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41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414A
KR20210057414A KR1020190144154A KR20190144154A KR20210057414A KR 20210057414 A KR20210057414 A KR 20210057414A KR 1020190144154 A KR1020190144154 A KR 1020190144154A KR 20190144154 A KR20190144154 A KR 20190144154A KR 20210057414 A KR20210057414 A KR 2021005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osed
camera module
substrat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이민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414A/ko
Priority to JP2022527126A priority patent/JP2023501526A/ja
Priority to EP20886840.6A priority patent/EP4060975A4/en
Priority to US17/755,964 priority patent/US20220385795A1/en
Priority to PCT/KR2020/095143 priority patent/WO2021096337A1/ko
Priority to CN202080077849.2A priority patent/CN114651438A/zh
Publication of KR2021005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단차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측면과 접촉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는 소형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카메라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은, 내부 부품들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 영역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단차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측면과 접촉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이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이격 공간과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면의 폭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단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돌기부와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면은 상기 홈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면과,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면과, 제2 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홈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단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의 폭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측면과 접촉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이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이격 공간과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면의 폭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돌기부와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면은 상기 홈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면과,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면과, 제2 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홈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단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의 폭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된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과, 렌즈 모듈(300)과, 제1 탄성 부재(400)와, 기판(500)과, 이미지 센서(510)와, 실드 캔(600)과, 케이블(700)과, 접착 부재(800)와, 제2 탄성 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카메라 모듈(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제2 하우징(2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제2 하우징(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하부가 개방된 육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접착 부재(800)에 의해 제2 하우징(2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에는 렌즈 모듈(300)과, 제1 탄성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00)의 하면(110, 130)의 폭은 제2 하우징(200)의 상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00)은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제1 하우징(200)의 하면(110, 130)에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제1 하우징(200)의 하면(110, 130)에서 위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제2 하우징(200)의 돌기부(220) 또는 복수의 돌기와 기판(500)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과 대향할 수 있다. 홈(120)은 돌기부(220)와 대향할 수 있다. 홈(120)에는 접착 부재(800)가 게재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00)의 하면(110, 130)은 홈(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면(110)과, 홈(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면(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10)과 제2 면(130)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110)과, 제2 면(130)에는 접착 부재(800)가 게재될 수 있다. 제1 면(110)의 폭은 제2 하우징(200)의 상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2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카메라 모듈(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접착 부재(800)에 의해 제1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에는 기판(500)과, 이미지 센서(510)와, 실드 캔(600)과, 케이블(700)과, 제2 탄성 부재(9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단차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210)는 제2 하우징(20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10)는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10)는 제1 하우징(100)의 하면과 대향할 수 있다. 단차부(210)에는 기판(5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이란 단차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을 의미하고, 단차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2 하우징(200)은 돌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220)는 단차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220)는 단차부(210)에서 위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20)는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220)는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20)는 기판(50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기부(220)는 제2 하우징(200)의 단차부(210)에 배치되는 기판(50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기부(220)는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500)이 단차부(210)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돌기부(220)는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즉, 단차부(210)가 상부로 노출되는 영역이 커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 부재(800)가 게재되는 영역을 넓힐 수 있다.
돌기부(220)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와 기판(500)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와 기판(500)의 측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와 기판(500)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는 접착 부재(800)가 게재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홀(230)은 제2 하우징(200)의 하판에 형성될 수 있다. 홀(230)은 케이블(70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홀(230)과 케이블(700) 사이의 공간에는 제2 탄성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300)은 제1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300)은 제1 하우징(100)의 개구(14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300)은 제1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300)은 제1 하우징(100)에 나사(screw)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300)의 일부는 제1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렌즈 모듈(300)과 제1 하우징(100)의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30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300)은 이미지 센서(510)와 대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 탄성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400)는 렌즈 모듈(300)과 제1 하우징(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400)는 탄성은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400)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400)는 오링(O-ring)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400)는 렌즈 모듈(300)과 제1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 공간을 제거하여 카메라 모듈(1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기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은 제2 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은 단차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은 돌기부(220)와 접촉할 수 있다. 기판(500)의 측면은 돌기부(220)와 접촉할 수 있다. 기판(500)과 복수의 돌기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500)과 복수의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는 접착 부재(800)가 게재될 수 있다. 기판(500)은 이미지 센서(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500)은 케이블(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500)에는 실드 캔(60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은 복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판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기판의 사이에는 실드 캔(600)이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이미지 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기판(5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기판(5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은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렌즈 모듈(300)과 대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는 렌즈 모듈(300)을 지나는 광을 통해 이미지(image)를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실드 캔(600)(shield can)을 포함할 수 있다. 실드 캔(600)은 기판(500)에 배치될 수 있다. 실드 캔(600)은 복수의 기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드 캔(60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드 캔(600)은 기판(500)의 통전 또는 접지/그라운딩(gronding)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케이블(7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700)은 제2 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700)은 제2 하우징(200)의 홀(230)을 관통할 수 있다. 케이블(700)은 기판(50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700)의 기판(5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700)은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700)은 외부 전원을 기판(5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700)과 제2 하우징(200)의 홀(230)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90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접착 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800)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사이에 게재될 수 있다. 접착 부재(800)는 제1 하우징(100)의 제1 면(110)과, 제2 면(130)과, 홈(120)과, 제2 하우징(200)의 상면과, 제2 하우징(200)의 돌기부(220)와, 제2 하우징(200)의 단차부(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800)는 제2 하우징(200)의 복수의 돌기와 기판(500)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 부재(800)는 기판(500)을 제2 하우징(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800)는 에폭시(epoxy) 등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접착 부재(800)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렌즈 모듈(300)과 이미지 센서(510)의 광축 정렬(alignment) 공정 후에 경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2 탄성 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900)는 케이블(700)과 제2 하우징(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 부재(900)는 케이블(700)과 제2 하우징(200)의 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900)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900)는 케이블 씰(cable seal)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900)는 제2 하우징(200)과 케이블(70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제거하여 카메라 모듈(1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카메라 모듈 100: 제1 하우징
200: 제2 하우징 300: 렌즈 모듈
400: 제1 탄성 부재 500: 기판
510: 이미지 센서 600: 실드 캔
700: 케이블 800: 접착 부재
900: 제2 탄성 부재

