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416B1 - 차량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16B1
KR102093416B1 KR1020180036938A KR20180036938A KR102093416B1 KR 102093416 B1 KR102093416 B1 KR 102093416B1 KR 1020180036938 A KR1020180036938 A KR 1020180036938A KR 20180036938 A KR20180036938 A KR 20180036938A KR 102093416 B1 KR102093416 B1 KR 102093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ircuit board
vehicle camera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357A (ko
Inventor
김광화
이승곤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8003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41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3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labyrinth structure provided at the joi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카메라는 렌즈 홀더와 기판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1 하우징,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렌즈부, 상기 기판 장착부에 장착되고, 이미지 센서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회로 기판이 위치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은 수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CAMERA FOR MOUNTING O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봉 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사고 발생 시와 같이 주행 상황을 영상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한쪽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해당 방향의 주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이하,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차량용 카메라'라 함)는 렌즈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부, 제어 장치 등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 및 케이스(case)를 구비한다.
이러한 차량용 카메라는 일반 카메라와 달리, 차량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하므로, 차량 해당 장치와의 연결 상태가 중요하다.
특히, 진동이나 접촉 사고 등으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차량용 카메라의 전기적인 연결 관계가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회로 기판의 단자와 회로 기판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카메라는 기능상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이 차량용 카메라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부와 제어 장치 등에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이 위치한 차량용 카메라 본체 쪽으로 이러한 오염 물질이 유입되어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066294(공개일자: 2012년06월22일, 발명의 명칭: 차량용 카메라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08844(등록일자: 2006년02월08일, 고안의 명칭: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용 카메라의 결합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용 카메라의 조립 시간을 줄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과제는 차량용 카메라의 밀봉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는 렌즈 홀더와 기판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1 하우징,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렌즈부, 상기 기판 장착부에 장착되고, 이미지 센서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회로 기판이 위치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은 수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회로 기판이 수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 본체, 상기 장착홈의 내부 가장 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판이 중첩되게 위치하여 상기 결합판과 결합되는 결합턱, 및 상기 장착홈과 통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는 서로 중첩되어 있는 상기 결합판과 상기 결합턱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판은 레이저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결합턱은 레이저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는 상기 결합판과 하우징 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몰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삽입 부분과 상기 삽입 부분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고 끝단이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실장되어 있는 커넥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커넥터 본체에 커넥터를 삽입한 후 회로 기판과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회로 기판과 같은 외부 기기와의 커넥터의 연결 동작이 용이하고 정확히 이루어지므로, 커넥터의 손상이 방지된다.
특히,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 연결부와 커넥터 간의 삽입 동작을 통해 커넥터와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회로 기판과 커넥터 간의 연결 동작은 더욱더 용이하고 정확하다.
또한, 커넥터부와 제2 하우징과의 결합으로 인해, 커넥터부와 제2 하우징부 간의 결합력 및 기밀성이 향상되므로, 회로 기판 쪽으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먼지의 양이 크게 줄어든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차량용 카메라의 고장이 크게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커넥터부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커넥터부의 평면도이고, (b)는 커넥터부의 측면도이며, (c) 커넥터쪽에서 바라봤을 때의 커넥터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커넥터부에서 레이저 융착법으로 커넥터부의 결합판과 제2 하우징의 결합턱을 결합시킬 때, 레이저의 조사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레이저 융착법으로 커넥터부의 결합판과 제2 하우징의 결합턱을 결합시킬 때 카메용 카메라의 카메라 본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커넥터부에서 몰딩법으로 커넥터부의 결합판과 제2 하우징의 결합턱을 결합시킬 때, 차량용 카메라의 카메라 본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이미지 센서부(120), 회로 기판(130), 회로기판(130)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부(140), 제1 하우징(150) 및 제2 하우징(160), 그리고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170)를 구비한다.
