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844Y1 -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844Y1
KR200408844Y1 KR2020050032888U KR20050032888U KR200408844Y1 KR 200408844 Y1 KR200408844 Y1 KR 200408844Y1 KR 2020050032888 U KR2020050032888 U KR 2020050032888U KR 20050032888 U KR20050032888 U KR 20050032888U KR 200408844 Y1 KR200408844 Y1 KR 200408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amera
bracket
lens part
lens
mai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엽
Original Assignee
안병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엽 filed Critical 안병엽
Priority to KR2020050032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6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rearwar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 상의 번호판 설치부에 연성의 재질로 된 브라켓을 설치하여 체결나사로서 렌즈파트의 안정적인 설치는 물론, 브라켓의 연결부 부분을 인위적으로 구부려 렌즈파트의 방향을 위치조정이 가능하며, 렌즈파트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촬영된 영상을 신호로 정보처리하도록 구성요소가 내부에 실장된 메인 콘트롤러를 경통렌즈가 설치되는 근접위치의 조명등이 위치한 그 내부측 하우징을 통과시켜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의 배면측 소정의 공간을 갖는 인너 패널 사이에 위치시켜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설치효과와 더불어 차체에 외관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함으로써, 자체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자동차, 후방 카메라, 렌즈파트, 메인 콘트롤러, 브라켓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Attachment structure of rear-view camera for automobile}
도 1은 일반적인 후방 카메라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카메라가 설치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카메라를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종래 자동차 트렁크 리드에 후방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뒷 번호판 1-2: 번호판 설치부
1-3: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
10: 후방 카메라 10-1: 렌즈파트
10-2: 메인 콘트롤러 20: 브라켓
21: 링부 22: 연결부
23: 날개부 23a: 장공
C: 케이블
본 고안은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후방측 차체 외관 샤시(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는 후방 카메라의 제공 및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방 카메라는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어 후방을 감시하는 것으로 차량의 후진시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 사람 등을 주어진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지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별도의 옵션장치이다.
자동차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후방 카메라(10)는 첨부된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력을 위한 CCD(Charge Couple Device)수광소자(1) 및 인쇄회로기판(P1)과, 렌즈(Lens)(2) 사이에 특정 대역의 파장대만 통과시켜 주는 광학 저역 필터(Optical Low Pass Filter)(3)와, 비디오신호처리를 위한 직접회로인 DSP(Digital Signal Processor)(4)와, 이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P2)이 설치되며, 메인 인쇄회로기판(P2)으로부터는 전원 콘넥터와 비디오 콘넥터가 케이블로서 연결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후방 카메라(10)의 설치는 자동차의 루프 후미측, 뒷 번호판이 설치되거나,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1-3)에 있어, 첨부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뒷 번호판(1-1)이 설치되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번호판 설치부(1-2) 의 소정위치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후방 카메라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에 따라 종래의 후방 카메라는 CCD 수광소자, 렌즈, 광학 저역 필터 및 상기 CCD 수광소자의 설치를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요소는 구비된 하나의 렌즈파트(10-1) 내에 설치되고, 상기 DSP,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하나의 직사각형의 메인 콘트롤러(10-2) 내에 실장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의 후방 카메라에 있어, 상기 렌즈파트는 영상촬영부에 속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영상정보처리부에 속하는 것으로, 이들은 구비되는 케이블(C)로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 콘트롤러(10-2)로부터 케이블(C)이 연장 설치되며, 이 케이블(C)의 종단으로부터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는 전원 콘넥터(도면에서 생략함)와 함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비디오 콘넥터(도면에서 생략함)가 각각 마련된 구조이다.
상기 렌즈파트(10-1)의 설치는 차량의 뒷 번호판(1-1)이 설치되는 번호판 설치부(1-2)에 비교적 18mm~23mm정도의 직경을 갖는 설치공(1a)을 천공한 상태에서 설치된다.
상기 렌즈파트(10-1)의 외측둘레에는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1a)의 전후측으로부터는 렌즈파트(10-1)를 잡아주기 위한 별도의 너트(N)를 대응되게 체결된다.