Claims (19)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단차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측면과 접촉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이격 공간과 대향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면의 폭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의 폭보다 큰 카메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단차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면은 상기 홈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면과,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면과, 제2 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홈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단차부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측면과 접촉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이격 공간과 대향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면의 폭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의 폭보다 큰 카메라 모듈.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면은 상기 홈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면과,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면과, 제2 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홈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단차부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9.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 사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단차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90144154A 2019-11-12 2019-11-12 카메라 모듈 KR20210057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54A KR20210057414A (ko) 2019-11-12 2019-11-12 카메라 모듈
JP2022527126A JP2023501526A (ja) 2019-11-12 2020-11-11 カメラモジュール
EP20886840.6A EP4060975A4 (en) 2019-11-12 2020-11-11 CAMERA MODULE
US17/755,964 US20220385795A1 (en) 2019-11-12 2020-11-11 Camera module
PCT/KR2020/095143 WO2021096337A1 (ko) 2019-11-12 2020-11-11 카메라 모듈
CN202080077849.2A CN114651438A (zh) 2019-11-12 2020-11-11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54A KR20210057414A (ko) 2019-11-12 2019-11-1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414A true KR20210057414A (ko) 2021-05-21

Family

ID=7591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54A KR20210057414A (ko) 2019-11-12 2019-11-1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85795A1 (ko)
EP (1) EP4060975A4 (ko)
JP (1) JP2023501526A (ko)
KR (1) KR20210057414A (ko)
CN (1) CN114651438A (ko)
WO (1) WO20210963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308A1 (ko) * 2021-07-21 2023-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85B1 (ko) * 2007-05-21 200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립성이 개선된 감시 카메라
JP4666005B2 (ja) * 2008-05-30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装置
KR20100104269A (ko) * 2009-03-17 2010-09-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10045791A (ko) * 2009-10-27 2011-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KR20110103525A (ko) * 2010-03-15 2011-09-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10106684A (ko) * 2010-03-23 201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어레이 패키지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5601000B2 (ja) * 2010-03-31 2014-10-0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JP5474877B2 (ja) * 2011-06-17 2014-04-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KR20130127780A (ko) * 2012-05-15 2013-11-2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79786B1 (ko) * 2015-02-26 2021-07-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CN107735726B (zh) * 2015-06-08 2021-06-01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机模块
KR102406627B1 (ko) * 2015-10-21 2022-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701060B1 (ko) * 2015-11-03 2017-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6803870B (zh) * 2015-11-26 2022-01-04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
KR102502284B1 (ko) * 2016-01-12 2023-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645861B1 (ko) * 2016-09-02 2024-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JP7178993B2 (ja) * 2016-10-06 2022-11-28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製造方法
US11099351B2 (en) * 2016-10-24 2021-08-24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18964B1 (ko) * 2017-03-30 2021-10-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N110832834B (zh) * 2017-07-04 2022-04-19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头模块
KR102358698B1 (ko) * 2017-09-06 2022-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433450B1 (ko) * 2017-11-29 2022-08-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308A1 (ko) * 2021-07-21 2023-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51438A (zh) 2022-06-21
EP4060975A1 (en) 2022-09-21
JP2023501526A (ja) 2023-01-18
US20220385795A1 (en) 2022-12-01
EP4060975A4 (en) 2024-01-10
WO2021096337A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19169A (zh) 透镜模块和相机模块
JP201004170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00055548A (ko) 카메라 모듈
US20220385795A1 (en) Camera module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US20230221623A1 (en) Camera module
EP3978999A1 (en) Camera module
KR102634926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137690A (ko) 카메라 모듈
US20230236478A1 (en) Camera module
KR20210154520A (ko) 카메라 모듈
KR102353920B1 (ko) 차량용 카메라
US20230362466A1 (en) Camera module
KR20200035558A (ko) 카메라
KR20200137691A (ko) 카메라 모듈
US20230259006A1 (en) Camera module
EP4366319A1 (en) Camera module
KR20220049199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54107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29076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20308A (ko) 카메라 모듈
CN117882389A (zh) 相机模块
CN117616768A (zh) 摄像装置模块
CN117751577A (zh) 摄像装置模块
KR20220166600A (ko)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