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852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852B1
KR102572852B1 KR1020160101655A KR20160101655A KR102572852B1 KR 102572852 B1 KR102572852 B1 KR 102572852B1 KR 1020160101655 A KR1020160101655 A KR 1020160101655A KR 20160101655 A KR20160101655 A KR 20160101655A KR 102572852 B1 KR102572852 B1 KR 102572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rinted circuit
board
camera modu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590A (ko
Inventor
박제경
황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는 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서로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각각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판은, 양 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 일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초점거리 정렬이 용이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주차할 경우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자동차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경위, 사고원인 등을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상황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인식장치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스마트카, 즉 자동차의 주행시 전후방의 충돌가능성을 미리 탐지하여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충돌경고시스템, 자동차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차 간 충돌을 운전자에 운전에 의하지 않고 상기 제어장치가 직접 회피할 수 있는 충돌회피시스템 등이 장착되는 자동차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고 관련기술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카의 외부상황 인식수단으로 카메라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의 생산과 기술개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초점거리 정렬이 용이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는 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서로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각각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판은, 양 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 일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이방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방 도전성 필름은, 아크릴(acrylic) 또는 에폭시(epoxy)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부위에는 보조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조접착제는, 에폭시(epoxy) 또는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일측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기 연결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연결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 및 상기 연결기판 및 상기 도전성 접착제의 노출면에 도포되는 상기 보조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소자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3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기판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3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와 결합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의 하면과 상기 제1기판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프런트바디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기판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접착부의 일부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의 폭은 0.1mm 내지 0.3mm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기판에 광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접착부가 형성하는 곡선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의 폭은 0.1mm 내지 0.3mm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와 결합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는 기판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와 외부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제1기판; 상기 기판부는, 상기 제1기판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기판;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3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2기판 및 상기 제3기판을 각각 전지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판은, 양 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 일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고, 적어도 하나의 소자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의의 부위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회로소자, 회로배선 등이 배치되지 않는 부위에 상기 연결기판을 배치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연결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한 공정으로 상기 연결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기판에 소자를 장착함으로써 기판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연결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일체형 기판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1기판만으로 초점거리 정렬 및 액티브 얼라인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 조립공정의 시간, 비용 및 노력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부를 경화하기 위해 가열하는 동안 상기 내부공간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하면, 상기 충진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팽창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의 설계범위를 벗어나는 변경, 접착부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의 설계범위를 벗어나는 변경, 접착부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파손 등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작동불량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기판부와 펜스부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펜스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과 연결기판의 결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 기판부를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접착부를 추가한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접착부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도 접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의 관통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관통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0), 프런트바디(200)(front body), 하우징(300), 기판부(400), 케이블연결부(500), 펜스부(600), 실링부재 및 체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00)는 외부의 광이 입사하는 부위이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배럴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은 단품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렌즈가 광축방향으로 정렬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렌즈부는 렌즈배럴없이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가 프런트바디(200)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렌즈부(100)는 프런트바디(200)와 나사결합,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므로, 렌즈부(100)와 프런트바디(200)의 결합부위의 틈새로 수분, 먼지 기타 이물질의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렌즈부(100)와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결합부위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오링(O-ring)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부(1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1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200)는 상기 렌즈부(100)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전방부에 상기 렌즈부(1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바디(200)에는 상기 렌즈부(100)가 장착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200)는 하우징(300)과 결합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와 하우징(300)의 결합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기구(8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제1체결기구(810)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예로 체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런트바디(200)와 하우징(300)을 접착, 형상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하우징(300)은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전방에 상기 렌즈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300)과 렌즈부(100) 사이에 상기 