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903B1 -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903B1
KR102478903B1 KR1020210149226A KR20210149226A KR102478903B1 KR 102478903 B1 KR102478903 B1 KR 102478903B1 KR 1020210149226 A KR1020210149226 A KR 1020210149226A KR 20210149226 A KR20210149226 A KR 20210149226A KR 102478903 B1 KR102478903 B1 KR 102478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lade
protruding wall
protrud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198A (ko
Inventor
문다힌
박제경
주영상
한정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90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04N5/2252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랫면에 배치된 제1전자기 차폐부;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래에 배치된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된 제2전자기 차폐부; 상기 제2전자기차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는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기 차폐부는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랫면과 접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2전자기 차폐부에 접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CAMERA MODULE AND VEHIC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커버 형태의 제1케이스와 전장부품(기판, 이미지 센서,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제2케이스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또, 제2케이스에는 전자기를 차폐하기 위해 전자기 차폐부재(shield can, 쉴드캔)이 장착된다. 그러나 제1케이스에는 전자기 차폐부재가 장착되지 않아 전자기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케이스에 전자기차폐부재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랫면에 배치된 제1전자기 차폐부;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래에 배치된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된 제2전자기 차폐부; 상기 제2전자기차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는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기차폐부는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랫면과 접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2전자기 차폐부에 접지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제1돌출벽과, 상기 제1돌출벽과 경사지게 배치된 제2돌출벽과, 상기 제1돌출벽과 상기 제2돌출벽 사이에 배치된 제1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블레이드와, 외측면이 상기 제2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3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벽은 아랫면에 배치된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모서리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홈에 수용된 제3연장부; 상기 제3연장부에서 위로 연장되고, 외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을 포함하는 제4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연장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2전자기 차폐부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벽은 아랫면에 배치된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5연장부; 상기 제5연장부에서 상기 제1모서리 측과 반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6연장부; 상기 제6연장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홈에 수용된 제7연장부; 상기 제7연장부에서 위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돌출벽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8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벽은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벽은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자기 차폐부는 내측면이 상기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제2고정돌기와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는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제1모서리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제1사면을 포함하는 제1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각진 플레이트 형태이고, 모서리에는 상기 제1사면과 대응되도록 제1챔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는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렌즈홀더는 원통 형태로 상기 제1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랫면에는 상기 렌즈홀더에 의해 아래로 돌출된 둔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의 윗면과 상기 돌출부의 아랫면 사이에 비전도성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랫면에 배치된 제1전자기 차폐부;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래에 배치된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된 제2전자기 차폐부; 상기 제2전자기차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는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기차폐부는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랫면과 접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2전자기 차폐부에 접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전자기 차폐부가 제1케이스의 아랫면에 배치되어 전자부품에 작용하는 전자기 간섭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 제1전자기 차폐부는 블레이드부에 의해 제1케이스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기판이 제1케이스의 하부에 접착되어 A/A(Active Align, 렌즈모듈과 제1기판의 이미지 센서를 광학적으로 정렬하는 조립 공정)공정이 진행된다. 이 경우, 제1기판의 윗면과 돌출부의 아랫면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되고, 블레이드부는 돌출부의 아랫면에 형성된 홈에 수용된다. 따라서 렌즈모듈을 기준으로 제1기판을 정렬(틸팅, tilting)하는 과정에서 제1기판과 돌출부 사이에 블레이드부가 개재되어 제1기판이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제1전자기 차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1케이스와 제1전자기 차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기판부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제2전자기 차폐부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에 표시된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z축의 화살표 방향"이 "상측"이다. "z축 방향"은 "광축 방향"과 혼용될 수 있고, "광축"은 렌즈모듈의 광축을 의미한다. 또, 도면에 표시된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x축의 화살표 방향"이 "우측"이다. 또, 도면에 표시된 "y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y축의 화살표 방향"이 "전방"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1)는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사이드 미러(7) 및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는 자동차(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도어(3)에는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바디(2)의 전방에는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의 후방에는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후방을 조명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을 "차량용 카메라"로 호칭할 수 있다.
