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091A -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 Google Patents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091A
KR20200066091A KR1020180153172A KR20180153172A KR20200066091A KR 20200066091 A KR20200066091 A KR 20200066091A KR 1020180153172 A KR1020180153172 A KR 1020180153172A KR 20180153172 A KR20180153172 A KR 20180153172A KR 20200066091 A KR20200066091 A KR 2020006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lens
lens barrel
camera modul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382B1 (ko
Inventor
김상량
박상호
경동혁
김성주
유현식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18015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382B1/ko
Priority to US17/296,091 priority patent/US20220014658A1/en
Priority to PCT/KR2018/015572 priority patent/WO2020111365A1/ko
Priority to CN201921374524.1U priority patent/CN210894958U/zh
Publication of KR2020006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091A/ko
Priority to KR1020210048037A priority patent/KR102468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최외곽 렌즈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들이 수용되는 렌즈 수용부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및 발열 조성물이 상기 렌즈배럴에 분사되어 이루어지는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수용부의 내경은 50mm 이하이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에 대향된 상기 렌즈배럴 상에 구비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CAMERA MODULE HAVING A FUNCTION OF HEAT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련된다.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가 상당히 진전되었고, 그 결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기기들에 고성능 소형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일이 일상화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이륜차 등 각종 이동수단에도 다양한 목적으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온도편차 등에 의하여 렌즈부 또는 렌즈 보호용 윈도우 등에 습기가 찰 수 있으며, 이러한 습기로 인해 촬영된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카메라 모듈의 오작동이 발생되거나, 카메라 모듈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코일 등의 전열선을 이용하는 등의 방식도 제안된 바 있지만, 제조공정의 효율성이나 제조원가 경쟁력 등의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KR 10-2011-0068442 A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발열기능을 구비함에 있어서 제조효율 향상, 제조원가 절감 및 제품수명 연장 중 적어도 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발열기능을 구비함에 있어서 제조효율 향상, 제조원가 절감 및 제품수명 연장 중 적어도 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은, 최외곽 렌즈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들이 수용되는 렌즈 수용부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및
발열 조성물이 상기 렌즈배럴에 분사되어 이루어지는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수용부의 내경은 50mm 이하이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에 대향된 상기 렌즈배럴 상에 구비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부의 두께는 200um 이하이고, 상기 발열부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 사이의 편차는 10u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에 대향된 상기 렌즈배럴 상에 돌기부가 구비되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내주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렌즈배럴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발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은 상기 돌기부의 저면 및 상기 발열부의 저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상기 렌즈배럴에 구비되는 전극; 및 상기 렌즈배럴과 결합되며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이 구비된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배럴은, 내주면이 상기 렌즈 수용부이고,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된 몸체부와;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큰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의 타단은 상기 발열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의 일단은 상기 헤드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극의 타단은 상기 발열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모듈 제조방법은, 내경 50mm 이하인 렌즈배럴에 발열 조성물을 분사하는 단계; 및 발열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발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은, 내주면에 렌즈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된 몸체부와;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큰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 조성물을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배럴이 회전중인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렌즈 수용부가 만나는 부분을 향하여 상기 발열 조성물을 분사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돌기부 및 리세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세스부에 분사된 발열 조성물이 경화되어 상기 발열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열 조성물이 분사되는 면 중에서, 상기 발열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마스킹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발열잉크가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킹은 이중사출방식으로 구비되고, 발열잉크 분사가 종료된 이후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에 발열기능을 구비함에 있어서 제조효율 향상, 제조원가 절감 및 제품수명 연장 중 적어도 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발열부에 연결되는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부 및 전극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한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세부 크기, 형태, 두께, 곡률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도식화된 것으로서, 허용 오차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은, 렌즈배럴, 렌즈, 홀더, 이미지 센서, 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발열부를 포함한다. 