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854A - 차량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854A
KR20190099854A KR1020180019850A KR20180019850A KR20190099854A KR 20190099854 A KR20190099854 A KR 20190099854A KR 1020180019850 A KR1020180019850 A KR 1020180019850A KR 20180019850 A KR20180019850 A KR 20180019850A KR 20190099854 A KR20190099854 A KR 20190099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circuit board
brack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841B1 (ko
Inventor
김광화
류호민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8001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8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카메라는 렌즈 홀더와 기판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1 하우징,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렌즈부, 상기 기판 장착부에 장착되고, 이미지 센서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고 복수 개의 체결 돌기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복수 개의 체결 돌기에 각각 결합하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CAMERA FOR MOUNTING O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사고 발생 시와 같이 주행 상황을 영상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한 쪽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해당 방향의 주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이하,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차량용 카메라'라 함)는 렌즈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부, 제어 장치 등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 및 케이스(case)를 구비한다.
이러한 차량용 카메라는 일반 카메라와 달리, 차량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하므로, 차량 해당 장치와의 연결 상태가 중요하다.
특히, 진동이나 접촉 사고 등으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차량용 카메라의 전기적인 연결 관계가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회로 기판의 단자와 회로 기판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066294(공개일자: 2012년06월22일, 발명의 명칭: 차량용 카메라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08844(등록일자: 2006년02월08일, 고안의 명칭: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용 카메라의 결합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용 카메라의 조립 시간을 줄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는 렌즈 홀더와 기판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1 하우징, 상기 렌즈 홀더에 장착되는 렌즈부, 상기 기판 장착부에 장착되고, 이미지 센서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부,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고 복수 개의 체결 돌기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복수 개의 체결 돌기에 각각 결합하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가운데 빈 구멍을 구비하는 각 변에 결합부가 위치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를 갖고 있는 브라켓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단턱부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브라켓 본체로 에워쌓여져 있는 빈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각각은 가운데 부분이 체결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체결 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면 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 쪽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어 끝단이 상기 회로 기판과 접하고 있는 삽입 부분과 상기 삽입 부분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고 끝단이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삽입 부분은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의 반대면에서 상기 회로 기판과 솔더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부를 장착한 회로 기판이 수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 본체와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를 밀봉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나사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제2 하우징을 조립하는 것에 비해, 원터치 동작에 통해 브라켓과 제2 하우징의 조립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동작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브라켓의 조립 시간이 크게 줄어 든다. 또한, 별도로 나사 및 나사를 나사홈에 삽입하여 조립하기 위한 장비가 필요 없다.
제2 하우징에 나사와의 체결을 나사홈의 형성 동작이 불필요하므로,체결 수단이 불필요하므로 차량용 카메라의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이 절감된다.
더욱이, 나사에 의한 체결이 아니라 체결 돌기와 결합부 간의 원터치 동작에 의해 제2 하우징에 브라켓이 결합되므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나사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브라켓이 제2 하우징부에 안정적으로 체결되므로, 외부 충격에 무관하게 차량용 카메라의 조립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커넥터 삽입구를 통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커넥터가 납땜 동작을 통해 회로 기판과 바로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회로 기판과 커넥터의 연결 동작이 용이하며 정확히 이루어진다.
제2 하우징은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부와 결합된 회로 기판이 내부에 장착되도록 제1 하우징의 결합 동작만 이루어지므로, 제2 하우징의 결합 동작이 용이하게 진행된다.
커넥터 본체에 장착된 장착용 돌기에 의해, 회로 기판 상에 커넥터의 위치가 정확히 조정되므로, 커넥터와 외부 기기 간의 연결 동작이 용이하게 정확히 이루어지며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의 강제적인 위치 조정이 불필요하므로 커넥터의 꺾임이나 단선이 감소하거나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이미지 센서부(120), 회로 기판(130), 회로기판(130)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부(140), 제1 하우징(150) 및 제2 하우징(160), 브라켓 몸체(171)와 브라켓 몸체(171)에 연결되어 제2 하우징(160)와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결합부(172)를 구비하고 있는 브라켓(bracket)(170), 그리고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180)을 구비한다.