바디(2)의 측부 또는 하나 이상의 도어(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카메라 모듈(10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바디(2)의 전방 후방 측방 및 1 이상의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바디(2)의 전방부(그릴, 앰블렘, 범퍼 등), 바디(2)의 측부(사이드 아우터 또는 가니쉬 등), 바디(2)의 후방부(트렁크, 앰블렘, 가니쉬, 범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도어(3)에 결합된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1)의 사이드 미러(7)는 카메라 모듈(1000)로 대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의 내부를 촬영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각종 구동 신호와 제어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로부터 영상 신호를 받아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 제어 유닛(ECU)에 의해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자동차(1)에 전장 부품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에 존재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내부 공간(룸, room)이 형성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의 센터페시아(미도시)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00)이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제1전자기 차폐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1케이스와 제1전자기 차폐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기판부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의 제2전자기 차폐부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모듈(100), 제1케이스(200), 제1전자기 차폐부(300), 제2케이스(400), 제2전자기 차폐부(400), 기판부(600) 및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100)을 설명한다. 렌즈모듈(100)은 제1케이스(2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제1케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렌즈홀더(210)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과 렌즈홀더(210)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케이스(200)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렌즈모듈(100)과 렌즈홀더(210) 사이에는 가스켓(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한 개 이상의 광학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는 광축이 정렬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에 배치된 렌즈의 아랫면과 하측에 배치된 렌즈의 윗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는 직접 렌즈홀더(210)에 장착될 수도 있고, 배럴에 수용되어 렌즈홀더(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와 배럴은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의 최상측에 배치된 렌즈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피사체에 반사된 외부 광은 렌즈모듈(100)의 최상측 렌즈에 입사할 수 있다. 외부 광은 렌즈모듈(100)을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660)에 조사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1케이스(200)를 설명한다. 제1케이스(20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외장 부재일 수 있다. 제1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는 제2케이스(4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와 제2케이스(400)는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케이스(200)는 제2케이스(400)의 상측 개구를 덮을 수 있다.(폐쇄) 제1케이스(200)와 제2케이스(400)의 결합에 의해 제2케이스(400)에는 폐쇄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는 커버 형태일 수 있다. 제1케이스(200)는 윗면과 아랫면이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제1케이스(200)는 렌즈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210)는 제1케이스(200)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렌즈홀더(210)의 내부에는 렌즈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210)는 제1케이스(20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홀더(210)는 제1케이스(200)의 윗면에서 위로 연장된 동시에,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는 렌즈홀더(210)에 의해 아래로 돌출된 제1둔턱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돌출부(220)와 리브부(230)를 설명한다. 제1케이스(200)는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돌출부(220)는 렌즈홀더(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돌출부(220)는 렌즈홀더(210)보다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렌즈홀더(210)를 감싸는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20)의 내측에는 아래가 개구되고, 측면이 폐쇄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제1돌출벽(221), 제2돌출벽(222), 제3돌출벽(223) 및 제4돌출벽(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벽(221), 제2돌출벽(222), 제3돌출벽(223) 및 제4돌출벽(224)은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은 좌우 방향(y축)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은 렌즈홀더(210)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은 렌즈홀더(210)보다 제1케이스(2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은 내측면이 렌즈홀더(21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은 제3돌출벽(223)과 좌우 방향(y축)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은 내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과 제4돌출벽(224)은 전후 방향(x축)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과 제4돌출벽(224)은 렌즈홀더(210)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과 제4돌출벽(224)은 렌즈홀더(210)보다 제1케이스(2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과 제4돌출벽(224)은 내측면이 렌즈홀더(21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과 제4돌출벽(224)은 전후 방향(x축)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과 제4돌출벽(224)은 내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과 제4돌출벽(22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은 내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돌출벽(222)은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4돌출벽(224)은 제2돌출벽(222)과 내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 제2돌출벽(222), 제3돌출벽(223) 및 제4돌출벽은 사각형의 각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은 제2돌출벽(222)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2돌출벽(222)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2돌출벽(222) 사이에는 제1모서리(22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2돌출벽(222)의 접촉 부분에는 제1모서리(22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3돌출벽(223)은 제1돌출벽(221)과 이격되어 제2돌출벽(222)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3돌출벽(223)과 제2돌출벽(222)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과 제3돌출벽(223) 사이에는 제2모서리(22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과 제3돌출벽(223)의 접촉 부분에는 제2모서리(22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4돌출벽(224)은 제2돌출벽과 이격되어 제1돌출벽(221) 및 제3돌출벽(223)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4돌출벽(224)은 제1돌출벽(221) 및 제3돌출벽(223)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돌출벽(223)과 제4돌출벽(224) 사이에는 제3모서리(223-1)가 배치될 수 있다. 제3돌출벽(223)과 제4돌출벽(224)의 접촉 부부에는 제3모서리(223-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4돌출벽(224) 사이에는 제4모서리(224-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에는 좌우 방향(x축)으로 이격된 제1홈(221-2)과 제2홈(2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홈(221-2)은 좌측(x축 화살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홈(221-3)은 우측(x축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홈(221-2)은 제1모서리(221-1) 측에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홈(221-3)은 제4모서리(224-1) 측에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홈(221-2)과 제2홈(221-3)은 제1돌출벽(221)의 아랫면에서 위로 파인 형태일 수 있다. 제1홈(221-2)에는 제1블레이드(321)가 수용될 수 있다. 제2홈(221-3)에는 제2블레이드(322)가 수용될 수 있다.