상기 설치공(1a)으로부터 일부 돌출되도록 한 렌즈파트(10-1)의 후방을 고정시키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10-2)는 차체의 내부측 인너 패널의 소정지점에 위치시키고, 별도로 부착부재(도면에서 생략함)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방 카메라 및 이에 따른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차체에 형성시키는 설치공으로 하여금 차제의 부식 및 비교적 큰 직경으로 천공되는 설치공은 차체의 외관미와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설치공에 한하여 관통 설치되는 렌즈파트는 후방시야에 대하여 인위적인 위치조정이 불가한 단점이 있으며, 세째, 차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콘트롤러의 안정적인 구조를 위해서는 별도의 부착수단이 제공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별도의 옵션으로 설치되는 후방 카메라에 있어,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차체의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에 손상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후방 카메라의 설치를 유용하게 설치하도록 함은 물론, 설치에 따른 방향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보다 안정적인 설치로 내부적인 구성요소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CCD 수광소자, 렌즈, 광학 저역 필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도록 된 렌즈파트와, 직접회로인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영상을 정보처리하는 메인 콘트롤러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파트는 그 외부 직경을 홀딩하는 링부와, 상기 링부로부터 연결부가 절곡 연장되면서 양측으로 분기되게 형성된 날개부와, 날개부에 장공이 형성된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후방 카메라의 렌즈파트에 부착된 브라켓은 차량의 뒷 번호판이 설치되는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로부터 함몰지게 형성된 번호판 설치부의 상부 저면 상에 부착되고, 렌즈파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설치된 케이블은 뒷 번호판 조명등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통과하여 메인 콘트롤러를 상기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의 내측이 되는 인너 패널 사이에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카메라가 설치된 트렁크 리드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카메라의 주요부분인 렌즈파트과 메인 콘트롤러를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CCD 수광소자, 렌즈, 광학 저역 필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도록 된 렌즈파트(10-1)과, 직접회로인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영상을 정보처리하는 메인 콘트롤러(10-2)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10)에 있어서, 상기 렌즈파트(10-1)는 그 외부 직경을 홀딩하는 링부(21)와, 상기 링부(21)로부터 연결부(22)가 절곡 연장되면서 양측으로 분기되게 형성된 날개부(23)와, 날개부에 장공(23a)이 형성된 브라켓(20)을 더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브라켓(20)은 연질의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연결부(22)의 절곡을 인위적으로 유연하게 구부려 렌즈파트(10-1)를 위치 조정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카메라(10)의 렌즈파트(10-1)에 부착된 브라켓(20)은 차량의 뒷 번호판(1-1)이 설치되는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1-3)로부터 함몰지게 형성된 번호판 설치부(1-2)의 상부 저면 상에 부착되고, 렌즈파트(10-1)로부터 전기적으로 설치된 케이블(C)은 뒷 번호판 조명등(L)이 설치되는 하우징(1-4)을 통과하여 메인 콘트롤러(10-2)를 상기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1-3)의 내측이 되는 인너 패널(1-3a) 사이에 수용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브라켓(20)의 부착은 첨부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장공(23a)을 통해 체결나사(S)와 너트(N)로서 체결되거나,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날개부(23)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점착성이 뛰어난 양면 접착테이프(T)를 부착하여 체결나사 없이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1은 케이블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는 비디오 콘넥터, 12는 전원 콘넥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후방 카메라(10)의 설치에 있어, 메인 콘트롤러(10-2)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비디오 콘넥터(11)와 전원 콘넥터(12)는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1-3)측 뒷 번호판(1-1)이 설치되도록 그 외관이 함몰지게 형성된 번호판 설치부(1-2)로부터 뒷 번호판(1-1)에 빛을 조사해 주기 위한 조명등(L),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도면에서 생략함)로부터 배선되는 전선들과 함께 배선된다.