프런트바디(2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프런트바디(200)와 결합하고, 카메라 모듈의 대부분의 구성부품을 수용하며 이러한 구성부품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수용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구성부품의 파손, 오작동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수분, 먼지 기타 이물질의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우징(300)의 후방에는 케이블연결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연결부(500)는 외부케이블(cable, 도 1 및 도 3 참조)과 카메라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연결부(500)는 상기 하우징(3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400)와 외부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케이블연결부(500)와 결합하는 상기 외부케이블을 통해 기판부(40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외부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는,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연결부(500)를 통해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부(400) 중 최후방에 배치되는 제3기판(4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500)는 상기 외부케이블이 상기 제3기판(412)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케이블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기판부(400)는 상기 하우징(300)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부(100)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기판부(400)는 인쇄회로기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10)은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상기 렌즈부(100)와 대향하여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3개의 인쇄회로기판(410)이 구비되었으나, 3개미만 또는 3개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은 1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의 기판부(4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5 등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펜스부(600)는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410)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410) 각각을 광축방향으로 서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1펜스(610)부(600)와 제2펜스(620)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부(6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링부재는 카메라 모듈을 실링하는 역할을 하고, 제1실링부재(710)와 제2실링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재(710)는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상기 하우징(300)의 결합부위에 배치되어, 프런트바디(200)와 하우징(300)의 결합부위의 틈새로 상기 하우징(300) 내부로 수증기, 먼지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상기 하우징(300)은 제1체결기구(810)에 의해 결합하므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300) 내부로 이물질 유입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링부재(710)를 사용하여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상기 하우징(300)의 결합부위를 실링함으로써,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2실링부재(720)는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케이블연결부(500)의 결합부위에 배치되어, 하우징(300)과 케이블 연결부의 결합부위의 틈새로 상기 하우징(300) 내부로 수증기, 먼지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실링부재(7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케이블연결부(500)는 제2체결기구(820)에 의해 결합하므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300) 내부로 이물질 유입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실링부재(720)를 사용하여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케이블연결부(500)의 결합부위를 실링함으로써,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실링부재(710)와 제2실링부재(720)는, 예를 들어, 오링(O-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기구는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1체결기구(810)와 제2체결기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기구(8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상기 하우징(3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체결기구(810)는 상기 하우징(3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프런트바디(2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제1체결기구(810)가 상기 통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도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통공, 상기 제1체결기구(810) 및 상기 도피부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제2체결기구(8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케이블연결부(50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기구(820)는 상기 케이블연결부(500)에 형성되는 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케이블연결부(5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통공 및 상기 제2체결기구(82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기구로는, 예를 들어, 나사못, 나사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결 후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체결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기판부(400)와 펜스부(600)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펜스부(600)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판부(400)와 펜스부(6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판부(400)는 상기 렌즈부(100)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410)과 연결기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인쇄회로기판(410)은 서로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은 상기 렌즈부(100)와 광축방향으로 대향하여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일 실시예로 3개의 인쇄회로기판(410)이 구비되었으나, 3개 미만 또는 3개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410)을 포함하는 기판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인쇄회로기판(410)은 제1기판(411), 제2기판(413) 및 제3기판(4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411)은 상기 프런트바디(200)에 형성되는 중공을 통해 상기 렌즈부(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기판(412)은 상기 제1기판(411)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413)은 상기 제1기판(411)과 상기 제3기판(4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기판(411), 제2기판(413) 및 제3기판(412)은 광축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411)은 상기 렌즈부(100)와 마주보도록 상기 렌즈부(10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렌즈부(100)와 마주보는 면 즉, 전면에 이미지센서(411a)가 장착될 수 있고, 기타 각종의 회로소자, 회로배선 등이 구비되는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100)를 통해 입사되는 광은 상기 이미지센서(411a)에서 센싱하고, 상기 제1기판(411)은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것은 다른 기판들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413)은 상기 제1기판(411) 및 제3기판(4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411) 및 상기 제3기판(4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413)은 상기 제1기판(411)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적 통로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제1기판(411)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기판(413)은 제1기판(411)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송하거나, 제3기판(412)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정류하여 제1기판(411)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판(413)은 제1기판(411)과 제3기판(4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판(411)과 제3기판(412)이 수행하는 역할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3기판(412)은 상기 제2기판(413)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판(4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3기판(412)은 케이블연결부(500) 및 외부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기판(412)은 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제1기판(411) 및 제2기판(413)에 보내고, 상기 제1기판(411) 및 제2기판(413)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된 이미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또는 이미지 재생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기판(412)에는 카메라 모듈의 작동에 필요한 적절한 전압 및 전류를 가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콘덴서, 정류기, 변압기 등의 소자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3기판(412)에는 외부의 이미지 저장장치, 이미지 재생장치, 카메라 모듈 제어장치 등과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연결부(500)가 결합할 수도 있다.
