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498A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498A
KR20200037498A KR1020180116770A KR20180116770A KR20200037498A KR 20200037498 A KR20200037498 A KR 20200037498A KR 1020180116770 A KR1020180116770 A KR 1020180116770A KR 20180116770 A KR20180116770 A KR 20180116770A KR 20200037498 A KR20200037498 A KR 2020003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ing portion
base
side wal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7498A/ko
Publication of KR2020003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04N5/225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는 렌즈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렌즈와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측벽과, 상기 측벽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전면의 일부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는 소형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카메라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은, 내부 부품들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 영역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방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부품들은 통상적으로 나사 결합으로 결합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고 있다.
각 구성요소들을 모두 나사결합으로 체결하는 경우, 나사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간이 요구되므로 사이즈가 커지고, 조립 공수가 많아 잡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사이즈 축소를 위해 접착제로 접착하는 경우 접착제를 각 결합 부위에만 소량으로 도포할 수 밖에 없어 각 구성간의 결합력이 약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각 구성간의 결합 부위에 접착제를 과다하게 도포하면, 외관불량이 발생되거나 인쇄회로기판 등에 접착제가 묻음으로써 구성물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 구성 요소들의 간단한 결합을 통해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는 렌즈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렌즈와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측벽과, 상기 측벽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전면의 일부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의 일면은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은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의 상기 경사진 영역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는 8도에서 15 도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결합부를 정의하는 면을 기준으로 내측이 외측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전면의 일부가 이격된 거리는 0.2mm 에서 0.5 mm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의 두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의 측면과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보다 안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외측면보다 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전면은 서로 맞닿아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방에서 상기 제2 하우징에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전면은 서로 맞닿아 레이저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결합부의 상기 외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가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는 렌즈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렌즈와 연결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측벽과, 상기 측벽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돌기의 일측면은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진 영역 내에서, 상기 돌기의 두께는 상기 측벽에서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와 인접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벽은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의 전면의 일부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일부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대향하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돌기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홈을 정의하는 면을 기준으로 내측이 외측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전면의 일부가 이격된 거리는 0.2mm 에서 0.5 mm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홈의 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돌기의 외측면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보다 안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돌기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외측면보다 안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각 구성 요소들의 간단한 결합을 통해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A 부분 확대도로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조립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수직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A 부분 확대도로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조립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과, 기판(300)과, 쉴드 캔(400)과, 케이블(700)과, 실링 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카메라(10)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0)는 하우징(100, 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 200)은 카메라(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0, 2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100, 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0, 200)의 내부에는 기판(300)과, 쉴드 캔(400)과, 케이블(700)과, 오링(800) 등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 200)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제1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프런트 바디(front body)일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제2 하우징(2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제2 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제2 하우징(200)에 초음과 융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제2 하우징(200)에 레이저 융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렌즈(102)와, 베이스(104)와, 제1 결합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과, 렌즈(102)와, 베이스(10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02)는 제1 하우징(10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과, 렌즈(102)와, 베이스(104)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하우징(100)에 렌즈(102)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카메라(10)의 구성을 줄일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에 렌즈(102)를 일체로 형성 시 렌즈(102)는 높이는 제1 하우징(100)의 베이스(104)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1 하우징(100)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102)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02)의 아래에는 기판(30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102)는 기판(300)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즉, 렌즈(102)의 광축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정렬될 수 있다. 