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096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096A
KR20230007096A KR1020210087913A KR20210087913A KR20230007096A KR 20230007096 A KR20230007096 A KR 20230007096A KR 1020210087913 A KR1020210087913 A KR 1020210087913A KR 20210087913 A KR20210087913 A KR 20210087913A KR 20230007096 A KR20230007096 A KR 2023000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posed
area
hous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다힌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096A/ko
Priority to CN202280047972.9A priority patent/CN117678229A/zh
Priority to PCT/KR2022/009659 priority patent/WO2023282578A1/ko
Priority to EP22837930.1A priority patent/EP4369699A1/en
Publication of KR2023000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공간 내 배치되며, 제2공간을 포함하는 렌즈 홀더; 상기 제2공간 내 배치되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렌즈와 정렬되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은 제1단면적을 가지는 제1영역과, 상기 제1단면적 보다 큰 제2단면적을 가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최외곽 렌즈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는 최하단 렌즈와, 상기 최외곽 렌즈와 상기 최하단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앙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앙 렌즈 중 일부는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는 소형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카메라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은, 내부 부품들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 영역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또는 렌즈홀더와 같은 기구물은 온도 변화에 따라 고온에서는 팽창되고, 저온에서는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구물의 변형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간 거리를 변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를 개선하여 온도 변화에 의한 이미지 센서와 렌즈 모듈 간 거리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공간 내 배치되며, 제2공간을 포함하는 렌즈 홀더; 상기 제2공간 내 배치되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렌즈와 정렬되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은 제1단면적을 가지는 제1영역과, 상기 제1단면적 보다 큰 제2단면적을 가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최외곽 렌즈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는 최하단 렌즈와, 상기 최외곽 렌즈와 상기 최하단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앙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앙 렌즈 중 일부는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렌즈 배럴의 하단에 단턱이 배치되는 종래 구조 대비 온도 변화에 따른 렌즈와 이미지 센서 간 거리 변화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에폭시와 하우징의 재질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이미지 센서가 렌즈 모듈 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카메라 모듈의 해상력이 안정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렌즈홀더(100), 하우징(200) 및 인쇄회로기판(3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렌즈 홀더(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상기 렌즈 홀더(100)를 수용하기 위한 제1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 하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 및 상기 렌즈 홀더(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몸체부(230)와, 상기 몸체부(23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20)는 상기 몸체부(230)의 측면 중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20)의 측면은 상기 몸체부(230)의 측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20)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부(23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20)는 상기 하우징(200)의 하단을 형성하며, 하면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하면, 즉 상기 플랜지부(220)의 하면 중 일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210)은 상기 몸체부(230) 및 상기 플랜지부(2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200) 내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하우징(20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몸체부(2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렌즈 홀더(100)의 외면에서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200)의 상면에 상하 방향(광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200)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200)의 상면 사이에는 접착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190)는 접착제가 도포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Epox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190)는 상면이 상기 돌출부(120)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하우징(20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홀더(100)와 상기 하우징(20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부(190)는 링(Ring)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는 내측에 렌즈 모듈(150)을 수용하도록 제2공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의 내측에 상기 렌즈 모듈(150)이 배치된다는 점에서, 상기 렌즈 홀더(100)는 렌즈 배럴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은 상기 렌즈 홀더(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의 상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을 구성하는 렌즈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렌즈는 상기 렌즈 홀더(10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의 상단은 타 영역보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이미지 센서(310)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은 상기 이미지 센서(310)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의 광축은 상기 이미지 센서(310)의 광축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과 상기 이미지 센서(310) 사이에는 적외선 필터(IR filter, Infrared Ray filiter, 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하우징(2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20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3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상기 렌즈 모듈(150)과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렌즈 홀더(100) 내 상기 렌즈 모듈(150)의 배치 구조에 특징이 있다.
