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950B1 - 카메라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950B1
KR102505950B1 KR1020160075826A KR20160075826A KR102505950B1 KR 102505950 B1 KR102505950 B1 KR 102505950B1 KR 1020160075826 A KR1020160075826 A KR 1020160075826A KR 20160075826 A KR20160075826 A KR 20160075826A KR 102505950 B1 KR102505950 B1 KR 10250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mera module
bracket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404A (ko
Inventor
임용섭
카즈시게 타무라
김창연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950B1/ko
Priority to US15/414,865 priority patent/US9989834B2/en
Priority to CN201720504165.1U priority patent/CN206991003U/zh
Publication of KR2017014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46Housing modu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및 후면을 갖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후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전면에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에 인접한 전방지지부 및 상기 후면에 인접한 후방지지부를 구비하는, 지지브라켓, 상기 카메라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적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투광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지지브라켓과 결합되는 제1브라켓부와, 상기 투광부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부를 구비하는, 메인브라켓;을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 조립체{Camera module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모듈 등의 조립 시 위치정밀도 및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비롯한 백화점, 은행, 전시장, 공장 등의 장소에서는 폐쇄회로 감시장치인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을 설치하여 도난을 방지하거나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흐름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CCTV 시스템은 관리하고자 하는 다수의 감시영역을 각각의 감시영역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무실에 설치된 모니터로 송신하여 모니터를 통해 감시하거나, 필요한 경우 원하는 장면만을 VCR(video cassette recorder)을 이용하여 녹화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는 24시간 내내 동작되는 경우가 많은데,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촬상 동작을 수행하나, 광원의 확보가 어려운 야간에는 적외선 조명을 이용하여 촬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318호는 야간 감시를 위해 적외선 램프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감시 카메라는 카메라부의 지지부와 적외선 램프부의 지지부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고, 카메라부 및 적외선 램프부의 위치정밀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카메라부 및/또는 적외선 램프부의 광축이 틀어져 야간 촬상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318호 (2013.01.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모듈 등의 조립 시 위치정밀도 및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을 갖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후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전면에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에 인접한 전방지지부 및 상기 후면에 인접한 후방지지부를 구비하는, 지지브라켓, 상기 카메라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적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투광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지지브라켓과 결합되는 제1브라켓부와, 상기 투광부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부를 구비하는, 메인브라켓을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지지핀들은, 절곡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부는, 상기 한쌍의 지지핀들이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홈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부는, 상기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홀들에 삽입되는 한쌍의 돌출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전방지지부와 상기 후방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지지홀들의 사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중간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부는, 상기 중간관통홀을 관통하는 나사가 결합되는 중간나사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브라켓부는, 상기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홀들에 삽입되는 한쌍의 돌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나사홈은 상기 한쌍의 돌출부들의 사이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부는 상기 투광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부는 상기 개구부 주위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광부는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3관통홀은,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의 사이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투광부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3관통홀과 상기 카메라모듈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 각각과 상기 카메라모듈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부는 제1나사홈, 제2나사홈 및 제3나사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나사홈에는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하는 나사가 결합되고, 상기 제2나사홈에는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하는 나사가 결합되며, 상기 제3나사홈에는 상기 제3관통홀을 관통하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의 광축은 상기 투광부의 광축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브라켓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틸트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브라켓은 일측에 상기 틸트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모듈 등의 조립 시 위치정밀도 및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볼트 등의 체결부품 수를 줄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모듈 조립체에서 카메라모듈이 조립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모듈 조립체에서 투광부가 조립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모듈 조립체에서 카메라모듈이 조립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 조립체(1000)는 카메라모듈(100), 지지브라켓(200), 투광부(300) 및 메인브라켓(400)을 구비한다.
