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486A -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486A
KR20180093486A KR1020170019639A KR20170019639A KR20180093486A KR 20180093486 A KR20180093486 A KR 20180093486A KR 1020170019639 A KR1020170019639 A KR 1020170019639A KR 20170019639 A KR20170019639 A KR 20170019639A KR 20180093486 A KR20180093486 A KR 20180093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posed
connection member
housing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486A/ko
Priority to US16/482,318 priority patent/US11249372B2/en
Priority to PCT/KR2018/001811 priority patent/WO2018147696A1/ko
Priority to EP18751531.7A priority patent/EP3582483B1/en
Priority to CN202110855938.1A priority patent/CN113630534B/zh
Priority to CN201880011623.5A priority patent/CN110326282B/zh
Publication of KR2018009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1
    • H04N5/2252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외측에 렌즈홀더가 배치되며, 내부에 기판부가 배치된 하우징;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1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의 하면에 배치된 발열체; 상기 렌즈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이미지센서; 상기 렌즈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CAMERA MODULE AND VEHIC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습기에 의해 촬영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열선을 이용한 간접 가열 방식이 있으나, 전력 효율적인 측면에서 제약이 있다.
따라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최외곽 렌즈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직접 가열 방식은, 전원 전달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이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전력 전달 구조와 조립이 간편한 직접 가열 방식의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외측에 렌즈홀더가 배치되며, 내부에 기판부가 배치된 하우징;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1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의 하면에 배치된 발열체; 상기 렌즈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이미지센서; 상기 렌즈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제1렌즈배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배럴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가 통과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된 연결부재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렌즈홀더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렌즈를 수용하는 제1렌즈배럴; 상기 렌즈홀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배럴과 상기 제1렌즈를 수용하는 제2렌즈배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배럴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가 통과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된 연결부재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절연물질이 코팅된 환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절연물질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은, 제1전도부재에 의해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은, 제2전도부재에 의해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도부재와 상기 제2전도부재는, 도전성 접착제 또는 등방성 도전 필름 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는, 상기 렌즈본체의 윗면에 배치된 제1반사방지부; 상기 발열체의 아랫면에 배치된 제2반사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의 아랫면에서 상기 전극부와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2반사방지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서 상기 기판부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단자;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는, 제3전도부재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도부재는, 도전성 접착제 또는 등방성 도전 필름 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1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 또는 상기 1 이상의 도어 중 적어도 1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외측에 렌즈홀더가 배치되며, 내부에 기판부가 배치된 하우징;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1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의 하면에 배치된 발열체; 상기 렌즈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이미지센서; 상기 렌즈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한 제1렌즈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분리되어 있다. 그 결과,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보다, 쉽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과 커버하우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1연결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전원 전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에 표시된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z축의 화살표 방향"은, "상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z축 방향"은 "광축 방향"과 혼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축 방향"은, 렌즈모듈(100)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표시된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x축의 화살표 방향"은, "우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표시된 "y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y축의 화살표 방향"은, "전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1)는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및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는 자동차(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의 측면에는 1 이상의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도어(3)에는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바디(2)의 전방 하부에는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의 후방 하부에는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은 "차량용 카메라"로 호칭될 수 있다.
바디(2)의 측부 또는 1 이상의 도어(3) 중 적어도 1 이상에는 카메라 모듈(10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바디(2)의 전방 후방 측방 및 1 이상의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바디(2)의 전방부(그릴, 앰블렘 등), 바디(2)의 측부(사이드 아우터 또는 가니쉬 등), 바디(2)의 후방부(트렁크, 앰블렘, 가니쉬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카메라 모듈(1000)은 도어(3)에 결합된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자동차(1)는, 사이드 미러가 카메라 모듈(1000)로 대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해 제어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1) 내부의 전자제어유닛을 통해서 영상을 재생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제어유닛의 역할을 하는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1000) 내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직접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제어유닛은, 카메라 모듈(100)의 기판부(400)에 실장될 수 있다.
