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698B1 -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698B1
KR102358698B1 KR1020170113646A KR20170113646A KR102358698B1 KR 102358698 B1 KR102358698 B1 KR 102358698B1 KR 1020170113646 A KR1020170113646 A KR 1020170113646A KR 20170113646 A KR20170113646 A KR 20170113646A KR 102358698 B1 KR102358698 B1 KR 102358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part
housing
dispos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078A (ko
Inventor
문성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6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 및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어 하우징과 체결되는 프론트암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암은 제1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의 상기 제1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1홈부에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후단 소정의 구간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소정의 구간을 각각 커버하여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CAMERA MODULE AND VEHIC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카메라 모듈이 외부와의 수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기판과 이미지 센서등을 수용함에 있어서,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별도로 구성하고, 가스켓을 포함하여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수밀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각 모서리에 체결되는 볼트 및 볼트 체결 공정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이 소모된다.
또한, 작업자의 육안으로 볼트 체결 공정의 완전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볼트가 불완전하게 체결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수밀성을 유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 고정용 스크류를 삭제하고, 이중의 고정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결합력을 높이고, 수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 및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어 하우징과 체결되는 프론트암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암은 제1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의 상기 제1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1홈부에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후단 소정의 구간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소정의 구간을 각각 커버하여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프론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프론트 고정부와 접촉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프론트 고정부 및 상기 리어 고정부를 커버하여 고정하는 리어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고정부의 후단부에는 단턱부가 배치되고, 상기 리어암은 상기 단턱부와 상기 리어 고정부를 상호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고정부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후단부 둘레 일측에 배치되는 제1프론트 고정부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2프론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고정부는 상기 제1프론트 고정부와 접촉되는 제1리어 고정부와 상기 제2프론트 고정부와 접촉되는 제2리어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프론트 고정부와 상기 제1리어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 유닛과 상기 제2프론트 고정부와 상기 제2리어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과 결합되는 상기 리어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고정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의 상기 고정돌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홈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고정부는 T형상을 갖고, 상기 리어암은 상기 프론트 고정부와 상기 리어 고정부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암의 외측면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 및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어 하우징과 체결되는 프론트암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암은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의 상기 제1 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1홈에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후단 소정의 구간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소정의 구간을 각각 커버하여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이중의 고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고정 스크류 삭제를 통한 비용 절감 효과가 있고,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런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광축방향의 움직임을 견고하게 제한할 수 있다.
또한, 1차 고정 구조가 파손되더라도 2차 고정 구조를 통해 결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어 하우징의 수용부의 외주면과 프론트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실링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측면 방수 구조를 통해 기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프론트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리어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고정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고정 유닛에 의한 2차 고정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축 방향은 렌즈 모듈(100)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표시된 3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표시된 X축 방향을 광축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X축의 화살표 방향을 전방, 그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표시된 Y축 방향을 측방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Y축의 화살표 방향을 우측, 그와 반대되는 방향을 좌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표시된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Z축의 화살표 방향을 상측 또는 상방, 그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측 또는 하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자동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는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는 자동차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의 측면에는 1 이상의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도어(3)에는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바디(2)의 전방 하부에는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의 후방 하부에는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의 후방을 조명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은 "차량용 카메라"로 호칭될 수 있다.
바디(2)의 측부 또는 1 이상의 도어(3) 중 적어도 1 이상에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바디(2)의 전방 후방 측방 및 1 이상의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바디(2)의 전방부(그릴, 앰블렘 등), 바디(2)의 측부(사이드 아우터 또는 가니쉬 등), 바디(2)의 후방부(트렁크, 앰블렘, 가니쉬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카메라 모듈은 도어(3)에 결합된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도어(3)에 결합된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자동차는, 사이드 미러가 카메라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의 내부를 촬영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해 제어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내부의 전자제어유닛을 통해서 영상을 재생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제어유닛의 역할을 하는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 내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직접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제어유닛은, 카메라 모듈의 기판부에 실장될 수 있다.