연결기판(420)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410)들 각각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유연(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기판(420)은 각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B2B(board to board) 커넥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기판(4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10)들 즉, 제1기판(411), 제2기판(413) 및 제3기판(412)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기판(420)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제1기판(411)과 상기 제2기판(4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기판(413)과 상기 제3기판(4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판(420)은 각 인쇄회로기판(410)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최소한 인쇄회로기판(410)들의 개수보다 하나 더 적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410)들은 제1기판(411), 제2기판(413) 및 제3기판(412)으로 총 3개로 구비되므로, 연결기판(420)은 이들보다 하나 더 적은 2개로 구비될 수 있고, 이는 연결기판(420)의 최소 개수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기판(420)이 각 기판의 측면에 1개씩 구비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각 기판의 회로구조,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고려하여 연결기판(420)의 개수, 배치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연결기판(420)은 각 기판과 결합작업이 용이한 점, 카메라 모듈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진동에 파손되지 않도록 이러한 충격, 진동을 흡수할 필요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판(420)은 일측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의 일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기판(420)은 양 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410) 일면에 도전성 접착제(PA1)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판(4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의 결합부위에는 보조접착제(PA2)가 도포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판(4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소자(9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자(900)는 예를 들어, 커패시터 등 칩형태의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소자(9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각 연결기판(420)에 1개의 소자(900)가 배치되었으나, 2개 이상의 소자(900)들이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6에서는 유연 재질의 소자(900)가 배치되어 기판부(400)가 카메라 모듈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bending)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소자(900)는 경성(rigid)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하기에 설명하는 도 10과 같이, 기판부(400)가 카메라 모듈에 조립된 상태에서의 연결기판(420)의 벤딩된 형상이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기판부(400)에는 도전성 접착제(PA1)와 보조접착제(PA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PA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10)과 상기 연결기판(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10)과 상기 연결기판(420)을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착제(PA2)는 상기 연결기판(420) 및 상기 도전성 접착제(PA1)의 노출면에 도포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10)과 상기 연결기판(4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제(PA1)와 보조접착제(PA2)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펜스부(600)는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410)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410) 각각을 광축방향으로 서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펜스(610)와 제2펜스(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펜스(610)는 상기 제1기판(411) 및 상기 제2기판(413)과 결합하여, 상기 제1기판(411) 및 상기 제2기판(413)을 광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펜스(620)는 상기 제2기판(413) 및 상기 제3기판(412)과 결합하여, 상기 제2기판(413) 및 상기 제3기판(412)을 광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펜스(610)와 제2펜스(620)는 서로 결합할 수 있고,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펜스(610)가 인쇄회로기판(410)들에 먼저 결합한 후, 상기 제2펜스(620)가 인쇄회로기판(410)들에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410)과 연결기판(420)의 결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복수의 인쇄회로기판(4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경성(rigid) 재질의 인쇄회로기판(410)과 유연(flexible) 재질의 연결기판(420)을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체형 제작의 경우, 인쇄회로기판(410)에 연결기판(420)을 적층하거나, 인쇄회로기판(410)에 프린트기법을 사용하여 연결기판(42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410) 및 연결기판(420) 일체형의 기판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 기판은 연결기판(420)과 인쇄회로기판(410)의 결합부위가 제한될 수 있고, 따라서, 연결기판(420)을 인쇄회로기판(410)의 원하는 부위에 결합시키는데 제약이 있다.
이러한 연결기판(420) 배치부위의 제약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410)의 공간활용이 제약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410)에는 연결기판(420)이 결합하는 부위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결합부위에는 다른 회로소자, 회로배선 등을 배치할 수 없으므로, 결국 인쇄회로기판(410)의 공간활용도가 줄어들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일체형 기판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인쇄회로기판(410)과 연결기판(420)의 결합공정을 순서대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간명한 설명을 위해 각 부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10은 다른 도면에 비해 단순화되거나, 과장되거나, 형상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도 7 내지 도 10이 실시예를 불명확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인쇄회로기판(41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기판(420)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기판(420)에는 소자(900)가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10)들의 양 측면부에 연결기판(420)을 배치하고, 인쇄회로기판(410)들 및/또는 연결기판(420)에 도전성 접착제(PA1)를 도포할 수 있다.
