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517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517B1
KR101231517B1 KR1020110094344A KR20110094344A KR101231517B1 KR 101231517 B1 KR101231517 B1 KR 101231517B1 KR 1020110094344 A KR1020110094344 A KR 1020110094344A KR 20110094344 A KR20110094344 A KR 20110094344A KR 101231517 B1 KR101231517 B1 KR 10123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assembly
lens barrel
unit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진
정승만
엄기태
송진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517B1/ko
Priority to US13/605,520 priority patent/US9726847B2/en
Priority to TW101132687A priority patent/TWI471626B/zh
Priority to JP2012197340A priority patent/JP587639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카메라 모듈은 다각 형상의 외곽을 가지는 다수 개의 렌즈부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상기 렌즈 배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RMERA MODUL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와 PDA 및 MP3 플레이어 등의 IT 기기를 비롯한 자동차와 내시경 등의 제작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화소 중심으로 발달됨과 동시에 장착 대상에 따라서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저가의 제작 비용으로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 가능하도록 변화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제작되는 카메라 모듈은 와이어 본딩 방식(COB ; Chip Of Board), 플립 칩 방식(COF ; Chip Of Flexible) 및 칩 스케일 패키지 방식(CSP ; Chip Scale Pakage)으로 제작되는 이미지센서 모듈이 탑재되어 제작되고 있으며, 주로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등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해 메인 기판에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일반적인 수동소자와 마찬가지로 메인 기판 상에 직접 실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유저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주로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가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 칩 방식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카메라 모듈 내, 외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가 저면에 지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이미지센서에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모아주는 렌즈군과, 상기 렌즈군이 내부에 적층되는 배럴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CCD 또는 CMOS로 이루어진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부품인 콘덴서와 저항의 칩 부품이 부착된 실장용 기판(FPCB)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실장용 기판(FPCB)에 다수의 회로 부품이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이방전도성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통전되도록 접착 고정하고, 그 반대면에 적외선 차단 필터부를 부착한다.
또한, 다수의 렌즈군이 내장된 배럴과 하우징이 나사 결합에 의해서 가결합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조립된 실장용 기판이 하우징의 저면에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가 부착된 실장용 기판과 배럴이 결합된 하우징의 접착 고정 후에 상기 배럴의 전방에 피사체(해상도 챠트)를 일정한 거리로 하여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은 하우징에 나사 결합된 배럴의 회전에 의한 수직 이송량이 조절됨에 따라 렌즈군과 이미지센서 간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실시예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작은 크기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다각 형상의 외곽을 가지는 다수 개의 렌즈부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상기 렌즈 배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하면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 배럴의 외주면에 제 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 2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나사부는 상기 제 2 나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부들은 사각 형상의 외곽을 가지고, 상기 수용홈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 및 상기 렌즈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로부터 연장되고, 다각 형상의 외곽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도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수용홈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상기 렌즈 배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다각형 형상, 더 자세하게,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수용홈도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베럴은 원 형상의 외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도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다각 형상의 렌즈 어셈블리를 원통 구조의 렌즈 배럴에 상기 고정부를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사각 형상의 렌즈 어셈블리는 다수 개가 기판 형태로 제작되고, 절단되어,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렌즈 배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렌즈 배럴에 렌즈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렌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렌즈, 유닛, 부, 홀, 돌기, 홈 또는 층 등이 각 렌즈, 유닛, 부, 홀, 돌기, 홈 또는 층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렌즈 배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렌즈 배럴에 렌즈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렌즈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0), 렌즈 어셈블리(200), 고정부(300), 하우징(400),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 및 센서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수용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12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수용홈(12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120)의 외곽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수용홈(12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수용홈(12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곽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과 결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주면에 수나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의 수나사부(110)는 상기 하우징(400)의 암나사부(4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110) 및 상기 암나사부(410)에 의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센서부(6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센서부(6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센서부(600)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초점 거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센서부(6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 및 상기 하우징(400)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센서부(600)의 초점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방으로 오픈되는 입광홈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홈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노출시킨다. 