바디(2)의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실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2)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바디(2) 내부의 센터페시아(미도시) 또는 대시보드(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프론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리어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고정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고정 유닛에 의한 2차 고정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100), 프론트 하우징(200), 리어 하우징(300), 인쇄회로기판, 프론트암(230), 고정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홀더(6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홀더(610)와 렌즈 배럴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 배럴과 홀더(610)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이 렌즈를 통해 수광되어 이미지 센서(510)에 촬상 될 수 있다. 렌즈는 이미지 센서(510)와 얼라인 될 수 있다. 즉, 렌즈의 광축과 이미지 센서(510)의 광축은 일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프론트 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프론트 하우징(200)의 개구(2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렌즈 모듈(100)과 프론트 하우징(200) 사이에는 제1오링(O-Ring, 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방수성능 향상을 위함이다. 다만, 렌즈 모듈(100)과 프론트 하우징(200)은 접착제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모듈(100)과 프론트 하우징(200)의 결합방법에 대한 제한을 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모듈(100)은 홀더(610)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홀더(610)는 프론트 하우징(200)의 개구(2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홀더(610)와 프론트 하우징(200) 사이에는 제1오링(O-Ring, 150)이 배치될 수 있다. 홀더(610)와 프론트 하우징(200)은 접착제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은 프론트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00)은 리어 하우징(300)과 결합하여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00)은 예를 들어 그 몸체부(210)의 횡단면이 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각 형상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00)의 전방에는 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개구(220)에는 렌즈 모듈(100) 또는 홀더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00)의 후방에는 리어 하우징(300)이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00)은 리어 하우징(300)의 소정의 구간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하우징(300)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200) 사이에는 실링 부재(35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광축 방향으로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상호 고정될 수 있는 고정 구조를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프론트암(230)을 사용한 1차 고정 구조와 리어암(410)이 형성된 고정 유닛(400)을 사용한 2차 고정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며 조립이 용이한 카메라 모듈을 제안한다.
카메라 모듈의 프론트 하우징(200)은 프론트암(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암(230)은 프론트 하우징(20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암(230)은 프론트 하우징(20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암(230)에는 제1홈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프론트암의 후방부 또는 끝단부에는 경사면(2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홈부(23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리어 하우징(300)에 형성되는 제1돌기부(3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홈부(232)의 내측에는 리어 하우징(300)에 형성되는 제1돌기부(312)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암(230)이 제1돌기부(31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프론트암(230)에 형성된 제1홈부(232)에 제1돌기부(312)가 삽입 또는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1차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프론트암(2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고, 둘 이상의 프론트암(230)이 형성되는 경우 각각 쌍을 이루는 프론트암(230)은 프론트 하우징(200)의 내측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론트암이 서로 대면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암(230)은 프론트 하우징(200) 후단의 양 측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암(230)은 프론트 하우징(200) 후단의 양 측방, 즉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프론트 하우징(200)은 프론트 고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250)는 프론트 하우징(20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250)는 프론트 하우징(20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250)는 프론트 하우징(20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프론트 고정부 몸체부(251)와 단턱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 몸체부(251)의 후방에는 프론트 고정부 몸체부(25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단턱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부(252)는 프론트 하우징(200)으로부터 프론트 고정부 몸체부(251)가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 몸체부(251)가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돌출부는 동일 선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될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250)의 전체적인 형상은 "T"자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 몸체부(251)의 후방에는 양 측방으로 단턱지게 돌출되는 단턱부(252)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상술한 프론트암(230)과 제1돌기부(312)를 통해 1차로 체결된 상태에서 프론트 고정부(250)가 리어 하우징(300)에 형성되는 리어 고정부(311)와 대면하거나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론트 고정부(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 될 수 있다. 