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101A -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101A
KR20100048101A KR1020080107113A KR20080107113A KR20100048101A KR 20100048101 A KR20100048101 A KR 20100048101A KR 1020080107113 A KR1020080107113 A KR 1020080107113A KR 20080107113 A KR20080107113 A KR 20080107113A KR 20100048101 A KR20100048101 A KR 20100048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housing
adhesive
lens barrel
substr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2271B1 (ko
Inventor
박원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2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45Radiation curing adhesives, e.g. UV light cur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n integrally preformed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은, 상,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 안착되는 복수의 기판;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다단으로 렌즈가 적층 결합된 렌즈배럴;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의 배럴 삽입공의 내주면에 접착제 주입 공간인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 단차부, 접착제, 기판, 이미지센서, 렌즈배럴,

Description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렌즈배럴이 결합되는 하우징 상단에 홈을 형성하여 접착제가 주입됨에 따라 접착제가 하우징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시에는 전방의 상황은 물론 후방의 상황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데, 특히 차선의 변경이나 후진 등의 경우에는 후방 및 후방 좌·우측의 상황을 확실하게 인지한 후 차선의 변경이나 후진 등의 조작을 하여야만 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선의 주행 중 차선의 변경시나 후진 등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양 사이드 미러 또는 실내에 장착된 룸 미러를 통하여 후방이나 후방 양측의 상황을 판단한 후 후방의 차량이 적정 거리를 두고 안전한 상태에 있을 때 또는 후방의 장애물이 없다고 판단될 때 차선 변경이나 후진 등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초보자인 경우 주행 중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를 보고 후방의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미숙하여 추돌 등의 사고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후방의 장애물을 확실하게 인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전방과 후방 교통정보 및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를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전방 및 후방, 특히 후방의 사각지대 상황을 감시하여 안전 운전에 도움을 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이 일반화되고 있다.
도 1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카메라의 하우징과 렌즈배럴 간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10)은 상, 하부 하우징(11)(12)과, 상기 상, 하부 하우징(11)(12) 내에 장착되는 기판(13)과, 상기 상부 하우징(11) 상단에 결합되는 렌즈배럴(14) 및 상기 하부 하우징(12)에 장착되는 커넥터(15)로 구성된다.
상기 상, 하부 하우징(11)(12) 내부에는 중앙부에 이미지센서(16)가 실장된 기판(13)이 셋트화되어 내장되며, 상기 상, 하부 하우징(11)(12)은 러버(17)를 통해 밀봉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2)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2) 내에 내장된 기판(13)에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 기기와의 신호 전달을 위한 커넥터(15)가 결합되며, 상기 기판(13)은 커넥터(15)의 상부에 장착된 연성인쇄회로기판(18)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11)의 상부에는 내부에 다수의 렌즈(L)가 적층 결합된 렌즈배럴(14)이 장착되는 바,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렌즈배럴(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결합 부위에 액상의 접착제(20)가 도포되어 밀착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렌즈배럴(14) 체결 부위에 도포되는 접착제(20)는 하우징(11)과 렌즈배럴(14)의 고정시키는 역할 외에 상기 하우징(11)과 렌즈배럴(14)의 결합 부위로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접착제(20)는 상부 하우징(11)의 상단, 즉 상부 하우징(11)과 렌즈배럴(14)의 이격 공간에 액상으로 도포됨에 따라 접착제(20)의 과다 도포로 하우징(11)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어 외관상 미려함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14)의 외부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접착제(14)의 점도 및 도포량을 조절해야 하는 데, 접착제(14)의 도포량과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과 공정상의 어려움이 도출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용 카메라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하우징 상단에 형성된 접착제 주입홈에 접착제가 주입되어 렌즈배럴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외부로 접착제의 흘러내림이 방지되도록 하여 외관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이 제공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 안착되는 복수의 기판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다단으로 렌즈가 적층 결합된 렌즈배럴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럴 삽입공의 내주면에 접착제 주입 공간인 단차부가 형성된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이 제공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상, 하부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과 밀착 결합되어 사각함체형으로 구성되고, 하부 하우징 상단에 돌출된 돌기가 상부 하우징 하단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되어 일체를 이룬다.
또한, 상기 상, 하부 하우징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러버가 개재된다.