카메라모듈(100)은 전면(X1) 및 전면(X1)의 반대면인 후면(X2)을 갖고, 전면(X1)으로부터 후면(X2)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모듈(100)의 전면(X1)에는 렌즈(L)가 구비되고, 이 렌즈(L)를 포함한 다양한 렌즈들을 수용하는 경통(미도시)이 카메라모듈(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00)은 상기 경통의 외벽을 둘러싸며 카메라모듈(100)의 내부 부품들을 보호하는 케이싱부(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부는 사각의 통 형상을 가짐으로써 지지브라켓(200)의 평평한 일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00)의 전면(X1)에 구비된 렌즈(L)는 줌 렌즈일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100)은 이 렌즈(L)를 이용하여 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카메라모듈(100)의 후면(X2)에는 이미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이미지센서는 촬상된 이미지의 강약, 색채 등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전기적 신호를 포함한 각종 신호들을 외부에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받기 위해 카메라모듈(100)에는 이미지센서PCB(미도시)가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센서로는 CMOS센서, CCD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00)의 일면에는 지지브라켓(200)이 결합된다. 지지브라켓(200)은 전방지지부(210) 및 후방지지부(230)를 구비하는데, 전방지지부(210)는 카메라모듈(100)의 전면(X1)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후방지지부(230)는 카메라모듈(100)의 후면(X2)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또한, 지지브라켓(200)은 전방지지부(210) 및 후방지지부(23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지지부(220)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전방지지부(210), 중간지지부(220) 및 후방지지부(230)에 의해 카메라모듈(100)은 전면(X1)으로부터 후면(X2)에 걸쳐 메인브라켓(4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지지부(210)는 한쌍의 지지핀들(211, 212)을 구비한다. 한쌍의 지지핀들(211, 212)은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을 포함하고,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은 지지브라켓(20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일 실시예로,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 각각은 지지브라켓(200)의 전면(X1) 측의 일단에 지지브라켓(2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 각각은 절곡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제1지지핀(211)의 절곡된 단면 형상과 제2지지핀(212)의 절곡된 단면 형상은, 지지브라켓(200)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미도시)에 대하여 서로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전방지지부(210)는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 각각으로부터 후면(X2)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턱부(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후방지지부(230)는 한쌍의 지지홀들(231, 232)을 구비한다. 한쌍의 지지홀들(231, 232)은 제1지지홀(231) 및 제2지지홀(232)을 포함하고, 제1지지홀(231) 및 제2지지홀(232)은 지지브라켓(20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일 실시예로, 후방지지부(230)는 제1후방지지부(230a) 및 제2후방지지부(230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후방지지부(230a) 및 제2후방지지부(230b) 각각은 지지브라켓(200) 상에 지지브라켓(20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후방지지부(230a) 및 제2후방지지부(230b) 또한 지지브라켓(20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후방지지부(230a)의 중심에는 지지브라켓(2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1지지홀(231)이 형성되고, 제2후방지지부(230b)의 중심에는 지지브라켓(2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2지지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지지부(220)는 중간관통홀(221)을 구비한다. 중간관통홀(221)은 후방지지부(230)의 제1지지홀(231)과 제2지지홀(232)의 사이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즉, 중간지지부(220)는 지지브라켓(200)의 길이방향으로는 전방지지부(210) 및 후방지지부(230) 사이에 위치하고, 지지브라켓(200)의 폭방향으로는 제1후방지지부(230a) 및 제2후방지지부(230b)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로, 중간지지부(220) 또한 지지브라켓(200) 상에 지지브라켓(20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간지지부(220)의 중심에는 지지브라켓(2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간관통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지지부(220)의 양측에는 중간지지부(220)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 추가지지부들(미표기)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추가지지부들이 메인브라켓(40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지지브라켓(200)과 메인브라켓(400) 간의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지지브라켓(200)은 카메라모듈(100)의 일면에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200)의 전방지지부(210)와 중간지지부(220) 사이의 부분은 한쌍의 나사들(201, 202)에 의해 카메라모듈(1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지지브라켓(200)의 중간지지부(220)와 후방지지부(230) 사이의 부분은 하나의 나사(203)에 의해 카메라모듈(1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 개의 지점에서 지지브라켓(200)과 카메라모듈(100)이 나사결합됨으로써, 체결부품의 개수를 최소로 하면서 지지브라켓(200)과 카메라모듈(10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나사의 개수 및 나사의 체결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나사가 사용될 수 있고, 나사의 체결 위치 또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브라켓(200)과 카메라모듈(100)의 조립체는 메인브라켓(400)의 제1브라켓부(400a)에 결합된다. 이때 카메라모듈(100)의 일면에 결합된 지지브라켓(200)이 제1브라켓부(400a)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1브라켓부(400a)는 카메라모듈(100)을 수용하는 중공부(CA)를 가지며, 중공부(CA)는 카메라모듈(100)의 외측에 배치된 케이싱부(미표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중공부(CA)는 상기 케이싱부의 사각의 통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직육면체의 내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브라켓부(400a)의 전단부에는 커버글래스(92) 및 방수러버(91)가 결합되어 중공부(CA)에 수용되는 카메라모듈(100)의 렌즈(L) 등을 외부의 충격 및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브라켓부(400a)의 전단부라 함은, 제1브라켓부(400a)에 있어서 수용된 카메라모듈(100)의 전면(X1)에 인접한 부분을 의미한다.
