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30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308A
KR20230020308A KR1020210102232A KR20210102232A KR20230020308A KR 20230020308 A KR20230020308 A KR 20230020308A KR 1020210102232 A KR1020210102232 A KR 1020210102232A KR 20210102232 A KR20210102232 A KR 20210102232A KR 20230020308 A KR20230020308 A KR 20230020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disposed
camera module
protru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다힌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308A/ko
Priority to PCT/KR2022/011261 priority patent/WO2023014000A1/ko
Priority to CN202280054517.1A priority patent/CN117813829A/zh
Publication of KR2023002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측에 홀이 형성되는 배럴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 및 상기 홀 내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배럴 및 상기 배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럴부 상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양단이 상기 배럴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각각 결합되는 접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는 소형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카메라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은, 내부 부품들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 영역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를 개선하여 카메라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측에 홀이 형성되는 배럴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 및 상기 홀 내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배럴 및 상기 배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럴부 상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양단이 상기 배럴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각각 결합되는 접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렌즈 모듈 및 제1바디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형성하게 되므로, 외부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 내 구성들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방사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 신호에 노이즈가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접지 부재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2의 A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접지 부재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전방 카메라, 측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및 블랙 박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윈드 글라스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윈드 글라스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프론트 바디(front body), 상부 하우징, 제1하우징 중 어느 하나로 이름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바디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배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00)에는 렌즈 모듈(5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바디(100)의 바디부(110), 배럴부(120) 및 렌즈 모듈(5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00)의 바디부(110), 배럴부(120) 및 렌즈 모듈(500) 중 어느 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바디부(110), 배럴부(120) 및 렌즈 모듈(500)은 각각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배럴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배럴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후술하는 제2바디(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제2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110)의 하단은 제2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제2바디(200)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후술하는 기판(300)과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하부가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의 코너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상판(111)과, 상판(11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측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1)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1)은 배럴부(12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측판(112)은 상판(1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측판(112)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측판(112)은 4개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판(112)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112)은 제1-1측판과 제1-2측판과, 제1-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3측판과, 제1-2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판(112)은 제1-1측판 내지 제1-4측판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코너 각각은 적어도 일부에서 라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의 내측에는 타 영역과 구획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는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가 배럴부(120) 및 렌즈 모듈(500)의 하면을 통해 커버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제1가장자리 영역(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장자리 영역(170)은 공간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장자리 영역(170)은 바디부(1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가장자리 영역(170)은 제1돌출부(172), 제2돌출부(174) 및 제1홈(17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제1돌출부(172)의 내측에 제2돌출부(174)가 배치되고, 제1돌출부(172)와 제2돌출부(174)의 사이에 제1홈(176)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홈(176)은 제1돌출부(172)와 제2돌출부(174)에 의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일 수 있다.
제1돌출부(172)는 바디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172)의 하단은 기판(300)의 상면 보다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돌출부(172)의 하단은 제2돌출부(174)의 하단 보다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돌출부(174)는 제1돌출부(17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부(174)의 하면은 제1바디(100)의 하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돌출부(174)의 하면은 기판(3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바디(100), 즉 바디부(110)의 하면은 기판(3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2돌출부(174)의 하단은 제1돌출부(172)의 하단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부(174)의 하면과 접촉되는 기판(300)의 상면 영역은 금속층이 노출된 그라운드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2돌출부(174)와 기판(300)의 접촉에 의해, 제1바디(100)와 기판(300) 간 접지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제1홈(176)은 제1돌출부(172)와 제2돌출부(17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76)은 제1돌출부(172)와 제2돌출부(174)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홈(176)은 제1돌출부(172)의 하단 및 제2돌출부(174)의 하단 보다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76)의 바닥면은 제1돌출부(172)의 하단 및 제2돌출부(174)의 하단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76)의 바닥면은 기판(300)의 상면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겠지만, 제1홈(176)에는 접착제(800)가 배치 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800)는 기판(300)의 측면 및 제1돌출부(172)의 측면 일 부분 및 제2돌출부(174)의 측면 일 부분과 접촉하여 고정 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배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럴부(120)는 렌즈 배럴일 수 있다. 배럴부(1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럴부(120)는 바디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럴부(120)는 바디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배럴부(120)는 바디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배럴부(120)는 바디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배럴부(120)는 바디부(11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배럴부(120)는 내부에 렌즈 모듈(500)를 수용할 수 있다. 배럴부(120)는 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부(120)의 홀(122)에는 렌즈 모듈(500)가 배치될 수 있다. 배럴부(120)의 홀의 내주면은 렌즈 모듈(500)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모듈(500)은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500)은 배럴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500)은 배럴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500)는 배럴부(120)의 홀(122)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500)은 복수의 렌즈(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510)는 배럴(501) 내 수용될 수 있다. 렌즈 모듈(500)은 후술하는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렌즈 모듈(500)은 이미지 센서와 광축 정렬될 수 있다. 