이때, 렌즈부(110), 이미지 센서부(120), 회로 기판(130), 커넥터부(140), 제1 하우징(150) 및 제2 하우징(160)은 차량용 카메라(100)의 본체인 카메라 본체를 이루고, 이 카메라 본체는 케이블 어셈블리(170)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렌즈부(110)는 도 1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하우징(150)에 장착되어 있고, 해당 영상을 수렴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렌즈부(110)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구조의 렌즈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120)는 렌즈부(110)를 통해 수렴된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는 것으로서 렌즈부(110)를 통과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부(120)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나 CMOS(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고, 수신된 영상에 해당하는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회로 기판(120)에 실장되어 있는 해당 이미지 신호 처리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미지 센서부(120)는 회로 기판(120)과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의 용이성을 위하여 회로 기판(120)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130)은 이미지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서, 카메라(100)의 전면 쪽, 즉, 카메라(100)의 렌즈부(110)가 위치한 쪽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하우징(150)에 장착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회로 기판(130)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두 개 이상의 기판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 구조를 회로 기판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기판으로 이루어진 있는 단층 구조의 회로 기판, 또는 하나의 기판을 이용하여 기판 양면에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양면형 회로 기판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회로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130)은 이미지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케이블 어셈블리(180)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별도의 신호 처리 장치(예, 영상 표시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처리된 이미지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신호 처리 장치는 회로 기판(13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용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을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 등과 같은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130)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회로 기판(130)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부(14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커넥터 본체(141), 커넥터 본체(141)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복수 개의 커넥터(142), 커넥터 본체(141)에 연결되어 있는 결합판(143), 그리고 커넥터 연결부(144)를 구비한다.
커넥터 본체(141)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 본체(141)에는 장착되는 커넥터(142)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커넥터 본체(141)를 완전히 관통하는 복수 개의 커넥터 삽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커넥터 삽입구(1411)의 형상은 삽입되는 커넥터(142)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복수 개의 커넥터(142)는 대응되는 해당 커넥터 삽입구로 삽입되어 해당 커넥터 삽입구를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된 후 커넥터 연결부(144)에 삽입되어 회로 기판(130)에 형성되어 있는 패드(pad) 등을 통해 회로 기판(120)에 실장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부(120) 등에 연결된다.
여기서 커넥터 본체(141)는 커넥터(142)가 커넥터 삽입구(1411)에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 본체(141)는 커넥터(142)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insert mold)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경우에 따라서 커넥터 본체(141)의 커넥터 삽입구(1411)에 커넥터(142)가 이후에 조립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커넥터(142)의 개수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총 6개이고 이들 복수 개의 커넥터(142)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열에 나란히 위치한다.
본 예에서, 각 커넥터(142)의 형태는 대략'ㄱ'자 형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각 커넥터(142)는 커넥터 연결부(144)에 삽입되는 삽입 부분(예, 제1 부분)(1421) 및 제1 부분(1421)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분(예, 제2 부분)(1422)을 구비한다.
삽입 부분(1421)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커넥터 연결부(144)에 형성된 각 삽입구에 삽입되어, 회로 기판(130)의 해당 구성요소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연결 부분(1422)은 케이블 어셈블리(17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연결 부분(1422)을 통해 카메라 본체는 케이블 어셈블리(170)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결합판(143)은 커넥터 본체(141) 위에 위치하며 가운데에 사각형의 빈 홈을 구비하고 있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판(143)은 전면부는 개방되어 있고, 후면부는 후면으로 막혀 있으며, 각 커넥터(142)의 제1 부분(1421)은 후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한 것처럼, 결합판(143)은 후면에 결합되어 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어, 결합판(143)의 측면은 서로 높이가 다른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단차 구조를 갖다.
이때, 돌출부는 제2 하우징(160)과 결합될 때 걸림턱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판(143)은 제2 하우징(160)에 장착되어 제2 하우징(160)의 해당 부분과 수밀(水密)하게 결합된다. 커넥터 연결부(144)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결합판(143)을 통해 노출된 커넥터(142)의 제1 부분(1421)이 삽입된 후, 회로 기판(130)에 위치하는 해당 구성요소와 된다.
각 커넥터(142)의 제1 부분(1421)이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로 도포되어 있고, 이 도전성 물질은 커넥터 연결부(144)에 위치하는 각 단자(144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142)는 커넥터 연결부(144)로의 삽입 동작에 의해, 커넥터 연결부(144)와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넥터 연결부(144)는 표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ed technology, SMT) 등을 통해 회로 기판(130)에 장착되어 자신의 단자(1441)를 회로 기판(130)에 실장되어 있는 해당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처럼, 커넥터 본체(141)에 커넥터(142)가 삽입되어 제2 부분(1422)과 해당 기기[예, 케이블 어셈블리(180)]와의 연결 동작이 이루어지고 커넥터 연결부(144)를 통해 회로 기판(130)과의 연결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커넥터(142)와 해당 기기(180, 130)와의 연결 동작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넥터(142)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며 커넥터(142)의 손상이나 파손 등이 방지된다.
즉, 커넥터(142)가 삽입된 커넥터 본체(141)가 회로 기판(130)의 해당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지 않고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틀어지게 되면, 커넥터 본체(141)에 삽입된 커넥터(142)의 위치 역시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본 예의 경우, 인접한 커넥터(142) 간의 간격 역시 대략 3.3mm로 매우 작으며, 각 커넥터(142)의 두께는 또한 0.64mm로 매우 얇다.
