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139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139A
KR20180137139A KR1020170076381A KR20170076381A KR20180137139A KR 20180137139 A KR20180137139 A KR 20180137139A KR 1020170076381 A KR1020170076381 A KR 1020170076381A KR 20170076381 A KR20170076381 A KR 20170076381A KR 20180137139 A KR20180137139 A KR 20180137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front body
substrate
barre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685B1 (ko
Inventor
한상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6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에 배치되는 배럴; 상기 배럴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프론트 바디와 결합되는 리어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프론트 바디에 배치되는 적외선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바디는 상기 적외선 감지 유닛이 배치되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럴은 상기 프론트 바디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는 상기 배럴의 외주면과 상기 프론트 바디의 제1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 블랙박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야간에 피사체를 사진으로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 모드를 적용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는 적외선 감지유닛이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1홀 및 2홀이 배치된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기 1홀에 배치되는 배럴; 상기 배럴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프론트 바디와 결합되는 리어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렌즈와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프론트 바디의 제2홀에 배치되는 적외선 감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감지 유닛은 상기 제2홀에 결합되는 적외선 LED 기판; 상기 제2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적외선 LED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LED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LED 기판에 적외선 LED 램프와 조도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커버 전면부, 상기 커버 전면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커버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전면부에는 상기 적외선 LED 램프와 조도센서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측면부는 상기 제2홀과 결합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LED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홀은 상기 적외선 LED 기판이 수용되는 기판 수용부, 상기 기판 수용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복수의 후크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배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1홀 및 2홀이 배치된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기 1홀에 배치되는 배럴; 상기 배럴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프론트 바디와 결합되는 리어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렌즈와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프론트 바디의 제2홀에 배치되는 적외선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적외선 카메라 모드로 전환되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야간촬영시 피사체를 명확히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카메라 모듈은 차량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차량의 전방 카메라, 측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및 블랙박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300), 배럴(200) 및 프론트 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300), 배럴(200) 및 프론트 바디(1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렌즈(300), 배럴(200) 및 프론트 바디(100)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 비교예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렌즈(300), 배럴(200) 및 프론트 바디(100) 사이의 추가적인 실링(sealing) 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렌즈(300), 배럴(200) 및 프론트 바디(100) 중 어느 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는 렌즈(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는 복수의 렌즈(3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300)는 배럴(2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300)는 배럴(200)에 수용될 수 있다. 렌즈(3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렌즈(300)는 이미지 센서(510)와 얼라인먼트될 수 있다. 즉, 렌즈(300)의 광축과 이미지 센서(510)의 광축은 일치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는 렌즈(3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IR filter, Infrared Ray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 는 배럴(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200)은 프론트 바디(100)에 배치될 수 있다. 배럴(200)은 내부에 렌즈(300)를 수용할 수 있다. 배럴(200)의 내주면은 복수의 렌즈(300)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에는 배럴(200)이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는 리어 바디(400)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는 프론트 기판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바디(100)와 배럴(200)은 일체로 형성되므로 프론트 기판이 배럴(200)과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배럴(200)은 프런트 바디(100)의 피사체와 대향하는 전면(이하에서 “제1면”으로 호칭할 수 있다)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는 적외선 감지 유닛(600)와 제2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0)의 제1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배럴(200) 외주면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리브(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10)는 프론트 바디(100)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다. 복수의 리브(110)는 배럴(200) 외주면을 기준으로 상호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칭으로 배치된 복수의 리브(110) 중 어느 일측을 제1방열부, 그리고 타측을 제2방열부로 호칭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10)는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방열부에는 3개의 리브(110), 제2방열부에는 3개의 리브(110)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10)는 모따기 방식으로 모서리부가 절단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0)는 제2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홀(120)는 프론트 바디(100)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홀(120)의 한 일측면이 프론트 바디(100)의 일측면이 될 수 있다. 제2홀(120)은 기판 수용부(121), 기판 수용부(121)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홀(120)는 기판 수용부(121), 기판 수용부(12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면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수용부(121)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수용부(121)와 수직하게 절곡된 한 쌍의 측면부(122)는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후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123)는 후술할 적외선 감지 유닛(600)의 커버(620)에 형성된 홈(624)과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624)이 후크(123)에 결합되었으나, 홈은 홀(hole)이 될 수도 있다.