제3돌출벽(223)에는 좌우 방향(x축)으로 이격된 제3홈(223-2)과 제4홈(22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홈(223-2)은 우측(x축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고, 제4홈(223-3)은 좌측(x축 화살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홈(223-2)은 제3모서리(223-1) 측에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4홈(223-3)은 제2모서리(222-1) 측에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홈(223-2)과 제4홈(223-3)은 제3돌출벽(223)의 아랫면에서 위로 파인 형태일 수 있다. 제3홈(223-2)에는 제4블레이드(324)가 수용될 수 있다. 제4홈(223-3)에는 제5블레이드(325)가 수용될 수 있다.
돌출부(220)와 제1기판(610)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되어 A/A(active align)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돌출벽(221), 제2돌출벽(222), 제3돌출벽(223) 및 제4돌출벽(224)의 아랫면과 제1기판(610)의 윗면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A/A는 제1케이스(200)에 배치된 렌즈모듈(100)과 제1기판(610)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611)를 정렬하는 과정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제1기판(610)을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기판(610)을 틸팅(tilting)시켜 수행된다. 만약, 제1홈(221-2), 제2홈(221-3), 제3홈(223-2) 및 제4홈(223-3)이 존재하지 않아, 제1블레이드(321), 제2블레이드(322), 제4블레이드(324) 및 제5블레이드(325)가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의 아랫면에 걸림턱과 같이 위치한다면 A/A 공정이 정밀하게 진행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레이드(321), 제2블레이드(322), 제4블레이드(324) 및 제5블레이드(325)를 제1홈(221-2), 제2홈(221-3), 제3홈(223-2) 및 제4홈(223-3)에 수용하여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제1돌출벽(221)에는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22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221-4)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본 실시예에서는 2개), 복수 개의 제1고정돌기(221-4)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에는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2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돌출벽(223)에는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3고정돌기(22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고정돌기(223-4)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본 실시예에서는 2개), 복수 개의 제3고정돌기(223-4)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돌출벽(224)에는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4고정돌기(22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와 제2케이스(400)의 결합 시, 돌출부(220)의 적어도 일부(하부)가 제2전자기 차폐부(50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221-4), 제2고정돌기(222-4), 제3고정돌기(223-4) 및 제4고정돌기(224-4)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제2전자기 차폐부(5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제1고정돌기(221-4), 제2고정돌기(222-4), 제3고정돌기(223-4) 및 제4고정돌기(224-4)와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접촉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은 제1전자기 차폐부(300)의 제1블레이드(321) 및 제2블레이드(322)와 서로 내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후크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벽(222)은 제1전자기 차폐부(300)의 제3블레이드(323)와 서로 내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돌출벽(223)은 제1전자기 차폐부(300)의 제4블레이드(324) 및 제5블레이드(325)와 서로 내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돌출벽(224)은 제1전자기 차폐부(300)의 제6블레이드(326)와 서로 내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에는 제1전자기 차폐부(300)가 조립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와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끼임 결합(억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돌출부(220)와 블레이드부(320)가 서로 내측면이 접촉하고 후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1케이스(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제1케이스(200)와 제1전자기 차폐부(300)의 접촉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리브부(230)를 설명한다. 제1케이스(200)는 리브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부(230)는 제1모서리(221-1)의 내측에 배치된 제1리브(231), 제2모서리(222-1)의 내측에 배치된 제2리브(232), 제3모서리(223-1)의 내측에 배치된 제3리브(미도시) 및 제4모서리(224-1)의 내측에 배치된 제4리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리브부(230)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서 제1모서리(221-1), 제2모서리(222-1), 제3모서리(223-1) 및 제4모서리(224-1)보다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리브(231)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1리브(231)가 아래로 돌출된 길이(높이)는 돌출부(220)가 아래로 돌출된 길이(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리브(231)의 아랫면은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제1리브(231)는, 삼각형의 빗변 부분에 위치하고, 제1케이스(200)의 중심(렌즈홀더)에 대향하는 면을 가지며, 제1돌출벽(221)의 내측면에서 제2돌출벽(222)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제1사면(2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리브(232)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2리브(232)가 아래로 돌출된 길이(높이)는 돌출부(220)가 아래로 돌출된 길이(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리브(232)의 아랫면은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제2리브(232)는, 삼각형의 빗변 부분에 위치하고, 제1케이스(200)의 중심(렌즈홀더)에 대향하는 면을 가지며, 제2돌출벽(222)의 내측면에서 제3돌출벽(223)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제2사면(2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리브(미도시)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3리브가 