바디(2)의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실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2)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0)이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바디(2) 내부의 대시보드(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과 커버하우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1연결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전원 전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모듈(100), 하우징(200), 연결부(300), 기판부(400), 이미지센서(500) 및 케이블(6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하우징(200)의 윗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렌즈홀더(212)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을 투과한 광은, 하우징(200) 내부의 이미지센서(500)로 조사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제1렌즈배럴(110), 제2렌즈배럴(120), 제1렌즈(130) 및 제2렌즈(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렌즈배럴(120)는 설계적 요청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은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은 렌즈홀더(2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렌즈배럴(110)은 제2렌즈배럴(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렌즈배럴(110)은 제2렌즈배럴(120) 및 렌즈홀더(212)에 수용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에는, 제1렌즈(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140)를 포함한 복수 개의 렌즈가 수용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에는 제1렌즈(130)가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에 수용된 복수 개의 렌즈는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렌즈는 정렬되어 광축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2렌즈배럴(120)이 생략된 경우, 제1렌즈배럴(110)에는, 제1렌즈(130)와 제2렌즈(140)를 포함한 복수 개의 렌즈가 수용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에는 제1렌즈(130)가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렌즈배럴(110)의 윗면과 제1렌즈(130)의 아랫면 사이에는 제1연결부재(3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연결부재(310)의 윗면은, 제1렌즈(130)의 아랫면과 접촉하고, 제1연결부재(310)의 아랫면은, 제1렌즈배럴(110)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의 측면에는, 서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은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는, 제1렌즈배럴(110)의 사출시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는 연결부재수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수용부(111)는 제1렌즈배럴(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수용부(111)는 제1렌즈배럴(110)의 측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수용부(111)는 제1렌즈배럴(110)의 측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연결부재수용부(111)에는, 서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용홀(111-1)과 제2수용홀(1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홀(111-1)에는 제2연결부재(320)가 통과할 수 있다. 제2수용홀(111-2)에는 제3연결부재(330)가 통과할 수 있다. 즉,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는 제1수용홀(111-1)과 제2수용홀(111-2)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연결부재수용부(111)의 외측면에는 제1나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나사부(112)는 렌즈홀더(2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나사부(212-1)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렌즈배럴(110)은 렌즈홀더(2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렌즈배럴(110)은 렌즈홀더(212)에 내삽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10)의 하부는 하우징(200)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렌즈배럴(12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제2렌즈배럴(120)은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제2렌즈배럴(120)은 광학홀(121)이 형성된 윗면과 윗면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된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배럴(120)은 렌즈홀더(2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렌즈배럴(120)은 제1렌즈배럴(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렌즈배럴(120)은 제1렌즈배럴(110) 및 렌즈홀더(212)를 수용할 수 있다.
제2렌즈배럴(120)의 측면과 제1렌즈배럴(110)의 측면 사이에는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배럴(120)의 광학홀(121)에는 제1렌즈(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렌즈(130)는 제1렌즈배럴(110)에 수용된 복수 개의 렌즈의 광축과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렌즈(130)는 제1렌즈배럴(110)에 수용된 복수 개의 렌즈의 외측(최상층, 최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렌즈배럴(120)의 측면은, 제1렌즈배럴(110)을 측면을 넘어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렌즈배럴(120)의 내측면에는 제3나사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나사부(122)는 렌즈홀더(21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4나사부(212-2)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렌즈배럴(120)은 렌즈홀더(2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렌즈배럴(120)에 렌즈홀더(212)가 내삽될 수 있다.