프론트 바디(100)의 제2홀(120)에는 적외선 감지 유닛(600)이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감지 유닛(600)은 적외선 LED 기판(610), 방열패드(630) 및 커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감지 유닛(600)은 적외선 LED 기판(61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LED 기판(610)에는 조도센서(612) 및 적외선 LED 램프(611)가 배치될 수 있다. 조도센서(612)는 외부의 빛을 감지하여 카메라 모듈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외부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가시광선 파장대의 빛에서는 가시광선 카메라 모드를 작동시켜 구동시킬 수 있다. 반면, 가시광선 파장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적외선 카메라 모드를 작동시켜 구동시킬 수 있다. 적외선 LED 램프(611)는 조도센서(612)가 적외선 카메라 모드를 작동시키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어 야간촬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적외선 LED 램프(611)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640)가 결합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640)는 적외선 LED 램프(611)에서 방출되는 LED 빛으로부터 상기 조도센서(612)가 받을 간섭을 막을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640)는 적외선 LED 램프(611)를 수용하기 위해 적외선 LED 램프(611)의 외주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적외선 LED 램프(611)와 결합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640)는 커버(620)에 결합될 수 있다. 적외선 LED 기판(610)은 비투비(B to B) 커텍터 또는 ZIF 커넥터(700)로 이미지 센서(510)가 실장된 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적외선 LED 기판(610)은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커넥터(700)는 연결부(701)와 연결단자(70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LED 기판(610)은 양쪽 끝에 홀이 배치되어 있으며, 홀은 기판 수용부(121)에 적외선 LED 기판(610)을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적외선 감지 유닛(600)은 방열패드(6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패드(630)는 적외선 LED 기판(610)과 후술할 커버(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패드(630)는 적외선 LED 기판(610)에 결합될 수 있다. 방열패드(630)는 커버(620)에 결합될 수 있다.
적외선 감지 유닛(600)은 커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620)는 커버 전면부(621) 및 커버 측면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전면부(621)는 적외선 LED 기판(610)에 결합된 적외선 LED 램프(611) 및 조도센서(612)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2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623)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623)는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623)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는 내부 빛 산란을 막기 위해 부식 처리를 할 수 있다. 커버 측면부(622)는 제2홀(120)의 측면부(122)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123)와 결합되는 복수의 홈(6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123)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시 필요할 수 있는 스크류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조립성 개선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가스켓(8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800)은 프론트 바디(100)와 기판(50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가스켓(800)의 중심부는 적어도 기판(500)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 넓이를 가지는 가스켓 개구부(80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기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은 렌즈(300)에서 생성된 광학적 영상을 전기적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제1회로기판, 제1회로기판(501)에서 변환된 전기적 영상을 처리하는 제2회로기판(502), 제1회로기판(501) 및 제2회로기판(502) 및 렌즈(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3회로기판(5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회로기판(501, 502, 503)는 연성기판(미도시)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성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501)은 광학적 영상을 전기적 영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회로기판(502)은 제1회로기판(501)에서 변환된 전기적 영상을 처리하기 위하여 ISP chip(Image SignalProcessor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ISP는 이미지센서가 영상을 인식하면 이를 디지털화하고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3회로기판(503)은 카메라 모듈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달하는 케이블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부(900)는 기판(5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기판(50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중공 형상일 수 있는데, 적어도 기판(500) 의 단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쉴드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400)는 리어 바디(4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바디 하우징, 리어 바디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며, 기판(500), 기판(5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쉴드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리어 바디 개구부, 리어 바디(400)와 프론트 바디(100)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하기 위해 결합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리어 바디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400)와 프론트 바디(100)의 결합 관계 또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일 뿐, 사용자에 의해 결합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케이블은 피복 부재 및 피복 부재에 감싸인 플랙시블 배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복 부재는 절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플랙시블 배선(950)은, 예를 들어, 여러 가닥의 전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플래시블 배선(950)을 통해 회로기판(5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이미지 센서(510)로 전원 인가, 제어 신호 인가 및 이미지 센서(510)가 접속된 회로기판(500)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플랙시블 배선(950)의 단부에는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는 회로기판(500)에 형성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플랙시블 배선은 커넥터 없이 회로기판(500)에 형성된 단자에 직접 접속되어도 무방하다.
케이블 고정 부재는 케이블이 하우징의 케이블 고정 몸체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케이블 고정 부재는 케이블이 외력에 의하여 하우징 몸체의 수납 공간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리어 바디(400)는 커넥터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을 통해 커넥터와 통과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는 안에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은 커넥터의 직경과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넥터 출부는 커넥터를 파지 및/또는 고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프론트 바디(100) 와 프론트 기판을 고정할 수 있다. 접착제는 프론트 바디(100)의 내부 돌출부와 프론트 기판의 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300)와 이미지 센서(510) 사이의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접착제의 가경화 상태에서 렌즈(300)와 이미지 센서(510)의 광축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고 접착제의 본경화를 진행할 수 있다. 접착제는 열 및/또는 자외선(UV)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1)는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사이드 미러(7) 및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는 자동차(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도어(3)에는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바디(2)의 전방에는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의 후방에는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후방을 조명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은 자동차(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을 "차량용 카메라"로 호칭할 수 있다.
