550)의 후방 부분은 제1리브홈(2221)에 수용되지 않으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리브(2550)의 내측면은 가스켓(2300)의 제1가스켓코너부(2311)의 외측면과 대응되게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리브(2550)의 내측면은 제1가스켓코너부(2311)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리브(2550)의 후방 부분에 의해 제1가스켓코너부(2311)는 커버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가스켓코너부(231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측벽(2520)은 측벽부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측벽(2530)은 측벽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3측벽(2520,2530)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3측벽(2520,2530)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3측벽(2520,2530)은 제2코너측벽(25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코너측벽(2521)은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된 측벽형태일 수 있다. 제2코너측벽(2521)의 전방면에는 제2리브(256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코너측벽(2521)에 제2리브(2560)가 형성됨으로써, 제2코너측벽(2521)에서는 가스켓(2300)이 지지될 수 있는 부분이 없어진다. 또, 제2코너측벽(2521)은 구조적 강도 및 융착을 위해 보강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제2코너측벽(2521)은 제2보강부(2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보강부(2522)는 제2코너측벽(2521)의 내측에 배치되어 보강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코너측벽(2521)은 제2보강부(2522)의 두께만큼 제2,3측벽(2520,2530)보다 두꺼운 벽체를 가질 수 있다. 제2보강부(2522)는 측벽부와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보강부(2522)의 전방면은 가스켓(2300)의 제2가스켓코너부(2321) 및 제3,4연결부(2322,2323)의 후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보강부(2522)의 전방면과 가스켓(2300)의 제2가스켓코너부(2321) 및 제3,4연결부(2322,2323)의 후방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코너측벽(2521)의 전방면도, 가스켓(2300)의 후방면과 접하여 가스켓(23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리브(2560)의 전방 부분은 제2리브홈(2222)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리브(2560)의 후방 부분은 제2리브홈(2222)에 수용되지 않으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리브(2560)의 내측면은 가스켓(2300)의 제2가스켓코너부(2321)의 외측면과 대응되게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리브(2560)의 내측면은 제2가스켓코너부(2321)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리브(2560)의 후방 부분에 의해 제2가스켓코너부(2321)는 커버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가스켓코너부(232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3측벽(2530)은 측벽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측벽(2540)은 측벽부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4측벽(2530,2540)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3,4측벽(2530,2540)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4측벽(2530,2540)은 제3코너측벽(25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코너측벽(2531)은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된 측벽형태일 수 있다. 제3코너측벽(2531)의 전방면에는 제3리브(257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코너측벽(2531)에 제3리브(2570)가 형성됨으로써, 제3코너측벽(2531)에서는 가스켓(2300)이 지지될 수 있는 부분이 없어진다. 또, 제3코너측벽(2531)은 구조적 강도 및 융착을 위해 보강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제3코너측벽(2531)은 제3보강부(2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보강부(2532)는 제3코너측벽(2531)의 내측에 배치되어 보강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3코너측벽(2531)은 제3보강부(2532)의 두께만큼 제3,4측벽(2530,2540)보다 두꺼운 벽체를 가질 수 있다. 제3보강부(2532)는 측벽부와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3보강부(2532)의 전방면은 가스켓(2300)의 제3가스켓코너부(2331) 및 제5,6연결부(2332,2333)의 후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3보강부(2532)의 전방면과 가스켓(2300)의 제3가스켓코너부(2331) 및 제5,6연결부(2332,2333)의 후방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제3코너측벽(2531)의 전방면도, 가스켓(2300)의 후방면과 접하여 가스켓(23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3리브(2570)의 전방 부분은 제3리브홈(2223)에 수용될 수 있다. 제3리브(2570)의 후방 부분은 제3리브홈(2223)에 수용되지 않으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3리브(2570)의 내측면은 가스켓(2300)의 제3가스켓코너부(2331)의 외측면과 대응되게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3리브(2570)의 내측면은 제3가스켓코너부(2331)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리브(2570)의 후방 부분에 의해 제3가스켓코너부(2331)는 커버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가스켓코너부(233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측벽(2510)은 측벽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측벽(2540)은 측벽부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4측벽(2510,2540)은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4측벽(2510,2540)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4측벽(2510,2540)은 제4코너측벽(254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4코너측벽(2541)은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된 측벽형태일 수 있다. 제4코너측벽(2541)의 전방면에는 제4리브(258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코너측벽(2541)에 제4리브(2580)가 형성됨으로써, 제4코너측벽(2541)에서는 가스켓(2300)이 지지될 수 있는 부분이 없어진다. 또, 제4코너측벽(2541)은 구조적 강도 및 융착을 위해 보강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제4코너측벽(2541)은 제4보강부(2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보강부(2542)는 제4코너측벽(2541)의 내측에 배치되어 보강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4코너측벽(2541)은 제4보강부(2542)의 두께만큼 제1,4측벽(2510,2540)보다 두꺼운 벽체를 가질 수 있다. 제4보강부(2542)는 측벽부와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4보강부(2542)의 전방면은 가스켓(2300)의 제4가스켓코너부(2341) 및 제7,8연결부(2342,2343)의 후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4보강부(2542)의 전방면과 가스켓(2300)의 제4가스켓코너부(2341) 및 제7,8연결부(2342,2343)의 후방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제4코너측벽(2541)의 전방면도, 가스켓(2300)의 후방면과 접하여 가스켓(23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4리브(2580)의 전방 부분은 제4리브홈(2224)에 수용될 수 있다. 