상세히, 상기 제2공간(110)은 단면적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공간(110)은 제1단면적(D1)을 가지는 제1영역(113)과, 상기 제1단면적(D1) 보다 큰 제2단면적(D2)을 가지는 제2영역(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3)은 상기 제2영역(1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113)은 상기 제2영역(116) 보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10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1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턱(170)의 내측에는 상기 제1영역(113)의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100)의 내면 중 상기 단턱(170) 형성 영역 이외의 영역의 내측에는 상기 제2영역(11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영역(113)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영역(1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3)과 상기 제2영역(116)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150)의 복수의 렌즈는 적어도 일부가 단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영역(113) 내 배치되는 렌즈의 단면적은 상기 제2영역(116) 내 배치되는 렌즈의 단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50) 내 복수의 렌즈는 상기 이미지 센서(310)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제1렌즈(151), 제2렌즈(152), 제3렌즈(153), 제4렌즈(154), 제5렌즈(155) 및 제6렌즈(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51)는 최외곽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56)는 상기 제1 내지 제5렌즈(151, 152, 153, 154, 155) 보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56)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최하단 렌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외곽 렌즈와, 최하단 렌즈와, 상기 최외곽 렌즈와 상기 최하단 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앙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중앙 렌즈는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제2렌즈(152), 상기 제3렌즈(153), 상기 제4렌즈(154) 및 상기 제5렌즈(155)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중앙 렌즈 중 일부는 상기 제1영역(113)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영역(116)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영역(116)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렌즈는 상기 제1영역(113) 내 최상단에 배치되는 렌즈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렌즈(154)와 상기 제5렌즈(155)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54)와 상기 제5렌즈(155)의 결합은 접착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54)와 상기 제5렌즈(155)의 사이에는 상기 제4렌즈(154)와 상기 제5렌즈(155)를 결합시키는 스페이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3) 내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영역(116)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제1영역(113) 내 배치되는 렌즈들은 광축 방향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렌즈(154)와 상기 제5렌즈(155), 상기 제5렌즈(155)와 상기 제6렌즈(156)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200)의 길이(L1)는, 상기 제1영역(113)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00)의 하면까지의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12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영역(113)의 상단까지의 길이(L3)는, 상기 제1영역(113)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00)의 하면까지의 길이(L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113)의 길이(L4)는 상기 렌즈 홀더(100)의 길이(L5)의 1/1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L4와 상기 L5는 다음의 관계식을 가질 수 있다.
L4 > L5/10, (관계식)
상기 관계식에 따르면, 상기 렌즈 모듈(150)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영역(113)의 상단은, 광축 방향으로의 상기 렌즈 홀더(100)의 전체 길이 대비 1/10 보다 높은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렌즈 배럴의 하단에 단턱이 배치되는 종래 구조 대비 온도 변화에 따른 렌즈와 이미지 센서 간 거리 변화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에폭시와 하우징의 재질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이미지 센서가 렌즈 모듈 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카메라 모듈의 해상력이 안정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 렌즈 홀더(400), 하우징(500) 및 인쇄회로기판(6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의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상기 하우징(500)은 상기 카메라 모듈(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0)은 상기 렌즈 홀더(4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0)의 내측에는 상기 렌즈 홀더(400)를 수용하기 위한 제1공간(5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 하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0) 및 상기 렌즈 홀더(4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0)은 몸체부(530)와, 상기 몸체부(53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520)는 상기 몸체부(530)의 측면 중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520)의 측면은 상기 몸체부(530)의 측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520)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부(53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520)는 상기 하우징(500)의 하단을 형성하며, 하면이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의 상면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0)의 하면, 즉 상기 플랜지부(520)의 하면 중 일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510)은 상기 몸체부(530) 및 상기 플랜지부(5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510)의 내면에는 상기 렌즈 홀더(400)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4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500) 내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하우징(50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4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몸체부(5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400)는 제1바디(421)와, 제2바디(42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421)는 상기 제2바디(42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421)의 단면적은 상기 제2바디(424)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421)는 상기 제1공간(51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421)는 상기 제1공간(510)의 내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421)의 외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홈 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600) 사이에는 접착부(4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490)는 접착제가 도포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Epox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490)는 상면이 상기 하우징(500)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5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부(490)는 링(Ring)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400)는 내측에 렌즈 모듈(450)을 수용하도록 제2공간(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400)의 내측에 상기 렌즈 모듈(450)이 배치된다는 점에서, 상기 렌즈 홀더(400)는 렌즈 배럴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은 상기 렌즈 홀더(4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의 상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을 구성하는 렌즈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렌즈는 상기 렌즈 홀더(40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의 상단은 타 영역보다 상기 카메라 모듈(20)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의 이미지 센서(610)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은 상기 이미지 센서(610)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의 광축은 상기 이미지 센서(610)의 광축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과 상기 이미지 센서(610) 사이에는 적외선 필터(IR filter, Infrared Ray filiter, 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은 상기 하우징(5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의 상면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6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610)는 상기 렌즈 모듈(450)과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410)은 단면적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공간(410)은 제1단면적(D1)을 가지는 제1영역(413)과, 상기 제1단면적 보다 큰 제2단면적(D2)을 가지는 제2영역(4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413)은 상기 제2영역(4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413)은 상기 제2영역(416) 보다 상기 이미지 센서(6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40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4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턱(470)의 내측에는 상기 제1영역(413)의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400)의 내면 중 상기 단턱(470) 형성 영역 이외의 영역의 내측에는 상기 제2영역(41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영역(413)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영역(4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413)과 상기 제2영역(416)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450)의 복수의 렌즈는 적어도 일부가 단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영역(413) 내 배치되는 렌즈의 단면적은 상기 제2영역(416) 내 배치되는 렌즈의 단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450) 내 복수의 렌즈는 상기 이미지 센서(610)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제1렌즈(451), 제2렌즈(452), 제3렌즈(453), 제4렌즈(454), 제5렌즈(455) 및 제6렌즈(4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451)는 최외곽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6렌즈(456)는 상기 제1 내지 제5렌즈(451, 452, 453, 454, 455) 보다 상기 이미지 센서(6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456)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최하단 렌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은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외곽 렌즈와, 최하단 렌즈와, 상기 최외곽 렌즈와 상기 최하단 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앙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중앙 렌즈는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제2렌즈(452), 상기 제3렌즈(453), 상기 제4렌즈(454) 및 상기 제5렌즈(455)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중앙 렌즈 중 일부는 상기 제1영역(413)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영역(416)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영역(416)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렌즈는 상기 제1영역(413) 내 최상단에 배치되는 렌즈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렌즈(454)와 상기 제5렌즈(455)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454)와 상기 제5렌즈(455)의 결합은 접착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렌즈(454)와 상기 제5렌즈(455)의 사이에는 상기 제4렌즈(454)와 상기 제5렌즈(455)를 결합시키는 스페이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413) 내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영역(416)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제1영역(413) 내 배치되는 렌즈들은 광축 방향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렌즈(454)와 상기 제5렌즈(455), 상기 제5렌즈(455)와 상기 제6렌즈(456)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500)의 길이(L6)는, 상기 제1영역(413)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500)의 하면까지의 길이(L7)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50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영역(413)의 상단까지의 길이(L8)는, 상기 제1영역(413)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500)의 하면까지의 길이(L7)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413)의 길이(L10)는 상기 렌즈 홀더(400)의 길이(L9)의 1/1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L9와 상기 L10는 다음의 관계식을 가질 수 있다.