이 발열부는 발열 조성물을 소정의 위치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일실시예에서, 발열 조성물은 전도성 물질과 저항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발열 조성물은, 인상흑연, 인조흑연, 디에틸렌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카본블랙, 폴리에스터수지, 에틸렌 글리콜 모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열 조성물은, 분산제, 접착증진제, 침강방지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렌즈배럴은 헤드부와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고, 헤드부의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고, 몸체부의 내주면에 렌즈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렌즈 수용부에는 최외곽 렌즈를 포함한 여러 개의 렌즈들(P2, P3, P4)로 이루어지는 렌즈군이 수용될 수 있으며, 자동 초점 조절, 줌인, 줌아웃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렌즈들이이 렌즈 수용부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예시된 렌즈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렌즈들의 형상, 크기, 두께, 위치, 거리 등은 도면에 예시되지 않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홀더는 렌즈배럴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서, 렌즈배럴의 몸체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홀더에는 이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구비된 수용부가 구비됨으로써 렌즈배럴이 홀더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홀더의 하부는 회로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어 렌즈들(P1, P2, P3, P4)을 통과한 빛을 수광하고 디지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렌즈들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적외선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발열부는 최외곽 렌즈와 헤드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발열부는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에 대향된 상기 렌즈배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도 2에 예시된 화살표 방향(A-direction)으로 발열 조성물의 분사 또는 분무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발열 조성물의 분사과정이 완료되면 발열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발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열부 이외의 부분에는 마스킹이 구비된 상태로 발열 조성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스킹은 이중사출방식으로 구비되고, 발열잉크 분사가 종료된 이후 마스킹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불필요한 곳에 발열 조성물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렌즈배럴이 회전중인 상태에서 발열 조성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분사된 발열 조성물이 고르게 펴지면서 일정한 두께로 발열부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발열부의 두께 편차를 요구되는 수준으로 낮추는데 유리하다.
도 3은 발열부에 연결되는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부 및 전극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한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렌즈 수용부의 직경 R2는 50mm 이하이다. 이에 따라, 롤러 등의 기구를 활용해서 본 발명의 발열부 위치에 발열 조성물을 제공하기는 어렵다. 한편, 브러시 등을 활용해서 발열 조성물을 바르는 방식도 생각해 볼 수는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공정효율 측면이나 정밀도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일실시예에서, 통공의 직경 R1는 R2의 1/5 내지 4/5의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발열부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발열부의 평탄도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며, 습기 제거를 위해 요구되는 발열능력을 과도하게 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발열부의 두께 D1은 200um 이하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현재 기술 수준에서, 발열 조성물을 분사 내지 분무해서 1um 미만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은 공정 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일실시예에서,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는 발열부의 저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발열부는 최외곽 렌즈를 지지하면서 최외곽 렌즈에 열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발열부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 사이의 편차(도 8에서 Dmax2로 표시됨)는 10u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의 두께 편차가 과도하게 커지면 최외곽 렌즈가 설계된 값으로부터 과도하게 틀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축의 틀어짐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발열부의 폭 W1은 (R2-R1)/2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폭 W1은 렌즈 수용부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렌즈 수용부를 넘어 몸체부 내측에 발열성 물질은 최외곽 렌즈에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부분은 전극과의 연결을 위해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부분들을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등으로 칭하기도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에 대향된 렌즈배럴 상에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는 렌즈배럴의 내주면, 즉 렌즈 수용부에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와 렌즈배럴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종의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리세스부에 발열 조성물을 분사함으로써 발열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은 돌기부의 저면 및 발열부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 중 가급적 넓은 면적이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돌기부의 저면과 발열부의 저면 사이의 단차도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기부는 발열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마모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발열부의 경우 발열 조성물이 분사된 후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돌기부가 헤드부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돌기부의 내마모성이 발열부보다는 높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외곽 렌즈를 비롯한 렌즈들이 돌기부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해서 김서림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발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이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전극은 렌즈배럴에 구비될 수 있고, 전원선은 홀더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렌즈배럴의 몸체부에 제1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렌즈 수용부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몸체부가 함몰되어 제1 리세스부가 구현될 수 있다. 