렌즈 모듈(500)의 광축은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일치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렌즈 모듈(500)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IR filter, Infrared Ray filiter)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500)은 상기 홀(122)을 갖고 있는 원통 형상의 배럴(501)을 포함 할 수 있다. 렌즈 모듈(500)은 상기 배럴(501)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520)를 포함 할 수 있다. 렌즈 모듈(500)과 제1바디(100)의 결합 시, 플랜지부(520)는 배럴부(1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 내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부(520)의 하면과 배럴부(120)의 상면 사이에는 실링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400)는 에폭시(Epoxy)가 경화된 영역일 수 있다. 렌즈 모듈(500)과 제1바디(10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카메라 모듈(10)은 제2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리어 바디(rear body), 하부 하우징, 제2하우징 중 어느 하나로 이름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와의 결합을 통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상면이 개구되는 공간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바닥판(207)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207)은 제1바디(100)의 바디부(110)의 상판(111)과 대향할 수 있다. 바닥판(207)은 제1바디(100)의 바디부(110)의 상판(111)과 광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바닥판(207)은 제1바디(110)의 바디부(110)의 상판(111)과 평행할 수 있다. 바닥판(207)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판(207)의 코너는 적어도 일부에서 라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2측판(20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측판(208)은 바닥판(207)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측판(208)은 바닥판(207)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측판(208) 내측에는 쉴드 캔(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측판(208)의 내면에는 쉴드 캔이 면접촉될 수 있다. 제2측판(208)의 상단은 제1바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측판(208)의 외측면은 제1바디(100)의 제1측판(112)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커넥터 인출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290)는 바닥판(207)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290)는 바닥판(207)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290)는 바닥판(207)의 홀을 관통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290)는 내부에 커넥터(7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29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2가장자리 영역(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장자리 영역(270)은 공간부(20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장자리 영역(270)은 제2측판(208)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장자리 영역(270)은 제2바디(200)의 상면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가장자리 영역(270)은 제1가장자리 영역(170)과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의 결합 시, 제1가장자리 영역(170)과 제2가장자리 영역(270)은 적어도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의 결합 시, 제1가장자리 영역(170)와 제2가장자리 영역(270)의 사이에는 후술할 접착제(800)가 수용되는 접착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장자리 영역(270)은 제3돌출부(272)를 기준으로, 제3돌출부(27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홈(274)과, 제3돌출부(27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홈(276)을 포함할 수 있다.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돌출부(172)와 제2홈(274)은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2돌출부(174)와 제3홈(276)은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1홈(176)은 제3돌출부(272)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돌출부(272)는 제2바디(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돌출부(272)는 제2측판(20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돌출부(272)는 적어도 일부가 제1홈(176)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제3돌출부(272)는 제1돌출부(172) 또는 제2돌출부(174)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돌출부(272)의 상단은 제2홈(274)의 바닥면 또는 제3홈(276)의 바닥면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홈(274)은 제3돌출부(27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홈(274)의 바닥면은 제3돌출부(272)의 상면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홈(274)의 바닥면은 제3홈(276)의 바닥면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홈(274)에는 제1돌출부(17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홈(274)의 바닥면은 제1돌출부(172)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제2홈(274)의 바닥면과 제1돌출부(172)의 하면은 광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후술할 접착제(800)가 배치 될 수 있다.
제3홈(276)은 제3돌출부(27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홈(276)의 바닥면은 제3돌출부(272)의 상면 및 제2홈(274)의 바닥면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홈(276)은 제2바디(200)의 상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홈(276)의 바닥면은 기판(30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바디(200)의 상면은 기판(300)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제2측판(208)의 상면은 기판(300)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300)의 상면은 제1바디(100)의 하면에 접촉되고, 기판(300)의 하면은 제2바디(2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3홈(276)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기판(300)의 하면은 금속층이 노출된 그라운드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300)과 제2바디(200) 간 접지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제1가장자리 영역(170)과 제2가장자리 영역(270) 사이에는 접착제(80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800)는 제1가장자리 영역(170)과 제2가장자리 영역(270) 사이를 상호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제(800)는 에폭시(Epoxy)가 경화된 영역일 수 있다. 접착제(800)는 제1돌출부(172)와 제2홈(274) 사이, 제1홈(176)은 제3돌출부(272) 사이, 제2돌출부(174)와 제3홈(276) 및 기판(300)의 측면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배치되어,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기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0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300)은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300)은 제1가장자리 영역(170) 또는 제2가장자리 영역(270)과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기판(30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300)의 하면에는 커넥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기판(300)은 커넥터(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바디(100)와 렌즈 모듈(50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모듈(500)은 내부에 렌즈(510)를 수용하는 배럴(50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럴(501)은 외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배럴부(120)의 상면에 하면이 결합되는 플랜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520)는 링(Ring)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520)의 측면은 배럴부(120)의 측면 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400)는 플랜지부(520)의 하면과 배럴부(12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며, 렌즈 모듈(500)과 제1바디(10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400)는 에폭시(Epoxy)가 경화된 영역일 수 있다. 실링부재(400)의 외측면은 플랜지부(520)의 측면과 배럴부(120)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실링부재(400)의 내측면은 홀(122) 형성 영역인 배럴부(120)의 내면 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100)와 배럴(50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00)와 배럴(501)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아노다이징과 같은 코팅 처리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520)의 하면과, 배럴부(120)의 상면은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플랜지부(520)의 하면과 배럴부(120)의 상면은 레이저 가공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금속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접지 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부재(900)는 렌즈 모듈(500)과 제1바디(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지 부재(900)는 배럴부(120)와 플랜지부(5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지 부재(9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접지 부재(900)는 일단이 플랜지부(52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배럴부(1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접지 부재(900)는 포고핀(Pogo-Pin)을 포함할 수 있다. 접지 부재(900)는 몸체(910)와, 몸체(910)에 광축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핀(92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910) 내에는 핀(920)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하여, 플랜지부(520)와 배럴부(120)의 접촉 시 실링부재(400)에 의한 이격 공간 또는 결합 공차에 대한 문제에 구애 받지 않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에 의해 플랜지부(520)와 배럴부(120)가 접지 부재(900)에 의해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 될 수 있다.
