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367B1 -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367B1
KR102500367B1 KR1020220005048A KR20220005048A KR102500367B1 KR 102500367 B1 KR102500367 B1 KR 102500367B1 KR 1020220005048 A KR1020220005048 A KR 1020220005048A KR 20220005048 A KR20220005048 A KR 20220005048A KR 102500367 B1 KR102500367 B1 KR 10250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bstrate
disposed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770A (ko
Inventor
정보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3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홀을 포함하는 외장 부재; 상기 외장 부재의 홀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외장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홀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과 대향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기판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서 상기 커버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홀에 배치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접촉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과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CAMERA MODULE AND VEHIC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외장 부재와, 외장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전자기를 차단하는 커버와,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과, 기판의 일면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와, 기판의 타면에 실장된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차랴용 카메라 모듈에서는 기판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외력에 의해 요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커버에 축적된 잔류 전자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커버에 축적된 잔류 전자기의 배출 효율을 높인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홀을 포함하는 외장 부재; 상기 외장 부재의 홀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외장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홀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과 대향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기판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서 상기 커버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홀에 배치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접촉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커버의 홀의 가장자리에서 기판이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돌기부와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홀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단자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고,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리브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홀은 원 형태이고,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제1돌기부의 단부에서 상기 커버의 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커버의 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기판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상기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장 부재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를 가압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이고, 상면은 상기 외장 부재와 접촉하고, 하면은 상기 커버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2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홀을 포함하는 외장 부재; 상기 외장 부재의 홀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외장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홀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과 대향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기판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서 상기 커버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홀에 배치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접촉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에 형성된 돌기가 기판에 실장된 케이블 커넥터와 접촉하여 기판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판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돌기는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접지, ground)되어 커버에 축적된 잔류 전자기를 케이블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A-A'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지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왼쪽은 본 실시예의 기판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의 오른쪽은 본 실시예의 기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기판과 돌기의 결합 부분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A-A'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지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왼쪽은 본 실시예의 기판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의 오른쪽은 본 실시예의 기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기판과 돌기의 결합 부분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외장 부재(100), 렌즈 모듈(200), 지지 부재(300), 커버(400), 기판(500), 이미지 센서(600) 및 케이블 커넥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부재(10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외장 부재(1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부재(100)는 플라스틱 사출(injection) 공정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외장 부재(100)의 재질이 플라스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외장 부재(100)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부재(100)는 대략적으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 또는 중공의 사각뿔대 형태일 수 있다. 외장 부재(100)의 내측에는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외장 부재(100)의 내측에는 렌즈 모듈(200), 지지 부재(300), 커버(400), 기판(500), 이미지 센서(600) 및 케이블 커넥터(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모듈(200)과 케이블 커넥터(700)의 적어도 일부는 외장 부재(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장 부재(100)의 상측에는 제1홀(111)이 위치할 수 있다. 외장 부재(100)의 상면 중앙에는 제1홀(111)이 위치할 수 있다. 외장 부재(100)의 하측에는 제2홀(121)이 위치할 수 있다. 외장 부재(100)의 하면 중앙에는 제2홀(121)이 위치할 수 있다.
외장 부재(100)는 제1외장 부재(110)와 제2외장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외장 부재(110)와 제2외장 부재(120)는 스크류(Screw)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제1외장 부재(110)와 제2외장 부재(120)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외장 부재(110)와 제2외장 부재(120)는 레이저 융착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제1외장 부재(110)는 대략적으로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 또는 대략적으로 하면이 개방된 사각뿔대 형태일 수 있다. 제1외장 부재(110)의 상면 중앙에는 제1홀(11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외장 부재(110)의 제1홀(111)에는 렌즈 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외장 부재(110)와 렌즈 모듈(200)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외장 부재(110)의 아래에는 제2외장 부재(1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외장 부재(110)의 개방된 하면은 제2외장 부재(1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2외장 부재(120)는 대략적으로 사각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제2외장 부재(120)는 제1외장 부재(11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외장 부재(120)의 형태와 위치에 의해, 제2외장 부재(120)는 "베이스"로 호칭될 수 있다.
