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08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088A
KR20170021088A KR1020150115467A KR20150115467A KR20170021088A KR 20170021088 A KR20170021088 A KR 20170021088A KR 1020150115467 A KR1020150115467 A KR 1020150115467A KR 20150115467 A KR20150115467 A KR 20150115467A KR 20170021088 A KR20170021088 A KR 20170021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eating
line
heating lay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534B1 (ko
Inventor
이상현
서정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1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53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EP19207107.4A priority patent/EP3637755B1/en
Priority to CN202110620576.8A priority patent/CN113382140B/zh
Priority to EP16837293.6A priority patent/EP3340601B1/en
Priority to US15/753,125 priority patent/US10684444B2/en
Priority to PCT/KR2016/009001 priority patent/WO2017030351A1/ko
Priority to CN201680054872.3A priority patent/CN108028882B/zh
Publication of KR2017002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088A/ko
Priority to US16/870,218 priority patent/US119142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534B1/ko
Priority to US18/417,529 priority patent/US2024015193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04N5/2254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렌즈; 상기 렌즈에 위치하고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하는 발열층; 및 상기 렌즈 또는 상기 발열층의 표면에 위치하고,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발열하며, 상기 발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 외에 발열선을 구비하므로 발열체에 전류 공급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발열시간을 줄임으로써 신속한 발열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운 기후 조건에서 카메라 모듈의 렌즈에는 성에나 습기 등이 발생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카메라에 별도의 가열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을 가열하여 성에나 습기 등의 이물질을 증발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기능 및 성능을 유지한다.
종래에 사용된 상기 가열 수단의 일례로, 렌즈에 투명 재질의 발열이 가능한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고, 별도의 전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물질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시키는 카메라 모듈이 공개된 바 있다. 성에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에 공지된 기술은 전도성 물질을 렌즈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하고, 발열을 위한 전도성 물질의 저항 조절은 전도성 물질의 두께 조절을 통해 실시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전압과 전류상태에서 저항이 높을수록 발열효과가 크게 되므로, 종래 기술은 발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전도성 물질을 두껍게 코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그로 인해 촬영된 영상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전도성 물질의 코팅 두께를 조절을 통한 저항 조절은 그 한계가 있고, 그 발열 효과 또한 높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류의 공급에 따라 렌즈부의 히팅의 효율을 높이도록 발열층과 발열선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층에 신속한 발열이 가능하도록 발열선에 패턴을 형성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발열선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과 발열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통전부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상기 렌즈에 위치하고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하는 발열층; 및 상기 렌즈 또는 상기 발열층의 표면에 위치하고,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발열하며, 상기 발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의 일부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기 발열층이 위치하는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 상에서 상기 발열층이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 중 어느 하나의 전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기 발열층이 위치하는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 상에서 상기 발열층과 상기 렌즈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 중 어느 하나의 전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기 발열층과 상기 렌즈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 중 어느 하나의 전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기 발열층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의 전도성 물질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산화아연(ZnO), 그래핀(Graphene)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은나노 물질을 포함하며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서로 다른 극성을 나타내는 양극선과 음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선과 음극선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양극선과 상기 음극선은 상기 렌즈 표면에 원호를 형성하고, 상기 렌즈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렌즈면의 중심을 향해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반경이 상이하며 원호형상을 갖는 복수의 원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원호부는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상기 렌즈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렌즈면 중앙부분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모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분에서 양극과 음극이 서로 이어지는 카메라 모듈.