상기 입광홈을 통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에 영상이 입사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렌즈 배럴(100) 내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용홈(120) 내에 배치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용홈(120)에 삽입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각형의 외곽 형상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튼 탑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수 개의 렌즈부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제 1 렌즈부(210), 제 2 렌즈부(220) 및 제 3 렌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렌즈부(230), 상기 제 2 렌즈부(220) 및 상기 제 1 렌즈부(210)는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제 1 렌즈부(210)는 제 1 렌즈(211) 및 제 1 지지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렌즈(211)는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부(212)는 상기 제 1 렌즈(21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렌즈(211) 및 상기 제 1 지지부(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12)에는 상기 제 2 렌즈부(22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상기 제 1 렌즈부(21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렌즈부(220)는 제 2 렌즈(221) 및 제 2 지지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렌즈(221)는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지지부(222)는 상기 제 2 렌즈(22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렌즈(221) 및 상기 제 2 지지부(2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222)에는 상기 제 3 렌즈부(23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222)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렌즈부(210)에 고정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렌즈부(230)는 상기 제 2 렌즈부(22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렌즈부(230)는 제 3 렌즈(231) 및 제 3 지지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렌즈(231)는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지지부(232)는 상기 제 3 렌즈(23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3 렌즈(231) 및 상기 제 3 지지부(2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지지부(232)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렌즈부(220)에 고정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3개의 렌즈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1개 또는 2개의 렌즈부를 포함하거나, 4개 이상의 렌즈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수 개의 렌즈 어레이 기판들(213, 223, 233)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렌즈 어레이 기판들(213, 223, 233)은 다수 개의 렌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3 렌즈 어레이 기판(233),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23) 및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213)이 차례로 적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213), 상기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23) 및 상기 제 3 렌즈 어레이 기판(233)이 적층된 채로 절단된다. 이에 따라서, 다수 개의 렌즈 어셈블리들(200)이 한꺼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어셈블리들(200)은 탑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적층 및 절단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필연적으로 다각형의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배럴(100)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에 접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하면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하면에 접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하면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하면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도트(do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고정부(300)는 도트 형태로 다수 개일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하면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로 사용되는 물질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접착성이 높은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외곽 부분에만 접착된다. 즉,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제 3 렌즈부(230)의 제 3 지지부(232)에만 접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에 입사되는 광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도트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렌즈 배럴(100) 사이의 영역에 수지 조성물이 도팅된 후, 상기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300)가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센서부(600)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렌즈 배럴(100)과 결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렌즈 배럴(100)과 나사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00)의 암나사부(41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수나사부(110)와 렌즈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원형 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20) 및 상기 센서부(6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30)을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입사되는 적외선을 필터링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센서부(600)에 유입되는 과도한 장파장의 광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광학 유리에 티타늄 옥사이드 및 실리콘 옥사이드가 교대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티타늄 옥사이드 및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의 두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수용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CCD 이미지 센서 또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600)는 입사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수용홈(120)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300)를 사용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각형 형상, 더 자세하게,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수용홈(120)도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베럴은 원 형상의 외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도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다각 형상의 렌즈 어셈블리(200)를 원통 구조의 렌즈 배럴(100)에 상기 고정부(300)를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수지 조성물 도팅 및 경화와 같은 간단한 공정으로 도트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서, 상기 렌즈 배럴(1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각 형상의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수 개가 기판 형태로 제작되고, 절단되어,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다각 형상의 외곽을 가지는 복수의 렌즈부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상기 렌즈 배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는 도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하면에 접착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하면에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외주면에 제 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 2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나사부는 상기 제 2 나사부에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들은 사각 형상의 외곽을 가지고,