바디(2)의 측부 또는 하나 이상의 도어(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카메라 모듈(1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은 바디(2)의 전방 후방 측방 및 1 이상의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바디(2)의 전방부(그릴, 앰블렘, 범퍼 등), 바디(2)의 측부(사이드 아우터 또는 가니쉬 등), 바디(2)의 후방부(트렁크, 앰블렘, 가니쉬, 범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도어(3)에 결합된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1)의 사이드 미러(7)는 카메라 모듈(1000)로 대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자동차(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10)은 자동차(1)의 내부를 촬영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각종 구동 신호와 제어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영상 신호를 받아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 제어 유닛(ECU)에 의해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자동차(1)에 전장 부품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에 존재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내부 공간(룸, room)이 형성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의 센터페시아(미도시)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이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론트 바디 200: 배럴
300: 렌즈 400: 리어 바디
500: 기판 600: 적외선 감지 유닛
700: 커넥터 800: 가스켓

Claims (10)

1홀 및 2홀이 배치된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기 1홀에 배치되는 배럴;
상기 배럴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프론트 바디와 결합되는 리어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렌즈와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프론트 바디의 제2홀에 배치되는 적외선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감지 유닛은
상기 제2홀에 결합되는 적외선 LED 기판;
상기 제2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적외선 LED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패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LED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LED 기판에 적외선 LED 램프와 조도센서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커버 전면부, 상기 커버 전면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커버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전면부에는 상기 적외선 LED 램프와 조도센서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측면부는 상기 제2홀과 결합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LED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은 상기 적외선 LED 기판이 수용되는 기판 수용부, 상기 기판 수용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복수의 후크가 돌출된 카메라 모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은 상기 프론트 바디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는 상기 배럴의 외주면과 상기 프론트 바디의 제1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배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디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1홀 및 2홀이 배치된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기 1홀에 배치되는 배럴;
상기 배럴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프론트 바디와 결합되는 리어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렌즈와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프론트 바디의 제2홀에 배치되는 적외선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076381A 2017-06-16 2017-06-16 카메라 모듈 KR102345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381A KR102345685B1 (ko) 2017-06-16 2017-06-16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381A KR102345685B1 (ko) 2017-06-16 2017-06-1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139A true KR20180137139A (ko) 2018-12-27
KR102345685B1 KR102345685B1 (ko) 2021-12-31

Family

ID=6495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381A KR102345685B1 (ko) 2017-06-16 2017-06-16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6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872A1 (ko) * 2021-11-18 2023-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4063615A1 (ko) * 2022-09-23 2024-03-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4455A (ja) * 2008-01-09 2009-07-23 Fujifilm Corp 電子機器用筐体
KR20120003036A (ko) * 2010-07-02 2012-01-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179972B1 (ko) * 2012-02-01 2012-09-07 (주)와이솔 적외선 투광기 일체형 적외선 카메라
KR20140095407A (ko) * 2013-01-24 2014-08-01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감시카메라, 감시카메라를 이용하는 감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33002A (ko) * 2013-05-09 2014-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4455A (ja) * 2008-01-09 2009-07-23 Fujifilm Corp 電子機器用筐体
KR20120003036A (ko) * 2010-07-02 2012-01-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179972B1 (ko) * 2012-02-01 2012-09-07 (주)와이솔 적외선 투광기 일체형 적외선 카메라
KR20140095407A (ko) * 2013-01-24 2014-08-01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감시카메라, 감시카메라를 이용하는 감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33002A (ko) * 2013-05-09 2014-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872A1 (ko) * 2021-11-18 2023-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4063615A1 (ko) * 2022-09-23 2024-03-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685B1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410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27134A (ko) 카메라 모듈
KR100851685B1 (ko) 차량 탑재 카메라 구조
CN109076150B (zh) 相机模块和车辆
US10848649B2 (en) Imaging device having heat radiation structure
KR10235869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180137139A (ko) 카메라 모듈
US20200189451A1 (en) Puddle lamp with static and dynamic image projection
KR20110045725A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KR102505950B1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CN110603807B (zh) 相机模块及车辆
JP2008070790A (ja) 撮像装置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0408844Y1 (ko)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의 설치구조
KR102006780B1 (ko)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램프
KR102361049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345684B1 (ko) 촬영 장치 및 자동차
JP2001197337A (ja) 車載用カメラ装置
JP5598135B2 (ja) 撮像装置
KR20190017388A (ko) 차량용 카메라
KR102662213B1 (ko) 조명장치 및 촬영 시스템
KR102666968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230072638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41812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240041851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