렌즈부(110)는 도 1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하우징(150)에 장착되어 있고, 해당 영상을 수렴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렌즈부(110)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구조의 렌즈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120)는 렌즈부(110)를 통해 수렴된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는 것으로서 렌즈부(110)를 통과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부(120)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나 CMOS(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고, 수신된 영상에 해당하는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회로 기판(120)에 실장되어 있는 해당 이미지 신호 처리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미지 센서부(120)는 회로 기판(120)과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의 용이성을 위하여 회로 기판(120)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130)은 이미지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서, 카메라(100)의 전면 쪽, 즉, 카메라(100)의 렌즈부(110)가 위치한 쪽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하우징(150)에 장착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회로 기판(130)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두 개 이상의 기판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 구조를 회로 기판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기판으로 이루어진 있는 단층 구조의 회로 기판, 또는 하나의 기판을 이용하여 기판 양면에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양면형 회로 기판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회로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130)은 이미지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케이블 어셈블리(180)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별도의 신호 처리 장치(예, 영상 표시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처리된 이미지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신호 처리 장치는 회로 기판(13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용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을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 등과 같은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130)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회로 기판(130)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부(140)는 복수의 커넥터 삽입구(1411)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본체(141), 커넥터 본체(141)의 커넥터 삽입구(1411)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커넥터(142)를 구비한다.
커넥터 본체(141)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 본체(141)에는 장착되는 커넥터(142)의 개수만큼의 커넥터 삽입구(1411)가 형성되어 있고, 각 커넥터 삽입구(1411)는 커넥터 본체(141)를 완전히 관통하고 있다.
각 커넥터 삽입구(1411)의 형상은 삽입되는 커넥터(142)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복수의 커넥터(142)는 해당 커넥터 삽입구(1411)로 삽입되어 해당 커넥터 삽입구(1411)를 관통한 후 회로 기판(130)에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패드(pad) 등과 직접 접하게 위치한 후 납땜 등의 공정을 위해 회로 기판(120)의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여기서 커넥터 본체(141)는 커넥터(142)가 커넥터 삽입구(1411)에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 본체(141)는 커넥터(142)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insert mold)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경우에 따라서 커넥터 본체(141)의 커넥터 삽입구(1411)에 커넥터(142)가 이후에 조립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 본체(141)를 관통한 각 커넥터(142)의 끝단은 회로 기판(120)과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복수의 커넥터(142)의 개수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총 6개이고, 각 커넥터(142)의 형태는 대략 'ㄱ'자 형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각 커넥터(142)는 커넥터 삽입구(1411)에 삽입되는 삽입 부분(예, 제1 부분)(1421) 및 제1 부분(1421)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분(예, 제2 부분)(1422)을 구비한다.
이때, 삽입 부분(1421)을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구(1411)의 위치에 따라 연장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도면의 커넥터 본체(141)에서 동일한 열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커넥터 삽입구(1411)에 삽입되는 커넥터(142)의 삽입 부분(1421)의 연장 길이는 모두 동일하며, 다른 열에 배열되는 커넥터 삽입구(1411)에 삽입되는 커넥터(142)의 삽입 부분(1421)의 연장 길이는 상이하다.
제1 행[즉, 케이블 어셈블리(180)에 인접한 행]에 삽입되는 커넥터(142)는 제2 행(즉, 제1 행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행)에 삽입되는 커넥터(142)의 하부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제2 행에 삽입되는 커넥터(142)의 삽입 부분(1421)의 길이가 제1 행에 삽입되는 커넥터(142)의 삽입 부분(1421)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제1 행에 삽입된 커넥터(142)와 제2 행에 삽입된 커넥터(142)는 서로 다른 높이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고 위치하여 케이블 어셈블리(180)에 안정적인 삽입 동작이 이루어진다.
연결 부분(1422)은 삽입 부분(142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부분(1422)과 회로 기판(130)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각 커넥터(142)의 연결 부분(1422)의 연장 길이는 삽입 부분(1421)의 연장 길이보다 훨씬 길어 케이블 어셈블리(180)와의 전기적인 연결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각 커넥터(142)가 삽입 위치에 대응되는 커넥터 본체(141)의 해당 커넥터 삽입구(1411)에 삽입되면, 커넥터(142)가 삽입된 커넥터 본체(141)는 회로 기판(130)의 해당 위치에 장착된다.
회로 기판(130)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상태로 커넥터 본체(141)가 위치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141)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용 돌기(1413)를 구비한다.