제2외장 부재(120)의 중앙에는 제2홀(121)이 위치할 수 있다. 제2외장 부재(120)의 제2홀(121)에는 케이블 커넥터(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 커넥터(700)는 제2외장 부재(120)의 제2홀(12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외장 부재(120)는 상면 가장자리에 위치한 4개의 코너부 각각에서 위로 돌출된 4개의 지지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22)는 제1외장 부재(110)의 하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지지대(122)와 제1외장 부재(110)의 하단부는 레이저 융착될 수 있다.
제2외장 부재(120)는 4개의 지지대(122)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면 가장자리에서 4개의 변을 따라 배치되는 댐(123)을 포함할 수 있다. 댐(123)은 제2외장 부재(12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댐(123)은 제1외장 부재(110)와 제2외장 부재(120)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외장 부재(120)는 댐(123)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면 가장자리에서 4개의 변 각각의 중앙에 배치된 4개의 후크(124)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124)는 제1외장 부재(110)의 내측면에 걸려, 제1외장 부재(110)와 제2외장 부재(1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외장 부재(1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제1외장 부재(110)의 제1홀(111)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과 외장 부재(100)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외장 부재(100)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렌즈 모듈(200)과 외장 부재(100)의 사이에는 가스켓(Gasket)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한 개 이상의 광학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는 광학면이 대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에 의해 "광축(Optical Axis)"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는 직접 제1외장 부재(110)의 제1홀(111)에 배치될 수도 있고, 렌즈 배럴에 수용되어 제1외장 부재(110)의 제1홀(1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와 배럴은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의 최상측에 배치된 광학 렌즈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피사체에 반사된 외부 광은 렌즈 모듈(200)의 최상측 렌즈에 입사할 수 있다. 외부 광은 렌즈 모듈(200)을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600)에 조사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외장 부재(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외장 부재(100)와 커버(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외장 부재(100)의 아래와 커버(4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커버(400)를 아래로 가압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지지 부재(300)의 윗면은 제1외장 부재(110)와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0)의 아랫면은 커버(400)와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중앙에 위치하는 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0)의 홀(310)은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지지 부재(300)의 홀(310)에 배채될 수 있다. 즉, 렌즈 모듈(200)의 상부는 제1외장 부재(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렌즈 모듈(200)의 중간부는 제1외장 부재(110)의 제1홀(111)에 배치되고, 렌즈 모듈(200)의 하부는 지지 부재(300)의 홀(310)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는 제1결합부(320)과 제2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320)와 제2결합부(330)는 지지 부재(300)의 윗면에서 위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1결합부(320)와 제2결합부(330)는 제1외장 부재(110)에 별도로 마련된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되어, 지지 부재(300)를 안정적으로 배치(정렬, align)시킬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4개의 측면의 중앙에 각각 배치된 제1블레이드(340), 제2블레이드(350), 제3블레이드(360) 및 제4블레이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40), 제2블레이드(350), 제3블레이드(360) 및 제4블레이드(370)는 외장 부재(1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제1블레이드(340), 제2블레이드(350), 제3블레이드(360) 및 제4블레이드(370)에 의해, 외장 부재(100)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40)와 제2블레이드(350)는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는 지지 부재(300)의 2개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3블레이드(360)와 제4블레이드(370)는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는 지지 부재(300)의 나머지 2개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40)와 제2블레이드(350)는 지지 부재(300)의 상단부에서, 지지 부재(300)와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40)와 제2블레이드(350)는 아래를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3블레이드(360)와 제4블레이드(370)는 지지 부재(300)의 하단부에서, 지지 부재(300)와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다. 제3블레이드(360)와 제4블레이드(370)는 위를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1,2블레이드(340,350)와 제3,4블레이드(360,370)의 서로 대조되는 형태에 의해, 지지 부재(300)는 다양한 방향의 외력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외장 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커버(400)를 설명한다. 도 5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커버(400)는 외장 부재(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400)의 내측에는 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400)는 기판(500)을 외력과 전자기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400)는 "쉴드캔(Shield can)"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400)의 재질은 자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의 재질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에는 카메라 모듈(1000)의 외부에서 기판(500)으로 유입하는 전자기(EMC,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와, 기판(500)에서 카메라 모듈(1000)의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기(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가 축적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1000)과 외부의 전자 기기는 전자기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EMC, EMI 안정).
