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558A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558A
KR20200035558A KR1020180114721A KR20180114721A KR20200035558A KR 20200035558 A KR20200035558 A KR 20200035558A KR 1020180114721 A KR1020180114721 A KR 1020180114721A KR 20180114721 A KR20180114721 A KR 20180114721A KR 20200035558 A KR20200035558 A KR 20200035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housing
terminal
camera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5558A/ko
Publication of KR20200035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카메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는 렌즈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와 결합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는 소형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차량용 카메라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카메라의 외형을 이루는 바디는, 내부 부품들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 영역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는 렌즈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와 결합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끼움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2 단자와, 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자와 결합하는 제4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제1 기판이 안착되는 제1 단차부와, 상기 제1 단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이 안착되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은 상기 제1 단차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은 상기 제2 단차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의 측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기판의 후면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에 의해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이 상기 제2 단차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은 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그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단자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의 단면과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의 단면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기판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면의 단면은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는 렌즈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의 일부는 상기 기판과 접촉한다.
또한, 제1 하우징은 기판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이 안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기판의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기판을 상기 단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은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끼움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2 단자와, 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자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제1 기판이 전면의 테두리 영역이 안착되는 제1 단차부와, 상기 제1 단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이 안착되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제2 기판의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제2 단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의 측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단자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기판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면의 단면은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제1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제1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제1 기판이 결합된 제1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제1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제2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제1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제1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제1 기판이 결합된 제1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제1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제2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는 제1 하우징(100)과,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과, 제2 하우징(400)과, 케이블(5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는 차량용 카메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Side Mirror)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0)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설치되어 하우징(100, 400)이 외부로 노출되는 사이드 뷰(Side View) 카메라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의 하우징(100, 400)은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공기(air)의 저항력을 낮추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 400)은 제1 하우징(100)와 제2 하우징(4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제1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카메라(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제2 하우징(4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제2 하우징(4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은 결합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결합부(190)는 제2 하우징(400)의 결합부(49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결합부(190)는 제2 단차부(13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에는 렌즈(1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과 렌즈(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외측면은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의 단면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은 제1 단차부(120)와, 제2 단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차부(120)는 제2 단차부(130)보다 렌즈(1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차부(120)는 제2 단차부(130)보다 광축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차부(120)에는 제1 기판(2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차부(120)에는 제1 기판(100)의 전면이 밀착될 수 있다. 제1 단차부(120)에는 제1 기판(100)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이 안착될 수 있다. 제2 단차부(130)는 제1 단차부(120)에서 단차를 지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부(130)에는 제2 기판(3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차부(130)에는 제2 기판(300)의 전면이 밀착될 수 있다. 제2 단차부(130)에는 제2 기판(300)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이 안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이 제1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경우, 제2 기판(300)의 후면은 제2 하우징(400)의 상면과 접촉되고, 제2 하우징(400)의 상면에 의해 제2 기판(300)의 전면이 제2 단차부(130)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400)과 제1 하우징(100)의 결합에 의해 제2 기판(300)이 제2 단차부(130)에 고정되므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카메라(10)는 제1 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200)은 하우징(100, 4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은 제1 하우징(1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상면은 제1 하우징(100)의 제1 단차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에는 이미지 센서가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 등의 방법으로 실장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은 제2 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200)는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4 단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2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단자(210) 는 제1 기판(2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제4 단자(210)는 제2 기판(100)의 제3 단자(310)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제4 단자(210)는 제2 기판(100)의 제3 단자(31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제4 단자(210)는 제2 기판(100)의 제3 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제4 단자(210)는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의 광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제4 단자(210)는 제1 내지 제3 단자(410, 310, 32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은 지그 홈(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지그 홈(220)은 원판 형상의 제1 기판(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그 홈(220)은 원판 형상의 제1 기판(200)의 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그 홈(220)은 지그(미도시)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기판(200)이 제1 하우징(100)의 제1 단차부(110)에 안착되고, 제1 기판(200)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의 광축 얼라인먼트 작업이 진행되며, 제1 기판(200)과 제1 단차부(120) 사이에 투입된 접착제(600)가 경화될 시간 동안 지그가 기판(200)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제1 기판(200)의 측면은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00) 및/또는 제1 기판(200)의 사출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을 보완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제2 기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300)는 하우징(100, 4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은 제1 하우징(1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은 제1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은 제2 하우징(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은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를 통해 케이블(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단자(320)와, 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 단자(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3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자(320)와 제3 단자(310)는 제2 기판(3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제2 단자(320)는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제2 단자(320)는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제2 단자(320)는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제3 단자(310)는 제1 기판(200)의 제4 단자(210)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제3 단자(310)는 제1 기판(200)의 제4 단자(21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제3 단자(310)는 제1 기판(200)의 제4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제2 및 제3 단자(310, 320)는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의 광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제2 및 제3 단자(310, 320)는 제1 및 제4 단자(410, 2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단자(410, 320, 310, 210)의 단면은 제1 및 제2 기판(200,300) 조립 시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400)이 나사 결합되는 경우에도, 각 단자와 구성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00)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110)간 광축을 정렬하는 경우에도, 각 단자와 구성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기판(300)은 제2 단차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은 제2 단차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기판(300)의 측면은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00) 및/또는 제2 기판(300)의 사출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을 보완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제1 기판(2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제1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제1 기판(20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는 제1 기판(20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110)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110)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는 렌즈(110)를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 센서는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제2 하우징(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은 카메라(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외측면의 단면은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은 제1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은 제1 하우징(1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은 외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결합부(490)는 제1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90)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하우징(400)의 상면은 제2 단차부(130)에 안착된 제2 기판(300)에 힘을 가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400)의 결합부(490)와 제1 하우징(100)의 결합부(190)에는 실리콘 등의 방수 물질이 도포되어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내측면의 단면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은 내측면에서 렌즈(110)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단자(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는 제2 기판(300)의 제2 단자(320)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는 제2 기판(300)의 제2 단자(32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는 제2 기판(300)의 제2 단자(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는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의 광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는 제2 내지 제4 단자(310, 320, 2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의 제1 단자(410)는 케이블(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0)은 차량 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400)의 장착부(440)는 2개의 원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차량 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장착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440)은 제2 하우징(4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장착부(44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카메라(10)는 케이블(5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500)은 카메라(10)와 외부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500)은 카메라(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500)은 제2 하우징(400)에 삽입되어 제1 단자(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500)은 제1 단자(410)를 통해 제2 기판(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500)은 제2 하우징(40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는 원형 형상의 제1 내지 제4 단자(410, 320, 310, 210)를 통해,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 간 광축 얼라이먼트 작업과,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400)의 결합 작업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110)가 제1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케이블(500)이 제2 하우징(400)에 인서트 사출되고, 기판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400)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고 제2 하우징(400) 상면의 가압으로 조립되므로 구성의 수를 줄이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즉, 방수를 위한 추가 부품이 필요 없게 된다. 더불어, 스크류를 완전 제거함으로써 공정 비용을 줄이고 제작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는 기판이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을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와 달리 기판은 1개의 기판으로 구성되거나, 3개 이상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판이 1개의 기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기판의 전면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고, 후면에는 제1 단자(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200)은 제1 하우징(100)의 1개의 단차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400)이 결합하는 경우, 제2 하우징(400)의 상면이 기판(200)의 하면에 밀착되고, 가압함으로써, 기판(200)이 단차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카메라 100: 제1 하우징
200: 제1 기판 300: 제2 기판
400: 제2 하우징 500: 케이블
600: 접착제