제1 리세스부 내에 제1 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극은 리드선, 와이어, 도전성 필름, 도전성 페이스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인서트 몰딩이나 이중사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렌즈배럴에 미리 제1 전극이 형성된 상태에서 발열 조성물이 분사되는 방식으로 발열부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부에서 제1 리세스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1 연장부가 제1 전극과 연결되면서 발열부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가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로 나뉘어지고, 그 사이의 영역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극의 일단은 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전극의 타단은 발열부와 접촉되도록 하며, 홀더에 구비되는 제1 전원선 및 제2 전원선이 각각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하단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전원 제공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극의 일단은 헤드부 외부로 노출되고, 전극의 타단은 발열부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극이 몸체부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홀더의 외주면에 제1 전원선이 연결되거나 홀더 내측을 관통하는 제2 전원선이 전극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발열부, 전극 및 연장부의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예시되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몸체부에 제1 리세스부, 제2 리세스부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발열 조성물이 분사되어 이루어지는 발열체가 구비됨으로써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은, 발열 조성물을 분사해서 구현된 발열부를 포함하므로, 롤러나 브러시 등으로 발열물질을 도포하기 어렵지만 렌즈 가열 효율이 상대적으로 좋은 위치에 발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위치는 소량의 에너지를 활용해도 최외곽 렌즈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에 발열기능을 구비함에 있어서 제조효율 향상, 제조원가 절감 및 제품수명 연장 중 적어도 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태블릿PC, 차량용 블랙박스, 드론 탑재용 카메라, CCTV 카메라,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카메라 모듈
110 : 렌즈배럴
111 : 헤드부
112 : 몸체부
112-1 : 제1 몸체
112-2 : 제2 몸체
112R1, 112R2, 112R3 : 리세스부
113 : 통공
114 : 렌즈 수용부
116 : 돌기부
117 : 렌즈 결합부
P1, P2, P3, P4 : 렌즈
130 : 홀더
131 : 제1 전원선
132 : 제2 전원선
140 : 적외선 필터
150 : 이미지 센서
160 : 회로기판
170 : 발열부
170-1 : 제1 발열부
170-2 : 제2 발열부
171 : 제1 연장부
172 : 제2 연장부
180 : 전극
181 : 제1 전극
182 : 제2 전극
270 : 발열부

Claims (12)

  1. 최외곽 렌즈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들이 수용되는 렌즈 수용부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및
    발열 조성물이 상기 렌즈배럴에 분사되어 이루어지는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수용부의 내경은 50mm 이하이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에 대향된 상기 렌즈배럴 상에 구비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두께는 200um 이하이고, 상기 발열부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 사이의 편차는 10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에 대향된 상기 렌즈배럴 상에 돌기부가 구비되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내주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렌즈배럴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발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렌즈의 상부면은 상기 돌기부의 저면 및 상기 발열부의 저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상기 렌즈배럴에 구비되는 전극; 및
    상기 렌즈배럴과 결합되며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이 구비된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렌즈배럴은,
    내주면이 상기 렌즈 수용부이고,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된 몸체부와;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큰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의 타단은 상기 발열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상기 렌즈배럴에 구비되는 전극; 및
    상기 렌즈배럴과 결합되며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이 구비된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렌즈배럴은,
    내주면이 상기 렌즈 수용부이고,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된 몸체부와;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큰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일단은 상기 헤드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극의 타단은 상기 발열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7. 내경 50mm 이하인 렌즈배럴에 발열 조성물을 분사하는 단계; 및