렌즈(200)를 지나는 광은 기판(300)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렌즈(102)는 합성수지 소재, 유리 소재 또는 석영 소개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하우징(100)과 같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베이스(104)는 렌즈(102)와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4)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4)는 렌즈(102)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고,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4)의 후방부와 렌즈(102)의 후방 사이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4)의 후방부와 렌즈(102)의 후방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는 기판(300)의 일부 및/또는 기판(300)에 실장되는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4)는 제2 하우징(20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04)의 하부는 제2 하우징(20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04)는 제1 결합부(105)를 정의하는 면(110)즉, 베이스(104)의 후면(110)을 기준으로 내측이 외측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4)의 후면(110)은 내측이 외측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내측은 기판(300)과 대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300)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을 조립하는 경우, 기판(300)을 제1 하우징(100)에 먼저 결합을 한 후, 제2 하우징(200)을 제1 하우징(100)에 결합시킨다. 기판(300)을 제1 하우징(100)에 결합할 때,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내측이 외측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기판(300)이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내측에 결합됨으로써, 측면에서 기판(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외측의 넓은 공간을 통해 UV광선 등을 이용해 에폭시(Epoxy를 경화시킬 수 있다.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와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전면(21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와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는 광축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와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는 0.2mm 에서 0.5mm 사이일 수 있다.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와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가 0.2mm보다 작은 경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 시 방수 성능은 유지되나, 초음파 융착 또는 레이저 융착으로 인한 진동이 기판(300)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에 전달되어 해상력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와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가 0.5mm보다 큰 경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 시 해상력의 변화는 미약하나,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와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가 너무 커지게 되고,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결합 시 발생되는 결합 물질(900)이 제1 하우징(100)의 후면(110)에 형성되지 못하므로 방수 성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와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가 0.2mm에서 0.5mm 사이일 경우,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해상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베이스(104)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베이스(104)의 후면(110)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베이스(104)의 후면(110)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베이스(104)의 후면(110)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베이스(104)의 후면(110)에서 연장 형성되는 외측면(112)과, 외측면(112)에서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114)과, 경사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116)과, 수평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제1 하우징(100)의 외측면보다 내측 또는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 시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제2 결합부(220)와 결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105)의 경사면(114)은 제2 결합부(220)의 전면(224)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를 통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의 측면(112)과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의 측면(112)과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의 측면(112)과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 사이에 이격된 거리(G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를 통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결합 시 발생되는 결합 물질(900)이 제1 결합부(105)의 측면(112)과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결합 시 발생되는 결합 물질(900)은 방수 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조립 공차를 보정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결합부(105)의 외측면(112)과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 사이에 이격된 공간은 후술하는 레이저가 가해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제2 결합부(220)의 전면(224)과 맞닿아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제2 결합부(220)의 전면(224)과 맞닿아 초음파 융착되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105)의 경사면(114)이 제2 결합부(220)의 전면(224)과 맞닿아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는 제2 하우징(200)의 후방에서 제2 하우징(200)에 가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00)의 렌즈(102)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렌즈(102)의 광축과 기판(300)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결합부(105)는 제2 결합부(220)의 전면(224)과 맞닿아 레이저 융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는 제2 결합부(220)의 전면(224)과 맞닿아 레이저 융착되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105)의 경사면(114)이 제2 결합부(220)의 전면(224)과 맞닿아 레이저 융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는 제1 하우징(100)의 제1 결합부(105)의 외측면(112)과, 제1 하우징(100)의 제1 결합부(105)의 외측면(112)과 마주하는 제2 하우징(200)의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에 가해질 수 있다. 즉, 레이저는 제1 결합부(105)의 외측면(112)과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에 가해질 수 있다.