제1브라켓부(400a)는 한쌍의 삽입홈들(411, 412)을 구비한다. 한쌍의 삽입홈들(411, 412)은 지지브라켓(200)의 전방지지부(210)와 결합되며, 메인브라켓(400)의 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브라켓(400)의 전단부라 함은, 카메라모듈(100)의 수용 시 카메라모듈(100)의 전면(X1)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삽입홈들(411, 412)은 메인브라켓(400)의 전단부에 있어서 제1브라켓부(400a)의 중공부(CA)와 제2브라켓부(400b)의 개구부(OP)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쌍의 삽입홈들(411, 412)은 제1삽입홈(411) 및 제2삽입홈(412)을 포함하고, 제1삽입홈(411) 및 제2삽입홈(412)은 제1브라켓부(400a)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때 제1삽입홈(411) 및 제2삽입홈(412)의 이격 거리는 지지브라켓(200)의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삽입홈(411)에는 제1지지핀(211)이 삽입되고, 제2삽입홈(412)에는 제2지지핀(212)이 삽입된다. 따라서, 제1삽입홈(411) 및 제2삽입홈(412) 각각의 단면 형상은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 각각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제1삽입홈(411) 및 제2삽입홈(412) 또한 절곡된 단면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제1브라켓부(400a)는 한쌍의 돌출부들(431, 432)을 구비한다. 한쌍의 돌출부들(431, 432)은 지지브라켓(200)의 후방지지부(230)와 결합되며, 메인브라켓(400)의 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브라켓(400)의 후단부라 함은, 카메라모듈(100)의 수용 시 카메라모듈(100)의 후면(X2)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한쌍의 돌출부들(431, 432)은 카메라모듈(100)의 수용 시 카메라모듈(100)의 후면(X2)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대략적으로 카메라모듈(100)의 중간지지부(220)와 카메라모듈(100)의 후방지지부(230)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쌍의 돌출부들(431, 432)은 제1돌출부(431) 및 제2돌출부(432)를 포함하고, 제1돌출부(431) 및 제2돌출부(432)는 제1브라켓부(400a)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때 제1돌출부(431) 및 제2돌출부(432)의 이격 거리는 지지브라켓(200)의 제1지지홀(231) 및 제2지지홀(232)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지지홀(231)에는 제1돌출부(431)가 삽입되고, 제2지지홀(232)에는 제2돌출부(432)가 삽입된다. 한편, 제1돌출부(431) 및 제2돌출부(432)의 이격 거리는 제1지지홀(231) 및 제2지지홀(232)의 이격 거리와 상이할 수 있고, 따라서, 제1지지홀(231) 및 제2지지홀(232)의 이격 거리는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의 이격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돌출부(431) 및 제2돌출부(432)의 이격 거리가 제1지지홀(231) 및 제2지지홀(232)의 이격 거리보다 짧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지지홀(231) 및 제2지지홀(232)을 구비한 후방지지부(230)의 폭이,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을 구비한 전방지지부(210)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또한, 제1브라켓부(400a)는 제1돌출부(431) 및 제2돌출부(432)의 사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중간나사홈(421)을 구비한다. 중간나사홈(421)은 지지브라켓(200)의 중간지지부(220)와 결합되며, 전술한 메인브라켓(40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제1브라켓부(400a)는 제1돌출부(431) 및 제2돌출부(43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나사홈부(433)를 구비하며, 중간나사홈부(433)의 중심에는 중간나사홈(421)이 제1브라켓부(400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한쌍의 돌출부들(431, 432)의 돌출된 단부와 중간나사홈부(433) 사이의 거리는, 대략적으로 카메라모듈(100)의 중간지지부(220) 및 카메라모듈(100)의 후방지지부(23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중간나사홈(421)에는 중간나사(S0)가 결합된다. 중간나사(S0)는 지지브라켓(200)의 중간지지부(220)에 구비된 중간관통홀(221)을 관통하여 중간나사홈(421)에 결합됨으로써, 지지브라켓(200)의 중간지지부(220)를 제1브라켓부(400a)에 결합시킨다.