이후, 도 8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판(420)을 가압 및 가열하면, 연결기판(420)과 인쇄회로기판(410)들은 상기 도전성 접착제(PA1)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PA1)는 예를 들어, 이방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일 수 있다. 상기 ACF는 전체적으로 필름 형태로 구비되고, 도전성 입자, 예를 들어 금(AU), 니켈(Ni) 입자 등을 접착성 수지에 혼합시켜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성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acrylic) 또는 에폭시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10)과 상기 연결기판(420)의 결합부위에 ACF를 배치하고, 상기 ACF를 가압 및 가열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410)과 상기 연결기판(420)은 서로 결합하고, 도전성 입자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10)과 상기 연결기판(420)을 와이어와 땜납을 이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ACF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ACF는 별도의 와이어와 땜납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와이어와 땜납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도전성 접착제(PA1)가 ACF로 구비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410)과 연결기판(420)의 접착이 완료된 후의 상기 도전성 접착제(PA1)의 실제 두께는 매우 얇으므로, 별도의 와이어와 땜납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도전성 접착제(PA1)가 차지하는 공간은 매우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410)과 상기 연결기판(420)을 ACF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반면,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ACF를 사용하는 경우, 땜납의 용융온도보다 훨씬 낮은 접착성 수지의 용융온도가 될 정도의 가열만으로 충분하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410)과 연결기판(420)에 과도한 열이 가해지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410)과 연결기판(420)의 열손상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판(4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의 결합부위에는 보조접착제(PA2)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착제(PA2)는 상기 연결기판(4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접착제(PA2)는, 예를 들어, 에폭시(epoxy) 또는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보조접착제(PA2)는 도전성인지 비도전성인지를 불문하고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접착제(PA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10), 상기 도전성 접착제(PA1) 및 상기 연결기판(4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사기(syringe)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기판(420) 및 도전성 접착제(PA1)의 단부에 인접한 부위에 상기 보조접착제(PA2)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착제(PA2)가 경화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판(420)을 벤딩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10)들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기판(42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의 임의의 부위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의 회로소자, 회로배선 등이 배치되지 않는 부위에 상기 연결기판(420)을 배치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410)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연결기판(420)과 인쇄회로기판(410)을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한 공정으로 상기 연결기판(4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을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기판(420)에 소자(900)를 장착함으로써 기판부(400)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 기판부(400)를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 모듈에 기판부(400)를 조립하는 경우, 초점거리 정렬작업이 필요하다.
초점거리 정렬은 상기 이미지센서(411a)와 상기 렌즈부(100) 사이의 초점거리가 설계범위 내에 속하도록 하는 작업이고,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센서(411a)가 장착되는 제1기판(411)을 상기 프런트바디(200)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공정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초점거리 정렬은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 공정은 실시예에서 제1기판(411)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렌즈부(100)와 이미지센서(411a) 사이의 초점거리를 조절하거나, 제1기판(411)을 광축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서 틸트(tilt) 즉, 회전시켜 렌즈부(100)와 이미지센서(411a) 사이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공정을 말한다.
초점거리 정렬이 완료되고 프런트바디(200)와 제1기판(411)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411)은 초점거리가 정렬된 상태로 카메라 모듈에 조립완료될 수 있다.
상기 초점거리 정렬이 완료되어 상기 제1기판(411)이 배치된 후, 상기 연결기판(420)이 상기 제1기판(411) 및 상기 제2기판(413)과 결합하는 공정이 진행이 진행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1기판(411)의 조립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연결기판(420)과 제1기판(411)의 결합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연결기판(420)과 제1기판(411)의 결합공정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신속한 작업을 위해, 상기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기판(420)을 제1기판(411)과 제2기판(413)에 동시에 결합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연결기판(420)을 제2기판(413)과 제3기판(412)에 동시에 결합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한 연결기판(420)을 제1기판(411)과 제2기판(413)에 동시에 결합하는 공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연결기판(420)을 제1기판(411)과 제2기판(413), 또는 제2기판(413)과 제3기판(412)에 동시에 결합하지 않고 따로따로 연결할 수도 있다. 즉, 제1기판(411)과 연결기판(420)을 먼저 결합한 후, 상기 연결기판(420)과 상기 제2기판(413)을 결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기판(413)과 연결기판(420)을 먼저 결합한 후, 상기 연결기판(420)과 상기 제3기판(412)을 결합할 수도 있다.