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 중 일부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 중 피사체측에 가장 가까운 최외곽렌즈가 상기 렌즈 배럴의 상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며 최외곽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하는 프런트 바디; 및 상기 프런트 바디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와 이격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렌즈 배럴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통전부; 일단이 상기 제1 통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통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열층 외에 발열선을 구비하므로 발열체에 전류 공급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발열시간을 줄임으로써 신속한 발열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발열층 외에도 패턴이 형성된 발열선 자체로 발열가능하므로, 단순히 렌즈 표면에 발열층만 배치하는 것보다 저항을 높일 수 있어, 발열의 효과가 더욱 상승하며 발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항을 높이기 위해 단순히 렌즈 표면에 발열층의 두께를 두껍게 배치할 필요가 없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에 형성되는 발열선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통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0)와 프런트 바디(200) 및 리어 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렌즈부(100)는 복수 개의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렌즈(110) 각각은 렌즈면이 형성되는데, 렌즈면은 외부의 광이 입사하는 입사면(111)과 입사면(111)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입사하는 광이 출사하는 출사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00)는 복수 개의 렌즈(110)를 고정시키는 렌즈 배럴(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은 양단이 개구된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110)가 수용되어 고정되되, 복수 개의 렌즈(110) 각각 사이에는 스페이서(미부호) 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부(미부호) 등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측의 최외곽렌즈(110)는 렌즈 배럴(120)에 수용되지 않고 렌즈 배럴(120)의 일단과 일부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렌즈부(100)는 렌즈 홀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150)는 일측에 최외곽렌즈(110)의 입사면(111)이 노출되도록 노출공(미부호)이 형성된다. 즉, 최외곽렌즈(110)가 렌즈 홀더(150)의 상기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홀더(150)의 타측은 개구되어 프런트 바디(200)의 일측과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부(100)는 프런트 바디(200)와 결합하는데, 렌즈부(100)의 렌즈 배럴(120)이 프런트 바디(200)에 수용되고, 렌즈 배럴(120)의 외면과 프런트 바디(200)의 내주면이 결합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렌즈 배럴(120)과 렌즈 홀더(150) 사이에 프런트 바디(200)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는 후술하는 통전부(320)를 설명하기 위해 프런트 바디(200)를 생략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에는 렌즈 배럴(120)의 타측이 광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렌즈 홀더(150)가 렌즈 배럴(120)의 타측과 마주보게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고,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렌즈 배럴(120)과 렌즈 홀더(150) 및 프런트 바디(20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홀더(150)과 프런트 바디(200)는 일체로 형성되어 렌즈 배럴(120)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최외곽렌즈(110)와 렌즈 홀더(150) 사이 또는 프런트 바디(200)와 리어 바디(300) 사이에는 방수를 위한 실링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렌즈(110)의 렌즈면에는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렌즈면 중 입사면(111)에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을 출사면(112)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호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열층(130)은 입사면(111) 또는 출사면(112)의 일부에 위치하고, 발열선(131)은 발열층(130)이 위치하는 입사면(111) 또는 출사면(112) 상에서 발열층(130)이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열층(130)은 입사면(111) 또는 출사면(112) 중 어느 하나의 전체에 위치하고, 발열선(131)은 발열층(130)이 위치하는 입사면(111) 또는 출사면(112) 상에서 발열층(130)과 렌즈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열층(130)은 입사면(111) 또는 출사면(112) 중 어느 하나의 전체에 위치하고, 발열선(131)은 발열층(130)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은 렌즈(110)의 입사면(111) 또는 출사면(1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위치할 수 있다.
발열층(130)은 전도성 물질이 렌즈면에 도포 또는 코팅되어 층을 이룬다. 발열층(130)을 이루는 전도성 물질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산화아연(ZnO), 그래핀(Graphene)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투명하고 전도성이 있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발열선(131)은 발열가능한 전도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은나노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열선(131)은 200㎚ 이하의 폭을 갖는 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만약 발열선(131)의 폭이 200㎚를 초과하여도 전류가 공급되어 렌즈(110)를 가열할 수 있지만, 발열선(131)의 폭을 200㎚ 이하로 제한한 경우보다 저항이 낮아지게 되므로 발열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다시 말하면, 발열선(131)의 폭을 200㎚를 초과하여 형성하면, 발열선(131)이 렌즈면에서 차지하는 폭이 넓어져 길이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저항 값이 낮아져 발열선(131) 자체에서 발열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발열선(131)의 폭을 200㎚를 초과하여 형성하면 발열선(13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왜곡되어 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110)에 형성되는 발열선(131)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열선(131)과 발열층(130)은 전류가 공급되면 그 자체로 발열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류가 발열선(131)을 통해 발열층(130)으로 전달되고, 발열층(130)에 전달된 전류가 다시 발열선(131)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거친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열선(131)은 양(+)극선(131a)과 음(-)극선(131b)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극선(131a)과 음극선(131b)은 서로 회피하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렌즈(110)의 외곽 일측으로부터 양극선(131a)이 렌즈면의 중앙부분까지 직선으로 형성되고, 렌즈(110)의 외곽 타측으로부터 음극선(131b)이 렌즈면의 중앙부분까지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직선으로 형성된 양극선(131a) 또는 음극선(131b)과 각각 연결되며 렌즈(110)의 외곽과 중심이 일치하고 일측이 개구된 원(즉, 원호)이 형성되되, 양극선(131a)과 음극선(131b)은 서로 만나지 않고 렌즈(110)의 외측으로부터 렌즈면의 중심을 향해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열선(131)과 발열층(130)은 모두 전도성 물질이므로, 양극선(131a)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는 발열층(130)을 통해 음극선(131b)으로 전달되며, 발열선(131)과 발열층(130)은 발열된다. 