상기 후방 카메라의 렌즈파트(10-1)는 제일 먼저 상기 번호판 설치부(1-2)의 상부측에 마련된 조명등(L)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렌즈파트(10-1)가 설치되는 지점은 메인 콘트롤러(10-2)와 연결된 케이블(C)의 길이를 고려하여 렌즈파트의 부착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렌즈파트의 부착은 첨부된 도 3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날개부(23)를 상기 번호판 설치부(1-2)의 상부 저면에 위치시켜 준비된 체결나사(S)를 관통 날개부(23)측 장공(23a)을 통해 체결하고, 그 반대측으로부터는 너트(N)를 체결하여 줌으로써 부착 설치한다.
또는 상기와 같은 체결나사(S)를 사용하지 않는 범위에서는 첨부된 도 4에서 도시된 부분과 같이, 상기 날개부(23)에는 날개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한 양면접착테이프(T)를 부착하는 형태로서 그 부착이 가능하다.
또는 일 예로,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T)를 부착한 상태에서 체결나사(S)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부착하는 요소 중 체결나사(S)는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1-3)상에 최소한의 체결부위만 갖도록 함으로서, 차제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한 상태로, 가령 후방 카메라의 탈거시 체결부분은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T)와 같은 경우는 차체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브라켓(20)의 링부(21)는 렌즈파트(10-1)를 홀딩하는 형태로서 상기 날개부(23)와 이어지는 연결부(22)부분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렌즈파트(10-1)의 각도를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브라켓(20)의 재질이 연질성 금속재질로 제작된 이유에서 연결부의 인위적인 굽힘 정도를 통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통상 번호판 설치부(1-2)에 있어, 정 중앙에 위치하는 뒷 번호판(1-1)을 기준으로 렌즈파트(10-1)의 위치는 그 좌우측에 설치되는 조명등 중 어느 하나의 조명등이 설치된 근접위치에 설치되므로서 상기와 같은 위치조정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명등(L)의 하우징(1-4)을 통해 차체의 내측 메인 콘트롤러(10-2)는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1-3)의 후면에 위치하는 인너 패널(1-3a) 사이에 안내되는 형태로 설치한다.
상기 메인 콘트롤러(1-2)의 설치는 직사각형체로 상기 조명등(L)을 하우징(1-4)으로부터 탈거한 상태에서 상기 인너 패널(1-3a)측으로 메인 콘트롤러(10-2)를 넘기고, 이어서 다시 조명등을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메인 콘트롤러(10-2)와 렌즈파트(10-1)와 연결되는 케이블(C)은 조명등(L)이 설치된 전면측 투명판과 하우징(1-4) 사이를 통과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카메라(10)의 렌즈파트(10-1)는 번호판 설치부(1-2)의 상부 저면에 그 체결나사(S)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T)를 이용한 간단한 부착하는 구조로서 종래의 설치공과 같은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는 범위와 내구성을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의 이상적인 설치에 유용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렌즈파트(10-1)으로부터 케이블(C)을 통해 연결되는 메인 콘트롤러(10-2)는 조명등(L)이 설치되는 하우징(1-4) 내에 안착 설치되기 때문에 렌즈파트과의 거리를 짧게 두면서도 안정적인 설치로서, 결국 상기 렌즈파트의 내부 구성요소(렌즈, CCD수광소자, 광학 저역 필터, 인쇄회로기판)의 작동과 메인 콘트롤러의 내부 구성요소(DSP, 메인 인쇄회로기판)와의 트러블(잡음, 화상의 떨림 등) 등이 디스플레이의 장애요소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설치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후방 카메라는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 상의 번호판 설치부에 연성의 재질로 된 브라켓을 이용, 체결나사로서 렌즈파트의 안정적인 설치는 물론, 브라켓의 연결부 부분을 인위적으로 구부려 렌즈파트의 방향을 위치조정이 가능하며, 렌즈파트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촬영된 영상을 신호로 정보처리하도록 구성요소가 내부에 실장된 메인 콘트롤러를 경통렌즈가 설치되는 근접위치의 조명등이 위치한 그 내부측 하우징을 통과시켜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의 배면측 소정의 공간을 갖는 인너 패널 사이에 위치시켜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설치효과와 더불어 차체에 외관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함으로써, 자체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CCD 수광소자, 렌즈, 광학 저역 필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도록 된 렌즈파트(10-1)와, 직접회로인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영상을 정보처리하는 메인 콘트롤러(10-2)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10)에 있어서,