커버(400)는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500)은 커버(4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커버(400)는 케이블 커넥터(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400)는 케이블 커넥터(7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커버(400)는 대략적으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커버(40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커버(400)의 수용 공간에는 기판(500)이 수용될 수 있다. 커버(400)의 상면에는 제1홀(411)이 위치할 수 있다. 커버(400)의 하면에는 제2홀(42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홀(411)과 제2홀(421)은 수평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커버(400)의 제1홀(411)을 통해 렌즈 모듈(200)을 투과한 광이 이미지 센서(600)에 조사될 수 있다. 커버(400)의 제2홀(421)에는 케이블 커넥터(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 커넥터(700)는 커버(400)의 제2홀(42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커버(400)는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는 결합하여 커버(4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커버(420)는 대략적으로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이고, 제1커버(410)는 대략적으로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제1커버(410)는 제2커버(4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커버(420)의 개방된 상면은 제1커버(4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1커버(410)의 윗면 중앙에는 제1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410)는 4개의 측면 중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걸림홀(41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홀(412)은 제1커버(410)의 측면의 상부 중앙에서 제1커버(410)의 윗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410)의 2개의 걸림홀(412) 각각에는 제2커버(420)의 2개의 걸림부(423)가 각각 걸릴 수 있다. 그 결과, 제1커버(410)는 제2커버(4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커버(410)는 4개의 측면 중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제1기판 지지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 지지부(413)가 위치하는 측면은 걸림홀(412)이 위치하는 측면과 다른 측면일 수 있다. 제1기판 지지부(413)는 제1커버(410)의 측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기판 지지부(413)는 제1기판(510)의 아래 또는 위에 배치되고, 제1기판(510)과 접촉하여 제1기판(51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기판 지지부(413)는 제1기판(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제1기판 지지부(413)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기판(510)에서 발생한 전자기는 커버(400)에 축적될 수 있다.
제1커버(410)는 4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4개의 제2기판 지지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판 지지부(414)는 제1커버(410)의 측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기판 지지부(414)는 걸림홀(412)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기판 지지부(414)는 제1기판 지지부(413)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기판 지지부(414)는 제2기판(520)의 아래 또는 위에 배치되고, 제2기판(520)과 접촉하여 제2기판(52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기판 지지부(414)는 제2기판(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기판(520)에서 발생한 전자기는 커버(400)에 축적될 수 있다.
제1기판 지지부(413)와 제2기판 지지부(414)는 제1커버(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420)의 하면 중앙에는 제2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420)는 내측에 제1커버(410)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커버(420)의 개방된 상면은 제1커버(4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2커버(420)는 제2홀(421)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돌기(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2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돌기(422)는 복수 개의 돌기(4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422)는 제2홀(4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422)는 제2홀(4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기(422)는 제2기판(520)이 위치하는 방향(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422)는 제2커버(420)의 제2홀(4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422)는 제2커버(420)에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422)는 케이블 커넥터(700)와 접촉할 수 있다. 돌기(422)는 케이블 커넥터(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돌기(422)는 케이블 커넥터(700)에 접지(Groung)될 수 있다.