아래로 돌출된 길이(높이)는 돌출부(220)가 아래로 돌출된 길이(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3리브의 아랫면은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제3리브는, 삼각형의 빗변 부분에 위치하고, 제1케이스(200)의 중심(렌즈홀더)에 대향하는 면을 가지며, 제3돌출벽(223)의 내측면에서 제4돌출벽(224)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제3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리브(미도시)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4리브가 아래로 돌출된 길이(높이)는 돌출부(220)가 아래로 돌출된 길이(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4리브의 아랫면은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제4리브는, 삼각형의 빗변 부분에 위치하고, 제1케이스(200)의 중심(렌즈홀더)에 대향하는 면을 가지며, 제1돌출벽(221)의 내측면에서 제4돌출벽(224)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제4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부(230)는 돌출부(220)의 각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되어 돌출부(220)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리브부(230)는 제1케이스(200)와 제1전자기 차폐부(300)의 끼임 결합 시,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과 제1전자기 차폐부(300)의 모서리 공차를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과 정밀하게 끼임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1융착부(240)를 설명한다. 제1케이스(220)와 제2케이스(400)는 레이저 융착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케이스(200)는 제1융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융착부(240)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융착부(240)는 돌출부(2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융착부(240)는 돌출부(220)보다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융착부(240)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서 위로 파인 홈 형태일 수 있다. 제1융착부(240)는 사각의 링 형태일 수 있다. 제1융착부(240)에는 제2케이스(400)의 제2융착부(430)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융착부(240)와 제2융착부(430)의 접촉 부분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융착이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1전자기 차폐부(300)를 설명한다.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기가 카메라 모듈(1000)의 내부로 전자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카메라 모듈(1000)의 내부에서 발생된 전자기가 외부로 전자기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1000)의 전장 부품과 카메라 모듈(1000) 외부의 전자 부품은 전자기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전도성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전자기 차폐부(300)에 저장된 전자기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2전자기 차폐부(500)에 저장된 전자기는 전원 공급부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제1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주로 카메라 모듈(1000)을 상하 방향으로 투과하는 전자기를 차폐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전자기 차폐부(300)의 본체(310) 및 블레이드부(320)를 설명한다.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본체(310) 및 블레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에 배치되어 주로 전자기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320)는 본체(310)를 제1케이스(2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제2전자기 차폐부(500)와 접촉하여 제1전자기 차폐부(300)와 제2전자기 차폐부(5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블레이드부(320)에 의해 접지(ground)될 수 있다.
본체(310)는 제1케이스(2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310)는 모서리가 챔퍼링(chamfering, 모따기)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본체(310)의 윗면은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310)의 윗면은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과 대응된 형태일 수 있다. 본체(310)는 제1케이스(200)의 돌출부(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310)는 돌출부(200)보다 제1케이스(20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310)의 중앙에는 렌즈홀더(210)의 중공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의 중앙에는 렌즈모듈(100)의 광축과 정렬된 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의 홀(311) 외측에는 제1둔턱부(211)와 대응되도록 아래로 돌출된 제2둔턱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의 모서리에서 제1리브(23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챔퍼(312, 모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의 모서리에서 제2리브(2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챔퍼(313, 모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의 모서리에서 제3리브(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챔퍼(314, 모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의 모서리에서 제4리브(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챔퍼(315, 모따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챔퍼(312)는 제1사면(231-1)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챔퍼(313)는 제2사면(232-1)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챔퍼(314)는 제3사면(미도시)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챔퍼(315)는 제4사면(미도시)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는, 홀(311), 제2둔턱부(316), 제1챔퍼(312), 제2챔퍼(313), 제3챔퍼(314) 및 제4챔퍼(315)에 의해,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전자기 차폐부(300)를 제1케이스(200)에 장착하는 경우, 본체(310)의 윗면과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은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나아가 본체(310)는 제1챔퍼(312), 제2챔퍼(313), 제3챔퍼(314) 및 제4챔퍼(315)에 의해 제1케이스(200)의 아랫면과 모서리 부분에서의 공차를 줄일 수 있다.