둘 이상의 프론트 고정부(250)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 쌍을 이루는 프론트 고정부(250)는 프론트 하우징(200)의 내측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고정부(250)는 프론트 하우징(200) 후단의 상, 하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고정부를 제1프론트 고정부(250a)로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프론트 고정부(250)와 대칭되도록 하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고정부를 제2프론트 고정부(250b)로 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고정부(250)는 프론트 하우징(200) 후단의 상방 및 하방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프론트암(230)이 프론트 하우징(200) 후단의 양 측방에 배치되는 경우, 프론트 고정부(250)는 프론트 하우징(200) 후단의 상, 하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론트암(230)이 프론트 하우징(200) 후단의 상,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 프론트 고정부(250)는 프론트 하우징(200) 후단의 양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고정부(311)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후술할 고정 유닛(400)의 리어암(410)이 프론트 고정부(250)의 단턱부(252)의 적어도 일부와 리어 고정부(311)의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고정부(311)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후술할 고정 유닛(400)의 리어암(410)이 프론트 고정부(250)의 단턱부(252)의 적어도 일부와 리어 고정부(311)의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커버하고 동시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어암(410)은 프론트 고정부(250)의 단턱부(252)와 리어 고정부(311)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한 쌍의 돌출부(411,4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411,4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415)에 프론트 고정부(250)의 단턱부(252)의 적어도 일부와 리어 고정부(311)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게 삽입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리어암(410)의 외측면은 상기 프론트 하우징(20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2차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리어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00)은 프론트 하우징(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00)은 프론트 하우징(20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00)은 소정의 구간이 상기 프론트 하우징(20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00)은 전방 소정의 구간이 프론트 하우징(200)에 수용되는 수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20)가 프론트 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 사이에는 실링 부재(35)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320)의 외주면과 프론트 하우징(200)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 부재(350)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320)의 전단에는 제1걸림턱(321)이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턱(3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2걸림턱(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350)는 상기 제1걸림터(321)과 제2걸림턱(323) 사이의 안착부(322)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00)은 상기 프론트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프론트암(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돌기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돌기부(312)는 상기 프론트암(230) 몸체부(231)에 배치되는 제1홈부(23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돌기부(312)는 리어 하우징(300)의 몸체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00)의 몸체부(310)의 일부는 곡면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부(312)는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부(312)는 상기 제1홈부(23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돌기부(312)는 제1홈부(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을 1차로 고정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프론트암(230)은 제1돌기부(312)의 경사면에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제1돌기부(312)는 프론트암(230)의 제1홈부(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론트암(230)을 프론트 하우징(200)의 외측을 향해 탄력 지지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00)은 상기 프론트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프론트 고정부(2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리어 고정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고정부(3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고정부(311)는 상기 제1프론트 고정부(250a)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리어 고정부(311a)와 상기 제2프론트 고정부(250b)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리어 고정부(311b)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고정부(311)는 프론트 고정부(250)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고정부(311)는 상술한 프론트 하우징(200)의 프론트암(230)이 리어 하우징(300)의 제1돌기부(312)에 체결되어,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1차 고정된 상태에서, 리어 고정부(311)의 전면이 프론트 고정부(250)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고정부(311)의 폭은 프론트 고정부(250) 후방부에 형성된 단턱부(25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고정부(311)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 유닛(400)를 통해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고정부(311)를 커버하여 양자를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2차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리어 하우징(300)은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30)는 리어 하우징(300)의 몸체부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30)의 횡단면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30)의 내측으로는 커넥터(620)가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620)와 돌출부(33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2오링(O-Ring, 630)이 배치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00)의 돌출부(330)는 고정 유닛(4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와 결합되는 돌출부(330)의 외주면에는 고정 유닛(4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유닛(400)는 상기 제1프론트 고정부(250a)와 제1리어 고정부(311a)를 상호 고정하는 제1리어암(410a)이 형성되는 제1고정 유닛(400a) 및 제2프론트 고정부(250b)와 제2리어 고정부(311b)를 상호 고정하는 제2리어암(410b)이 형성되는 제2고정 유닛(4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의 외주면에는 이러한 제1고정 유닛(400a) 및 제2고정 유닛(400b)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고정돌기부(341,34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부는 고정 유닛(4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부(33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부는 제1고정 유닛(400a)와 결합되는 제1고정돌기부(341)와 제2커버와 결합되는 제2고정돌기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돌기부(341)와 제2고정돌기부(341)는 각각 경사면의 경사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부(341) 및 제2고정돌기부(342)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부(340)에 의해 고정 유닛(400)가 리어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면서, 고정 유닛(400)에 형성되는 리어암(410)이 상기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고정부(311)의 둘레를 커버함으로써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고정 유닛(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프론트 하우징(200) 후단의 소정의 구간과 리어 하우징(300)의 소정의 구간을 각각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프론트 고정부(250)의 일부와 리어 고정부(311)의 일부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프론트 고정부(250)의 일부와 리어 고정부(311)의 일부와 동시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리어 하우징(30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제1프론트 고정부(250a)와 제1리어 고정부(311a)를 고정하는 제1고정 유닛(400a)와 제2프론트 고정부(250b)와 제2리어 고정부(311b)를 고정하는 제2고정 유닛(400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400)는 상기 돌출부(3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는 리어 하우징(300)의 후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고정 유닛 몸체부(420), 고정 유닛 몸체부(420)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리어암(410), 상기 고정 유닛 몸체부(42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 유닛 결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리어 하우징(300)의 돌출부(330)에 형성된 고정돌기부(340)에 의해 리어 하우징(300)과 결합될 수 있다. 