제4리브(2580)의 후방 부분은 제4리브홈(2224)에 수용되지 않으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4리브(2580)의 내측면은 가스켓(2300)의 제4가스켓코너부(2341)의 외측면과 대응되게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4리브(2580)의 내측면은 제4가스켓코너부(2341)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4리브(2580)의 후방 부분에 의해 제4가스켓코너부(2341)는 커버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가스켓코너부(234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전방 부분은 각각 이에 대향하는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에 수용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200)는 레이저 투과성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고, 리어바디(2500)는 레이저 흡수성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런트바디(2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전방 부분과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이 융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 융착에 의해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는 결합할 수 있다.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분은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전방면일 수 있다. 나아가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전방면에서 폭 방향 중앙지점일 수 있다. 한편, 레이저융착과정 중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근의 가스켓(2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가스켓(2300)은 탄성고무재질로 내열성이 떨어진다. 그 결과, 가스켓(2300)이 열화에 의해 손상되어 밀폐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제2실시예에서는,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분과 가스켓(2300)의 표면의 최단거리는 2mm 이상일 수 있다. 즉,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전방 길이를 확보하여 가스켓(2300)이 열화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리어바디(2500)의 후방면에는 커넥터수용부(2592)가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수용부(2592)는 리어바디(2500)의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커넥터수용부(2592)에는 커넥터(2470)가 수용되어 외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0)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0)은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가 융착에 의해 결합하기 때문에 스크류에 의해 결합하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2000)과 비교하여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2590)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부분적 배치에 의한 부분 융착방식을 적용하여, 비교례의 융착방식보다 보다 넓은 리어바디(2500)의 내부공간(2590)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와 가스켓(2300)의 배치에 의해 기밀성(방수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제2실시예의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는 제1,2,3,4코너측벽((2511,2521,2531,2541)의 전방면에만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비교예의 일체형 리브(R)는 측벽부의 전면을 따라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의 리어바디(2500)는 제1,2,3,4측벽(2510,2520,2530,2540)의 내측에 위치한 추가공간(S)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0)은 기판유닛(2400)을 내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넓게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제2실시예에서 가스켓(2300)은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가스켓(2300)의 전방면은 프런트바디(2200)의 플랜지부(2220)의 후방면과 접할 수 있다. 또, 가스켓(2300)의 후방면은 리어바디(2500)의 측벽부의 전면과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스켓(2300)은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의 결합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기밀성(방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가스켓(2300)의 제1,2,3,4가스켓코너부(2311,2321,2331,2341)는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2,3,4가스켓코너부(2311,2321,2331,2341)의 외측면은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2,3,4가스켓코너부(2311,2321,2331,2341)는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가스켓(2300)에서 제1,2,3,4가스켓코너부(2311,2321,2331,2341)는 외력에 의한 마찰이 일어나기 쉬운 부분으로 마모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0)에서는, 가스켓(2300)에서 외력에 취약한 제1,2,3,4가스켓코너부(2311,2321,2331,2341)를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에 의해 커버함으로써 가스켓(2300)의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또, 레이저 융착이 일어나는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가 리어바디(2500)의 제1,2,3,4코너측벽(2511,2521,2531,2541)에 배치됨으로써,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의 4각 모서리 부분이 단단하게 결합된다. 그 결과, 프런트바디(2200)가 리어바디(2500)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없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리어바디(2500)의 제1,2,3,4코너측벽(2511,2521,2531,2541)에 배치된 제1,2,3,4리브(2550,2560,2570,2580)와 프런트바디(2200)의 플랜지부(2220)에 배치된 제1,2,3,4리브홈(2221,2222,2223,2224)의 융착에 의해, 제1,2,3,4측벽(2510,2520,2530,2540)의 전방면 전부와 프런트바디(2200)의 플랜지부(2220)는 프런트바디(2200)와 리어바디(2500)가 결합하는 방향으로 결합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200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며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및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하단이 상단보다 들어간 단차가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단차의 하단을 감싸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바디에는 상기 리어바디의 내부로 돌출된 가스켓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가스켓지지부에 의해 압착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에는 상기 융착부를 수용하는 융착홈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레이저 융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융착부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가스켓의 표면의 최단거리는 2mm 이상인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링형태이고, 고무재질인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사각 형태인 카메라 모듈.