블레이드부(320)는 본체(310)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320)는 본체(310)의 각 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320)는 제1블레이드(321), 제2블레이드(322), 제3블레이드(323), 제4블레이드(324), 제5블레이드(325) 및 제6블레이드(3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21)와 제2블레이드(322)는 본체(310)의 후방(y축에서 화살표 반대 방향)에 위치한 변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21)와 제2블레이드(322)는 좌우 방향(x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블레이드(321)는 좌측(x축 화살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블레이드(322)는 우측(x축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21)는 제1모서리(221-1) 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322)는 제4모서리(224-1) 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21)는 제1홈(221-2)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322)는 제2홈(221-3)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21)와 제2블레이드(322)는 본체(310)에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 및/또는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21)는 제1홈(221-2)에 수용되어 제1돌출벽(221)과 후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블레이드(321)는 고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블레이드(321)에서 제1돌출벽(221)의 외측에 위치한 부분은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21)는 제1연장부(321-1), 제2연장부(321-2), 제3연장부(321-3), 제4연장부(321-4) 및 제1보강부(3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321-1)는 본체(310)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연장부(321-1)는 본체(310)의 후방(y축 화살표 반대 방향)에 위치한 변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연장부(321-1)의 외측면은 제1돌출벽(221)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연장부(321-2)는 제1연장부(321-1)의 좌측(x축 화살표 반대 방향) 단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장부(321-2)의 외측면은 제1돌출벽(221)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3연장부(321-3)는 제2연장부(321-2)의 하측 단부에서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연장부(321-3)는 제1홈(221-2)에 수용될 수 있다. 제3연장부(321-3)는 제1홈(221-2)과 접촉할 수 있다.
제4연장부(321-4)는 제3연장부(321-3)의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반대 방향) 단부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연장부(321-4)는 제1경사면(3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면(321-5)은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면일 수 있다. 제1경사면(321-5)은 제3연장부(321-3)의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반대 방향) 단부에서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면 측으로 경사진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4연장부(321-4)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전자기 차폐부(300)와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보강부(321-6)는 제1연장부(321-1)와 제2연장부(321-2)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연장부(321-4)가 제2전자기 차폐부(500)와 접촉하는 경우, 제1연장부(321-1)와 제2연장부(321-2)에는 내측으로 밴딩(bending)이 발생할 수 있다. 제1보강부(321-6)는 제1연장부(321-1)와 제2연장부(321-2)를 보강하여 밴딩(bending)에 의해 변형이나 항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블레이드(322)는 제2홈(221-3)에 수용되어 제1돌출벽(221)과 후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블레이드(322)는 고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블레이드(322)는 제1블레이드(321)와 달리 제2전자기 차폐부(50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블레이드(322)는 제5연장부(322-1), 제6연장부(322-2), 제7연장부(322-3), 제8연장부(322-4) 및 제2보강부(32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5연장부(322-1)는 본체(310)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5연장부(322-1)는 본체(310)의 후방(y축 화살표 반대 방향)에 위치한 변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5연장부(322-1)의 외측면은 제1돌출벽(221)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6연장부(322-2)는 제5연장부(322-1)의 우측(x축 화살표 방향) 단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6연장부(322-2)의 외측면은 제1돌출벽(221)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7연장부(322-3)는 제6연장부(322-2)의 하측 단부에서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7연장부(322-3)는 제2홈(221-3)에 수용될 수 있다. 제7연장부(322-3)는 제2홈(221-3)과 접촉할 수 있다.