한편, 카메라모듈(100)의 상부에는 카메라모듈(100)과 나란하게 투광부(300)가 배치된다. 투광부(300)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의 촬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전방에 적외선을 조사한다. 즉, 투광부(300)는 전방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투광부(300)의 전면에는 제1광원(P1) 및 제2광원(P2)이 배치되고, 제1광원(P1) 및 제2광원(P2)으로부터 방출된 적외선 등이 전방에 조사됨으로써 자연광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촬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투광부(300)는 제1관통홀(301), 제2관통홀(302) 및 제3관통홀(303)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들(301, 302, 303)은 제1광원(P1) 및 제2광원(P2)의 외측에 배치되며, 이때 상기 관통홀들(301, 302, 303)을 연결한 선들은 대략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 투광부(300)의 카메라모듈(100)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1관통홀(301) 및 제2관통홀(302)이 투광부(30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3관통홀(303)은 상기 광원들(P1, P2)을 중심으로 제1관통홀(301) 및 제2관통홀(302)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제3관통홀(303)은 제1관통홀(301)과 제2관통홀(302)의 사이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되며, 제3관통홀(303)과 카메라모듈(100) 사이의 거리는 제1관통홀(301) 및 제2관통홀(302) 각각과 카메라모듈(100)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된다.
투광부(300)는 메인브라켓(400)의 제2브라켓부(400b)에 결합된다. 제2브라켓부(400b)는 투광부(300)가 삽입되는 개구부(OP)를 갖는데, 개구부(OP)는 제1브라켓부(400a)의 중공부(CA)의 입구에 나란하게 위치한다. 또한, 제2브라켓부(400b)는 개구부(OP) 주위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이로써 투광부(300)의 외벽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제2브라켓부(400b)가 투광부(300)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 투광부(300)의 광원들(P1, P2)이 배치된 전단부는 투광부(300)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투광부(300)가 제2브라켓부(400b)의 개구부(OP)에 삽입될 시 상기 외벽은 개구부(OP)를 통과하는 데 반하여, 돌출된 상기 전단부는 개구부(OP)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2브라켓부(400b)의 일면에 걸리게 된다.
또한, 제2브라켓부(400b)는 제1나사홈(401), 제2나사홈(402) 및 제3나사홈(403)을 구비한다. 제1나사홈(401)에는 제1관통홀(301)을 관통하는 제1나사(S1)가 결합되고, 제2나사홈(402)에는 제2관통홀(302)을 관통하는 제2나사(S2)가 결합되며, 제3나사홈(403)에는 제3관통홀(303)을 관통하는 제3나사(S3)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1나사홈(401), 제2나사홈(402) 및 제3나사홈(403) 각각의 위치는 제1관통홀(301), 제2관통홀(302) 및 제3관통홀(303)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와 함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카메라모듈(100)이 제1브라켓부(400a)에 조립되는 과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인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인브라켓(400)은 일측에 연결부(400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400c)는 원통형의 축 형상을 가지며, 메인브라켓(4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틸트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400c)가 상기 틸트구동부에 연결됨으로써, 메인브라켓(400)은 상기 틸트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함은, 연결부(400c)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미도시)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연결부(400c)는 제1브라켓부(400a)의 외벽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브라켓(200)의 전방지지부(210)에 구비된 한쌍의 지지핀들(211, 212)은, 제1브라켓부(400a)의 전단부에 구비된 한쌍의 삽입홈들(411,412)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400c) 측에 위치한 제1지지핀(211)은 제1삽입홈(411)에 삽입되고, 제1지지핀(211)으로부터 제1브라켓부(400a)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제2지지핀(212)은 제2삽입홈(412)에 삽입된다. 이때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의 절곡된 단부가 제1삽입홈(411) 및 제2삽입홈(412) 각각의 내면에 삽입됨으로써, 전방지지부(210)가 제1브라켓부(400a)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방지지부(210)에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 각각으로부터 후면(X2) 방향으로 연장된 턱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턱부에 의해 제1지지핀(211) 및 제2지지핀(212) 각각의 삽입량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브라켓부(400a)의 후단부에 위치한 한쌍의 돌출부들(431, 432)은, 지지브라켓(200)의 후방지지부(230)에 구비된 한쌍의 지지홀들(231, 232)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400c) 측에 위치한 제1돌출부(431)가 제1지지홀(231)에 삽입되고, 제1돌출부(431)로부터 제1브라켓부(400a)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제2돌출부(432)가 제2지지홀(232)에 삽입된다.