제1 결합부(105)의 일부는 기판(300)과 광축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고, 나머지는 기판(300)과 광축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비오버랩(non-overlap)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220)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105)의 경사면(114)은 기판(300)과 광축 방향으로 비오버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결합 시 제2 하우징(200)과 기판(30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제2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리어 바디(rear body)일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에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에 레이저 융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측벽(205)과, 제2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하측면과, 상기 하측면에서 광축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205)과, 측벽(205)에서 광축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의 하측면과 측벽(205)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기판(300)과, 쉴드 캔(400)과, 케이블(700)과, 실링 부재(800) 등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측벽(205)에는 제2 결합부(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측벽(205)의 전면(210)에서 제2 결합부(220)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205)의 전면(210)의 내측 영역에서 제2 결합부(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측벽(205)의 내측면은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205)의 내측면의 경사진 영역은 제2 결합부(2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진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는 제1 하우징(100)의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와 수직 방향 또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와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는 0.2mm에서 0.5mm 사이일 수 있다.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와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가 0.2mm보다 작은 경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 시 방수 성능은 유지되나, 초음파 융착 또는 레이저 융착으로 인한 진동이 기판(300)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에 전달되어 해상력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와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가 0.5mm 보다 큰 경우,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 시 해상력의 변화는 미약하나,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와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가 너무 커지게 되고,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결합 시 발생되는 결합 물질(900)이 제1 하우징(100)의 후면(110)에 형성되지 못하므로 방수 성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측벽(205)의 전면(210)의 일부와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일부가 이격되는 거리(G1)는 0.2mm에서 0.5mm 사이일 경우,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해상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는 제1 하우징(100)의 베이스(104)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는 제1 하우징(100)의 베이스(104)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105)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는 제2 하우징(220)의 측벽(205)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는 제2 하우징(220)의 측벽(20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는 측벽(205)의 전면(210)에서 광축 방향 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면(222)과, 제1 면(222)에서 광축에 수직인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224)과, 전면(224)에서 광축 방향 또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226)과, 제2 면(226)에서 연장 형성되는 경사진 영역(2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는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외측면보다 내측 또는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 시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의 경사진 영역(228)은 제2 결합부(22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의 경사진 영역(228) 내에서, 제2 결합부(220)의 두께는 측벽(205)에서 제1 하우징(100)의 베이스(104)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융착시 발생되는 진동을 제2 하우징(200)의 후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부(220)의 경사진 영역(228)은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의 경사진 영역(228)은 광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 때, 제2 결합부(220)의 경사진 영역(228)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a)는 8도에서 15도 사이일 수 있다. 제2 결합부(220)의 경사진 영역(228)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a)가 15도 이상이면 제2 결합부(220)의 전면부의 두께가 줄어들어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결합시 발생하는 결합 물질(900)이 충분하게 발생되지 아니하여 방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20)의 경사진 영역(228)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a)가 15도 이상이면 제1 결합부(105)의 외측면(112)과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 사이에 이격된 공간(G2)이 줄어들어,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결합시 발생하는 진동이 커져 해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의 경사진 영역(228)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a)가 8도 미만이면 제1 결합부(105)의 외측면(112)과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 사이에 이격된 공간(G2)이 커지게 되고,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결합시 발생하는 결합 물질(900)이 제1 결합부(105)의 외측면(112)과 제2 결합부(220)의 외측면(222) 사이에 이격된 공간(G2)을 충분하게 채우지 못하게 되어 방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220)의 경사진 영역(228)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a)는 8도에서 15도 사이인 경우 방수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해상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의 제2 면(226)의 높이(h)는 0.2mm에서 0.8mm 사이일 수 있다. 