    발열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발열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내주면에 렌즈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된 몸체부와;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큰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조성물을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배럴이 회전중인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렌즈 수용부가 만나는 부분을 향하여 상기 발열 조성물을 분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돌기부 및 리세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세스부에 분사된 발열 조성물이 경화되어 상기 발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열 조성물이 분사되는 면 중에서, 상기 발열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마스킹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발열 조성물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은 이중사출방식으로 구비되고, 발열잉크 분사가 종료된 이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두께는 200um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의 두께 편차는 10u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KR1020180153172A 2018-11-30 2018-11-30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243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172A KR102243382B1 (ko) 2018-11-30 2018-11-30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17/296,091 US20220014658A1 (en) 2018-11-30 2018-12-07 Camera module with heat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18/015572 WO2020111365A1 (ko) 2018-11-30 2018-12-07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201921374524.1U CN210894958U (zh) 2018-11-30 2019-08-22 一种具有发热功能的相机模块
KR1020210048037A KR102468587B1 (ko) 2018-11-30 2021-04-13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172A KR102243382B1 (ko) 2018-11-30 2018-11-30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037A Division KR102468587B1 (ko) 2018-11-30 2021-04-13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091A true KR20200066091A (ko) 2020-06-09
KR102243382B1 KR102243382B1 (ko) 2021-04-22

Family

ID=7085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172A KR102243382B1 (ko) 2018-11-30 2018-11-30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14658A1 (ko)
KR (1) KR102243382B1 (ko)
CN (1) CN210894958U (ko)
WO (1) WO2020111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3547A (zh) * 2021-06-07 2021-08-13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带加热装置的摄像模组
TWI786676B (zh) * 2021-06-11 2022-12-11 紘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鏡頭
JP2023023904A (ja) * 2021-08-06 2023-02-16 マクセル株式会社 ヒータ、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モジュール、車載システム、移動体およびヒータ組み込み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296A (ko) * 1997-03-10 1998-11-05 김경태 옥외용 카메라 하우징의 전면유리 제상장치
KR20110068442A (ko) 2009-12-16 2011-06-22 주식회사 오카스 카메라 윈도우 성에방지용 히터와 그 구동시스템
KR20170021088A (ko) * 2015-08-17 2017-0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093486A (ko) * 2017-02-13 2018-08-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180103861A (ko) * 2016-01-22 2018-09-19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603A (ja) * 2003-04-22 2004-11-18 Kyocera Corp 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
US10609262B2 (en) * 2015-06-03 2020-03-31 Lg Innotek Co., Ltd. Lens barrel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EP3340601B1 (en) * 2015-08-17 2019-12-1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2487620B1 (ko) * 2015-09-15 2023-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박막 히터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296A (ko) * 1997-03-10 1998-11-05 김경태 옥외용 카메라 하우징의 전면유리 제상장치
KR20110068442A (ko) 2009-12-16 2011-06-22 주식회사 오카스 카메라 윈도우 성에방지용 히터와 그 구동시스템
KR20170021088A (ko) * 2015-08-17 2017-0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103861A (ko) * 2016-01-22 2018-09-19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카메라 모듈
KR20180093486A (ko) * 2017-02-13 2018-08-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4658A1 (en) 2022-01-13
WO2020111365A1 (ko) 2020-06-04
KR102243382B1 (ko) 2021-04-22
CN210894958U (zh)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382B1 (ko)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217098B1 (ko) 카메라 모듈
CN106664358B (zh) 摄像装置、光学设备、电子设备、车辆以及摄像装置的制造方法
KR100843300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376930B1 (ko) 고정 초점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6541029A (ja) 車載カメ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197797B2 (en) Camera module
US7990634B2 (en) Lens module with grooved barrel
WO2016117222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US10748946B2 (en) Lens module
CN111919169B (zh) 透镜模块和相机模块
KR20080093679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10768392B2 (en) Lens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lens module
KR101231517B1 (ko) 카메라 모듈
US20170363838A1 (en) Camera Module
US20130258187A1 (en) Camera module
US11119292B2 (en) Imaging lens assembly with metal retainer,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module
EP3865924B1 (en) Lens having two lens barrels, lens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KR102468587B1 (ko)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KR20190095778A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70915A1 (en) Light shielding memb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using the same
US11711601B2 (en) Double barrels lens, lens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2007171329A (ja) レンズ鏡筒
US9287317B2 (en) Image sensor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404611B (zh) 一种电子设备、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