도 6은 양극선(131a)과 음극선(131b)이 서로 가장 가까운 거리가 발열선(131)의 어느 지점에서도 균일하므로 양극선(131a)에서 발열층(130)을 통해 음극선(131b)으로 전류가 전달되는 속도 또한 향상되며, 렌즈면에 발열선(131)이 없이 발열층(130)만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경우보다 훨씬 빠른 발열효과가 있어 더욱 효율적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열선(131)은 일단에 양(+)극이 형성되고, 타단에 음(-)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열선(131)은 반경이 상이하며 원호형상을 갖는 복수의 원호부(131c)를 포함하고, 복수의 원호부(131c)는 동심을 갖는 형태로 배열되어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는 발열선(131)이 하나로 형성되었으나, 어느 일부가 분리되게 형성되어 도 6에서 도시된 바과 같이, 양극선과 음극선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발열선(131)은 렌즈면의 외곽으로부터 렌즈면 중앙부분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모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발열선(131)은 양단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고, 각 양극과 음극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서 이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에는 발열선(131)이 하나로 형성되었으나, 어느 일부가 분리되게 형성되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선과 음극선이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도 7과 도 8의 경우, 전류는 발열선(131)만을 통해 양극에서 음극으로 전달될 수 있고, 발열선(131)에서 발열층(130)으로, 다시 발열층(130)에서 발열선(13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선(131)과 발열층(130) 각각의 저항이 직렬 또는 병렬의 구조로 배치될 수 있고, 저항의 직렬과 병렬연결을 통해 발열이 모두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발열선(1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일 뿐, 발열선(131)의 형성 패턴을 상기에 언급한 내용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은 렌즈면에 마스킹(Masking) 방식으로 도포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예컨대, 발열선(131)도 6 내지 도 8의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 또는 코팅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준비하여 도포 또는 코팅하고자 하는 렌즈면에 부착한 후, 발열층(130) 또는 발열선(131)을 이루는 물질을 분사함으로써 렌즈면에 발열층(130) 또는 발열선(131)의 패턴을 배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자가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의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마스킹 순서를 변경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통전부(3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프런트 바디(200)와 리어 바디(3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인쇄회로기판(310)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10)은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렌즈(110)와 이격되어 렌즈(110)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주는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110)의 입사면(111) 또는 출사면(112)에 배치되는 발열선(131)은 통전부(32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전부(320)는 렌즈 배럴(120)과 렌즈 홀더(150) 및 프런트 바디(200)의 구성이 용이하게 결합가능하도록 테이프와 같이 얇은 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통전부(320)는 구리테이프와 같은 전도성이 있는 띠 형상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전선(미도시)이 포함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사용할 수 있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도전선 외부에 커버레이 필름이 덮여있으므로, 도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통전부(320)는 전도성 물질이 발열선(131)과 인쇄회로기판(3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최외곽렌즈(110)의 일부와 렌즈 배럴(120)의 외면에 코팅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310)은 렌즈 배럴(120)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별도의 전도성 부재를 구비하여 렌즈 배럴(120)의 외면에 코팅된 도전성 물질과 인쇄회로기판(310)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렌즈 배럴(120)과 렌즈 홀더(150) 및 프런트 바디(200)는 절연성의 물질인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렌즈 배럴(120)의 외면에 코팅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통전부(320)를 감싸는 절연 코팅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전부(320)는 렌즈 배럴(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통전부(321)와, 일단이 상기 제1 통전부(321)로부터 연결되는 제2 통전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전부(321)는 렌즈(110)의 형태에 대응하여 중앙이 관통된 원형으로, 렌즈 배럴(120)의 상면에서 테두리에 가깝도록 배치된다. 제1 통전부(321)는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그 형상을 변경(예컨대, 다각 형상)하여 제작 가능하다. 제2 통전부(322)는 제1 통전부(321)와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제2 통전부(322)는 일단이 제1 통전부(3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인쇄회로기판(310)과 연결된다. 도 9에는 제2 통전부(322)가 제1 통전부(321)의 양측으로 직선으로 뻗어 있고, 2개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예컨대, 제2 통전부(3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들의 조립을 감안하여,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통전부(321)를 중심으로 마주보지 않고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3개 이상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통전부(322)는 1개가 마련되고, 1개의 제2 통전부(322)의 내부에 도전선을 2개 이상 마련하여, 일단에 노출된 도전선이 각각 양극과 음극을 연결하고 타단에 노출된 도전선이 인쇄회로기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310)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전류를 제2 통전부(322)와 제1 통전부(321)를 통해 발열선(131)의 양(+)극으로 전달가능하다. 그리고 전류는 발열선(131)의 양극과 발열층 및 발열선(131) 음극에 차례로 전달되며, 제1 통전부(321)와 제2 통전부(322)를 통해 다시 인쇄회로기판(310)으로 전달된다.