제1렌즈(130)는 렌즈모듈(100)에서 최외곽(최상층)에 배치되는 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13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렌즈(130)에는, 빗물 또는 이슬 등이 맺혀 촬영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1렌즈(130)는 제2렌즈배럴(120)의 광학홀(1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배럴(120)이 생략된 경우, 제1렌즈(130)는 렌즈배럴(110)의 최외곽(최상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130)는 제1렌즈배럴(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렌즈(130)와 제1렌즈배럴(110) 사이에는 제1연결부재(3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제1렌즈(130)의 적층 코팅구조와 발열구조를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하여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제1렌즈(130)는 렌즈본체(131), 발열체(132), 제1반사방지부(133) 및 제2반사방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본체(131)는 광학 렌즈로, 설계조건에 따라 외부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렌즈본체(131)의 아랫면에는 발열체(132)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본체(131)의 아랫면은 발열체(132)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발열체(132)는 투명한 저항체로,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열체는, ITO(In diun Tin Oxide)일 수 있다. 발열체(132)에 전원이 인가되면, 렌즈본체(131)에 형성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다. 즉, 발열체(132)는 렌즈본체(131)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렌즈본체(131)의 윗면에는 제1반사방지부(133)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본체(131)의 윗면은 제1반사방지부(133)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발열체(132)의 아랫면에는 제2반사방지부(134)가 배치될 수 있다. 발열체(131)의 아랫면은 제2반사방지부(134)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제1반사방지부(133)과 제2반사방지부(134)는 렌즈본체(131)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것(AR, Anti Reflection)으로, 광학적 설계요청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2반사방지부(134)는 발열체(132)에서 제1연결부재(310)의 전극부(311)와 접촉되는 부분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발열체(132)에서 전극부(311)와 대응하는 부분은, 제2반사방지부(134)로부터 노출되어 전극부(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부(311)는 발열체(132)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전극부(311)는 양극을 띄는 제1전극(311-1)과 음극을 띄는 제2전극(3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311-1)은 제1전도부재(315)에 의해 발열체(3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전극(311-2)은 제2전도부재(316)에 의해 발열체(3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전도부재(315)와 제2전도부재(316)는 도전성 접착제, 등방성 도전 필름,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ng Film) 등일 수 있다. 특히, 상하 방향으로 전류를 제어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은, 전극부(311)에서 발열체(131)로,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발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200)은 카메라 모듈(1000)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20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하우징(200)은 커버하우징(210)과 바디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하우징(210)은 바디하우징(22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하우징(210)과 바디하우징(220)은 융착, 스크류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커버하우징(210)은 바디하우징(220)의 상측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커버하우징(210)은 바디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커버하우징(210)과 바디하우징(220) 사이에는, 기밀성 향상을 위한 가스켓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하우징(210)은 커버(211)와 렌즈홀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11)와 렌즈홀더(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11)는 바디하우징(22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211)는 바디하우징(220)의 상측 개구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커버(211)는 플레이트 형태의 윗면과 윗면의 각 변에서 아래로 연장된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211)의 윗면에는 렌즈홀더(212)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211)의 중앙에는 렌즈홀더(212)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212)는 커버(211)의 윗면에 형성될 수 있다. 렌즈홀더(212)는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렌즈홀더(212)의 내측에는 제1렌즈배럴(11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212)의 외측에는 제2렌즈배럴(12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212)는 제1렌즈배럴(110) 및 제2렌즈배럴(120)과 결합할 수 있다.
바디하우징(220)은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블럭 형태일 수 있다. 바디하우징(220)의 상부에는 커버하우징(210)이 배치될 수 있다. 바디하우징(220)의 상부 개구는, 커버하우징(2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 결과, 바디하우징(220)에는,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하우징(220)에는, 제2연결부재(320), 제3연결부재(330), 기판부(400), 이미지센서(500) 및 케이블(600)이 수용될 수 있다. 바디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제1렌즈배럴(110)을 통과한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상측 단부가 기판부(400)에 실장되고, 바디하우징(220)을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된 케이불(6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하우징(220)의 하부에는, 케이블(600)이 관통하는 케이블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렌즈모듈(1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연결부재(310),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3연결부재(330)는 설계적 요청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는 분리된 개별 부재일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윗면과 아랫면이 형성된 납작한 환 형태(Ring Shape)일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발열체(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발열체(132)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제1렌즈(130)와 제1렌즈배럴(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발열체(13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발열체(132)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에는 절연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제1연결부재에서 절연물질로부터 노출된 전극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극부(311)에는 절연물질이 코팅되지 않아(SR Open, Solder Resist Open) 도전라인이 노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전극부(311)와 발열체(132)가 접촉하는 경우, 발열체(132)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부(311)가 발열체(132)와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전극부(311)와 발열체(132) 사이에 제1전도부재(315)와 제2전도부재(316)가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 발열체(132)의 아랫면에 제2반사방지부(134)가 코팅된 경우, 발열체(132)의 아랫면에서 전극부(311)와 대응되는 부분은, 제2반사방지부(134)로부터 노출되어 전극부(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부(311)는 제1연결부재(310)의 윗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아랫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전극부(311)가 제1연결부재(310)의 윗면에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극부(311)는 양의 극성을 띄는 제1전극(311-1)과 음의 극성을 띄는 제2전극(3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311-1)과 제2전극(311-2)은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와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제1전극(311-1)과 제2전극(311-2)은 선 형태일 수 있다. 발열체(132)가 동일한 면저항(Ω/sq)을 갖는다고 할지라도, 전극의 형태에 따라 전기장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유효 저항값은 전류 흐름 패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유효 저항은 전극의 길이에 반비례하고, 전극의 간격에 비례한다. 따라서 유효 저항값의 안정성, 균일한 전류 분포를 위해, 제1전극(311-1)과 제2전극(311-2)은 점 형태인 것보다 선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극(311-1)과 제2전극(311-2)은 제1연결부재(310)의 방사상 내측에 배치된 호(arc) 형태일 수 있다. 제1전극(311-1)과 제2전극(311-2)은 제작의 편의를 위해, 직사각형 형태일 수도 있다.