따라서, 정해진 위치에서 조금이라도 각 커넥터(142)의 위치가 벗어나게 되며, 각 커넥터(142)의 위치와 케이블 어셈블리(170) 및 회로 기판(130)의 해당 삽입 위치는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142)를 케이블 어셈블리(170) 및 회로 기판(130)과 결합할 때, 커넥터(142)의 위치를 인의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런 경우, 얇은 두께의 커넥터(142)의 꺾임 동작으로 인해 커넥터(142)가 부러지거나 단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예는 케이블 어셈블리(170)와의 연결 위치 등을 고려하여 커넥터 본체(141)에 각 커넥터(142)가 삽입 및 결합되어 1차적으로 커넥터(142)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커넥터(142)와 케이블 어셈블리(170)과의 연결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블 본체(141)에 1차적으로 결합된 커넥터(142)는 커넥터 연결부(144)를 통해 회로 기판(30)과의 결합을 위해 위치가 정해지므로, 회로 기판(130)과 커넥터(142)의 결합 또한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커넥터(142)와의 연결을 위한 조립 시간이 줄어들어 차량용 카메라(100)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커넥터(142)와 회로 기판(130) 및 케이블 어셈블리(170) 간의 조립 동작에 대한 안정성과 정확성이 향상되어 커넥터(142)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차량용 카메라(100)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이러한 커넥터부(140)는 제2 하우징(160) 속으로 삽입되어 위치하며, 제2 하우징(160)과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제1 하우징(150)은 렌즈부(110)와 회로 기판(130)이 장착되는 하우징으로서, 렌즈부(110)가 장착되는 렌즈 홀더(151)와 회로 기판(130)이 장착되는 기판 장착부(152)를 구비한다.
렌즈 홀더(151)는 삽입되는 렌즈부(110)의 형태에 맞게 가운데에 렌즈부(110)가 삽입되는 렌즈 삽입구(1511)를 구비한 연통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렌즈부(110)는 렌즈 삽입구(151)로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게 제1 하우징(150)에 장착된다. 이때, 렌즈부(110)와 렌즈 삽입구(1511)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등의 접착 수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렌즈부(110)와 렌즈 삽입구(1511) 사이에는 오-링(O-ring) 등과 같은 밀봉 부재가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렌즈부(110)와 렌즈 삽입구(1511) 간의 기밀성이 좀 더 향상된다.
기판 장착부(152)은 장착되는 회로 기판(130)의 형태에 맞게 사각형의 장착홈을 갖는다.
따라서, 형성된 장착홈에 회로 기판(130)을 위치시킨 후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제1 하우징(150)에 회로 기판(1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하우징(160)은 회로 기판(130)과 결합된 커넥터부(140)가 내부에 안착되고, 그 위에 제1 하우징(150)이 위치하여 제1 하우징(150)과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 하우징(150)과 함께 형성한 내부 공간에 커넥터부(140)가 장착된 회로 기판(130)이 위치하여, 제1 및 제2 하우징(150, 160)에 의해 외부로부터 이들 구성요소(130, 140)가 보호된다.
이러한 제2 하우징(160)은 내부에 빈 공간인 장착홈(1621)을 구비하고 있고 제1 하우징(150)의 기판 장착부(152)에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161), 하우징 본체(161)의 장착홈(1621) 내에 위치하고 커넥터부(140), 즉 좀더 구체적으로는 결합판(143)이 위치하여 결합되는 결합턱(162), 그리고 연결구(1621)를 통해 하우징 본체(161)와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장착부(163)를 구비한다.
하우징 본체(161)는 결합되는 기판 장착부(152)와 동일하게 사각형의 평명 형상을 갖고 있으며, 내부에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커넥터부(14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대략 사각형의 장착홈(1621)을 구비한다.
이때, 하우징 본체(161)에 의해 에워싸여진 장착홈(1611)의 평면 크기는 회로 기판(130)의 평면 크기보다 작아, 회로 기판(130)는 장착홈(1611) 내에 위치한다.
하우징 본체(161)의 장착홈(1621) 내에 위치하는 결합턱(162)은 장착홈(162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정해진 크기로 돌출된 돌출 부분으로서, 장착홈(1621)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게 장착홈(1621)을 에워싸고 있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결합턱(162)의 외측면과 이 외측면과 인접한 하우징 본체(161)의 내측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한다.