*돌기(422)는 제1돌기부(422-1)와 제2돌기부(4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부(422-1)와 제2돌기부(42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422-1)는 제2커버(420)의 제2홀(421)의 가장자리에서 제2기판(520)이 위치한 방향(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돌기부(422-1)는 케이블 커넥터(700)의 케이스(71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돌기부(422-1)는 케이블 커넥터(700)의 케이스(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422)는 케이블 커넥터(7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400)에 축적된 전자기는 케이블 커넥터(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돌기부(422-1)는 사각 테이퍼(tap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돌기부(422-1)는 외측면, 내측면,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부(422-1)의 내측면은 케이블 커넥터(700)의 케이스(71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돌기부(422-1)의 외측면은 내측면과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제1돌기부(422-1)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제1돌기부(422-1)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제1돌기부(422-1)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제1돌기부(422-1)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제2기판(520)이 위치한 방향(상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2돌기부(422-2)는 제1돌기부(422-1)의 단부에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는 제1돌기부(422-1)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는 제2커버(420)의 제2홀(4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는 케이블 커넥터(700)의 리브(73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의 상면은 케이블 커넥터(700)의 리브(73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는 케이블 커넥터(700)의 리브(730)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은 리브(730)와 일체로 상측으로 가압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는 케이블 커넥터(700)의 리브(7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422)는 케이블 커넥터(7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400)에 축적된 전자기는 케이블 커넥터(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는 사각 테이퍼(tap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돌기부(422-2)는 상면, 하면,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의 상면은 케이블 커넥터(700)의 리브(73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의 하면은 상면과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제2돌기부(422-2)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제2돌기부(422-2)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제2돌기부(422-2)가 돌출된 방향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2돌기부(422-2)는 제2돌기부(422-2)가 돌출된 방향을 향하여 제2기판(520)이 위치한 방향(상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도 7의 중심선 a와 중심선 b 참조). 그 결과, 케이블 커넥터(730)에 대한 가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돌기(420)는 기판(50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기판(500)을 고정할 수 있다. 또, 돌기(420)는 케이블 커넥터(700)에 접지(ground)되어, 커버(400)에 축적된 전자기를 배출할 수 있다.
제2커버(420)는 제1커버(410)에서 걸림홀(412)이 형성된 2개의 측면에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걸림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423)는 제2커버(42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의 결합시, 2개의 걸림부(423)는 2개의 걸림홀(412)에 각각 걸릴 수 있다. 그 결과, 제2커버(420)는 제1커버(4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기판(500)은 커버(4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은 커버(40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기판(500)의 일측에는 이미지 센서(60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의 타측에는 케이블 커넥터(70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은 커버(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500)은 커버(4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기판(500)은 이미지 센서(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500)은 케이블 커넥터(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500)은 케이블 커넥터(7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기판(500)은 제1기판(510), 제2기판(520) 및 제3기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은 상면과 하면이 대향하도록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은 스페이서에 의해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평행을 유지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520)의 하면에는 케이블 커넥터(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센서(600)는 제1기판(510)에 실장될 수 있고, 케이블 커넥터(700)는 제2기판(520)에 실장될 수 있다.
제2기판(520)은 케이블 커넥터(700)가 제2커버(420)의 돌기(422)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될 때, 케이블 커넥터(700)와 일체로 상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2기판(520)에 작용하는 상측 가압력은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 사이의 스페이서를 통해 제1기판(5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기판(510)은 제1커버(410)와 접촉하여,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은 상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서는, 제1기판(510)과 제1커버(410) 사이에 별도의 스페이서(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은 커버(40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00)는 제1기판(5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00)는 렌즈 모듈(200)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0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 모듈(200)을 투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600)에 조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00)는 획득한 광을 디지털 신호(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60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블 커넥터(700)는 제2기판(5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700)는 제2기판(520)의 하면에서 제2커버(420)의 하면이 위치한 방향(아래)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700)는 제2커버(420)의 제2홀(421)과 외장 부재(100)의 제2홀(121)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700)는 제2커버(420)의 제2홀(421)과 외장 부재(100)의 제2홀(121)을 통과하여 카메라 모듈(10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700)에는 케이블(미도시)이 도킹(doking)될 수 있다. 케이블은 외부의 전자 기기와 카메라 모듈(1000)을 연결하는 도전 부재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케이블을 통해, 전원, 전자 제어 신호 등을 전달받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케이블을 통해, 이미지 센서(600)에서 발생한 영상 신호를 외부의 전자 기기(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700)에는 커버(400)와 기판(500)이 접지(Ground)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400)에 축적된 전자기는 케이블 커넥터(700)를 통해서 케이블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 기판(500)에서 발생한 전자기도 케이블 커넥터(700)를 통해서 케이블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700)는 케이스(710), 단자(720) 및 리브(7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710)는 제2기판(5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710)는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케이스(710)의 외측면은 제1돌기부(422-1)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케이스(710)는 제1돌기부(4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400)는 케이블 커넥터(7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단자(720)는 제2기판(5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720)는 케이스(7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720)는 제2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720)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브(730)는 제2기판(5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브(730)는 케이스(71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리브(730)는 링 형태일 수 있다. 리브(730)의 하면은 제2돌기부(422-2)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리브(730)는 제2돌기부(4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400)는 케이블 커넥터(7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1000) 내부의 기판(500)에서 발생된 전자기는 케이블 커넥터(700)를 통해 외부로 직접 배출되거나, 커버(400)에 축적되었다가 케이블 커넥터(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 카메라 모듈(1000)의 외부에서 발생한 전자기는 커버(400)에 축적되었다가 케이블 커넥터(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다양한 전자기 배출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또,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은 제1커버(410)와 제2커버(420)의 돌기(42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압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1)는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사이드 미러(7) 및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는 자동차(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도어(3)에는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바디(2)의 전방에는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의 후방에는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후방을 조명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을 "차량용 카메라"로 호칭할 수 있다.