제1전극(311-1)과 제2전극(311-2)은, 제1연결부재(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전극(311-1)과 제2전극(311-2) 사이의 발열체(132)에 균일하게 전류가 흘러 발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는, 제1연결부재(310)에서 하우징(200)의 내부로 연장되어, 제1연결부재(310)와 기판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는, 제1연결부재(310)에서 기판부(400)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제2연결부재(320)와 제3연결부재(330)는, 하우징(200)을 관통하거나, 하우징(200)과 제1렌즈배럴(110) 사이에 배치되거나, 제1렌즈배럴(110)에 별도로 마련된 수용공간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引入, leaded-in)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배럴(110)에 별도로 마련된 수용공간을 통해 인입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2연결부재(320)는 제1렌즈배럴(110)의 연결부재수용부(111)에 형성된 제1수용홀(111-1)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제3연결부재(320)는 제1렌즈배럴(110)의 연결부재수용부(111)에 형성된 제2수용홀(111-2)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320)는 상측에 배치된 제1단자(321)와 하측에 배치된 제2단자(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321)는 제1전극(3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자(321)는 제1전극(311-1)과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의 a지점 참고)
또, 제1단자(321)는 제1전극(311-1)과 제3전도부재(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단자(321)와 제1전극(311-1) 사이에 제3전도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전도부재는, 도전성 접착제, 등방성 도전 필름,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ng Film) 등일 수 있다. 특히, 상하 방향으로 전류를 제어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은, 제1단자(321)에서 제1전극(311-1)으로,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발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단자(321)는 제1전극(3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2단자(322)는 기판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단자(322)는 기판부(400)에 실장되어, 제2연결부재(32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결부재(320)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3연결부재(330)는 상측에 배치된 제3단자(331)와 하측에 배치된 제4단자(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단자(331)는 제2전극(3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단자(331)는 제2전극(311-2)과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6의 b지점 참조)
또, 제3단자(331)는 제2전극(311-2)과 제4전도부재(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3단자(331)와 제2전극(311-2) 사이에 제4전도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제4전도부재는, 도전성 접착제, 등방성 도전 필름,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ng Film) 등일 수 있다. 특히, 상하 방향으로 전류를 제어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은, 제3단자(331)에서 제2전극(311-2)으로,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발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단자(331)는 제2전극(3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제4단자(332)는 기판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4단자(332)는 기판부(400)에 실장되어, 제3연결부재(330)에 음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연결부재(330)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3연결부재(330)는 설계적 요청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즉, 제2연결부재(320)만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결부재(320)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류가 흐르는 도전 라인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류가 흐르는 도전 라인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제2연결부재(320)는 제1연결부재(310)에서 전극부(3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6의 c지점 참조) 제1전극(311-1)과 제2전극(311-2) 중 일부만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1연결부재(310)의 c지점에는 별도의 단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의 제1연결부재(310),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는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즉, 제1연결부재(310),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서로 분리된 부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뿐이다.