제1기판(411), 제2기판(413) 및 제3기판(412)에 연결기판(420)의 결합이 완료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411), 제2기판(413) 및 제3기판(412)은 광축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정렬될 수 있다.
제1기판(411), 제2기판(413) 및 제3기판(412)의 광축방향 정렬이 완료된 후 상기 기판부(400)에 펜스부(600)가 결합하고, 나머지 부품들이 조립되어 카메라 모듈 조립공정은 완료될 수 있다.
연결기판(420)과 인쇄회로기판(4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일체형 기판의 경우, 상기 제1기판(411) 내지 제3기판(412)과 연결기판(420)이 모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초점거리 정렬공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 경우,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제1기판(411) 내지 제3기판(412)과 연결기판(420)의 결합체에 대하여 초점거리 정렬, 상기 액티브 얼라인을 진행해야 하므로, 초점거리 정렬이 매우 어렵고 복잡해지며, 따라서 카메라 모듈 조립공정의 시간, 비용 및 노력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실시예에서, 연결기판(420)과 인쇄회로기판(4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일체형 기판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1기판(411)만으로 초점거리 정렬 및 액티브 얼라인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 조립공정의 시간, 비용 및 노력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도 11에서 접착부(1000)를 추가한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접착부(1000)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도 접착부(1000)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접착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0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하면과 상기 제1기판(411)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프런트바디(200)의 하면 및 제1기판(411)의 상면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상기 제1기판(411)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1000)는 상기 제1기판(411)의 상면 또는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는 예를 들어, 자외선 및 열에 모두 반응하여 경화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한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의 관통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관통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제1기판(411)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부(1000)를 도시하였으나, 당연히, 상기 접착부(1000)는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부(1000)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기판(411)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기판(411)의 모서리 부분에는 제1체결기구(810)이 배치되는 부위에 도피용 함몰구조가 형성되고, 또한 하나의 변에 함몰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1000)는 상기 제1기판(411)의 가장자리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도핑용 함몰구조와 상기 함몰부위를 포함하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1000)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접착부(1000)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판(411)과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일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1000)의 일부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110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1100)은 상기 접착부(1000)에 형성되므로, 상기 접착부(1000)의 경화를 위해 가열하는 경우, 상기 제1기판(411)의 결합이 진행된 후, 상기 제1기판(411)과 상기 프런트바디(20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충진되고 가열로 인해 팽창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1관통홀(110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즉, 상기 제1관통홀(1100)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면, 그 중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접착부(1000)가 가열되는 경우에도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의 팽창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1기판(411)의 변형,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 변경 등이 억제될 수 있다.