제8연장부(322-4)는 제7연장부(322-3)의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반대 방향) 단부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부(322-6)는 제5연장부(322-1)와 제6연장부(322-2)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벽(221)과 제2블레이드(322)의 후크 결합 시, 제5연장부(322-1)와 제6연장부(322-2)에는 내측으로 밴딩(bending)이 발생할 수 있다. 제2보강부(322-6)는 제5연장부(322-1)와 제6연장부(322-2)를 보강하여 밴딩(bending)에 의해 변형이나 항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블레이드(323)는 본체(310)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3블레이드(323)는 본체(310)의 좌측(x축 화살표 반대 방향)에 위치한 변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3블레이드(323)의 외측면은 제2돌출벽(222)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4블레이드(324)와 제5블레이드(325)는 본체(310)의 전방(y축에서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변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4블레이드(324)와 제5블레이드(325)는 좌우 방향(x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블레이드(324)는 우측(x축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5블레이드(325)는 좌측(x축 화살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4블레이드(324)는 제3모서리(223-1) 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블레이드(325)는 제2모서리(222-1) 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블레이드(324)는 제3홈(223-2)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블레이드(325)는 제4홈(223-3)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블레이드(324)와 제5블레이드(325)는 본체(310)에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 및/또는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블레이드(324)는 제3홈(223-2)에 수용되어 제3돌출벽(223)과 후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4블레이드(324)는 고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4블레이드(324)에서 제3돌출벽(223)의 외측에 위치한 부분은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블레이드(324)는 제9연장부(324-1), 제10연장부(321-2), 제11연장부(324-3), 제12연장부(324-4) 및 제3보강부(32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9연장부(324-1)는 본체(310)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9연장부(324-1)는 본체(310)의 전방(y축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변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9연장부(324-1)의 외측면은 제3돌출벽(223)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0연장부(324-2)는 제9연장부(324-1)의 우측(x축 화살표 방향) 단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0연장부(324-2)의 외측면은 제3돌출벽(223)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1연장부(324-3)는 제10연장부(324-2)의 하측 단부에서 외측(전방, y축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1연장부(324-3)는 제3홈(223-2)에 수용될 수 있다. 제11연장부(324-3)는 제3홈(223-2)과 접촉할 수 있다.
제12연장부(324-4)는 제11연장부(324-3)의 외측(전방, y축 화살표 방향) 단부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2연장부(324-4)는 제2경사면(32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경사면(324-5)은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진 면일 수 있다. 제2경사면(324-5)은 제11연장부(324-3)의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방향) 단부에서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면 측으로 경사진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2연장부(324-4)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전자기 차폐부(300)와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보강부(321-6)는 제9연장부(324-1)와 제10연장부(324-2)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2연장부(324-4)가 제2전자기 차폐부(500)와 접촉하는 경우, 제9연장부(324-1)와 제10연장부(324-2)에는 내측으로 밴딩(bending)이 발생할 수 있다. 제3보강부(324-6)는 제9연장부(324-1)와 제10연장부(324-2)를 보강하여 밴딩(bending)에 의해 변형이나 항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블레이드(325)는 제4홈(223-3)에 수용되어 제3돌출벽(223)과 후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5블레이드(325)는 고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5블레이드(325)는 제4블레이드(324)와 달리 제2전자기 차폐부(50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5블레이드(325)는 제13연장부(325-1), 제14연장부(325-2), 제15연장부(325-3), 제16연장부(325-4) 및 제4보강부(3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3연장부(325-1)는 본체(310)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3연장부(325-1)는 본체(310)의 전방(y축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변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3연장부(325-1)의 외측면은 제3돌출벽(223)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4연장부(325-2)는 제13연장부(325-1)의 좌측(x축 화살표 반대 방향) 단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4연장부(325-2)의 외측면은 제3돌출벽(223)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5연장부(325-3)는 제14연장부(325-2)의 하측 단부에서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5연장부(325-3)는 제4홈(223-3)에 수용될 수 있다. 제15연장부(325-3)는 제4홈(223-3)과 접촉할 수 있다.