본 예의 경우, 커넥터 본체(141)는 도 2에 도시한 한 것처럼 자신의 하부에서 지면과 수직하게 회로 기판(130) 쪽으로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장착용 돌기(1413)를 구비한다. 이때, 두 개의 장착용 돌기(1413)는 반대편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주보게 위치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용 돌기(1413)는 커넥터 본체(141)의 하부가 아닌 측면과 같이 다른 적당한 위치에 필요한 개수만큼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본체(141)가 이러한 장착용 돌기(1413)를 구비하는 경우, 회로 기판(130)의 대응 부분에는 장착용 돌기(1413)가 삽입되는 삽입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로 기판(130)에 형성된 삽입홈에 커넥터 본체(141)의 장착용 돌기(1413)가 삽입되도록 위치시키므로, 회로 기판(130)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상태로 커넥터 본체(141)의 장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 본체(141)의 장착 시 커넥터(142)와 연결되는 해당 기기[예, 케이블 어셈블리(180)]와의 연결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져 조립 시간이 단축되며 커넥터(142)의 손상이나 파손 등이 방지된다.
즉, 커넥터(142)가 삽입된 커넥터부(140)가 회로기판(130)의 해당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지 않고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틀어지게 되면, 커넥터 본체(141)에 삽입된 커넥터(142)의 위치가 역시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본 예의 경우, 커넥터부(140)의 크기가 대략 15mm × 7mm (가로 × 세로)의 크기를 갖고 있고, 인접한 커넥터(142) 간의 간격 역시 대략 3.3mm로 매우 작다.
또한, 각 커넥터(142)의 두께는 0.64mm로 매우 얇다.
따라서, 정해진 위치에서 조금이라도 각 커넥터(142)의 위치가 벗어나게 되며, 케이블 어셈블리(180)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구(171)로의 삽입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142)를 케이블 어셈블리(180)의 커넥터 삽입구(171)로 삽입할 때, 커넥터(142)의 위치를 인의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럴 경우, 얇은 두께의 커넥터(142)의 꺾임 동작으로 인해 커넥터(142)가 부러지거나 단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예는 회로 기판(130)에 커넥터부(140)가 장착되어야 하는 위치와 회로 기판(130)에서의 장착 깊이에 맞게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삽입홈에 장착용 돌기(1413)를 삽입하면 정확한 위치에 커넥터부(140)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커넥터부(140)의 커넥터 본체(141)에 삽입된 각 커넥터(142)는 오차 범위 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높이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어셈블리(180)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구(1811) 각각에 대응되게 커넥터(142)가 위치하여 커넥터(142)의 외부에서의 무리한 위치 변경없이 커넥터 삽입구(1811)로의 커넥터 삽입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삽입 동작이 커넥터(142)가 부러지거나 꺾이는 현상이 감소되거나 방지된다.
또한, 커넥터(142)를 회로 기판(120)과 직접 연결시키므로, 회로 기판(120)과 커넥터(142)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동작이 간단해 지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조립 시간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때, 커넥터 본체(141)에 의해 각 커넥터(142)의 위치가 안정화되므로 커넥터(142)의 회로 기판(120)의 조립 동작의 안정성과 정확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커넥터부(140)의 구조에 의해 각 커넥터(141)의 일단[즉, 삽입 부분(1411)의 끝단]은 회로 기판(130)과 직접 솔더를 이용한 남땜을 통해 접해 있고, 커넥터(141)의 타단[즉, 연결 부분(1412)의 끝단]은 케이블 어셈블리(180)와 직접 접해 있다.
제1 하우징(150)은 렌즈부(110)와 회로 기판(130)이 장착되는 하우징으로서, 렌즈부(110)가 장착되는 렌즈 홀더(151), 회로 기판(130)이 장착되는 기판 장착부(152) 및 브라켓(170)과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173)를 구비한다.
렌즈 홀더(151)는 삽입되는 렌즈부(110)의 형태에 맞게 가운데에 렌즈부(110)가 삽입되는 렌즈 삽입구(1511)를 구비한 연통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렌즈부(110)는 렌즈 삽입구(151)로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게 제1 하우징(150)에 장착된다. 이때, 렌즈부(110)와 렌즈 삽입구(1511)는 에폭시 등의 접착수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기판 장착부(152)은 장착되는 회로 기판(130)의 형태에 맞게 사각형의 장착홈을 갖는다.