또한, 중간나사(S0)는 지지브라켓(200)의 중간지지부(220)에 구비된 중간관통홀(221)을 관통하여 중간나사홈(421)에 결합된다. 이러한 중간나사홈(421)은 제1돌출부(431)와 제2돌출부(432)의 사이에 위치한 중간나사홈부(433)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돌출부(431) 및 제2돌출부(432) 각각이 제1지지홀(231) 및 제2지지홀(232)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간관통홀(221)을 관통하는 중간나사(S0)가 중간나사홈(421)에 결합됨으로써, 후방지지부(230) 및 중간지지부(220)가 제1브라켓부(400a)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100)은 카메라모듈(100)의 전면(X1)이 후면(X2)보다 중공부(CA)에 먼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브라켓부(400a)에 결합된다. 이때 전방지지부(210)의 두 지점과, 후방지지부(230)의 두 지점과, 중간지지부(220)의 일 지점에서 지지브라켓(200)과 제1브라켓부(400a)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카메라모듈(100)이 제1브라켓부(400a)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는 한편, 제1브라켓부(400a)에 대한 카메라모듈(100)의 위치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 지점들이 카메라모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르게 분포함에 따라 카메라모듈(100)의 렌즈(L)의 광축(A1) 틀어짐이 개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투광부(300)가 제2브라켓부(400b)에 조립되는 과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모듈 조립체에서 투광부가 조립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투광부(300)에 구비된 관통홀들(301, 302, 303)을 관통하는 나사들(S1, S2, S3)이 제2브라켓부(400b)의 나사홈들(401, 402, 403)에 삽입됨으로써, 투광부(300)와 제2브라켓부(400b)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400c)에 가장 인접한 제1나사홈(401)에 제1관통홀(301)을 관통하는 제1나사(S1)가 결합되고, 제1나사홈(401)으로부터 투광부(30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제2나사홈(402)에 제2관통홀(302)을 관통하는 제2나사(S2)가 결합되며, 제1나사홈(401) 및 제2나사홈(402)의 상부에 위치한 제3나사홈(403)에 제3관통홀(303)을 관통하는 제3나사(S3)가 결합된다. 이로써 투광부(300)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먼저 삽입되는 방향으로 투광부(300)가 제2브라켓부(400b)에 결합된다. 여기서 투광부(300)의 후단부라 함은, 투광부(300)에 있어서 제1광원(P1) 및 제2광원(P2)이 배치된 부분인 전단부의 반대측 단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부(300)에 위치한 세 지점에서 투광부(300)와 제2브라켓부(400b)의 결합이 이루짐으로써, 제2브라켓부(400b)에 대한 투광부(300)의 위치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 지점이 투광부(300)의 전단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전단부에 배치된 제1광원(P1) 및 제2광원(P2)의 광축(A2) 틀어짐이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광부(300) 광축(A2)의 틀어짐과 카메라모듈(100) 광축(A1)의 틀어짐을 각각 최소화함에 따라 카메라모듈(100)의 광축(A1)은 투광부(300)의 광축(A2)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모듈(100)의 화각 범위와 투광부(300)의 적외선 조사 범위가 거의 일치하게 되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양질의 촬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갖는 메인브라켓(400)을 이용하여 카메라모듈(100) 및 투광부(300)를 컴팩트하게 배치함으로써, 도 1 등에 도시된 카메라모듈 조립체(1000)에는 여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비록 도 1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브라켓(400)에 있어서 연결부(400c)가 배치된 측면의 반대측에는 메인PCB(미도시), 블로워부(미도시) 등의 부품들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모듈 조립체(1000)의 발열원인 메인PCB를 상기 여분의 공간에 배치함에 따라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블로워부를 커버글래스(92)에 인접하게 배치함에 따라 송풍 및/또는 가열을 통해 커버글래스(92)에 결로(condensation)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모듈 등의 조립 시 위치정밀도 및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볼트 등의 체결부품 수를 줄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카메라모듈
200: 지지브라켓
210: 전방지지부
220: 중간지지부
230: 후방지지부
300: 투광부
400: 메인브라켓
400a: 제1브라켓부
400b: 제2브라켓부
1000: 카메라모듈 조립체

Claims (17)

  1. 전면 및 후면을 갖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후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전면에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에 인접한 전방지지부 및 상기 후면에 인접한 후방지지부를 구비하는, 지지브라켓;
    상기 카메라모듈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적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투광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지지브라켓과 결합되는 제1브라켓부와, 상기 투광부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부를 구비하는, 메인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브라켓은 상기 렌즈를 커버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전면에서 장착되는, 카메라모듈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핀들을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조립체.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부는, 상기 한쌍의 지지핀들이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홈들을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홀들을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조립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부는 상기 투광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카메라모듈 조립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브라켓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틸트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브라켓은 일측에 상기 틸트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카메라모듈 조립체.