이때, 결합턱(162)의 폭(W60)의 크기는 결합판(143)의 폭(W30)의 크기보다 작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합턱(162)에 의해, 장착홈(1621) 속에 장착되는 커넥터부(140)의 결합판(143)[즉, 결합판(143)의 돌출부]은 결합턱(162) 위에 위치한다.
커넥터 장착부(163)는 연결구(1621)를 통해서 하우징 본체(161)의 장착홈(1611)과 통해 있고 내부에 커넥터(142)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사각 기둥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커넥터부(140)를 제2 하우징(160)에 조립할 경우, 조립자는 커넥터(142)의 제2 부분(1422)을 장착홈(1611)으로 삽입한 후 연결부(1621)를 통과시켜 커넥터 장착부(163) 내에 제2 부분(1422)을 위치시키고, 결합판(143)을 결합턱(162)에 접하게 결합턱(162) 위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조립자는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결합턱(162)과 결합판(143)을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회로 기판(130)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연결부(144)에 커넥터142)의 제1 부분(1421)를 삽입하여 컨넥터부(140)에 회로 기판(130)을 연결한다.
본 예에서,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결합턱(162)과 결합판(143)을 결합시키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첫번째 방식은 레이저 융착법(laser welding)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결합판(143)은 레이저를 투과시키는 레이저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결합턱(162)은 레이저를 흡수하는 레이저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결합턱(162) 위에 결합판(143)이 위치하면, 도 4의 (a)와 같이 결합판(143) 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결합판(143)과 결합턱(162)을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레이저의 조사 위치는 결합판(143)과 결합턱(162)이 서로 중첩되어 있는 부분(L1)이다.
즉, 도 4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제2 하우징(160)의 결합턱(162)과 커넥터부(140)의 결합판(143)이 서로 중첩하고 있는 부분의 결합판(143) 위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면, 조사되는 레이저 빔은 커넥터부(140)의 결합판(143)을 투과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하우징(160)의 결합턱(162)의 해당 위치에 조사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2 하우징(160)의 결합턱(162)은 레이저 빔을 흡수하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레이저 빔이 조사된 결합턱(162)의 해당 부분에는 조사된 레이저 빔은 흡수되고, 흡수된 레이저 빔에 의해 결합턱(162)의 해당 부분은 용융되어 그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판(143)과 용융 결합된 후 경화된다.
따라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결합판(143)과 결합턱(162) 사이의 중첩 부분에는 결합턱(162)의 용융 및 경화 동작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C160)가 위치하게 된다[도 4의 (b) 참조].
이와는 달리.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결합턱(162)과 결합판(143)을 결합시키는 다른 방식으로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등과 같은 몰딩제를 이용하여 몰딩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2 하우징(160)의 결합턱(162) 위에 커넥터부(140)의 결합판(143)을 접하게 위치시킨 후, 결합판(143)과 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2 하우징(160)의 하우징 본체(161) 사이의 빈 공간에 몰딩제(예, 에폭시 수지)를 충진시킨 후 경화시켜, 결합판(143)을 결합턱(162)에 부착시킨다.
이로 인해, 도 5와 같이, 몰딩제가 충진되는 결합판(143)과 하우징 본체(161) 사이의 빈 공간에는 경화된 몰딩제(C160a)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레이저 융착법이나 몰딩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결합판(143)과 결합턱(162)가 서로 결합되므로, 공간인 커넥터 장착부(163)로부터 유입되는 회로 기판(130) 쪽으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먼지의 양이 크게 줄어든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제2 하우징(160) 내에 커넥터부(140)가 장착되어 커넥터(142)가 위치하면, 케이블 어셈블리(170)의 어셈블리 본체(171)와 제2 하우징(160)의 결합 동작에 의하여 각 커넥터(142)는 어셈블리 본체(171)에 위치한 커넥터 삽입구(1711)로 각각 삽입되어 케이블 어셈블리(170)와 커넥터부(140)간의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케이블 어셈블리(170)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커넥터(142)의 제2 부분(1422)과의 연결을 위해 제2 하우징(160)과 결합되며 커넥터 삽입구(1711)을 구비하는 어셈블리 본체(171)뿐만 아니라 삽입 동작에 의해 각 커넥터(142)과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1721)을 구비하고 있는 케이블부(17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블부(172)의 케이블을 통해 외부 기기와 본 예의 차량용 카메라(100)가 연결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 회로 기판(130)과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별도의 조립 동작을 통해 회로 기판(130)과 접하는 커넥터부(140)에 의해, 회로 기판(130과 커넥터(142) 간의 연결 구조가 간단해지고 연결 동작 역시 용이해 진다.