상기 상, 하부 하우징 내에 내장되는 기판은 하나 이상의 기판이 적층되며, 상부 기판의 중앙부에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되고, 하부 기판에는 이미지센서에서 변 환되는 화상 신호를 보정 처리하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는 외부 기기와 카메라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결합되는 바, 상기 커넥터는 상부에 연성인쇄회로기판(FPCB)가 장착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부는 하부 하우징에 안착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는 원형의 배럴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럴 삽입공을 통해 원통형의 렌즈배럴이 삽입 장착된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의 배럴 삽입공 내주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럴 삽입공을 통해 렌즈배럴이 장착된 후, 상기 배럴 삽입공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차부 내로 접착제가 주입된다.
상기 배럴 삽입공의 단차부에 주입되는 접착제는 UV 조사에 의해서 경화되는 UV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 외부로 접착제의 흘러내림이 방지되도록 하여 카메라의 외관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의 조립시 접착제의 도포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조립 속도 향상에 의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의 상기 목적에 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카메라 모듈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카메라 모듈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100)은 상, 하부 하우징(111)(112)과, 상기 상, 하부 하우징(111)(112) 내부에 안착되는 복수의 기판(120)과, 상기 상부 하우징(111) 상단에 결합되는 렌즈배럴(130)로 구성되며, 상기 렌즈배럴(130)이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11)의 상단에는 내측면에 단차부(11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하단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커넥터(140)가 장착된다.
상기 상, 하부 하우징(111)(112)은 상호 밀착 결합되어 사각함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상부로 돌출된 돌기(114)가 상부 하우징(111)의 하단에 형성된 홈부(114) 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이 밀착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 사이에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된 러버(150)가 개재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 하부 하우징(111)(112) 내 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 하우징(111)(112) 내에 안착되는 복수의 기판(120)은 상, 하부 기판(120a)(120b)이 적층되어 내장되며, 상부 기판(120a)은 중앙부에 상기 렌즈배럴(130)을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이 집광되는 이미지센서(121)가 실장되고, 하부 기판(120b)은 상기 이미지센서(121)에서 변환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고 화상을 개선하기 위한 수동소자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부품(도면 미도시)이 실장된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112)의 하부측에는 전원 공급부를 비롯한 외부 기기와 카메라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40)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140)는 중앙부에 케이블(141)이 삽입되는 케이블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기된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단자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40)는 상기 전극 단자와 일단부가 결합된 연성인쇄회로기판(142)이 장착되는 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42)은 하부 하우징(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그 저면에 밀착되거나 하부 하우징(112)의 하면에 밀착되어 타단부가 상기 하부 하우징(112) 내의 복수의 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140)는 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위치에 따라 연동되도록 주로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111)은 상단 중앙부에 원형의 배럴 삽입공(115)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 삽입공(115)을 통해 내부에 하나 이상의 렌즈(L)가 적층 결합 된 렌즈배럴(130)이 삽입된다.
상기 렌즈배럴(130)은 외부의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이 입사되어 하부의 이미지센서(121)로 입사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111) 상부에 상단이 밀착되어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111)에 형성된 배럴 삽입공(115)의 내측면에는 단차부(111a)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111a) 내로 UV 접착제(160)가 주입된다.
즉,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배럴 삽입공(115)에 원통형의 렌즈배럴(130)이 삽입되어 상기 배럴 삽입공(115)의 내측면과 렌즈배럴(130)의 외측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면, 상기 배럴 삽입공(115) 상단의 단차부(111a)에 의해서 접착제 주입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UV 접착제가 주입되도록 한다.
상기 배럴 삽입공(115)의 단차부(111a)에 주입되는 접착제(160)는 UV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1)과 렌즈배럴(130)이 밀착 결합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1)과 렌즈배럴(13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배럴 삽입공(115)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111a)에 주입되는 접착제(160)는 배럴 삽입공(115)의 내측에 주입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상부 하우징과 렌즈배럴의 상부 사이에 접착제 주입 공간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상부 하우징(111)의 상단부에 렌즈배럴(130)의 상부가 밀착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크기도 소폭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럴 삽입공(115)의 단차부(111a)에 주입되는 접착제(160)는 렌즈배럴(13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상기 배럴 삽입공(115) 내측에 주입됨으로써, 주입 용량을 관리하기가 용이할 뿐 만 아니라 접착제 주입후 상부 하우징(111)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의 외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카메라의 하우징과 렌즈배럴 간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카메라 모듈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카메라 모듈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112. 상, 하부 하우징 111a. 단차부
120. 기판 121. 이미지센서
130. 렌즈배럴 140. 커넥터
150. 러버 L. 렌즈