각 고정 유닛(400)은 제2홈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에 형성된 제2홈부(440)는 리어 하우징(300)의 돌출부(330)에 형성된 고정돌기부(34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기부(340)가 상기 제2홈부(440)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고정 유닛(400)이 리어 하우징(30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고정 유닛 몸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 몸체부(420)는 리어 하우징(300)의 후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 몸체부(420)의 후방으로는 커버 연결부(430)가 후방으로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유닛 몸체부(420)의 전방으로는 리어암(410)이 전방을 향해 돌출 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는 고정 유닛 결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 결합부(430)는 고정 유닛 몸체부로(420)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유닛 결합부(430)는 고정 유닛 몸체부(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유닛 결합부(430)는 상기 돌출부(330)의 외주면과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유닛 결합부(430)에는 제2홈부(44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 결합부(430)의 상기 리어 하우징(300)의 돌출부(330)에 형성된 고정돌기부(34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돌기부(340)를 수용하는 제2홈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홈부(440)는 리어 하우징(300)의 돌출부(330)에 형성된 고정돌기부(34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기부(340)가 상기 제2홈부(440)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고정 유닛(400)가 리어 하우징(30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는 리어암(41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암(410)은 고정 유닛 몸체부(42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어암(41)은 프론트 고정부(250)의 일부와 리어 고정부(311)의 일부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프론트 고정부(250)의 일부와 리어 고정부(311)의 일부와 동시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어암(410)은 프론트 하우징(200)에 형성된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하우징(300)에 형성된 리어 고정부(311)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리어암(410)은 프론트 고정부(250)의 단턱부(252) 후면과와 리어 고정부(311)의 전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양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어암(410)은 제1리어암(410a)과 제2리어암(4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리어암(410a)과 제2리어암(410b)으로 둘러싸는 내부 공간에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고정부(311)가 수용될 수 있다. 제1리어암(410a)과 제2리어암(410b)이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고정부(311)의 둘레를 밀착되게 고정함으로써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 유닛(400)가 리어 하우징(300)에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 유닛(400)에 형성된 리어암(410)이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고정부(311)를 고정할 수 있다. 즉, 프론트암(230)을 통해 1차 고정을 한 후, 별도의 고정 유닛(400)를 결합함으로써 2차 고정을 하여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전자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부품들은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으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부품들은 홀더(610), 인쇄회로기판(520,530), 이미지 센서(510), 커넥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미지 센서(510) 및 인쇄회로기판(520,530)을 포함하여 기판 조립체(500)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부품들은 홀더(61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610)는 렌즈 모듈(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610)는 렌즈 모듈(100)과 나사결합 될 수 있다. 홀더(610)는 렌즈 모듈(100)을 지지할 수 있다. 홀더(610)는 별도의 고정 스크류(526,535)를 통해 프론트 하우징(200)에 체결될 수 있다.
기판 조립체(500)는 인쇄회로기판(520,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20,530)의 전면에는 이미지 센서(510)가 배치되어,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의해 이미지 센서(510)에 촬상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20,5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이 두 개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회로기판은 제1기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520)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520)은 홀더(61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520)에는 이미지 센서(5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520)의 전면에 이미지 센서(5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52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기판(520)은 강성의 인쇄회로기판(Rigid PCB)일 수 있다. 제1기판(520)은 입사광의 광축과 수직하도록 제2기판(5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520)은 제2기판(5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은 제2기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판(530)은 제1기판(5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530)은 제1기판(52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530)은 제1기판(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530)은 연결부재를 통해 제1기판(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530)은 제1기판(5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기판(530)은 상기 이미지 센서(510)에서 변환된 화상신호를 처리하고, 카메라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제2기판(530)의 후면에는 커넥터(6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530)은 커넥터(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530)은 제1기판(520) 및 홀더(610)에 고정 될 수 있다.