제16연장부(325-4)는 제15연장부(325-3)의 외측(후방, y축 화살표 방향) 단부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보강부(325-5)는 제13연장부(325-1)와 제14연장부(325-2)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돌출벽(223)과 제5블레이드(325)의 후크 결합 시, 제13연장부(325-1)와 제14연장부(325-2)에는 내측으로 밴딩(bending)이 발생할 수 있다. 제4보강부(325-6)는 제13연장부(325-1)와 제14연장부(325-2)를 보강하여 밴딩(bending)에 의해 변형이나 항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블레이드(326)는 본체(310)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6블레이드(326)는 본체(310)의 우측(x축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변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제6블레이드(326)의 외측면은 제4돌출벽(224)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제1전자기 차폐부(300)를 제1케이스(200)에 장착 시, 제1블레이드(321), 제2블레이드(322), 제3블레이드(323), 제4블레이드(324), 제5블레이드(325) 및 제6블레이드(326)의 외측면과 제1돌출벽(221), 제2돌출벽(222), 제3돌출벽(223) 및 제4돌출벽(224)의 내측면이 접촉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21), 제2블레이드(322), 제3블레이드(323), 제4블레이드(324), 제5블레이드(325) 및 제6블레이드(326)는 본체(310)에서 프레스 절곡 및/또는 만곡되어 외측으로 경사지려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제1블레이드(321), 제2블레이드(322), 제3블레이드(323), 제4블레이드(324), 제5블레이드(325) 및 제6블레이드(326)에 의해 제1케이스(20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 제1블레이드(321), 제2블레이드(322), 제4블레이드(324) 및 제5블레이드(325)는 제1돌출벽(221)과 제3돌출벽(223)에 후크 결합하므로,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제1케이스(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 제1블레이드(321)와 제4블레이드(324)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과정 및 접촉이 유지되는 과정에서 외력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블레이드(321)와 제4블레이드(324)는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전자기 차폐부(300)를 거시적으로 봤을 때, 제1블레이드(321)에 작용하는 외력과 제4블레이드(324)에 작용하는 외력은 상쇄된다. 그 결과, 제1전자기 차폐부(300)는, 제1블레이드(321)와 제4블레이드(324)가 제2전자기 차폐부(500)와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외력에 관계 없이 정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2케이스(400)를 설명한다. 제2케이스(40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외장 부재일 수 있다. 제2케이스(4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400)는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제2케이스(4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400)는 사각의 베이스(410)와 베이스(410)의 가장자리(각 변)에서 위로 연장된 측벽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케이스(400)에는 상측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400)는 제1케이스(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케이스(400)와 제1케이스(200)는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케이스(400)의 상측 개구는 제1케이스(200)에 의해 덮여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케이스(400)의 내부에는 밀폐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400) 내측에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 기판부(600) 및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외측면은 제2케이스(4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케이스(400)는 제2융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융착부(430)는 측벽부(420)의 윗면에 위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융착부(430)는 사각 링 형태일 수 있다. 제2케이스(400)와 제1케이스(200)의 레이저 융착 시 제2융착부(430)는 제1융착부(240)에 수용될 수 있다. 레이저가 조사되면, 제2융착부(430)와 제1융착부(240) 사이에 융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400)는 전원 공급 라인 수용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라인 수용부(440)는 베이스(410)에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라인 수용부(440)는 베이스(410)를 관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 일 예로 케이블)는 전원 공급 라인 수용부(440)를 통해 기판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전원 공급 라인 수용부(440)에 수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2전자기 차폐부(500)를 설명한다.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기가 카메라 모듈(1000)의 내부로 전자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카메라 모듈(1000)의 내부에서 발생된 전자기가 외부로 전자기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1000)의 전장 부품과 카메라 모듈(1000) 외부의 전자 부품은 전자기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전도성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제1전자기 차폐부(30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기판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전자기 차폐부(300)와 제2전자기 차페부(500)에 저장된 전자기는 기판부(400)로 전달되어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ground)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자기 차폐부(500)에 저장된 전자기는 기판부(4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제2케이스(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외측면은 제2케이스(400)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주로 카메라 모듈(1000)을 전후 좌우로 투과하는 전자기를 차폐할 수 있다.
제2전자기 차폐부(5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1쉴드캔(510)과 제2쉴드캔(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쉴드캔(510)과 제2쉴드캔(520)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중공의 블럭 형태일 수 있다. 제1쉴드캔(510)과 제2쉴드캔(520)의 측면에는 기판을 고정하거나 제1쉴드캔과 제2쉴드캔(520)을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돌출 각편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쉴드캔(510)과 제2쉴드캔(520)의 돌출 각편은 식각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제1쉴드캔(510)과 제2쉴드캔(520)은 어셈블리(조립)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판부(600)를 설명한다. 기판부(600)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2케이스(4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부(600)는 제1기판(610), 이미지 센서(611), 제2기판(620), 제3기판(630), 제1연결기판(640) 및 제2연결기판(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610), 제2기판(620) 및 제3기판(63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기판(610), 제2기판(620) 및 제3기판(63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제2전자기 차폐부(5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판(610), 제2기판(620) 및 제3기판(630)에는 단자가 형성되어 제2전자기 차폐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판(610), 제2기판(620) 및 제3기판(630)에서 발생한 전자기는 제2전자기 차폐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연결기판(640) 및 제2연결기판(650)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연결기판(640)은 제1기판(610)과 제2기판(6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기판(650)은 제2기판(620)과 제3기판(6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기판(610)의 윗면에는 이미지 센서(61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11)는 제1기판(61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11)는 렌즈모듈(100)의 광축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모듈(100)을 투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611)로 조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11)는 획득한 광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611)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기판(610)은 제1케이스(200)의 돌출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610)의 윗면과 돌출부(220)의 아랫면 사이에 비전도성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기판(610)이 돌출부(220)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A/A(Active Align)이 진행될 수 있다.