따라서, 형성된 장착홈에 회로 기판(130)을 위치시킨 후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제1 하우징(150)에 회로 기판(1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하우징(150)은 몸체부(152)로부터 렌즈부(11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53)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153)로부터 몸체부(125)의 상부면 위치와 돌출부(153)의 상부면 위치는 서로 상이하여, 위치가 상이한 두 상부면에 의해 단턱부(1531)가 형성된다.
단턱부(1531)는 브라켓 몸체(171)가 맞닿아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몸체(171)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내부에 돌출부(153)가 삽입되도록 하여 단턱부(1531)와 결합된다.
제2 하우징(160)은 렌즈부(110)와 커넥터부(140)가 장착된 회로 기판(130)을 구비한 제1 하우징(150)과 결합하여, 제1 하우징(150)과 함께 형성한 내부 공간에 커넥터부(140)가 장착된 회로 기판(13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하우징(160)은 제1 하우징(150)의 기판 장착부(152)에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161), 하우징 본체(161)와 도통하게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장착부(162) 및 브라켓(170)의 각 결합부(172)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 돌기(163)를 구비한다.
하우징 본체(161)는 결합되는 기판 장착부(152)와 동일하게 사각형의 내부 공간인 장착홈(1611)을 갖는 것으로서, 사각형의 내부 공간(1611) 내에 커넥터부(140)가 장착된 회로 기판(140)이 위치한다.
커넥터 장착부(162)는 연결구(1621)를 통해서 하우징 본체(161)의 장착홈(1611)과 통해 있고 내부에 커넥터(142)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사각 기둥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회로 기판(130)에서부터 제2 하우징(16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부(140)는 연결구(1621)를 통과하여 커넥터 장착부(162) 내부로 위치하게 된다.
커넥터 장착부(162) 내에 커넥터(142)가 위치하면, 케이블 어셈블리(180)의 어셈블리 본체(181)와 제2 하우징(160)의 결합 동작에 의하여 각 커넥터(142)는 어셈블리 본체(181)에 위치한 커넥터 삽입구(1811)로 각각 삽입되어 케이블 어셈블리(180)와 커넥터부(140)간의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을 구현한다.
복수 개의 체결 돌기(163)은 하우징 본체(161)의 각 변의 해당 위치, 예를 들어, 전면 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갖고 있다.
이러한 체결 돌기(163)의 두께는 전면 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하우징 본체(161)의 후면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므로,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삼각형의 체결 돌기(163)에 의해, 각 체결 돌기(163)와 체결된 브라켓(170)의 결합부(172)의 체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각 체결 돌기(163)는 브라켓(170)의 각 결합부(172)와 결합되어, 제2 하우징(160)에 브라켓(170)이 체결되도록 한다.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의 사이에는 가스켓(gasket)(164)이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가스켓(190)은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이 맞닿는 부분의 사이에 위치한다. 가스켓(190)은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 엘라스토머(elastomer) 등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이 서로 밀착되도록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가스켓(190)은 수축되면서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에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가스켓(190에 의해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 사이는 밀봉되게 된다.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 사이는 수밀(水密)하게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17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2 하우징(160)에 체결되어, 제2 하우징(160)의 위치를 안정하게 고정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차량용 카메라(10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브라켓(170)은 브라켓 본체(171)와 브라켓 본체(171)의 각 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결합부(172)를 구비한다.