기판 조립체는 연결부재(52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525)는 제1기판(520)과 제2기판(530)을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기판이 포함되는 경우 각각의 기판을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525)는 제1기판(520)과 제2기판(5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525)는 연성의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연결부재(525)는 절곡될 수 있다. 연결부재(525)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기판 조립체(500)는 이미지 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개구(220)에 결합되는 렌즈모듈(10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제1기판(5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제1기판(5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제1기판(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제1기판(52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510)는 프론트 기판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렌즈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510)의 광축과 렌즈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렌즈 모듈(100)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이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510)는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센서(510)는 기판이 하나로 배치되는 경우, 그 기판에,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는 가장 전방에 배치되는 기판에 포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5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판 조립체(500)는 커넥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620)는 기판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 가장 후방에 배치되는 기판(53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장의 기판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는 바 커넥터(620)는 제2기판(53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620)는 제2기판(53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620)는 제2기판(5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620)는 커넥터 연결부재(550)를 통해 제2기판(530)과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620)는 리어 하우징(300)의 돌출부 내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커넥터(620)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제2오링(O-Ring, 6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을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결합용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방수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이중의 결합 구조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하우징(200)의 후단부 양 측방에 각각 형성되는 프론트암(230)을 통해 리어 하우징(300)과 1차 고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1차 고정 과정에서 프론트 하우징(200)에 형성된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하우징(300)에 형성된 리어 고정부(311)가 상호 접촉할 수 있다. 프론트 고정부(250)는 프론트 하우징(200)의 후단부 상, 하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리어 고정부(311) 역시 리어 하우징(300)의 상, 하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프론트 고정부(250)와 리어 고정부(311)를 각각 고정하는 제1고정 유닛(400a) 및 제2고정 유닛(400b)를 리어 하우징(300)의 돌출부에 체결함으로써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이 2차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의 고정 구조를 통해, 고정 스크류 삭제를 통한 비용 절감 효과가 있고, 프론트 하우징(200)과 리어 하우징(3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차 고정 구조가 파손되더라도 2차 고정 구조를 통해 결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어 하우징(300)의 수용부(320)의 외주면과 프론트 하우징(200)의 내주면 사이에 실링 부재(350)를 배치함으로써 측면 방수 구조를 통해 기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렌즈 모듈이 배치되는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후측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 및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상호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홈부를 포함하는 프론트암과,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암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론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홈부와 결합하는 제1돌기와, 상기 프론트 고정부와 접촉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프론트 고정부와 상기 리어 고정부를 커버하여 고정하는 리어암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의 상기 리어암은 상기 프론트 고정부와 상기 리어 고정부의 양 측면을 커버하는 제1 및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고정부의 후단부에는 단턱부가 배치되고,
    상기 리어암은 상기 단턱부와 상기 리어 고정부를 상호 고정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광축 방향의 수직 방향에서 상기 프론트 고정부의 상기 단턱부의 길이는 상기 리어 고정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고정부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프론트 고정부와, 상기 제1프론트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프론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고정부는 상기 제1프론트 고정부와 접촉하는 제1리어 고정부와, 상기 제2프론트 고정부와 접촉하는 제2리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프론트 고정부와 상기 제1리어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 유닛과, 상기 제2프론트 고정과 상기 제2리어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의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고정 돌기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홈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1걸림턱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디와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113646A 2017-09-06 2017-09-06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358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646A KR102358698B1 (ko) 2017-09-06 2017-09-06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646A KR102358698B1 (ko) 2017-09-06 2017-09-06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078A KR20190027078A (ko) 2019-03-14
KR102358698B1 true KR102358698B1 (ko) 2022-02-07

Family

ID=6575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646A KR102358698B1 (ko) 2017-09-06 2017-09-06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414A (ko) * 2019-11-12 2021-05-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4075782A1 (en) 2021-04-14 2022-10-19 Veoneer Sweden AB A vehicle camera holding device
KR20230072638A (ko) * 2021-11-18 2023-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DE102022105422A1 (de) * 2022-03-08 2023-09-14 Connaught Electronics Ltd. Fahrzeugkamera mit verbesserter Gehäuseaus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45B1 (ko) * 2006-10-10 2008-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리형 카메라 모듈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308B1 (ko) * 2003-07-22 2010-06-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Ccd 카메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45B1 (ko) * 2006-10-10 2008-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리형 카메라 모듈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078A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69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0523853B2 (en) Method of assembling camera for vehicular applications
CN108781248B (zh) 具有屏蔽成像器电路的相机组合件
CN107206937B (zh) 后视车辆照相机
KR102468410B1 (ko) 카메라 모듈
JP6583611B2 (ja) カメラ装置の組立て方法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の組立て方法
KR100862104B1 (ko) 차량 탑재 카메라 구조
JP2002231375A (ja) 補機モジュールの封止構造
US20200059583A1 (en) Camera module
US10848649B2 (en) Imaging device having heat radiation structure
KR20060125570A (ko) 차량 탑재 카메라 구조
KR102478903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110045725A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1159704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KR102361049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N115191109B (zh) 一种用于将相机与外壳组装在一起的方法及相机
US10313571B2 (en) Imager module for vehicle
KR102345685B1 (ko) 카메라 모듈
KR102411132B1 (ko) 카메라 모듈
KR102500367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361050B1 (ko) 카메라 모듈 및 제조장치
CN220528153U (zh) 补光式摄像头
JP3221351U (ja) ワイヤレス撮像レンズ構造
JP202216636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