카메라 모듈(1000)의 조립시, 하우징(200)에 기판부(400)를 내장하는 공정, 제2렌즈(140)를 포함한 복수 개의 렌즈를 제1렌즈배럴(110)에 장착하는 공정, 제1렌즈배럴(110)을 하우징(200)에 장착하는 공정, 제2렌즈배럴(120)을 하우징(200)에 장착하는 공정, 제1렌즈(130)를 제2렌즈배럴(120)에 장착하는 공정 순으로 진행한다.
이하, 제1연결부재(310),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제1연결부재(310),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제1렌즈배럴(110)에 조립하고,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기판부(400)에 실장한 후, 제1렌즈(130)를 제2렌즈배럴(120)에 장착시, 제1렌즈(130)와 제1연결부재(310)를 접촉시키는 경우, 전극부(311)의 안정적인 접촉이 어렵게 된다.
제1렌즈(130)는 제1렌즈배럴(110)에 장착된 복수 개의 렌즈와 광축이 정렬(align)되며 장착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부(311)는 선 형태를 가지므로, 제1렌즈(130)를 정렬하며, 전극부(311)의 모든 부분과 발열체(132)가 접촉되도록 균등한 압력을 가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제1연결부재(310)와 제1렌즈(130)를 먼저 조립하고, 제1렌즈(130)를 제2렌즈배럴(120)에 장착시,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제1렌즈배럴(110)을 통해 기판부(400)와 연결시키는 경우,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하우징(200) 내부로 인입시키는 공정과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기판부(400)와 연결시키는 공정의 난이도가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연결부재(310),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별도의 부재로 분리하였다.
그 결과, 제1렌즈(130)의 장착 전에 미리 제1렌즈(130)와 제2연결부재(3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균등한 압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전극부(311)는 안정적으로 제1렌즈(130)와 접촉할 수 있다.
또, 제2렌즈배럴(120)의 장착 전에 제1렌즈배럴(110)을 통해,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시켜, 기판부와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공정이 간편해졌다.
그 후, 제2렌즈배럴(120)을 하우징(200)에 장착하고, 제1렌즈(130)를 제2렌즈배럴(12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1연결부재(310)를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와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
기판부(4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부(400)는 바디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 될 수 있다. 기판부(400)는 카메라 모듈(1000)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부품과 이러한 전자부품이 실장된 기판을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기판부(400)는 제1기판(410), 제2기판(420), 쉴드캔(430), 기판커넥터(440) 및 케이블커넥터(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41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기판(410)은 제2기판(420)과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410)에는 이미지센서(500)가 실장될 수 있다. 제1기판(410)에는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가 실장될 수 있다. 제1기판(410)은 기판커넥터(440)에 의해, 제2기판(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기판(410)은 제2기판(420)을 통해, 외부의 전원을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에 인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의 전원은,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통해, 제1연결부재(3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기판(410)은 제2기판(420)을 통해, 이미지센서(50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2기판(42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2기판(420)은 제1기판(410)과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420)에는 케이블(600)이 실장될 수 있다. 제2기판(420)은 기판커넥터(440)에 의해, 제1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420)은 케이블(600)을 통해, 외부의 전자 기기(예를 들어, 자동차(1)의 전자제어유닛 또는 전원 유닛)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600)은 바디하우징(220)의 아랫면을 관통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에 도킹(Docking)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판(420)은 외부의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기판(420)은 외부의 전자 기기에서, 제어된 전원 또는 제어된 전자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제1기판(410)이나 제2기판(420) 자체에 제어부(미도시)가 실장돼, 외부의 전자 기기에서 공급된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 전자 설계의 요청에 의해, 제어부는 외부의 전자 기기, 제1기판(410), 제2기판(420) 등에 분할되어 배치되거나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쉴드캔(430)은 상하가 개구된 중공의 블럭 형태일 수 있다. 쉴드캔(430)은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을 수용할 수 있다. 쉴드캔(430)은 외부의 전자기를 차폐할 수 있다. 쉴드캔(430)은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에서 생성된 전자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쉴드캔(430)에는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이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5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500)는 제1기판(41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500)는 렌즈모듈(100)의 광축과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모듈(100)을 투과한 광은 이미지센서(500)로 조사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500)는 획득한 광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5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센서(50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블(600)은 여러 개의 소선이 결합된 도전라인일 수 있다. 케이블(600)은 제2기판(420)에 실장될 수 있다. 케이블(600)은 외부의 전자 기기와 제2기판(4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600)은 상측 단부가 제2기판(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600)은 바디하우징(220)을 통과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600)의 하측 단부는 외부의 전자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자동차
100: 렌즈부 200: 하우징
300: 연결부 400: 기판부
500: 이미지센서 600: 케이블
1000: 카메라 모듈

Claims (10)

  1. 외측에 렌즈홀더가 배치되며, 내부에 기판부가 배치된 하우징;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1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의 하면에 배치된 발열체;