제1관통홀(1100)의 폭(D1)은, 예를 들어, 0.1mm 내지 0.3mm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모듈 전체의 크기, 각 부품의 배치를 고려하여 이보다 넓거나 좁은 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4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접착부(1000)의 변 부위에 1개의 제1관통홀(1100)이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관통홀(1100)은 상기 접착부(1000)의 도피용 함몰구조 부위 또는 변에 형성된 함몰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관통홀(110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관통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관통홀의 다른 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411)에 광축방향 즉, 제1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1200)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제1기판(411)에 비아홀(via hol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제1기판(41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1000)의 경화를 위해 가열하는 경우, 상기 내부공간에 충진되고 가열로 인해 팽창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2관통홀(120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즉,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면, 그 중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접착부(1000)가 가열되는 경우에도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의 팽창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1기판(411)의 변형, 초점거리 변경 등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접착부(1000)가 형성하는 곡선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이미지센서(411a)와 접착부(10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1200)의 폭(D2)은, 예를 들어, 0.1mm 내지 0.3mm로, 더욱 적절하게는 약 0.2mm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모듈 전체의 크기, 각 부품의 배치를 고려하여 이보다 넓거나 좁은 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5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접착부(1000)의 변 부위에 근접하여 1개의 제2관통홀(1200)이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관통홀(1200)은 상기 이미지센서(411a)와 상기 접착부(1000) 사이에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관통홀(1200)의 형상은 도 15에서는 일 실시예로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되어 이미지센서(411a) 등의 부품에 흡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작동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상기 제1기판(411)의 결합이 완료된 후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은 액티브 얼라인 공정을 거치는 상기 프런트바디(200)와 상기 제1기판(411)을 접착부(1000)를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과정에서만 그 역할을 하므로, 접착부(1000)를 가열하여 경화가 완료된 후에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프런트바디(200)와 제1기판(411)의 결합이 완료된 후, 외부 이물질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예를 들어, 열 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상기한 하이브리드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부(1000)를 경화하기 위해 가열하는 동안 상기 내부공간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하면, 상기 충진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관통홀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팽창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의 설계범위를 벗어나는 변경, 접착부(1000) 또는 제1기판(411)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410)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의 설계범위를 벗어나는 변경, 접착부(1000) 또는 인쇄회로기판(410)의 파손 등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작동불량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렌즈부
200: 프런트바디
300: 하우징
400: 기판부
410: 인쇄회로기판
420: 연결기판
500: 케이블연결부
600: 펜스부
710: 제1실링부재
720: 제2실링부재
810: 제1체결기구
820: 제2체결기구
900: 소자

Claims (17)

  1.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는 기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서로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각각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3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판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제1기판의 배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1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2기판의 상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제1 연결기판;
    일측 단부가 상기 제2기판의 배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3기판의 상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제2 연결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부위에는 보조접착제가 도포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일측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기 연결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연결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 및
    상기 연결기판 및 상기 도전성 접착제의 노출면에 도포되는 상기 보조접착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와 결합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의 하면과 상기 제1기판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프런트바디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관통홀
    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기판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접착부의 일부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기판에 광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0.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와 결합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프런트바디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결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부와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는 기판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와 외부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렌즈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기판;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3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2기판 및 상기 제3기판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판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제1기판의 배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1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2기판의 상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제1 연결기판;
    일측 단부가 상기 제2기판의 배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3기판의 상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는 제2 연결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60101655A 2016-08-10 2016-08-10 카메라 모듈 KR10257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55A KR102572852B1 (ko) 2016-08-10 2016-08-10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55A KR102572852B1 (ko) 2016-08-10 2016-08-1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90A KR20180017590A (ko) 2018-02-21
KR102572852B1 true KR102572852B1 (ko) 2023-08-30

Family

ID=6152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655A KR102572852B1 (ko) 2016-08-10 2016-08-1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9238B2 (en) 2019-12-16 2022-03-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20B1 (ko) * 2007-06-29 2008-10-23 (주)에이앤아이 카메라모듈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2014030155A (ja) * 2012-07-31 2014-02-13 Sharp Corp 筐体および固体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574A (ko) * 2004-11-29 200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에 관통홀이 형성된 반도체 패키지
KR20120005704A (ko) * 2010-07-09 2012-0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48086B1 (ko) * 2014-11-14 2021-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20B1 (ko) * 2007-06-29 2008-10-23 (주)에이앤아이 카메라모듈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2014030155A (ja) * 2012-07-31 2014-02-13 Sharp Corp 筐体および固体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90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4652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用回路基板固定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13296334B (zh) 摄像机模块
KR102374766B1 (ko) 카메라 모듈, 차량용 카메라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KR102248086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427350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KR102372339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150932A (ko) 카메라 모듈
KR102572852B1 (ko) 카메라 모듈
CN113132594B (zh) 摄像头模块
US9878678B2 (en) Camera module for automobiles
KR102614745B1 (ko) 카메라 모듈
KR101943449B1 (ko) 카메라 모듈
KR102280163B1 (ko) 카메라 모듈
KR102330673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330674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545725B1 (ko) 카메라 모듈
CN116320664A (zh) 相机模块
CN117882387A (zh) 相机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