L10 > L9/10, (관계식)
상기 관계식에 따르면, 상기 렌즈 모듈(450)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영역(413)의 상단은, 광축 방향으로의 상기 렌즈 홀더(400)의 전체 길이 대비 1/10 보다 높은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공간 내 배치되며, 제2공간을 포함하는 렌즈 홀더;
    상기 제2공간 내 배치되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렌즈와 정렬되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은 제1단면적을 가지는 제1영역과, 상기 제1단면적 보다 큰 제2단면적을 가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최외곽 렌즈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는 최하단 렌즈와, 상기 최외곽 렌즈와 상기 최하단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중앙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앙 렌즈 중 일부는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렌즈와, 상기 제2영역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렌즈는 상호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내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는 광축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이 배치되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단턱의 내측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길이는, 상기 제1영역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면까지의 길이 보다 긴 카메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마주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사이에는 에폭시(Epoxy)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영역의 상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영역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면까지의 길이 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길이는 상기 렌즈 홀더의 길이의 1/10 보다 큰 카메라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공간 내 나사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는 에폭시(Epoxy)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영역의 상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영역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면까지의 길이 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12. 제1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공간 내 배치되며, 제2공간을 포함하는 렌즈 홀더;
    상기 제2공간 내 배치되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렌즈와 정렬되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제2공간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단턱의 내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단턱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턱의 내측에 배치되는 렌즈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렌즈는, 상기 단턱의 외측에 배치되는 렌즈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렌즈와 상호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087913A 2021-07-05 2021-07-05 카메라 모듈 KR20230007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913A KR20230007096A (ko) 2021-07-05 2021-07-05 카메라 모듈
CN202280047972.9A CN117678229A (zh) 2021-07-05 2022-07-05 相机模块
PCT/KR2022/009659 WO2023282578A1 (ko) 2021-07-05 2022-07-05 카메라 모듈
EP22837930.1A EP4369699A1 (en) 2021-07-05 2022-07-05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913A KR20230007096A (ko) 2021-07-05 2021-07-05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096A true KR20230007096A (ko) 2023-01-12

Family

ID=8480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913A KR20230007096A (ko) 2021-07-05 2021-07-05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69699A1 (ko)
KR (1) KR20230007096A (ko)
CN (1) CN117678229A (ko)
WO (1) WO202328257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80Y1 (ko) * 2012-06-29 2014-03-19 주식회사 세코닉스 방수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
JP5685625B2 (ja) * 2013-07-01 2015-03-1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326535B1 (ko) * 2014-12-17 2021-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79786B1 (ko) * 2015-02-26 2021-07-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KR102374766B1 (ko) * 2015-09-01 2022-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차량용 카메라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78229A (zh) 2024-03-08
WO2023282578A1 (ko) 2023-01-12
EP4369699A1 (en) 202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9379A1 (en) Optical path folding element,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190011667A1 (en) Imaging lens element,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32487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230007096A (ko) 카메라 모듈
US20230296863A1 (en) Lens element, imaging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430532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082368A (ko) 카메라 모듈
US20230239561A1 (en) Camera module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US20230418020A1 (en) Camera module
KR20230155811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09132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68075A (ko) 카메라 모듈
US20230324588A1 (en) Metal light blocking element, imaging lens assembl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230020308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94896A (ko) 카메라 모듈
KR20220166600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41851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06277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72638A (ko) 카메라 모듈
JP202451746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
CN220671792U (zh) 光路转折元件、相机模块与电子装置
KR20230006278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41813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240041812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