렌즈(110)의 입사면(111)의 외측으로 AR(Anti-Reflection)코팅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입사면(111)에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이 배치되고,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의 외부에 AR코팅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AR코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의 반사를 억제하여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한 것이다. AR코팅층(140)은 형성방법에 따라, 빛의 파장 중 미리 정해진 영역의 빛을 반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AR코팅물질을 도포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AR코팅필름을 부착하여 AR코팅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보다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으며, AR코팅층(140)에 의해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열층(130)과 발열선(131)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렌즈부 110 : 렌즈
111 : 입사면 112 : 출사면
120 : 렌즈 배럴 130 : 발열층
131 : 발열선 131a : 양극선
131b : 음극선 131c : 원호부
140 : AR코팅층 150 : 렌즈 홀더
200 : 프런트 바디 300 : 리어 바디
310 : 인쇄회로기판 320 : 통전부
321 : 제1 통전부 322 : 제2 통전부
400 : 실링부재

Claims (14)

  1. 렌즈;
    상기 렌즈에 위치하고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하는 발열층; 및
    상기 렌즈 또는 상기 발열층의 표면에 위치하고,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발열하며, 상기 발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열선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의 일부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기 발열층이 위치하는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 상에서 상기 발열층이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 중 어느 하나의 전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기 발열층이 위치하는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 상에서 상기 발열층과 상기 렌즈면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입사면 또는 출사면 중 어느 하나의 전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기 발열층의 외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의 전도성 물질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산화아연(ZnO), 그래핀(Graphene)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은나노 물질을 포함하며 패턴으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서로 다른 극성을 나타내는 양극선과 음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선과 음극선은 서로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선과 상기 음극선은 상기 렌즈 표면에 원호를 형성하고, 상기 렌즈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렌즈면의 중심을 향해 서로 교대로 배치된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반경이 상이하며 원호형상을 갖는 복수의 원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원호부는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상기 렌즈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렌즈면 중앙부분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모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분에서 양극과 음극이 서로 이어지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 중 일부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 중 피사체측에 가장 가까운 최외곽렌즈가 상기 렌즈 배럴의 상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며 최외곽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하는 프런트 바디; 및
    상기 프런트 바디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바디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와 이격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렌즈 배럴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통전부;
    일단이 상기 제1 통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통전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인 카메라 모듈.