브라켓 본체(171)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가운데 부분에 사각형의 빈 공간(1711)을 갖고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ring) 형태를 갖고 있다. 브라켓 본체(171)가 형성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은 제1 하우징(150)의 단턱부(1531) 부분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몸체(172)는 자신으로 에워싸여진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내부 공간, 즉 링 내부에 제1 하우징(150)의 돌출부(153)가 삽입되어 브라켓 몸체(172)이 해당 면[즉, 제1 하우징(150)과 인접한 면]은 단턱부(1531)과 접하게 결합된다.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결합부(172)는 브라켓 본체(171)의 각 변의 전면 가장자리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며, 브라켓 본체(171)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에서 후면 쪽으로, 즉, 제2 하우징(160) 쪽으로 굽어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날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결합부(172)는 가운데 부분이 정해진 형태로 뚫려져 형성된 돌기 삽입구(1721)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 하우징(160)에 위치한 각 체결 돌기(163)는 대응하는 돌기 삽입구(1721)로 삽입되어 결합부(172)에 의한 체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172)는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대응하는 체결 돌기(163)와의 체결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이 브라켓(170)에 의해 결합되면,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은 가스켓(190)의 수축 전 두께 보다 가깝게 밀착되게 된다. 브라켓(170)은 이와 같이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이 바람직한 거리로 밀착되도록 브라켓 몸체(171)와 결합부(172)의 이격 거리가 적절하게 형성된다.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이 브라켓(170)에 의해 결합되어 바람직한 거리로 밀착되면, 가스켓(190)은 수축되면서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에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170)의 결합부(172)에 의해, 브라켓(170)을 제2 하우징(160)에 결합시킬 때, 작업자는 별도의 작업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수동으로 결합부(172)의 돌기 삽입구(1721)에 체결 돌기(163)를 삽입하여, 브라켓(170)을 제2 하우징(160)과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 돌기(163)의 외부면은 아래쪽을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이므로, 결합부(172)는 돌기 삽입구(1721) 속에 체결 돌기(163)가 삽입될 때까지 체결 돌기(16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체결 돌기(163)에 삽입된 각 결합부(172)는 체결 돌기(163)의 삼각형의 하부면에 의한 걸림턱 역할에 의해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체결 시의 반대 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이 인가되기 전까지 안정하게 체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나사를 이용하여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을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브라켓(170)을 이용하여 제1 하우징(150)과 제2 하우징(160)을 결합하는 동작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예의 경우, 체결을 나사와 나사가 삽입되어 체결 동작이 이루어지는 나사홈의 형성 동작이 불필요하므로, 차량용 카메라(100)의 제조 시간이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케이블 어셈블리(180)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커넥터(142)와의 연결을 위해 제2 하우징(160)과 결합되며, 커넥터 삽입구(1811)을 구비하는 어셈블리 본체(181)뿐만 아니라 삽입 동작에 의해 각 커넥터(142)과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1821)을 구비하고 있는 케이블부(18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블부(182)의 케이블을 통해 외부 기기와 본 예의 차량용 카메라(100)가 연결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 회로 기판(130)과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별도의 조립 동작을 통해 회로 기판(130)과 접하는 커넥터부(140)에 의해 회로 기판(130과 커넥터(142)의 연결 구조가 간단해지고 연결 동작 역시 용이해 진다.
즉, 본 예의 경우, 각 커넥터(142)를 커넥터 삽입구(1411)를 통해 커넥터 본체(141)에 삽입시킨 후 납땜 동작을 통해 회로 기판(130)과 커넥터(142) 간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을 바로 시키므로, 회로 기판(130)과 커넥터(142)의 연결 동작이 용이하며 정확히 이루어진다.
또한, 제2 하우징(160)은 하부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130), 즉 커넥터부(140)과 결합된 회로 기판(130)이 내부에 장착되도록 제1 하우징(150)의 결합 동작만 이루어지므로, 제2 하우징(160)의 결합 동작이 용이하게 진행된다.
즉, 본 예의 경우, 제2 하우징(160)에 커넥터(142)와의 결합을 위한 추가적인 결합 구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2 하우징(160)의 구조가 간단하고, 추가적인 결합 구조와 커넥터(142)와의 결합을 위한 동작이 생략되므로 제2 하우징(160)의 조립 시간은 더욱 단축된다.
이상, 본 발명의 차량용 카메라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차량용 카메라 110: 렌즈부
120: 이미지 센서부 130: 회로 기판
140: 커넥터부 141: 커넥터 본체
1411: 커넥터 삽입구 1413: 장착용 돌기
142: 커넥터 1421: 삽입 부분
1422: 연결 부분 150: 제1 하우징
153: 돌출부 1531: 단턱부
160: 제2 하우징 161: 하우징 본체
162: 커넥터 장착부 163: 체결 돌기
170: 브라켓 171: 브라켓 몸체
172: 결합부 180: 케이블 어셈블리
190: 가스켓

Claims (10)

  1. 기판 장착부에 장착되고, 이미지 센서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부;
    제1 하우징과 결합되고 복수 개의 체결 돌기를 구비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복수 개의 체결 돌기에 각각 결합하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브라켓
    을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2. 제1항에서,
    상기 브라켓은 가운데 빈 구멍을 구비하는 각 변에 결합부가 위치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를 갖고 있는 브라켓 본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3. 제2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단턱부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차량용 카메라.