배럴부(120)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게 형성되며, 몸체(910)가 결합되는 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5)의 단면 형상은 몸체(9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홈(125)의 광축 방향 길이는 몸체(910)의 광축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핀(920)은 일단이 몸체(910)와 결합되고, 타단이 플랜지부(52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핀(920)의 단부가 결합되는 플랜지부(520)의 하면에도 타 영역보다 요입되는 형상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910) 및 핀(920)과 결합되는 배럴부(120)의 상면과 플랜지부(520)의 하면에는 금속층이 노출된 영역일 수 있고, 접지 부재(900)를 통해 제1바디(100)와 렌즈 모듈(50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바디(100)와 렌즈 모듈(500)은 각각 그라운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렌즈(510)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10) 내 구성들로 유입되지 않고 제1바디(100) 및 제2바디(200)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므로, 카메라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 신호에 노이즈가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부를 통해 이동 가능한 핀(920)을 통해 렌즈 모듈(500)을 제1바디(100) 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렌즈(510)와 이미지 센서(310) 간 거리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접지 부재(900)가 포고핀인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지 부재(900)는 상, 하단이 각각 플랜지부(520)의 하면과 배럴부(120)의 상면에 접촉되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내측에 홀이 형성되는 배럴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 및
    상기 홀 내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내부에 렌즈가 배치되는 배럴 및 상기 배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럴부 상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양단이 상기 배럴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각각 결합되는 접지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는 포고 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은, 상기 배럴부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가 결합되는 상기 배럴부의 상면 또는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요입되는 형상의 홈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배럴부와 상기 플랜지부는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렌즈 모듈은 금속 재질이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렌즈 모듈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코팅 영역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가 결합되는 상기 배럴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은 상기 코팅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금속층이 노출된 카메라 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은 상기 배럴부의 측면 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실링부재 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102232A 2021-08-03 2021-08-03 카메라 모듈 KR20230020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232A KR20230020308A (ko) 2021-08-03 2021-08-03 카메라 모듈
PCT/KR2022/011261 WO2023014000A1 (ko) 2021-08-03 2022-08-01 카메라 모듈
CN202280054517.1A CN117813829A (zh) 2021-08-03 2022-08-01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232A KR20230020308A (ko) 2021-08-03 2021-08-03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308A true KR20230020308A (ko) 2023-02-10

Family

ID=8515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232A KR20230020308A (ko) 2021-08-03 2021-08-0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20308A (ko)
CN (1) CN117813829A (ko)
WO (1) WO20230140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7105B2 (ja) * 2009-07-29 2013-08-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5958116B2 (ja) * 2012-06-26 2016-07-27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レンズ鏡筒
KR102489665B1 (ko) * 2016-01-12 2023-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20180090451A (ko) * 2017-02-03 2018-08-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
JP7028632B2 (ja) * 2017-12-27 2022-03-0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000A1 (ko) 2023-02-09
CN117813829A (zh)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3195A (ko) 카메라 모듈
JP2019117303A (ja) 撮像装置
KR20230020308A (ko) 카메라 모듈
US20230221623A1 (en) Camera module
EP4167560A1 (en) Camera module
KR20230009132A (ko) 카메라 모듈
EP4366319A1 (en) Camera module
KR20220166600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20242A (ko) 카메라 모듈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06278A (ko) 카메라 모듈
US20230362466A1 (en) Camera module
KR20230029076A (ko) 카메라 모듈
EP4376400A1 (en) Camera module
EP4175278A1 (en) Camera module
US20240004271A1 (en) Camera module
KR20220049199A (ko) 카메라 모듈
KR102352975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220001966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45894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JP202452080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30072638A (ko) 카메라 모듈
JP202354658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30007096A (ko)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