KR1020150115467A 2015-08-17 2015-08-17 카메라 모듈 KR102441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67A KR102441534B1 (ko) 2015-08-17 2015-08-17 카메라 모듈
CN202110620576.8A CN113382140B (zh) 2015-08-17 2016-08-17 摄像机模块
EP16837293.6A EP3340601B1 (en) 2015-08-17 2016-08-17 Camera module
US15/753,125 US10684444B2 (en) 2015-08-17 2016-08-17 Camera module
EP19207107.4A EP3637755B1 (en) 2015-08-17 2016-08-17 Camera module
PCT/KR2016/009001 WO2017030351A1 (ko) 2015-08-17 2016-08-17 카메라 모듈
CN201680054872.3A CN108028882B (zh) 2015-08-17 2016-08-17 摄像机模块
US16/870,218 US11914218B2 (en) 2015-08-17 2020-05-08 Camera module
US18/417,529 US20240151931A1 (en) 2015-08-17 2024-01-19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67A KR102441534B1 (ko) 2015-08-17 2015-08-1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88A true KR20170021088A (ko) 2017-02-27
KR102441534B1 KR102441534B1 (ko) 2022-09-07

Family

ID=5831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467A KR102441534B1 (ko) 2015-08-17 2015-08-1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53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324A1 (ko) * 2018-03-20 2019-09-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EP3554191A1 (en) 2018-04-12 2019-10-16 IM Co., Ltd. Heating device using hyper heat accel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0111365A1 (ko) * 2018-11-30 2020-06-04 에이치엔티일렉트로닉스(주)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6414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세코닉스 빙결 및 결로 방지용 카메라 모듈
WO2020242178A1 (ko) * 2019-05-31 2020-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45963A (ko) * 2018-11-30 2021-04-27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2705A (ja) * 1997-05-14 1998-11-24 Ichikoh Ind Ltd 合成樹脂製の成形レンズ
JP2011066560A (ja) * 2009-09-15 2011-03-31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情報機器
KR20150090661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2705A (ja) * 1997-05-14 1998-11-24 Ichikoh Ind Ltd 合成樹脂製の成形レンズ
JP2011066560A (ja) * 2009-09-15 2011-03-31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情報機器
KR20150090661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3120A1 (en) * 2018-03-20 2021-04-08 Lg Innotek Co., Ltd.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KR20190110270A (ko) * 2018-03-20 2019-09-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CN111919169B (zh) * 2018-03-20 2022-09-0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模块和相机模块
CN111919169A (zh) * 2018-03-20 2020-11-10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模块和相机模块
WO2019182324A1 (ko) * 2018-03-20 2019-09-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EP3554191A1 (en) 2018-04-12 2019-10-16 IM Co., Ltd. Heating device using hyper heat accel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8004630A1 (de) 2018-04-12 2019-10-17 Im Co., Ltd. 1Heizeinrichtung unter Verwendung eines Hyperhitzebeschleunigers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20190119446A (ko) 2018-04-12 2019-10-22 (주)아이엠 초가속 열소재를 이용한 발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81617A (zh) * 2018-04-12 2019-10-25 爱铭有限公司 使用超热加速剂的加热装置及其制造方法
US11647568B2 (en) 2018-04-12 2023-05-09 Im Advanced Materials Co., Ltd. Heating device using hyper heat accel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381617B (zh) * 2018-04-12 2022-02-11 Im先进材料有限公司 使用超热加速剂的加热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10045963A (ko) * 2018-11-30 2021-04-27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KR20200066091A (ko) * 2018-11-30 2020-06-09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WO2020111365A1 (ko) * 2018-11-30 2020-06-04 에이치엔티일렉트로닉스(주) 발열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6414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세코닉스 빙결 및 결로 방지용 카메라 모듈
WO2020242178A1 (ko) * 2019-05-31 2020-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3906342A (zh) * 2019-05-31 2022-01-07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CN113906342B (zh) * 2019-05-31 2023-07-18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534B1 (ko)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4218B2 (en) Camera module
KR20170021088A (ko) 카메라 모듈
US11770597B2 (en) Heating device for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CN108027547B (zh) 摄像机模块
CN113630534B (zh) 相机模块及车辆
KR102345682B1 (ko) 카메라 모듈
KR20170032585A (ko) 카메라 모듈용 박막 히터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US11463039B2 (en) Energy harvester
TW200711197A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PT1507904E (pt) Fio condutor de electricidade
JPWO2011136205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照明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42627A (ko) 렌즈 배럴과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장치
US20200238922A1 (en) Camera device
JP2013243125A (ja) ランプソケット、照明器具及びled照明装置
JP2008123784A (ja) フィルムヒーター
JP2007165311A (ja) 電気的口金接続
JP2008513958A (ja) 大面積elランプ
JP2009238553A (ja) 光源装置
JP2012255990A (ja) 電子機器
WO2016185554A1 (ja) 撮像ユニットおよび内視鏡
EP3547466B1 (en) Power cable and power adaptor including same
CN111059485A (zh) 高压灯带单元、高压灯带线路、灯带单元及其高压灯带
CN112333372A (zh) 一种除雾装置及具有该装置的摄像模组
JP2019009261A (ja) 電子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