Claims (6)

  1. 상,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내에 안착되는 복수의 기판;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다단으로 렌즈가 적층 결합된 렌즈배럴;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의 배럴 삽입공의 내주면에 접착제 주입 공간인 단차부가 형성된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하부 하우징과 밀착 결합되어 사각함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상단에 돌출된 돌기가 상기 상부 하우징 하단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하우징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러버가 개재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 하부 기판이 적층되며, 상기 상부 기판의 중앙부에 상기 렌즈배럴을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이 집광되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하부 기판에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변환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고 화상을 개선하기 위한 수동소자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 주입되는 접착제는 UV 접착제인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삽입되고, 상기 상, 하부 하우징 내의 상기 복수의 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0080107113A 2008-10-30 2008-10-30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098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113A KR100982271B1 (ko) 2008-10-30 2008-10-30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113A KR100982271B1 (ko) 2008-10-30 2008-10-30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101A true KR20100048101A (ko) 2010-05-11
KR100982271B1 KR100982271B1 (ko) 2010-09-14

Family

ID=4227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113A KR100982271B1 (ko) 2008-10-30 2008-10-30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2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59B1 (ko) * 2010-07-06 2012-03-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3458160A (zh) * 2012-06-01 2013-12-18 A&P克里比茨株式会社 用于车辆的集成有连接器的摄像机及其制造方法
KR101444024B1 (ko) * 2013-05-15 2014-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모듈
KR20160086642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104316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US10660204B2 (en) 2016-04-14 2020-05-19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WO2023027510A1 (ko) * 2021-08-27 2023-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3027513A1 (ko) * 2021-08-27 2023-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945A1 (ko) * 2014-03-21 2015-09-2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케이블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5186B2 (ja) * 2005-05-30 2012-08-2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載カメラ構造
JP2007036393A (ja) 2005-07-22 2007-02-08 Smk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24796A (ja) * 2006-11-13 2008-05-29 Citizen Miyota Co Ltd 固体撮像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59B1 (ko) * 2010-07-06 2012-03-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3458160A (zh) * 2012-06-01 2013-12-18 A&P克里比茨株式会社 用于车辆的集成有连接器的摄像机及其制造方法
KR101444024B1 (ko) * 2013-05-15 2014-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모듈
KR20160086642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104316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KR20210091108A (ko) * 2015-02-26 2021-07-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EP3779590A1 (en) 2016-04-14 2021-02-17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US11026329B2 (en) 2016-04-14 2021-06-01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US10660204B2 (en) 2016-04-14 2020-05-19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EP4002005A1 (en) 2016-04-14 2022-05-25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US11602052B2 (en) 2016-04-14 2023-03-07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US11856697B2 (en) 2016-04-14 2023-12-26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WO2023027510A1 (ko) * 2021-08-27 2023-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3027513A1 (ko) * 2021-08-27 2023-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271B1 (ko) 201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271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US8670067B2 (en) Camera apparatus including supporting block with filling groove for adhesive agent
KR102248086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WO2011111248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10506141B2 (en) Vehicle camera with cast resin sealing
US10859785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CN111919169B (zh) 透镜模块和相机模块
CN111510591B (zh) 摄像头模块和用于车辆的摄像头
KR20130013640A (ko) 카메라 모듈
KR20160104316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US20190025674A1 (en) Holder assembly for camera module, camera module having same, and waterproof connector
US20190116298A1 (en) Camera module for vehicle
KR102489665B1 (ko)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US20200379206A1 (en) Optical device with heating element
KR20100100063A (ko) 카메라 모듈
KR100904183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CN113132595B (zh) 摄像头模块
CN107566703B (zh) 防串光罩体、摄像头模组和移动终端
KR20200037498A (ko) 카메라
KR102380310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052235A (ko) 카메라 모듈
KR102353920B1 (ko) 차량용 카메라
KR20180093486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200137690A (ko) 카메라 모듈
KR102572852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