KR1020160075826A 2016-06-17 2016-06-17 카메라모듈 조립체 KR10250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826A KR102505950B1 (ko) 2016-06-17 2016-06-17 카메라모듈 조립체
US15/414,865 US9989834B2 (en) 2016-06-17 2017-01-25 Camera module assembly
CN201720504165.1U CN206991003U (zh) 2016-06-17 2017-05-08 相机模块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826A KR102505950B1 (ko) 2016-06-17 2016-06-17 카메라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404A KR20170142404A (ko) 2017-12-28
KR102505950B1 true KR102505950B1 (ko) 2023-03-03

Family

ID=6066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826A KR102505950B1 (ko) 2016-06-17 2016-06-17 카메라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89834B2 (ko)
KR (1) KR102505950B1 (ko)
CN (1) CN20699100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6297S1 (en) * 2018-07-24 2020-09-15 Hanwha Techwin Co., Ltd. Camera
USD894991S1 (en) * 2018-07-24 2020-09-01 Hanwha Techwin Co., Ltd. Camera
US10855981B2 (en) * 2018-09-07 2020-12-01 Trw Automotive U.S. Llc Testing module for fixed focus camera module evaluation
CN112178411B (zh) * 2020-09-21 2022-05-31 浙江庚星科技有限公司 海洋牧场监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4865A1 (en) * 2002-03-15 2003-09-18 Mark William Vernon Vehicle license plate imaging and reading system for day and nigh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839A (en) * 1987-02-24 1988-03-01 Remote Technology Corporation Motorized pan/tilt head for remote control
KR101001623B1 (ko) * 2004-03-10 201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KR100585857B1 (ko) 2004-08-27 2006-06-08 주식회사 휴바이론 모듈 범용 감시카메라장치
KR100724306B1 (ko) 2005-03-29 2007-06-04 주식회사 씨앤비텍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
US7364128B2 (en) 2005-04-26 2008-04-29 Ge Secur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 mechanism assembly
KR101220318B1 (ko) 2010-12-09 2013-01-09 티.비.티. 주식회사 팬/틸트/줌(ptz) 카메라 장치
KR101305314B1 (ko) 2013-07-15 2013-09-06 에스엔티주식회사 줌 연동형 적외선 투광기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시스템
JP6102787B2 (ja) 2014-02-19 2017-03-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カメラ装置及び監視カメラ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4865A1 (en) * 2002-03-15 2003-09-18 Mark William Vernon Vehicle license plate imaging and reading system for day and n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63933A1 (en) 2017-12-21
CN206991003U (zh) 2018-02-09
US9989834B2 (en) 2018-06-05
KR20170142404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85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505950B1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KR200252100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US20120242785A1 (en) Omnidirectional Camera
US8913886B2 (en) Photographic device
KR20070011860A (ko)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KR102280348B1 (ko) 카메라 모듈
CN110708445B (zh) 用于减少内部反射的摄像机外壳
JP4726698B2 (ja) レンズアッシおよび撮像装置
KR100874037B1 (ko)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2124884B1 (ko) 어안 카메라
CN110365868B (zh) 多目摄像机
KR102006780B1 (ko)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램프
JP2012173330A (ja) 撮像装置
US20080266392A1 (en) Infra-red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adjusting distance and focus by one element
JP2010224298A (ja) 撮像装置
KR20060111806A (ko) 적외선엘이디가 구비되는 적외선카메라
KR102345685B1 (ko) 카메라 모듈
CN111447342B (zh) 摄像机
KR101188720B1 (ko) 노광조건 절환유닛 및 카메라 유닛
KR200398252Y1 (ko) Cctv용 카메라
KR200402677Y1 (ko) 감시용 카메라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KR101637159B1 (ko) 감시카메라
KR200232668Y1 (ko) 유리필터의 스모그현상을 억제한 감시용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