  10. 프런트바디와 가스켓을 결합하는 단계;
    리어바디에 기판부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를 정렬하여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를 융착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는 상기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및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PCT/KR2017/010908 2016-10-06 2017-09-29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WO201806691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39,666 US11140300B2 (en) 2016-10-06 2017-09-29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JP2019518258A JP7178993B2 (ja) 2016-10-06 2017-09-29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製造方法
EP17858705.1A EP3525444B1 (en) 2016-10-06 2017-09-29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N201780061817.1A CN109792483B (zh) 2016-10-06 2017-09-29 相机模块及相机模块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91 2016-10-06
KR1020160128891A KR102618046B1 (ko) 2016-10-06 2016-10-06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10-2016-0128892 2016-10-06
KR1020160128892A KR102618045B1 (ko) 2016-10-06 2016-10-0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911A1 true WO2018066911A1 (ko) 2018-04-12
WO2018066911A8 WO2018066911A8 (ko) 2019-04-25

Family

ID=6183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908 WO2018066911A1 (ko) 2016-10-06 2017-09-29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40300B2 (ko)
EP (1) EP3525444B1 (ko)
JP (1) JP7178993B2 (ko)
CN (1) CN109792483B (ko)
WO (1) WO20180669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4778A (zh) * 2018-12-25 2019-03-15 苏州智华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塑胶激光前壳穿透式焊接的车载摄像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0687B1 (en) * 2017-05-30 2019-12-25 Veoneer Sweden AB Camera module for a motor vehicle, method of using, and method of assembling a camera module
KR20200076347A (ko) * 2018-12-19 2020-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57414A (ko) * 2019-11-12 2021-05-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140495A (ko) * 2020-02-17 2022-10-18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369442B1 (ko) * 2020-09-02 2022-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620537B1 (ko) * 2021-10-15 2024-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635A (ja) * 2002-04-30 2003-11-14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素子ユニット
JP2010050771A (ja) * 2008-08-22 2010-03-04 Kyocera Corp 撮像装置モジュール
JP2011164461A (ja) * 2010-02-12 2011-08-25 Sony Corp カメラ装置
KR20130056435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세코닉스 광축 조정이 용이한 자동차 카메라
KR20160104316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82837C (zh) * 2005-08-05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镜头模块
WO2007091684A1 (ja) * 2006-02-10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レンズ鏡筒、撮像装置、レンズ鏡筒の検査方法および製造方法
JP4844829B2 (ja) * 2006-10-27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7983556B2 (en) * 2006-11-03 2011-07-19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JP5565117B2 (ja) * 2010-06-07 2014-08-0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US9307128B2 (en) * 2012-06-26 2016-04-05 Alex Ning Lens mount
KR20140110293A (ko) 2013-03-07 2014-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703176B2 (en) 2014-01-20 2017-07-1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or providing operational convenience
KR20150104786A (ko)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1475B1 (ko) * 2014-03-28 2015-10-20 주식회사 세코닉스 개선된 구조의 차량용 카메라
KR101670139B1 (ko) * 2014-06-20 201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2363295B (zh) * 2015-02-04 2022-11-2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装置模块
CN105278206B (zh) 2015-11-18 2017-12-29 武汉理工光科股份有限公司 压电陶瓷型可调谐波长滤波器的双边沿交叉解调及非线性修正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635A (ja) * 2002-04-30 2003-11-14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素子ユニット
JP2010050771A (ja) * 2008-08-22 2010-03-04 Kyocera Corp 撮像装置モジュール
JP2011164461A (ja) * 2010-02-12 2011-08-25 Sony Corp カメラ装置
KR20130056435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세코닉스 광축 조정이 용이한 자동차 카메라
KR20160104316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25444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4778A (zh) * 2018-12-25 2019-03-15 苏州智华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塑胶激光前壳穿透式焊接的车载摄像头
CN109474778B (zh) * 2018-12-25 2024-01-05 苏州智华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塑胶激光前壳穿透式焊接的车载摄像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8993B2 (ja) 2022-11-28
EP3525444B1 (en) 2023-06-14
WO2018066911A8 (ko) 2019-04-25
US11140300B2 (en) 2021-10-05
US20200053258A1 (en) 2020-02-13
EP3525444A4 (en) 2020-04-29
CN109792483A (zh) 2019-05-21
EP3525444A1 (en) 2019-08-14
CN109792483B (zh) 2022-03-01
JP2019537317A (ja)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66911A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WO2017179924A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WO2017039276A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WO2017138698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030647A1 (ko) 카메라 모듈
EP3430797B1 (en) Camera assembly with shielded imager circuit
WO2015016586A1 (ko) 카메라 모듈
WO2017122993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6200126A1 (ko) 카메라 모듈
WO2017122970A1 (ko)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및 방수 커넥터
WO2018182374A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WO2019199079A1 (ko) 카메라 모듈
WO2012060542A1 (en) A camer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009611A1 (ko) 카메라 모듈
JP2002231375A (ja) 補機モジュールの封止構造
JP2002262438A (ja) 補機モジュール用中継部品および補機モジュール
WO2017119760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18046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WO2017023092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7078392A1 (ko) 카메라 모듈
WO2012091399A2 (en) Camera module
KR102596540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WO2021251732A1 (ko) 카메라 모듈
WO2019078426A1 (ko) 광학센서 패키지
KR102618045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87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1825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587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