  4. 제3항에서,
    상기 단턱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브라켓 본체로 에워싸여진 빈 공간에 삽입되는 차량용 카메라.
  5. 제2항에서,
    상기 결합부 각각은,
    가운데 부분이 체결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카메라.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 개의 체결 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면 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차량용 카메라.
  7. 제1항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어 끝단이 상기 회로 기판과 접하고 있는 삽입 부분과 상기 삽입 부분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고 끝단이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8. 제7항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삽입 부분은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의 반대면에서 상기 회로 기판과 솔더에 의해 결합되는 차량용 카메라.
  9. 제1항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부를 장착한 회로 기판이 수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 본체와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를 밀봉하는 가스켓
    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KR1020180019850A 2018-02-20 2018-02-20 차량용 카메라 KR10205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50A KR102054841B1 (ko) 2018-02-20 2018-02-20 차량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50A KR102054841B1 (ko) 2018-02-20 2018-02-20 차량용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854A true KR20190099854A (ko) 2019-08-28
KR102054841B1 KR102054841B1 (ko) 2020-01-22

Family

ID=6777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850A KR102054841B1 (ko) 2018-02-20 2018-02-20 차량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872A1 (ko) * 2021-11-18 2023-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5160B (zh) * 2020-03-26 2021-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44Y1 (ko) 2005-11-22 2006-02-17 안병엽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KR20060125569A (ko) * 2005-05-30 2006-12-06 프라임테크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유닛, 차량 탑재용 디지털 카메라, 차량 탑재카메라 부착 도어 미러
KR20080003678U (ko) * 2007-02-28 2008-09-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변형방지구
KR20100109540A (ko) * 2010-09-20 2010-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120066294A (ko) 2010-12-14 2012-06-22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160137330A (ko) * 2015-05-20 201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569A (ko) * 2005-05-30 2006-12-06 프라임테크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유닛, 차량 탑재용 디지털 카메라, 차량 탑재카메라 부착 도어 미러
KR200408844Y1 (ko) 2005-11-22 2006-02-17 안병엽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KR20080003678U (ko) * 2007-02-28 2008-09-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변형방지구
KR20100109540A (ko) * 2010-09-20 2010-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120066294A (ko) 2010-12-14 2012-06-22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160137330A (ko) * 2015-05-20 201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872A1 (ko) * 2021-11-18 2023-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841B1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604B1 (ko) 카메라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108604746B (zh) 基板连接器
JPH07297418A (ja) 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
US7626127B2 (en) Shield structure
US20080180931A1 (en) Structure of mounting shield cover and display device
KR20140067903A (ko) 부품 모듈과 상대측 커넥터 및 부품 모듈과 상대측 커넥터와의 접속 구조
US9312623B2 (en)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KR102054841B1 (ko) 차량용 카메라
JPH11252416A (ja) 固体撮像素子の取付方法
US20120276757A1 (en) Shield and circuit board module having the same
JP2005210628A (ja) 撮像装置用半導体搭載用基板と撮像装置
KR102054852B1 (ko) 차량용 카메라
US10541485B2 (en) On-board diagnostic system and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825401B2 (en) Connector with a biasing elastic member
US10690905B2 (en) Imaging module, endosco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maging module
KR102093416B1 (ko) 차량용 카메라
US20170164491A1 (en) Surface Mounted Fastener
US10397454B2 (en) Multipolarized signal terminal connector for accessory, accessory shoe device, image pickup apparatus, and accessory
US804437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 interrupter including a positioning member with at least one positioning pin integrally provided with a connecting part, and photo interrupter manufactured thereby
KR20210042622A (ko) 기판용 커넥터의 터미널 구조
JP4362458B2 (ja) 基板保持構造および、その構造で保持された基板を有する電子機器
US20230411905A1 (en) Connector device
CN107643642B (zh) 相机组件及移动终端
JP2018078239A (ja) スペーサー
JP5236256B2 (ja) 対のリード線短絡防止キャップおよび配線連結部短絡防止カバーからなる短絡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