    상기 렌즈파트(10-1)는 그 외부 직경을 홀딩하는 링부(21)와, 상기 링부(21)로부터 연결부(22)가 절곡 연장되면서 양측으로 분기되게 형성된 날개부(23)와, 날개부에 장공(23a)이 형성된 브라켓(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은 연질의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연결부(22)의 각도를 인위적으로 변환하여 렌즈파트(10-1)를 위치 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10)의 렌즈파트(10-1)에 부착된 브라켓(20)은 장공(23a)을 차량의 뒷 번호판(1-1)이 설치되는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1-3)로부터 함몰지게 형성된 번호판 설치부(1-2)의 상부 저면 상에 부착되고, 렌즈파트(10-1)로부터 전기적으로 설치된 케이블(C)은 뒷 번호판 조명등(L)이 설치 되는 하우징(1-4)을 통과하여 메인 콘트롤러(10-2)를 상기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1-3)의 내측이 되는 인너 패널(1-3a) 사이에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의 부착은 장공(23a)을 통해 체결나사(S)와 너트(N)로서 체결되거나, 상기 브라켓(20)의 날개부(23)에 동일한 면적으로 일면이 부착된 양면 접착테이프(T)로서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KR2020050032888U 2005-11-22 2005-11-22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KR200408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88U KR200408844Y1 (ko) 2005-11-22 2005-11-22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88U KR200408844Y1 (ko) 2005-11-22 2005-11-22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844Y1 true KR200408844Y1 (ko) 2006-02-17

Family

ID=4175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888U KR200408844Y1 (ko) 2005-11-22 2005-11-22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84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508A (ko) 2017-11-10 2019-05-20 (주)파트론 차량용 카메라
KR20190099854A (ko) 2018-02-20 2019-08-28 (주)파트론 차량용 카메라
KR20190114357A (ko) 2018-03-30 2019-10-10 (주)파트론 차량용 카메라
KR20210132935A (ko) * 2020-04-28 2021-11-05 주식회사 캠텍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508A (ko) 2017-11-10 2019-05-20 (주)파트론 차량용 카메라
KR20190099854A (ko) 2018-02-20 2019-08-28 (주)파트론 차량용 카메라
KR20190114357A (ko) 2018-03-30 2019-10-10 (주)파트론 차량용 카메라
KR20210132935A (ko) * 2020-04-28 2021-11-05 주식회사 캠텍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KR102430908B1 (ko) * 2020-04-28 2022-08-09 주식회사 캠텍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29070A1 (en) Rear view camera mounting on a vehicle
JP5005186B2 (ja) 車載カメラ構造
JP4718243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車載用デジタルカメラ、車載カメラ付きドアミラー
US8115856B2 (en) Camera module
KR100862104B1 (ko) 차량 탑재 카메라 구조
US20110240701A1 (en) Vehicle-mounted accessory fixture and method of mounting vehicle-mounted accessory with the fixture
CN107206937A (zh) 后视车辆照相机
TW200711466A (en) Imaging device module
KR20140018154A (ko) 차량용 미러 대체 시스템
KR20130055130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200408844Y1 (ko)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JP2014216730A (ja) 車両用室内灯ユニット
KR10235869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1453351B1 (en) Light apparatus
KR20090004094A (ko) 차량용 카메라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006780B1 (ko)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램프
JP2010224298A (ja) 撮像装置
KR20180137139A (ko) 카메라 모듈
KR102361049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JP2015501585A (ja) 自動車用の光学的手段
JP6760047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6516026B2 (ja) 撮像装置
JP5807405B2 (ja) 車両周辺撮影装置
KR20190078014A (ko) 차량에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카메라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