    상기 렌즈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이미지센서; 및
    상기 렌즈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제1렌즈배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배럴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가 통과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된 연결부재수용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렌즈홀더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렌즈를 수용하는 제1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홀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배럴과 상기 제1렌즈를 수용하는 제2렌즈배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배럴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가 통과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된 연결부재수용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절연물질이 코팅된 환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절연물질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은, 제1전도부재에 의해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은, 제2전도부재에 의해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부재와 상기 제2전도부재는,
    도전성 접착제 또는 등방성 도전 필름 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인 카메라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렌즈본체의 윗면에 배치된 제1반사방지부; 및
    상기 발열체의 아랫면에 배치된 제2반사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의 아랫면에서 상기 전극부와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2반사방지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서 상기 기판부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단자; 및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제3전도부재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도부재는,
    도전성 접착제 또는 등방성 도전 필름 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인 카메라 모듈.
  10.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1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디 또는 상기 1 이상의 도어 중 적어도 1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외측에 렌즈홀더가 배치되며, 내부에 기판부가 배치된 하우징;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1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의 하면에 배치된 발열체;
    상기 렌즈모듈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이미지센서; 및
    상기 렌즈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019639A 2017-02-13 2017-02-13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180093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39A KR20180093486A (ko) 2017-02-13 2017-02-13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6/482,318 US11249372B2 (en) 2017-02-13 2018-02-12 Camera module and vehicle
PCT/KR2018/001811 WO2018147696A1 (ko) 2017-02-13 2018-02-12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EP18751531.7A EP3582483B1 (en) 2017-02-13 2018-02-12 Camera module and vehicle
CN202110855938.1A CN113630534B (zh) 2017-02-13 2018-02-12 相机模块及车辆
CN201880011623.5A CN110326282B (zh) 2017-02-13 2018-02-12 相机模块及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39A KR20180093486A (ko) 2017-02-13 2017-02-13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86A true KR20180093486A (ko) 2018-08-22

Family

ID=6345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639A KR20180093486A (ko) 2017-02-13 2017-02-13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4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65A1 (ko) * 2018-11-30 2020-06-04 에이치엔티일렉트로닉스(주)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20197289A1 (ko) * 2019-03-26 2020-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히팅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65A1 (ko) * 2018-11-30 2020-06-04 에이치엔티일렉트로닉스(주)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6091A (ko) * 2018-11-30 2020-06-09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WO2020197289A1 (ko) * 2019-03-26 2020-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히팅 장치 및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30534B (zh) 相机模块及车辆
US11700444B2 (en) Vehicular camera having tolerance accommodating electric ally-conductive connection
US11435574B2 (en) Camera module
CN108293086B (zh) 摄像机模块和车载摄像机
US10288831B2 (en)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lens unit
KR102433450B1 (ko) 카메라 모듈
CN111919169A (zh) 透镜模块和相机模块
KR20170041360A (ko) 카메라 모듈
EP3951494A1 (en) Heat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N110603807B (zh) 相机模块及车辆
KR20180093486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596540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KR20190012339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180093487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N215219399U (zh) 车载摄像头
EP3978999A1 (en) Camera module
KR20200137690A (ko) 카메라 모듈
KR102666968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180085195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102500367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666965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180085279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200113641A (ko) 히팅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200137691A (ko) 카메라 모듈
KR20170036531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