제3기판(630)의 아랫면에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제3기판(6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를 통해, 기판부(600)는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이 3개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기판의 개수는 전자 설계 조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제1기판(610) 하나만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610)의 윗면에는 이미지 센서(611)가 실장되고, 제1기판(610)의 아랫면에는 커넥터가 실장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기판부(600)와 외부의 전자 기기(예를 들면, 전원 컨트롤러, 전자 제어 유닛)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라인일 수 있다. 일 예로, 전원 공급부는 케이블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전원 공급 라인 수용부(440)를 통해 제2케이스(4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3기판(630)의 아랫면에 실장된 커넥터에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미지 센서(611)에서 출력된 촬영 신호는 전원 공급부를 통해 외부의 전자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또, 외부의 전자 기기에서 발생한 각종 제어 신호와 전원은 전원 공급부를 통해 기판부(6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렌즈 모듈이 배치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전자기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기 차폐부는 상기 제1케이스의 상기 일면과 접촉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1돌출벽과, 상기 제1돌출벽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돌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벽은 일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제1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모서리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홈에 수용되는 제3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에서 위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돌출벽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4연장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안에 배치된 제2전자기 차폐부; 및
    상기 제2전자기 차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의 상기 제4연장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2전자기 차폐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벽과 상기 제2돌출벽 사이에 배치된 제1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블레이드와, 외측면이 상기 제2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3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벽은 아랫면에 배치된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5연장부;
    상기 제5연장부에서 상기 제1모서리 측과 반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6연장부;
    상기 제6연장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홈에 수용된 제7연장부; 및
    상기 제7연장부에서 위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돌출벽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8연장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벽은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벽은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자기 차폐부는 내측면이 상기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제2고정돌기와 접촉하여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아랫면에서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제1모서리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돌출벽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2돌출벽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제1사면을 포함하는 제1리브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각진 플레이트 형태이고, 모서리에는 상기 제1사면과 대응되는 제1챔퍼가 형성된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렌즈 모듈이 배치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는 원통 형태로 상기 제1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아랫면에는 상기 렌즈홀더에 의해 아래로 돌출된 둔턱부가 형성된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윗면과 상기 돌출부의 아랫면 사이에 비전도성 접착제가 개재되는 카메라 모듈.
  11.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및
    제1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바디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차.
KR1020210149226A 2017-04-21 2021-11-02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478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226A KR102478903B1 (ko) 2017-04-21 2021-11-02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33A KR102323625B1 (ko) 2017-04-21 2017-04-21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0210149226A KR102478903B1 (ko) 2017-04-21 2021-11-02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33A Division KR102323625B1 (ko) 2017-04-21 2017-04-21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98A KR20210135198A (ko) 2021-11-12
KR102478903B1 true KR102478903B1 (ko) 2022-12-19

Family

ID=640997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33A KR102323625B1 (ko) 2017-04-21 2017-04-21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0210149226A KR102478903B1 (ko) 2017-04-21 2021-11-02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33A KR102323625B1 (ko) 2017-04-21 2017-04-21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3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9109B2 (ja) 2021-05-21 2024-05-08 パナソニック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用撮像装置
KR20230006278A (ko) * 2021-07-02 2023-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30014576A (ko) * 2021-07-21 2023-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9614A (ja) * 2011-07-27 2013-02-07 Ricoh Co Ltd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671A (ko) * 2010-03-09 2011-09-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9614A (ja) * 2011-07-27 2013-02-07 Ricoh Co Ltd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98A (ko) 2021-11-12
KR20180118459A (ko) 2018-10-31
KR102323625B1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903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7112083B2 (en) Connector for camera module use
US11178322B2 (en) Camera module and automobile
JP717899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製造方法
US10859785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CN112042177B (zh) 相机模块
KR10235869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1159704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KR20200055548A (ko) 카메라 모듈
KR102596540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KR102618045B1 (ko) 카메라 모듈
KR102483472B1 (ko) 차량용 카메라
CN220528153U (zh) 补光式摄像头
KR102352975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20230362466A1 (en) Camera module
CN117616766A (zh) 相机模块
KR20230029076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68502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7263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