즉, 본 예의 경우, 각 커넥터(142)를 커넥터 본체(141)에 삽입시킨 후 회로 기판(130)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연결부(144)와의 커넥터(142) 삽입 동작에 의해 회로 기판(130)과 커넥터(142) 간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을 실시하므로, 회로 기판(130)과 커넥터(142)의 연결 동작이 용이하며 정확히 이루어진다.
또한, 커넥터부(140)의 결합판(143)과 제2 하우징(160)의 결합턱(162)의 결합 동작에 의해, 커넥터부(140)와 제2 하우징(160) 간의 결합력 및 기밀성이 향상되어, 외부로부터 카메라 본체 쪽으로 수분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거나 감소한다.
이상, 본 발명의 차량용 카메라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차량용 카메라 110: 렌즈부
120: 이미지 센서부 130: 회로 기판
140: 커넥터부 141: 커넥터 본체
142: 커넥터 1421: 삽입 부분
1422: 연결 부분 143: 결합판
144: 커넥터 연결부 150: 제1 하우징
160: 제2 하우징 161: 하우징 본체
162: 결합턱 163: 커넥터 장착부
170: 케이블 어셈블리

Claims (8)

  1. 렌즈 홀더와 기판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1 하우징;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렌즈부;
    상기 기판 장착부에 장착되고, 이미지 센서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결합판을 구비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회로 기판이 수용되는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 내부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판과 중첩되게 위치하여 상기 결합판과 결합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은 수밀하게 결합되어 있는
    차량용 카메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결합판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장착홈을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 본체; 및
    상기 장착홈과 통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착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4. 제1 항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어 있는 상기 결합판과 상기 결합턱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은 레이저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결합턱은 레이저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차량용 카메라.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과 하우징 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몰딩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7. 제2항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삽입 부분과 상기 삽입 부분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고 끝단이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8. 제7항에서,
    상기 커넥터의 삽입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실장되어 있는 커넥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KR1020180036938A 2018-03-30 2018-03-30 차량용 카메라 KR102093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38A KR102093416B1 (ko) 2018-03-30 2018-03-30 차량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38A KR102093416B1 (ko) 2018-03-30 2018-03-30 차량용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57A KR20190114357A (ko) 2019-10-10
KR102093416B1 true KR102093416B1 (ko) 2020-05-27

Family

ID=6820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938A KR102093416B1 (ko) 2018-03-30 2018-03-30 차량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4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3339A (ja) * 2011-12-05 2015-05-07 フレックストロニクス エーピー エルエルシー 2パーツ型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735737B1 (ko) * 2015-12-11 2017-05-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44Y1 (ko) 2005-11-22 2006-02-17 안병엽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KR101270265B1 (ko) 2010-12-14 2013-05-31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2489666B1 (ko) * 2016-01-12 2023-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수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3339A (ja) * 2011-12-05 2015-05-07 フレックストロニクス エーピー エルエルシー 2パーツ型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735737B1 (ko) * 2015-12-11 2017-05-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57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1277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US8670067B2 (en) Camera apparatus including supporting block with filling groove for adhesive agent
EP3018509A1 (en) Optical module, optical module mounting method, optical module-mounted circuit substrate, optical module evaluation kit system, circuit substrat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57081A1 (en) Board assembly, optical transceiver using same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on object
CN101569023A (zh) 用于光电子器件的壳体和光电子器件在壳体中的布置
KR20150131059A (ko)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및 제조 방법
US20190025674A1 (en) Holder assembly for camera module, camera module having same, and waterproof connector
KR102331863B1 (ko) 전기 커넥터의 부착구조 및 전기 커넥터 모듈의 제조방법
CN111355036B (zh) 线缆组件、线缆保持件以及线缆组件的制造方法
CN109073955B (zh) 粘合结构、拍摄装置及车载照相机
KR20100048101A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US20110149536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uxiliary member
KR102093416B1 (ko) 차량용 카메라
KR102054841B1 (ko) 차량용 카메라
US8419295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connection device
DE102011081675B4 (de) Glasfaseroptisches Sende- und/oder Empfänger-Modul, das eine geformte Abdeckung aufweist, in der ein optischer Strahlumformer integral gebildet ist
KR102054852B1 (ko) 차량용 카메라
KR20200037498A (ko) 카메라
JP4710668B2 (ja) キャパシタ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37888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JP2009200987A (ja) 撮像モジュール
KR20180052235A (ko) 카메라 모듈
JP5109087B2 (ja) 光モジュール
KR102167663B1 (ko) 카메라 모듈
KR101491598B1 (ko) 광전송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