    상기 수용홈은 사각 형상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 및
    상기 렌즈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로부터 연장되고, 다각 형상의 외곽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삭제
KR1020110094344A 2011-09-19 2011-09-19 카메라 모듈 KR10123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344A KR101231517B1 (ko) 2011-09-19 2011-09-19 카메라 모듈
US13/605,520 US9726847B2 (en) 2011-09-19 2012-09-06 Camera module having a connector connecting a lens assembly and a lens barrel of the camera module
TW101132687A TWI471626B (zh) 2011-09-19 2012-09-07 攝像模組
JP2012197340A JP5876393B2 (ja) 2011-09-19 2012-09-07 カメラ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344A KR101231517B1 (ko) 2011-09-19 2011-09-1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517B1 true KR101231517B1 (ko) 2013-02-07

Family

ID=4788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344A KR101231517B1 (ko) 2011-09-19 2011-09-1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26847B2 (ko)
JP (1) JP5876393B2 (ko)
KR (1) KR101231517B1 (ko)
TW (1) TWI4716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85044B1 (en) * 2013-03-26 2017-10-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244252B1 (en) 2014-07-31 2016-01-26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Optical lens system
CN105549173A (zh) * 2016-01-28 2016-05-04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107995386B (zh) * 2016-10-26 2021-01-26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相机模块
KR102525184B1 (ko) * 2018-04-24 2023-04-25 한화비전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TWI754809B (zh) * 2019-04-11 2022-02-11 大陸商廣州立景創新科技有限公司 影像感測裝置
CN110266929A (zh) * 2019-07-01 2019-09-20 广东思锐光学股份有限公司 镜头结构以及附加镜头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17B1 (ko) * 2005-12-09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
KR100790714B1 (ko) 2007-01-05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Isp를 갖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080069848A (ko) * 2007-01-24 2008-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090040113A (ko) * 2007-10-19 2009-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2374A (ja) * 1998-06-08 1999-12-24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の保持構造
US6710945B1 (en) * 2002-06-03 2004-03-23 Amkor Technology, Inc. Injection molded lens-barrel assembly and method for fabricating lens-barrel and mount assemblies
JP2004029554A (ja) 2002-06-27 2004-01-29 Olympus Corp 撮像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TWI257486B (en) 2004-05-13 2006-07-01 Prodisc Technology Inc Camera lens
TWI299955B (en) 2005-09-20 2008-08-11 Synage Technology Corp Image capture device
JP2008070484A (ja) 2006-09-12 2008-03-27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レンズユニットの構造
CN100517737C (zh) * 2006-10-25 2009-07-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感测器封装结构
US20080158698A1 (en) * 2006-12-29 2008-07-03 Chao-Chi Chang Lens barrel array and lens array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TWM318130U (en) 2007-02-13 2007-09-01 Asia Optical Co Inc Miniature lens
CN101281282A (zh) * 2007-04-04 2008-10-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JP5671684B2 (ja) * 2009-08-31 2015-0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TW201109164A (en) 2009-09-11 2011-03-16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Stacked disk-shaped optical lens array, stacked lens module and their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11070016A (ja) 2009-09-25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モジュール、撮影装置、レン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1128355A (ja) * 2009-12-17 2011-06-30 Sony Corp 撮像レンズ及び撮像レンズ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TWI486662B (zh) * 2009-12-18 2015-06-0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JPWO2011102056A1 (ja) 2010-02-19 2013-06-17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撮像レンズユニット
TWI505704B (zh) * 2011-09-14 2015-10-21 Hon Hai Prec Ind Co Ltd 相機模組組裝方法及相機模組
KR101262597B1 (ko) * 2011-09-28 2013-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3205693A (ja) * 2012-03-29 2013-10-07 Olympus Corp 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レンズの製造方法
US9641732B2 (en) * 2012-06-18 2017-05-02 Sharp Kabushiki Kaisha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in which camera module is mount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17B1 (ko) * 2005-12-09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
KR100790714B1 (ko) 2007-01-05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Isp를 갖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080069848A (ko) * 2007-01-24 2008-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090040113A (ko) * 2007-10-19 2009-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1626B (zh) 2015-02-01
US9726847B2 (en) 2017-08-08
TW201316071A (zh) 2013-04-16
US20130070101A1 (en) 2013-03-21
JP2013065012A (ja) 2013-04-11
JP5876393B2 (ja)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597B1 (ko) 카메라 모듈
KR101231517B1 (ko) 카메라 모듈
JP5568599B2 (ja) レンズ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349524B1 (ko) 카메라 모듈
KR100816844B1 (ko) 이미지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20140003216A (ko) 카메라 모듈
US9013621B2 (en) 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using same
KR100832072B1 (ko) 카메라 모듈
KR100863797B1 (ko) 카메라 모듈
KR101349567B1 (ko) 카메라 모듈
KR101262571B1 (ko) 카메라 모듈
KR20080028588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101231433B1 (ko) 카메라 모듈
KR102072775B1 (ko) 카메라 모듈
KR101003616B1 (ko) 카메라모듈
KR100959857B1 (ko) 카메라 모듈
JP200831004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JP200900305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KR100904182B1 (ko) 초점 무조정 타입 카메라 모듈
KR100769723B1 (ko) 카메라 모듈
KR100972435B1 (ko) 카메라 모듈
KR100845548B1 (ko) 카메라 모듈과 이의 조립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90051902A (ko) 초점 무조정 타입 카메라 모듈
KR102057995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081095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