Claims (15)

  1. 렌즈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와 결합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끼움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2 단자와, 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자와 결합하는 제4 단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제1 기판이 안착되는 제1 단차부와, 상기 제1 단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이 안착되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은 상기 제1 단차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은 상기 제2 단차부에 안착되는 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측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카메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기판의 후면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에 의해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이 상기 제2 단차부에 밀착되는 카메라.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그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단자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의 단면과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의 단면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기판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면의 단면은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13. 렌즈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의 일부는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카메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기판의 전면의 테두리 영역이 안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기판의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기판을 상기 단차부에 고정시키는 카메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와 결합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끼움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KR1020180114721A 2018-09-27 2018-09-27 카메라 KR20200035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21A KR20200035558A (ko) 2018-09-27 2018-09-27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21A KR20200035558A (ko) 2018-09-27 2018-09-27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558A true KR20200035558A (ko) 2020-04-06

Family

ID=7028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21A KR20200035558A (ko) 2018-09-27 2018-09-27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55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8894B (zh) 基于金属支架的感光组件和摄像模组
KR102468410B1 (ko) 카메라 모듈
CN111919169B (zh) 透镜模块和相机模块
CN112042177B (zh) 相机模块
KR102433450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048101A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JP2008070790A (ja) 撮像装置
CN110603807B (zh) 相机模块及车辆
KR20200055548A (ko) 카메라 모듈
CN113194218B (zh) 摄像头模组制造方法及电子产品制造方法
KR102511099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조립 방법
CN111034165B (zh) 车辆相机
KR20200035558A (ko) 카메라
KR102353918B1 (ko) 카메라
CN114651438A (zh) 相机模块
KR20200037498A (ko) 카메라
KR102353920B1 (ko) 차량용 카메라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KR20200137690A (ko) 카메라 모듈
US20230362466A1 (en) Camera module
KR102666968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US20230236478A1 (en) Camera module
KR102352975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336704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7263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