제2 결합부(220)의 제2 면(226)의 높이(h)가 0.2mm보다 작은 경우,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융착되는 동안 발생되는 진동을 충분하게 흡수하지 못하고, 융착되는 제2 결합부(220)의 영역이 줄어들면서 제1 하우징(100)의 렌즈(102)로 가해지는 진동이 커지므로 해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20)의 제2 면(226)의 높이(h)가 0.8mm보다 큰 경우,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결합 시 발생되는 결합 물질(900)이 제1 하우징(100)의 후면(110)에 형성되지 못하므로 방수 성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합부(220)의 제2 면(226)의 높이(h)가 0.2mm에서 0.8mm 사이일 경우,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해상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20)의 두께는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220)는 제2 하우징(200)의 측벽(205)의 외측면보다 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이 제1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105)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카메라(10)는 기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00)은 제1 하우징(100) 및/또는 제2 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300)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300)는 제1 하우징(100)의 렌즈(10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3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300)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300)의 전면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300)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기판(300)에는 이미지 센서가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실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판(300)에는 이미지 센서가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기판(300)의 이미지 센서는 렌즈(102)와 대향할 수 있다. 기판(300)의 이미지 센서는 렌즈(102)의 광축과 일치되도록 얼라인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102)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300)의 이미지 센서는 렌즈(102)를 통과한 광을 획들 할 수 있다. 기판(300)의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00)은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310)은 제2 기판(3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310)의 전면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은 연성의 인쇄회로기판(330)(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기판(320)은 케이블(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320)의 후면은 케이블(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10)는 쉴드 캔(400)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400)은 기판(300)에 결합될 수 있다. 쉴드 캔(400)은 제1 기판(310) 및 제2 기판(320)에 결합될 수 있다. 쉴드 캔(400)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캔(400)은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의 통전 또는 접지/그라운딩(groungding)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쉴드 캔(400)의 일측은 제1 기판(3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쉴드 캔(400)의 타측은 제2 기판(320)의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쉴드 캔(400)의 타측은 제2 기판(320)의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스냅-핏(snap-fit) 결합될 수 있다. 쉴드 캔(400)은 복수의 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쉴드 부재 각각은 제1 기판(310)의 각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쉴드 부재 각각은 제2 기판(320)의 각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0)는 케이블(7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700)은 제2 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700)은 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700)은 제2 기판(320)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700)은 제2 하우징(200)의 후방에 형성되는 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700)은 외부 구성으로부터 기판(300)에 전류 및/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실링 부재(8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800)는 제2 하우징(200)과 케이블(7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800)는 제2 하우징(200)과 케이블(7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실링(sealing)할 수 있다. 실링 부재(800)는 제2 하우징(200)의 통공과 케이블(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800)는 제2 하우징(200)의 통공과 케이블(7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실링 부재(800)는 케이블(700)을 둘러 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800)를 통해 제2 하우징(200)과 케이블(700)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을 없애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메라(10)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초음파 또는 레이저 융착되어 발생되는 결합 물질(900)이 채우지 못하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사이의 공간에 접착제가 게재되어, 접착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접착제는 에폭시(epxy)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에 초음파 또는 레이저가 가해져,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점점 인접하며 융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융착되며 발생하는 결합 물질(900)을 통해 카메라(10)의 방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에 따르면, 렌즈(102)와 제1 하우징(100)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초음파 또는 레이저 융착을 통해 간단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조립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의 조립 방법은, 기판(300)을 액티브-얼라인(Active-Alignment) 하는 단계(S1)와, 열 경화(Thermal Curing) 조립 단계(S2)와, 쉴드 캔(400) 결합 단계(S3)와, 제2 하우징(200)(Rear Body) 융착 단계(S4)와, 방수 점검(Leak check) 단계(S5)와, 소프트웨어 광축 조정 단계(S6)와, EOL(End of Line) 테스트 단계(S7)와, OQC(Outgoing Quality Control) 단계(S8)와, 패킹 단계(S9)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의 조립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를 조립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기판(300)을 액티브-얼라인(Active-Alignment) 하는 단계(S1)는 제1 하우징(100)에 기판(300)을 결합 한 후, 기판(300)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102)의 광축을 정렬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기판(300)은 제1 하우징(100)의 베이스(104)의 후면(1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열 경화(Thermal Curing) 조립 단계(S2)는 기판(300)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102)의 광축을 정렬된 후, 이미지 센서를 기판(300)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2개의 나사(Screw)와 접착제(Epoxy) 도포의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쉴드 캔(400) 결합 단계(S3)는 기판(300)에 쉴드 캔(400)을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제2 하우징(200)(Rear Body) 융착 단계(S4)는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의 융착을 통해 제2 하우징(200)을 제1 하우징(100)에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초음파 또는 레이저 융착을 통해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가 융착될 수 있다.