바디(2)의 측부 또는 하나 이상의 도어(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카메라 모듈(10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바디(2)의 전방 후방 측방 및 1 이상의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바디(2)의 전방부(그릴, 앰블렘, 범퍼 등), 바디(2)의 측부(사이드 아우터 또는 가니쉬 등), 바디(2)의 후방부(트렁크, 앰블렘, 가니쉬, 범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자동차(1)의 사이드 미러(7)는 카메라 모듈(1000)로 대체될 수 있다. 또,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의 내부를 촬영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의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각종 구동 신호와 제어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로부터 영상 신호를 받아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 제어 유닛(ECU)에 의해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자동차(1)에 전장 부품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에 직접 존재할 수도 있다.
자동차(1)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내부 공간(룸, room)이 형성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의 센터페시아(미도시)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00)이 촬영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홀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기판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서 상기 커버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상기 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커버의 상기 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이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돌기부의 상면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마주보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제1돌기부와 경사지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홀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단자;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커버의 상기 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기판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홀을 포함하는 외장 부재; 및
    상기 외장 부재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마주보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를 가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기판 및 상기 제1기판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디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220005048A 2017-08-21 2022-01-13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50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048A KR102500367B1 (ko) 2017-08-21 2022-01-13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96A KR102352975B1 (ko) 2017-08-21 2017-08-21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0220005048A KR102500367B1 (ko) 2017-08-21 2022-01-13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96A Division KR102352975B1 (ko) 2017-08-21 2017-08-21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770A KR20220011770A (ko) 2022-01-28
KR102500367B1 true KR102500367B1 (ko) 2023-02-16

Family

ID=657601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96A KR102352975B1 (ko) 2017-08-21 2017-08-21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0220005048A KR102500367B1 (ko) 2017-08-21 2022-01-13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96A KR102352975B1 (ko) 2017-08-21 2017-08-21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29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8665A (ja) * 1998-08-20 2000-03-03 Funai Electric Co Ltd 基板のデッキシャーシへのアース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96B1 (ko) * 2011-12-01 2018-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96514B1 (ko) * 2015-08-04 2023-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8665A (ja) * 1998-08-20 2000-03-03 Funai Electric Co Ltd 基板のデッキシャーシへのアース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975B1 (ko) 2022-01-18
KR20190020531A (ko) 2019-03-04
KR20220011770A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6937B (zh) 后视车辆照相机
KR102213027B1 (ko) 차폐된 이미저 회로를 구비한 카메라 어셈블리
US11178322B2 (en) Camera module and automobile
US10288831B2 (en)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lens unit
KR102478903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35869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1159704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KR102596540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KR102500367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200055548A (ko) 카메라 모듈
KR102645802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239561A1 (en) Camera module
KR20180093486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20230236478A1 (en) Camera module
KR20200076347A (ko) 카메라 모듈
KR102619128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085195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CN117751577A (zh) 摄像装置模块
KR20240068502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20308A (ko) 카메라 모듈
KR20190021025A (ko) 카메라 모듈 및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