방수 점검 단계(S5)에서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는지를 확인하는 검사를 시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105)와 제2 결합부(220)의 주변부와, 케이블(700)의 주변부에서 방수 성능이 유지되는지를 체크한다.
소프트웨어 광축 조정 단계(S6)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결합된 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판(300)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이 렌즈(102)의 광축과 일치되도록 미세 조정을 하는 단계이다.
EOL(End of Line) 테스트 단계(S7)와, OQC(Outgoing Quality Control) 단계는 카메라(10)의 해상도 등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패킹 단계(S9)는 카메라(10)가 조립된 후 패킹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의 조립 방법에 따르면, 렌즈(102)와 제1 하우징(100)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초음파 또는 레이저 융착을 통해 간단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카메라 100: 제1 하우징
102: 렌즈 104: 베이스
105: 제1 결합부 200: 제2 하우징
205: 측벽 220: 제2 결합부
300: 기판 400: 쉴드 캔
700: 케이블 800: 실링 부재

Claims (24)

  1. 렌즈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렌즈와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측벽과, 상기 측벽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전면의 일부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일면은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은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상기 경사진 영역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는 8도에서 15 도 사이인 카메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결합부를 정의하는 면을 기준으로 내측이 외측보다 높게 형성되는 카메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전면의 일부가 이격된 거리는 0.2mm 에서 0.5 mm 사이인 카메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의 두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카메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측면과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보다 안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외측면보다 안에 형성되는 카메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전면은 서로 맞닿아 초음파 융착되는 카메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방에서 상기 제2 하우징에 가해지는 카메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전면은 서로 맞닿아 레이저 융착되는 카메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결합부의 상기 외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가해지는 카메라.
  15. 렌즈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렌즈와 연결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측벽과, 상기 측벽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돌기의 일측면은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진 영역 내에서, 상기 돌기의 두께는 상기 측벽에서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인접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벽은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의 전면의 일부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일부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카메라.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대향하는 홈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돌기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홈을 정의하는 면을 기준으로 내측이 외측보다 높게 형성되는 카메라.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전면의 일부가 이격된 거리는 0.2mm 에서 0.5 mm 사이인 카메라.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카메라.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홈의 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돌기의 외측면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보다 안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돌기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외측면보다 안에 형성되는 카메라.
KR1020180116770A 2018-10-01 2018-10-01 카메라 KR20200037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70A KR20200037498A (ko) 2018-10-01 2018-10-01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70A KR20200037498A (ko) 2018-10-01 2018-10-01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498A true KR20200037498A (ko) 2020-04-09

Family

ID=7027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70A KR20200037498A (ko) 2018-10-01 2018-10-01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74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677A1 (ko) * 2021-07-08 2023-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3013999A1 (ko) * 2021-08-03 2023-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677A1 (ko) * 2021-07-08 2023-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3013999A1 (ko) * 2021-08-03 2023-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7561B2 (ja) 撮像装置
KR102134529B1 (ko) 어레이 이미징 모듈 및 성형된 감광성 어셈블리, 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용 그 제조 방법
JP5771901B2 (ja) 撮像装置
CN109792483B (zh) 相机模块及相机模块制造方法
US20060221225A1 (en) Optical device module, optical path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module
KR20050026491A (ko)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용 홀더, 카메라 시스템 및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2017009473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076150B (zh) 相机模块和车辆
KR100958102B1 (ko) 카메라 모듈, 홀더,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KR102511623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037498A (ko) 카메라
CN210142251U (zh) 摄像模组
JP200529505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208355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90138386A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조립 방법
JP2008160757A (ja) 撮像装置
KR20180038165A (ko) 카메라 모듈
US20230362466A1 (en) Camera module
US20230259006A1 (en) Camera module
WO2021161919A1 (ja) センサモジュール
KR20230029076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06278A (ko) 카메라 모듈
KR20230168935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5558A (ko) 카메라
CN116635220A (zh) 传感器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